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6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63B1
KR101472663B1 KR1020130027208A KR20130027208A KR101472663B1 KR 101472663 B1 KR101472663 B1 KR 101472663B1 KR 1020130027208 A KR1020130027208 A KR 1020130027208A KR 20130027208 A KR20130027208 A KR 20130027208A KR 101472663 B1 KR101472663 B1 KR 10147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medium
medium
connector
insul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314A (ko
Inventor
진 타테이시
마사타카 무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량을 충분하고 일정하게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대면하는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일부에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 형상을 이루는 기준 맞닿음면(11e1)을 형성하고,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을 적어도 매체 삽입 통로의 기준 맞닿음면(11e1)에 맞닿게 하고, 이 기준 맞닿음면(11e1)을 기준으로 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을 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량 및 해제량을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고, 신호 전송 매체 F의 보유력을 안정화함과 아울러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계지 잠금부가 계합하여 보유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절연체(insulator))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된 매체 삽입 통로의 전단측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그 후에 액츄에이터(actuator)(회동(回動)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커넥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접속 작용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된다. 이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설치된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던 계지 잠금부가 들어가도록 이동하여 걸림 상태로 되고, 이 때의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대략 부동 상태로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이른바 원액션(one action)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가 올라앉도록 하여 탄성 변위하고, 그 후에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계지 잠금부가 들어가 계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면, 전기 커넥터의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신호 전송 매체를 끼워 넣도록 삽입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가 대략 부동 상태로 보유되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와 같이 일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가 대면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가 계합하도록 이동하여 걸림 상태로 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를 행하는 구성이 널리 채용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에는 불균일이 있고, 이 신호 전송 매체의 불균일량에 대응하여 계지 잠금부의 걸림량, 즉 계합량이 변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량이, 설정된 치수 공차 내에 받아들여져 있는 경우라도, 얇은 치수의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는,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걸림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력이 저하하여 신호 전송 매체가 전기 커넥터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두꺼운 치수의 신호 전송 매체가 전기 커넥터에 삽입된 경우에는,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걸림량이 커져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력은 충분히 얻어지지만, 잠금의 해제 조작을 행하여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계지 잠금부를 이탈시키는 경우, 계지 잠금부의 이탈에 필요로 하는 이동량(스트로크(stroke)량)을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만큼 크게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어 그 두께의 확대분만큼 전기 커넥터의 전체가 대형화하는 경향으로 되어 버린다.
또,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를 원활히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신호 전송 매체에 설치된 계합 위치 결정부가 매체 삽입 통로의 도중 부분에 걸리는 등의 장해를 없애 둘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연(兩側緣)을 안내하는 가이드 벽부가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이 종래로부터 행해지고 있다. 그 절연 하우징의 가이드 벽부에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연부가 접촉 또는 충돌하기 때문에, 이들 충격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가이드 벽부에 발생할 수가 없도록 가이드 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게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가이드 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는 분만큼 전기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경향으로 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5-07890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량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측 내벽면과 하측 내벽면의 사이에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가 계합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계지 잠금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측 내벽면의 일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맞닿는 기준 맞닿음면이 설치되고,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측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지 잠금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올라앉아 탄성 변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계지 잠금부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기 상측 내벽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준 맞닿음면이 상기 상측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단차 형상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기준 맞닿음면과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하측 내벽면의 사이의 공간 높이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가 가지는 미리 설정된 최소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두께보다 두꺼운 통상 두께를 가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연 부분이 상기 기준 맞닿음면과의 맞닿음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고 있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 때의 상기 계지 잠금부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계지 잠금부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계지 잠금부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올라앉아 탄성 변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측 내벽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준 맞닿음면이, 상기 상측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전송 매체가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되는데 즈음하여, 그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일부를 이루는 기준 맞닿음면이, 다른 부위보다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에 근접한 위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이, 적어도 매체 삽입 통로의 기준 맞닿음면에 대해서 맞닿은 상태로 되고, 그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이 기준 맞닿음면을 기준으로 하여 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된다. 