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518A -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518A
KR20180012518A KR1020160095467A KR20160095467A KR20180012518A KR 20180012518 A KR20180012518 A KR 20180012518A KR 1020160095467 A KR1020160095467 A KR 1020160095467A KR 20160095467 A KR20160095467 A KR 20160095467A KR 20180012518 A KR20180012518 A KR 2018001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information
symptom
reservation
menu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문
Original Assignee
이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문 filed Critical 이정문
Priority to KR102016009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518A/ko
Publication of KR2018001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가 개시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하고 도출된 병명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Method, terminal,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hospital reservation service based on self-diagnosis}
본 발명은 자가진단을 기반으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가진단한 결과를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의 보급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지역 검색 서비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검색 서비스는 맛집 검색을 비롯하여 병원 검색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공개 번호: 10-2011-0128489)에서는 병원 예약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장치로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병원을 검색한 검색 결과 및 검색된 병원에서의 진료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근처 병원과 병원의 진료 관련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적합한 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해당 병원으로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은 단순히 인근 병원 정보만을 제공할 뿐이므로, 해당 병원이 사용자 증상에 대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결정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등록번호 10-1177712)에서는 환자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고, 입력된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고,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며, 의료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를 결정하고, 결정한 의료서비스제공자에게 환자 정보가 전송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하는 것으로, 환자가 의료서비스제공자를 선택하여 예약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스스로 병명을 확인하고 확인된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할 수 있는 자가진단을 기반으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자가진단을 기반으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증상을 맞춤형으로 병원에 제공할 수 있는 자가진단을 기반으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신체 이미지를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병명을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자가진단과 연관된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성별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성별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연령층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성별 메뉴항목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주증상 메뉴항목은 상기 선택된 연령층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성별 메뉴항목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신체 영역 이미지를 세부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영역 이미지의 세부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은 상기 선택된 세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도출된 병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병원 예약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증상을 삭제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주증상 정보, 상기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연관증상 중 삭제되지 않은 연관증상 정보, 상기 입력된 추가 연관증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근처병원 예약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상기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통해 입력된 증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는, 신체 이미지를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을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증상 정보가 포함된 병원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병원 예약 정보를 상기 병원 예약 정보가 지시하는 병원의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병원 예약 정보와 연관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반으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서버에 의하면, 자가진단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 병명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병명과 연관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확인된 병명을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을 용이하게 예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증상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제공된 증상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추가 증상을 입력할 수 있고, 선택한 증상 중 자신에게 나타나지 않는 증상을 삭제할 수 있어 환자의 증상을 맞춤형으로 병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메인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연령층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신체 영역 이미지의 세부 영역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병명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병원 예약을 위한 GUI의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알람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의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병명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병원 예약 정보 입력을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증상을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서버(200) 및 병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미니 컴퓨터, 노트북,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고, 내비게이터 또는 IPTV 및 Smart TV 등의 디지털 TV일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빔프로젝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 또는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병원 예약 정보 및 증상 회복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예약 정보는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가진단된 병명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병원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병원 예약 정보를 병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병원 단말기(30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미니 컴퓨터, 노트북,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고, 내비게이터 또는 IPTV 및 Smart TV 등의 디지털 TV일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빔프로젝터일 수 있다.
병원 단말기(300)는 수신한 병원 예약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의사로부터 입력된 진단서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병원 단말기(300)가 전송한 진단서 정보, 처방전 정보 및 병원 단말기(300)에 전송한 병원 예약 정보를 기초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5)는 백본망과 가입자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본망은 X.25 망, Frame Relay 망, ATM망,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및 GMPLS(Generalized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합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망은 FTTH(Fiber To The Hom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망,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802.11g, IEEE802.11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 및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G, 4G, 5G 이동통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네트워크(5)는 인테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5)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 서버(200) 및 병원 단말기(300)와 신호, 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단말기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면 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감지부가 수신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통신부(110)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명령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5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가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Android), iOS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고, 라우터용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15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생성 모듈 및 실행 코드 생성 모듈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사용자 단말기(1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S100). 여기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은 GUI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메인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GUI(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400)는 메인메뉴항목으로 자가진단(410), 아이가아파요(420), 근처병원 예약(430), 근처병원(440), 근처약국(450) 및 의학백과(460)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자가진단(410)은 성인 질병 자가진단 및 병원예약을 위한 메인메뉴항목이고, 아이가아파요(420)는 영유아 질병 자가진단 및 병원예약을 위한 메인메뉴항목이며, 근처병원 예약(430)은 근처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이고, 근처병원(440)은 현재위치 기반 주변 병원을 검색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이며, 근처약국(450)은 현재위치 기반 주변 약국을 검색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이고, 의학백과(460)는 질병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00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자가진단과 연관된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02). 자가진단과 연관된 메인메뉴항목은 자가진단(410)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04).
