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902B1 -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902B1
KR102036902B1 KR1020190022484A KR20190022484A KR102036902B1 KR 102036902 B1 KR102036902 B1 KR 102036902B1 KR 1020190022484 A KR1020190022484 A KR 1020190022484A KR 20190022484 A KR20190022484 A KR 20190022484A KR 102036902 B1 KR102036902 B1 KR 10203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time
date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주
Original Assignee
양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은주 filed Critical 양은주
Priority to KR102019002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인 국민의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예약 및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HEALTH SCREENING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인 국민의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예약 및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건강 의료 또는 복지 서비스 중의 하나가 건강검진 및 이에 기반한 의료 서비스이다. 사람들은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한 정도를 확인하고, 문제가 되는 증상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추후 병세 등이 악화되기 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건강검진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수가 매우 많고, 마찬가지로 건강검진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기관 역시 매우 많기 때문에 건강검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론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재로서는 건강검진 대상자인 사용자가 건강검진을 신청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검진 대상자의 수와 건강검진을 수행하는 의료기관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상호간 원활한 연결(예약 및 건강검진 진행)을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정보의 공유와 용이한 건강검진 신청을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특히 건강검진 대상자인 사용자가 특정 의료기관 또는 특정 날짜 또는 시간에 건강검진을 원하는 경우 그러한 사용자의 의도 및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의료기관의 선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에게 단순히 의료기관의 위치 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검진 수행 의료기관의 선정이 필요하나 아직까지는 이를 원활하게 지원하는 서비스가 없는 실정이다.
해마다 건강검진을 수행하지 못해 과태료를 납부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만큼, 국민들의 원활한 건강검진의 진행을 위한 간편하고 최적화된 건강검진 신청 및 제공 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용이한 건강검진 신청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검진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건강검진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예약을 수행하는 건강검진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인 예약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건강검진 날짜 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 또는 의료기관 명칭 정보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건강검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 및 시간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정보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따른 날짜 및 시간에 건강검진의 예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의 정보인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이 가능한 의료기관 중 선택된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인 예약 선택 기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 및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건강검진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에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을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와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소를 기준으로 상기 각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을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자연수 g1, g2, g3, g4에 대하여, 상기 직선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1을 산출하고, 상기 교통 시간에 기초하여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2를 산출하고, 상기 환승 회수에 기초하여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3을 산출하고,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4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의 조합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을 나타내고,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a1 + a2 + a3 + a4 = 1을 만족하는 0 이상 1 이하의 가중치 값 a1, a2, a3, a4에 대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 n을 n = a1 * g1 + a2 * g2 + a3 * g3 + a4 * g4을 통해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나이가 기 설정된 기준 나이 값 이상인 경우, a1 < a3 및 a2 < a3, a3 < a4가 되도록 가중치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직선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1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교통 시간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2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환승 회수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3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4 중요도를 각각 입력 받고, 상기 제 1 중요도, 상기 제 2 중요도, 상기 제 3 중요도, 상기 제 4 중요도를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제 1 중요도에 기초하여 a1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중요도에 기초하여 a2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3 중요도에 기초하여 a3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4 중요도에 기초하여 a4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a1, a2, a3, a4에 기초하여 상기 n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교통 편의성 등급인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상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 이상인 의료기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만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 및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사용자의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업무 및 장소에 관한 정보인 일정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일정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일과 시작 시간 내지 기 설정된 일과 종료 시간의 범위 내에서 일정이 없는 시간의 범위인 자유 시간이 기 설정된 건강검진에 필요한 시간인 검진 시간보다 큰 날짜인 후보 날짜를 검색하고, 상기 후보 날짜의 자유 시간 중 검진 시간보다 큰 자유 시간인 후보 시간과 상기 후보 날짜를 후보 일시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일시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고, 상기 후보 일시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날로부터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고, 상기 확정 일시에 따른 시간인 확정 시간의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확정 시간의 직전에 존재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위치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시간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주소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 중 상기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의료기관인 후보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확정 위치와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각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고, 가장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산출된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의료기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이 상기 확정 일시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강검진 서버가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인 예약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로써, 건강검진 날짜 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 또는 의료기관 명칭 정보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건강검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 및 시간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료기관의 명칭 또는 건강검진을 진행하길 원하는 일시만 결정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검진 일시 또는 의료기관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 편의성 등급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의 건강검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건강검진 신청이라는 단순한 의사결정만 있으면 사용자의 일정에 적합한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 일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건강검진의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인 전 국민의 원활한 건강검진을 가능하게 하여, 건강검진의 누락에 따른 과태료를 부담하는 사람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건강검진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라 건강검진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인 국민의 건강검진을 용이하게 예약 및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통틀어, '일시'는 