한편, 계지 잠금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측으로부터 계합 위치를 향해 이동해 오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이 기준 맞닿음면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음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량이,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력이 안정화 됨과 아울러, 계지 잠금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지 잠금부의 이동량이 일정화 되어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을 고려하는 일 없이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부에 맞닿는 스토퍼(stopper)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계지 잠금부의 이동 위치가 스토퍼편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규제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량이 더 안정적으로 얻어짐과 아울러, 대기 상태에서의 계지 잠금부 선단의 돌출량도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당해 계지 잠금부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압압 부재가 일체로 연설(連設)되고,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상기 신호 전송 매체가 상기 계지 잠금부측을 향해 부세(付勢)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압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접지(ground) 도전로에 접속되는 편지(片持) 형상의 판스프링편(片)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가, 압압 부재의 판스프링편에 의해 계지 잠금부측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기준 맞닿음면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가 보다 확실히 맞닿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측 벽판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가이드측 벽판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부터 맞닿는 지지편부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의 가이드측 벽판을 따라 원활히 이동함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의 가이드측 벽판이, 계지 잠금부에 연설된 지지편부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측 벽판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그만큼 전기 커넥터가 소형화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에 대면하는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일부에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에 맞닿는 기준 맞닿음면을,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일부를 이루는 기준 맞닿음면을 다른 부위보다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에 근접한 위치 관계로 하여,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을 적어도 매체 삽입 통로의 기준 맞닿음면에 대해서 맞닿은 상태로 하고, 기준 맞닿음면을 기준으로 하여 신호 전송 매체의 일측 표면을 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량을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고,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력을 안정화함과 아울러, 계지 잠금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지 잠금부의 이동량을 일정화하여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계지 잠금부의 계합량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되고, 신호 전송 매체가 계지 잠금부에 의해 계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A-A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B-B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 중의 C-C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도중까지 행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된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신호 전송 매체(FPC)의 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조작을 한 상태를 나타낸 도 7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신호 전송 매체(FPC)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 8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도 13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난 잠금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도 13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부분인 도 3 중의 D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정면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도 13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은 신호 전송 매체(FPC)의 삽입 완료 상태에 있어서 도 1 중의 F-F선에 따른 횡단면을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도 18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10)는 이른바 논지프(NON-ZIF) 형태의 원액션(one action)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부(前端緣部)(도 6의 좌단연부(左端緣部))에 설치된 매체 삽입구(11a)를 통해,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 내의 소정 위치까지 끼워 넣어지도록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잠금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
이 때의 절연 하우징(11)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延在)하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긴 가로폭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끼워 넣도록 삽입하고 또는 이탈시키도록 발거하는 방향을 「커넥터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상하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그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부(도 6 좌단연부)에는, 상술한 것처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매체 삽입구(11a)는, 매체 삽입 통로를 이루도록 커넥터 후방측(도 6의 우측측)을 향해 연출(延出)하고 있다. 