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278A -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278A
KR20160108278A KR1020160113626A KR20160113626A KR20160108278A KR 20160108278 A KR20160108278 A KR 20160108278A KR 1020160113626 A KR1020160113626 A KR 1020160113626A KR 20160113626 A KR20160113626 A KR 20160113626A KR 20160108278 A KR20160108278 A KR 2016010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sugar
fermentation
extract
rosé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950B1 (ko
Inventor
전순실
빙동주
김한진
이오석
정형석
조용기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갈대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갈대나라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6Preparation of sparkling wine; Impregnation of wine with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6Preparation of sparkling wine; Impregnation of wine with carbon dioxide
    • C12G1/064Preparation of sparkling wine; Impregnation of wine with carbon dioxide using enclosed y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발효된 머루와인과 노근 추출물을 1:9~3:7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당 및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한 로제 베이스 와인에 노근 추출물을 첨가하여 6~8%(v/v)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수득하는 단계; 및 수득한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에 인산암모늄, 당 및 효모를 첨가하여 병입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은 노근과 머루 특유의 향미와 색도 및 체내 유익한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관능미의 개선과 함께 건강도 증진시킬 수 있어 건강을 중시여기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와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Method of rose sparkling wine using extract of reed root}
본 발명은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인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칠레. 중국 등 28개 주요 나라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114개 소비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최근에는 와인전쟁이라고 할 만큼 국가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 전체 와인소비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스파클링와인의 수입 및 판매량은 매년 급속한 증가세를 보여 2007년 대비 2012년에는 236% 증가하였다.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은 발효가 끝난 탄산가스가 없는 일반 와인에 다시 설탕을 추가하여 인위적으로 다시 발효를 유도하여 와인 속에 기포가 발생하도록 만든 와인이다. 스파클링 와인은 과일 향과 브리오슈 과자 향이 특징이며, 기포 발생과 톡톡 튀는 맛이 매력적이고 탄산가스가 들어있기 때문에 발포성 와인이라고 부르며 그 중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것만을 특히, 샴페인이라고 부른다.
특히 스파클링은 완성된 와인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발효가 끝나고 맑게 여과한 와인에 설탕과 이스트를 넣어 혼합한 후 병에 넣어서 코르크 마개가 아닌 왕관 병마개로 막은 다음 시원한 곳에 두면 서서히 발효가 일어나면서 탄산가스가 병에 가득 차게 된다. 2~3개월 경과하면 발효가 완성되어 고유의 독특한 맛과 향을 얻을 수 있지만 이스트 찌꺼기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탄산가스의 손실 없이 이스트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구멍 뚫린 경사진 나무판에 병을 거꾸로 박아놓고 손으로 병을 돌려주면 이스트 찌꺼기가 뭉치면서 병 입구로 모이게 되면 병 입구 쪽만 얼린 후 병마개를 열면 탄산가스 압력에 의해 찌꺼기가 밀려 나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이렇게 복잡한 방법 대신 와인에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만들거나 탱크 내에서 두번째 발효를 시켜 병에 넣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샴페인은 어는 것이든 고급품 일수록 수정 같이 맑고 윤기나며, 밑면에서 거품이 올라오는 시간이 오래 지속되고 그 거품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한편, 최근에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포도주가 심장병 예방에 좋다는 효능이 알려지면서 와인에 대한 소비도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생산되는 와인은 숙성 기간이 짧고, 포도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외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국내 농특산물을 이용한 와인의 개발과 함께 다양성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수요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스파클링 와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2943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a) 증류수 1리터당 노근을 1.72 중량%(w/v)로 첨가한 후, 120℃의 온도에서 25분간 열수추출하여 노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머루를 제경하여 파쇄한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5°Brix로 조정하고, 상기 설탕이 첨가된 머루를 20℃에서 2주 동안 1차 발효를 진행한 후, 4℃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켜 1차 