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337A -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337A
KR20160108337A KR1020167018600A KR20167018600A KR20160108337A KR 20160108337 A KR20160108337 A KR 20160108337A KR 1020167018600 A KR1020167018600 A KR 1020167018600A KR 20167018600 A KR20167018600 A KR 20167018600A KR 20160108337 A KR20160108337 A KR 2016010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iquid
separating
processed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049B1 (ko
Inventor
요이치 나카타
토모노리 와타라이
스미토 사토
사토시 스와
토모키 홈마
Original Assignee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2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561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29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6471B1/ja
Application filed by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26B17/3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the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indirect heat-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2Refining by liquating, filtering, centrifuging, distilling, or supersonic wave action including acoust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2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llers or discs with material passing over or between them, e.g. suction drum, sieve,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fix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건조품의 컨태미네이션, 입자 형상의 변형, 입도 분포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분리롤의 외주에 권회되어 있는 무단상(無端狀)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피처리물을 공급해서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으로부터 통기되는 통기 가스에 의해 탈수하는 고액 분리 장치와,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후단에 횡형 회전식 건조기를 구비하고, 캐리어 가스를 상기 건조기의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竝流)로 유통시키도록 했다.

Description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EQUIPMENT FOR SOLID-LIQUID SEPARATION AND DRYING OF FINE-POWDER SLURRY,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미분(微粉) 슬러리의 고액(固液) 분리·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금속 미분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여과 및 건조할 때에, 금속 미분에 의한 설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 재료 등으로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수산화물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금속 미분으로서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금속 미분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여과한 후, 기류 건조기나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건조시켜, 원하는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수산화물의 건조품을 얻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류 건조기를 사용해서 건조시킬 경우, 여과 공정으로부터의 응집된 습윤 분체(粉體)를 건조기의 관 내에서 열풍에 의해 반송하고, 반송 과정에서 열풍에 의한 대류 전열에 의해 이를 건조시켜, 금속 미분 건조품을 얻는다.
또한,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해서 건조시킬 경우, 슬러리를 로터리 아토마이저나 노즐 등의 분산기를 통해 건조실 내에 분무 분산시킨다. 건조실 내에는 열풍이 취입되고, 분무한 액적이 열풍 속에서 중력 침강하는 동안에 이를 건조시켜, 금속 미분 건조품을 얻는다.
이와 같은 기류 건조기나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을 사용해서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수산화물 등을 얻는 발명으로서는, 하기의 문헌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제5136904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78933호
그러나, 상기 스프레이 드라이어는 유동 건조나 간접 가열 건조 등의 다른 건조 방식과 비교해서 열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슬러리의 함수율을 낮추면, 슬러리에 함유되는 금속 미분이 회전형 분무기나 노즐 등의 분산기와 고속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분산기에 마모가 발생하고, 깎인 분산기를 구성하는 금속 미분말이 슬러리에 혼입되어 버리는 (컨태미네이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입경 100㎛ 이하의 미립자는, 일반적으로 재질에 관계없이, 습윤 상태이면 입자 계면에 존재하는 액이 가교되기 때문에, 부착력이 강하고, 점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처리 장치의 내벽에 부착되기 쉬워져, 취급이 어렵다. 특히, 틱소트로피(thixotropy)나 다일레이턴시(dilatancy) 현상을 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단순히 점도가 높다는 것만으로, 취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상기 미립자의 취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금속분인지 아닌지, 무기 분체인지 유기 분체인지, 극성 액체에의 용해도, 조성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입자의 부착력은 입자 직경, 즉 입자의 표면적(계면의 영향 면적)에 의존하기 때문에, 입경 100㎛ 이하의 미립자의 습윤 분체이면 취급이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미립자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탈수하면, 상기 틱소트로피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부착력이 높아진다. 미립자의 종류 등에도 좌우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함액률(함수율)이 90wt%(웨트 베이스(이하, W.B.로 함)) 이상인 슬러리를, 고액 분리에 의해 20~30wt%(W.B.)까지 낮추면, 이 틱소트로피성에 의해, 부착력이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탈수 공정에서 함액률(함수율)을 20~30wt%(W.B.) 정도까지 낮춰, 고액 분리 후의 부착성이 높은 슬러리를 건조기로 반송할 경우,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기계적으로 강제 반송을 행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강제 반송 수단을 사용한 경우, 반송되는 여과 후의 슬러리(피처리물)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내벽 및 스크루와의 사이에서 큰 전단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반송 중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예를 들면, 스크루를 구성하는 금속이 깎이고, 최종 제품에 그 금속이 혼입되어(컨태미네이션), 고품질의 제품을 얻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크루의 전단력에 의해, 슬러리 중의 금속 입자의 형상이 붕괴되거나, 혹은 입도 분포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들 사상(事象)은 최종 제품의 품질의 저하, 수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건조품의 컨태미네이션, 입자 형상의 변형, 입도 분포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그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 및 수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무단상(無端狀)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중첩되어 권회(卷回)되면서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압착되고, 아울러,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으로부터 분리롤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 통기되는 통기 가스에 의해 탈액(脫液)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고액 분리 장치와,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후단에 설치되며, 일단(一端)측에 피처리물의 공급구를, 타단측에 피처리물의 배출구를 갖고, 축심 방향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회전통 내부에 설치한 가열 매체를 유통시키는 가열관을 갖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의 공급구로부터 공급한 피처리물을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건조하는 횡형 회전식 건조기를 구비하고,
캐리어 가스를 상기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竝流)로 유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미분(특히 입경 100㎛ 이하의 미립자)을 함유하는 함액률 약 90wt%(웨트 베이스 W.B.)의 슬러리를, 종래의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해 탈액(탈수)할 경우, 고액 분리 후의 슬러리의 함액률은 35~30wt%(W.B.) 정도가 한계이다.
그 결과, 비교적 높은 함액률이 원인이 되어, 전술한 각종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의 고액 분리 장치, 특히 대표적으로는 일본 특허공보 제4677484호, 일본 특허공보 제4739401호, 일본 특허공보 제4381461호, 일본 특허공보 제438146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하면, 탈수 후의 슬러리의 함액률을 19~12wt%(W.B.) 정도까지 낮출 수 있다.
