KR20160110293A -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293A
KR20160110293A KR1020160110351A KR20160110351A KR20160110293A KR 20160110293 A KR20160110293 A KR 20160110293A KR 1020160110351 A KR1020160110351 A KR 1020160110351A KR 20160110351 A KR20160110351 A KR 20160110351A KR 20160110293 A KR20160110293 A KR 2016011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visit
visiting
information
pat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어
Priority to KR102016011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0293A/ko
Publication of KR2016011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F17/60
    • G06F1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4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복수의 재가 의료수요자 및 의료 서비스제공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최적의 방문 동선 계획을 제공하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에 대한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일부로서 방문요청을 입력한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환자 정보부; 상기 방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상기 요구환자정보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상기 위치정보가 속하는 기설정된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하는 방문대상 관리부; 및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상기 요구환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는 동선 관리부;를 포함하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PATH PLANNING AND LOGISTIC SYSTEM FOR VISITING DOCTORS AND NURSES}
본 개시(Disclosure)는, 동선 계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재가 의료수요자 및 의료 서비스제공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최적의 방문 동선 계획을 제공하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의료기관이 아닌 자택에서 요양 및 치료를 하고 있는 재가 요양환자는 전국적으로 3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 재가 요양환자는 대부분의 만성질환자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급성질환과 달리 응급처치를 요하지 않는 반면 방문 의료인이 수시로 이들의 건강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공통점을 가진다.
따라서, 재가 요양환자들은 방문 의료인의 즉각적인 의료서비스가 아닌, 방문 의료인의 잦은 방문과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방문 의료인 마다 방문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한 시간이 제한적이며, 재가 요양환자들의 방문 요청도 비정기적으로 발생 되고 있어, 방문 의료인과 재가 요양환자들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방문 일정을 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방문 의료인의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한 시간에 방문 의료 서비스 제공 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3932호는, 서비스제공자(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의 기능별 분류와, 피 서비스자의 신체/심리/정서/욕구상태에 맞는 수준별 분류를 매칭시켜 의료지원형(의사, 간호사), 신체지원형(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 심리/정서지원형(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일반형(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 바우처형(사회복지사)로 나누고, 고유영역별 아이템들이 탑재된 재가방문 박스를 제공하여 재가방문 서비스를 실시하며, 재가방문 박스에서 측정된 정보와 위치정보를 재가방문 관리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재가방문 박스를 이용한 재가방문 관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8268호는, 환자를 방문하여 간호 및 요양 서비스를 수행하는 건강 컨설턴트가 편리하게 수급권자의 생체정보 및 자신의 의료 서비스 수행과정을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에서 환자체크와 행동 사항을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침을 주어 신속한 의료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통신 기반의 방문간호/방문요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들은 피 서비스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를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의료인 등에 전달하여 신속한 의료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일 뿐, 방문 의료인의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한 시간에 방문 의료 서비스 제공 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시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3932호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8268호
본 개시는 방문 의료인과 재가 요양환자들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방문 일정을 최적화함으로써, 방문 의료인의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한 시간에 방문 의료 서비스 제공 회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에 대한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일부로서 방문요청을 입력한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환자 정보부; 상기 방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상기 요구환자정보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상기 위치정보가 속하는 기설정된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하는 방문대상 관리부; 및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상기 요구환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는 동선 관리부;를 포함하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 및 그 방문순서를 정하여 제공하므로, 서비스제공자와 방문대상환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면서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문대상환자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는, 방문요청 입력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환자 단말기;를 가지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선 관리부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 및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GPS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고, 상기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2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문대상환자 모두에 대한 방문 동선을 결정하는 동선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선 관리부에 의해 결정된 방문 순서에 따라, 순차로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전달받아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경로 안내부(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고, 상기 동선 결정부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 도착 예정 시각을 전송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요구환자정보는, 방문 가능한 유효 방문 시간,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추가된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요구환자정보를 다양화하여, 이를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에 반영함으로써, 방문요구환자의 요구 충족 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서비스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시간,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이동이 가능한 유효 방문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추가된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다양화하고 이를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에 반영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마다 다양한 일정 및 요구에 따른 효율적인 서비스의 제공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시간의 종료시각이,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도착 예정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보다 기설정된 시간 이상 늦은 경우, 상기 환자 정보부는,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상기 환자 단말기에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을 제공하고,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수정된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추가선정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이 제공되는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는, 그 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상기 위치정보가 속하는 상기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에 여유가 발생 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의 동선에 위치되는 재가요양환자에게 추가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서비스 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이후,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환자 정보부는, 상기 추가방문요청 및 상기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고,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수정된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되,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의 수보다 많을 때,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로 대체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중 발생 되는 추가 방문 요청에 대해,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증가하도록 서비스 제공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 및 그 방문순서를 정하여 제공하므로, 서비스제공자와 방문대상환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면서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문대상환자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의하면, 요구환자정보를 다양화하여, 이를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에 반영함으로써, 방문요구환자의 요구 충족 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서비스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다양화하고 이를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에 반영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마다 다양한 일정 및 요구에 따른 효율적인 서비스의 제공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에 여유가 발생 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의 동선에 위치되는 재가요양환자에게 추가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서비스 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중 발생 되는 추가 방문 요청에 대해,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증가하도록 서비스 제공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 및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은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100)은, 지역적으로 떨어져 위치되는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에 대한 서비스제공자(예: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의 서비스 제공 일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100)은, 환자 정보부(110), 방문대상 관리부(130) 및 동선 관리부(150)를 포함한다.
