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663A -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663A
KR20160101663A KR1020160010521A KR20160010521A KR20160101663A KR 20160101663 A KR20160101663 A KR 20160101663A KR 1020160010521 A KR1020160010521 A KR 1020160010521A KR 20160010521 A KR20160010521 A KR 20160010521A KR 20160101663 A KR20160101663 A KR 2016010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erminal
flexible substrate
contact
wi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285B1 (ko
Inventor
하루히코 무라카미
슌타로 와다
?타로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압입할 때, 플렉시블 기판의 패드 그리고 배선부를 깎는 경우가 없는 플렉시블 기판과 커넥터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단자는, 접촉부 (21A) 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를 갖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지그재그상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폭은, 제 1 패드 (41) 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패드 (42) 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제 2 패드 (42) 의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제 1 후방 배선부 (41B) 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플렉시블 기판용의 수용 공간에, 단자에 형성된 접촉부의 접압에 저항하여 플렉시블 기판을 압입하고, 그 플렉시블 기판이 단자에 접속 및 유지되는 Non-ZIF (Non-Zero Insertion Force) 형식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기 커넥터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은, 특허문헌 1 에서 그 제 3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하우징의 후단면으로 개구되고 전방을 향하여 안쪽부에 이르는 슬릿상의 공간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 (FPC) 이 삽입 (압입) 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상측 내면에는 상 (上) 단자가, 그리고 하측 내면에는 하 (下) 단자가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 양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속에도 적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사용시에는, 플렉시블 기판이 상하의 양 단자와의 접촉압을 수반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양 단자간에 삽입 (압입) 되므로, 특허문헌 1 에서는,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도금 리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양 단자 모두 입구를 R 형상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도입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양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에 대해서는 도시 그리고 설명이 없지만, 편면 배선 플렉시블 기판을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나타내고 있다. 이 플렉시블 기판은 그 일방의 면에 단자와 접촉하는 도금 부분 (패드) 을 형성하고 있고, 그 패드는,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 가장자리에 지근한 위치에 배열된 패드열과, 그 후방에 배열된 패드열을 갖고 있다. 양 패드열의 각 패드는 패드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커넥터는, 이 플렉시블 기판의 일방의 면에서, 각 패드에 접촉하는 단자가 양 패드열에 대응하여 2 열로 배치되는 형식의 것이 된다.
이와 같은 2 열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특허문헌 1 의 제 3 실시형태의 형식으로 하면, 플렉시블 기판의 일방의 면의 양 패드열에 접촉하기 위한 상단자가 양 패드에 대응하여 2 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서도, 2 열의 상단자가 입구를 R 형상으로 하여 패드로 연결되는 도금 리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그 때에는, 하단자가 플렉시블 기판을 하방으로부터 가압하여 플렉시블 기판과 상단자 사이에 접촉압을 초래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10308호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의 상단자를 2 열로 배치하고 가압 부재로서의 하단자로 플렉시블 기판을 가압하는 구조로 하고, 이것에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개시되어 있는 플렉시블 기판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상단자의 입구를 R 형상으로 하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플렉시블 기판이 패드의 배열 방향인 폭 방향에 있어서 상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서 압입되었을 때이고, 상단자에 대해 상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압입될 때에는, 상단자가 상기 폭 방향에서 도금 리드로부터 비어져나와 위치하고, 그 결과,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 상단자는 도금 리드 상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으로 탈락하여 도금 리드의 측부 가장자리부를 깎거나, 혹은 모재면을 깎는 깎임 현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 깎임 현상은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부터 완료시까지 계속해서 발생하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거리에 걸쳐 리드 측부 가장자리부를, 혹은 모재면을 깎게 되어,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깎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는,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가 그 플렉시블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단자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과 탄성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수용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의 앞부분에 형성된 접속역이 소정 위치까지 전방으로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되어 탄성 접촉 및 유지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단자는, 접촉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와, 그 제 1 단자보다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지그재그상을 이루도록 상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가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는 폭 방향에서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에는 그 제 1 패드보다 폭이 좁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그리고 제 2 패드에는 그 제 2 패드보다 폭이 좁고 전후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2 후방 배선부가 각각 도통 (導通) 되어 있고, 제 1 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2 패드와 인접하는 부분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1 패드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1 패드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2 패드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에 대한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그 제 2 패드가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제 1 후방 배선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은, 커넥터로의 압입의 당초부터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을 받고, 이 접압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고, 그 압입 과정에서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인 경우>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서 커넥터에 압입되는 경우, 커넥터의 제 1 단자는 제 1 패드에 대해, 그리고 제 2 단자는 제 2 패드에 대해, 모두 폭 방향 중앙 위치끼리가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개시되면,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前端) 가장자리는, 먼저 제 2 단자의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압입되고, 제 2 패드로 연결되는 제 2 전방 배선부가 상기 접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를 통과하여, 플렉시블 기판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제 2 패드가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에 도달한다.