도 5는 연령층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04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5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500)는 연령층 메뉴항목으로 "아빠,엄마(성인)"(510), "청소년"(520), "할아버지, 할머니"(530), "유아"(540) 및 "소아"(550)를 디스플레이한다.
"아빠,엄마"(성인)(510)는 만 20세에서 만 60세 미만의 성인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연령층 메뉴항목이고, "청소년"(520)은 만 13세에서 만 20세 미만의 청소년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연령층 메뉴항목이며, "할아버지, 할머니"(530)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연령층 메뉴항목이고, "유아"(540)는 0세에서 만 2세 미만의 유아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연령층 메뉴항목이며, 소아(550)는 만 2세에서 만 13세의 소아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연령층 메뉴항목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04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06).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성별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08).
도 6은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08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6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600)는 성별 메뉴항목으로 남자(610) 및 여자(620)를 디스플레이한다. 남자(610)는 남성을 선택하기 위한 성별 메뉴항목이고, 여자(620)는 여성을 선택하기 위한 성별 메뉴항목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08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10).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단계 S106에서 선택된 연령층 메뉴항목 및 단계 S110에서 선택된 성별 메뉴항목과 연관된 신체 이미지가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12). 예를 들어, 성인 남성이면 성인 남성의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노인 여성이면 노인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2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7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700)는 신체 이미지(701) 및 신체 이미지(701)의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한 제1 영역(710), 제2 영역(720), 제3 영역(730) 및 제4 영역(740)을 디스플레이한다. GUI(700)은 남자(610) 및 "아빠,엄마"(성인)(510)가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영역(710)은 머리, 눈, 코, 입, 치아 및 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고, 제2 영역(720)은 목, 가슴, 등, 복부 및 허리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며, 제3 영역(730)은 생식기, 남녀특수질환, 팔 및 다리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고, 제4 영역(740)은 정신 및 전신을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12에서 디스플레이된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14).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단계 S114에서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신체 영역 이미지가 세부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16).
도 8은 신체 영역 이미지의 세부 영역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16에서 GUI(8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800)은 신체 이미지(701) 중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신체 영역 이미지(801) 및 신체 영역 이미지(801)의 세부 영역별로 선택 가능한 제1 세부 영역(810), 제2 세부 영역(820), 제3 세부 영역(830), 제4 세부 영역(840) 및 제5 세부 영역(850)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GUI(800)는 제1 영역(710)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세부 영역(810)은 머리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영역이고, 제2 세부 영역(820)은 눈을 선택하기 위한 세부 영역이며, 제3 세부 영역(830)은 귀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영역이고, 제4 세부 영역(840)은 코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영역이며, 제5 세부 영역(850)은 입 및 치아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영역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16에서 디스플레이된 신체 영역 이미지의 세부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18).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선택된 세부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20). 여기서 주증상은 병에 걸리면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인지와 관찰이 용이하고, 주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증상은 선택된 연령층별로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는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20에서 GUI(9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900)는 주증상 메뉴항목으로 눈통증(910), 눈피로(920), 시력감소(930), 눈가려움(940), 황달(950) 및 눈충혈(960)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GUI(900)는 눈 이미지(901) 및 눈 이미지(901)에 대한 설명을 더 디스플레이한다. GUI(900)는 제2 세부 영역(820)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20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22).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24). 여기서, 연관증상은 해당 병의 원인에 의해서 주증상에 부수적으로 같이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연관증상세트는 복수의 연관증상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24에서 GUI(10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000)는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으로 제1 세트 메뉴항목(1010), 제2 세트 메뉴항목(1020), 제3 세트 메뉴항목(1030), 제4 세트 메뉴항목(1040), 제5 세트 메뉴항목(1050) 및 제6 세트 메뉴항목(1060)을 포함할 수 있다. GUI(1000)는 눈가려움(940)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세트 메뉴항목(1010)은 연관증상으로 눈통증, 시력감소, 눈이물감, 눈물, 눈부심을 포함한다.
