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117A -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 Google Patents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117A
KR20160099117A KR1020167021668A KR20167021668A KR20160099117A KR 20160099117 A KR20160099117 A KR 20160099117A KR 1020167021668 A KR1020167021668 A KR 1020167021668A KR 20167021668 A KR20167021668 A KR 20167021668A KR 20160099117 A KR20160099117 A KR 2016009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lkyl
formula
mmol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610B1 (ko
Inventor
티모시 에이. 블리자드
헬렌 첸
칸디도 구데
제프리 디. 헤르메스
제이슨 이. 임브리글리오
성곤 김
제인 와이. 우
숙희 하
크리스토퍼 제이. 모르트코
이안 만지온
넬로 리베라
레베카 티. 럭
마이클 쉐브린
Original Assignee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9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8Bridg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8-Azabicyclo [3.2.1] octane; Derivatives thereof, e.g. atrop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ketorolac, phys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56Nitrogen atoms
    • C07D211/58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6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6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11/7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화학식 I의 치환된 비사이클릭 베타-락탐은 β-락타마제 억제제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β-락탐 항생제와 병용하여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특히, 상기 화합물은 β-락타마제의 존재로 인해 β-락탐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미생물에 대항하여 β-락탐 항생제(예: 이미페넴, 피페라실린 또는 세프타지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97

위의 화학식 I에서,
a, X, R1 및 R2는 본원에 정의되어 있다.

Description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Beta-lactamase inhibito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가특허원 제61/011,533호(2008년 1월 18일자로 출원됨)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및 박테리아성 항생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박테리아성 항생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아성 항생제 내성은 현대 보건에 가장 심각한 위협 중의 하나가 되었다. 문헌[참조: Cohen, Science 1992, 257: 1051-1055]은,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이 빈번하게 입원 기간을 더 연장시키고 치사율을 더 높이며 치료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기술한다. 문헌[참조: Neu, Science 1992, 257: 1064-1073]은, 신규한 제제에 대한 박테리아의 내성 전개력이 뛰어나서 신규한 제제가 급속도로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항생제가 계속해서 점점 더 요구되고 있음을 기술한다. 문헌[참조: Anderson, Nature America 1999, 5; 147-149]는 항생제 내성이 퍼져나가는 현상을 전세계적 전염병 유행(pandemic)으로 지칭하며, 점점 더 커져가는 공중 보건 위협에 대한 해법은 여러 학문 분야가 관련된 접근법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대의 위기는 박테리아 내성의 원인이 되는 메카니즘을 밝히려는 다양한 노력을 촉진시켰으며, 문헌[참조: Coulton et al., Progress in Medicinal Chemistry 1994, 31: 297-349]은,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현재 사용되는 무수한 항생제에 있어서 일반적인 β-락탐 환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박테리아성 효소의 일종인 β-락타마제가 출현되는 결과가 초래됨을 교시한다. 보다 최근에는, 문헌[참조: Dudley, Pharmacotherapy 1995, 15: 9S-14S]은, β-락타마제에 의해 매개된 내성이, 박테리아성 항생제 내성의 전개의 중심에서 결정적인 양태임을 기술한다. 스트렙토마이세스 클라불리게루스(Streptomyces clavuligerus)의 대사물인 클라불란산, 및 2개의 반합성 억제제인 설박탐 및 타조박탐은 현재 입수 가능한 반합성 또는 천연 생성물 β-락타마제 억제제이다. 미국 특허 제5,698,577호, 제5,510,343호 및 제6,472,406호와 문헌[참조: Hubschwerlen et al., J. Med . Chem. 1998, 41: 3961 and Livermore et al., J. Med . Chem. 1997, 40: 335-343]은 특정한 합성 β-락타마제 억제제를 기술한다.
기타 관심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다:
US 2003/0199541 A1은 특정한 7-옥소-6-디아자비사이클릭[3.2.1]옥탄-2-카복스아미드를 포함하는 특정한 아자비사이클릭 화합물 및 항바이러스제로서의 이의 용도를 기술한다.
US 2004/0157826 A1은 특정한 디아제핀 카복스아미드 및 디아제핀 카복실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특정한 헤테로비사이클릭 화합물 및 항박테리아제 또는 β-락타마제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를 기술한다.