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정규 위치에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시부터 소정 위치로의 압입 완료까지,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대응의 제 2 전방 배선부를 거쳐 제 2 패드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 1 패드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보다 전방, 즉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압입 방향에서의 제 2 단자와 제 1 단자의 접촉부끼리간 거리만큼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진행된 시점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를 넘어 제 1 패드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에 인접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커넥터에 압입되는 경우, 처음에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와 접압을 갖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이 어긋남이 크면,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개시시에, 제 2 패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이것에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양방에 걸쳐진다. 즉,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와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긋남이 더욱 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허용 최대치)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오고, 제 2 전방 배선부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그 접촉부의 양 측단부가 상기 압입 과정에서 상기 제 2 전방 배선부 및 제 1 패드, 또는 인접하는 제 1 패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탈락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 상에 접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이 진행되면,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로부터 제 2 패드로 이행된다. 제 2 패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충분한 폭을 갖고 있으므로, 단자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상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여도,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제 2 패드로부터 폭 방향에서 다소 비어져나오는 경우가 있더라도, 충분한 폭으로 제 2 패드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제 2 패드 상에 위치한다. 이 때,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1 패드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는 이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긋남이 작은 경우에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상에 있어 그 제 2 전방 배선부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인접하는 제 1 패드 상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에서 안정적인 자세가 되기에 충분한 폭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 상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패드 상으로 이행된다.
한편, 제 2 단자보다 늦게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가 압입되는 제 1 단자는, 상기 어긋남의 대소에 관계없이, 당초부터 제 1 패드에만 접하도록 하여 제 1 패드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 그리고 제 2 단자의 각각의 접촉부는 안정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제 1 패드 그리고 제 2 패드로 이행하게 되고,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제 1 패드 이후의 좁은 폭으로 노출되어 있는 모재면 상으로는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패드면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파단면을 피하여 형성된 곡면 혹은 사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곡면 혹은 사면이,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한다. 제 2 단자가 상기 곡면 혹은 사면을 갖는 경우,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 제 1 패드 이후의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패드의 전방에 제 1 전방 배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방 배선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전방 배선부를 거쳐 제 1 패드로 이행된다. 제 1 전방 배선부는, 각 제 1 패드에 대해 단일선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자의 어긋남이 커도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어느 제 1 전방 배선부와 제 2 전방 배선부에 걸쳐 접촉할 가능성이 극히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은,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을 정하는 폭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패드에 도통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 제 2 패드에 도통하는 제 2 후방 배선부는, 제 2 패드보다 후방에서 동일한 폭임과 함께, 제 2 패드보다 좁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 1 후방 배선부보다 넓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양 단자 모두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단자에 대해 어긋나 위치하고 있어도, 그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과정에 있어서, 패드와 배선부에 걸쳐 있어 안정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혹은 배선부에 대해 충분한 폭으로 접하여 위치하고 있어 안정 자세를 취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압입 과정에 있어서, 패드나 배선부로부터 탈락하거나 혹은 경사지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도 1 의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이고, 도 1 의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 파단되고 있다.
도 2 는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 의 (A) 는 제 1 단자이고, 도 2 의 (B) 는 제 2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앞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압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 의 (A) 는 압입 개시시이고, 도 4 의 (B) 는 압입 도중이고, 도 4 의 (C) 는 압입 완료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의 패드와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 관계를 평면도로서 간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5 의 (A) 가 압입 개시시이고, 도 5 의 (B), (C) 가 압입 도중이고, 도 5 의 (D) 가 압입 완료시이다.
도 6 은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로서,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과정에서의 패드와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 관계를 평면도로서 간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6 의 (A) 가 압입 개시시이고, 도 6 의 (B), (B'), (C) 가 압입 도중이고, 도 6 의 (D) 가 압입 완료시이다.