이러한 함액률(19~12wt%(W.B.))이면, 틱소트로피 현상이나 다일레이턴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횡형 회전식 건조기(간접 가열형 회전 건조기)에 의하면, 이른바 킬른 액션으로 미립자가 전동(轉動)하는 것뿐이며, 기계적인 강제 혼합력이 외력으로서 작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립자의 손상 등이 없고, 고품질의 건조품을 얻을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가스를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로 유통시키도록 했다. 캐리어 가스는 주로 건조 과정에서 피처리물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회전통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는, 피처리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캐리어 가스를 흘리는 향류(向流)가 채용되어 왔다. 이 향류 형태를 채용하면, 피처리물의 출구측인 회전통 출구측 단부 부근이 캐리어 가스의 유입 장소가 되므로, 피처리물로부터 증발하는 수증기가 적고 온도가 낮은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피처리물이 흡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처리물의 수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회전통 입구측 단부 부근에서는 캐리어 가스에 수증기가 많이 함유되게 되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분위기가 된다. 이러한 온도가 높은 분위기의 회전통 입구측 단부에 있어서, 피처리물이 향류의 캐리어 가스와 접촉하면, 피처리물의 온도가 캐리어 가스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 전열에 의해 수증기의 결로를 발생시킨다. 결로된 수증기는 피처리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수(付着水)가 되어, 그 수분율이 상승한다. 그 결과, 피처리물의 회전통 내부에의 부착이나 회전통 내의 통로의 폐색이나, 조립(造粒)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회전식 건조기 내에 있어서,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점차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회전통 출구측 단부 부근에서는 피처리물의 온도가 높아져, 활성이 높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여기에 저습도의 캐리어 가스가 유입되면, 피처리물은 캐리어 가스와의 접촉에 따라, 캐리어 가스 중의 산소나 탄산 가스와 반응하여, 변질되어 버린다는 문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캐리어 가스를 흘리는 병류를 채용했다. 회전통 입구측 단부로부터 캐리어 가스를 유입시키므로, 회전통 입구측 단부 부근의 온도가 낮아진다. 그 결과, 공급되는 피처리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여도, 결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결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피처리물이 회전통 내부에 부착되어, 피처리물의 통로를 폐색시키거나, 피처리물이 조립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한편, 건조 과정에서 피처리물로부터 증발한 수분은 캐리어 가스에 동반해서 회전통 출구측 단부로 운반되기 때문에, 회전통 출구측 단부 부근의 가스의 조성은 수증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산소나 탄산 가스 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피처리물과 가스 중의 산소나 탄산 가스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종 제품의 품질의 열화 및 수율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기계적 반송 수단 : 벨트 컨베이어)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배출구에 접속되는 낙하 슈트와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상기 공급구에 접속하는 공급 슈트 사이에는,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벨트 컨베이어는 낙하 슈트로부터 낙하하는 탈액물을 수용하여, 탈액물을 반송하고, 종단으로부터 상기 공급 슈트로 도입한다. 또한, 상기 고액 분리 장치와 벨트 컨베이어는 낙하 슈트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접속해도 된다.
고액 분리 장치로부터 탈액물을 건조기로 반송하는 데에, 스크루 컨베이어가 아니라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함으로써, 탈액물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크루 등의 금속이 마모되어, 최종 제품에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한, 최종 제품의 입자 형상이 붕괴되거나, 입도 분포가 변화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벨트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의 소재는 고무가 바람직하다. 수지 벨트이어도 된다.
상기 공급 슈트 도중에, 그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캐리어 가스를 상기 댐퍼보다 하류측(횡형 회전식 건조기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탈액물을 공급 슈트를 개재해서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통 내로부터의 열풍의 벨트 컨베이어측으로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큰 이점으로서, 캐리어 가스를 공급 슈트의 세정용 가스로서 유용(流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의 설치 위치를 공급 슈트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공급 슈트를 설치하지 않고, 벨트 컨베이어의 배출구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벨트 컨베이어와 건조기의 접합부에 상기 댐퍼를 설치할 수 있다.
(유하 유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미분 슬러리의 상기 고액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피처리물을 기계적 반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낙하 동력에 의해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는 유하(流下) 유로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고액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피처리물을 기계적 반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낙하 동력에 의해 유하 유로를 개재해서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불순물이 최종 제품에 혼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최종 제품의 입자 형상이 붕괴되거나, 입도 분포가 변화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또한, 기계적 반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탈액물을 직접적으로 횡형 회전식 건조기 내에 도입하도록 하면, 기계적 반송 수단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이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탈액물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건조기에 있어서의 건조 부하의 저감이나, 온도 저하에 기인한 품질 열화 요인의 배제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유하 유로는 낙하 동력에 의해서만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하 유로에는 고액 분리 장치를 둘러싸는 후드 내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 내의 연통을 차단 및 해방하는 에어 록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액 분리 장치를 둘러싸는 후드 내의 대량의 증기를 수반한 가스가 횡형 회전식 건조기 내에 송입되면,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입구 부분에 피처리물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어, 건조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캐리어 가스의 상대 습도가 상승하여, 건조기에서의 열효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그런데, 적어도 2단의 댐퍼 또는 1대의 로터리 밸브이면 에어 록을 행할 수 있어, 상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또는 로터리 밸브는 피처리물을 수용하고, 또 그 수용을 해방하여 중력 낙하를 허용하는 것일 뿐이며, 스크루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수평 방향의 기계적 반송 수단은 아니므로, 이들의 사용에 따른 마모나 전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최종 제품에 불순물이 혼입되는 경우가 없어, 최종 제품의 입자 형상이 붕괴되거나, 입도 분포가 변화되는 경우도 없다.
(세정 장치)
고액 분리 장치는 통상 후드에 의해 덮여 있고, 그 후드에 피처리물의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무단상의 한쪽의 분리 여과포 상의 압착 전의 피처리물이 세정액에 의해 세정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세정액 온도가 예를 들면 60~75℃의 고온이면, 후드 내의 가스는 대량의 증기를 수반하게 되지만, 세정액 온도가 10~50℃이면,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입구 부분에서의 피처리물의 부착, 캐리어 가스의 상대 습도의 과도한 상승을 피할 수 있어, 전술한 문제가 현저하게 발생되지는 않는다.
(백 필터)
횡형 회전식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캐리어 가스(이하, 「배기 가스」라 함)는 금속 등의 미립자(건조 제품)를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건조기의 후단에 백 필터를 더 설치함으로써,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 중의 미립자를 포집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필터실에서 미립자가 제거되기 때문에, 청정한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
(배기 후드, 스팀관)
횡형 회전식 건조기에 회전통의 출구측 단부 전체를 덮고, 회전통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백 필터와 이어지게 하는 배기 후드를 설치하고, 이 배기 후드에 스팀관을 둘러싸게 해서 보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가스를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로 유통시키므로, 건조품의 출구측에서의 온도는 낮다.