그 매체 삽입 통로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 공간 부분으로 되고, 당해 매체 삽입 통로에 있어서의 상하의 내벽면이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 및 저면 벽판(11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매체 삽입 통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내벽면은 절연 하우징(11)의 가이드측 벽판(11d, 11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가이드측 벽판(11d)은 매체 삽입구(11a)로부터 끼워 넣어져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판(板) 폭방향의 양측 단면에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당해 가이드측 벽판(11d)을 따라 신호 전송 매체 F의 양측 단면이 미끌어져 움직이면서 원활한 이동을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각 가이드측 벽판(11d)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얇은 두께를 이루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가이드측 벽판(11d)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의 부위에 인접하여, 후술하는 잠금 부재(13)의 지지편부(13d3)가 가이드측 벽판(11d)의 보강 부재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되는데 즈음하여서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표면)이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대면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신호 전송 매체 F의 타방측 표면(하표면)이 절연 하우징(11)의 저면 벽판(11c)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대면하고, 또 신호 전송 매체 F의 판 폭방향의 양측 단면은 양쪽 가이드측 벽판(11d, 11d)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나듯이,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에는, 매체 삽입 통로의 상방의 내벽부를 형성하고 있는 천장 벽판(11b)에,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표면)에 상방측으로부터 맞닿는 단연(端緣) 압압판(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연 압압판(11e)은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양쪽 가이드측 벽판(11d, 11d)의 내벽면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단연 압압판(11e)의 하면에는 기준 맞닿음면(11e1)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준 맞닿음면(11e1)이,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표면) 중, 판 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단연부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대면하여 맞닿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이들 단연 압압판(11e, 11e)에 대응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저면 벽판(11c)은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의 단차 형상을 이루어 움푹하게 패이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저면 벽판(11c)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영역이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공간적인 여유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은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단연 압압판(11e, 11e)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각 단연 압압판(11e)의 하면을 구성하고 있는 기준 맞닿음면(11e1)은 천장 벽판(11b)의 다른 부위, 즉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으로 연재하고 있는 천장 벽판(11b)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내벽면(하면)에 대해서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단연 압압판(11e)의 기준 맞닿음면(11e1)이 하방으로 위치 어긋나게 한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천장 벽판(11b)의 일반 내벽면(하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의 양(높이) t1은 사용되는 신호 전송 매체 F가 가지는 최소의 두께 t2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다.
이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것처럼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되는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는, 절연 하우징(11)의 단연 압압판(11e)을 포함하는 천장 벽판(11b)과 저면 벽판(11c)의 사이의 공간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때의 매체 삽입 통로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은, 단연 압압판(11e)의 기준 맞닿음면(11e1)이 가지는 하방으로의 단차 t1분만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개구 높이 t3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좁혀진 개구 높이(t3-t1)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 F는, 절연 하우징(11)의 기준 맞닿음면(11e1)과 저면 벽판(11c)으로 결정되는 높이(t3-t1)를 가지는 개구 공간을 통해 내방으로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 기준 맞닿음면(11e1)과 저면 벽판(11c)으로 결정되는 개구 높이(t3-t1)가, 신호 전송 매체 F가 가지는 최소 두께 t2와 동등하든가, 혹은 약간 간극이 있는 정도로, 신호 전송 매체 F가 부드럽게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고((t3-t1)=t2), 이러한 높이 관계를 실현하도록 상술한 단차 t1, 즉 단연 압압판(11e)의 기준 맞닿음면(11e1)과 천장 벽판(11b)의 일반 내벽면(하면)과의 사이의 위치 어긋남량(높이)이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기준 맞닿음면(11e1)을 가지는 매체 삽입 통로에 대해서, 최소 두께 t2를 가지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되는데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 t2가, 기준 맞닿음면(11e1)과 저면 벽판(11c)으로 형성되는 매체 삽입 통로의 개구 높이(t3-t1)와 동일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t3-t1)=t2),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는, 대략 수평으로 연재한 통상 상태로 삽입되어 간다. 한편, 이보다 두꺼운 통상 두께 t4를 가지는 신호 전송 매체 F가 삽입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준 맞닿음면(11e1)과 저면 벽판(11c)으로 형성되는 매체 삽입 통로의 개구 높이(t3-t1)보다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 t4가 커지기(t4>(t3-t1)) 때문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양측연 부분이, 기준 맞닿음면(11e1)과의 맞닿는 힘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게 되어, 도 16 중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양측연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변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신호 전송 매체 F가 삽입되는데 즈음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에 불균일이 있었다고 해도, 단연 압압판(11e)의 기준 맞닿음면(11e1)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표면)이, 항상 맞닿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매체 삽입 통로의 커넥터 후단연부(도 6의 우단연부)에는, 후술하는 도전 콘택트(12)를 장착하기 위한 부품 설치구(11f)가 마찬가지로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부품 설치구(11f)를 통해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되는 도전 콘택트(12)가 배열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복수의 도전 콘택트(12)의 외방측, 즉 매체 삽입 통로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잠금 부재(1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전 콘택트에 대해]
이 중의 도전 콘택트(12)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얇은 판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12)가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측의 부품 설치구(11f)로부터 커넥터 전방측(도 6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극을 이루어 다극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2)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접지 접속용의 어느 것으로서 인쇄 배선 기판 P(도 9~도 13 참조)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된다.