제2 세트 메뉴항목(1020)은 연관증상으로 잠복기 후 가려움, 눈물, 충혈, 눈통증, 눈곱 및 눈부심을 포함한다.
제3 세트 메뉴항목(1030)은 연관증상으로 눈 자극감, 타는 느낌(눈감으면 덜함), 눈 이물감, 가려움, 눈부심 및 눈물을 포함한다.
제4 세트 메뉴항목(1040)은 연관증상으로 눈부심, 눈통증, 눈앞에 무언가 떠다님, 시력감소 및 눈물을 포함한다.
제5 세트 메뉴항목(1050)은 연관증상으로 이른 아침 또는 밤늦게 눈통증, 두통, 주변, 시야저하 및 시력저하를 포함한다.
제6 세트 메뉴항목(1060)은 연관증상으로 흰자위 충혈(여성비율 높음), 눈통증, 눈부심 및 눈물을 포함한다.
GUI(1000)은 사용자가 제1 세트 메뉴항목(1010) 내지 제6 세트 메뉴항목(1060) 중 자신의 연관증상과 가장 매칭되는 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24에서 디스플레이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26).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단계 S126에서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단계 S122에서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한다(S128).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병명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주증상 메뉴항목,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병명을 서로 연관시키는 병명 연관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연관증상세트,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주증상 및 병명 연관 정보를 기초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병명을 액세스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계 S130에서 도출된 병명,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30).
도 11은 병명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30에서 GUI(1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100)는 단계 S130에서 도출된 병명(1101),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1110)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30에서 디스플레이된 상세 정보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32).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34).
도 12는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34에서 GUI(12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200)는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1201) 및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1220)을 포함한다.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1201)는 원인 정보, 증상 정보 및 진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36). 여기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은 단계 S130에서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고, 단계 S134에서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38). 상기 병원 예약을 위한 GUI는 특정 병원을 지시하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병원 예약을 위한 GUI의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로 GUI(1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300)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 각 병원 선택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병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이 지시하는 병원은 단계 S128에서 도출된 병명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선정될 수 있다. 즉 각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이 지시하는 병원은 단계 S128에서 도출된 병명을 진료할 수 있는 병원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38에서 디스플레이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0).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선택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42).
도 14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GUI(1300)에서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인식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GUI(14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GUI(1400)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GUI(1400)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1401) 및 해당 병원에 예약하기 위한 예약진행 메뉴항목(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400)의 모바일 예약(1410)을 선택하여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지시하는 "한국안과" 병원에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42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진행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4).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46). 병원 예약 정보는 사용자 정보, 병명 정보, 주증상 정보, 연관증상세트 정보 및 추가연관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로 GUI(15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500)는 사용자 정보 수정을 위한 사용자 정보 메뉴항목(1510), 연관증상 삭제를 위한 연관증상 수정영역(1520),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하기 위한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1530) 및 현재 병원 예약 정보로 예약을 진행하기 위한 예약 메뉴항목(15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메뉴항목(1510)이 선택되면, GUI(16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600)에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GUI(1600)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가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연관증상 수정영역(1520)에는 단계 S126에서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증상이 삭제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수정된 연관증상세트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1530)이 선택되면, GUI(17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700)에서 추가 연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추가 연관정보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46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8).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병명 정보, 상기 주증상 정보, 상기 연관증상세트 정보 및 상기 추가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48). 여기서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예약 일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148은 상기 예약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병원 단말기(200)와 신호, 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병원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병원 예약 정보를 병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 및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를 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병원 단말기(300)로부터 진단서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명령을 실행하고 서버(2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3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진단서 정보 및 처방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람 메시지는 약을 복용할 시간을 알리는 것일 수 있고, 의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알람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의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10)는 알람 메시지(1900)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알람 메시지(1900)를 디스플레이한다. 알람 메시지(190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GUI(20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000)는 의약품에 대한 상세정보(2010) 및 증상 회복 정도를 입력 받기 위한 증상 회복 정보 수신 영역(20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증상 회복 정보 수신 영역(2020)을 통해 입력된 증상 회복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증상 회복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20)는 수신한 증상 회복 정보를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제어부(22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Android), iOS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고, 라우터용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23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생성 모듈 및 실행 코드 생성 모듈일 수 있다.