발효가 마친 머루와인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b)의 머루와인과 상기 (a)의 노근 추출물은 1:9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1°Brix로 조정하고, 양조 효모 쿼츠(Vitilevure Quartz)를 첨가하여 20℃에서 발효시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노근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 8%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d)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에 인산암모늄, 설탕 및 효모를 더 첨가하여 35℃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시킨 후, 20℃에서 8일 동안 병입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병입 발효 후 멸균 여과하고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시켜 병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증류수 1리터당 노근을 1.72 중량%(w/v)로 첨가한 후, 120℃의 온도에서 25분간 열수추출하여 노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머루를 제경하여 파쇄한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5°Brix로 조정하고, 상기 설탕이 첨가된 머루를 20℃에서 2주 동안 1차 발효를 진행한 후, 4℃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켜 1차 발효가 마친 머루와인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b)의 머루와인과 상기 (a)의 노근 추출물은 1:9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1°Brix로 조정하고, 양조 효모 쿼츠(Vitilevure Quartz)를 첨가하여 20℃에서 발효시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노근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 8%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d)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에 인산암모늄, 설탕 및 효모를 더 첨가하여 35℃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시킨 후, 20℃에서 8일 동안 병입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병입 발효 후 멸균 여과하고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시켜 병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의 양조 효모 쿼츠는 로제 베이스 와인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w/v)로 접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제 스파클링 와인은 알코올 농도 8 내지 9%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로제 스파클링 와인은 노근과 머루 특유의 향미, 색도 및 체내 유익한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관능미의 개선과 함께 건강도 증진시킬 수 있어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와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찌거기 제거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효모는 Fermivin, Vitilevure Quartz, Saccharomyces cerevisiae sp. S, Saccharomyces bayanus KCCM 11339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028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효모 중, Vitilevure Quartz, Saccharomyces cerevisiae sp. S, Saccharomyces bayanus KCCM 11339 또는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028은 상기 각 효모의 배양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에 첨가하는 효모는 4~6중량%(w/v)의 설탕물 중량 대비 18~12중량%(w/v)의 효모를 첨가하고 34~36℃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활성화 시킨 후 첨가할 수 있으며, 이후 병입 발효는 18~22℃ 온도에서 8~10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입 발효가 완료된 다음, 멸균 여과하고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시켜 병입하는 단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병입 발효를 통해 병안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하여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스파클링 와인 제조
1.1. 노근 추출물의 제조
노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증류수 1리터당 노근 1.72 중량%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하여 온도 120℃에서 25분간 열수추출 하였으며,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 2, Maidstonem England)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노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로제 베이스 와인 제조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베이스 와인의 제조를 위해, 1차 발효가 마친 머루와인과 상기 1.1. 에서 제조한 노근 추출물을 1:9(v/v) 혼합비율로 혼합하였으며, 로제 베이스 와인 제조 시 노근 추출물이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으로는 노근 추출물의 첨가량 만큼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1차 발효가 마친 머루와인은 머루를 제경하여 파쇄한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5 °Brix로 조정하고 20℃에서 1차 발효를 2주간 진행하여 10℃이하에서 2개월간 숙성시킨 머루와인을 사용하였다.
증류수 첨가로 각각 희석된 베이스 와인에는 설탕을 첨가하여 21°Brix로 조정한 다음 Saccharomyces cerevisiae를 0.5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고 20℃의 배양기에 넣고 발효를 진행하였다.