날짜 및 시간을 함께 아우르는 단어일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은 '건강검진을 수행하거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등을 의미하는 단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 또는 단순하게 '시스템'으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서버'로, '사용자 단말'은 '단말'로 표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강검진 서버가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S110)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인 예약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S120)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로써, 건강검진 날짜 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 또는 의료기관 명칭 정보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건강검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S13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S14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S15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 및 시간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S160)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S17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S180)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S190)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건강검진의 예약 및 신청을 완료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을 진행할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건강검진 관리 시스템' 또는 단순하게 '시스템'으로 표기될 수도 있다. 또한,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서버'로, '사용자 단말'은 '단말'로 표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A 내지 200C) 및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단말(200A 내지 200C)이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200A 내지 200C)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정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200A 내지 200C)는 내장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수단을 통해 서버(100)와 데이터/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200A 내지 200C)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또는 PC(노트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100)는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작동을 관리 및 제어하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단말의 작동을 전부 또는 일부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정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버(100)는 내장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수단을 통해 단말(200A 내지 200C)와 데이터/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버(100)는 외부의 교통과 관련된 기관(도로 또는 대중교통을 관리 감독하는 기관), 외부의 GPS 관련 기관, 네비게이션 또는 지도를 관리 및 제작하는 기관과 데이터/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두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특정 위치의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통해 또 다른 특정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 소요되는 시간, 실제 주행 거리, 환승 회수, 대중교통의 지원이 없어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형 PC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100)는 외부의 의료기관과 데이터/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예약 및 신청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 또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예약 및 신청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내용에서, 단말(200A 내지 200C)은 실제 하드웨어인 모바일 장치 등에 설치되어 상기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하의 내용에서 서버(100)는 실제 하드웨어인 PC 등에 설치되어 상기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관리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서버(100)와 단말(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각각 생략되었다.
도 3에 따르면, 서버(100)와 단말(200)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상호 연결(점선 화살표)되어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정보/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를 구현/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병합되거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각종 데이터와 신호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서버(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반도체 칩 또는 전자 회로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웨어와 상기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방식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유선 케이블/유선랜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NFC,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기타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LTE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부(120)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이다. 특히, 저장부(130)는 서버(10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데이터 및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데이터를 상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상의 변수 또는 반도체 칩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예약/신청을 수행하고, 상기 건강검진 예약/신청의 결과를 사용자(단말)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의료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검진 예약/신청의 구체적인 방식은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따르면, 단말(200)은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정보 출력부(240), 정부 입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을 구현/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병합되거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각종 데이터와 신호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2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반도체 칩 또는 전자 회로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웨어와 상기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방식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유선 케이블/유선랜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NFC, 지그비(ZigBee), 가시광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기타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LTE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부(220)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30)는 단말(20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데이터 및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데이터를 상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상의 변수 또는 반도체 칩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사용자의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업무 및 장소에 관한 정보인 일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오디오, 영상 등의 정보를 외부 또는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250)는 키보드, 마우스, 버튼, 다이얼, 터치 패널(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라 건강검진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점선은 서버(100)의 저장부(130)를 의미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각 정보를 테이블, 리스트 또는 패킷 형태의 데이터 구조 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정보의 포맷, 또는 저장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0)의 저장부(130)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d1),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d2),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d3)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저장부(130)는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단말(200)로부터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 신청 정보 역시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예약 정보(d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서비스 예약 정보(d1)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1, hid2, ...) 별 날짜(d1, ...) 및 시간(t1, t2, t3, t4, ...)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x1, x2, x3, x4, ...)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hid1_total, hid2_total, ...),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y1, y2, y3, y4, ...)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hid1_rsv, hid2_rsv, ...),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도면에 도시된 t1, t2, t3, t4는 서로 다른 기 설정된 단위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단위 시간 구간이 1시간일 수 있으며, t1는 0시부터 1시, t2는 1시부터 2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1, hid2, ...)