그래서, 배기 후드에 스팀관을 둘러싸게 해서 보온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피처리물이 입경 100㎛ 이하의 금속 미립자를 함유할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과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금속 분체 이외의 무기 분체 또는 유기 분체, 고분자 분체 등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 후의 슬러리로서는 함액률이 19~12wt%(W.B.)인 것이 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해, 건조품의 컨태미네이션, 입자 형상의 변형, 입도 분포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종 제품의 품질 및 수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건조 설비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은 회전통에 설치된 배출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의 단면 부분도이다.
도 10은 고액 분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건조 설비(댐퍼 있음)의 전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건조 설비(댐퍼 없음)의 전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건조 설비의 전체도이다. 이 고액 분리·건조 설비에는 미분 슬러리가 공급되고, 고액 분리 및 건조가 행해짐으로써, 최종 제품을 얻는다. 이하에, 이들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피처리물(P))
피처리물(P)로서, 금속 미분 슬러리의 예에 대한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금속 미분 슬러리로서는, 특히 입경 100㎛ 이하의 금속 미립자의 슬러리일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미립자의 예로서, 천이 금속 화합물, 리튬염 분말, 금속 정련(精鍊) 더스트, 은 분말 등의 금속 미분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이 금속 화합물로서, 티탄산리튬, 산화철, 인산철, 수산화니켈, 니켈망간코발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정련 더스트로서, 철, 아연,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슬러리는 물을 분산 매체로 하는 것 외에, 다른 액체가 분산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미분 외에, 무기 분체 또는 유기 분체, 고분자 분체 등이라도 된다.
(입경)
본 발명의 「입경」이란, 중위 직경(메디안 직경이라고도 함)을 말한다. 중위 직경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사용해서 정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JIS 8825 2013에 기재된 방법으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예를 들면, 상품명 SALD-3100,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를 사용해서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누적 체적이 50%에 상당할 때의 입자 직경을 중위 직경(D50)으로서 정한다.
또한, 상기 피처리물(P)에 함유되는 미립자의 입경의 범위는 100㎛ 내지 0.01㎛가 바람직하다.
(고액 분리 장치(51))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장치(51)는, 복수의 롤(2)에 권회되어 주행하는 분리 여과포(1)(이하, 「여과포(1)」라 함)와, 공급구(3)로부터 상기 여과포(1)에 공급된 피처리물(P)을 여과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와, 상기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의 후단에 설치되고, 2차 탈수 기구로서 사용하는 고액 분리 장치(9)를 갖는다. 그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677484호의 장치를 들 수 있다. 구조예에 대해서, 기꺼이 필요한 범위에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는, 피처리물(P)을 놓은 여과포(1)가 진공 트레이 상을 주행할 때에, 그 여과포(1)를 개재해서 진공 흡인을 행하고, 이에 따라 피처리물(P)을 여과하는 것이다.
또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4677484호 공보, 일본 특허공보 제4739401호, 일본 특허공보 제4381461호, 일본 특허공보 제4381462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여과포(1) 상의 피처리물(P)(탈액 케이크)의 상방으로부터 세정액을 유하시키고, 그 세정액에 피처리물(P)에 함유되는 불순물을 용해시켜, 탈수 케이크를 세정하여, 제품 순도를 높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그 구성은 범용되어 있는 것이므로, 도 2에 그 상세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세정액으로서는,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물 외에 산성액 등이 사용된다.
세정액의 온도는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0~75℃의 고온 세정액이어도 된다.
세정액의 온도가 높을 경우,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를 후드(51)에 의해 둘러싸서,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만으로는 피처리물에 대기압보다 큰 차압(差壓)을 작용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여과 후의 탈수 케이크의 함액률이 목표값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고액 분리 장치(51)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의 후단에 고액 분리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액 분리 장치(9)에 의해 2차 탈액(탈수)을 행하여, 여과 후의 탈수 케이크의 함액률을 저하시킨다.
상기 고액 분리 장치(9)는, 분리롤(7)과 분리 여과포(8)를 구비한다. 분리롤(7)은, 피처리물(P)이 공급되는 여과포(1)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2) 중, 상기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보다 주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분리롤(7)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공(7A)이 형성되고, 이 통기공(7A, 7A…)을 개재해서, 분리롤(7)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통기 가스(g)를 통기한다. 이 통기 가스(g)는 여과포(1)를 빠져나가, 여과포(1) 상의 피처리물(P)을 고액 분리한다.
상기 분리롤(7)의 내주부에는 분리롤(7)의 통기공(7A)으로부터 통기 가스(g)를 통기하는 복수의 통기 가스 챔버(7B)가, 서로 격리단절(隔絶)되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아울러, 각 통기 가스 챔버(7B)가 형성된 범위에 있어서의 분리롤(7)의 외주면에는 오목 개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기공(7A)은 오목 개소의 저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통기 가스 챔버(7B)마다 서로 격리단절되어 분리롤(7)의 외주면의 오목 개소에 수용됨으로써 분리롤(7)의 외주면과 상기 여과포(1) 사이에 끼워 장착된 분리 수단(7C)에 의해, 분리롤(7)의 외주면과 상기 여과포(1) 사이에서 통기 가스(g)를 분산시키고, 피처리물(P)에 통기해서 피처리물(P)을 고액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수단(7C)을 예시하면, 철망, 수지망, 상기 여과포(1)보다 눈이 성긴 여과포, 소결 철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분산 수단(7C)은 분리롤(7)의 중심 축선 방향에 있어서, 피처리물(P)의 분리롤(7)의 외주면에서의 폭과 동일한 범위, 또는 이 폭보다 좁은 범위에 배설(配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분리롤(7)의 외주에는 여과포(1)가 감기고, 그 여과포(1)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처리물(P)이 분리롤(7) 상의 분리 여과포(8)와의 사이에 공급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분리롤(7)의 외주면에서,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 사이에 피처리물(P)을 끼워 넣어 압착함으로써, 더욱 탈액할 수 있다. 