WO 2008/039420 A2는 특정한 7-옥소-2,6-디아자비사이클로[3.2.0]헵탄-6-설포옥시-2-카복스아미드 및 베타-락타마제 억제제로서의 이들의 용도를 기술한다.
문헌[참조: Poole, Cell Mol. Life Sci. 2004, 61: 2200-2223]은 β-락탐 항생제에 대한 박테리아성 병원체의 내성 및 이러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접근법에 대한 리뷰를 제공한다.
현재 입수 가능한 β-락타마제 억제제는 지속적으로 점점 더 다양화되는 β-락타마제에 대항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신규한 β-락타마제 억제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인 특정한 디아자비사이클릭 카복스아미드 및 카복실레이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베타-락탐 항생제와 병용하여 박테리아 감염, 특히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위의 화학식 I에서,
"a"로 나타낸 결합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고,
결합 a가 단일결합인 경우, X는
(1) CH2,
(2) CH2CH2,
(3) CH2CH2CH2,
(4) CH=CH,
(5) CH2-CH=CH 또는
(6) CH=CH-CH2이고,
결합 a가 이중결합인 경우, X는
(1) CH,
(2) CH-CH2 또는
(3) CH-CH=CH이고,
R1
(1) C(O)N(R3)R4,
(2) C(O)OR3 또는
(3) C(O)OR5이고,
R2는 SO3M, OSO3M, SO2NH2, PO3M, OPO3M, CH2CO2M, CF2CO2M 또는 CF3이고,
M은 H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이고,
R3
(1) (i) 0개 내지 2개의 N(RA)RB, (ii) 0개 내지 2개의 RC 및 (iii) 0개 내지 1개의 AryA, HetA 또는 HetB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8 알킬,
(2) CycA,
(3) HetA,
(4) AryA,
(5) HetB 또는
(6) AryB이고,
R4는 H이거나, N(RA)RB로 임의로 치환된 C1 -8 알킬이거나,
또는, R1이 C(O)N(R3)R4인 경우, R3 및 R4는, 이들 둘 다에 부착된 N 원자와 함께, 4원 내지 9원 포화 모노사이클릭 환을 형성하고, 상기 모노사이클릭 환은 R3 및 R4에 부착된 질소 이외에도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개의 헤테로원자(여기서,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산화된다)를 임의로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모노사이클릭 환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여기서,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산화된다)를 함유하는 4원 내지 7원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에 임의로 융합되거나 브릿징되거나 스피로되어 비사이클릭 환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모노사이클릭 환 또는 비사이클릭 환 시스템은 각각 독립적으로 (1) C1 -6 알킬, (2) C1 -6 플루오로알킬, (3)(CH2)1-2G(여기서, G는 OH, O-C1 -6 알킬, O-C1 -6 플루오로알킬, N(RA)RB, C(O)N(RA)RB, C(O)RA, CO2RA 또는 SO2RA이다), (4) O-C1 -6 알킬, (5) O-C1 -6 플루오로알킬, (6) OH, (7) 옥소, (8) 할로겐, (9) N(RA)RB, (10) C(O)N(RA)RB, (11) C(O)RA, (12) C(O)-C1 -6 플루오로알킬, (13) C(O)ORA 또는 (14) S(O)2RA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N(RA)C(O)-AryA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8 알킬이고,
CycA는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4 -9 사이클로알킬이고,
HetA는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원 내지 9원 포화 또는 일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여기서, 임의의 환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임의로 산화되고, 1개 또는 2개의 환 탄소는 임의로 C(O)로 산화된다)이고; 상기 환은 임의로 C3 -7 사이클로알킬과 융합되고; 상기 임의로 융합된 포화 또는 일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AryA는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HetB는 1개 내지 3개의 N 원자, 0개 또는 1개의 O 원자 또는 0개 또는 1개의 S 원자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환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방향족 환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 내지 7원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여기서, 임의의 환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임의로 산화되고, 1개 또는 2개의 비융합 환 탄소는 임의로 C(O)로 산화된다)과 임의로 융합되고; 상기 임의로 융합된 헤테로방향족 환은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AryB는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여기서, 임의의 환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임의로 산화된다)를 함유하는 5원 내지 7원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과 융합된 페닐인 비사이클릭 환 시스템이고, 상기 비사이클릭 환 시스템은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8 알킬이고,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8 알킬이고,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6 알킬, OH, OC1 -8 알킬, OC(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C(O)RA, C(O)ORA, C(O)N(RA)RB, SO2RA, SO2N(RA)RB, 피리딜,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A) R1이 C(O)OR3이고 R3이 AryA인 경우, AryA은 (i) 치환되지 않은 페닐, (ii) NH2로 치환된 페닐, (iii) OH로 치환된 페닐, (iii) -O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 (iv)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v) 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B) R1이 C(O)OR3이고 R3이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인 경우, HetB는 피리딜이 아니고,