환자 정보부(110)는 서비스 제공의 대상이 되는 재가요양환자의 정보 및 그들 중 서비스 제공의 요구가 있는 방문요구환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다.
재가요양환자의 정보는, 위치정보(예: 주소)이며, 성명과 성별, 나이, 병명과 같은 인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는, 방문요구가 있는 재가요양환자 목록을 의미한다. 이는 재가요양환자의 정보에 방문요구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환자 정보부(110)는 별도로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재가요양환자의 정보 및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가 입력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는 재가요양환자의 정보 및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의 수정 및 저장된 정보의 삭제를 의미한다.
방문대상 관리부(130)는, 방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제공자 정보(예: 위치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환자 정보부(110)의 요구환자정보와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한다.
방문재상환자의 선정을 위한 방문대상 결정부(133)가 포함된다.
방문대상환자는, 방문요구가 있는 방문요구환자의 목록에서 선정된 재가요양환자를 의미한다.
방문대상환자 선정의 기준은, 요구환자정보와 서비스제공자 정보는 위치정보이며, 서비스제공자의 위치정보가 속하는 기설정된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에 속하는 요구환자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기설정된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영역은, 행정구역과 같은 방식으로 임의로 구분된 일정한 지역적 범위를 의미한다.
동선 관리부(150)는, 선정된 방문대상환자의 요구환자정보(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선정된 방문대상환자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요구환자정보, 즉 양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 및 그 방문순서를 정하여 제공하므로, 서비스제공자와 방문대상환자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면서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문대상환자의 수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자 정보부(110)로 재가요양환자의 방문요청 및 요구환자정보의 전송은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에 의한 전송을 위해 환자 단말기(1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문대상 관리부(130) 및 동선 관리부(150)로부터 선정된 방문대상환자 및 방문 순서의 다운로드를 위한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9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선 관리부(150)는, 방문 순서의 결정을 위해, GPS 수신부(151) 및 동선 결정부(153)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151)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정보 및 방문대상환자의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제공자 및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한다.
동선 결정부(153)는, 서비스제공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단계,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2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순차로 제3,4,,,,n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단계를 거쳐, 방문대상환자 모두에 대한 방문 동선을 결정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선 관리부(150)에 의해 결정된 방문 순서에 따라, 순차로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전달받아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경로 안내부(15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5)는 공지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5)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90)에 제공된다.
또한 경로 안내부(155)는, 환자 단말기(170)에 구비되어 현재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를 재가요양환자 또는 방문대상환자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로 안내부(155)는, 동선 관리부(150) 및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90)에 각각 구비되며, 동선 관리부(150)를 통해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고, 환자 단말기(170)에 도착 예정 시각을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는 것은 경로 안내부(155)에 의해 수행되고, 환자 단말기(170)에 도착 예정 시각을 전송하는 것은 동선 결정부(153)에 의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요구환자정보를 다양화함으로써 방문요구환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한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구환자정보는, 방문 가능한 유효 방문 시간,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효 방문 시간은, 방문요구환자의 사정에 의해 정해진 방문 가능 시간 범위를 의미한다.
체류 시간은, 필요한 서비스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 범위를 의미한다. 이는 각 방문요구환자마다 미리 정해지거나,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문대상 관리부(130)는, 위치정보에 의해 결정된 방문대상환자 또는 방문 동선을, 추가된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수정한다.
여기서 수정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방문 예정 시각과 유효 방문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 해당 방문대상환자를 삭제하거나, 방문 동선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삭제된 방문대상환자를 대체할 새로운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다양화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의 사정을 충분히 반영한 방문대상환자의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 정보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시간, 서비스제공자의 이동이 가능한 유효 방문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시간은,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 범위를 의미한다.
유효 방문 거리는,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서비스제공자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전체 서비스제공자에 대해 일률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문대상 관리부(130)는, 위치정보에 의해 결정된 방문대상환자 및 방문 동선을, 추가된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기준으로 수정한다.
