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961B1 -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961B1
KR101162961B1 KR1020097027622A KR20097027622A KR101162961B1 KR 101162961 B1 KR101162961 B1 KR 101162961B1 KR 1020097027622 A KR1020097027622 A KR 1020097027622A KR 20097027622 A KR20097027622 A KR 20097027622A KR 101162961 B1 KR101162961 B1 KR 10116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detectable
ma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190A (ko
Inventor
도시히로 니이쯔
유우이찌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정합 검출 특성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는 암형 보드 커넥터에 의해 수용되는 수형 와이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와이어 커넥터의 하우징은 전도성 플레이팅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그 상부에 배치된 전도성부를 구비한다. 암형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도성 끼워맞춤 네일부의 연장부 형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도성 스트립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도성부는 커넥터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될 와이어 커넥터의 전도성 부분을 위한 접촉면을 제공한다. 와이어 커넥터의 전도성부는 와이어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에 충분히 삽입될 때에만 끼워맞춤 네일부의 연장부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R1020097027622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 결합부, 돌출부, 단락용 부재, 전도성

Description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WIRE-TO-BOARD CONNECTOR WITH DETECT CAPABILITIES}
본 발명은 완전한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장치 및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왔고, 이 커넥터는 대응 커넥터와의 완전한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장치 및 기기의 검사, 조립 등의 단계에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9-106858호 참조).
도 9는 종래의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901은 하우징(911)과, 케이블(991)의 단부가 접속되는 단자(961)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801은 하우징(811)과 단자(861)를 구비하고 도시되지 않은 기판 상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다. 단자(861)는 지지 부재(831)에 의해 지지된다. 플러그 커넥터(901)가 리셉터클 커넥터(801)와 끼워맞춤될 때, 양 단자(961, 861)는 케이블(991)이 기판의 트레이스 또는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도록, 서로 접촉되어 그 사이에서 전기 접속을 이룬다,
플러그 커넥터(901)는 전도성 금속 재료로 일체로 제조된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을 구비한다.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은 하우징(911)의 상부면에 대해, 그 기부에서 확실하게 고정되고, 그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952)과, 그 자유 단부에 형성된 로킹해제용 가압부(953)와, 2개의 단락용 접촉부(954)가 폭방향으로, 즉 도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방식으로 결합 구멍(95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단락용 접촉부(954)를 구비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801)는 하우징(811)의 상부벽의 최전방 단부에 형성된 로킹용 돌기(815)와, 폭방향으로, 즉 도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을 구비한다. 전술한 로킹용 돌기(815)는 그 최하부 단부에서 테이퍼링된 결합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은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끼워맞춤 검출 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하우징(911)이 플러그 커넥터(901)와 리셉터클 커넥터(801)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811) 내에 삽입될 때, 하우징(811)의 로킹용 돌기(815)는 가요성 로킹용 아암(951)의 결합 구멍(952)에 결합됨으로써, 가요성 로킹용 아암(951)이 로킹되고,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901)와 리셉터클 커넥터(801)의 끼워맞춤 결합이 해제되거나 접속이 단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가요성 로킹용 아암(951)은 탄성 특성으로 인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각각의 단락용 접촉부(954)는 대응하는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의 각각은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을 통해 상호 전도성을 이루게 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901)와 리셉터클 커넥터(801)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이 완전한 지의 여부가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에 접속된 끼워맞춤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반면에, 플러그 커넥터(901) 및 리셉터클 커넥터(801)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이 완전하지 않아서 하우징(811)의 로킹용 돌기(815)가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의 끼워맞춤 구멍(952)으로 진입하지 못하여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의 로킹이 실패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911)이 하우징(811)에 삽입될 때에도,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이 로킹용 돌기(815)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단락용 접촉부(954)가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한 쌍의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의 각각은 상호 비전도성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901)와 리셉터클 커넥터(801) 사이의 끼워맞춤된 결합의 불완전성이 전술한 끼워맞춤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종래 기술의 전술한 커넥터에 있어서, 통상의 단자(861)와 그와 유사하게 형성된 끼워맞춤 검출용 전극(851)의 양쪽을 별개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고, 그에 따라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커넥터가 큰 폭 및 