즉, 상술한 것처럼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된 각 도전 콘택트(12)의 배치 위치는 매체 삽입구(11a)를 통해 절연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설치된 배선 패턴에 대응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은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pad))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쉴드(shield)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
각 도전 콘택트(12)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당해 도전 콘택트(12)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및 발거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인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12)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 부분은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후방 돌출 부분이 인쇄 배선 기판 P(도 9~도 13 참조)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땜납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2a)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도전 콘택트(12)의 기판 접속부(12a)로부터는 가늘고 긴 형상의 빔(beam)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암부(12b)가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 가요성 암부(12b)는 기판 접속부(12a)와의 연접 부분에 있어서 대략 직각으로 입상(立上)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입상 부분의 상단 부분에 있어서 다시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의 내벽면을 따라 편지 형상을 이루도록 연출하고 있다. 이 도전 콘택트(12)의 가요성 암부(12b)는 기판 접속부(12a)와의 연접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가요성 빔부(12b)의 연출측, 즉 커넥터 전방측의 부분(도 6의 좌단측 부분)은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경사져 연출하고 있고, 이 연출 단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도전로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배선 패턴)의 어느 것인가에 대응하여 단자 접촉 볼록부(12c)가 도시 하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12)에 설치된 단자 접촉 볼록부(12c)는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신호 전송 매체 F가 삽입되어 왔을 때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 상에 올라앉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신호 전송 매체 F가 최종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가요성 빔부(12b)의 탄성력에 의해 양자가 압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에 대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10)는 전술한 것처럼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것이지만, 그 전제로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에는, 특히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폭방향 양측의 단연부에 절결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계합 위치 결정부 Fa, F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 전송 매체 F에 설치된 계합 위치 결정부 Fa, Fa에 대응하여 전기 커넥터(10)측에 잠금 부재(13, 1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잠금 부재(13, 13)의 계지 작용(잠금 작용)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상태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잠금 부재에 대해]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에 배치된 한 쌍의 잠금 부재(13, 13)끼리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의 설명은 일방의 잠금 부재(13)에 대해서만 하고 타방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잠금 부재(13)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한 잠금 기구 및 잠금 해제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측 벽판(11d)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듯이 당해 잠금 부재(13)의 선단 부분에 설치된 계지 잠금부(13a)가 가이드측 벽판(11d)에 연결되어 있는 단연 압압판(11e)에 대해서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커넥터(10)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 F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잠금 부재(13)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의 계지 잠금부(13a)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측 선단연(先端緣)이 맞닿고, 이에 따라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 상에 계지 잠금부(13a)가 올라앉도록 탄성 변위한 상태로 되고(도 10 참조), 또한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에 수반하여, 그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들어가 계합 상태(잠금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참조)
이 때의 잠금 부재(13)의 전체는, 특히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 있듯이, 얇은 판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일체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계지 잠금부(13a)를 가지는 가늘고 긴 형상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빔부(13b)가 연결 지주부(13c)를 통해 고정 기판(13d)에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중의 고정 기판(13d)은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의 저면 벽판(11c)의 표면에 재치(載置)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기판(13d)의 대략 중앙 영역에는 스프링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압압 부재(13d1)가 당해 고정 기판(13d)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부재(13d1)는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편지 형상을 이루도록 연출하는 판스프링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연출측 선단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접지 도전로에 접속되는 접점 볼록부(13d2)가 상방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압 부재(13d1)에 설치된 접점 볼록부(13d2)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접촉함으로써, 당해 압압 부재(13d1)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가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측을 향해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 당해 압압 부재(13d1)는 후술하는 계지 잠금부(13a)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압압 부재(13d1)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가 계지 잠금부(13a)측을 향해 꽉 눌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고정 기판(13d)의 커넥터 전단연부에는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장출(張出)하는 