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03A -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03A
KR20210088103A KR1020200001207A KR20200001207A KR20210088103A KR 20210088103 A KR20210088103 A KR 20210088103A KR 1020200001207 A KR1020200001207 A KR 1020200001207A KR 20200001207 A KR20200001207 A KR 20200001207A KR 20210088103 A KR20210088103 A KR 2021008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ealth management
symptom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215B1 (ko
Inventor
정혜경
배영완
이윤정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2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상기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상기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S USING DIAGNOSIS}
본원은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가 점점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소비자들은 의료 서비스의 제공자인 병원 또는 의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어려워 대부분이 주변의 지인들로부터 들은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의료 소비자들은 자신의 증상에 따른 진료 과목을 판단하여 해당 진료 과목에 속하는 의료 기관을 검색하여 예약을 수행하여야 하나, 자신의 증상이 어느 진료 과목에 속하는지에 대한 판단하기 어려워 특정 의료 기관을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털 사이트 또는 검색 사이트를 통해 병원과 전문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포털 사이트들의 검색 방식이나 검색인의 수가 급증하여 의료 소비자는 적절한 병원과 전문의를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병원과 전문의를 확인하기 어려운 점 외에도 질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9-010790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의 나이, 성별 등에 따른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에 맞는 질병을 진단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하는 질병에 대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병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상기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상기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추천 정보에 기초한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와 다른 제2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근접한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심박수 및 기준 체온 초과시 알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고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 및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제 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증상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전송부,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수신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상기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상기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사용자 제2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 수행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것 및 정보 수집에 동의된 사용자의 과거 병원 진료 이력, 주의 약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추천 정보에 기초한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와 다른 제2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심박수 및 체온 초과시 알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증상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상기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병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증상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는 간편하게 자신의 신체 상태 및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신이 겪고 있는 증상에 해당하는 질병에 대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질병에 대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2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질병의 증상을 분류하여 입력을 수신 받는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2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검색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방문 이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대기 공간에 대한 CCTV 영상 표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진료 접수 요청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진료 알람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처방전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복약 알람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약을 위한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고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전송 받고, 사용자 정보, 사용자 증상 정보 및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건강 관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제1입력,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장치(100)은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진단 정보, 추천 병원 정보 및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 질병에 대응하는 병원 정보 및 질병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 및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확인하여 보다 쉽게 건강 관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 및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키, 몸무게, 성별,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주로 섭취하는 음식, 사용자의 이동 동선 및 거리, 사용자가 주로 하는 운동이나 활동, 사용자의 관심 분야 등에 관한 사항을 입력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1입력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사용자 제2단말(500)로부터 통신 연결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것 및 정보 수집에 동의된 사용자의 과거 병원 진료 이력, 주의 약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가 사용자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입력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사용자 제2단말(500)로부터 통신 연결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제2단말(500)은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사용자 제2단말(500) 및 보호자 단말(501)의 예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통신 장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제2단말(500) 및 보호자 단말(501)은 네트워크(300)을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정보 수집에 동의된 사용자의 과거 병원 진료 이력, 주의 약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과거의 진료 이력, 주의 약물에 관한 정보 수집에 동의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개의 병원 서버(400)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의 진료 이력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정보 수집 동의를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개의 병원 서버(4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서버(400)는 과거 진료 이력, 과거 진료 결과, 주의 약물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병원에 방문한 복수의 환자의 인적 사항 정보, 진료 정보 등을 보유하여 통합 관리하고, 소정의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접수 및 진료 예약 절차 등을 처리하기 위해 병원 측이 보유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추천 정보에 기초한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같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추천 정보에는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추천 정보에 