마다 존재할 수 있으며, 상호간 그룹 또는 짝(페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는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rsv)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rsv)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면에서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 또는 개별 예약 건 정보(rsv)와 관련된 도 10 또는 도 15에서 예약 건 식별 정보는 생략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d2) 및 의료기관 정보(d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d2)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u_personal1, u_personal2, u_personal3, ...),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uid1, uid2, uid3, ...),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u_history1, u_history2 , u_history3, ...)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정보(d3)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h_basic1, h_basic2, h_basic3, ...),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1, hid2, hid3, ...),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h_service1, h_service2, h_service3,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d2)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서버로 제공한 정보이거나 건강검진 서비스 가입/신청/제공하는 기관 또는 사업자에게 제출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정보(d3)는 의료기관에서 서버로 제공한 정보이거나, 건강검진 서비스 또는 기타 의료 서비스의 홍보를 위해 건강검진 서비스 또는 의료 서비스를 홍보/중계(플랫폼)/제공하는 기관 또는 사업자에게 제출한 정보일 수 있다. 건강검진 서비스 또는 의료 서비스의 가입/신청홍보/중계(플랫폼)/제공하는 기관 또는 사업자는 상기 사용자 정보(d2) 및 의료기관 정보(d3)에 기반하여 사용자 또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검진 서비스의 홍보 또는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 /의료 서비스가 사용자 또는 고객에게 노출되는 빈도 수 및 영상 데이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의 면적 또는 출력 효과 등에 기반한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예약 정보(d1), 사용자 정보(d2) 및 의료기관 정보(d3)는 별도의 보안 하드웨어 및 보안 소프트웨어에 의해 접근이 통제/제어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정보/기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도면에서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에 따르면, 단말(2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기반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할 의료기관, 건강검진을 수행할 날짜 및 시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정보에 따라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완료할 수 있으며, 완료된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은 서비스 예약 정보로써 저장되거나 사용자 및 의료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건강검진을 신청할 때 건강검진을 수행할 의료기관만 결정한 상태일 수 있다. 즉, 건강검진 신청 정보로써 의료기관의 명칭을 포함(또는 의료기관의 명칭만 포함)하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를 위한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매우 용이하게 건강검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가 포함된 경우(도 7(b)),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서버(100)가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는 구체적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서버(100)는 의료기관 정보(d3)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2), 서비스 예약 정보(d1)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x1 내지 x4)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y1 내지 y4)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로부터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의료기관 정보(d3)를 참조하여 추출된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2)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판별된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2)에 대응하는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hid2_total)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hid2_rsv)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에서, 날짜 d1, 시간 t1의 예약 가능 수 x1이 100이고, 예약 완료 수 y1가 50이고, 시간 t4의 예약 가능 수 x4이 80이고, 예약 완료 수 y4가 24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짜 d1 및 시간 t1, 그리고 날짜 d1 및 시간 t4가 예약 가능 일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의 그룹이 복수 개 선별될 수 있다.
도 9(a)는 서버(100)와 단말(200)이 예약 가능 일시 정보(cand1) 및 예약 선택 일시 정보(sel1)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전술한 예시에 따르면 예약 가능 일시 정보(cand1)에 날짜 d1 및 시간 t1, 그리고 날짜 d1 및 시간 t4가 포함(도 9(b))될 수 있다. 예약 가능 일시 정보(cand1)를 수신한 단말(200)은 수신한 날짜 및 시간의 그룹(d1 및 t1, 그리고 d1 및 t4)을 정보 출력부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정보 입력부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9(c)에 따르면, 사용자가 날짜 및 시간의 그룹 d1 및 t4를 선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날짜 d1 및 시간 d4가 예약 선택 일시 정보(sel1)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200)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sel1)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서버가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완료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는 단말로부터 예약 선택 일시 정보(sel1)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예약 선택 일시 정보(sel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 d1 및 시간 t4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2),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d1) 및 시간(t4)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y4)를 하나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써, 해당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는 y4'이 될 수 있다. 여기서, y4' = y4 + 1 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새로운 개별 예약 건 정보(rsv9)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2),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uid1)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d1, t4)인 개별 예약 건 정보(rsv9)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rsv9)를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에 추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건강검진 신청 및 예약의 완료를 알리는 정보(result)로써, 단말(200)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rsv9),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d3_h_name2)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h_name2)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으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rsv9) 및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uid1)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의료기관의 명칭만으로도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 방식으로써, 사용자가 건강검진을 진행할 날짜만 결정한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에 따르면, 도 7(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단말(200)을 통해 서버(100)로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를 전송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건강검진 날짜(d1) 또는 시간(t1)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도 12(b)).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서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의료기관의 명칭 또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는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로부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d1) 및 시간(t1)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의료기관 정보(미도시) 및 서비스 예약 정보(d1)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따른 날짜(d1) 및 시간(t1)에 건강검진의 예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의 정보인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도 13)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는 서비스 예약 정보(d1)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의 예시에서,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hid3_total의 d1 및 t1에 대응하는 x1의 값이 100이고,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hid3_rsv의 d1 및 t1에 대응하는 y1의 값이 56이며,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hid5_total의 d1 및 t1에 대응하는 x1의 값이 200이고,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hid5_rsv의 d1 및 t1에 대응하는 y1의 값이 101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d1 및 시간 t1에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로써 hid3 및 hid5를 선별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정보(미도시)를 참조하여 상기 hid3 및 hid5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 h_name3 및 h_name5 역시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선별된 의료기관 식별 정보 hid3 및 hid5, 의료기관의 명칭 h_name3, h_name5를 예약 가능 기관 정보(cand2)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예약 가능한 의료기관 식별 정보 및 의료기관의 명칭의 그룹이 복수 개 선별될 수 있다.
