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989A -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 Google Patents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989A
KR20160107989A KR1020150031685A KR20150031685A KR20160107989A KR 20160107989 A KR20160107989 A KR 20160107989A KR 1020150031685 A KR1020150031685 A KR 1020150031685A KR 20150031685 A KR20150031685 A KR 20150031685A KR 20160107989 A KR20160107989 A KR 2016010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mushroom
sawdust
extract
soy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권
원진식
Original Assignee
원진식
변상권
주식회사 이레비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진식, 변상권, 주식회사 이레비엔에스 filed Critical 원진식
Priority to KR102015003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989A/ko
Publication of KR2016010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23L1/202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 알러지 반응이 유도되지 않을 정도로 독성이 중화된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로 침지하고 증자한 콩을 삼나무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청국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삼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phytoncide)에 의해 해충이나 각종 균으로부터 보호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섭취 시 면역중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삼나무의 향이 베어 청국장 특유의 이취가 적고, 장수버섯 및 옻의 생리활성 작용으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lacquer soybeans using extract of Rhus verniciflura with Fomitella fraxinea and manufactured fermented lacquer soybeans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은 특유의 점질성 조직감을 가지는 발효식품으로서, 콩 발효 식품류 중 가장 짧은 기일에 완성할 수 있으면서도 그 풍미가 독특하고 영양적,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콩의 섭취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 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탐산 (polyglutamic acid)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영양면에서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인 것이다.
청국장에는 1 g당 10억 마리의 바실러스균이 존재하는데 균 증식 시 단백질분해효소, 섬유질분해효소가 대량 생성되며 이러한 효소들은 콩에는 거의 없었던 것들로 콩이 분해되면서 각종 항암, 항산화, 면역증강물질 등의 생화학물질이 생성되는 것이다. 청국장의 점질물의 성분인 폴리글루탐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며 택솔이란 항암물질을 체내에 효율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청국장의 발효균 바실러스가 만들어낸 프로테아제는 체내에 머물며(2-12시간) 혈관에 끼어있는 혈전을 녹이므로 청국장을 꾸준히 섭취하면 중풍이나 심장병 등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나트륨을 배출하고 혈압을 내려주어 관상동맥과 심장질환 예방에 좋고 혈당을 감소시켜 주는 수용성 식이섬유는 물론, 장관을 자극하여 변비 예방 및 숙변제거,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인 불용성 식이섬유도 풍부하다. 또한 펙틴은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와 결합하여 콜레스트롤 수치를 저하시키고 특히 나쁜 콜레스트롤(LDL)을 감소시킨다. 청국장에는 각종 효소 및 식이섬유뿐만 아니라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phytic acid), 사포닌(saponin)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제니스틴(genistin)이 청국장의 발효과정에서 제니스테인(genistein)으로 전환되어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작용해 체내의 유해한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세포의 손상과 노화, 돌연변이세포의 발현, 발암 물질 등으로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것을 억제해 주는 효능을 가지며,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골다공증 및 폐경기 증후군 예방 효능을 갖게 된다. 특히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위암, 폐암, 전립선암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청국장에 존재하는 피트산은 체내에 과다하게 존재하는 철분과 결합하여 잉여 철분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막아준다. 청국장은 발효되면서 멜라노이딘(melanoidin)이 콩에 비하여 8배 증가한다. 멜라노이딘은 항산화 작용 및 인슐린 분비를 원활하게 해주며 장내 유산균을 증식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해 준다. 또한 콩에 들어있는 레시틴(lecithin)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므로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레시틴은 혈관 내 콜레스테롤이나 기름 성분을 흡착, 배설하는 기능이 있어 혈관에 노폐물이 끼는 것을 막아주며 체내에서 분해된 레시틴은 콜린성분으로 남는데 이 콜린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은 중요한 신경세포 전달물질로 뇌기능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옻은 옻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에 상처를 냈을 때 옻나무로부터 나오는 수액을 지칭한다. 옻나무과에는 아열대 또는 열대에 분포하는 60속 400종의 나무가 있고, 이중 한국에는 옻나무, 개옻나무, 붉나무 등 5종이 서식하고 있다.
