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117A -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117A
KR20160102117A KR1020160016962A KR20160016962A KR20160102117A KR 20160102117 A KR20160102117 A KR 20160102117A KR 1020160016962 A KR1020160016962 A KR 1020160016962A KR 20160016962 A KR20160016962 A KR 20160016962A KR 20160102117 A KR20160102117 A KR 2016010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ste
pressure
defoaming
electrode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527B1 (ko
Inventor
아츠시 스기하라
마사오 나카시마
유지 시모조노
히데후미 고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10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6Flash degas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5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 B01D19/0057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the centrifugal movement being caused by a vortex, e.g. using a cyclone, or by a tangentia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6Processes utilising sub-atmospheric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고형분과 분산매를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용 페이스트를 감압 용기에 도입하고,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에 전단력을 부여하면서 탈포하는,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이다. 전극용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비율을 55질량% 이상으로 하고, 감압 용기 내의 압력을 -50㎪ 이상으로 한다. 기포의 잔류 및 전극용 페이스트의 건조의 양방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 수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DEGASSING METHOD FOR ELECTRODE PASTE}
본 발명은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脫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을 흡장·방출하는 정극 및 부극의 사이를, 비수전해질 중의 리튬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충방전 가능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이다. 최근, 대용량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Plug-in Hybrid Vehicle)에도 탑재되도록 되어 왔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正極) 및 부극(負極)은, 모두 집전체 상에 활물질층이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활물질층은, 활물질, 결착제, 증점제 등의 고형분과, 분산매(용매)를 포함하는 정극용 페이스트 혹은 부극용 페이스트(이하, '전극용 페이스트'라고 함)를 집전체 상에 도포·건조한 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통상, 상기의 전극용 페이스트는, 활물질, 결착제, 증점제 등의 고형분을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 분체와 분산매를 혼련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혼련 후의 전극용 페이스트에는 통상 기포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집전체 상에 도포하면, 기포 부분에는 활물질 등이 도공되지 않아, 이른바 '투명도 불량(transparency defects)'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혼련 공정 후 또한 도공 공정 전에 전극용 페이스트 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탈포 공정이 실시된다.
한편, 전극용 페이스트에서는, 건조 공정의 소요 시간을 짧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산매의 혼합비를 낮추는 고(高)고형분율화가 의도되고 있다. 전극용 페이스트의 고형분율이 높아질수록, 점도가 증가하여, 기포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특히, 전극용 페이스트의 고형분율이 50질량% 이상이 되면, 탈포가 어려워진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17064호 공보에는, 혼련 후의 전극용 페이스트를 탈포 탱크에 도입하여 막 형상으로 하면서, 당해 탈포 탱크 내를 감압함으로써 전극용 페이스트 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진공도를 -90㎪ 정도로 함으로써, 50질량% 정도의 고고형분율의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진공도(감압도)는 게이지압으로 표기한다.
발명자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17064호 공보에 기재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과제를 찾아냈다. 전극용 페이스트의 고형분율을 더 높여, 55질량% 이상으로 하면, 진공도를 -90㎪ 정도로 하여 탈포 처리한 경우, 감압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 내에 발생한 기포가 잔류하고, 도공 공정에 있어서 대량의 투명도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더 고(高)진공으로 하면, 기포는 줄어들지만, 고형분율이 높기 때문에, 탈포 공정에 있어서 전극용 페이스트가 건조되기 쉬워, 도공 공정에 있어서 줄무늬 불량(striation defects)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형분율이 55질량% 이상인 전극용 페이스트를 효과적으로 탈포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고형분과 분산매를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용 페이스트를 감압 용기에 도입하고,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에 전단력(剪斷力)을 부여하면서 탈포하는,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으로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고형분의 비율을 55질량% 이상으로 하고, 상기 감압 용기 내의 압력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감압 용기 내의 압력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기포의 잔류 및 전극용 페이스트의 건조의 양방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 수율이 향상된다.