(C) R1이 C(O)OR3이고 R3이 CH2-AryA 또는 CH2CH2-AryA인 경우, AryA는 (i) 치환되지 않은 페닐, (ii) NH2, OH, O-C1 -6 알킬 또는 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 또는 (iii)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 CH2-AryA 또는 CH2CH2-AryA이고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 N(CH3)2로 치환된 페닐 또는 C(O)NH2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고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HetB는 피리딜이 아니고,
(F) R1이 C(O)OR3이고 R3이 RC로 치환된 C1 -6 알킬인 경우, RC는 C(O)NH2가 아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β-락타마제를 억제하며, β-락타마제가 존재함으로 인해 β-락탐 항생제에 일반적으로 내성인 미생물에 대한 β-락탐 항생제(예: 이미페넴, 세프타지딤 및 피페라실린)의 항박테리아 효과에 상승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룹 A 및 그룹 C β-락타마제에 대해 효과적이며, 이들과 β-락탐 항생제(예: 이미페넴, 세프타지딘 또는 피페라실린)와의 병용물은 그룹 A 및 그룹 C β-락타마제 생성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박테리아성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룹 C β-락타마제 생성 박테리아[예: 슈도모나스(Pseudomonas) 종] 및 그룹 A β-락타마제 생성 박테리아[예: 클레브시엘라(Klebsiella) 종]에 대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β-락탐 항생제와의 병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병용물 또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고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 서브양태, 측면 및 특징은 후술되는 설명,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추가로 기술되거나 이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D에 기술한 결정질 일수화물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도 2는 실시예 1D에서 기술한 결정질 일수화물에 대한 DSC 곡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베타-락탐과 병용하기에 적합한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이다.
용어 "β-락타마제 억제제"는 β-락타마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β-락타마제 활성 억제는 그룹 A, C 또는 D β-락타마제의 활성 억제를 의미한다. 항미생물 용도의 경우, 50% 억제 농도에서의 억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하, 약 50㎍/㎖이하, 또는 약 25㎍/㎖ 이하에서 달성된다. 용어 "그룹 A", "그룹 C" 및 "그룹 D" β-락타마제는 당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이해되며, 문헌[참조: Waley, The Chemistry of β- lactamase , Page Ed., Chapman & Hall, London, (1992) 198-228]에 기술되어 있다.
용어 "β-락타마제"는 β-락탐 항생제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백질을 나타낸다. 상기 β-락타마제는 β-락탐 항생제의 β-락탐 환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효소일 수 있다. 본원이 특히 관심을 갖는 것은 미생물성 β-락타마제이다. 상기 β-락타마제는, 예를 들면, 세린 β-락타마제일 수 있다. 관심을 끄는 β-락타마제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Waley, The Chemistry of β- lactamase, Page Ed., Chapman & Hall, London, (1992) 198-228]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β-락타마제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그룹 C β-락타마제,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P99의 그룹 C β-락타마제(이후, P99 β-락타마제라고 함), 및 클레브시엘라(Klebsiella) 종의 그룹 A 베타-락타마제이다.
용어 "항생제"는 미생물의 생존력을 감소시키거나 미생물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시키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은 세대 시간(즉, 박테리아 세포가 양분되거나 2배로 증식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약 2배 이상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항생제는 상기 세대 시간을 약 10배 이상(예를 들면, 약 100배 이상 또는 심지어 전체 세포가 사멸됨에 따라 무기한) 증가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생제는 항미생물제, 박테리아 발육저지제 또는 살박테리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생제의 예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및 카르바페넴을 포함한다.