도 7 은 제 2 단자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측방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대한 변형예로서, 도 7 의 (A) ∼ (B) 는 패드에 대한 상이한 접촉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의 (A), (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10) 와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이 전기 커넥터 (10) 에 접속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10) 는, 하우징 (11) 에 의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도 1 의 (A) 는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 그리고 도 1 의 (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의 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 (11) 은,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 본체 (12) 와 개폐 가능한 덮개상의 가동 부재 (13) 를 갖고,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앞부분 (도 1 의 (A) 에서 우측부) 에 형성된 접속역의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압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 (14) 이, 상기 하우징 본체 (12) 와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 (13) 사이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12) 는, 도 1 의 (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단측에서 제 1 단자 (20) 의 뒷부분을, 그리고 전단측에서 제 2 단자 (30) 의 앞부분을 각각 하우징 본체 (12) 와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 (12) 는, 도 1 의 (A), (B) 에 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사이에는 전후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상하로 관통한 슬릿상의 창부 (窓部) (12A)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12) 에는, 그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의 양단에 측벽 (15)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측벽 (15) 은, 뒷부분에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한 상방 규제부 (16), 그 바로 전방의 중간부에 가동 부재 (13) 의 회동축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베어링부 (17) 보다 전방이 되는 앞부분에는, 상기 측벽 (15) 의 내측면과 간격을 가진 위치에, 하우징 본체 (12) 의 바닥벽으로부터 수립 (垂立)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폭 방향 규제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폭 방향 규제부 (18) 는,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부의 측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가 정규 위치에 대해 소정 범위에 들어가도록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규제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상방 규제부 (16) 는, 그 하부에 후방 그리고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는 홈부 (16A) 가 형성되어 있고,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하는 상방 피규제부의 상면을 상기 홈부 (16A) 의 하면에서 받아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베어링부 (17) 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부재 (13) 는, 판상을 이루고, 후단 근방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부 (13A) 를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베어링부 (17) 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13) 는, 그 후단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12) 의 상방 규제부 (16) 보다 바로 직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우징 본체 (12) 의 양방의 측벽 (15) 사이에서 또한 상기 상방 규제부 (16) 보다 전방의 범위에서 그 하우징 본체 (12) 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전단은 그 하우징 본체 (12)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 (13) 의 후단이 상기 상방 규제부 (16)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 (12) 는 가동 부재 (13) 보다 후방에서 그 가동 부재 (13) 에 의해 덮이지 않는 연장 부분을 갖게 된다. 그 연장 부분은,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앞부분이 커넥터로의 압입 개시에 대비하여 배치되기 위한 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동 부재 (13) 는, 상기 축부 (13A) 가 위치하는 후단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연장 부분 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 (40) 을, 그 압입에 앞서, 상기 수용 공간 내 (14) 를 향하여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부재 (13) 는, 그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있고, 그 가동 부재 (13) 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방으로 회동할 때에, 들어올림을 용이하게 하는 조작부 (13B) 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조작부 (13B) 에 의한 들어올림에 의해 축부 (13A) 를 중심으로 하여 그 가동 부재 (13) 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상방으로 회동한 후에 다시 도 1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하방으로 회동할 때, 하우징 본체 (12) 의 측벽 (15) 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부 (13C) 가 가동 부재 (13) 의 전단측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아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피안내부 (13C) 는 상기 하우징 본체 (12) 의 측벽 (15) 과 폭 방향 규제부 (18) 사이에 진입하여 안내된다.
또한, 상기 가동 부재 (13) 는, 그 가동 부재 (13) 의 측부의 이면 (도 1 에서 하면) 측에서, 앞부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상의 탄성 걸림부 (13F)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탄성 걸림부 (13F) 는 그 후단에 하방을 향한 돌기상의 걸림부 (13G) 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이 압입되었을 때에 그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에서 상기 걸림부에 맞닿아 탄성 걸림부 (13F) 를 상방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걸림부를 넘어 더욱 전진하고, 탄성 걸림부 (13F) 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면, 플렉시블 기판에 형성된 오목상의 피걸림부에 상기 걸림부가 들어가게 되어, 플렉시블 기판의 후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부재 (13) 는, 둥그스름한 후단의 가장자리부에, 후술하는 단자 (20, 30) 의 후단이 진입하는 홈부 (13D, 13E) 가 그 단자 (20, 30) 의 후단 형상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13D, 13E) 는, 가동 부재 (13) 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회동할 때에 상기 단자 (20, 30) 의 후단이 회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그 단자 (20, 30) 의 후단을 수용하고 있다. 또, 상기 가동 부재 (13) 는, 그 이면에, 그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자 (20, 30) 의 상 (上) 아암부 (21, 31) 를 덮고 있다.