상기 전단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막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탈포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용기 내의 압력을 -20㎪ 이하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파포(破泡)에 의한 탈포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용기 내에 설치된 원반 형상의 회전체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단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에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비산시켜, 상기 감압 용기의 내벽면에 충돌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충돌 시의 파포에 의해, 탈포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필터에 의해 여과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잔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분율이 55질량% 이상의 전극용 페이스트를 효과적으로 탈포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 전체도이다.
도 2는, 전극 적층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전극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탈포 장치(100)와 그 전단(前段) 및 후단(後段)의 설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용기(110)의 진공도와 탈포 후의 페이스트 중의 거품 수(거품 총 수 및 φ0.3㎜ 이상의 거품 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용기(110)의 진공도와 도공 공정 후의 양품률(良品率)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의 기재 및 도면은 적절히 간략화되어 있다.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먼저,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 의해 탈포된 전극용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 전체도이다. 도 2는, 전극 적층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전극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1)는, 외장체(전지 용기)(11) 내에, 전극 적층체(30)와 비수전해질(도시 생략)이 수용된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적층체(30)는, 정극(21)과 부극(22)이 이들을 절연하는 세퍼레이터(31)를 개재하여 적층된 것이다. 외장체(11)의 외면에는, 외부 접속용의 2개의 외부 단자(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비수전해질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액체상, 겔상 혹은 고체상의 비수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혹은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고유전율(高誘電率) 카보네이트 용매와,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의 저점도(抵粘度) 카보네이트 용매와의 혼합 용매에, 리튬 함유 전해질을 용해한 비수전해액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혼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EC)/디메틸카보네이트(DM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에틸렌카보네이트(EC)/디에틸카보네이트(DEC) 등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리튬 함유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면, LiPF6, LiBF4, LiClO4, LiAsF6, Li2SiF6, LiOSO2CkF(2k+1)(k=1∼8의 정수), LiPFn{CkF(2k+1)}(6-n)(n=1∼5의 정수, k=1∼8의 정수) 등의 리튬염 및 이들 조합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31)는, 정극(21)과 부극(2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또한 리튬 이온이 투과 가능한 막이면 되고, 다공질 고분자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제 다공질 필름, PE(폴리에틸렌)제 다공질 필름, 혹은 PP(폴리프로필렌)-PE(폴리에틸렌)의 적층형 다공질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제 다공질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20)(정극(21) 또는 부극(22))은, 집전체(20A) 상에 전극 활물질층(20B)이 형성된 것이다. 전극 활물질층(20B)은, 집전체(20A)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에 설치된다. 도 3은, 집전체(20A)의 편면에 전극 활물질층(20B)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정극 활물질층은 예를 들면, 정극 활물질과 탄소 분말 등의 도전 조제와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의 결착제와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분산매를 포함하는 정극용 페이스트를 알루미늄 박 등의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LiCoO2, LiMnO2, LiMn2O4, LiNiO2, LiNixCo(1-x)O2 및 LiNixCoyMn(1-x-y)O2 등의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식 중, 0<x<1, 0<y<1).