용어 "β-락탐 항생제"는 β-락탐 관능기를 함유하는 항생제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용한 β-락탐 항생제의 비제한적 예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페넴, 카르바페넴 및 모노박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본원에서 "양태 E1"로도 지칭됨)는 하기 단서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는 원래 정의된 바와 같은(즉, 상기 발명의 요약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화합물 I"로도 지칭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A)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가 아니고,
(B) R1이 C(O)OR3인 경우, R3이 HetB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C) R1이 C(O)OR3이고 R3이 AryA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 또는 AryA로 치환된 C1 -8 알킬이고 R4가 H 또는 C1 -8 알킬인 경우,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 1개 또는 2개의 N(RA)RB로 치환된 페닐, 또는 1개 또는 2개의 C(O)N(RA)RB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이고 R4가 H 또는 C1 -8 알킬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8알킬이 아니고,
(F) R1이 C(O)OR3이고 R3이 RC로 치환된 C1 -8 알킬인 경우, RC는 C(O)N(RA)RB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본원에서 "양태 E2"로도 지칭됨)는 하기 단서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는 원래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A)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가 아니고,
(B) R1이 C(O)OR3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C)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AryA 또는 AryA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고,
(F) R1이 C(O)OR3인 경우, R3은 RC로 치환된 C1 -8 알킬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양태 E3)는
R1
(1) C(O)N(R3)R4 또는
(2) C(O)OR3이고,
R3
(1) (i) 0개 내지 2개의 N(RA)RB, (ii) 0개 내지 2개의 RC 및 (iii) 0개 내지 1개의 AryA, HetA 또는 HetB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8 알킬,
(2) CycA,
(3) HetA,
(4) AryA 또는
(5) HetB이고,
R4가 H이거나 N(RA)RB로 임의로 치환된 C1 -8 알킬이고,
HetA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원 내지 9원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0개 내지 2개의 (CH2)n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CH2)n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는 원래 정의된 바와 같고,
(A) R1이 C(O)OR3이고 R3이 AryA인 경우, AryA은 (i) 치환되지 않은 페닐, (ii) NH2로 치환된 페닐, (iii) OH로 치환된 페닐, (iii) -O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 (iv)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v) 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B) R1이 C(O)OR3이고 R3이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인 경우, HetB는 피리딜이 아니고,
(C) R1이 C(O)OR3이고 R3이 CH2-AryA 또는 CH2CH2-AryA인 경우, AryA는 (i) 치환되지 않은 페닐, (ii) NH2, OH, O-C1 -6 알킬 또는 C1 -6 알킬로 치환된 페닐, 또는 (iii)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 CH2-AryA 또는 CH2CH2-AryA이고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N(CH3)2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고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HetB는 피리딜이 아닌,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양태 E4)는 하기 단서를 제외하고는 양태 E3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A)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가 아니고,
(B) R1이 C(O)OR3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C)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AryA 또는 AryA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양태 E5)는 하기 단서를 제외하고는 양태 E3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A)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가 아니고,
(B) R1이 C(O)OR3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C) R1이 C(O)OR3인 경우, R3은 AryA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D)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AryA 또는 AryA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고,
(E) R1이 C(O)N(R3)R4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양태 E6)는, 결합 "a"가 단일 결합이고, X가 -CH2-또는 -CH2CH2-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양태 E7)는, 결합 "a"가 단일결합이고, X가 -CH2-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양태 E8)는 결합 "a"가 단일결합이고, X가 -CH2CH2-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양태 E9)는, R1이 C(O)N(R3)R4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R1은 C(O)NH(R4)이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양태 E10)는, R2가 OSO3M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양태 E11)는, R2가 OSO3H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양태 E12)는, R3이 (1) (i) 0개 내지 2개의 N(RA)RB, (ii) 0개 내지 2개의 RC 및 (iii) 0개 내지 1개의 AryA, HetA 또는 HetB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C1 -4 알킬, (2) CycA, (3) HetA, (4) AryA 또는 (5) HetB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3 양태(양태 E)는, R3이 (CH2)2-3N(RA)RB, (CH2)1-3-AryA, (CH2)1-3-HetA, (CH2)1-3-HetB, CycA, HetA, AryA 또는 HetB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4 양태(양태 E14)는, R3이 HetA, CH2-HetA, CH2CH2-HetA, CH(CH3)-HetA 또는 CH(CH2OH)-Het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14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양태 E14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5 양태(양태 E15)는, R3이 HetA, CH2-HetA 또는 CH2CH2-Het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15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양태 E15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1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6 양태(양태 E)는, R3이 HetA 또는 CH2-Het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16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양태 E1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7 양태(양태 E17)는, R3이 Het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17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양태 E17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1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8 양태(양태 E18)는, R3이 HetA이고, HetA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아제파닐 및 아조카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이고, 상기 포화 헤테로사이클릭이 N(RA)RB로 임의로 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며,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19 양태(양태 E19)는, R3이 HetA이고, HetA가
Figure pat00002
[여기서, *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대한 HetA의 부착점을 나타내며, T는 H 또는 RC이고, RC는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다]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20 양태(양태 E20)는, R3이 HetA이고, HetA가
Figure pat00003
[여기서, *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대한 HetA의 부착점을 나타내며, T는 H 또는 RC이고, RC는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다]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T는 H이다.