평평한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경우,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의 변형 또는 하우징의 기울어진 삽입이 특히 커넥터의 폭방향에서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불완전한 끼워맞춤 결합의 발생을 쉽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가요성 로크용 아암(951)의 사용에 의해 폭방향으로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이 검출되려고 하는 경우에, 가요성 로킹용 아암(951)이 큰 폭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요구되어, 제조 비용의 증가에 수반하는 제조상 어려움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의한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에 의해 직면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의 양측면에 장착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가 제2 커넥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로킹부와 결합되어 양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로 되게 하고 또한 끼워맞춤 검출 전극으로 사용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제2 로킹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단락용 연속 부재의 구성으로 인해, 제1 및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고, 전체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으며,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용이한 제조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는, 기판 상에 장착되고, 제1 하우징이 제공된 제1 커넥터와; 제1 하우징내에 장착된 제1 단자와;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되고 제2 하우징이 제공된 제2 커넥터와; 제1 단자와 접속가능한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전극부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로킹부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를 제1 하우징 상에 구비하고, 제2 커넥터는 한 쌍의 제2 로킹부와 단락용 부재를 제2 하우징 상에 구비하고, 단락용 부재의 적어도 양 단부는 제2 로킹부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상호 끼워맞춤될 때, 전극부가 단락용 부재와 접촉되게 하여 한 쌍의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가 단락용 부재를 통해 상호 전도되도록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에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의 각각은 제1 하우징 상에 장착된 장착부와, 기판에 고정된 고정부와, 제1 로킹부로서 제공되고 장착부에 고정된 기부와 결합부가 내부에 형성된 자유단측과 전극부를 가지는 캔틸레버형 아암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에서, 제1 하우징은 제2 커넥터와 대면하는 대면 면에서 개방 형성된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제2 하우징은 삽입 구멍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플러깅부를 구비하고, 제1 로킹부는 제2 커넥터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한 자유단측의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제2 커넥터의 취출 방향측에 위치한 전극부를 구비하며, 제2 로킹부는 플러깅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의 취출 방향측에 위치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단락용 부재는 결합부로부터 취출 방향측에 위치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에서, 전술한 단락용 부재는 제2 로킹부의 결합부에 플러깅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2 로킹부로부터 일부분 너머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에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는 제1 하우징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로킹부는 제1 하우징의 대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배치되고, 제2 로킹부는 제2 하우징의 대향 단부의 근방에 위치한 각각의 일부분 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는 결합 검출을 위한 전극으로서 제1 커넥터의 하우징에 각각 장착된 제1 로킹부가 형성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를 이용하고, 제2 커넥터의 하우징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로킹부를 상호접속하는 단락용 부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결합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3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기판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 커넥터의 3개의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정면도, 도 4의 (c)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기판 커넥터 및 와이어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커넥터의 부분적인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커넥터의 완전한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판 커넥터 및 와이어 커넥터가 함께 끼워맞춤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의 (b) 및 (c)는 도 8의 (a)에 표시 된 부분 "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부호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제1 커넥터로서 구성되고,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기판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의 제2 커넥터로서 구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전기 와이어(191)를 구비하는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와이어 커넥터를 나타낸다. 와이어 커넥터(101)는 기판 커넥터(1)에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커넥터(10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원형 단면을 갖는 전기 와이어(191)가 구비된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 뿐만 아니라, 대향측 커넥터에 가요성 편평 케이블(FFC), 가요성 인쇄 회로(FPC) 등과 같은 편평 플레이트형 가요성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예컨대,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엔진, 일반적으로 약어로 "AT"라 하는 자동 변속기, 일반적으로 약어로 "ABS"라 하는 안티 로크 브레이킹 시스템 등을 제어하는데 적절한, 일반적으로 약어로 "ECU"라 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접속하는데 사용되기에 적합하지만, 임의의 다른 활용예에도 채용될 수 있다.