제 1 단자 (20) 는, 도 2 의 (A) 에 보는 바와 같이, 금속 띠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지고, 헤어핀상으로 대략 가로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21) 와, 그 상아암부 (21) 의 전단 위치에서 굴곡된 굴곡부 (22) 와, 그 굴곡부 (22) 를 거쳐 상기 상아암부 (21) 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 (下) 아암부 (2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21) 는, 그 전후 방향의 중간에서,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보다 전방의 위치에, 하방을 향하여 V 자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2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아암부 (21) 는, 상하 방향 즉 판두께 방향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21A) 가 접압을 갖고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에 탄성 접촉하고, 또, 상기 접촉부 (21A) 보다 후방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진 유도부 (21B) 를 갖고 있어, 그 유도부 (21B) 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하아암부 (23)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아암부 (21) 보다 크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12) 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 위치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 하아암부 (23) 의 후단부는 경사 부분을 거쳐 하방에 위치하는 접속부 (2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23A)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상기 하아암부 (23) 의 뒷부분으로서 상기 경사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일체 성형되는 하우징 본체 (12) 에 의해 유지된다.
제 2 단자 (30) 는, 도 2 의 (B)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금속 띠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지고,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고, 상아암부 (31) 와, 그 전단 (도면에서 우측단) 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굴곡부 (32) 와, 그 굴곡부 (32) 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33)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31) 는, 그 후단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V 자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31A) 를 갖고 있다. 그 접촉부 (31A) 를 갖고 있는 상아암부 (31) 는, 제 1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즉 판두께 방향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31A) 가 접압을 갖고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에 탄성 접촉한다. 또, 상기 상아암부 (31) 는, 상기 접촉부 (31A) 보다 후방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진 유도부 (31B) 를 갖고 있어, 그 유도부 (31B) 로 플렉시블 기판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접속부 (33) 는, 하우징 본체 (12) 의 하면측에서 하우징 본체 (12)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상기 굴곡부 (32) 의 부분에서, 일체 성형되는 하우징 본체 (12) 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제 1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는 하아암부 (23) 보다 폭이 좁게,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상아암부 (31) 는 굴곡부 (32) 나 접속부 (33) 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도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도 상기 경사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추가로 측부 가장자리에 곡면 가공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대응 패드의 폭보다 좁아,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서 플렉시블 기판과 접속되었을 때에는, 상기 접촉부 (21A) 도 접촉부 (31A) 도 폭 방향에서 대응 패드에 충분히 수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 (21A) 그리고 접촉부 (31A) 는, 도 2 의 (A), (B) 에 보는 바와 같이, 양 측부 가장자리에 곡면 혹은 사면 (21A-1, 31A-1)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의 (A), (B)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로부터 접압을 받으면서, 그 접압에 저항하여 접속역 (P) 이 커넥터의 수용 공간 (14) 내에 압입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은, 도 3 과 같이,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 접속되는 접속역 (P) 이 전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 제 1 패드 (41) 의 군과, 그 후방에 배열된 제 2 패드 (42) 의 군을 갖고 있고,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는 각각의 패드의 폭이 전후 방향에서 보아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그재그상 배치를 이루고 있다. 제 1 패드 (41) 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패드 (42) 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각각 폭 방향에서 일치한 위치에 있고, 또한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 (21A) 와 접촉부 (31A)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 (41) 의 후단부와 제 2 패드 (42) 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있다. 이러한 제 1 패드 (41) 와 제 2 패드 (42) 가 배치된 영역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역 (P) 을 형성한다.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는,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선부가 각각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배선부는 대응하는 패드보다 폭이 좁다. 먼저,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 근처에 배열된 제 1 패드 (41) 에는, 그 제 1 패드 (41) 로부터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까지의 짧은 거리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그 제 1 패드 (41)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가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후방 배선부 (41B) 는, 제 1 패드 (41) 의 후방 위치에서 인접하고 있는 2 개의 제 2 패드 (42)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 (42) 의 범위에서는, 제 2 패드 (42) 보다 후방의 부분에 대해 폭이 좁은 협애부 (41B-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패드 (42) 에는, 인접하는 2 개의 제 1 패드 (41) 의 사이를 통과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그 제 2 패드 (42)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 후방 배선부 (42B) 가 도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방 배선부 (42A) 는, 상기 협애부 (41B-1) 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고, 제 2 후방 배선부 (42B) 는, 상기 협애부 (41B-1)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의 뒷부분에 있어서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 제 2 후방 배선부 (42B) 는, 모두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접속역 (P)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대응 배선과 도통되어 있다. 이 대응 배선은 플렉시블 기판 (40) 의 내층에 위치하고 있고,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 (40) 은,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역 (P) 과 또한 그 후방에까지 미치는 범위에서,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이면측 (도 1, 도 3 에서 하면측) 에 보강판 (43) 이 첩부 (貼付) 되어 있다.