포함된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였는지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받아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받기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 등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에 의하여 수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 제2단말(5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제2단말(500)인 스마트 밴드에 의하여 측정된 심박수, 체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신하여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제 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겪는 증상, 예를 들면 두통, 복통과 같은 통증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고, 통증의 정도에 대해서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겪는 증상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증상을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b를 참조하면, 아픔을 겪고 있는 신체 부위를 입력 받고, 이후 해당 신체 부위의 통증의 종류를 입력 받는 방식으로 사용자 제2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증상을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입력을 수신 받는 것 외에도 직접 자신의 증상을 문자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여, 입력한 증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2b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제2입력을 위한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의 인터페이스 표시의 예이나, 이는 도6b에서 사용자의 제3입력을 수신하여 진료 요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에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임의의 사용자(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회원)에게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대응하는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하는 질병에 관한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 또는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단말 전송부(203)에서 네트워크(300)을 통해 전송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병원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운동 시간, 수면 시간, 걸은 거리 등과 같은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태 정보는 날씨, 유의 사항 등의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후에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경우, 날씨 정보와 함께 체온 유지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고 표시하거나, 미세먼지가 심할 경우에는 외부 활동을 삼가고 호흡기 건강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정보를 사용자 상태 정보와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진단 정보는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질병 증상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겪는 증상에 대응하는 질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정보에는 대응되는 질병의 명칭, 질병에 따른 대표적인 증상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추천 병원 정보는 대응되는 질병 및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병원 정보에 기초하며, 병원의 이름, 병원의 위치, 병원의 종류, 병원 운영 시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병원 정보에는 해당 병원을 이용한 환자의 리뷰, 별점 등과 같은 다른 이용자의 진료 후기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숫자, 전문의의 경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정보는 사용자 증상 정보 및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질병 완화 정보에 기초하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겪는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이 감기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겪고 있는 감기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으로 따뜻한 차나 음료와 같은 음식에 관한 정보 및 목을 따뜻하게 하는 활동에 관한 정보가 추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의 재료 및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예를 들면 달리기의 경우 사용자 위치 근처의 운동장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각 사용자에게 현재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평균적인 운동량, 사용자 외의 해당 나이대의 평균적인 운동량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운동량과 비교하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상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정상 체중보다 높은 경우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도록, 사용자의 활동 성향을 파악하고 해당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하는 운동 및 운동에 따른 예상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활동 성향은 사용자의 일정, 근무 시간, 운동 시간, 이동 거리 등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지도 학습 기반 알고리즘을 통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의 나이, 키, 몸무게, 성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의 생활패턴이나 음식 섭취량 등의 고려하여 현재의 건강 상태를 영양, 체력, 생활 습관 등의 측면에서 평가하고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추가로 섭취가 필요한 영양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지도 학습 기반의 패턴 판별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이란, 미리 구축된 학습용 데이터(training data)를 활용하여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 성향 패턴을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알고리즘은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의사 결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Decision Tree알고리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지도 학습 기반의 데이터 자체를 분석하거나 군집하면서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를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비지도 학습을 위한 군집 알고리즘에는 로지스틱 회귀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알고리즘, 의사결정 알고리즘 및 군집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신규 패턴 분류부(130)는 상술한 알고리즘 외에도 Extra Tree알고리즘, XG Boost알고리즘 및 Deep Learning 알고리즘,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SOM(Self-Organizing-Maps) 알고리즘 EM & Canopy 알고리즘과 같은 군집 알고리즘을 통해 비지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종류, 운동 시간, 비용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나이, 체중, 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종류나 운동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데이터베이스(102)에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적합한 운동 종류 및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각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이에 따라 주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가 주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나이대 및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음식에 관한 정보를 추천할 수 있고, 제철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음식 등을 추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나이대의 사람들이 주로 수행하는 활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활동을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0대 청소년의 경우에 수면시간이 부족하여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질병에 걸리거나,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권장되는 수면시간, 평균 청소년 수면시간, 사용자의 수면시간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권장되는 수면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장년층 혹은 노인의 경우 활동량이 적어서 겪게 되는 골절 등의 위험이 있어,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해당 나이대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 및 근육량,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인바디 검사를 