부극 활물질층은 예를 들면, 부극 활물질과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SBR) 등의 결착제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Na염(CMC) 등의 증점제와 물 등의 분산매를 포함하는 부극용 페이스트를 구리 박 등의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Li/Li+ 기준에서 2.0V 이하로 리튬 흡장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흑연 등의 탄소, 금속 리튬, 리튬 합금, 리튬 이온의 도핑·탈도핑이 가능한 천이 금속 산화물/천이 금속 질화물/천이 금속 황화물 및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탈포 장치(100)와 그 전단 및 후단의 설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중 탈포 장치(100)는 모식 종단면도에 의해 나타나 있다. 탈포 장치(100)와 함께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은, 분산매를 제외한 활물질, 결착제, 증점제 등의 고형분의 비율(고형분율)이 55질량% 이상인 고고형분율의 전극용 페이스트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당해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은, 정극용 혹은 부극용의 전극용 페이스트 중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탈포 장치(100)는, 용기(110)와, 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120)를 가진다. 용기(110)는 밀폐 가능한 감압 탱크(감압 용기)이며,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진공 장치 Vac.에 의해 내부가 감압된다. 용기(110)는, 깔때기 형상의 하부(111)와 통 형상의 측부(112)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와, 탱크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는 덮개재(113)를 가진다. 덮개재(113)에는, 투입 노즐 등의 페이스트 투입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로부터 전극용 페이스트(P)가 용기(110) 내에 투입된다. 또한, 하부(111)에는, 전극용 페이스트(P)의 취출구(111M)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120)는 적어도 수평부(121)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120)는, 수평부(121)와, 이 수평부(121)로부터 바깥쪽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부(122)로 이루어지고, 상방이 개구된 접시 형상 회전체이다. 회전체(120)의 형상은 적어도 수평부(121)를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평부(121)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원반이어도 된다.
용기(110)의 덮개재(113) 상에 모터(124)가 설치되고, 이 모터(124)와 회전체(120)의 수평부(121)의 중심이 모터축(12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회전체(120)는, 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123)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용기(110) 내에 있어서, 회전체(120)는 측부(112)의 중심 높이보다 상방(덮개재(113)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탈포 장치(100)의 전단에 설치된 전단 장치(200)는, 예를 들면 전극용 페이스트(P)의 혼련 장치 또는 저장 장치 등이다. 전단 장치(200)로부터 탈포 장치(100)로, 배관 등을 통하여 전극용 페이스트(P)가 공급된다.
전극용 페이스트(P)의 전단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전극용 페이스트(P)는 덮개재(113)를 통하여, 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120) 내로 공급된다. 도 4에는, 전극용 페이스트(P)의 전단 장치(200)로부터 탈포 장치(100)로의 공급, 또한 회전체(120) 내로의 투입 경로를,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전극용 페이스트(P)는 예를 들면, 회전체(120)의 수평부(121)의 중심부 부근으로 공급된다. 수평부(121) 상으로 공급된 전극용 페이스트(P)에는, 회전체(120)의 회전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저점도화됨과 함께 막 형상이 된다. 또한, 원심 작용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P)가 측부(122)를 타고 올라, 회전체(120)의 최외주단(最外周端)(120E)으로부터 비산한다. 이 비산한 전극용 페이스트(P)는, 용기(110)의 측부(112)의 내벽면(112S)에 대하여 충돌하고, 내벽면(112S)을 따라 유하(流下)되어, 취출구(111M)를 향한다. 도 4에는, 전극용 페이스트(P)가 탈포 장치(100)의 내부에 투입된 후의 경로에 대해서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탈포 장치(100)의 취출구(111M)로부터 배출된 전극용 페이스트(P)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300)를 통하여, 도공 장치(40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포 공정 후의 전극용 페이스트(P) 중에는, 소량의 기포 혹은 각종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필터(300)를 이용하여 탈포 공정 후의 전극용 페이스트(P)를 가압 여과함으로써, 소량 남은 기포 혹은 각종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300)로서는, 공지된 여과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공 장치(400)는, 전극용 페이스트(P)를 집전체 상에 도공하는 도공 다이 등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서는, 회전체(120)의 수평부(121) 상으로 전극용 페이스트(P)를 공급하고, 회전체(120)의 회전 작용에 의해 전단력을 가하여 저점도화됨과 함께 막 형상으로 한다. 