도 14(a)는 서버(100)와 단말(200)이 예약 가능 기관 정보(cand2) 및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전술한 예시에 따르면 예약 가능 기관 정보(cand2)에 hid3, h_name3 및 hid5, h_name5이 포함(도 14(b))될 수 있다. 예약 가능 기관 정보(cand2)를 수신한 단말(200)은 수신한 의료기관 식별 정보 및 의료기관의 명칭의 그룹(hid3, h_name3 및 hid5, h_name5) 또는 의료기관의 명칭만(h_name3 및 h_name5)을 정보 출력부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정보 입력부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4(c)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료기관의 명칭 h_name5(또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hid5)를 선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의료기관 식별 정보 hid5가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가 될 수 있다(또는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 hid5가 예약 선택 기관 정보 sel2에 포함될 수 있음). 단말(200)은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서버가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완료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는 단말로부터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 hid5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hid5)(또는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sel2)) 및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날짜 d1 및 시간 t1)와 연관된 서비스 예약 정보(d1)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hid5_rsv의 y1)를 하나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는 y1'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 y1' = y1 + 1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새로운 개별 예약 건 정보(rsv10)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는 (sel2가 hid5인 경우)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hid5),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uid1)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포함된 건강검진 일시 정보(d1, t1)인 개별 예약 건 정보(rsv10)를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rsv10)를 예약 리스트 정보(rsv_list)에 추가시킬 수 있다. 이후의 단계는 도 11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5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건강검진 일시 정보만으로도 건강검진의 신청 및 예약을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주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예약 가능 기관 정보 및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와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소를 기준으로 상기 각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n1 내지 n3)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에서 출력되는 건강검진의 예약이 가능한 의료기관 별 교통 편의성 등급을 확인할 수 있고, 교통 편의성 등급을 참조하여 자신에게 편리한 것으로 판단되는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외부의 교통과 관련된 기관(도로 또는 대중교통을 관리 감독하는 기관), 외부의 GPS 관련 기관, 네비게이션 또는 지도를 관리 및 제작하는 기관과 데이터/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두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특정 위치의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통해 또 다른 특정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 소요되는 시간, 실제 주행 거리, 환승 회수, 대중교통의 지원이 없어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6은 가상의 2차원 평면 상 또는 지도(map)에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u) 및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3개 의료기관의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h1 내지 h3)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곡선 route1 내지 route3은 각각 사용자 주소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서 각 의료기관의 주소가 나타내는 위치까지의 대중교통 또는 도보를 통한 경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16에서 파선 z1 내지 z3은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u)에서 각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h1 내지 h3) 사이의 직선 거리를 각각 나타내는이다. 이에 따라, 서버는 z1 내지 z3의 길이에 기초하여 h1 내지 h3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즉 route1 내지 route3을 통해 이동했을 때 소요되는 시간(교통 시간)에 기초하여 h1 내지 h3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route1은 3번의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이 필요하고, route2 및 route3은 2번의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환승 회수의 측면에서 h2 및 h3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이 h1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보다 좋다(또는 교통 편의성 등급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써, route1은 50m의 도보 이동이 필요하고, route2는 200m의 도보 이동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도보 이동의 측면에서 h1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이 h2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보다 좋다(또는 교통 편의성 등급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지막 예시에서, route1은 50m의 도보 이동이 필요하고, route2는 200m의 도보 이동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도보 이동의 측면에서 h1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 등급이 h2에 대응하는 교통 편의성 등급보다 상위 등급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교통 편의성 등급의 산출시 상기 직선 거리, 상기 교통 시간, 상기 환승 회수,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자연수 g1, g2, g3, g4에 대하여, 상기 직선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1을 산출하고, 상기 교통 시간에 기초하여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2를 산출하고, 상기 환승 회수에 기초하여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3을 산출하고,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4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직선 거리가 0km 이상 1km 미만인 경우 g1이 5, 직선 거리가 1km 이상 3km 미만인 경우 g1이 4, 직선 거리가 3km 이상 10km 미만인 경우 g1이 3, 직선 거리가 10km 이상 20km 미만인 경우 g1이 2, 직선 거리가 20km 이상인 경우 g1이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서버는 교통 시간이 0분 이상 10분 미만인 경우 g2가 5, 교통 시간이 10분 이상 20분 미만인 경우 g2가 4, 교통 시간이 20분 이상 40분 미만인 경우 g2가 3, 교통 시간이 40분 이상 90분 미만인 경우 g2가 2, 교통 시간이 90분 이상인 경우 g2가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서버는 환승을 하지 않는 경우 g3가 5, 서버는 환승 회수가 1회인 경우 g3가 4, 서버는 환승 회수가 2회인 경우 g3가 3, 서버는 환승 회수가 3회인 경우 g3가 2, 서버는 환승 회수가 4회 이상인 경우 g3가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서버는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0m 이상 100m 미만인 경우 g1이 5, 100m 이상 300m 미만인 경우 g1이 4, 300m 이상 700m 미만인 경우 g1이 3, 700m 이상 1200m 미만인 경우 g1이 2, 1200m 이상인 경우 g1이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일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의 조합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각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의 조합의 방식으로써 다음의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즉, a1이 제 1 가중치이고, a2가 제 2 가중치, a3이 제 3 가중치, a4가 제 4 가중치를 나타내는 변수라고 했을 때, 서버는 a1 + a2 + a3 + a4 = 1을 만족하는 0 이상 1 이하의 가중치 값 a1, a2, a3, a4에 대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 n을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n = a1 * g1 + a2 * g2 + a3 * g3 + a4 * g4