우선, 기판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응하며, 와이어 커넥터(101)와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 기판 커넥터(1)는 합성 수지 재료와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져서 제1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우징(11)과, 각각 금속 등의 양호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져서 제1 단자 또는 단자들을 형성하는 하나의 단자 또는 단자(61)들을 구비하며, 단자들 각각은 하우징(11)의 배면 벽부(19)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단자(61)들 각각은,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테일부(62)와, 솔더 등과 같은 적절한 접속 수단에 의해 회로 기판 내에 형성된 접속 패드 등과, 하우징(11)의 배면 벽부(19)에 가압 끼워맞춤되어 거기에 견고하게 보유되도록 구성된 파지부(63)와, 하우징(11)의 삽입 구멍(13) 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커넥터(101)에 제공된 대응 단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64)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61)는 미리 정해진 간격, 즉 미리 정해진 피치만큼 서로 이격 분리되면서 단일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10개의 단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자(61)의 개수, 피치 및 열 수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자(61)는 2개 이상의 선형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외부 형상에 있어서 편평하게 형성된 박스형 부재이며 사실상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이고, 그에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 직사각 벽부로서 형성된 상부 벽부(12)와, 폭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 직사각 벽으로서 형성되고 상부 벽부(12)과 대면하는 하부 벽부(16)와, 전술한 상부 및 하부 벽부(12, 16)의 대향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측벽부(17)를 구비한다. 상부 벽부(12), 하부 벽부(16) 및 측벽부(17)는 와이어 커넥터(101)에 대면하는 대면 면 내에 개방된 삽 입 구멍(13)을 둘러싸는 영역을 한정한다. 양측 상의 측벽부(17)는 각각 삽입 구멍(13)의 대향 단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21)을 구비한다. 삽입 구멍(13)이 형성된 전술한 대면 면에 대해 대향 측 상에 위치된 대향 면은 배면 벽부(19)에 의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 커넥터(1)는 소위 직각형 커넥터이며, 따라서 전술한 회로 기판 상에 측방향으로 지향된 자세로 장착되어 도 2B 및 도2C에서 볼 수 있는 기판 커넥터(1)의 바닥면이 결과적으로 회로 기판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전술한 삽입 구멍(13)은 회로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배면 벽부(19)가 회로 기판에 거의 수직인 상태로 직립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기판 커넥터(1)는 전술한 직각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형 커넥터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삽입 구멍(13)은 상향 개방되며, 따라서 회로 기판에 수직으로 연장될 것이다. 더욱이, 배면 벽부(19)가 회로 기판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대면하는 방식으로 장착이 이루어진다. 간략한 설명을 위해, 소위 직각형 커넥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된다.
금속 브래킷 수용 홈(14)은 측벽부(17) 각각의 가이드 홈(21)의 외부 내에 형성되며,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로서 형성된 네일(81)은 금속 브래킷 수용 홈(14) 내에 가압 끼워맞춤되어 하우징(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네일(81)은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시킴으로써 사실상 크랭크 형태(crank-form)로 형상화된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로 일체로 형성된 금속 부재이며,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금속 브래킷 수용 홈(14) 내에 장착된 장착부(82)와, 장착부(82)의 하부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솔더링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전술한 접속 패드에 고정되는 하부면을 구비하는 고정부(83)와, 장착부(82)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로킹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아암부(84)를 구비한다. 아암부(84)는 맨끝 자유단에 전도성 밴드(151)와 접촉할 수 있는 전극부(84a)를 구비한다.