이 때의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분리 여과포(8)의 배면에 압착 벨트(10)가 설치되어 있고, 분리 여과포(8)를 그 배면측으로부터 피처리물(P)에 압부(押付)하도록 되어 있다. 압착 벨트(10)로서는, 금속, 수지, 고무, 천 등 적당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통기 가스 챔버(7B)로부터의 통기가 빠지도록, 통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분리롤(7)의 외주에 압부될 때에, 피처리물(P)은 분리롤(7)의 직경 방향의 가압력에 추가해서, 피처리물(P)을 사이에 두고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의 주행 거리의 차, 즉 주속의 차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도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압착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압착된 피처리물(P)은. 또한 분리롤(7)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됨으로써, 액 분리가 분리 여과포(8)를 개재해서 분리된다. 그 결과, 여과포(1)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면압이나 선압 및 가압만으로는 충분한 함액률의 저하가 곤란한 피처리물(P)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액 분리의 제거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기공(7A)이 형성된 분리롤(7)의 외주면에, 피처리물(P)을 끼워 넣은 여과포(1) 및 분리 여과포(8)가 그대로 밀착해서 압착, 통기하는 것뿐이면, 분리롤(7)의 외주면의 통기공(7A)에 위치해서 분리롤(7)에 권회된 부분에 대해서 통기공(7A)끼리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는, 통기 가스(g)의 피처리물(P)에의 통기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함액률의 저감이 불충분해짐과 아울러, 피처리물(P)의 케이크 전체로서도 함액률에 부분적인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장치(9)는 분리롤(7)의 외주면과 여과포(1) 사이에 통기 가스(g)의 분산 수단(7C)을 끼워 장착해서, 분리롤(7)의 외주면의 통기공(7A)으로부터 분출한 통기 가스(g)를 여과포(1)와의 사이에서 분산시킴으로써,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에 끼워 넣어진 피처리물(P)에 대해 통기 가스(g)를 균등하게 통기시킨다. 그 결과, 케이크 전체로서의 함액율의 균등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함액률 자체의 저감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다른 태양으로서 분리롤(7)의 외주면에 통기공을 미세하게 다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액 분리 장치(9)에 의해 탈액(탈수)된 피처리물은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의 밀착 상태가 개방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되었을 때에 고액 분리 장치(51)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개방된 여과포(1), 분리 여과포(8) 및 압착 벨트(10)의 주행 경로에는 여과포(1), 분리 여과포(8) 및 압착 벨트(10)의 표면에 부착된(잔류된) 피처리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여과포(1)의 세정 장치나, 도 10에 나타내는 분리 여과포 세정 장치(20), 압착 벨트 세정 장치(21)가 구비되고, 여과포(1), 분리 여과포(8) 및 압착 벨트(10)를 향해 세정액이 분사된다. 또한, 상기 세정은 여과포(1), 분리 여과포(8) 및 압착 벨트(10) 중 어느 하나에만 행해도 된다.
여기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의 온도는 10℃~75℃이면 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가 바람직하다. 세정액의 온도가 예를 들면 60℃~75℃이면, 고액 분리 장치(51)를 덮는 후드(51A)가 대량의 증기로 가득찬다. 그 결과, 낙하 슈트(40), 반송 장치(52), 공급 슈트(43) 및 피처리물 공급로(41)를 개재해서 후드(51A)와 연통하는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의 입구 부분(53A)의 온도가 높아져, 입구 부분(53A)에 피처리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유하 유로(140)를 개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피처리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캐리어 가스(G)의 온도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세정액의 온도를 10~50℃로 함으로써,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입구 부분에서의 피처리물의 부착이나, 캐리어 가스의 상대 습도의 과도한 상승을 피할 수 있다.
그 외에, 개방된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8)의 주행 경로에 스크레이퍼(22)를 설치하여, 여과포(1)나 분리 여과포(8)에 부착된 피처리물을 없애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51)는 후드(51A)에 의해 덮여 있고, 그 후드(51A)에 피처리물의 배출구(63)가 형성된다. 또한, 후드(51A)에는 세정액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배기구(60)는 관로(61)를 개재해서 배기용 송풍기(62) 등에 접속되어, 후드(51A) 내의 배기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장치(51)에 의해, 예를 들면, 함액률이 약 90wt%(W.B.)인 미분 슬러리를 고액 분리 처리하면, 약 15wt%(W.B.) 정도로 탈액할 수 있다.
또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4), 드럼식 진공 여과 장치 또는 벨트 프레스 탈수기에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을 조합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탈액(탈수) 후의 슬러리의 함액(함수)률은 35~30wt%(W.B.) 정도가 한계이다.
(반송 장치(52))
상기 고액 분리 장치(51)에 의해 탈액(탈수)된 피처리물(탈액물)은 후술하는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 이송된다. 고액 분리 장치(51)로부터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의 반송에, 반송 장치(52)가 사용된다. 이 반송 장치(52)로서, 예를 들면 고무 벨트를 사용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52)는, 고액 분리 장치(51)로부터 배출되고 낙하 슈트(40)를 개재해서 낙하하는 탈액물을, 벨트 컨베이어(52)의 시단(始端)측에서 수용하고, 종단측으로부터 배출하는 것이다. 배출한 탈액물은 공급 슈트(43) 및 공급구(53A)로 연결되는 피처리물 공급로(41)(이하, 「공급로(41)」라 함)로 도입된다.
도 1의 형태에서는, 공급 슈트(43) 도중에, 그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게이트를 상하 이중으로 배치한 (더블) 댐퍼(42)를 설치하고 있다. 댐퍼(42)에 대체해서 로터리 밸브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댐퍼(42)는 벨트 컨베이어(52)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53) 사이에 공급 슈트(43)를 개재하지 않고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 슈트(43)에는 캐리어 가스(G)의 취입구(43A)가 설치된다. 도 1의 댐퍼를 설치한 형태에서는, 댐퍼(42)의 하류측에 취입구(43A)를 설치하여, 댐퍼(42)의 하류측으로부터 캐리어 가스(G)를 유입시키고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52)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53) 사이에 공급 슈트(43)를 개재하지 않고 댐퍼(42)를 접속한 경우는, 댐퍼(42)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53) 중 어느 하나에 퍼지용 캐리어 가스(G)를 유입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취입구(43A)를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에 설치하여, 퍼지용 캐리어 가스(G)를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에 직접 유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공급로(41)는 공급 슈트(43)와 접속하는 수직부(41A)와, 수직부(41A)에 접속되고 공급구(53A)를 갖는 경사부(41B)로 이루어진다. 공급로(41)는 회전통(30)의 일단측을 밀봉하기 위해 설치된 고정 부재(E)에 고정된다.