(*는 곱셈 연산을 의미함)
즉, 각 가중치 값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양상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산출될 수 있다. 특히, 각 상황이나 사용자에 따라서 적합한 가중치 값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최적화된 가중치 값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 17은 서버가 가중치 값을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직선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1 중요도(p1),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교통 시간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2 중요도(p2),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환승 회수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3 중요도(p3),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4 중요도(p4)를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은 입력된 p1 내지 p4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는 수신한 p1 내지 p4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 n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중요도(p1) 내지 제 4 중요도(p4)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200)은 각 중요도의 값을 가상 키보드가 출력되는 터치 패널 등의 정보 입력부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단말(200)은 정보 출력부를 통해 직선 거리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 중, 하'를 출력하고, 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 중, 하' 중 하나의 값을 획득하여 제 1 중요도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말(200)은 교통 시간, 환승 회수,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각각의 중요도인 제 2 중요도 내지 제 4 중요도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중요도, 상기 제 2 중요도, 상기 제 3 중요도, 상기 제 4 중요도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상기 수신한 제 1 중요도에 기초하여 a1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중요도에 기초하여 a2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3 중요도에 기초하여 a3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4 중요도에 기초하여 a4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에 해당하는 중요도의 값이 5이고, '중'에 해당하는 중요도의 값이 3이고 '하'에 해당하는 중요도의 값이 1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가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 1 중요도 내지 제 4 중요도의 값이 각각 1, 3, 3, 5인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써, 서버(100)는 자연수 k에 대하여, k번째 가중치 ak는 k번째 중요도의 값을 전체 중요도 값의 합으로 나누어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a1을 1/(1 + 3 + 3 + 5) = 1/12, a2를 3/(1 + 3 + 3 + 5) = 3/12, a3을 1/(1 + 3 + 3 + 5) = 3/12, a4를 5/(1 + 3 + 3 + 5) = 5/12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각 가중치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도 7 또는 도 12)에 따르면, 서버(100)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uid1)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uid1)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나이에 관한 정보(u_age1)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200)의 사용자의 나이(u_age1)가 기 설정된 기준 나이 값(r_age) 이상인 경우, 서버(100)는 a1 < a3 및 a2 < a3를 만족하고, a3 < a4가 되도록 각 가중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_age가 50이고, u_age1가 53인 경우, 서버(100)는 a1 = 0.1, a2 = 0.2, a3 = 0.3, a4 = 0.4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설정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직선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g1) 및 교통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g2)보다 환승 회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g3) 및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g4)이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는데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또는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나이가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서버는 해당 사용자가 건강검진을 신청하면 환승 회수가 적거나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적은 의료기관에 대하여 보다 상위의 교통 편의성 등급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 편의성 등급이 예약 가능 기관 정보와 함께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고령의 사용자는 건강검진을 신청할 때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을 참조하여 교통의 편의성이 고령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별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사용자의 나이(u_age1)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a1 및 a2를 더 감소시키고 a3 및 a4를 더 증가시킴으로써 환승 회수 및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교통 편의성 등급의 산출에 더 큰 영향을 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교통 편의성 등급인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r_n)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가 단말(200)에서 서버(100)로 전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상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 이상인 의료기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만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에 해당하는 숫자 3을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가 예약 가능 기관 정보로써 의료기관 h1 및 h2를 선별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 h1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2이고 의료기관 h2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4인 경우, 서버는 의료기관 h2의 명칭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만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예약 가능 기관 정보는 서버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의료기관 h2의 명칭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정한 교통 편의성 등급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관련 정보만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와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한 교통 편의성 관련 설정을 만족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건강검진을 수행할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 선택지가 크게 줄어들어 보다 용이하게 건강검진의 예약 및 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따르면,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자동 신청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별할 수 있다.