도 3 에 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은, 상기 보강판 (43) 이 첩부되어 있는 범위에서 측부 가장자리부에 오목상의 피걸림부 (44) 와 삼각 날개상의 상방 피규제부 (45) 를 갖고 있다. 상기 피걸림부 (44) 는,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이미 서술한 가동 부재 (13) 에 형성된 탄성 걸림부 (13F) 의 후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13G)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 (44) 내에 진입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후방으로의 발출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피걸림부 (44) 보다 전방 부분의 측부 가장자리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커넥터 (10) 로의 압입시에 있어서의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 위치가 규제되는 폭 방향 피규제부 (46) 를 형성한다. 한편, 상방 피규제부 (45) 는, 앞측 가장자리를 경사 가장자리 그리고 뒤측 가장자리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각 가장자리로 한 삼각 날개상을 이루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 (40) 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이미 서술한 하우징 본체 (12) 에 형성된 상방 규제부 (16) 의 하방에 형성된 홈부 (16A)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피걸림부 (44) 가 가동 부재 (13) 의 걸림부 (13G) 와 걸림으로써 발출이 저지되고, 또 상방 피규제부 (45) 가 상기 홈부 (16A) 내에 있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밖의 후방 위치에서 들어올려지는 외력을 받아도, 상방 규제부 (16) 의 하면에서 상방으로의 들어올림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에 대해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는 폭 방향에서의 치수끼리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폭은, 제 1 패드 (41) 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패드 (42) 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대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압입될 때에 허용되는 최대 폭 방향의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그 제 2 패드 (42) 의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제 1 후방 배선부 (41B)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범위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대해, 플렉시블 기판 (40) 을 전기 커넥터 (10) 에 압입하여 접속할 때의 순서 및 그 상황에 대해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 6 에서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대응 패드와의 접촉 위치 및 범위만으로 나타내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접속에 앞서, 전기 커넥터 (10) 는 그 가동 부재 (13) 가 폐쇄 위치에 있고, 이러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 (10) 로의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도 4 의 (A) ∼ (C) 에 보는 바와 같이 진행된다.
도 4 의 (A) 는 압입 개시시, 도 4 의 (B) 는 압입 도중 그리고 도 4 의 (C) 는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종료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13) 의 개폐에 의해서도 단자 (20, 30) 의 위치 그리고 상태가 변하지 않으며, 플렉시블 기판 (40) 은 커넥터로의 압입 개시시부터 단자 (20, 30) 의 접촉부 (21A, 31A) 로부터 접압을 받고 있고, 이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이 진행된다. 이하,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에 대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으며 압입되는 경우와,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압입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인 경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양방 모두, 정규의 정밀도로 만들어지고 있는 경우이다. 플렉시블 기판 (40) 은, 커넥터로의 소정 위치까지의 압입 과정에서,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부 측부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폭 방향 피규제부 (46) 가 하우징 본체 (12) 의 폭 방향 규제부 (18) 에 압입 안내될 때에 폭 방향에서의 규제를 받는다.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은,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는, 커넥터에 대한 폭 방향 상대 위치가 정규 위치라고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도 5 는, 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단자 (20, 30) 의 접촉부 (21A, 31A) 와 플렉시블 기판 (40) 의 패드 (41, 42) 의 위치 관계를 주로 도시하고, 상기 폭 방향 규제부 (18) 와 폭 방향 피규제부 (46) 의 관계는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커넥터 (10) 에 대해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있으면, 플렉시블 기판 (40) 이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와 접압을 가진 커넥터로의 압입이 개시되기 직전에 있어서는, 도 5 의 (A) 에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의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제 1 패드 (41) 에 대해,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패드 (42) 에 대해, 모두 폭 방향 중앙 위치끼리가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다 (도 5 의 (A) 참조).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개시되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는, 먼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접압을 갖고 압입되고, 제 2 패드 (42) 로 연결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가 상기 접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위치를 통과한다 (도 5 의 (B) 및 (C) 참조).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제 2 패드 (42) 가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위치에 도달한다. 플렉시블 기판 (40) 이 폭 방향에서 단자 (즉,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대해 정규 위치에 있으므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개시시부터 소정 위치로의 압입 완료까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대응의 제 2 전방 배선부 (42A) 를 거쳐 제 2 패드 (42) 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으며, 모재 상에 탈락하는 경우도 없다.