용기(110) 내의 감압에 더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P)를 저점도화, 막 형상화함으로써, 전극용 페이스트(P)의 탈포가 촉진된다. 또한, 전극용 페이스트(P)를 용기(110)의 내벽면(112S)에 대하여 비산시킨다. 내벽면(112S)으로의 충돌 작용에 의해, 감압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P) 내에서 팽창된 기포를 파열(파포)시킨다. 이상과 같은 원리에 의해, 고고형분율이며 고점도의 전극용 페이스트(P)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탈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서는, 전극용 페이스트(P)의 고형분율이 55질량% 이상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전극용 페이스트(P)는, 정극용 페이스트 또는 부극용 페이스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전극용 페이스트(P)의 고형분율이 55질량% 이상이기 때문에, 도공 후의 건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용 페이스트(P)의 고형분율은 6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분율이 65질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에 의해 도공 공정에 있어서 줄무늬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서는, 용기(110) 내의 압력을 -50㎪ 이상의 감압으로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고형분율이 50질량% 정도의 전극용 페이스트(P)를 탈포하는 관련 기술의 탈포 방법에서는, 용기(110) 내의 압력은 -90㎪ 정도까지 감압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용기(110) 내의 압력은 낮을수록 즉 진공도가 높을수록, 탈포가 촉진되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발명자들은, 전극용 페이스트의 고형분율을 55질량% 이상으로 하면, 진공도를 -90㎪ 정도로 하여 탈포 처리한 경우, 감압에 의해 전극용 페이스트 내에 발생한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여, 도공 공정에 있어서 대량의 투명도 불량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찾아냈다. 또한, 더 고진공으로 하면, 기포는 줄어들지만, 탈포 공정에 있어서 전극용 페이스트가 건조되기 쉬워, 도공 공정에 있어서 줄무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찾아냈다.
발명자들은, 관련 기술의 상식과는 반대로, 용기(110) 내의 압력을 관련 기술보다도 높게 하여,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기포와 건조의 양방을 억제하여, 불량율을 저감할 수 있는(양품률 즉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용기(110) 내의 압력을 -50㎪보다 낮게 하면, 페이스트 내에 용존하고 있었던 용매 유래의 기체(용존 산소 등)가 기포가 되어 출현하고, 당해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기 때문에, 탈포 처리 후의 기포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서는, 관련 기술보다 진공도가 낮아도(압력이 높아도) 좋기 때문에, 진공 펌프를 소형화할 수 있어, 설비 비용이나 러닝 코스트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10)에 다소 리크(Leak)가 있어도 도달 용이한 진공도이기 때문에, 원하는 진공도에 도달하지 않고 생산 라인을 정지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다. 용기(110) 내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작으면 되지만, 전극용 페이스트(P) 내에서의 파포에 의한 탈포를 촉진하기 위하여, -2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공 공정에 있어서 투명도 불량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40㎪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회전체(120)의 최외주단(120E)의 전단 속도는, 1×105∼1×107s-1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단 속도가, 회전체(120)의 최외주단(120E)에 위치하는 전극용 페이스트(P)에 가해진다. 전극용 페이스트(P)의 점도는, 전단 속도에 의해 변화되고, 전단 속도가 클수록, 점도는 저하되어, 탈포되기 쉬워진다. 즉, 전단 속도가 1×105s-1 미만에서는, 점도가 충분히 내려가지 않아, 탈포가 불충분해짐과 함께, 내벽면(112S)으로의 충돌에 의한 파포도 불충분해진다. 한편, 전단 속도가 1×107s-1을 초과하면, 전극용 페이스트(P)가 내벽면(112S)으로 충돌하였을 때에 발포하게 되어, 도공 공정에 있어서의 투명도 불량이 오히려 증가한다. 또한, '임의 형상의 회전체의 최외주단의 전단 속도'는, 회전체의 최외주단의 최대 직경, 회전체의 최외주단의 평면시 형상 및 회전체의 회전수로부터, 공지 방법으로 구해진다.
회전체(120)와 용기(110)의 내벽면(112S)과의 이간 거리는, 회전체(120) 내로 공급된 전극용 페이스트(P)가 용기(110)의 내벽면(112S)에 안정적으로 충돌하는 범위 내에서 설계된다. 이 때문에, 회전체(120)와 용기(110)의 내벽면(112S)과의 이간 거리는,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고형분율의 전극용 페이스트(P)를 효과적으로 탈포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용 페이스트(P)의 탈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공도를 변화시켜, 거품 수 및 양품률을 조사한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예에서는 부극용 페이스트를 사용하였다. 부극 활물질로서 흑연,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Na염(CMC), 결착제 용액으로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SBR), 분산매로서 물을 사용하였다.