통한 검사 결과 등을 통하여 필요한 운동의 종류 및 운동량, 해당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공지능에 기반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및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추천 정보와 다른 제2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 섭취한 음식이나 수행한 활동과 다른 제2추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근접한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위치와 근접한 병원의 이름, 위치, 근무하는 전문의 등에 관한 병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천 병원 정보는 현재 위치와 근접한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 생활 패턴, 나이, 질병 종류 등의 사항을 고려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장인인 경우 직장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므로 현재 위치와 직장의 위치를 고려하여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일 일정한 루트로 이동하는 경우, 일정한 루트에 따라 이동할 때 접근하기 쉬운 위치 및 병원의 운영시간을 고려하여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나이대에 따라 동일한 나이대의 사용자가 주로 찾는 병원에 관한 정보를 추천 병원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 기반한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및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심박수 및 기준 체온 초과시 알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는 전송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알람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진동 및 음향 알림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임의의 사용자(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회원)에게 병원 또는 약국에서의 대기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 처방 등의 접수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의료 관련 제반 사항 등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전송한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건강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건강 관리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상태 정보, 진단 정보, 추천 병원 정보 추천 정보, 제2추천 정보 및 알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복수개의 병원 서버(400), 약국 서버(401), 사용자 제2단말(500) 및 보호자 단말(501)은 네트워크(300)을 통해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수면시간이나 걸은 거리 및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하단에는 생활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건강 관리를 위하여 주의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 분야, 섭취 음식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이 있고 자주 접하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날씨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필요한 운동, 예를 들면 활동량이 적은 직장인에게는 유산소 운동을 추천하고, 노인에게는 가벼운 근력 운동이나 걷기와 같은 운동을 추천할 수 있다.
도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2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질병의 증상을 분류하여 입력을 수신 받는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2b를 참조하면,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고통을 겪고 있는 부위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목, 눈, 배 등의 신체 부위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도형이나 그림과 함께 선택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통을 겪고 있는 부위를 선택하면 해당 부위에 구체적으로 어떤 증상을 겪고 있는지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간단한 도형을 선택하는 입력을 입력 받고, 해당 신체부위에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겪는 증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도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신체 부위와 증상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증상에 대한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은 문장의 분석을 위한 기공지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2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2c를 참조하면,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대응하는 질병에 맞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사용자가 겪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에서 묽은 콧물이 계속 나오는 증상을 겪고 있는 경우 해당할 수 있는 질병으로 코감기, 만성비염 등의 질병 명칭을 표시하고, 이를 치료 또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수분을 보충하고 건조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추천 레시피로 유자차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겪는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의 위치, 종류, 명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은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 기초하여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 및 촬영한 CCTV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접수 요청에 기초하여 병원 서버(400)으로 진료 접수를 요청하고,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접수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처방전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501) 또는 약국 서버(4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고, 복약 알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및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병원 진료 대기 시간 확인, 병원 진료 예약, 진료 확인 알람, 복약 확인 알람, 전자 처방전 획득 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3은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경우 표시되는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는 진료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A), 병원 방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B),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병원 등을 등록한 즐겨찾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C), 전자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D) 및 병원 검색을 위한 검색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섹션(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에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복수의 섹션 중 일부만 표시되거나 다른 유형의 추가적인 섹션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검색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병원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검색 입력은 병원 검색 인터페이스 상에 구비되는 병원 검색창(E1)인가되는 텍스트 입력, 병원 검색 인터페이스 상에 구비되는 지도 표시(E2) 내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는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가된 병원 선택 입력에 부합하는 병원의 정보(병원명, 위치, 영업 여부, 의사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가된 병원 선택 입력에 부합하는 복수의 병원을 포함하는 병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병원 검색 인터페이스에는 병원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소정의 병원에 대한 접수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3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F)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방문 이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진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기 방문한 병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방문 이력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방문 이력(B1)은, 사용자가 방문한 방문 일시 별로 분류(구획)되며, 각각의 병원 방문 이력(B1)에는 해당 병원명, 병원 위치(주소), 영업 여부 정보, 의사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병원 방문 이력이 존재하는 병원 중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병원을 등록하기 위한 즐겨찾기 