한편,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보다 전방, 즉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방향 안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압입 방향에서의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거리만큼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진행된 시점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를 넘어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5 의 (C), (D) 참조). 그 때,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는,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패드 (41) 에 인접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고, 모재 상에 탈락하는 경우도 없다.
다음으로, 정규 위치라고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어긋남이 작은 경우에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패드 (42) 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상에 있어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상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서 안정적인 자세로가 되기에 충분한 폭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상에 있고,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패드 (42) 상으로 이행된다.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 중 어느 것이 정규 치수로부터 벗어나 있고, 플렉시블 기판이 그 폭 방향 규제부에서 하우징의 폭 방향 규제부에 의해 폭 방향에서 규제되어도, 단자와 패드가 정규 위치로부터 폭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이 폭 방향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그 어긋남에도 한도가 있고 본 발명에 의해 대응할 수 있는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이 그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커넥터 (10) 에 압입되는 경우 (도 6 의 (A) 참조), 처음에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와 접압을 갖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이 어긋남이 크면, 도 6 의 (B) 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개시시에, 제 2 패드 (42)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이것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의 양방에 걸쳐진다. 즉,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폭보다 크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긋남이 더욱 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허용 최대치) 하에서는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폭 방향으로 비어져나오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에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6 의 (B') 참조). 따라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그 접촉부 (31A) 의 양 측단부가 상기 압입 과정에서 상기 제 2 전방 배선부 (42A) 및 제 1 패드 (41), 또는 인접하는 제 1 패드 (41) 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탈락하여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 상에 접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이 진행되면,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도 6 의 (C) 와 (D)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에 걸쳐진 상태로부터, 혹은, 제 1 패드로부터 제 2 패드 (42) 로 이행된다. 제 2 패드 (42) 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에 대해 충분한 폭을 갖고 있으므로, 단자 (20, 30) 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 (40) 의 폭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상기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여도,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상기 제 2 패드 (42) 로부터 폭 방향에서 다소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어도, 충분한 폭으로 제 2 패드 (42) 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제 2 패드 (42) 상에 위치한다. 이 때,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1 패드 (41)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는 이간되어 있다.