저장부(23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서버(2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 병원 예약 정보, 진단서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및 2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S200). 여기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은 GUI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GUI(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02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영유아 질병 자가진단 및 병원예약을 위한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02). 여기서, 영유아 질병 자가진단 및 병원예약을 위한 메인메뉴항목은 아이가아파요 메인메뉴항목(420)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아이와 연관된 신체 이미지가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04).
도 22는 신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 S204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22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200)는 신체 이미지(2201) 및 신체 이미지(2201)의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한 제1 영역(2210), 제2 영역(2220), 제3 영역(2230) 및 제4 영역(2240)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영역(2210)은 머리, 눈, 코, 입, 치아 및 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고, 제2 영역(2220)은 목, 가슴 및 복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며, 제3 영역(2230)은 대소변 이상, 남녀특수질환, 팔 및 다리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고, 제4 영역(2240)은 행동이상, 전신 및 피부를 선택하기 위한 신체 영역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04에서 디스플레이된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06).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08). 여기서 주증상은 병에 걸리면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인지와 관찰이 용이하고, 주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3은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208에서 GUI(2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300)는 주증상 메뉴항목으로 제1 내지 제8 주증상 메뉴항목(2310 내지 2380)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주증상 메뉴항목(2310)은 두통 증상과 연관되고, 제2 주증상 메뉴항목(2320)은 머리모양 이상 증상과 연관되며, 제3 주증상 메뉴항목(2330)은 얼굴색 이상 증상과 연관된다. 제4 주증상 메뉴항목(2340)은 눈 이상 증상과 연관되고, 제5 주증상 메뉴항목(2350)은 코 이상 증상과 연관되며, 제6 주증상 메뉴항목(2360)은 입 이상 증상과 연관된다. 제7 주증상 메뉴항목(2370)은 치아 이상 증상과 연관되고, 제8 주증상 메뉴항목(2380)은 귀 이상 증상과 연관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08에서 디스플레이된 하나 또는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10).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의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12). 여기서, 연관증상은 해당 병의 원인에 의해서 주증상에 부수적으로 같이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연관증상세트는 복수의 연관증상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4는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212에서 GUI(2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400)는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으로 제1 세트 메뉴항목(2410), 제2 세트 메뉴항목(2420), 제3 세트 메뉴항목(2430), 제4 세트 메뉴항목(2440), 제5 세트 메뉴항목(2450) 및 제6 세트 메뉴항목(2460)을 포함할 수 있다. GUI(2400)는 제4 주증상 메뉴항목(2340)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세트 메뉴항목(2410)은 연관증상으로 "눈꺼풀 가장자리에 만져지는 덩어리", "누르면 아파해요"를 포함한다.
제2 세트 메뉴항목(2420)은 연관증상으로 "언제나 눈물이 글썽이고", "눈곱이 많아요"를 포함한다.
제3 세트 메뉴항목(2430)은 연관증상으로 "TV, 책을 가까이서 봐요", "미간을 찡그려 눈을 가늘게 뜨고 봐요"를 포함한다.
제4 세트 메뉴항목(2440)은 연관증상으로 "속눈썹이 눈을 자꾸 찔러요", "눈물", "눈곱", "충혈", "눈을 자주 깜빡거림"을 포함한다.