등록 입력(B2)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즐겨찾기 등록 입력(B2)이 수신되면 해당 병원이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되어 해당 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술한 즐겨찾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C)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병원 서버(400)와 연계된 병원에 기 접수된 대기자의 수 정보 및 병원 서버(400)와 연계된 병원의 대기자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자의 진료 유형 정보는 해당 대기자의 인적 사항 정보, 질병 이력 정보, 기 방문 이력 정보, 해당 대기자에 대한 진료 접수시 제공된 상세 증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자의 진료 유형 정보는 후술하는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생성시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거나 생성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에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기자들의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대기자(환자)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고, 나아가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딥 러닝(Deep Learning) 등의 인공 지능 기반의 학습을 통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복수의 대기자(환자)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를 학습 데이터(학습 파라미터)로 하고, 해당 복수의 대기자(환자) 각각에 대하여 수집된 실제 진료 소요 시간 정보를 라벨(Label) 데이터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학습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은 데이터에 대한 명시적인 정답 정보인 라벨(Label)이 주어진 상태에서 학습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지도 학습 알고리즘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생성하고, 진료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병원 대기 공간에 대한 CCTV 영상 표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 서버(400)와 연계된 병원에 마련된 대기 공간을 촬영한 CCTV 영상(A1)을 획득하여, 획득한 CCTV 영상을 포함하는 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CCTV 영상 표시 인터페이스에는 해당 병원에 대한 접수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제3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F)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진료 접수 요청에 대응하여 병원 서버(400)로 진료 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접수 요청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및 상세 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접수 요청을 병원 서버(400)로 전송할 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기 확보된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확보된 인적 사항 정보를 병원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진료 접수 요청시 기 확보된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의 병원 서버(400)에 대한 전송 여부는 사용자 단말(200)에 인가되는 기존 인적 사항 정보 활용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병원 서버(400)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진료 접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접수를 처리하고,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5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진료 접수 요청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진료 접수 요청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진료를 접수하려는 진료 대상자를 선택하고, 진료 대상자의 인적 사항을 기입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도 6b는 상세 증상 정보를 기입하기 위하여 복수의 증상 목록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도 6c는 진료 항목 및 진료받고자 하는 의사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진료 대상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F1)에 기초하여 선택된 진료 대상자에 대하여 기 등록된 인적 사항 정보(F2)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 대상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본인이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정보가 기입된 사용자의 가족, 친지 등의 타인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진료 대상자 각각의 인적 사항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추후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에 해당하는 진료 대상자에 대한 진료 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예시적으로 가려움증, 가슴답답함, 구토, 기침 등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상세 증상 선택 목록(F3)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상세 증상 선택 목록(F3)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요청된바 있는 이전 진료 접수 요청과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항목의 내용 및 각 항목 간의 표시 순서가 결정되거나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커스터마이징 되는 등 다양한 증상, 질병 등을 반영하도록 변동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항목 선택 입력(F4) 및 진료받고자 하는 의사를 선택하는 입력(F5)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접수되는 진료에 대한 각종 서류(예를 들면, 진료 확인서, 진단서, 치료 확인서, 소견서 등)에 대한 발급을 미리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F6)을 수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접수되는 진료에 대한 증명 서류의 발급을 진료 접수 단계에서 병원 서버(400)에 미리 요청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료 후 증명 서류 등의 발급을 위하여 별도로 서류를 요청하거나 서류를 제공받기 위하여 대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행중인 진료 접수 절차에서 활용된 인적 사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F7)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F7)에 기초하여 진행중인 진료 접수 절차에서 활용된 인적 사항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이후의 진료 접수 절차에서 기 확보된 인적 사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확보된 인적 사항 정보를 병원 서버(400)로 전송하여 신속하게 진료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진료 접수 처리 정보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를 위하여 병원을 방문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추천 교통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추천 교통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501)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된 추천 교통편 정보 및 예상 출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시 교통 정보 시스템(미도시)과 연계하여 획득된 교통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접수된 병원까지 이동 소요 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대중 교통 유형, 환승 정보, 경로 정보, 예상 소요 시간 정보, 교통 요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추천 교통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GPS 센서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로부터의 추천 교통편 정보 및 예상 출발 시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인가되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로부터의 추천 교통편 정보 및 예상 출발 시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접수가 완료되고 난 후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3을 통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경우 표시되는 병원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의 진료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A)에 사용자의 진료 순서가 도래할 때까지 남은 대기자의 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대기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려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초기 인터페이스에서 섹션(A)를 터치하는 입력 등)이 인가되면, 상술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접수 순서에 선행하는 현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 