전술한 상부 벽부(12)에는 한 쌍의 결합 리세스(15)와, 한 쌍의 결합 리세스(15)와 금속 브래킷 수용 홈(14)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 수용 리세스(18)가 형성된다. 전술한 결합 리세스(15)는 와이어 커넥터(101) 내에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115)가 그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되어, 결합용 돌출부(115)가 네일(81)의 아암부(84)에 의해 결합될 때 전자의 부분이 상부 벽부(12)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아암부(84)와 그 맨끝 자유단에 제공된 전극부(84a) 모두는 공통되는 편평 플레이트 형상부 내에 형성되므로, 각각의 결합 리세스(15)와 각각의 아암 수용 리세스(18)는 상부 벽부(12)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아암부(84)가 결합용 돌출부(115)와 결합되고 전극부(84a)가 전도성 밴드(151)와 접촉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이 채용된다면, 결합 리세스(15)와 아암 수용 리세스(18)는 상부 벽부(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양 리세스(15, 18)가 각각 상부 벽부(12)의 상부면과 하부면 내에 오목하게 리세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로킹부로서 제공된 아암부(84)가 기판 커넥터(1)의 종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대향 측벽부(17)에 인접한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고 기판 커넥터(1) 의 폭방향 대향 단부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아암부(84)는 기판 커넥터(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제1 및 제2 단자(61) 사이에 위치된 각각의 중간 위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네일(81)의 아암부(84)는 아암 수용 리세스(18) 내에 수용되고, 아암부(84)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전극부(84a)는 관통식으로 형성된 결합 리세스(15)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고 삽입 구멍(13)의 내부로 노출된다.
한편, 전술한 와이어 커넥터(101)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응하고,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진 제2 하우징으로서 형성되고 전술한 기판 커넥터(1)와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대응 하우징(111)과, 제2 단자로서 제공되고 각각이 금속 재료와 같은 양호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대응 하우징(111) 내에 장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대응 단자를 구비한다. 대응 하우징(111)은 편평하고 스트립형인 직사각형 외부 형상부를 가지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두꺼운 플레이트형 부재이다. 더욱이, 대응 하우징(111)은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구멍(13) 내에 삽입되는 플러깅부(113)와, 기판 커넥터(1)와 대면하는 플러깅부(113) 내에서 대면하는 면(113a)에 대향하는 측 상에 플러깅부(113)와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114)를 구비한다.
대응 하우징(111)은 또한 플러깅부(113)와 플랜지부(114) 모두를 관통하며 대응 하우징이 전술한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삽입 구멍(13)으로부터 취출되는 방향, 즉 대응 하우징(111)의 삽입/취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단자 수용 홀(116)을 구비한다. 단자 수용 홀(116)은 각각의 홀이 단자의 단일편을 내부 에 보유하도록 그 내부에 대응 단자를 수용하도록 허용된다. 더욱이, 단자 수용 홀(116) 내에서, 대응 전극과 접속되는 전기 와이어(191)의 단부는 하나씩 수용된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맞춤되어 그 사이에 결합이 달성된 상태에서, 단자(61)의 접촉부(64)는 대응 단자와 접촉하도록 기판 커넥터(1)와 대면하는 플러깅부(113)의 면 내에 형성된 그 개구를 통해 단자 수용 홀(116)에 이르는 것이 허용되고, 그로 인해 그 사이에 물리적 접속이 달성된다. 따라서, 단자 수용 홀(116)은 그 개수가 단자(61)의 개수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단자(61)의 열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열로 유사하게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10 개의 긴 단자 수용 홀(116)이 미리 정해진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열로 배치된다.