1.2.1.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분석
(가) pH 및 산도 변화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의 pH와 산도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초기 pH는 대조군(노근 추출물 미첨가군)과 첨가군(노근 추출물 첨가군)이 각각 3.53과 3.74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효 기간이 늘어날수록 두군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발효 14일째에는 각각 3.21과 3.2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표 1 참조). 초기 산도는 대조군과 첨가군이 각각 1.83과 1.55로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14일째에는 4.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표 2 참조).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1.2.2. 당도 및 알코올 함량 변화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의 당도와 알코올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기재하였다. 노근 추출물 첨가군 및 미첨가군(대조군) 모두 초기 당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21 oBrix로 조정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 1일째는 대조군과 첨가군이 20.20 oBrix, 19.53 oBrix로 첨가군의 당도가 조금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발효 2일째부터 당도가 급격하게 떨어졌으며 14일째에서는 각각 7.33 oBrix, 6.90 oBrix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당의 소모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당도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함량은 발효 1일째에는 두 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당의 소비와 유사하게 발효 2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각각 4.13%, 5.07%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8일째를 제외하고는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발효 14일째는 대조군과 첨가군이 13.83%, 14.20%로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노근(갈대뿌리)가 당의 소모를 빠르게 촉진시킬 수 있어 발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1.3. 병 발효를 통한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 제조
1.2.2.의 실험의 통해 본 발명자들은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와인의 알코올 함량은 14±40%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병입 발효를 진행하기 전에 병입 발효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로제 베이스 와인 350ml에 Saccharomyces cerevisiae 0.5중량%와 1중량%를 각각 접종하고 설탕 5.6g 첨가하여 20℃의 배양기에 넣고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런데 발효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예비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알코올 도수 14%에서는 효모의 생육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효모가 높은 알코올 도수에도 적응하고 내성이 생기기에는 다소 오랜 기간이 진행될 것으로 생각되어 노근 추출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를 8%로 낮춘 저알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한 후, 병입 발효를 진행하였다. 또한 효모의 생육을 돕기 위해 인삼암모늄 0.025%(w/v)를 첨가하였다.
이때, 스파클링 와인제조를 위해 사용된 효모는 다음과 같다. 건조 효모 Fermivin(Saccharomyces cerevisie; DSM Food Specialties, Delft, Netherlands)과 Vitilevure Quartz(Saccharomyces cerevisie var. bayanus), Saccharomyces cerevisiae sp. S를 사용하였고, Saccharomyces bayanus KCCM 11339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028는 한국미생물센터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Fermivin을 제외한 4종은 시판 PDAgar 고체배지(Difco, USA)에 도말한 다음 30℃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생성된 단일 콜로니를 1회에 걸쳐 분리한 후 2회 계대배양 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YM broth(Difco, USA)에 각각 접종한 후 30℃에서 3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7,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회수된 균체에 동일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동일한 양(1.0×108 cfu/ML)으로 준비한 효모 배양액은 효모를 활성화하기 위해 5중량% 설탕물에 총중량(100%) 대비 10중량% 효모를 넣고 35℃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시켰다.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 750ml에 효모 0.5%를 접종하고 당분을 공급하기 위해 설탕 12g 첨가하였다. 병 발효는 실온(20℃)에서 8일간 진행하여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모습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서 제조한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pH 및 산도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에 대해 pH와 산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 및 6에 기재하였다.
분석 결과, 병입 초기 pH는 3.60이었으며 A군은 병입 2일째 까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p<0.05), 4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군을 제외한 실험군들은 모두 발효 1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8일째에는 3.28~3.3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병입 초기 산도는 2.94이었으며 실험군들 모두 발효 시간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8일째에는 A군이 4.03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하기 실험에 사용된 표의 A 내지 E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각 효모를 달리하여 제조한 와인을 일컫는다.
