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777A -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 Google Patents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777A
KR20160099777A KR1020150021711A KR20150021711A KR20160099777A KR 20160099777 A KR20160099777 A KR 20160099777A KR 1020150021711 A KR1020150021711 A KR 1020150021711A KR 20150021711 A KR20150021711 A KR 20150021711A KR 20160099777 A KR20160099777 A KR 2016009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hydraulic
bracke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893B1 (ko
Inventor
이응석
김기환
박민수
김도엽
이석용
박철수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here engagement is effected by a mechanical lever or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 등을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작업도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는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를 위하여, 중장비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 브라켓과, 작업 도구와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을 상기 메인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Tilting quick coupler and heavy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틸팅할 수 있는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위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킷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굴삭기는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붐이 상하 회동되고, 붐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아암이 붐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아암에 설치된 제3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버킷이 회전되어, 아암의 회전반경 변화 및 버킷의 회전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는 제1,2,3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작동되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 굴삭기의 주행동작이나 선회동작이 어려운 공간 즉, 협소한 공간내에서의 작업시, 일방향에 대한 굴착작업만이 이루어질 뿐, 굴착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킷 등을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작업도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는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중장비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 브라켓과, 작업 도구와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을 상기 메인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가 제공된다.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는,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압부와, 상기 메인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유압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각각 유출입하는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부터 시프트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 블록과, 상가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1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2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유압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를 상기 브레이크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은 중장비의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버킷 등의 작업도구와 결착될 수 있는 결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틸팅 퀵 커플러를 포함하는 중장비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킷 등을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작업도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는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장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퀵 커플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퀵 커플러의 로터리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퀵 커플러의 로터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퀵 커플러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중장비는 굴삭기로 설명한다. 그러나 중장비를 굴삭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중장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장비는 후술할 틸팅 퀵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장비는 틸팅 퀵 커플러뿐만 아니라 차량(2), 차량(2)에 제1 붐(3)이 제1 유압실린더(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붐(3)의 단부에 제2 붐(4)이 제2 유압실린더(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붐(4)의 단부에 제3 유압실린더(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중장비 브라켓(8)이 설치되어 있다.
중장비 브라켓(8)은 틸팅 퀵 커플러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팅팅 퀵 커플러는 중장비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 브라켓(200)과, 작업 도구와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브라켓(300)과, 메인 브라켓(200)과 회전 브라켓(300)을 연결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브라켓(200)은 전술한 중장비의 중장비 브라켓(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브라켓(200)은 결합홀(210)을 구비하여, 중장비 브라켓(8)을 관통하여 결합홀(210)에 삽입되는 고정 핀에 의해 결합될 중장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핀을 제거하면, 메인 브라켓(200)은 중장비에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300)은 버킷(9) 등의 작업도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브라켓(300)은 작업도구와 결착될 수 있는 결착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착홀(3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도구의 핀에 걸릴 수 있다. 또는 결착홀(3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에 의해 작업도구와 결합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물론 결착홀(31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회전 브라켓(300)을 메인 브라켓(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틸팅 퀵 커플러는 틸팅구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로터리 액추에이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유압부(110), 샤프트(130), 차단 블록(140), 베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부(110)는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압 탱크(112)와,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111)(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압 탱크(112)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차량(2)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유압부(110)와 연결되어 유체가 각각 출입하는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브라켓(200)과 회전 브라켓(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은 메인 브라켓(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샤프트(130)가 회전 브라켓(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는 파이프 또는 튜브 등에 의해 유압부(110)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유출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구(121)는 하나의 튜브 또는 파이프에 의해 유압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압부(110)는 제1개구(121)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구(122)는 하나의 튜브 또는 파이프에 의해 유압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압부(110)는 제2개구(122)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는 원통형 하우징(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할 수 있다.
샤프트(130)는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샤프트(130)는 원통형 하우징(120)의 중심에 설치되며, 하우징(120)의 양단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샤프트(130)는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30)의 양 단부는 회전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회전 브라켓(300)을 메인 브라켓(200)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차단 블록(140)은 하우징(1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블록(140)은 하우징(120)의 내벽부터 샤프트(130) 사이에 구비되되 제1개구(121)와 제2개구(12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단 블록(140)은 제1개구(12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개구(122)로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블록(140)은 제2개구(122)로 유입된 유체가 제1개구(121)로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차단 블록(140)이 유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유체가 소량 누설될 수도 있다.