본 발명의 제21 양태(양태 E21)는, HetA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옥소피롤리디닐(예: 2-옥소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모르폴리닐, 1,1-디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아제파닐, 옥사제파닐, 아조카닐, 및 아자비사이클로[3.1.0]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융합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1개 또는 2개의 (CH2)nN(RA)RB로 임의로 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1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2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1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2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HetA는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제22 양태(양태 E22)는, HetA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아제파닐 및 아조카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은 1개 또는 2개의 (CH2)nN(RA)RB로 임의로 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2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2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HetA는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제23 양태(양태 E23)는, HetA가 양태 E21 또는 E22에 정의한 바와 같고,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C1 -4 알킬, C(=NH)NH2, NH-C(=NH)NH2, Cl, Br, F 또는 CN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제1 서브양태에서, R3은 HetA이고, HetA는 양태 E2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서브양태에서, R1은 C(O)N(R3)R4이고, R3은 HetA이고, HetA가 양태 E2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HetA는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제24 양태(양태 E24)는, HetA가 양태 E21 또는 E22에 정의한 바와 같고, HetA 중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이 할로겐, C1 -3 알킬, O-C1 -3 알킬,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 -3 알킬)2 또는 피페리디닐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제1 서브양태에서, R3은 HetA이고, HetA는 양태 E2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서브양태에서, R1은 C(O)N(R3)R4이고, R3은 HetA이고, HetA는 양태 E24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5 양태(양태 E25)는, HetA가 양태 E21 또는 E22에 정의한 바와 같고, HetA 중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이 F, CH3, OCH3, NH2, N(H)CH3, N(CH3)2, CH2NH2, CH2N(H)CH3, CH2N(CH3)2 또는 피페리디닐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제1 서브양태에서, R3은 HetA이고, HetA는 양태 E2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서브양태에서, R1은 C(O)N(R3)R4이고, R3은 HetA이고, HetA는 양태 E2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6 양태(양태 E26)는, HetA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옥사제파닐, 옥사졸리디닐, 이속사졸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이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 -3 알킬)2, 0-C1 -3 알킬, Cl, Br, F,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 -3 알킬, OC(O)-C1 -3 알킬, S(O)2-C1 -3 알킬, S(O)2NH2, S(O)2N(H)-C1 -3 알킬 또는 S(O)2N(-C1 -3 알킬)2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6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HetA, CH2-HetA, CH2CH2-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2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6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OR3이고, R3이 HetA, CH2-HetA, CH2CH2-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27 양태(양태 E)는, HetA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옥사제파닐, 옥사졸리디닐, 이속사졸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이 각각 독립적으로 CH3, CH2NH2, CH2N(H)CH3, CH2N(CH3)2, 0CH3,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또는 S(O)2N(CH3)2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7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HetA, CH2-HetA, CH2CH2-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7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OR3이고, R3이 HetA, CH2-HetA, CH2CH2-HetA이고, Het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28 양태(양태 E28)는, AryA가 페닐이며, 상기 페닐이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 -3 알킬)2, 0-C1 -3 알킬, Cl, Br, F,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 -3 알킬, OC(O)-C1 -3 알킬, S(O)2-C1 -3 알킬, S(O)2NH2, S(O)2N(H)-C1-3 알킬 또는 S(O)2N(-C1 -3 알킬)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8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OR3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29 양태(양태 E29)는, AryA가 페닐이며, 상기 페닐이 각각 독립적으로 CH3, CH2NH2, CH2N(H)CH3, CH2N(CH3)2, 0-CH3,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또는 S(O)2N(CH3)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9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29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OR3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2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0 양태(양태 E30)는, R3이 HetB; 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0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양태 E30에서 상술한 바와 같고,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31 양태(양태 E)는, R3이 HetB이고, HetB가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딜 및 피리미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방향족 환이고, 상기 헤테로방향족 환이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고, RC가 독립적으로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32 양태(양태 E32)는, R3이 HetB이고, HetB가 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RC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이고,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33 양태(양태 E33)는, R3이 HetB이고, HetB가
Figure pat00004
이고, U가 H, N(RA)RB 또는 RC이고,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U는 피리디닐 N에 대해 오르토이다. 이러한 측면의 한 특징에서, U는 H, NH(C1 -4 알킬), N(C1 -4 알킬)2 또는 O-C1 -4 알킬이다.