상기 공급로(41)에는 필요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44)를 설치할 수 있고, 진동 발생 장치(44)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탈액물의 상기 공급로(41)에의 부착을 방지한다. 이 진동 발생 장치(44)는 공급로(41)의 경사부(41B)에 설치되고, 그 위치는 길이 방향 중 수직부(41A)측, 바람직하게는 수직부(41A)와의 접속부 근방이 바람직하다. 진동 발생 장치(44)를 이러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공급 슈트(43)로부터의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와 진동 발생 장치(44)의 설치 위치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진동 발생원(源)의 근방에 낙하한 탈액물은 신속하게 건조기(53)로 공급된다. 또한, 이 진동 발생 장치(44)로서는 언밸런스 매스형, 동전(動電)형, 유압(油壓)형 등 공지의 진동 발생 장치(44)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로(41)에 진동 발생 장치(44)를 설치할 때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개재해서 고정 부재(E)와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형 회전식 건조기(53))
본 발명에 따른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서, 예를 들면 간접 가열형 횡형 회전식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는 일단측에 탈액물의 공급구(53A)와, 타단측에 건조물의 배출구(53B)를 갖고, 축심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통(30)과, 이 회전통(30)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31)을 구비한다.
공급구(53A)로부터 건조기(53) 내에 공급된 탈액물은 타단측으로 이동해서 배출구(53B)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 수단(31)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된다.
상기 가열 수단(31)은 회전통(30)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열관으로 할 수 있다. 이 가열관(31)은 복수의 금속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회전통(30)의 축심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도록, 또는 방사상으로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가열관(31)의 내부에는 가열 매체인 증기 등이 흘러, 회전통(30) 내부를 이동하는 피처리물(탈액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한다. 또한, 이 가열 매체의 공급 및 배출의 방향에 한정은 없다.
상기 취입구(43A)로부터 취입된 캐리어 가스(G)는 피처리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수반하여, 케이싱(33)의 배기구(34)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캐리어 가스(G)는 피처리물 공급로(41) 내에서 흐르기 때문에, 피처리물 공급로(41)의 세정용 가스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이 캐리어 가스(G)가 흐르는 방향은 피처리물(P)이 흐르는 방향과 동일하게 하는 「병류」를 채용한다.
상기 회전통(30)의 타단측에는, 회전통(30)에 형성된 배출구(53B)와 연통하고, 회전통(30) 내의 캐리어 가스(G)를 유로(54)에 배출하기 위한 케이싱(33)이 구비된다. 이 케이싱(33)의 상부에는 캐리어 가스(G)의 배기구(34)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구(34)와 유로(54)가 접속된다. 또한, 케이싱(33)의 저면에는 피처리물(P)의 배출구(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33)의 외표면에 가열 배관(33A)을 설치하고, 이 가열 배관(33A) 안에 스팀 등의 가열 매체(S)를 흘려, 케이싱(33) 내의 캐리어 가스(G)가 결로되지 않도록 따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가스(G)를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통시키므로(병류를 채용하므로), 출구측에서의 캐리어 가스(G)의 온도가 낮다. 그래서, 배기 후드(33)에 스팀관(33A)을 둘러싸게 해서 보온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의 응축을 억제하여, 원활하게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관(33A)은 예를 들면 케이싱(33)의 외표면을 나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케이싱(33)은 회전통(30)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통(30)의 단면에 케이싱(33)을 장입(裝入)하고, 케이싱(33)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스크레이핑 날개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물(P)을 배출구(35)로부터 배출하고, 캐리어 가스를 배기구(34)로부터 배기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통(30)에 형성된 캐리어 가스 배출구(53D)와 피처리물 배출구(53C)가, 회전통(3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 배출구(53C, 53D) 각각에 케이싱(33)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적어도 캐리어 가스 배출구(53D)를 덮는 케이싱(33)에 가열관(33A)을 배치하면 된다.
또한, 케이싱(33)은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통(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배기구(34)로부터의 배기 가스(캐리어 가스(G))는 유로(54)를 개재해서 백 필터(55)에 공급된다. 백 필터(55)에서는 캐리어 가스(G)와 함께 비산된 금속 미립자를 포집하고, 건조 제품으로서 회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기구(34)로부터 유로(54) 및 백 필터(55)에 이르는 범위에 있어서도, 케이싱(33)과 마찬가지로 가열 배관(도시 생략)을 설치하여, 배기 가스의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하 유로(1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액 분리·건조 설비(댐퍼 있음)의 전체도를 도 11에 나타낸다. 상기 고액 분리 장치(51)에 의해 탈액(탈수)된 피처리물(탈액물)은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 이송된다. 고액 분리 장치(51)로부터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의 이송에, 공급 슈트(43) 및 공급로(41)를 포함하는 유하 유로(140)가 사용된다.
고액 분리 장치(51)로부터 배출되고 후드(51A)의 배출구(63)를 개재해서 낙하하는 탈액물은,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의 피처리물 공급로(41) 및 공급구(53A)에 연결되는 공급 슈트(43)로 도입된다.
도 11의 형태에서는, 유하 유로(140) 도중에, 그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게이트를 적어도 상하 이중으로 배치한 (더블) 댐퍼(4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유하 유로(140)에는 캐리어 가스(G)의 취입구(4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의 댐퍼를 설치한 형태에서는, 댐퍼(42)의 하류측에 취입구(43A)를 설치하여, 댐퍼(42)의 하류측으로부터 캐리어 가스(G)를 유입시키고 있다.
또한, 취입구(43A)를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에 설치하여, 퍼지용 캐리어 가스(G)를 횡형 회전식 건조기(53)에 직접 유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11의 형태에서는, 고액 분리 장치(51)를 둘러싸는 후드(51A) 내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53) 내의 연통을 차단 및 해방하는 에어 록 기기로서 댐퍼(42)를 사용했지만,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밸브를 1단 또는 그 이상의 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록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피처리물의 낙하 동력에 의해서만 횡형 회전식 건조기(53)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형태는 특히 세정액 온도가 10℃~50℃일 때에 유효하다. 상기 온도이면, 에어 록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건조기(53)의 입구 부분(53A)에 피처리물이 부착되거나, 캐리어 가스(G)의 상대 습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공급로(41)의 경사부(41B)에 진동 발생 장치(44)를 설치하면 된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 중 수직부(41A)측, 바람직하게는 수직부(41A)와의 접속부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발생 장치(44)를 이러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공급 슈트(43)로부터의 피처리물의 낙하 위치와 진동 발생 장치(44)의 설치 위치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진동 발생원의 근방에 낙하한 탈액물은 신속하게 건조기(53)로 공급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자들은, 도 1의 설비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니켈코발트망간 화합물의 고액 분리·건조를 행했다.