플러깅부(113)는 2개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측벽(113c)을 구비하고, 전술한 대면하는 면(113a)에 인접 위치된 각각의 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를 구비한다. 가이드 돌기(121)는 삽입 구멍(13)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1)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2 로킹부를 형성하기 위한 표면으로서 제공되는 플러깅부(113)의 상부면(113b)은 서로 측방향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상향 돌출된 결합용 돌출부(115) 쌍을 구비한다. 결합용 돌출부(115)는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맞춤되어 그 사이에 결합이 달성된 상태에서 기판에 기판 커넥터(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각각의 네일(81)을 구비하는 아암부(84)와 결합되는 돌출부로서 제공되고, 그에 따라 결합용 돌출부(115)는 제2 로킹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결합용 돌출부(115)는 플러깅부(113)의 측벽(113c)에 인접 위치된 위치에 바람직하게 제공되고,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115)는 각각 좌우 대향 단부 중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단부(61) 사이에 개재식으로 위치해 있는 2개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결합용 돌출부(115) 각각은 제공된 측면도에서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 테이퍼링된 면(115a)이 대면하는 면(113a)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전술한 삽입/취출 방향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며, 결합면(115b)이 전술한 플랜지부(114)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취출 방향에 대해 가파르게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으로 지향된다.
또한, 전술된 플러깅부(113)는 상부면(113b) 상에 배치되어 서로 측방향으로 분리된 2개의 결합용 돌출부(115)를 접속하는 단락용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밴드(151)을 구비한다. 전도성 밴드(151)는 금속 재료 등의 양호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좁은 스트립형 부재이고, 플러깅부(11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부(114)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 2개의 결합용 돌출부(115)의 각각의 측 근방의 위치에 그 대향 단부가 배치된다. 전도성 밴드(151)의 대향 단부는 기판 커넥터(1) 및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맞춰져 그 사이의 결합을 달성한 상태에서 네일(81)의 전극부(84a)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양 결합 리세스(15)로 배향된 각각의 측 상에 배치된 양 아암부(84)의 단부 모서리(84b)가 결합용 돌출부(115)와 상부면(113b) 각각의 사이에 경계부로 제공된 루트부(115c)와 결합되는 위치에서 기판 커넥터(1) 및 와이어 커넥터(101)가 그 끼워맞춤 결합을 완료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전도성 밴드(151)가 결합용 돌출부(115)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취출 방향측에 속하는 위치에서 상부면(113b) 상에 배치되고, 전극부(84a)가 전술된 단부 모서리(84b)에 대하여 취출 방향측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부 모서리(84b)가 루트부(115c)와 결합되는 경우, 즉, 양 커넥터(1 및 101)의 끼워맞춤 결합이 완료되는 경우에 전극부(84a)가 전도성 밴드(151)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밴드(151)는 후술되는 기재에 대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트부(115c)에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고, 단부 모서리(84b)가 루트부(115c)와 결합하는 경우에 전극부(84a)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면 충분할 것이다.
기판 커넥터(1) 및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는 경우, 또는 결합용 돌출부(115)의 결합면(115b)이 상부면(113b)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파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전술된 전도성 밴드(151)의 대향 단부는 후술되는 기재에 대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밴드(151)의 각 단부의 일부가 각 결합용 돌출부(115)의 결합부(115b)에 기대게 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깅부(113)의 상부면(113b) 상에 배치된 전도성 밴드(151)가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15b)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151a)를 구비한 경우, 연장부(151a)가 루트부(115c)를 내리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 커넥터(101)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기판 커넥터(1)로부터 취출되는 경우, 상호작용하는 네일(81)의 아암부(84)에 의해 각 결합용 돌출부(115)의 루트부(115c)의 기밀한 조임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아암부(84) 및 전도성 밴드(151)는 단부 모서리(84b)가 루트부(115c)와 결합하기 전에 서로 만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길이가 충분한 한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결합면(115b)이 상대적으로 가파른 경사 또는 상부면(113b)에 대해 대략 직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아암부(84)는 이동되어 끼워맞춤 동작시의 짧은 시간 동안 결합면(115b)을 통과할 것이고, 따라서 단부 모서리(84b)는 루트부(115c)와 결합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전도성 밴드(151)는 도금, 증착, 코팅 등에 의해 플러깅부(113)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금속 막이거나, 또는 아교, 나사 조임 등에 의해 고정된 금속 박판, 금속 막, 전도성 수지 판 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전도성 밴드(151)는 오버 몰딩(over-molding), 공사출 성형 등을 포함하는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플러깅부(113)과 일체로 형성된 금속 판, 금속 막 또는 전도성 수지 판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네일(81)은 하우징(11) 상에 장착되어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네일(81) 사이의 전도 상태를 기초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조건을 검출하기 위해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끼워맞춤 검출 장치에 접속된다. 즉, 한 쌍의 네일(81)이 상호 전도된 경우, 끼워맞춤 검출 장치는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결합의 완료를 검출한다. 부수적으로, 이 끼워맞춤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기판 커넥터(1)가 장착되고,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각각의 네일(81)의 고정부(83)가 고정된 접속 패드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을 수행하는 동작이 후술될 것이다.