본 발명의 제34 양태(양태 E34)는, HetB가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피페리도티아졸릴, 피롤리도티아졸릴, 피페리도피리딜 및 피롤리도피리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방향족이고, 상기 헤테로방향족 환은 1개 또는 2개의 (CH2)nN(RA)RB로 임의로 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4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HetB이고, Het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4의 제2 서브양태는, Rl이 C(O)N(R3)R4이고, R3이 HetB이고, Het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HetB 중의 헤테로방향족은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HetB 중의 헤테로방향족은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H2NH2, CH2N(H)-C1 -3 알킬 또는 CH2N(-C1 -3 알킬)2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HetB 중의 헤테로방향족은 NH2, N(H)CH3, N(CH3)2, CH2NH2, CH2N(H)CH3 또는 CH2N(CH3)2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CH3,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5 양태(양태 E35)는, R3이 Ary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5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6 양태(양태 E36)는, AryA가 페닐이며, 상기 페닐이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 -3 알킬)2, 0-C1 -3 알킬, Cl, Br, F,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 -3 알킬, OC(O)-C1 -3 알킬, S(O)2-C1 -3 알킬, S(O)2NH2, S(O)2N(H)-C1-3 알킬, S(O)2N(-C1 -3 알킬)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6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6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7 양태(양태 E37)는, AryA가 페닐이며, 상기 페닐이 CH3, CH2NH2, CH2N(H)CH3, CH2N(CH3)2, 0-CH3,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또는 S(O)2N(CH3)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7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7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8 양태(양태 E38)는, AryA가 페닐이며, 상기 페닐이 각각 독립적으로 CH3, CH2NH2, CH2N(H)CH3, CH2N(CH3)2, 0-CH3,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S(O)2N(CH3)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8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38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3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39 양태(양태 E39)는, R1이 C(O)N(R3)R4이고, R3 및 R4가, 이들이 둘 다 부착되어 있는 N 원자와 함께,
Figure pat00005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상기 환이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CF3, CH2OH, CH2O-C1 -3 알킬, CH2OCF3,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 -3 알킬)2, O-C1 -3 알킬, OCF3, 옥소, Cl, Br, F,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 -3 알킬 또는 S(O)2-C1 -3 알킬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40 양태(양태 E40)는, R1이 C(O)N(R3)R4이고, R3 및 R4가, 이들이 둘 다 부착되어 있는 N 원자와 함께,
Figure pat00006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상기 환이 각각 독립적으로 CH3, CF3, CH2OH, CH2OCH3, CH2OCF3, CH2NH2, CH2N(H)CH3, CH2N(CH3)2, OCH3, OCF3, 옥소,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또는 S(O)2CH3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41 양태(양태 E41)는, R3이 AryB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41의 제1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B이고, Ary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4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42 양태(양태 E42)는, R3이 AryB이고, AryB가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릴 및 2,3-디하이드로-1H-인돌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비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비사이클릭 환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CH2NH2, CH2N(H)-C1 -3 알킬, CH2N(-C1-3 알킬)2, 0-C1 -3 알킬, Cl, Br, F, NH2, N(H)-C1 -3 알킬, N(-C1 -3 알킬)2,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 -3 알킬, OC(O)-C1-3 알킬, S(O)2-C1 -3 알킬, S(O)2NH2, S(O)2N(H)-C1 -3 알킬, S(O)2N(-C1 -3 알킬)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42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B이고, Ary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4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42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B이고, Ary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4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43 양태(양태 E43)는, R3이 AryB이고, AryB가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릴 및 2,3-디하이드로-1H-인돌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비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비사이클릭 환은 각각 독립적으로 CH3, CH2NH2, CH2N(H)CH3, CH2N(CH3)2, 0CH3, Cl, Br, F, NH2, N(H)CH3, N(CH3)2,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S(O)2N(CH3)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인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43의 제1 서브양태는, R3이 AryB이고, Ary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4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양태 E43의 제2 서브양태는, R1이 C(O)N(R3)R4이고, R3이 AryB이고, AryB 및 모든 기타 변수가 양태 E4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 및 이의 서브양태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제44 양태(양태 E44)는, R4가 H이거나 N(RA)RB로 임의로 치환된 C1 -4 알킬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R4가 H 또는 C1 -4 알킬이다.