고형분의 재료 배합비는, 흑연/CMC/SBR=98.6/0.7/0.7(고형분 질량비)로 하였다. 페이스트의 고형분율은 60질량%로 하였다. 페이스트의 온도는 20℃로 하였다. 전단 속도 2.0s-1에서의 페이스트의 점도는 14812.5mPa·s이었다.
도 4에 나타낸 구조의 탈포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부극용 페이스트의 탈포를 실시하였다. 용기(110)로서는 진공 탱크를 사용하였다. 진공 탱크의 내경은 300㎜φ이었다. 회전체(120)의 수평부(121)에 대한 전극용 페이스트의 공급 속도 및 취출구(111M)로부터의 발취 속도는 모두, 1.4L/min으로 하였다.
회전체(120)로서는, 수평부(121)와, 이 수평부(121)로부터 외방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부(122)로 이루어지고, 상방이 개구된 접시 형상 회전체를 이용하였다. 회전체(120)의 치수는, 하경(下徑) 150㎜φ, 높이 45㎜로 하였다. 수평부(121) 및 측부(122)의 판 두께는 2㎜로 하였다. 수평부(121)에 대한 측부(122)의 경사각은 60°로 하였다.
회전체(120)와 용기(110)의 내벽면(112S)과의 이간 거리는 200㎜ 이하였다. 회전체(120)의 회전수는 1500rpm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회전체(120)의 최외주단(120E)의 전단 속도는 2.8×106s-1이었다. 이상의 모든 조건하, 용기(110)의 진공도를 0, -20, -40, -50, -60, -80, -95㎪로 하여 변화시키고, 각각의 조건으로 탈포를 실시하였다.
[거품 수의 측정 방법]
취출구(111M)로부터 탈포 후의 페이스트를 취출하고, 10cc를 서로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리 판의 간극 사이에 두고 광학 카메라에 의해 사진을 촬영하였다. 얻어진 사진에 대하여 공지 방법에 의해 화상 해석을 행함으로써, 10cc당의 거품 수를 구하였다. 거품 수로서는, 거품 총 수 및 직경 0.3㎜ 이상의 거품의 수를 구하였다.
[양품 판정]
탈포 후의 페이스트를 뎁스 필터(Depth Filter)(수지 필터, 평균 개구 직경 50㎛)를 이용하여 가압 여과하였다. 그 후, 여과한 페이스트를 다이 코터에 의해 집전체인 띠 형상의 구리 박에 도포하고, 건조로 내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줄무늬 불량에 대해서는, 다이 코터에 의해 도공 가능한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고, 줄무늬가 없는 것을 양품으로 판단하였다. 투명도 불량에 대해서는, 휴테크사 제조의 결점 검사기를 이용하여, 구리 박의 단위 길이당의 불량 개수를 조사하였다. 1m당의 불량 개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것을 양품으로 판단하였다.