우선, 조작자는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구멍(13)과 와이어 커넥터(101)의 대면하는 면(113a)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자세로 수동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서로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와이어 커넥터(101)의 플러깅부(113)를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구멍(13)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1)의 단자(61)의 접촉부(64)의 극단부가 와이어 커넥터(101)의 단자 수납 홀(116) 내로 이동되어, 단자 수납 홀(116)에 수용된 대응 단자와의 접촉을 개시한다. 이 단계에서, 도 6에 나타난 상태에서, 결합용 돌출부(115)는 한 쌍의 네일(81)의 아암부(84)와 아직 결합되지 않았다.
이어서, 와이어 커넥터(101)의 플러깅부(113)가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구멍(13)의 내부로의 내향 진행이 촉진되도록,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더욱 접근하게 되고, 이 결과, 도 7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용 돌출부(115)가 네일(81)의 각각의 전극부(84a)의 하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결합용 돌출부(115)가 플러깅부(113)와 함께 도 7의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 결합용 돌출부(115)는 하우징(11)의 상벽부(12)에서의 삽입 구멍(13)의 출입측(도 7의 우측)에, 즉 대면하는 면에 근접하게 위치한 부분에 먼저 맞닿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된 부분은 그 두께가 얇도록 형성되고, 테이퍼링된 면(115a)이 완만하게 경사지기 때문에, 결합용 돌출부(115)가 그 부분을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네일(81)의 아암부(84)가 탄성을 가진 금속 판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부(82) 상의 그 기부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캔틸레버 부재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부(84a)가 결합용 돌출부(115)와 결합하게 되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자 마자, 네일(81)의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 전극부(84a)가 결합용 돌출부(115)에 의해 상승될 것이다.
그후, 와이어 커넥터(101)의 플러깅부(113)가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구멍(13)의 내부로 더욱 진행되게 되는 경우,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이 경우, 플러깅부(113)가 도 8의 (a)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각각의 결합용 돌출부(115)는 관련된 결합 리세스(15) 내로 진입한다. 그후, 각각의 네일(81)의 아암부(84)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전의 초기 자세로의 아암부(84)의 회복 이동을 촉진하는 아암부(84)의 탄성으로 인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고, 이에 따라, 단부 모서리(84b)가 결합용 돌출부(115)의 루트부(115c)에 맞닿아진다.