옻은 우리나라에서도 고조선때 이미 옻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먹는 음식으로도 오래전부터 효능을 인정받아왔다. 중국 명나라 때 의학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을 보면“옻은 성미가 맵고 따뜻하며 독이 있다.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고 끊어진 상처를 낫게 하며 오장을 안정시켜준다. 몸속의 벌레를 죽이며 어혈을 풀어주고 기침을 멎게 하며, 속이 결리고 맺힌 것은 낫게 하고 요통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또한 <동의보감(東醫寶鑑)>에도“옻나무는 적체를 풀고, 어혈과 부인병 등에 쓰인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옻나무는 독성 물질인 우루시올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식품 원료로 쓰지 못하도록 식약청에서 규제해 왔다. 그러다가 지난 2002년 그 독성을 제거한 제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정을 받아 사용하도록 하면서, 옻의 약리적인 성분이 곳곳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일예로 한국특허 제257,448호는 옻나무 추출물이 항암, 기관분화 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를 위한 치료제 및 예방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가지고 있는 옻을 수액상태로 직접 섭취하는 경우에는 우루시올(urshiol)의 독성에 의해 발진, 가려움증 등 부작용이 나타난다. 옻의 약리 및 생리활성을 이용하기 위해 우루시올(urushiol)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옻을 고온에서 볶거나 밀폐된 가마에서 200 ℃ 이상의 고온으로 탄화하는 정제 과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옻의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면서 약리활성 주성분인 우루시올을 증발시켜 옻의 약리작용을 없애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등록특허 제899,288호는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심 200 m 이하의 해양 심층수로 옻나무나 옻나무의 수피(樹皮)로부터 옻 성분을 추출한 것을 전해환원 처리하여 독성이 없는 옻 추출물을 생산하는 단계, 옻 추출물에 콩을 침지하여 불린 다음, 솥이나 시루에 넣고 100 ℃에서 충분히 익을 때까지 증자(蒸煮)하는 단계, 증자된 콩에 납두균(納豆菌)을 접종하고, 비환원성 이당류(非還元性二糖類: Nonreducing disaccharide) 또는 비환원성 당 알코올(Nonreducing sugar alcohol)을 첨가한 다음, 발효하여 청국장을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 청국장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비용이 크게 요구되는 해양 심층수 수득 및 전해환원 처리과정이 필요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균의 접종방식 및 첨가물 처리에 있어 전통적인 자연 친화적 제조방법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580,849호는 옻과 닭과 느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옻 된장 및 옻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 옻 된장 및 옻 청국장의 제조를 위하여 옻나무의 뿌리위 줄기와 가지를 열풍 건조의 방법으로 탄화수소 유도체인 우루시올을 휘발시키는 탄화 정제 과정을 개시하고 있어 옻의 약리작용을 취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적합하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고열가열 과정이 수반되지 않아 옻의 약리적 효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독성은 중화되어 알러지 반응을 유도하지 않고 경제적인 옻 함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899,288호 한국등록특허 제580,8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옻에 의한 알러지 반응이 유도되지 않을 정도로 독성이 중화되었으면서도 옻의 약리효과를 갖는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 활성이 있는 옻 청국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옻나무 톱밥에 장수버섯 종균을 접목하여 장수버섯을 재배한 후, 재배된 장수버섯을 포함하는 옻나무 톱밥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에 물을 첨가하여 끓인 후 여과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콩을 선별하여 물로 세척한 후 세정한 콩을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에 1시간 이상 침지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 콩 내부에 침투되도록 불리는 단계; 건져진 불린 콩에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넣어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콩을 채반에 건져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콩을 밑면에 구멍이 있는 용기에 담아 톱밥과 볏짚을 1 : 0.5 내지 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바닥에 깔린 26 내지 45 ℃의 발효실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옻 청국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옻 청국장은 알러지 반응이 유도되지 않을 정도로 독성이 중화된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로 침지하고 증자한 콩을 삼나무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청국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삼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phytoncide)에 의해 해충이나 각종 균으로부터 보호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섭취 시 면역중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삼나무의 향이 베어 청국장 특유의 이취가 적고, 장수버섯 및 옻의 생리활성 작용으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옻 청국장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ⅰ) 옻나무 톱밥에 장수버섯 종균을 접목하여 장수버섯을 재배한 후, 재배된 장수버섯을 포함하는 옻나무 톱밥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ⅱ)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에 물을 첨가하여 끓인 후 여과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a)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물로 