여기서 수정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방문 예정 시각이 서비스 제공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방문대상환자를 삭제하거나, 방문 시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삭제된 방문대상환자를 대체할 새로운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에 여유가 발생 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의 동선에 위치되는 재가요양환자에게 추가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서비스 제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시간의 종료시각이, 방문대상환자의 도착 예정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보다 기설정된 시간 이상 늦은 경우, 즉 서비스 제공시간 동안 충분한 서비스 제공이 안 되는 경우, 환자 정보부(110)는,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재가요양환자의 환자 단말기(170)에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을 제공하는 단계(S11),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2),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또한, 방문대상 관리부(130)는, 수정된 방문요청 및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추가선정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이 제공되는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재가요양환자는, 그 위치정보가 서비스제공자의 위치정보가 속하는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서비스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제공 중 발생 되는 추가 방문 요청에 대해,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증가하도록 서비스 제공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이후,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가 입력되는 경우로서, 환자 정보부(110)는,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방문대상 관리부(130)는, 수정된 방문요청 및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되,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의 수보다 많을 때,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laims (1)

  1.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에 대한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일부로서 방문요청을 입력한 방문요구환자의 요구환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환자 정보부;
    방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자 정보와, 상기 요구환자정보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상기 위치정보가 속하는 기설정된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선정하는 방문대상 관리부; 및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상기 요구환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는 동선 관리부;로서, GPS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 및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GPS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고, 상기 제1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로부터 최단 이동 시간을 요하는 제2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문대상환자 모두에 대한 방문 동선을 결정하는 동선 결정부;를 포함하는 동선 관리부;를 를 포함하고,
    상기 동선 관리부에 의해 결정된 방문 순서에 따라, 순차로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GPS 위치 좌표를 전달받아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비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시간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이동이 가능한 유효 방문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추가된 상기 서비스제공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는,
    방문요청 입력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환자 단말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방문대상환자 각각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고,
    상기 동선 결정부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 도착 예정 시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구환자정보는, 방문 가능한 유효 방문 시간,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추가된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방문요구환자로부터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시간의 종료시각이, 상기 방문대상환자의 도착 예정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보다 기설정된 시간 이상 늦은 경우,
    상기 환자 정보부는,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의 상기 환자 단말기에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을 제공하고,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수정된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추가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방문 동선이 제공되는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는, 그 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상기 위치정보가 속하는 상기 방문 의료서비스 제공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이후, 상기 방문요구환자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재가요양환자로부터 추가방문요청 및 추가요구환자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환자 정보부는, 상기 추가방문요청 및 상기 추가요구환자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수정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방문대상 관리부는, 수정된 상기 방문요청 및 상기 요구환자정보를 기준으로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하되,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의 수가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의 수보다 많을 때, 재선정 전 방문대상환자를 재선정된 방문대상환자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KR1020160110351A 2016-08-29 2016-08-29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KR20160110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51A KR20160110293A (ko) 2016-08-29 2016-08-29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51A KR20160110293A (ko) 2016-08-29 2016-08-29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45A Division KR20160038617A (ko) 2014-09-30 2014-09-30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93A true KR20160110293A (ko) 2016-09-21

Family

ID=5708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51A KR20160110293A (ko) 2016-08-29 2016-08-29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02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6973A (zh) * 2021-03-10 2021-06-04 浙江银江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家庭医生随访路径推荐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268A (ko) 2009-11-02 2011-05-11 디노플러스 (주) 통신 기반의 방문간호/방문요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3932A (ko) 2012-11-19 2014-05-28 신창중 재가방문 박스를 이용한 재가방문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268A (ko) 2009-11-02 2011-05-11 디노플러스 (주) 통신 기반의 방문간호/방문요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3932A (ko) 2012-11-19 2014-05-28 신창중 재가방문 박스를 이용한 재가방문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6973A (zh) * 2021-03-10 2021-06-04 浙江银江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家庭医生随访路径推荐方法及系统
CN112906973B (zh) * 2021-03-10 2023-10-24 浙江银江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家庭医生随访路径推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1164B2 (ja)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190107905A (ko)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Ares et al. A column generation approach for locating roadside clinics in Africa based on effectiveness and equity
JP6693856B2 (ja)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10128489A (ko)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80050623A (ko) 진료예약시스템 및 그 방법
CA29064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ealthcare messages to an automatically identified set of patients
JP2006023973A (ja) 予約管理方法、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
KR101611176B1 (ko) 원스톱 맞춤형 건강검진 시스템 및 그 검진 방법
JP20073234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案内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142688A (ko) 병원 진료 예약 방법,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631255B1 (ko)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JP6172742B2 (ja) 往診状況確認支援装置及び往診状況確認支援方法
KR20160060923A (ko)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6592321B2 (ja) 診診連携方法および診診連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110293A (ko)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JP2009205359A (ja) 受付支援装置及び方法、並びに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200041481A (ko)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170025025A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180009478A (ko) 진료예약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8617A (ko) 방문의료인을 위한 동선 계획 및 물자 보급 시스템
KR20210088103A (ko)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4146137A (ja) 病児保育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90012B2 (ja) 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及び介護サービス支援プログラム
KR102036902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