지지편부(13d3)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지지편부(13d3)는 고정 기판(13d)의 외방측 연부로부터, 하방 단차를 통해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출한 후, 커넥터 상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입상되어 있고, 또한 그 상단부분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략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 때의 지지편부(13d3)는 상술한 매체 삽입구(11a)보다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벽부에 압입되어 있고, 당해 지지편부(13d3)의 압입에 의한 고정력으로 잠금 부재(13) 전체가 절연 하우징(11)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잠금 부재(13)에 설치된 지지편부(13d3)는 전술한 것처럼 매체 삽입 통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가이드측 벽판(11d)에 대해서 커넥터 외방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비교적 얇은 두께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측 벽판(11d)에 대해서 지지편부(13d3)가 커넥터 외방측으로부터 보강 부재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기판(13d)의 커넥터 후단연부에는 상술한 연결 지주부(13c)가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연결 지주부(13c)는 가는 폭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출한 후,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뻗고, 또한 그 외단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입상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 지주부(13c)의 상단 부분에 상술한 가동 빔부(13b)가 대략 수평으로 연재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동 빔부(13b)는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있어서 당해 매체 삽입 통로의 저면 벽판(11c)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적당한 간극을 이루어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상술한 연결 지주부(13c)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과 커넥터 후방측의 반대측 쌍방으로 분기하도록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 지주부(13c)가 가지고 있는 탄성 가요성에 기초하여 당해 가동 빔부(13b)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연결 지주부(13c) 또는 그 근방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가동 빔부(13b)가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의 가동 빔부(13b)의 요동은 도 6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행해지게 된다.
또, 상술한 것처럼 요동 부재로서 구성된 가동 빔부(13b)의 전단측 부분(도 10의 좌단측 부분)에는 훅 형상(hook shape) 부재로 이루어지는 계지 잠금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 잠금부(13a)는 하방을 향해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하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계지 잠금부(13a)의 하단측에 정점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하단측 정점부로부터 전방측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재하는 경사 안내변(案內邊)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계지 잠금부(13a)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에 설치된 계합 위치 결정부 Fa의 바로 윗쪽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계합 위치 결정부 Fa의 내부를 향해 들어가 걸림 상태로 되고, 이 때의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상태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삽입으로부터 계합까지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구(11a)를 통해 신호 전송 매체 F가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삽입이 행해지면, 그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측의 선단연부가 잠금 부재(13)에 설치된 계지 잠금부(13a)의 경사 안내변에 맞닿고, 이 경사 안내변에 생기는 상방 분력에 의해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 상에 올라앉는다. 이에 의해 상술한 잠금 부재(13)의 가동 빔부(13b)가,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연결 지주부(13c) 근방의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탄성 변위된다. 또한,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밀어 넣어지면,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가 계지 잠금부(13a)의 바로 아래쪽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도 11에 나타나 있듯이, 가동 빔부(13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의 내부로 넣도록 요동된다. 그 결과,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13a)가 걸려 계합 상태로 되어 신호 전송 매체 F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발거되는 일이 없이 보유된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잠금 부재(13)에 의해 계합 상태(잠금 상태)로 되는데 즈음해서는, 상술한 계지 잠금부(13a)를 포함하는 가동 빔부(13b)의 커넥터 전방측 부분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탄성 변위되게 되지만, 이 때의 가동 빔부(13b)의 상방측으로의 탄성 변위는, 매체 삽입 통로의 상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에 형성된 슬릿부(slit portion)에 의해 허용된다. 이 슬릿부는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을 관통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구멍 부분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술한 가동 빔부(13b)의 상방측 부분에 있어서 연결 지주부(13c)로부터 계지 잠금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부위를 포함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당해 가동 빔부(13b)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큰 간극을 가지는 가늘고 긴 형상의 공간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될 때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 상에 잠금 부재(13)의 계지 잠금부(13a)가 올라앉음으로써 잠금 부재(13)의 가동 빔부(13b)가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탄성 변위되면, 그 상방 탄성 변위된 가동 빔부(13b)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이 상술한 잠금 확인 수단으로서의 슬릿부의 내부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가동 빔부(13b)의 상방 탄성 변위가 허용됨과 아울러, 당해 가동 빔부(13b)의 상방 탄성 변위가 목시(目視)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계지 잠금부(13a)의 상연부로부터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스토퍼편(13a1)이 플랜지(flange) 형상을 이루도록 연출하고 있다. 이 플랜지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편(13a1)은 절연 하우징(11)의 상면부를 움푹 패이게 하도록 형성된 지지 받이부(11g)의 상방측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계합했을 때에 당해 스토퍼편(13a1)이 절연 하우징(11)의 지지 받이부(11g)에 대해서 맞닿고, 이에 따라 스토퍼편(13a1)의 하방 이동 위치가 일정 위치에 규제되게 되어 있다.