본 발명의 제45 양태(양태 E45)는, R4가 H, C1 -3 알킬 또는 (CH2)2-3N(RA)RB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R4는 H 또는 C1 -3 알킬이다.
본 발명의 제46 양태(양태 E46)는, R4가 H 또는 메틸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47 양태(양태 E47)는, R4가 H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48 양태(양태 E48)는,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4 알킬이고, RB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4 알킬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49 양태(양태 E49)는,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3 알킬이고, RB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 -3 알킬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50 양태(양태 E50)는,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B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51 양태(양태 E51)는,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 -4 알킬, OH, O-C1-4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52 양태(양태 E52)는,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C1 -4 알킬, C(=NH)NH2, NH-C(=NH)NH2, Cl, Br, F 또는 CN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53 양태(양태 E53)는,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1 -3 알킬, O-C1 -3 알킬, Cl, Br, F, C(O)NH2, C(O)N(H)-C1 -3 알킬, C(O)N(-C1 -3 알킬)2, C(O)-C1 -3 알킬, C(O)O-C1-3 알킬, OC(O)-C1 -3 알킬, S(O)2-C1 -3 알킬, S(O)2NH2, S(O)2N(H)-C1 -3 알킬, S(O)2N(-C1-3 알킬)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제54 양태(양태 E54)는,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CH3, OCH3, Cl, Br, F, C(O)NH2, C(O)N(H)CH3, C(O)N(CH3)2, C(O)CH3, C(O)OCH3, OC(O)CH3, S(O)2CH3, S(O)2NH2, S(O)2N(H)CH3, S(O)2N(CH3)2,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또는 CH2-모르폴리닐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들 중의 임의의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는 한, 발명의 요약에서 화합물의 정의에 나타낸 단서 A 내지 F는 본원의 전술한 양태 및 후술한 양태에 적용된다. 상기 맥락으로부터, 예를 들면, 양태 E17 내지 E20 중의 임의 양태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 I의 정의 내로 혼입된 경우, 상기 단서 중의 어느 것도 적용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추가로, 임의의 양태가 양태 E1 또는 양태 E2를다시 인용하거나 양태 E1 또는 양태 E2를 혼입시키는 한, 이들 중의 임의의 것이 적용되는 한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단서 A 내지 F를 포함한다. 상기 단서들 중의 변수의 정의는 상기 양태에 혼입된 양태 중의 변수의 정의를 반영하도록 맞춰질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양태 E9(즉, R1은 C(O)N(R3)R4이다)가 양태 E1에 혼입되는 경우, 상기 단서는 하기 단서로 읽히도록 조절될 수 있다(단서 A, B, C 및 F는 적용되지 않는다):
(D) R3이 AryA 또는 AryA로 치환된 C1 -6 알킬이고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이 아니고 1개 또는 2개의 N(RA)RB로 치환된 페닐도 아니며,
(E) R4가 H 또는 C1 -6 알킬인 경우, R3은 HetB로 치환된 C1 -6 알킬이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화합물이 양태 E36의 제2 서브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경우(즉, R1은 C(O)N(R3)R4이고, R3은 AryA이고, AryA 및 모든 기타 변수는 양태 E3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하기 단서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AryA가 치환되지 않은 페닐, N(CH3)2로 치환된 페닐, 또는 C(O)NH2-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다. 적합하게 맞춰진 양태 E1 및 E2에 나타낸 임의의 단서가 대안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된다. 양태 E1을 기재로 하는 단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 1개 또는 2개의 NH2, N(H)-C1 -3 알킬 및 N(-C1 -3 알킬)2로 치환된 페닐, 또는 1개 또는 2개의 C(O)NH2, C(O)N(H)-C1 -3 알킬 및 C(O)N(-C1 -3 알킬)2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1 그룹(또는, 본원에서 "그룹 C1"로서 지칭됨)은,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A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1 그룹의 제1 아그룹(또는, 본원에서 "아그룹 C1-S1"로서 지칭됨)은,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A이고, HetA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아제파닐 및 아조카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이고, 상기 포화 헤테로사이클릭은 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1 그룹의 제2 아그룹(아그룹 C1-S2)은,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C1-4 알킬, C(=NH)NH2, NH-C(=NH)NH2, Cl, Br, F 또는 CN인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가 아그룹 C1-S1에서 정의한 바와 정확히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그룹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1 그룹의 제3 아그룹(아그룹 C1-S3)은,