이어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용기(110)의 진공도와 탈포 후의 페이스트 중의 거품 수(거품 총 수 및 직경 0.3㎜ 이상의 거품 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이 진공도, 세로축이 페이스트 10cc당의 거품 수이다. 참고로, 도 5에는 탈포 전의 거품 수도 나타내고 있다. 흰 사각형 표시가 총 거품 수이며, 검은 사각형 표시가 직경 0.3㎜ 이상의 거품 수이다. 또한, 도 6은, 용기(110)의 진공도와 도공 공정 후의 양품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이 진공도, 세로축이 양품률(%)이다. 또한, 도 5, 도 6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가로축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진공도가 높아(압력이 작아)지도록 기재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압력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거품 총 수 및 직경 0.3㎜ 이상의 거품 수 모두 적게 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압력이 -50㎪ 이상에서는, 높은 양품률을 나타냈다. 특히, 용기(110)의 압력이, -20㎪∼-50㎪에서는 양품률이 80%를 초과하고, -40㎪∼-50㎪에서는 양품률이 90%를 초과하였다. 용기(110)의 압력이 0㎪로부터 -40㎪까지 저하됨에 따라 거품 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페이스트 중에 원래 존재하고 있었던 기포가 감압에 의해 팽창되고, 파포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압력을 -50㎪보다 낮게 하면, 거품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품률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구체적으로, 용기(110)의 압력이 -50㎪에서는 90%를 초과하고 있던 양품률이, 용기(110)의 압력이 -60㎪에서는 40%을 하회(下回)하였다. 또한, -60㎪ 이상의 압력에서는, 줄무늬 불량은 검출되지 않고, 기포에 의한 투명도 불량만이 양품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 용기(110)의 압력이 -50㎪로부터 -80㎪까지 저하됨에 따라 거품 수가 상승하는 이유는, 페이스트 중에 용존하고 있었던 용매 유래의 기체(용존 산소 등)가 감압에 의해 기포로서 새롭게 출현하고,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압력이 -80㎪에 있어서, 거품 수는 최다가 되고, 양품률은 최저가 되었다. 용기(110)의 압력을 -95㎪까지 낮추면, 거품 수는 감소하고, 양품률도 80%가까이까지 회복하였다. 여기서, 용기(110)의 압력이 -95㎪에서는, 페이스트의 건조에 따르는 줄무늬 불량이 검출되었다. 즉, 고고형분율화와 고진공화에 의해 페이스트의 건조가 새롭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형분율 55% 이상인 고고형분율의 전극용 페이스트를 탈포할 시, 관련 기술보다 용기(110) 내의 진공도를 낮춰(압력을 높여),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극용 페이스트 내에 잔류하는 기포의 수를 억제함과 함께 전극용 페이스트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어, 제품 수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진공도 -40㎪의 샘플에 대해서는, 필터 여과를 행함으로써 기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고형분율이 55% 이상이면 임의 용도의 전극용 페이스트의 제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단력의 부여는, 회전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걱(spatula) 등을 이용하여 전극용 페이스트를 얇게 펴는 것에 의해 부여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고형분과 분산매를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용 페이스트를 감압 용기(110)에 도입하고,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에 전단력을 부여하면서 탈포하고,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고형분의 비율을 55질량% 이상으로 하고, 상기 감압 용기(110) 내의 압력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막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용기(110) 내의 압력을 -20㎪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용기(110) 내에 설치된 원반 형상의 회전체(120)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단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20)로부터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비산시켜, 상기 감압 용기(110)의 내벽면에 충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용기(110)로부터 배출된 상기 전극용 페이스트를 필터에 의해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 방법.