및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예상 대기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특정 대기자의 실제 진료가 종료되면,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예상 대기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해당 대기자에 대한 실제 진료 소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전술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생성시 요구되는 라벨(Label) 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접수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대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사용자의 진료 순서가 임박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순서가 임박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진료 확인 알람 정보에 대한 진료 알람 인터페이스를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진료 순서가 임박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진료 확인 알람 정보과 연계된 음향, 진동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뿐만 아니라 보호자 단말(501)로 사용자의 진료 순서가 임박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로 진료 확인 알람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임계값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동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GPS 센서 등을 통해 파악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진료실과 소정 수준 이상 근접한 장소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임계값이 작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병원 외부로 이탈하거나, 병원 내에서도 진료실과 소정 수준 이상 떨어진 장소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기 설정된 임계값이 커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료 순서가 도래하기 전에 미리 진료실 근처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진료 알람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진료 알람 인터페이스(A2)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현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일부 중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푸시(Push) 알람 형태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진료 순서가 임박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사용자가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하여 알람을 푸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진료 알람 인터페이스(A2)에 표시된 푸시(Push) 알람 자체를 터치하거나 별도의 확인 표시(체크 표시)를 터치하는 입력을 인가하면 사용자가 해당 진료 알람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 진료 알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된 후 병원 서버(400)로부터 전자 처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처방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처방전과 연계된 QR 코드가 인식되면,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처방전 정보가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과 연계된 QR 코드는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종이 형태의 일반적인 처방전의 지면의 일 영역에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이 인쇄된 QR 코드를 향하도록 하여 해당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전자 처방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501) 및 약국 서버(4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인접한 약국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약국 목록 중 소정의 약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면, 선택된 소정의 약국에 배치된 약국 서버(401)로 해당 전자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약국 목록을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약국 서버(401)로부터 획득된 접수 현황 정보(예를 들면, 약국의 대기자수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약국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약국 목록과 함께 각 약국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처방전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전자 처방전 인터페이스는 기존에 발급된 전자 처방전의 발급 정보(D2), 발급된 전자 처방전에 포함된 각각의 약에 대한 복약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버튼(D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처방전 인터페이스에는 처방전과 연계된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버튼(D4)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전자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복약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501) 중 적어도 하나로 복약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복약 알람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복약 알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 발급된 전자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약 스케쥴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 알람 시간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각각의 복약 알람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및 병원 서버(400)로부터 획득된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향후 일정 및 해당 병원의 진료 접수 내지 예약 현황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이후 추가적인 진료 예약이 필요한 경우, 최적화된 일정으로 예약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501) 및 병원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된 예약 추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추천 정보 생성을 위해 활용되는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스케쥴링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도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101), 데이터베이스(102), 처리부(103), 전송부(104), 대기 정보 제공부(105), 연산부(106), 접수 처리부(107), 진료 확인 알람 생성부(108), 복약 관리부(109) 및 예약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 진료 희망 시간, 진료 접수 요청 및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2)는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2)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고, 이러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2)가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을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로 마련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처리부(103)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병원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104)는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 및 생성된 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정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진단 정보, 추천 병원 정보 및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진료 정보는 진료 대기 정보, 획득한 CCTV 영상, 진료 접수 처리 정보, 진료 확인 알람 정보, 전자 처방전 정보, 복약 알람 정보 및 예약 추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부(104)는 진료 접수 처리 정보, 진료 확인 알람 정보, 전자 처방전 정보, 복약 알람 정보 및 예약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뿐만 아니라 보호자 단말(501)로도 전송할 수 있다.