[잠금 해제 기구에 대해]
한편, 전술한 것처럼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계합되어 신호 전송 매체 F가 보유된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잠금 해제 조작을 하면, 잠금 부재(13)의 가동 빔부(13b)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계지 잠금부(13a)가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요동되고, 당해 계지 잠금부(13a)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로부터 이탈된다.
즉, 상술한 잠금 부재(13)의 가동 빔부(13b)에는 계지 잠금부(13a)와 반대측의 부위, 즉 연결 지주부(13c)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출하고 있는 빔(beam) 형상 부분에 잠금 해제 압압부(13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해제 압압부(13e)는 전술한 계지 잠금부(13a)와는 역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절연 하우징(11)의 후단부으로부터 후방측 외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잠금 해제 압압부(13e)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짐으로써, 전단측의 계지 잠금부(13a)가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잠금 해제 압압부(13e)에 대응하여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한 쌍의 잠금 조작 커버부(11h, 11h)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 조작 커버부(11h)는 상술한 잠금 부재(13)의 잠금 해제 압압부(13e)의 바로 윗쪽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편지 형상을 이루도록 연출하고 있고, 잠금 해제 압압부(13e)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중합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그러한 각 잠금 조작 커버부(11h)는 비교적 큰 폭을 이루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비교적 큰 폭으로 이루어진 잠금 조작 커버부(11h)가 폭 좁은 판 두께를 가지는 잠금 해제 압압부(13e)의 상연부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조작 커버부(11h)의 상표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러짐 멈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잠금 조작 커버부(11h)가 작업자의 손가락끝 등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 내려짐으로써, 상술한 잠금 부재(13)의 잠금 해제 압압부(13e)도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고, 이에 따라 가동 빔부(13b)의 반대측에 설치된 계지 잠금부(13a)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 결과, 지금까지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계합되어 있던 계지 잠금부(13a)가 계합 위치 결정부 Fa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고, 신호 전송 매체 F가 자유 상태로 되어 전방측을 향해 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13)에 대해서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상술한 것처럼 계지 잠금부(13a)를 포함하는 가동 빔부(13b)의 전방측 부분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탄성 변위되게 되지만, 이 때의 가동 빔부(13b)의 상방측 탄성 변위는 전술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삽입시와 마찬가지로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슬릿부에 의해 허용됨과 아울러, 이 가동 빔부(13b)의 상방측 돌출 부분이 슬릿부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 빔부(13b)의 상방 돌출 부분이 외방으로부터 목시됨으로써 잠금 부재(13)의 변위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삽입되는데 즈음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천장 벽판(1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매체 삽입 통로의 내벽면의 일부를 이루는 기준 맞닿음면(11e1)이 다른 부위(커넥터 중심측 영역)보다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면)에 근접한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면)은 적어도 매체 삽입 통로의 기준 맞닿음면(11e1)에 대해서 맞닿은 상태로 삽입되게 되어,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면)은 기준 맞닿음면(11e1)을 기준으로 하여 두께 방향(높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된다.
