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81A -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81A
KR20200041481A KR1020180121555A KR20180121555A KR20200041481A KR 20200041481 A KR20200041481 A KR 20200041481A KR 1020180121555 A KR1020180121555 A KR 1020180121555A KR 20180121555 A KR20180121555 A KR 20180121555A KR 20200041481 A KR20200041481 A KR 2020004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heck
user
health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202B1 (ko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핸즈
Priority to KR102018012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과 상기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병원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병원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병원에서 상기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날짜들과, 상기 날짜들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병원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OPERATING METHOD OF HEALTH MEDICAL EXAMINATION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건강검진 서버를 이용한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검강검진 항목을 제공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발병한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적합한 치료를 하기에는 이미 늦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질병의 조기 진단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권장하고 있으며,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영유아검진, 생애전환기검진, 구강검진, 기업(단체) 종합건강검진 등의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병원에 직접 전화 문의 또는 의료기관 홈페이지 등을 방문하여 검진 가능한 시간, 비용, 검사항목 등을 개별 의료기관에 일일이 확인한 후 예약해야 한다. 또한, 검사 당일에는 접수처에서 접수에 필요한 개인정보와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병원들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싶은 경우라도, 병원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각 기관에 개별적으로 예약 및 접수 절차를 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복잡한 예약 절차를 거쳐야 하고, 한번의 예약으로 하나의 병원에서만 건강검진을 받게 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건강검진 항목과 병원을 선택하고, 사용자 스스로 예약검진권을 생성하여 간편하게 건강검진을 수행할 수 있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한 번의 건강검진 신청으로 복수의 병원들에 동시에 건강검진 예약을 하고, 복수의 병원들로부터 제공된 건강검진 결과를 일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과 상기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병원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병원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병원에서 상기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날짜들과, 상기 날짜들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병원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병원 서버가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 날짜 및 시간대 별 서로 다른 가격으로 설정된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날짜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예약 가능한 시간대를 상기 기설정된 기간 이후의 시간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분 확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관심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용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병원 서버로부터 건강검진 예약 확인을 수신한 경우 전자 건강검진권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복수의 병원들에서 검진 가능한 날짜들과, 날짜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복수의 병원 서버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동시에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일정을 동시에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검진 일정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에 개별적으로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제공하여 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병원 서버들로부터 건강검진 결과들을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각 결과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건강검진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간편하게 건강검진 항목과 병원을 선택하고, 사용자 스스로 예약검진권을 생성하여 손쉽게 건강검진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한 번의 건강검진 예약으로 복수의 병원들로부터 동시에 건강검진 예약을 하고, 복수의 병원들로부터 제공된 건강검진 결과를 일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10)은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병원 서버(300)를 포함한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병원 서버(300) 사이에서 건강검진 예약을 위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병원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병원 서버(300)에 건강검진을 예약할 수 있고, 예약된 정보를 기초로 전자 건강검진권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 서버(300)는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건강검진을 예약할 수 있다. 병원 서버(300)는 전화, 방문 접수 등 오프라인 수단을 통해 건강검진이 예약된 경우에도, 이를 반영하여 건강검진 예약 상황을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검진을 위한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는 병원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며(S100),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건강검진 항목들 각각에 대한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와 건강검진 항목을 병원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102). 이때,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에는 건강검진 항목들에 대해 날짜 및 시간대마다 다르게 설정된 비용이 포함될 수 있다.
건강검진 예약은 수개월 또는 수주의 기간을 두고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현재 일자로부터 가까운 날짜 및 시간대에 건강검진 예약이 없는 상황이라면, 병원은 추가적으로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검진을 진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병원 서버(300)는 건강검진 항목들 각각에 대한 비용을 날짜 및 시간대마다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를 최대한 모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 서버(300)는 사용자의 검진 신청이 많은 시간대나 검진을 많이 하는 기간에는 검진 비용을 할인하지 않지만, 검진 신청이 없거나 검진을 많이 하지 않는 기간에는 검진 비용을 할인할 수 있다.
예컨대, 병원 서버(300)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검진 신청이 많은 토요일 오전에는 검진 비용을 하지 않고, 평일 오후 시간대에는 검진 비용을 할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사용자는 토요일 오후 시간대보다 평일 오후 시간대에 건강검진 예약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병원 서버(300)는 신청 기간이 임박한 날짜 및 시간대에 검진 이용이 적은 경우, 검진 비용을 할인할 수 있다. 예컨대, 병원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건강검진 가격표가 제공되는 날로부터 가까운 일정 기간 동안에의 검진 비용을 할인할 수 있다.