한편, 제 2 단자 (30) 보다 늦게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가 압입되는 제 1 단자 (20) 는, 상기 어긋남의 대소에 관계없이, 당초부터 제 1 패드 (41) 에만 접하도록 하여 제 1 패드 (41)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각각의 접촉부 (21A, 31A) 는 안정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제 1 패드 (41) 그리고 제 2 패드 (42) 로 이행되게 되고,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 상에는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 제 1 그리고 제 2 패드 (41, 42), 나아가서는 제 1 후방 배선부 (41B) 그리고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측부 가장자리 모서리부 등에서 깎임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도 7 의 (A) ∼ (B) 에 보는 바와 같이, 제 2 패드면 (도시하지 않음) 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 (31A-1) 혹은 그것과 함께 사면 (31A-2) 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40) 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 (41) 의 위치에 있을 때,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곡면 (31A-1) 혹은 사면 (31A-2) 이,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한다. 제 2 단자 (30) 이 상기 곡면 (31A-1) 혹은 사면 (31A-2) 을 갖는 경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제 2 전방 배선부 (42A) 와 제 1 패드 (41) 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는,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 과정에서, 플렉시블 기판 (40) 의 모재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패드 (42) 에 대한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그 접촉부 (31A) 의 접촉면의 폭의 3/4 이다.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이 상기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의 폭의 3/4 보다 크면, 플렉시블 기판 (40) 의 압입시, 그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와 맞닿는 압입 개시시에, 상기 접촉부 (31A) 가 제 2 전방 배선부 (42A) 로부터 벗어나거나, 압입 완료시에 제 2 패드 (42) 로부터 대폭 벗어나 불안정해지거나, 혹은 제 1 후방 배선부 (41B) 와 접촉되어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의 형상을 도시의 예와는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 (40) 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에 관하여 개선이 가능하다. 도 3 에 도시되는 플렉시블 기판 (40) 에서는, 그 플렉시블 기판 (40) 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가 위치하고 있다. 제 1 전방 배선부 (41A) 와 제 2 전방 배선부 (42A) 의 양자 모두 패드에 비하여 폭 방향이 좁기 때문에, 양자의 간격은 넓어진다. 따라서, 도 3 의 경우에는 단자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 어긋남이 크면, 단자가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에 위치했을 때에, 단자는 양자 중 일방으로부터 벗어나,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깎을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8 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짧은 제 1 패드 (41) 의 제 1 전방 배선부 (41A) 를 복수, 예를 들어 2 개 형성함으로써 상기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 의 예에서는, 제 1 패드 (41) 의 폭 방향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가 형성되어 있어, 2 개의 제 1 전방 배선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가,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 (P) 인 경우에는 양방의 제 1 전방 배선부 (41A) 에 걸쳐지고,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1A) 혹은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1A) 가 폭 방향에서 최대 어긋남 위치 (Q) 인 경우에는 제 1 전방 배선부 (41A) 를 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단자는 플렉시블 기판의 전단 가장자리의 위치에 있어도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을 깎는 경우가 없다.
10 : 전기 커넥터 41 : 제 1 패드
18 : 폭 방향 규제부 41A : 제 1 전방 배선부
20 : 제 1 단자 41B : 제 1 후방 배선부
21A : 접촉부 42 : 제 2 패드
30 : 제 2 단자 42A : 제 2 전방 배선부
31A : 접촉부 42B : 제 2 후방 배선부
40 : 플렉시블 기판

Claims (8)

  1. 플렉시블 기판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가 그 플렉시블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단자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과 탄성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수용 공간에, 플렉시블 기판의 앞부분에 형성된 접속역이 소정 위치까지 전방으로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에 저항하여 압입되어 탄성 접촉 및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에 있어서,
    커넥터의 단자는, 접촉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단자와, 그 제 1 단자보다 플렉시블 기판의 압입 방향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단자를 갖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지그재그상을 이루도록 상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소정 위치에까지 압입되었을 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가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제 1 패드와 제 2 패드의 폭은 전후 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고, 제 1 패드에는 그 제 1 패드보다 폭이 좁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후방 배선부 그리고 제 2 패드에는 그 제 2 패드보다 폭이 좁고 전후로 연장되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2 후방 배선부가 각각 도통되어 있고,
    제 1 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2 패드와 인접하는 부분을 갖고, 제 2 전방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제 1 패드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1 패드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폭은, 제 2 패드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에 대한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은, 상기 제 2 패드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그 제 2 패드의 인접하는 제 1 패드의 제 1 후방 배선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패드면과 접촉 가능한 접촉면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 혹은 사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이 최대 폭 방향 어긋남 하에서, 압입 방향에서 제 1 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단자의 접촉부는, 제 2 전방 배선부와 제 1 패드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의 모재면에 대해 비접촉인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패드의 전방에 제 1 전방 배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방 배선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전방 배선부는 각 제 1 패드에 대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기판을 패드가 형성된 표면측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과 이면측에 위치하는 가압 아암을 갖고, 접촉 아암과 가압 아암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플렉시블 기판의 최대 폭 방향 어긋남을 정하는 폭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패드에 도통하는 제 1 후방 배선부와 제 2 패드에 도통하는 제 2 후방 배선부는, 제 2 패드보다 후방에서 동일한 폭임과 함께, 제 2 패드보다 좁고, 전후 방향에서 제 2 패드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 1 후방 배선부보다 넓은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KR1020160010521A 2015-02-17 2016-01-28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KR102001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8725A JP6656808B2 (ja) 2015-02-17 2015-02-17 電気コネク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組立体