우선, 단말은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 및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건강검진 신청 정보(req)에 사용자의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업무 및 장소에 관한 정보인 일정 정보(sche)를 포함시킬 수 있다(도 19).
그리고, 서버는 상기 일정 정보(sche)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일과 시작 시간(i) 내지 기 설정된 일과 종료 시간(e)의 범위 내에서 일정(s)이 없는 시간의 범위인 자유 시간(f1 내지 f5)이 기 설정된 건강검진에 필요한 시간인 검진 시간(q)보다 큰 날짜인 후보 날짜를 검색(도 20)할 수 있다.
도 20에서 가로 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0에 따르면 각 날짜(d1 내지 d5)마다 일과의 시작을 나타내는 일과 시작 시간(i)과 일과의 종료를 나타내는 일과 종료 시간(e)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기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i(예를 들어, 오전 6시)와 e(예를 들어, 오후 8시) 사이에서만 건강검진의 일정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날짜별 i 값과 e 값은 날짜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각 날짜에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의 일정(s)과 시간상 겹치는 건강검진 일정이 결정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서버는 i와 e 사이에서 일정(s)이 없는 시간의 범위인 자유 시간(f1 내지 f5)를 검색 및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자유 시간(f1 내지 f5)이 기 설정된 건강검진에 필요한 시간인 검진 시간(q)보다 큰 날짜인 후보 날짜를 검색 및 선별할 수 있다. 도 20에 따르면, 날짜 d2의 자유 시간 f2가 q 보다 크고, 날짜 d5의 자유 시간 f5가 q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짜 d2 및 d5가 후보 날짜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후보 날짜(d2, d5)의 자유 시간(f2, f2b, f5) 중 검진 시간(q)보다 큰 자유 시간인 후보 시간(f2, f5)과 상기 후보 날짜(d2, d5)를 후보 일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에서 날짜 d2의 자유 시간 f2b는 q 보다 작으므로 후보 시간이 될 수 없다.