만약, 현재 날짜가 10월 1일이라면 병원서버는 3일 이내의 기간인 10월 1일부터 4일까지 기간 중 예약이 가능한 시간대의 건강검진 비용을 10월 4일 이후에 예약 가능한 시간대의 건강검진 비용보다 저렴하게 책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건강검진 신청일로부터 가까운 날짜에 건강검진을 예약함으로써 건강검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병원은 최대한 많은 수의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건강검진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병원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검진 취소에 따른 검진 비용의 할인 여부를 유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 서버(300)는 사용자의 건강검진 취소 등 건강검진 예약과 관련된 사항이 변경된 경우 검진 비용의 할인을 결정하여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4).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이름, 나이, 성별 등의 기본적인 신분 확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질병 경험, 음주 여부, 흡연 여부, 운동 여부 등 건강검진 문진표에 기록해야 하는 사항들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건강검진 관심 항목, 건강검진 희망 지역, 건강검진 희망 가격대 등의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다(S108). 여기서, 각 병원의 건강검진 문진표는 서로 다른 형식일 수 있으나,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각 병원의 형식에 맞는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S110), 생성된 건강검진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112).
예컨대, 사용자 정보에 건강검진 관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및 소화기내과를 설정하고, 건강검진 희망 지역으로 경기도 성남으로 설정하고, 건강검진 희망 가격대로 30만원 내지 50만원으로 설정한 경우,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를 위해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및 소화기내과를 검진하고,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병원들의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분석하여 30만원 내지 50만원에 건강검진을 제공하는 병원들에 대한 건강검진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웹페이지 등을 통해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로부터 건강검진 항목들과, 상기 항목들에 대한 검진을 수행하는 병원들에 대한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건강검진 항목들에는 사용자가 검진받기를 희망하는 건강검진 항목들뿐만 아니라,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서 추천하는 건강검진 항목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검강검진 항목들에는 내과, 치과, 이비인후과 등 일반 진료항목뿐만 아니라, 대장 내시경 검사, 위 내시경 검사, 저선량 폐 CT 검사 등 특수 진료항목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건강검진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항목과, 상기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병원들 어느 한 병원을 선택받을 수 있다(S114).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과 선택된 병원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S116).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된 병원에서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받을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날짜들과, 날짜들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고(S118), 생성된 비용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병원 서버(300)는 건강검진 항목들 각각에 대한 비용을 날짜 및 시간대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리스트에 포함된 날짜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비용 리스트에는 제1 병원에서 이비인후과 항목에 대한 건강검진 비용이 날짜 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비용 리스트를 수신한 날짜로부터 3일 이내에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대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되어 있고, 평일 오후가 두 번째로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되어 있고, 평일 오전이 세 번째로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되어 있고, 토요일 오전이 가장 비싼 가격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용 리스트는 병원 서버(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뒤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비용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을 위한 날짜 및 시간대를 입력받아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2). 사용자 단말(200)은 스케쥴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S124).
실시 예에 따라, 비용 리스트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에 대한 비용 리스트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에 대한 비용 리스트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다수의 병원을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가격 비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건강검진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S126), 상기 건강검진 예약 정보를 병원 서버(300)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예약할 수 있다(S128, S130).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중복 예약 요청이 전송된 경우,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시간상 먼저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스케줄 정보만을 기초로 건강검진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병원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병원 서버(300)로부터 건강검진 예약 확인을 수신한 경우, 전자 건강검진권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134, S136). 여기서, 전자 건강검진권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될 수 있는 전자 문서로서 문자, 이미지, 음성 파일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건강검진권은 예약일, 예약시간, 금액, 사용 가능한 일자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전자 건강검진권을 이용하여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자 건강검진권을 실행하고, 병원에서 비콘 통신, NFC 통신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 후 건강검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도 2에서 설명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S10)를 참조하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 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건강검진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항목과, 상기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병원들 어느 한 병원을 선택받을 수 있다(S200).
이때, 사용자는 건강검진 항목별로 검진을 받고 싶어하는 병원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항목별로 서로 다른 병원들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이비인후과 항목에 대해 제1 병원을 선택할 수 있고, 치과 항목에 대해 제2 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과 선택된 병원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S202).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된 병원에서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받을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날짜들과, 날짜들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S204), 생성된 비용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206).
사용자 단말(200)은 비용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을 위한 날짜 및 시간대를 입력받아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8). 사용자 단말(200)은 스케쥴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S210).
비용 리스트에는 항목별로 서로 다른 병원들에 대한 건강검진 비용이 포함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200)은 건강검진 항목 별 합산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비용 리스트에는 제1 병원의 이비인후과 항목에 대한 비용과, 제2 병원의 치과 항목에 대한 비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비용은 날짜 및 시간대 별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병원의 이비인후과 항목과 제2 병원의 치과 항목을 검진했을 때의 총비용도 합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건강검진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S212), 상기 건강검진 예약 정보를 병원 서버(300)들 각각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예약할 수 있다(S216).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병원 서버(300)들 모두로부터 건강검진 예약 확인을 받은 경우(S218), 전자 건강검진권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220, S222).