함액률이 90wt%(W.B.)인 니켈코발트망간 화합물을 처리했다. 처리량은 건조물 상태의 양으로 환산하면 100㎏/h이다.
니켈코발트망간 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 장치(51)로 처리한 결과, 그 배출구에서는 15wt%(W.B.)까지 낮출 수 있었다.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해서, 이 고액 분리 후의 피처리물(탈액물)을 건조 장치(53)로 이송하고, 이 건조 장치(53)로 건조시킨 결과, 1wt%(W.B.)까지 건조할 수 있었다.
상기 건조에 의해, 공급구(53A)에서 10℃였던 피처리물의 온도는 배출구(53B)에서 120℃까지 상승했다. 캐리어 가스(G)의 공급량은 35㎏/hr이다.
그리고, 피처리물의 건조품을 ICP 발광 분광 분석법이나 형광 X선 분석법을 사용해서 분석한 결과, 이물의 혼입은 보이지 않고, 컨태미네이션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건조품의 입자 형상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접 가열형 횡형 회전식 건조기인 스팀 튜브 드라이어(이하, 「STD」라 함)에 의한 건조와, 스프레이식 등의 기류 건조기에 의한 건조에 의해, 출구측의 산소 농도를 조사했다. 기류 건조기에서는 20vol%, STD에서는 11vol%로 되었다.
이는, STD에서는 건조품의 산화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에, 산화에 의한 품질 악화를 피해야 하는 재료의 건조에 적합함을 의미하고 있다.
<비교예 2>
또한, 캐리어 가스를 향류로 한 경우에 배기 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해서 처리물에 결로되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건조 처리를 행한 피처리물의 수분이 어느 정도 상승하는지 조사한 결과, 병류일 경우에는 15wt%(W.B.)인 것이, 향류일 경우에는 18wt%(W.B.)로 수분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캐리어 가스가 병류일 경우에는, 피처리물의 부착 트러블이나 조립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 여과포(분리 여과포)
1A : 수평부
2 : 롤
3 : 공급구
4 :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7 : 분리롤
7A : 통기공
7B : 통기 가스 챔버
7C : 분산 수단
8 : 분리 여과포
9 : 고액 분리 장치
10 : 압착 벨트
20 : 분리 여과포 세정 장치
21 : 압착 벨트 세정 장치
22 : 스크레이퍼
30 : 회전통
31 : 가열 수단(가열관)
33 : 케이싱
33A : 가열 배관
34 : 배기구
35 : 배출구
40 : 낙하 슈트
41 : 피처리물 공급로(공급로)
41A : 수직부
41B : 경사부
42 : 댐퍼
43 : 공급 슈트
43A : 취입구
44 : 진동기
51 : 고액 분리 장치
51A : 후드
52 : 반송 장치(벨트 컨베이어)
52A : 벨트
52B : (벨트 컨베이어의) 배출구
52C : (벨트 컨베이어의) 공급구
53 : 횡형 회전식 건조기
53A : 공급구
53B : 배출구
53C : 피처리물 배출구
53D : 캐리어 가스 배출구
54 : 유로
55 : 백 필터
56 : 더블 범퍼
60 : 배기구
61 : 관로
62 : 배기용 송풍기
63 : (고액 분리 장치의) 배출구
140 : 유하 유로
E : 고정 부재
G : 캐리어 가스
P : 피처리물
S : 가열 매체
g : 통기 가스

Claims (15)

  1.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무단상(無端狀)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중첩되어 권회(券回)되면서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압착되고, 아울러,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으로부터 분리롤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 통기되는 통기 가스에 의해 탈액(脫液)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고액 분리 장치와,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후단에 설치되며, 일단(一端)측에 피처리물의 공급구를, 타단측에 피처리물의 배출구를 갖고, 축심 방향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회전통 내부에 설치한 가열 매체를 유통시키는 가열관을 갖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의 공급구로부터 공급한 피처리물을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건조하는 횡형 회전식 건조기를 구비하고,
    캐리어 가스를 상기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竝流)로 유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微粉)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 장치와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한,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배출구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캐리어 가스를, 상기 댐퍼보다 횡형 회전식 건조기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유입시키도록 한,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미분 슬러리의 상기 고액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피처리물을, 기계적 반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낙하 중력에 의해,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는 유하(流下) 유로를 구비한,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하 유로는, 낙하 중력에 의해서만,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는 것인,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하 유로에는, 고액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후드 내와 횡형 회전식 건조기 내의 연통을 차단 및 해방하는 에어 록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록 기기는, 피처리물의 낙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댐퍼인,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록 기기는, 피처리물의 낙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로터리 밸브인,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하 유로에 진동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캐리어 가스의 배출 유로에, 백 필터를 설치한,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에, 회전통의 타단측 단부에 접속되며, 회전통의 배기를 배출하고, 상기 백 필터와 이어지게 하는 배기 후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후드에 가열관을 구비한,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12.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무단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중첩되어 권회되면서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 넣어져 압착되고, 아울러, 상기 분리롤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으로부터 통기되는 통기 가스에 의해 탈액되는 구성의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해, 피처리물을 고액 분리하고,
    일단측에 피처리물의 공급구를, 타단측에 피처리물의 배출구를 갖고, 축심 방향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통과, 회전통 내부에 설치한 가열 매체를 유통시키는 가열관을 갖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의 공급구로부터 공급한 피처리물을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건조하는 횡형 회전식 건조기에 의해, 고액 분리한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고액 분리·건조 방법으로서,
    캐리어 가스를 상기 회전통 내에,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병류로 유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미분 슬러리의 상기 고액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피처리물을, 기계적 반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유하 유로를 개재해서 낙하 중력에 의해, 상기 횡형 회전식 건조기의 공급구로 도입하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이 입경 100㎛ 이하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 장치는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고액 분리 후의 피처리물을 배출한 후에, 분리 여과포에 부착되어 있는 피처리물에 대해 10℃~50℃의 온도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방법.