KR1020160016962A 2015-02-19 2016-02-15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KR101712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0311A JP6567835B2 (ja) 2015-02-19 2015-02-19 電極用ペーストの脱泡方法
JPJP-P-2015-030311 2015-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17A true KR20160102117A (ko) 2016-08-29
KR101712527B1 KR101712527B1 (ko) 2017-03-06

Family

ID=5535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62A KR101712527B1 (ko) 2015-02-19 2016-02-15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70735B2 (ko)
EP (1) EP3059787B1 (ko)
JP (1) JP6567835B2 (ko)
KR (1) KR101712527B1 (ko)
CN (1) CN1059143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1971B (zh) * 2013-05-16 2017-12-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极糊剂的制造方法
JP6245625B1 (ja) * 2016-02-08 2017-12-13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正極用スラリー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正極用スラリー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JP6325145B1 (ja) * 2017-04-05 2018-05-16 株式会社石井表記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及び電池製造用装置
CN109126209B (zh) * 2018-07-16 2020-12-18 安徽华塑股份有限公司 一种电石炉用电极糊的脱气生产设备
JP6950640B2 (ja) * 2018-07-27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合材ペーストの製造方法
CN115210934A (zh) * 2020-10-23 2022-10-18 株式会社Lg新能源 电极绝缘液供应设备及电极绝缘液供应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190A (ja) * 2001-03-16 2002-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塗工液撹拌装置
JP2004171918A (ja) * 2002-11-20 2004-06-17 Fdk Corp 負極ゲル製造方法
JP2011206673A (ja) * 2010-03-30 2011-10-20 Mitsubishi Paper Mills Ltd 連続脱泡装置
KR20130108460A (ko) * 2011-01-13 2013-10-0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극 재료 도포 장치 및 여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5537A1 (en) * 1999-09-22 2001-03-29 Nisshinbo Industries, Inc. Electrode structure, and rolling machine for working electrode structure
JP4199487B2 (ja) * 2002-07-03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ペースト材料の連続脱泡装置
JP2004311236A (ja) * 2003-04-08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極板の製造方法
JP2006310120A (ja) 2005-04-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極板のペースト製造方法
UA83075C2 (uk) 2006-04-27 2008-06-10 Елена Моисеевна Шембель Електрод для первинних, вторинних літієвих джерел струму та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ів і спосіб його виготовлення
KR101071766B1 (ko) * 2008-10-06 2011-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촉매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5670104B2 (ja) * 2009-09-29 2015-02-18 日本碍子株式会社 正極活物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5429491B2 (ja) 2010-06-17 2014-02-2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無機材料スラリを用いた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該ペーストの製造方法
JP5835581B2 (ja) * 2012-03-21 2015-12-24 Jsr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JP5626264B2 (ja) * 2012-05-31 2014-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JP5626276B2 (ja) 2012-07-05 2014-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製造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
JP5936089B2 (ja) * 2012-09-27 2016-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190A (ja) * 2001-03-16 2002-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塗工液撹拌装置
JP2004171918A (ja) * 2002-11-20 2004-06-17 Fdk Corp 負極ゲル製造方法
JP2011206673A (ja) * 2010-03-30 2011-10-20 Mitsubishi Paper Mills Ltd 連続脱泡装置
KR20130108460A (ko) * 2011-01-13 2013-10-0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극 재료 도포 장치 및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7835B2 (ja) 2019-08-28
EP3059787A1 (en) 2016-08-24
CN105914342B (zh) 2019-03-12
CN105914342A (zh) 2016-08-31
US9570735B2 (en) 2017-02-14
JP2016152184A (ja) 2016-08-22
EP3059787B1 (en) 2018-12-05
KR101712527B1 (ko) 2017-03-06
US20160248076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527B1 (ko) 전극용 페이스트의 탈포 방법
US10461310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148331B2 (ja) 水系コーティング液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有/無機複合コーティング多孔性分離膜の製造方法
US1064435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2648259A2 (en) Method for deaerating secondary battery using centrifugal force
JP7123121B2 (ja) 分離膜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461381B2 (ja) 無機塗工層架橋セパレータ
CN104011899A (zh) 带耐热绝缘层隔板
KR102254336B1 (ko) 상압에서 탈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슬러리의 제조 방법
CN105047857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的正极及其制造方法
CN110137418B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US10804533B2 (en) Method of produc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y incorporating fluorine
KR101578223B1 (ko) 비수전해질 2 차 전지용 전극, 및 이것을 사용한 비수전해질 2 차 전지
JP6098542B2 (ja) 負極ペー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03871B2 (ja) 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8604670B (zh) 用于制造二次电池用电极的方法以及由该方法得到的电极
US20200287190A1 (en) Porous composite film, separator for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composite film
JP2016072200A (ja) 電極用ペーストの脱泡方法
JP6325043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EP3528322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ing lithium metal as negative electrode
CN110265664A (zh) 正极、锂离子二次电池、以及正极的制造方法
JP2015088314A (ja) 二次電池の電極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