A. Fermivin (DSM Food Specialties, Delft, Netherlands)
B. Vitilevure Quartz (DANSTAR FERMENT AG, Bahnhofstrasse, Switzerland)
C. Saccharomyces cerevisiae sp. S
D. Saccharomyces bayanus KCCM 11339
E.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028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시예 3.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당도 및 알코올 함량 변화 측정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의 당도와 알코올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8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병입 초기의 당도는 6.47 obrix를 나타내었으며 실험군들 모두 발효 1일째부터 당도가 감소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병입 8일째에는 C군이 4.83 obrix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실험군들은 4.63~4.67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초기 알코올 함량은 7.63%으로 병입 발효 시작후 실험군들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병입 8일째에는 D군이 8.67%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p<0.05), C군이 8.43%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예 4.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압력변화측정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의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병입 1일째는 실험군들은 0.25~0.5 kgf/㎠의 압력을 나타냈으며 병입 2일째에는 A군이 1.17 kgf/㎠로 가장 높았다. 병입 4일째에는 B군이 2.37 kgf/㎠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D군이 1.42 kgf/㎠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병입 7일째부터는 실험군들 모두 기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8일째 B군 4.30 kgf/㎠, D군 3 .58 kgf/㎠, C군 3.35 kgf/㎠, E군 3.27 kgf/㎠, A군이 2.97 kgf/㎠로 최종 압력이 측정되었다. 4기압을 CO2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탕 12g을 첨가하였으나 실험군들 중 B군만 4기압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09
실시예 5.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병돌리기 , 찌거기 제거 및 가당분석
본 발명의 와인 제조 과정 중, 병 발효 기간에 의해 압력이 생성되면(3~4 kgf/㎠) 병을 거꾸로 세워 병 입구 쪽으로 효모 및 찌꺼기를 모으기 위해 3주 동안 병 돌리기를 실시하였다. 병 입구쪽으로 모인 침전물은 병 목 부분을 순간적으로 얼려 침전물을 제거하였고, 찌꺼기를 제거하면서 소실된 약 40ml 정도는 시럽을 넣어 보충하여 원하는 당도의 와인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70brix 시럽 40ml를 첨가하여 제품의 최종 당도는 A군 8.4brix, B군 8.4brix, C군 7.7 brix, D군 8.9 brix, E군 8.1 brix로 측정되었다. 상기 기술한 찌거기 제거 과정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로제 스파클링 와인의 관능검사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본 발명의 스파클링 와인에 대한 기호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기호도 분석을 위한 관능검사는 성인 남녀 40명(남자 17명, 여자 23명)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 알코올 함량 5.5%, 당도 12.4%, 발포성의 스위트한 포도 와인으로 루비 적색을 띠고 가격은 25,000원 수준의 와인을 선택하였다. 관능 검사 결과는 하기 표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기호도 검사 색(color)은 대조군이 7.68로 가장 높았으며 실험군들은 6.65~6.30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향미(flavor),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모두 대조군이 각각 6.90, 7.13, 7.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실험군들 모두 5.25~5.58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실험군들 중에서는 E군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특성에 대한 검사 결과, 단맛(sweetness)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들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기포의 양(amount of air bubble), 기포의 지속성(persistent air bubble)은 대조군이 5.30, 5.48를 나타내었으며 B군이 각각 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압 측정에서 B군이 4.30 kgf/㎠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O2를 생성하는 효모의 양 역시 많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떫은맛(astringency)은 B군이 4.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스파클링 와인은 관능적인 부분에서 좋은 평을 받아 노근 추출물을 와인 제조에 주요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E군이 전체적인 기호도 에서는 5.58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으나 실험군들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압력이 측정에서 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B군이 노근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a) 증류수 1리터당 노근을 1.72 중량%(w/v)로 첨가한 후, 120℃의 온도에서 25분간 열수추출하여 노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머루를 제경하여 파쇄한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5°Brix로 조정하고, 상기 설탕이 첨가된 머루를 20℃에서 2주 동안 1차 발효를 진행한 후, 4℃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켜 1차 발효가 마친 머루와인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b)의 머루와인과 상기 (a)의 노근 추출물은 1:9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21°Brix로 조정하고, 