세척한 콩을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에 1시간 이상 침지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 콩 내부에 침투되도록 불리는 단계; (c) 건져진 불린 콩에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넣어 증자하는 단계; (d) 증자한 콩을 채반에 건져 건조하는 단계; 및 (e) 건조된 콩을 밑면에 구멍이 있는 용기에 담아 톱밥과 볏짚을 1 : 0.5 내지 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바닥에 깔린 26 내지 45 ℃의 발효실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a)의 ⅱ) 에서,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에 대한 물의 양은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 1 kg당 물 10 내지 100 L, 구체적으로 20 내지 80 L,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70 L,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50 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b)에서, 콩 세정을 위한 물은 참숯을 물에 우려낸 참숯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증자는 80 내지 150 ℃, 구체적으로 90 내지 130 ℃,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100 ℃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조건에서 증자하는 경우 옻의 생리활성 성분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e)에서, 톱밥은 삼나무 톱밥일 수 있으며, 톱밥과 볏짚의 비율은 1 : 0.5 내지 2,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1일 수 있다. 톱밥의 비율이 지나치게 클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삼나무 향이 너무 강해질 수 있으며, 삼나무의 항균작용에 의해 청국장 내의 유해균뿐만 아니라 바실러스균을 포함한 유익한 균의 증식도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e)에서, 발효는 26 내지 45 ℃ 구체적으로 30 내지 45 ℃의 발효실에서 24 내지 96시간, 구체적으로 48 내지 80시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7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26 ℃ 미만의 온도조건에서 발효시키는 경우 제대로 발효되지 않아 부패가 일어날 수 있고, 46 ℃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발효시키는 경우 청국장이 말라버리고 균이 증식할 수 없는 단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e)에서, 발효실은 삼나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e)에서, 밑면에 구멍이 있는 용기는 시루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흙으로 빚은 전통 시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 (e)에서, 발효는 용기에 삶은 콩을 담고 그 위를 삼베 천 또는 삼베 천과 삼베 천 위에 삼나무 뚜껑으로 덮은 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설한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옻 청국장은 항산화 활성, 즉 예를 들어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 제거 활성을 나타낸다. 이는 하기의 실험예에서 실시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실험 결과에 근거한다. 또한 하기의 실험예에서 실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옻 청국장의 관능평가 결과 맛, 냄새, 색, 종합적 선호도로 평가한 모든 항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옻 청국장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일반적인 청국장 특유의 이취 제거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건조된 옻나무를 잘게 톱밥으로 만들어 옻 톱밥에 장수버섯 종균을 접목하여 15일 동안 배양하여 재배된 장수버섯을 태양볕에 말려 말린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 1 kg 물 100 L를 3시간 끓인 후 여과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참숯 0.5 kg을 플라스틱 통에 넣고 50 L의 물을 채워 1일 동안 우려내어 참숯물을 제조하였다.
모양이 일정하고 흠이 없는 콩을 선별하여 앞서 제조한 참숯물로 깨끗이 세척하였다. 콩에 추출물이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세척한 콩을 앞서 제조한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에 3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콩을 건졌다. 건진 불린 콩 8 kg에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 12 L를 첨가하여 100 ℃에서 180분 동안 삶은 후 채반에 건져 수분을 제거하였다. 삼나무를 이용한 발효실 바닥에 삼베 천을 깔고 그 위에 삼나무 톱밥과 볏짚을 1:1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10 ㎝ 두께로 깔았다. 추출물에 삶은 후 수분을 제거한 콩을 80% 정도 채운 시루를 혼합물이 깔려 있는 삼나무 발효실 바닥 위에 놓고 시루를 삼베 천으로 덮은 후 다시 시루에 삼나무 뚜껑을 덮어 40 ℃에서 72시간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서 구입한 청국장을 비교예1로 하였다.
2. 상설한 실시예에서 콩 침지 및 증자에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 대신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과정으로 제조된 옻 청국장을 비교예2로 하였다.
3. 상설한 실시예에서 발효 시 삼나무를 일체 이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과정으로 제조된 옻 청국장을 비교예3으로 하였다.
[실험예]
1. 옻 청국장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에서 제조된 청국장의 기호도에 대하여 20 ~ 60대의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성 검사는 맛, 냄새, 색 및 전체적 선호도에 대한 항목으로 나눠 5점 평정법을 사용하여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안좋음), 1 (매우 안좋음)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냄새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4.3