따라서, 양측의 결합용 돌출부(115)가 연관된 아암부(84)와 결합하여 체결된다. 이에 따라, 결합용 돌출부(115)의 각각이 아암부(84)에 대하여 도 8의 (a)의 우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맞춤 상태에서 로킹되고, 의도치않게 불필요하게 결합해제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도 8의 (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네일(81)의 전극부(84a)가 플러깅부(113)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전도성 밴드(151)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 다. 따라서, 하우징(11) 상에 장착되어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네일(81)이 전도성 밴드(15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전술된 네일(81)에 접속된 전술된 끼워맞춤 검출 장치가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결합의 완료를 검출한다. 네일(81)의 전극부(84a)가 그 자신의 탄성으로 인해 전도성 밴드(151)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전극부(84a)의 전도성 밴드(151)와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네일(81)의 아암부(84)는 기본적으로, 아암부(84)의 결합용 돌출부(115)와의 맞닿음-결합을 통해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를 그 상호 끼워맞춤 상태에서 로킹하는 로킹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게다가, 네일(81)의 아암부(84)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아암부(84)는 기판 커넥터(1) 및 와이어 커넥터(101)가 고온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열변형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가질 수 있고, 이 결과,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상태가 그 로킹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결합용 돌출부(115)에 대해 맞닿고 그와 결합하는 로킹 부재가 하우징(11)이 이루어진 재료와 비슷한 합성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면, 로킹 부재가 약 100℃ 정도로 높은 온도 환경 하에서 장시간 동안 사용되는 경우, 가열에 의한 크리프로 인해 소성 변형이 자주 일어나고, 이에 따라, 2개의 커넥터(1 및 101) 사이의 전술된 끼워맞춤 결합의 로킹 해제가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네일(81)의 아암부(84)가 로킹 부재로서 기능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열로 인한 크리프는 끼워맞춤 결합의 안정적인 로킹의 장시간 유지를 확보하여 회피될 수 있다.
전술된 기재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결합 리세스(15)에 배치되거나 또는 결합 리세스(15)에 인접하여 배치된 전극부(84a)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네일(81)이 하우징(11)에 구비되고, 결합용 돌출부(115)와 병렬되거나 또는 그와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결합용 돌출부(115)와 전도성 밴드(151)가 대응 하우징(111)에 구비되기 때문에,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면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맞춰진 경우, 결합 리세스(15)와 결합용 돌출부(115)의 상호 결합 및 전극부(84a)와 전도성 밴드(151)의 상호 접촉이 일어나 한 쌍의 네일(81)과 전도성 밴드(151) 사이에 전기 전도를 생성한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끼워맞춤을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의 구성 뿐만 아니라 구조도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조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네일(81)은 하우징(11)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2측 상에 장착되고, 결합 리세스(15)는 하우징(11)의 측방향 대향 단부의 근방의 위치에서 형성되고, 결합용 돌출부(115)는 대응 하우징(111)의 측방향 대향 양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1)와 와이어 커넥터(101)가 넓고 편평한 형상을 가진다 하더라도, 횡방향 단부의 근처의 위치에서 수행되고 네일(81)의 사용에 의해 종종 불완전한 끼워맞춤이 될 수 있는 끼워맞춤 접속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5)

  1.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이며,
    기판상에 장착되고,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는 전극부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로킹부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를 제1 하우징 상에 구비하고,
    제2 커넥터는 한 쌍의 제2 로킹부와 단락용 부재를 제2 하우징 상에 구비하고, 단락용 부재의 적어도 양 단부는 제2 로킹부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상호 끼워맞춤될 때, 전극부가 단락용 부재와 접촉되게 하여 한 쌍의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가 단락용 부재를 통해 상호 전도되도록 제1 로킹부와 제2 로킹부가 상호 결합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 각각은 제1 하우징 상에 장착된 장착부를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삽입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구멍은 제2 커넥터와 대면하는 대면 면에서 개방 형성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단락용 부재는 제2 로킹부의 결합부에 플러깅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2 로킹부로부터 일부분 너머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는 제1 하우징의 대향 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 각각은 기판에 고정된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보조 금속 장착 브래킷 부재 각각은 캔틸레버형 아암부를 구비하고, 캔틸레버형 아암부는 제1 로킹부로서 제공되고, 장착부에 고정된 기부와, 결합부 및 전극부가 내부에 형성된 자유 단측을 가지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은 삽입 구멍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플러깅부를 더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로킹부는 제2 커넥터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한 자유단측에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로킹부는 결합부로부터 제2 커넥터의 취출 방향측에 위치한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로킹부 각각은 플러깅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로킹부에는 제2 커넥터의 취출 방향측에 위치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락용 부재는 결합부로부터 취출 방향측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4. 제5항에 있어서, 제1 로킹부는 제1 하우징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로킹부는 제2 하우징의 대향 단부의 근방에 위치한 각각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끼워맞춤식 검출가능 커넥터.