제5 세트 메뉴항목(2450)은 연관증상으로 "발열(38-40도)", "콧물", "인후통", "마른기침", "충혈", "두통", "근육통 등 전신증세"를 포함한다.
제6 세트 메뉴항목(2460)은 연관증상으로 "발열", "결막출혈", 흰자위 출혈", "가려움증", "노란눈곱과 분비물"를 포함한다.
GUI(2400)은 사용자가 제1 세트 메뉴항목(1010) 내지 제6 세트 메뉴항목(2460) 중 자신의 연관증상과 가장 매칭되는 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12에서 디스플레이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14).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단계 S214에서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단계 S210에서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한다(S126).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병명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주증상 메뉴항목,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병명을 서로 연관시키는 병명 연관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주증상 메뉴항목 및 병명 연관 정보를 기초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병명을 액세스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계 S216에서 도출된 병명,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18).
도 25는 병명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218에서 GUI(25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500)는 단계 S216에서 도출된 병명(2501),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2510),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25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18에서 디스플레이된 상세 정보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20).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22).
도 26은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222에서 GUI(26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600)는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2601) 및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2620)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24). 여기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은 단계 S218에서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고, 단계 S222에서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26). 상기 병원 예약을 위한 GUI는 특정 병원을 지시하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6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로 도 13에 도시된 GUI(1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26에서 디스플레이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28).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선택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30).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14에 도시된 GUI(14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GUI(1300)에서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인식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GUI(14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GUI(1400)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400)의 모바일 예약(1410)을 선택하여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지시하는 "한국안과" 병원에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진행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32).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34). 병원 예약 정보는 사용자 정보, 병명 정보, 주증상 정보, 연관증상세트 정보 및 추가연관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4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 정보 수정을 위한 GUI로 도 15에 도시된 GUI(15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500)의 사용자 정보 메뉴항목(1510)이 선택되면, 도 16에 도시된 GUI(16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600)에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GUI(1600)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가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GUI(1500)의 연관증상 수정영역(1520)에는 단계 S212에서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증상이 삭제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수정된 연관증상세트 정보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GUI(1500)의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1530)이 선택되면, 도 17에 도시된 GUI(17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700)에서 추가 연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추가 연관정보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234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36).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병명 장보, 상기 주증상 정보, 상기 연관증상세트 정보 및 상기 추가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38). 여기서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예약 일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238은 상기 예약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예약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S300). 여기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은 GUI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GUI(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300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근처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02). 여기서 근처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메인메뉴항목은 근처병원예약 메인메뉴항목(430)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04). 상기 병원 예약을 위한 GUI는 특정 병원을 지시하는 병원 선택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을 위한 GUI로 도 13에 도시된 GUI(1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300)의 각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 내지 1330)이 지시하는 병원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선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306에서 디스플레이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06).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선택된 병원 선택 메뉴항목이 지시하는 병원에 대한 소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08). 단계 S308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14에 도시된 GUI(14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GUI(1400)는 GUI(1300)의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것이다. 사용자는 GUI(1400)의 모바일 예약(1410)을 선택하여 병원 선택 메뉴항목(1310)이 지시하는 "한국안과" 병원에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308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진행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10).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병원 예약 정보 입력을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12). 병원 예약 정보는 사용자 정보, 병명 정보, 주증상 정보, 연관증상세트 정보 및 추가연관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병원 예약 정보 입력을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는 증상을 입력하기 위한 GU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병원 예약 정보 입력을 위한 GUI로 GUI(28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2800)는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정보 메뉴항목(2810), 증상 입력을 위한 증상 입력 메뉴항목(2820) 및 현재 병원 예약 정보로 예약을 진행하기 위한 예약 메뉴항목(28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메뉴항목(2810)이 선택되면, 도 16에 도시된 GUI(16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600)에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GUI(1600)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가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증상 입력 메뉴항목(2820)이 선택되면, 도 29에 GUI(29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GUI(2900)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증상 정보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되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312에서 디스플레이된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14). 여기서 예약 메뉴항목은 예약 메뉴항목(2840)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병명 정보, 상기 증상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316). 여기서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예약 일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316은 상기 예약 일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 100
서버 200
병원 단말기 300

Claims (11)

  1. 신체 이미지를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병명을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자가진단과 연관된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연령층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연령층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성별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성별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성별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연령층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성별 메뉴항목과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증상 메뉴항목은 상기 선택된 연령층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성별 메뉴항목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신체 영역 이미지를 세부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영역 이미지의 세부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은 상기 선택된 세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된 병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세정보 메뉴항목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병명에 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병명과 연관된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병원 예약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병원 예약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증상을 삭제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추가 연관증상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연관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주증상 정보, 상기 연관증상세트에 포함된 연관증상 중 삭제되지 않은 연관증상 정보, 상기 입력된 추가 연관증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통한 병원 예약 방법.