그리고, 서버는 후보 일시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후보 일시가 둘 이상인 경우,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날(O)로부터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O 으로부터 시기적으로 가까운 후보 일시가 d2 및 f2이므로, d2 및 f2가 확정 일시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확정 일시에 따른 시간인 확정 시간의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확정 시간의 직전에 존재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위치를 확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서, f2 직전의 일정 s가 서울 소재 X 빌딩에서 진행된 경우, 상기 X 빌딩의 위치가 확정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확정 시간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주소를 확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 중 상기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의료기관인 후보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1은 확정 위치 v를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의료기관(h1 내지 h5)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1에 따르면, 서버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R) 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을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h1 내지 h5 중 h1, h2, h5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이들 중 상기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의료기관인 후보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1에서 h1 및 h2만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경우, h1 및 h2만 후보 의료기관으로 선별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1의 경우처럼)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둘 이상인 경우, 서버는 각 후보 의료기관의 교통 편의성 등급에 기초하여 확정 의료기관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확정 위치와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각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될 수 있다. 교통 편의성 등급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버는 가장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산출된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1에 따르면, h1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n1이고, h2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n2이다. 여기서, n1 > n2인 경우, 서버는 h1를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확정 의료기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이 상기 확정 일시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 방식 통해, 서버는 건강 검진 직전의 사용자의 일정, 동선 및 교통 편의성에 기반한 의료기관을 선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료기관의 명칭 또는 건강검진을 진행하길 원하는 일시만 결정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검진 일시 또는 의료기관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 편의성 등급에 기초하여 의료기관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의 건강검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건강검진 신청이라는 단순한 의사결정만 있으면 사용자의 일정에 적합한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 일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건강검진의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인 전 국민의 원활한 건강검진을 가능하게 하여, 건강검진의 누락에 따른 과태료를 부담하는 사람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건강검진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강검진 관리 서버 (서버)
200 : 사용자 단말 (단말)
1000 :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시스템)

Claims (16)

  1.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건강검진 관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예약을 수행하는 건강검진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인 예약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하고,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건강검진 날짜 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 또는 의료기관 명칭 정보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건강검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 및 시간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 및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사용자의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업무 및 장소에 관한 정보인 일정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일정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일과 시작 시간 내지 기 설정된 일과 종료 시간의 범위 내에서 일정이 없는 시간의 범위인 자유 시간이 기 설정된 건강검진에 필요한 시간인 검진 시간보다 큰 날짜인 후보 날짜를 검색하고,
    상기 후보 날짜의 자유 시간 중 검진 시간보다 큰 자유 시간인 후보 시간과 상기 후보 날짜를 후보 일시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일시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고, 상기 후보 일시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날로부터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고,
    상기 확정 일시에 따른 시간인 확정 시간의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확정 시간의 직전에 존재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위치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시간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주소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 중 상기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의료기관인 후보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확정 위치와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각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고,
    가장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산출된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의료기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이 상기 확정 일시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며,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정보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따른 날짜 및 시간에 건강검진의 예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의 정보인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이 가능한 의료기관 중 선택된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인 예약 선택 기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 및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와 연관된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건강검진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예약 선택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가능 수 및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기초하여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건강검진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에 일시 별 예약 가능 수가 일시 별 예약 완료 수 보다 큰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을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와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소를 기준으로 상기 각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사용자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자연수 g1, g2, g3, g4에 대하여,
    상기 직선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1을 산출하고,
    상기 교통 시간에 기초하여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2를 산출하고,
    상기 환승 회수에 기초하여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3을 산출하고,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g4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의 조합에 기초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2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상기 제 3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 및 상기 제 4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예비 교통 편의성 등급을 나타내고,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a1 + a2 + a3 + a4 = 1을 만족하는 0 이상 1 이하의 가중치 값 a1, a2, a3, a4에 대하여,
    교통 편의성 등급 n을
    n = a1 * g1 + a2 * g2 + a3 * g3 + a4 * g4
    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나이가 기 설정된 기준 나이 값 이상인 경우,
    a1 < a3 및 a2 < a3,
    a3 < a4
    가 되도록 가중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직선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1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교통 시간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2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환승 회수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3 중요도,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위한 의료기관 선정시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의 중요도에 대한 정보인 제 4 중요도를 각각 입력 받고,