KR1020167018600A 2014-01-10 2014-12-22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KR102304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2931A JP5756190B2 (ja) 2014-01-10 2014-01-10 微粉スラリーの固液分離・乾燥設備及びその方法
JPJP-P-2014-002930 2014-01-10
JP2014002930A JP5736471B1 (ja) 2014-01-10 2014-01-10 金属微粉スラリーの固液分離・乾燥設備及びその方法
JPJP-P-2014-002931 2014-01-10
PCT/JP2014/083952 WO2015104990A1 (ja) 2014-01-10 2014-12-22 微粉スラリーの固液分離・乾燥設備及びそ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337A true KR20160108337A (ko) 2016-09-19
KR102304049B1 KR102304049B1 (ko) 2021-09-17

Family

ID=5352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600A KR102304049B1 (ko) 2014-01-10 2014-12-22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79287B2 (ko)
EP (1) EP3093598B1 (ko)
KR (1) KR102304049B1 (ko)
CN (1) CN105917184B (ko)
CA (1) CA2936165C (ko)
TW (1) TWI633958B (ko)
WO (1) WO201510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049B1 (ko) * 2014-01-10 2021-09-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JP6498139B2 (ja) * 2016-03-09 2019-04-10 株式会社鶴見製作所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IT201600125377A1 (it) * 2016-12-13 2018-06-13 Imal Srl Impianto per l'essiccazione di materiale legnoso incoerente
US10072214B1 (en) * 2017-02-15 2018-09-11 American Peat Technology, Llc Mechanical demoisturizing of partially-decomposed organic material
CN106979668B (zh) * 2017-05-02 2019-05-21 山东嘉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的生物质脱水处理设备
CN107084597A (zh) * 2017-06-13 2017-08-22 肖顺治 一种豆腐渣烘干设备
CN109200667A (zh) * 2017-07-10 2019-01-15 邯郸学院 一种用于化工生产的固液分离装置
JP7193326B2 (ja) * 2018-12-07 2022-12-20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および濾過装置
TWM599894U (zh) * 2020-05-14 2020-08-11 佳格食品股份有限公司 噴料滾筒系統
CN111873228B (zh) * 2020-06-18 2022-03-11 浙江汇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色母粒干燥腔结构
CN113983782B (zh) * 2021-10-29 2022-11-01 湖南一方天江药业有限公司 一种提高烘干效果的中药烘干装置
CN114353475B (zh) * 2022-01-05 2023-04-07 山西省代县贵喜酒业有限公司 一种去水效果好的黄酒生产用沥水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904B2 (ko) 1972-07-07 1976-10-12
US4031354A (en) * 1974-05-15 1977-06-21 Canada Packers Limited Rotary heating apparatus for puffing borax
JP2000320966A (ja) * 1999-05-11 2000-11-24 Miike Tekkosho:Kk 破砕・選別・乾燥装置
JP2004044985A (ja) * 2002-07-15 2004-02-12 Noritake Co Ltd 連続乾燥装置
JP2005016898A (ja) * 2003-06-27 2005-01-20 Tsukishima Kikai Co Ltd 間接加熱型回転乾燥機
JP2011078933A (ja) 2009-10-08 2011-04-21 Dowa Eco-System Co Ltd 有価金属含有廃棄物の精製方法、スズ含有廃棄物の精製方法、及び酸化スズ精製物
KR101192081B1 (ko) * 2008-03-25 2012-10-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6434A (en) * 1952-08-09 1956-02-28 Du Pont Semicontinuous combined filter and drier
US4523988A (en) * 1983-08-18 1985-06-18 Apache Equipmen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virgin and/or reclaiming used abrasives
JPS61138081A (ja) 1984-12-11 1986-06-25 三井造船株式会社 通気併用型蒸気管付回転乾燥機
JPH02214511A (ja) * 1989-02-14 1990-08-27 Arai Tekkosho:Kk 連続式固液分離装置
US5091079A (en) * 1990-03-09 1992-02-25 Danny Gayman Sludge treatment apparatus
NL9001170A (nl) * 1990-05-21 1991-12-16 Pannevis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vloeistof uit een mengsel van vloeistof en vaste stof.
US5233763A (en) * 1990-12-14 1993-08-10 Minnie Jr Clarence O Sludge drying apparatus
FR2673933B1 (fr) * 1991-03-13 1994-03-04 Degremont Sa Appareil compact de traitement des boues par egouttage et pressage.
DE9103729U1 (ko) * 1991-03-22 1991-06-27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EP0517985B1 (en) * 1991-06-13 1995-09-20 Tsukishima Kikai Co. Ltd. Vacuum filtration apparatus with horizontal filter-like conveyor
JPH0658665A (ja) 1991-07-19 1994-03-04 Hokoku Kogyo Co Ltd 穀物用通風貯溜容器の床面構造
GB2265841B (en) * 1992-04-07 1995-07-26 D & C Ltd Horizontal belt filter
GB2266671B (en) * 1992-04-28 1995-07-26 D & C Ltd Filter apparatus
NL9201576A (nl) * 1992-09-10 1994-04-05 Pannevis Bv Filtreerinrichting.
GB9302333D0 (en) * 1993-02-05 1993-03-24 Ici Plc Filtration process
JPH0729005B2 (ja) * 1993-03-05 1995-04-05 康博 佐々木 固液分離装置
DE4336736A1 (de) * 1993-10-28 1995-05-04 Bayer Ag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iltrieren und Trocknen einer Feststoffsuspension
JP2771445B2 (ja) 1994-03-07 1998-07-02 東亜環境サービス株式会社 汚泥処理装置
SE503543C2 (sv) * 1994-09-14 1996-07-01 Kvaerner Hymac As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koncentrering av en fibersuspension
CN1055155C (zh) * 1994-10-28 2000-08-02 北京矿冶研究总院 铁氧体磁粉料浆干燥方法及设备
US5571404A (en) * 1994-10-31 1996-11-05 Pannevis B.V. Belt filter with means to advance the belt responsive to a capacitance signal
NL1001970C2 (nl) * 1995-12-21 1997-06-24 Pannevis Bv Inrichting voor het filtreren, wassen en drogen van een vaste stof-vloeistofmengsel.
SE511267C2 (sv) * 1998-01-19 1999-09-06 Sunds Defibrator Ind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koncentrering av vätskebemängt material
NO307162B1 (no) 1998-05-18 2000-02-21 Ewos Innovation As Fremgangsmåte og anlegg for tørking av oppdelt/pelletert materiale, særlig animalsk og/eller vegetabilsk fôrstoff, næringsmiddel etc.