한편, 계지 잠금부(13a)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계합 위치로 이동해 오기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신호 전송 매체 F의 일측 표면(상면)이 기준 맞닿음면(11e1)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음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 F의 계합 위치 결정부 Fa에 대한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량(걸림량)이,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의 불균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계지 잠금부(13a)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 F의 보유력이 안정화 됨과 아울러,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당해 계지 잠금부(13a)의 이동량이 일정화 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 F의 두께의 불균일을 고려하는 일 없이 전기 커넥터(10)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계지 잠금부(13a)의 하방 이동 위치가 스토퍼편(13a1)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규제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한 계지 잠금부(13a)의 계합량이 더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 F가 잠금 부재(13)에 설치된 압압 부재(13d1)에 의해 계지 잠금부(13a)측, 즉 상방을 향해 압압되기 때문에, 단연 압압판(11e)의 하면을 구성하고 있는 기준 맞닿음면(11e1)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 F의 꽉 누름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절연 하우징(11)의 가이드측 벽판(11d)을 따라 원활히 이동함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11)의 가이드측 벽판(11d)이 계지 잠금부(13a)에 연설된 지지편부(13d3)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가이드측 벽판(11d)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그만큼 전기 커넥터(10)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상면측에 기준 맞닿음면을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계지 잠금부가 신호 전송 매체의 하면측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동하여 계합하는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기준 맞닿음면을 신호 전송 매체의 하면측에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될 때에 콘택트 부재가 가볍게 접촉하는, 이른바 논지프(NON-ZIF) 형태의 전기 커넥터이지만,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될 때에 콘택트 부재가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배치되는, 이른바 지프(ZIF)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및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는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가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교대로 배치한 구조라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기기에 사용하는 다종의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매체 삽입구
11b 천장 벽판 11c 저면 벽판
11d 가이드측 벽판
11e 단연 압압판 11e1 기준 맞닿음면
11f 부품 설치구 11g 지지 받이부
11h 잠금 조작 커버부(cover part)
12 도전 콘택트 12a 기판 접속부
12b 가요성 암부(arm portion) 12c 단자 접촉 볼록부
13 잠금 부재
13a 계지 잠금부 13a1 스토퍼편
13b 가동 빔부(beam portion) 13c 연결 지주부
13d 고정 기판 13d1 압압 부재
13d2 접점 볼록부 13d3 지지편부
13e 잠금 해제 압압부
F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a 계합 위치 결정부 P 인쇄 배선 기판

Claims (7)

  1. 절연 하우징의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측 내벽면과 하측 내벽면의 사이에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대해서, 계지 잠금부가 계합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계지 잠금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측 내벽면의 일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맞닿는 기준 맞닿음면이 설치되고,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측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지 잠금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올라앉아 탄성 변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준 맞닿음면은 상기 계지 잠금부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상측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상기 상측 내벽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준 맞닿음면이 상기 상측 내벽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단차 형상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기준 맞닿음면과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하측 내벽면의 사이의 공간 높이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가 가지는 미리 설정된 최소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두께보다 두꺼운 통상 두께를 가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연 부분이 상기 기준 맞닿음면과의 맞닿음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계합 위치 결정부에 계합했을 때에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부에 맞닿는 스토퍼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당해 계지 잠금부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압압 부재가 일체로 연설되고,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상기 신호 전송 매체가 상기 계지 잠금부측을 향해 부세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접지 도전로에 접속되는 편지 형상의 판스프링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매체 삽입 통로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측 벽판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 잠금부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가이드측 벽판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부터 맞닿는 지지편부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30027208A 2012-05-16 2013-03-14 전기 커넥터 KR10147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2811A JP5601347B2 (ja) 2012-05-16 2012-05-16 電気コネクタ
JPJP-P-2012-112811 2012-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314A KR20130128314A (ko) 2013-11-26
KR101472663B1 true KR101472663B1 (ko) 2014-12-12

Family

ID=4814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208A KR101472663B1 (ko) 2012-05-16 2013-03-1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54451B2 (ko)
EP (1) EP2665134A3 (ko)
JP (1) JP5601347B2 (ko)
KR (1) KR101472663B1 (ko)
CN (1) CN103427184B (ko)
TW (1) TWI496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15971B2 (ja) * 2014-10-02 2016-10-26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30082B2 (en) 2015-08-31 2020-01-07 Amphenol Fci Asia Pte. Lt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arms