이후, 사용자가 정해진 날짜 및 시간대에 복수의 병원들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병원 서버(300)들로부터 건강검진 결과들을 수신할 수 있고, 건강검진 결과들을 일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병원 서버(300)들로부터 건강검진 결과들을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각 결과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건강검진 보고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건강검진 관리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병원 서버

Claims (10)

  1.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과 상기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병원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병원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병원에서 상기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날짜들과, 상기 날짜들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병원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병원 서버가,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 날짜 및 시간대 별 서로 다른 가격으로 설정된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건강검진 실시간 가격표를 생성하는 날짜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예약 가능한 시간대를 상기 기설정된 기간 이후의 시간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설정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분 확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관심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유효성을 상실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병원 서버로부터 건강검진 예약 확인을 수신한 경우 전자 건강검진권을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건강검진 항목들과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병원 목록들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건강검진 항목을 검진하는 복수의 병원들에서 검진 가능한 날짜들과, 날짜 별로 책정된 건강검진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비용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복수의 병원 서버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일정을 동시에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일정을 동시에 예약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검진 일정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에 개별적으로 상기 건강검진 예약정보를 제공하여 예약하는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병원 서버들로부터 건강검진 결과들을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각 결과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건강검진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KR1020180121555A 2018-10-12 2018-10-12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16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55A KR102164202B1 (ko) 2018-10-12 2018-10-12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55A KR102164202B1 (ko) 2018-10-12 2018-10-12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81A true KR20200041481A (ko) 2020-04-22
KR102164202B1 KR102164202B1 (ko) 2020-10-12

Family

ID=7047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55A KR102164202B1 (ko) 2018-10-12 2018-10-12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97B1 (ko) * 2022-06-16 2022-10-14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효율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법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200A (ko) 2022-01-14 2023-07-21 주식회사 온빛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한 검진 순서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230169578A (ko) 2022-06-09 2023-12-18 장관익 무인 이동체를 이용한 건강검진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829A (ja) * 1993-11-30 1995-06-16 Koji Kusuno 患者の順番予約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順番予約システム
JP2002099615A (ja) * 2000-09-21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病院予約支援装置、病院予約支援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病院予約支援方法
KR20040092667A (ko) * 2003-04-25 2004-1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카드, 그 의료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20140050375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건강검진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22995A (ko) * 2014-04-24 2015-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스톱 맞춤형 건강검진 시스템 및 그 검진 방법
JP2017079065A (ja) * 2015-10-20 2017-04-27 和 庄野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829A (ja) * 1993-11-30 1995-06-16 Koji Kusuno 患者の順番予約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順番予約システム
JP2002099615A (ja) * 2000-09-21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病院予約支援装置、病院予約支援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病院予約支援方法
KR20040092667A (ko) * 2003-04-25 2004-11-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 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카드, 그 의료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20140050375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건강검진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22995A (ko) * 2014-04-24 2015-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스톱 맞춤형 건강검진 시스템 및 그 검진 방법
JP2017079065A (ja) * 2015-10-20 2017-04-27 和 庄野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97B1 (ko) * 2022-06-16 2022-10-14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효율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202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6250A1 (en) Method for an Interactive, Patient Controll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a Digital, Real Time Manner which Features a Single Point of Entry for Patients, Physicians, all other Health Care Providers, Health Care Payers, Researcher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US20120010904A1 (en) Method for reverse physician - patient matching for in-person health care services and tele-consultations
Crotty et al. Patient-to-physician messaging: volume nearly tripled as more patients joined system, but per capita rate plateaued
US20060026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scheduling health care patient appointments
US8346575B2 (en) System and methods of automated patient check-in, scheduling and prepayment
US201302185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nsolidated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veterinary care data
US20060293930A1 (en) Sales call management
Turvey et al.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personal health records: A survey of veterans using My Health e Vet
KR102164202B1 (ko)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US20080235056A1 (en) Service for Managing Medications
US20150339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erse auctioning or bidding on healthcare services
US201903628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rescriptions
JP2017079065A (ja)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201303254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st information for health care services
US2017017780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WO2015095878A1 (en) Service-oriented, integrative network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KR20120028585A (ko) 1차 의료기관 통합형 가상종합병원 시스템
Warrington et al. Driving access to care: use of mobile units for urine specimen collectio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pandemic
Rand et al. Parent preferences for communicating with their adolescent's provider using new technologies
WO2016196023A1 (en) Method for an interactive, patient controll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a digital, real time manner which features a single point of entry for patients, physicians, all other health care providers, health care payers, researcher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Beatty et al. Accessibility of federally funded family planning services in South Carolina and Alabama
JP6177546B2 (ja) 診療情報表示システム
Stormon et al. Facilitating access to dental care for people experiencing homelessness
US20140278454A1 (en) Dynamic pricing of healthcare resources
KR2001008863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