KR1020097027622A 2007-06-01 2008-06-02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KR101162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7073A JP5043515B2 (ja) 2007-06-01 2007-06-01 嵌合検知コネクタ
JPJP-P-2007-147073 2007-06-01
PCT/US2008/006991 WO2008150523A2 (en) 2007-06-01 2008-06-02 Wire-to-board connector with detect capab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190A KR20100027190A (ko) 2010-03-10
KR101162961B1 true KR101162961B1 (ko) 2012-07-06

Family

ID=4007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622A KR101162961B1 (ko) 2007-06-01 2008-06-02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43515B2 (ko)
KR (1) KR101162961B1 (ko)
WO (1) WO20081505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477B2 (ja)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647434B2 (ja) * 2010-05-14 2014-12-24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ネーデルランド ビーヴイTE Connectivity Nederland BV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5473777B2 (ja) * 2010-05-24 2014-04-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ヒーター用コネクタ
JP5586395B2 (ja)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344059B2 (ja) * 2011-03-18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84107B2 (ja) * 2013-04-26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7407A (ja) * 2015-04-21 2016-12-08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DE102016215791B4 (de) * 2016-08-23 2019-07-25 Robert Bosch Gmbh Mehrfachkontaktstecker mit integriertem Kurzschlussbrückenelement
DE102018000204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18000207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JP6839472B1 (ja) * 2020-11-20 2021-03-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
DE102022118327A1 (de) 2022-07-21 2024-02-01 Vaillant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eckverbindung auf einer Platine eines Heizgerätes, Steck-verbindung, Regel- und Steuergerät und Heiz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9968A1 (en) * 2005-09-12 2007-03-1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6U (ko) * 1986-06-23 1988-01-08
DE69429461T2 (de) * 1993-12-06 2002-06-27 Sumitomo Wiring Systems Verbinder mit Verriegelungserkennung
US5529507A (en) * 1995-01-09 1996-06-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double ended shorting clip
JP3619300B2 (ja) * 1995-10-11 2005-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1174023A (ja) * 1997-08-29 1999-03-16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JP4022354B2 (ja) * 2000-03-09 2007-12-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JP3500503B2 (ja) * 2000-12-19 2004-02-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3059589A (ja) * 2001-08-15 2003-02-28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6179254A (ja) * 2004-12-22 2006-07-06 Sharp Corp 電気回路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9968A1 (en) * 2005-09-12 2007-03-1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190A (ko) 2010-03-10
JP2008300286A (ja) 2008-12-11
WO2008150523A2 (en) 2008-12-11
WO2008150523A3 (en) 2009-02-19
JP5043515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961B1 (ko) 검출 성능을 구비한 와이어 대 보드 커넥터
US7931477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pair with solder barrier
US7695295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7648377B2 (en) Connector having connection detecting means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CN106972322B (zh) 连接器
US8403708B2 (en) Terminating connector
US20070224882A1 (en) Connector
JP5913014B2 (ja) コネクタ
US9276334B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US9190748B2 (en) Connector structure
US750379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guide spring for precise contact guidance of a PCB
JP397054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用コネクタ
US92366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ti-displacement socket ribs
US9252516B2 (en) Connector
JP4022354B2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JP4717733B2 (ja) 嵌合検知コネクタ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CN108028484B (zh) 连接器装置
US618681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ircuitry
CN109428231B (zh) 电连接器
WO2017122107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H11121112A (ja) 電気的コネクタ
CN113228425B (zh) 连接器
CN114649713B (zh) 电连接器
CN114175415B (zh) 插头连接器和包括该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以及连接器组的拔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