베인(150)은 샤프트(130)에 결합되며, 유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인(150)은 하우징(120)의 내벽과 샤프트(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인(150)은 하우징(120)의 내벽과 전체에 걸쳐 구비되며, 하우징(120) 내에 구비된 샤프트(1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즉, 베인(150)은 제1개구(121)와 제2개구(122)가 연결되지 않도록 제1개구(121)와 제2개구(12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내부는 차단 블록(140)과 베인(150)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20)은 유체의 유출입에 따라 구획된 공간의 부피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체가 제1개구(121)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되면,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된 유체에 의해 베인(150)이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인(150)은 제1개구(121)와 연통된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이 증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개구(122)와 연결된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된 유체는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30)는 베인(150)에 의해 회전하므로, 샤프트(130)에 결합된 회전 브라켓(300)도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유체가 제2개구(122)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되면,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베인(150)이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인(150)은 제2개구(122)와 연통된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이 증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개구(121)와 연결된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된 유체는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30)에 결합된 회전 브라켓(300)도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유압부(110)는 하우징(120)의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로 직접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보다 효율적으로 유체의 공급량 및 방향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하우징(120)과 유압부(110) 사이에 구비된 제1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170)는 파이프나 튜브 등에 의해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유압 탱크(1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밸브(170)는 펌프(111)와 유압 탱크(112)에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밸브(170)는 펌프(11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고, 유압 탱크(112)로 유체를 돌려보낼 수 있다.
제1밸브(170)는 파이프나 튜브 등에 의해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밸브(170)는 제1밸브(170)는 제1개구(121) 및 제2개구(122)를 펌프(111)나 유압 탱크(112)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밸브(170)는 유압부(110)와 제1개구(12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유압부(110)와 제2개구(122)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밸브(170)는 4way 밸브일 수 있다. 제1밸브(170)는 여러 가지 유로를 포함하거나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제1개구(121)를 연결하고, 유압 탱크(112)와 제2개구(1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는 제1개구(121)를 통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되어 베인(1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 내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는 제2개구(122)를 통해 유압 탱크(112)로 유동할 수 있다.
제1밸브(170)의 유로 중 다른 어느 하나는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제2개구(122)를 연결하고, 유압 탱크(112)와 제1개구(1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는 제2개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되어 베인(1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 내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는 제2개구(122)를 통해 유압 탱크(112)로 유동할 수 있다.
제1밸브(170)의 유로 중 또 다른 어느 하나는 제1밸브(170)는 유압부(110)와 제1개구(121)의 연결을 차단하고, 유압부(110)와 제2개구(122)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의하면, 베인(150)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브라켓(300)도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하우징(120)과 베인(150) 사이 또는 샤프트(130)와 차단 블록(140) 사이를 완벽하게 실링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유체는 하우징(120)과 베인(150) 사이 또는 샤프트(130)와 차단 블록(140)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샤프트(130)를 정확한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킨 각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브레이크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190)은 하우징(12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유닛(190)은 회전 브라켓(300)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샤프트(130)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190)은 샤프트(130)에 결합된 브레이크 디스크(191)와, 브레이크 디스크(191)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패드(미도시)와, 유압부(11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브레이크 패드(미도시)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실린더(19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실린더(192)는 튜브 또는 파이프 등에 의해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유닛(190)은 캘리퍼(미도시), 브레이크 실린더(192)에 설치된 피스톤(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유닛(190)은 로터리 액추에이터(100)의 전체적인 크기나 용량 또는 버킷(9)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샤프트(130)의 한 측면에 결합되거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유닛(190)은 종래의 브레이크 유닛(19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유닛(190)을 디스크 타입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드럼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유압부(110)와 브레이크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를 브레이크 유닛(19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밸브(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밸브(180)는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브레이크 실린더(19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밸브(180)는 유압부(110)와 브레이크 유닛(19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유로를 포함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밸브(180)는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브레이크 실린더(192)를 연결할 수 있다. 