CN106532360B (zh) * 2015-09-10 2018-11-09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具接地构件的连接器组合
US10305209B2 (en) 2016-02-26 2019-05-28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1583930S (ko) * 2016-08-03 2017-08-21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8336528A (zh) * 2018-05-17 2018-07-27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连接器结构
JP6729640B2 (ja) * 2018-06-28 2020-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155A (ja) * 2004-07-16 2006-02-02 Smk Corp コネクタ
JP2010238512A (ja) *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0267498A (ja) * 2009-05-15 2010-11-2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2022848A (ja) * 2010-07-13 2012-02-02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99372C (en) * 2000-02-11 2008-08-12 Tyco Electronics Belgium Ec N.V.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assembly
US6561843B1 (en) * 2001-11-16 2003-05-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PC connector
TW534493U (en) * 2002-06-20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5004993A (ja) *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JP4479989B2 (ja)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TWM272265U (en) * 2005-01-28 2005-08-01 Cheng Ue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7275955B2 (en) * 2005-04-19 2007-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279823B2 (ja) * 2005-10-26 2009-06-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98810U (en) * 2006-02-27 2006-10-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4953904B2 (ja) * 2007-04-27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00028545A (ko) * 2007-05-03 2010-03-12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가요성 회로용 커넥터
JP4384210B2 (ja) * 2007-07-31 2009-1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99193B1 (en) * 2007-11-06 2008-07-1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EP2225803B1 (en) * 2007-11-29 2012-01-18 Fci Fcp connector having rotating actuator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I387160B (zh) * 2008-04-18 2013-02-21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JP2010056066A (ja) * 2008-07-29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01323266Y (zh) * 2008-10-16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87351B2 (en) * 2008-10-30 2011-02-15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CN201430274Y (zh) * 2009-04-23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997924B2 (en) * 2009-07-27 2011-08-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915879B2 (ja) * 2009-08-10 2012-04-11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TWM380605U (en) * 2009-11-12 201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982770B2 (ja) * 2009-12-04 2012-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31261B2 (ja) * 2010-02-03 201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10334B2 (ja) * 2010-10-05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04319B2 (ja) * 2011-02-14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207004B2 (ja) * 2011-02-22 2013-06-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672698B2 (en) * 2011-07-22 2014-03-18 Hosiden Corporation Card connector
TWM429189U (en) * 2011-10-14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155A (ja) * 2004-07-16 2006-02-02 Smk Corp コネクタ
JP2010238512A (ja) *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0267498A (ja) * 2009-05-15 2010-11-2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2022848A (ja) * 2010-07-13 2012-02-02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7184B (zh) 2016-01-20
TWI496357B (zh) 2015-08-11
JP5601347B2 (ja) 2014-10-08
TW201351789A (zh) 2013-12-16
KR20130128314A (ko) 2013-11-26
CN103427184A (zh) 2013-12-04
US20130309891A1 (en) 2013-11-21
JP2013239388A (ja) 2013-11-28
EP2665134A3 (en) 2015-06-03
US9054451B2 (en) 2015-06-09
EP2665134A2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663B1 (ko) 전기 커넥터
US8672713B2 (e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ng target and to substrate
US9634410B2 (en) Connector
US86788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JP5943774B2 (ja) コネクタ
US83718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oard connection leg portion with a locking portion to engage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d a connector main body with an unlocking portion
US9401554B2 (en) Connector
US8128429B2 (en) FPC U-shaped nail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US6884108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20130117690A (ko) 전기 커넥터
KR101531609B1 (ko) 커넥터
US7494361B2 (en) Card edge connector
JP201325121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488208B2 (en) Connector configuration
US10439312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having flat-conductor retaining structure in housing itself
US20120329335A1 (en) Connector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KR102468999B1 (ko)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359745B1 (ko) 전기 커넥터
JP5979418B2 (ja) 電気コネクタ
JP597155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1022475A (ja) コネクタ
JP2020198193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