4.7

4.2

4.5

비교예 1

3.3

2.6

3.3

3.2

비교예 2

3.8

4.0

3.7

4.1

비교예 3

3.7

3.7

3.6

4.0
상기 표 1의 결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청국장이 맛, 냄새, 색, 및 종합적 선호도로 이루어진 모든 항목에서 4 (좋음) 이상의 평가를 받아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청국장(비교예2) 및 삼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발효시킨 청국장(비교예3)에 비해 높은 기호성을 갖고, 시중에서 구입한 청국장(비교예1)에 비해서는 현저히 높은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 항목 중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냄새 항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청국장은 4.7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시중에서 구입한 청국장(비교예1)은 2.6으로 낮은 평가를 받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청국장 특유의 이취제거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의 청국장 10 g에 각각 증류수 100 mL을 첨가하고 25 ℃, 150 rpm의 조건으로 교반한 시료 0.4 mL에 1×10-4 M DPPH 용액(메탄올) 5.6 mL를 첨가한 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52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무첨가군에 대한 첨가군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시중에서 구입한 청국장(비교예1)에서는 21.22 ± 0.36%,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청국장(비교예2)에서는 27.92 ± 0.91%, 및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삼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발효시킨 청국장(비교예3)에서는 33.98 ± 0.42%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옻 청국장(실시예)에서는 47.03 ± 0.87%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옻 청국장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일반 청국장(비교예1)에 비해 약 2.22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청국장(비교예2)에 비해 약 1.68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되 삼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발효시킨 청국장(비교예3)에 비해 1.38배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옻 청국장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a) 하기 ⅰ) 및 ⅱ)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ⅰ) 옻나무 톱밥에 장수버섯 종균을 접목하여 장수버섯을 재배한 후, 재배된 장수버섯을 포함하는 옻나무 톱밥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ⅱ)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에 물을 첨가하여 끓인 후 여과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물로 세척한 콩을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에 1시간 이상 침지하여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 콩 내부에 침투되도록 불리는 단계;
    (c) 건져진 불린 콩에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넣어 증자하는 단계;
    (d) 증자한 콩을 채반에 건져 건조하는 단계; 및
    (e) 건조된 콩을 밑면에 구멍이 있는 용기에 담아 톱밥과 볏짚을 1 : 0.5 내지 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바닥에 깔린 26 내지 45 ℃의 발효실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에 대한 물의 양은 건조된 장수버섯 옻나무 톱밥 1 kg당 물 10 내지 100 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콩 세정을 위한 물은 참숯을 물에 우려낸 참숯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증자는 80 내지 150 ℃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톱밥은 삼나무 톱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7. 제6항에 있어서,
    옻 청국장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청국장.
KR1020150031685A 2015-03-06 2015-03-06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KR20160107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85A KR20160107989A (ko) 2015-03-06 2015-03-06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85A KR20160107989A (ko) 2015-03-06 2015-03-06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989A true KR20160107989A (ko) 2016-09-19

Family

ID=5710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685A KR20160107989A (ko) 2015-03-06 2015-03-06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461B1 (ko) * 2019-11-28 2020-02-27 서인택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냄새 저감과 품질이 향상된 보이차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1948A (ko) * 2018-12-28 2020-07-08 농업회사법인 순창장류주식회사 옻 발효 추출액을 첨가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849B1 (ko) 2005-06-30 2006-05-16 김미현 옻과 느릅나무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기능성 된장
KR100899288B1 (ko) 2007-05-09 2009-05-28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만드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849B1 (ko) 2005-06-30 2006-05-16 김미현 옻과 느릅나무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기능성 된장
KR100899288B1 (ko) 2007-05-09 2009-05-28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만드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948A (ko) * 2018-12-28 2020-07-08 농업회사법인 순창장류주식회사 옻 발효 추출액을 첨가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2082461B1 (ko) * 2019-11-28 2020-02-27 서인택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냄새 저감과 품질이 향상된 보이차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750B1 (ko) 꽁치 액젓을 이용한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6760B1 (ko) 오리고기 훈제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훈제 오리고기의 제조방법
KR20160010742A (ko) 산야초가 함유된 초절임 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2582B1 (ko) 가루간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루간장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60107989A (ko)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청국장
KR102002576B1 (ko) 원지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발아콩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9875B1 (ko) 곰보배추 건청국장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753964B1 (ko) 모링가 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0039A (ko) 여주를 함유하는 메주와 이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1993441B1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발효현미의 제조방법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102287098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KR20190045987A (ko) 연 성분이 함유된 가공육 제조 방법
KR20180093209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60042832A (ko) 황칠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액 조성물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0736834B1 (ko) 함초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101617425B1 (ko) 죽력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41600B1 (ko) 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537B1 (ko)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
KR100463628B1 (ko)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쌀및 그 제조방법
KR100708259B1 (ko) 노루궁뎅이버섯을 이용한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