유체는 제2밸브(180)를 통해 브레이크 실린더(192)로 유입되고, 브레이크 실린더(192)에 결합된 피스톤은 유체에 의해 움직여 디스크(191)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제2밸브(180)는 유압 탱크(112)와 브레이크 유닛(190)(브레이크 실린더)을 연결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실린더(192) 내의 유체는 제2밸브(180)를 통해 유압 탱크(112)로 유동하여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브레이크 유닛(190)은 브레이크 패드 및 피스톤에 의한 제동력을 해제하여, 샤프트(130) 및 회전 브라켓(300)은 유압부(110)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회전 브라켓(3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버킷(9)이 결합된 샤프트(1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유압부(110)는 제1개구(121)로 유체를 공급하여 베인(1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밸브(170)는 제1개구(121)와 유압부(110)의 펌프(111)를 연결하고, 제2개구(122)와 유압 탱크(1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180)는 브레이크 유닛(190)을 유압 탱크(112)와 연결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회전 브라켓(3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샤프트(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압부(110)는 제2개구(122)로 유체를 공급하여 베인(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밸브(170)는 제2개구(122)와 유압부(110)의 펌프(111)를 연결하고, 제2개구(122)와 유압 탱크(1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180)는 브레이크 유닛(190)을 유압 탱크(112)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브라켓(3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압부(110)는 브레이크 유닛(190)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유닛(190)은 샤프트(130)를 고정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밸브(180)는 유압부(110)의 펌프(111)와 브레이크 유닛(19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밸브(170)는 제1개구(121)와 유압부(110)와의 연결을 차단하며, 제2개구(122) 및 유압부(110)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킷(9)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위 과정을 상황에 맞게 수행하여, 회전 브라켓(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브라켓(300)에 버킷 등의 작업도구가 결착되었을 때, 작업도구는 회전 브라켓(300)과 함께 회전하거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 퀵 커플러의 로터리 액추에이터(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고장날 위험이 적으며, 고장나더라도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굴삭기 2: 차량
3: 제1 붐 4: 제2 붐
5: 제1 유압실린더 6: 제2 유압실린더
8: 중장비 브라켓 9: 버킷
100: 로터리 액추에이터 110: 유압부
111: 펌프 112: 유압 탱크
120: 하우징 121: 제1개구
122: 제2개구 130: 샤프트
140: 차단 블록 150: 베인
170: 제1밸브 180: 제2밸브
190: 브레이크 유닛 200: 메인 브라켓
300: 회전 브라켓

Claims (7)

  1. 중장비에 결합될 수 있는 메인 브라켓;
    작업 도구와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브라켓; 및
    상기 회전 브라켓을 상기 메인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는,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압부;
    상기 메인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유압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각각 유출입하는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회전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벽부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 블록; 및
    상가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베인;
    을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1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2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유닛; 및
    상기 유압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를 상기 브레이크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밸브;
    를 더 포함하는, 틸팅 퀵 커플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구비되는, 틸팅 퀵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중장비의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버킷 등의 작업도구와 결착될 수 있는 결착홀을 구비하는, 틸팅 퀵 커플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틸팅 퀵 커플러를 포함하는, 중장비.
KR1020150021711A 2015-02-12 2015-02-12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KR10167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11A KR101672893B1 (ko) 2015-02-12 2015-02-12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11A KR101672893B1 (ko) 2015-02-12 2015-02-12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77A true KR20160099777A (ko) 2016-08-23
KR101672893B1 KR101672893B1 (ko) 2016-11-07

Family

ID=5687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11A KR101672893B1 (ko) 2015-02-12 2015-02-12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16B1 (ko) * 2017-01-20 2018-08-02 배정희 굴삭기용 로테이터
KR20190010105A (ko) * 2017-07-21 2019-01-30 안주신 퀵커플러
KR20210135060A (ko) * 2020-05-04 2021-11-12 안성준 굴착기용 틸트커플러
KR102365953B1 (ko) * 2021-09-27 2022-02-23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틸팅 퀵커플러 윤활구조
KR102365949B1 (ko) * 2021-09-27 2022-02-23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틸팅 퀵커플러 유로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619A (ja) * 1990-02-16 1991-10-25 Kayaba Ind Co Ltd 油圧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30142003A (ko) * 2012-06-18 2013-12-27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619A (ja) * 1990-02-16 1991-10-25 Kayaba Ind Co Ltd 油圧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30142003A (ko) * 2012-06-18 2013-12-27 (주)만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16B1 (ko) * 2017-01-20 2018-08-02 배정희 굴삭기용 로테이터
KR20190010105A (ko) * 2017-07-21 2019-01-30 안주신 퀵커플러
KR20210135060A (ko) * 2020-05-04 2021-11-12 안성준 굴착기용 틸트커플러
KR102365953B1 (ko) * 2021-09-27 2022-02-23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틸팅 퀵커플러 윤활구조
KR102365949B1 (ko) * 2021-09-27 2022-02-23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틸팅 퀵커플러 유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893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893B1 (ko) 틸팅 퀵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JP2010013927A (ja) 掘削機用油圧駆動システム
JP2015227544A (ja) 作業機械
KR100974277B1 (ko) 건설기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KR101698347B1 (ko) 로터리 액추에이터
JP4273043B2 (ja) マルチヨークを備える曲げ軸線静水圧モジュール
JP2008285991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制御用油圧弁装着装置
JP2007177579A (ja) 束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6303678B2 (ja) 上部旋回体
JP6282127B2 (ja) 油圧ユニット
JP5481853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5292252B2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5160401B2 (ja) 旋回作業機
US11982068B2 (en) Working machine
JP2520760Y2 (ja) 可変の再生弁を有する方向切換弁
JP2009007760A (ja) 建設機械
JP6101168B2 (ja) 建設機械用キャビテーション防止装置
US20230134654A1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JP3560146B2 (ja) 油圧ショベルのコントロールバルブユニットの配管構造
JP2000054429A (ja) 油圧作業機
JP2005042867A (ja) 作業機
JP2006250288A (ja) トラニオン型油圧シリンダ
JP6612070B2 (ja) 作業車輌
JPH0510044Y2 (ko)
JPH04166521A (ja) 旋回式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