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병원 서버(400)과 연계된 병원에 마련된 대기 공간을 촬영한 CCTV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진료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연산부(106)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진료 접수 현황 정보는 병원 서버(400)과 연계된 병원에 기 접수된 대기자의 수 정보 및 대기자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를 포함하고, 연산부(106)는 대기자들의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106)는 복수의 대기자(환자)로부터 수집된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된 상술한 진료 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고, 나아가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접수 처리부(107)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병원 서버(400)로 진료 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접수 처리부(107)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진료 확인 알람 생성부(108)는, 진료 접수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대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복약 관리부(109)는,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된 후 병원 서버(400)로부터 전자 처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처방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처방전과 연계된 QR 코드가 인식되면,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처방전 정보가 병원 서버(400)로부터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복약 관리부(109)는 전자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약 관리부(109)는 생성된 복약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알람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복약 알람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약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 및 병원 서버(400)로부터 획득된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예약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 생성부(201), 사용자 증상 정보 생성부(202), 사용자 단말 전송부(203), 사용자 단말 수신부(204), 표시부(205), 진료 정보 생성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부(201)는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증상 정보 생성부(202)는 사용자의 제 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전송부(203)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증상 정보 및 진료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요청 정보는 진료 희망 시간, 진료 접수 요청 및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수신부(204)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건강 관리 정보 및 진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정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진단 정보, 추천 병원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진료 정보는 진료 대기 정보, 획득한 CCTV 영상, 진료 접수 처리 정보, 진료 확인 알람 정보, 전자 처방전 정보, 복약 알람 정보 및 예약 추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5)는 건강 관리 정보 및 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1입력, 사용자의 제2입력 및 사용자의 제3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진료 요청 생성부(206)은 사용자의 제3입력을 수신하여 진료 희망 시간, 진료 접수 요청 및 스케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스케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록된 사용자의 스케쥴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도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 도시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선 도1 내지 도10를 통해 설명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1 내지 도10를 통해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설명된 내용은 도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S1110단계에서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수신부(101)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S1120단계에서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처리부(103)에서 전송 받은 사용자 정보, 사용자 증상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병원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증상 완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102)는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상 완화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S1130단계에서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처리부(103)에서 생성된 건강 관리 정보를 전송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으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진료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진료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01에서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100)의 수신부(1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희망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2에서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료 접수 현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3에서 연산부(106)는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희망 시간에서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203에서 연산부(106)는 병원 서버(400)과 연계된 병원에 기 접수된 대기자의 각각의 진료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자 각각의 예상 진료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진료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4에서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대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04에서 대기 정보 제공부(105)는 병원 서버(400)과 연계된 병원에 마련된 대기 공간을 촬영한 CCTV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5에서 수신부(1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을 포함하는 진료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접수 요청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및 상세 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6에서 접수 처리부(107)는 진료 접수 요청에 따라 병원 서버(400)로 진료 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906에서 접수 처리부(107)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기 확보된 인적 사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확보된 인적 사항 정보를 병원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7에서 접수 처리부(107)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진료 접수 요청에 따른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8에서 전송부(104)는 수신한 진료 접수 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50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9에서 진료 확인 알람 생성부(108)는 진료 접수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대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및 보호자 단말(501) 중 적어도 하나로 진료 확인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10에서 복약 관리부(109)는 병원 서버(400)로부터 전자 처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10에서 복약 관리부(109)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처방전과 연계된 QR 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처방전 정보를 병원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11에서 전자 처방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501) 및 약국 서버(401)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12에서 예약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및 병원 서버(400)로부터 획득된 진료 접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13에서 전송부(104)는 사용자 단말(200), 보호자 단말(501) 및 병원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된 예약 추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201 내지 S12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진료 정보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100: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01: 수신부
102: 데이터베이스
103: 처리부
104: 전송부
105: 대기 정보 제공부
106: 연산부
107: 접수 처리부
108: 진료 확인 알람 생성부
109: 복약 관리부
110: 예약부
200: 사용자 단말
201: 사용자 정보 생성부
202: 사용자 증상 정보 생성부
203: 사용자 단말 전송부