  7. 복수의 메인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메뉴항목 중 근처병원 예약 메인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예약 정보는,
    상기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통해 입력된 증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9. 신체 이미지를 신체 영역별로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체 이미지의 신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신체 영역과 연관된 주증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주증상 메뉴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과 연관된 연관증상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연관증상세트 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주증상 메뉴항목을 기초로 병명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출된 병명을 기초로 예약 대상 병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예약 대상 병원에 대한 병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예약 대상 병원에서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예약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정보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1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증상 정보가 포함된 병원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병원 예약 정보를 상기 병원 예약 정보가 지시하는 병원의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병원 예약 정보와 연관된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기초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자가진단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1020160095467A 2016-07-27 2016-07-27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KR20180012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67A KR20180012518A (ko) 2016-07-27 2016-07-27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67A KR20180012518A (ko) 2016-07-27 2016-07-27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18A true KR20180012518A (ko) 2018-02-06

Family

ID=6122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467A KR20180012518A (ko) 2016-07-27 2016-07-27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5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103A (ko) * 2020-01-06 2021-07-1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9252A (ko) 2020-12-21 2022-06-28 김태윤 첨단 it 기술을 이용한 정확성 높은 진료과 안내 키오스크
KR20220133539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빅데이터 기반 의료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22250485A1 (ko) * 2021-05-28 2022-12-01 장태은 셀프 메디케이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103A (ko) * 2020-01-06 2021-07-1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9252A (ko) 2020-12-21 2022-06-28 김태윤 첨단 it 기술을 이용한 정확성 높은 진료과 안내 키오스크
KR20220133539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빅데이터 기반 의료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22250485A1 (ko) * 2021-05-28 2022-12-01 장태은 셀프 메디케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o et al. Exploiting IoT technologies for enhancing Health Smart Homes through patient identification and emotion recognition
KR20180012518A (ko) 자가진단을 기초로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서버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KR20190107905A (ko)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CN108139880B (zh) 用于语音生成设备的定向个人通信
JP6082832B1 (ja) メッセージ管理装置及びメッセージ管理方法
US20150310574A1 (en) Protocol builder for managing patient care
JP2017188075A (ja) メッセージ管理装置及びメッセージ管理方法
Kadarina et al. Preliminary design of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 for supporting mother and child health program in Indonesia
US11580113B2 (en) Generating proactive audiovisual queries using virtual assistant software applications
Nobles et al. Examining peer-to-peer and patient-provider interactions on a social media community facilitating ask the doctor services
US2018027725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274351A (zh) 自动调整用户优先级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rtham et al. Strategies to successfully implement an Eat, Sleep, Console protocol
JP6145230B1 (ja) 画面共有遠隔診察システム、画面共有遠隔診察方法、および画面共有遠隔診察プログラム
JP7138399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アラー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2916B2 (ja) 服薬支援システム
JPWO2019130495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薬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41890A1 (en) Optimized client-staff communic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digital health facility
Amu et al. Teenage pregnancy in the United Kingdom: are we doing enough?
Franck et al. Sharing the mass. Eye and Ear audiometer operating system
KR102527616B1 (ko) 항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maral A new sense for living: a comprehensive study about the adaptation process following spinal cord injuries
US2022036613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arsing and processing of text to facilitate user engagement
US20230419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people with service providers in real-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