JPJP-P-2015-028725 201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63A true KR20160101663A (ko) 2016-08-25
KR102001285B1 KR102001285B1 (ko) 2019-07-17

Family

ID=5669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521A KR102001285B1 (ko) 2015-02-17 2016-01-28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6808B2 (ko)
KR (1) KR102001285B1 (ko)
CN (1) CN105896135B (ko)
TW (1) TWI670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7229A (zh) * 2020-01-27 2022-05-10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电子控制装置
JP2021118268A (ja) * 2020-01-27 2021-08-10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及びコネク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541A (ja) * 2005-04-15 2006-11-02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8010308A (ja) 2006-06-29 2008-01-17 Nec Saitama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コネクタ
JP2010074095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Corp 電気回路装置
JP2013004314A (ja) * 2011-06-16 2013-0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30114739A (ko) * 2011-02-25 2013-10-1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체 및 커넥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872U (ko) * 1990-05-30 1992-02-07
US5211565A (en) * 1990-11-27 1993-05-18 Cray Research, Inc. High density interconnect apparatus
JPH04352488A (ja) * 1991-05-30 1992-12-07 Nec Corp 有機混成集積回路
JPH05121133A (ja) * 1991-10-25 1993-05-18 Nec Corp 零挿入力コネクタ
JPH08125319A (ja) * 1994-10-28 1996-05-17 Seiko Epson Corp 回路基板
JP3396807B2 (ja) * 1999-06-25 2003-04-1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基板中継コネクタ
JP3096767U (ja) * 2003-03-28 2003-10-03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591830B (en) * 2003-05-20 2004-06-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3816914B2 (ja) * 2003-10-29 2006-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245453A (ja) * 2005-03-07 2006-09-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の他の回路基板への接続方法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0959400Y (zh) * 2006-01-24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60026B2 (ja) * 2006-10-04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TWM335114U (en) * 2007-11-28 2008-06-21 P Two Ind Inc Positioning structure
TW200924581A (en) * 2007-11-28 2009-06-01 P Two Ind Inc Flexible transmission line positioning device
JP5169308B2 (ja) * 2008-02-27 2013-03-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JP5344285B2 (ja) * 2008-12-02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95861B2 (ja) * 2009-03-31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M367456U (en) * 2009-04-22 2009-10-21 P Two Ind Inc The electrical connector
JP2011034864A (ja) * 2009-08-04 2011-02-17 Molex Inc コネクタ
JP5391104B2 (ja) * 2010-02-12 2014-01-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CN102683932A (zh) * 2011-03-11 2012-09-19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电路板连接器及电路板的连接方法
US8827733B2 (en) * 2011-03-15 2014-09-09 Omron Corporation Connecting terminal with a fixed portion and a contact
CN102959803B (zh) * 2011-06-16 2015-05-1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扁平电缆及其制造方法
JP5999541B2 (ja) * 2011-08-24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51186B2 (ja) * 2011-10-04 2016-02-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203434317U (zh) * 2013-09-16 2014-02-12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传输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541A (ja) * 2005-04-15 2006-11-02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8010308A (ja) 2006-06-29 2008-01-17 Nec Saitama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コネクタ
JP2010074095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Corp 電気回路装置
KR20130114739A (ko) * 2011-02-25 2013-10-1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체 및 커넥터 구조
JP2013004314A (ja) * 2011-06-16 2013-0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52119A (ja) 2016-08-22
JP6656808B2 (ja) 2020-03-04
CN105896135A (zh) 2016-08-24
CN105896135B (zh) 2021-03-26
TW201631842A (zh) 2016-09-01
TWI670898B (zh) 2019-09-01
KR102001285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85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P1986275B1 (en) Connector
US771307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72663B1 (ko) 전기 커넥터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JP4951321B2 (ja) コネクタ
US8043113B2 (en) Relay connector for flexible cables
KR101162961B1 (ko)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KR101860641B1 (ko) 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JP4044939B2 (ja) コネクタ
JP4044937B2 (ja) コネクタ
KR101425063B1 (ko) 커넥터
JP2008153059A (ja) コネクタ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US9252516B2 (en) Connector
KR101502477B1 (ko) 커넥터 장치
US20100003869A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US11038301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JP7068896B2 (ja)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KR102143973B1 (ko) 커넥터
JP4316908B2 (ja) 電気コネクタ
CN110880651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以及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组装体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