204: 사용자 단말 수신부
205: 표시부
206: 진료 요청 생성부
300: 네트워크
400: 병원 서버
401: 약국 서버
500: 사용자 제2단말
501: 보호자 단말

Claims (11)

  1.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상기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상기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추천 정보에 기초한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와 다른 제2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근접한 추천 병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심박수 및 기준 체온 초과시 알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5.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고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 및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제 2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증상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전송부;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수신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질병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상기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상기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상기 질병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사용자 제2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 수행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것 및 정보 수집에 동의된 사용자의 과거 병원 진료 이력, 주의 약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추천 정보에 기초한 음식 섭취 여부 및 활동 수행 여부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와 다른 제2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체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심박수 및 체온 초과시 알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11.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에 관한 사용자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질병 증상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되는 질병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 병원 정보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질병에 대응하는 추천 병원 정보 및 증상 완화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증상 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는 상기 질병 증상 정보,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병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활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증상 완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001207A 2020-01-06 2020-01-06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07A KR102345215B1 (ko) 2020-01-06 2020-01-06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07A KR102345215B1 (ko) 2020-01-06 2020-01-06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03A true KR20210088103A (ko) 2021-07-14
KR102345215B1 KR102345215B1 (ko) 2021-12-29

Family

ID=7686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07A KR102345215B1 (ko) 2020-01-06 2020-01-06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599B1 (ko) * 2022-01-11 2022-06-07 주식회사 비스타민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
KR20230026065A (ko) * 2021-08-17 2023-02-24 박영철 유저의 의료 관련 질문에 기반한 맞춤형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34A (ko) * 2002-02-07 2003-08-14 강석헌 지능형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지식 기반 운동 처방 방법및 장치
KR20160110847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소소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건강 이상 징후 알람 시스템
KR20180012518A (ko) * 2016-07-27 2018-02-06 이정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KR102052558B1 (ko) * 2019-04-30 2019-12-06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질환 예측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34A (ko) * 2002-02-07 2003-08-14 강석헌 지능형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지식 기반 운동 처방 방법및 장치
KR20160110847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소소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건강 이상 징후 알람 시스템
KR20180012518A (ko) * 2016-07-27 2018-02-06 이정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KR102052558B1 (ko) * 2019-04-30 2019-12-06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질환 예측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65A (ko) * 2021-08-17 2023-02-24 박영철 유저의 의료 관련 질문에 기반한 맞춤형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04599B1 (ko) * 2022-01-11 2022-06-07 주식회사 비스타민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215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522B1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ubramaniyaswamy et al. An ontology-driven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in IoT-based healthcare system
US11842652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US11322260B1 (en) Using predictive models to predict disease onset and select pharmaceuticals
US11302448B1 (en) Machine learning to select digital therapeutics
US1172273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EP3332342B1 (en) Computing system for identifying health risk regions
US9955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ealth management services
Varshney Pervasive healthcare computing: EMR/EHR, wireless and health monitoring
Angus et al. Current and projected workforce requirements for care of the critically ill and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can we meet the requirements of an aging population?
US20170124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atient appointments
US20180286509A1 (en) Computer-Implemented Multi-Factor Patient Education Method
US20170300662A1 (en) Personalized Health Care Plan Creation Based on Historical Analysis of Health Care Plan Performance
US20180268735A1 (en) Mobile terminal-based life coa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to which method is recorded
US20170300637A1 (en) Modification of Personalized Health Care Plans Based on Patient Adherence to Patient Actions
KR102321577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91422A1 (en) Personalized Health Care Plan Creation and Monitoring Based on Medical and Lifestyle Conditions
KR102345215B1 (ko)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791033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imulated user absorption information
US11354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data to facility computing entities
US20200082932A1 (en) Patient Engagement Plan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Program Specific Factors
CN112749321A (zh) 数据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Wang et al. Big data for urban health and well-being
KR20220086186A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604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