양조 효모 쿼츠(Vitilevure Quartz)를 첨가하여 2주 동안 20℃에서 발효시켜 알코올 농도 14%의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노근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 8%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d)의 저알콜 로제 베이스 와인에 인산암모늄, 설탕 및 효모를 더 첨가하여 35℃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시킨 후, 20℃에서 8일 동안 병입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병입 발효 후 멸균 여과하고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시켜 병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양조 효모 쿼츠는 로제 베이스 와인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w/v)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제 스파클링 와인은 알코올 농도 8 내지 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KR1020160113626A 2016-09-05 2016-09-05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KR10167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26A KR101673950B1 (ko) 2016-09-05 2016-09-05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26A KR101673950B1 (ko) 2016-09-05 2016-09-05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858A Division KR20160013299A (ko) 2014-07-24 2014-07-24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78A true KR20160108278A (ko) 2016-09-19
KR101673950B1 KR101673950B1 (ko) 2016-11-08

Family

ID=5710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26A KR101673950B1 (ko) 2016-09-05 2016-09-05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1336A (en) * 2019-02-06 2020-08-19 Flowerminers Ltd Carbonated tonic w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346B1 (ko) 2021-05-10 2024-03-08 한국식품연구원 진공증류법을 이용한 무알코올 와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무알코올 와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12A (ko) * 2008-04-22 2009-10-27 엄영자 저알콜 복분자 스파클링 와인의 제조방법
KR101003764B1 (ko) * 2010-09-06 2010-12-23 김형호 오미자 와인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오미자와인
KR101182828B1 (ko) * 2010-01-11 2012-09-14 농업회사법인 (주)갈대나라 노근 첨가 산머루주의 제조방법
KR101282023B1 (ko) * 2013-04-30 2013-07-04 영동군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의 색도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 양조방법
KR101294374B1 (ko) 2010-12-24 2013-08-08 거제시농업기술센터 유자 스파클링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12A (ko) * 2008-04-22 2009-10-27 엄영자 저알콜 복분자 스파클링 와인의 제조방법
KR101182828B1 (ko) * 2010-01-11 2012-09-14 농업회사법인 (주)갈대나라 노근 첨가 산머루주의 제조방법
KR101003764B1 (ko) * 2010-09-06 2010-12-23 김형호 오미자 와인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오미자와인
KR101294374B1 (ko) 2010-12-24 2013-08-08 거제시농업기술센터 유자 스파클링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2023B1 (ko) * 2013-04-30 2013-07-04 영동군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의 색도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로제스파클링와인 양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1336A (en) * 2019-02-06 2020-08-19 Flowerminers Ltd Carbonated tonic w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50B1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5507B (zh) 柿子白兰地酒及其制备方法
KR20210023986A (ko) 콜드 브루 커피 찌꺼기로부터 제조된 스피릿트
CN106893660B (zh) 一种红肉火龙果甜型果酒的酿造工艺
CN102168003B (zh) 一种荔枝白兰地及其生产方法
CN102304452A (zh) 浆果冰酒及其制备方法
US11492576B2 (en) Process for obtaining a sparkling alcoholic beverage where wine macerated in hops is mixed with vegetable water and/or water, and addition of wine concentrate and concentrated fruit and/or vegetable juice
CN102559470A (zh) 一种山葡萄发酵醋及其生产方法
Joshi et al. Wines: White, red, sparkling, fortified, and cider
CN105647763A (zh) 一种红枣利口酒的酿造工艺
CN104611166A (zh) 一种桂花葡萄酒的生产方法
CN102690742B (zh) 一种红树莓甜酒的制作方法
CN105647776A (zh) 一种猕猴桃酒的制醋方法
CN105820930A (zh) 一种野玫瑰花酒及其制备方法
KR101889605B1 (ko) 사카로마이세스 종과 비-사카로마이세스 종의 혼합균을 이용한 향미가 증진된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KR101673950B1 (ko)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CN101709255B (zh) 猕猴桃淡爽型干酒及其制备方法
KR20160013299A (ko) 노근 추출물을 이용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방법
CN105567509B (zh) 针叶樱桃冰酒的制备方法
KR100790504B1 (ko)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CN104987971A (zh) 一种荔枝杨桃甜酒的酿造方法
CN104130901A (zh) 欧李枣酒及其酿造方法
CN104371870A (zh) 五果混酿干红酒及其制造方法
CN106754097A (zh) 一种花香型蓝靛果酒
CN103184127A (zh) 一种块菌发酵酒的酿造方法
RU2686636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вного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