    상기 제 1 중요도, 상기 제 2 중요도, 상기 제 3 중요도, 상기 제 4 중요도를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제 1 중요도에 기초하여 a1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중요도에 기초하여 a2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3 중요도에 기초하여 a3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제 4 중요도에 기초하여 a4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a1, a2, a3, a4에 기초하여 상기 n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교통 편의성 등급인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더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는,
    상기 산출된 교통 편의성 등급이 상기 필요 교통 편의성 등급 이상인 의료기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명칭만 상기 예약 가능 기관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 거리 또는 상기 교통 시간 또는 상기 환승 회수 또는 상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강검진 서버가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에 관한 정보인 서비스 예약 정보,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기관 정보는 의료기관의 명칭, 위치 또는 주소, 연락처, 진료일, 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기본 정보, 의료기관을 식별하는 정보인 의료기관 식별 정보, 의료기관에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인 의료기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는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접수 가능한 전체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가능 수에 관한 정보, 각 의료기관 식별 정보 별 날짜 및 시간마다 완료된 예약 수인 일시 별 예약 완료 수에 관한 정보, 신청 및 예약이 완료된 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인 예약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예약 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는 개별 예약 건을 식별하기 위한 예약 건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의료기관 식별 정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일시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아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건강검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건강검진 신청 정보는 건강검진 또는 의료 서비스의 예약 및 신청에 관한 정보로써, 건강검진 날짜 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인 건강검진 일시 정보 또는 의료기관 명칭 정보 또는 건강검진을 수행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건강검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의료기관 정보 및 서비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 가능한 날짜 및 시간 중 선택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정보인 예약 선택 일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의 날짜 및 시간에 연관된 상기 서비스 예약 정보의 일시 별 예약 완료 수를 하나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가 상기 예약 선택 일시 정보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생성된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상기 예약 리스트 정보에 추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개별 예약 건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의 의료기관 명칭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의료기관 명칭 정보 및 건강검진 일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건강검진을 신청하는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사용자의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업무 및 장소에 관한 정보인 일정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일정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일과 시작 시간 내지 기 설정된 일과 종료 시간의 범위 내에서 일정이 없는 시간의 범위인 자유 시간이 기 설정된 건강검진에 필요한 시간인 검진 시간보다 큰 날짜인 후보 날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후보 날짜의 자유 시간 중 검진 시간보다 큰 자유 시간인 후보 시간과 상기 후보 날짜를 후보 일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후보 일시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고, 상기 후보 일시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를 수신한 날로부터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후보 일시를 확정 일시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확정 일시에 따른 시간인 확정 시간의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확정 시간의 직전에 존재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위치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확정 시간 직전에 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주소를 확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 중 상기 확정 일시에 건강검진이 가능한 의료기관인 후보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하나일 때 상기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후보 의료기관이 둘 이상일 때 상기 의료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관한 정보인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확정 위치와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확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각 후보 의료기관의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교통의 편의성에 관한 정보인 교통 편의성 등급을 산출하고, 가장 상위 등급의 교통 편의성 등급이 산출된 후보 의료기관을 확정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신청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강검진 관리 서버가 상기 확정 의료기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 식별 정보, 상기 건강검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날짜 및 시간이 상기 확정 일시인 개별 예약 건 정보를 신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 편의성 등급은,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의 직선 거리,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소요되는 교통 시간,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대중교통 수단의 환승 회수,
    상기 확정 위치에서 상기 후보 의료기관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22484A 2019-02-26 2019-02-26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6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84A KR102036902B1 (ko) 2019-02-26 2019-02-26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84A KR102036902B1 (ko) 2019-02-26 2019-02-26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902B1 true KR102036902B1 (ko) 2019-10-25

Family

ID=6842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484A KR102036902B1 (ko) 2019-02-26 2019-02-26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4394A (zh) * 2022-10-27 2022-11-25 曹县人民医院 基于大数据处理技术的居民健康服务预约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8981A (ja) * 2006-12-26 2008-07-10 Fujifilm Corp 診療予約代行装置及び方法
JP2015195026A (ja) * 2014-03-27 2015-11-05 タック株式会社 医療系予約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8981A (ja) * 2006-12-26 2008-07-10 Fujifilm Corp 診療予約代行装置及び方法
JP2015195026A (ja) * 2014-03-27 2015-11-05 タック株式会社 医療系予約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4394A (zh) * 2022-10-27 2022-11-25 曹县人民医院 基于大数据处理技术的居民健康服务预约方法及系统
CN115394394B (zh) * 2022-10-27 2023-04-07 曹县人民医院 基于大数据处理技术的居民健康服务预约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5794A1 (en) Accommodation Search
KR2010005314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참석 인원의 상황을 고려한 일정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838551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시스템
US201602324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queue management
US20150294238A1 (en) Travel planning system
JP2016139263A (ja) 旅行システム
KR102298707B1 (ko) 여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WO2007148378A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102036902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69110A (ja) 情報配信装置
JP2004227490A (ja) コミュニ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6973278B2 (ja) サーバ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07763A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7209A (ko) 여행 계획 시스템
JP5537724B1 (ja) 旅行支援電子ブック装置、旅行支援システム、および旅行支援プログラム
EP2930673A1 (en) Travel planning system
JP2019219815A (ja) スケジュール提案装置、スケジュール提案方法、及びスケジュール提案システム
JP2005202689A (ja) 受診プラン作成支援システム
KR101711554B1 (ko) 여행자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JP2021006959A (ja) 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プログラム及び配車管理方法
KR101768875B1 (ko) 렌터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컨텐츠 공급 시스템의 수수료 과금 시스템
US20170243309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tinerary display method, and itinerary display device
KR20200089049A (ko)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H1166172A (ja) 訪問割り当て方法、訪問割り当て処理装置及び訪問割り当てシステム
KR102514900B1 (ko) 이동 서비스 요금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