US6248245B1 (en) * 1998-05-29 2001-06-19 Ashbrook Corporation Belt press with adjustable inlet guide
US7314141B1 (en) * 1998-08-06 2008-01-01 Paul Hedley Day Folding belt filter
JP3171184B2 (ja) 1999-06-07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乾燥装置及び加熱乾燥方法
JP4153142B2 (ja) * 2000-05-08 2008-09-17 株式会社オメガ 汚泥等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US7651619B2 (en) * 2001-12-28 2010-01-26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Dtu)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949527B2 (ja) 2002-07-10 2007-07-25 月島機械株式会社 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
JP3924680B2 (ja) 2002-12-17 2007-06-06 三菱マテリアルテクノ株式会社 濃縮装置
AT412277B (de) * 2003-04-30 2004-12-27 Armin Vonpl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trocknen von gut, insbesondere klärschlamm
JP4368773B2 (ja) * 2004-09-22 2009-11-18 月島機械株式会社 真空濾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真空濾過装置
JP2007112880A (ja) * 2005-10-19 2007-05-10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燃料化装置及び燃料の製造方法
US7381329B1 (en) * 2006-11-07 2008-06-03 William Harris Moss Belt press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olids capture and high solids content
CN200966957Y (zh) * 2006-11-20 2007-10-31 辽宁海裕液压系统工程有限公司 网带式真空过滤机
JP4979538B2 (ja) * 2007-10-16 2012-07-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間接加熱乾燥装置、被乾燥物の間接加熱乾燥方法、ならびに固形燃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381461B2 (ja) 2008-03-25 2009-12-09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381462B1 (ja) 2008-10-29 2009-12-09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US7964105B2 (en) * 2008-08-07 2011-06-21 William Harris Moss Method for improving belt press dewatering
JP5136904B2 (ja) 2008-12-02 2013-02-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ニッケル粉の製造方法
JP4677484B2 (ja) 2008-12-24 2011-04-27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739401B2 (ja) 2008-12-24 2011-08-03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CN102292610B (zh) * 2009-01-23 2014-05-14 月岛机械株式会社 卧式旋转式干燥机
CN102348487A (zh) * 2009-03-09 2012-02-08 尤尼文图瑞公司 用于从液体分离颗粒的方法和装置
WO2010150343A1 (ja) 2009-06-23 2010-12-29 Ando Toshiharu 栄養富化穀物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穀物乾燥施設
JP5509024B2 (ja) 2010-10-12 2014-06-04 月島機械株式会社 石炭乾燥装置及び石炭乾燥方法
KR101366907B1 (ko) 2011-08-03 2014-02-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흡수성 물질이 코팅된 실의 제조방법
US8562832B2 (en) * 2011-10-26 2013-10-22 Rejean Houle Three-stage slur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151383A (ja) 2012-01-24 2013-08-08 Tsukishima Kikai Co Ltd 金属の凝集粒子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GB2502256B (en) 2012-04-23 2018-08-15 Brian Lewis Ian Apparatus for the Drying of Particulate Material
KR102304049B1 (ko) * 2014-01-10 2021-09-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BR102014002076A2 (pt) * 2014-01-28 2016-02-02 Green Metals Soluções Ambientais S A processo de extração de argila, sílica e minério de ferro através de concentração a seco
US9863101B2 (en) * 2015-06-04 2018-01-09 Gencor Industries, Inc. Highly portable asphalt plant
BR202015013385Y1 (pt) * 2015-06-09 2020-06-16 Ciber Equipamentos Rodoviários Ltda Aperfeiçoamento aplicado em usinas asfálticas móveis dotadas de proteções laterais
US10072214B1 (en) * 2017-02-15 2018-09-11 American Peat Technology, Llc Mechanical demoisturizing of partially-decomposed organic materi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904B2 (ko) 1972-07-07 1976-10-12
US4031354A (en) * 1974-05-15 1977-06-21 Canada Packers Limited Rotary heating apparatus for puffing borax
JP2000320966A (ja) * 1999-05-11 2000-11-24 Miike Tekkosho:Kk 破砕・選別・乾燥装置
JP2004044985A (ja) * 2002-07-15 2004-02-12 Noritake Co Ltd 連続乾燥装置
JP2005016898A (ja) * 2003-06-27 2005-01-20 Tsukishima Kikai Co Ltd 間接加熱型回転乾燥機
KR101192081B1 (ko) * 2008-03-25 2012-10-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JP2011078933A (ja) 2009-10-08 2011-04-21 Dowa Eco-System Co Ltd 有価金属含有廃棄物の精製方法、スズ含有廃棄物の精製方法、及び酸化スズ精製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3598A4 (en) 2017-08-23
US10279287B2 (en) 2019-05-07
TWI633958B (zh) 2018-09-01
CN105917184B (zh) 2019-03-19
EP3093598B1 (en) 2021-02-03
KR102304049B1 (ko) 2021-09-17
CA2936165A1 (en) 2015-07-16
TW201532713A (zh) 2015-09-01
CN105917184A (zh) 2016-08-31
WO2015104990A1 (ja) 2015-07-16
EP3093598A1 (en) 2016-11-16
CA2936165C (en) 2021-08-03
US20160325209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337A (ko)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CN107976054B (zh) 一种1,3-环己二酮闭路循环两级干燥方法及干燥装置
CN100533025C (zh) 用于松散颗粒物质除湿的料斗
JP2006266552A (ja) 乾燥装置
KR102061717B1 (ko) 과립형 폴리실리콘을 분급 및 탈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95048B1 (ko) 피처리물의 건조 분급기 및 건조 분급 방법
JP5736471B1 (ja) 金属微粉スラリーの固液分離・乾燥設備及びその方法
JPH05506808A (ja) 中間段分離器
US5603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wood drying system
DE19648511C1 (de) Stülpfilterzentrifuge
US2098024A (en) Vacuum drier with centrifugal dust separator
JP5756190B2 (ja) 微粉スラリーの固液分離・乾燥設備及びその方法
CN104738158A (zh) 粮食烘干吸尘器
US10105648B2 (en) Method for decreasing an amount of a harmful substance of an off-gas stream formed or used in a thermal treatment of a material
JP4724674B2 (ja) 連続式乾燥機
WO2014077028A1 (ja) 粒状物の間接加熱乾燥方法、改質石炭の製造方法、間接加熱型乾燥装置及び改質石炭製造装置
KR100244065B1 (ko) 폐 페인트의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EP2425900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mercury from mercury-contaminated material
CN210417145U (zh) 粉料冷却输送装置
CN217817707U (zh) 基于涡流气流的硫酸锰产品冷却除湿装置
KR20130086425A (ko) 나노분말 제조장치
CN104761730B (zh) 聚乙烯醇中微量有机溶剂的置换设备及其方法
CN202590989U (zh) 一种应用于干燥机上的旋风分离装置
CN101954304A (zh) 全自动全封闭连续式物料处理设备
CN105218469B (zh) 用于干燥三聚氰胺晶体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