Figure pat00007
으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T는 H 또는 (CH2)2-3RC이고, RC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기 양태 중의 임의 양태에 정의한 바와 같다)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T는 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R2는 OSO3H 또는 SO3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T는 H이고, R2는 OSO3H 또는 SO3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T는 H이고, R2는 OSO3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O-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다. 본 측면의 한 특징에서, R2는 OSO3H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2 그룹(그룹 C2)은,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B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2 그룹의 제1 아그룹(또는, 본원에서 "아그룹 C2-S1"로서 지칭됨)은,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B이고, HetB가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딜 및 피리미디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방향족 환이고, 상기 헤테로방향족 환은 (CH2)n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CH2)nRC로 임의로 치환되고, 모든 기타 변수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2 그룹의 제2 아그룹(아그룹 C2-S2)는,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C1-4 알킬, C(=NH)NH2, NH-C(=NH)NH2, Cl, Br, F 또는 CN인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가 아그룹 C2-S1에서 정의한 바와 정확히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2 그룹의 제3 아그룹(아그룹 C2-S3)은, R1이 C(O)N(R3)R4이고, R3이 HetB이고, HetB가 N(RA)RB로 임의로 일치환되고 1개 또는 2개의 RC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상기 제2 그룹의 제4 아그룹(아그룹 C2-S4)은, RC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C1-4 알킬, C(=NH)NH2, NH-C(=NH)NH2, Cl, Br, F 또는 CN인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가 아그룹 C2-S3에서 정의한 바와 정확히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4는 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O-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다.
상기 제2 그룹의 제5 아그룹(아그룹 C2-S5)은,
Figure pat00008
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O-C1 -6 알킬, OH, O-C1 -8 알킬, C(=NH)NH2, NH-C(=NH)NH2, 할로겐, CN, 피리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R2,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래 정의한 바와 같다)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N(RA)RB는 NH(C1 -4 알킬) 또는 N(C1 -4 알킬)2이고, RC는 O-C1 -4 알킬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R2는 OSO3H 또는 SO3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R2는 SO3H이다. 본 아그룹의 또 다른 측면에서, N(RA)RB는 NH(C1 -4 알킬) 또는 N(C1 -4 알킬)2이고, RC는 O-C1 -4 알킬이고, R2는 OSO3H 또는 SO3H이다. 본 아그룹의 기타 측면은, RC, R2, RA 및 RB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양태 중의 임의 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B1a, B1b 및 B1c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즉, 이들 변수들의 각각의 독특한 조합은 상이한 양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3 그룹(그룹 C3)은,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T는 H, C1 -3 알킬, 피롤리딘-3-일, 피페리딘-4-일, (CH2)2-3-O-C1 -3 알킬, (CH2)2-3OH, (CH2)2-3F, (CH2)2-3-피페리디닐, (CH2)2-3-피롤리디닐이고, T'는 H, Cl, Br, F, C1 -3 알킬, O-C1 -3 알킬, OH, NH2, N(H)-C1 -3 알킬 또는 N(-C1 -3 알킬)2이고, R2는 원래 정의한 바와 같다)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그룹의 제1 아그룹(아그룹 C3-S1)은, R2가 SO3H이고, 모든 기타 변수가 그룹 C1에서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A1 내지 A20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그룹의 제2 아그룹(아그룹 C3-S2)은, T가 H, CH3, 피롤리딘-3-일, 피페리딘-4-일, (CH2)2-3-O-CH3, (CH2)2-3OH, (CH2)2-3F, (CH2)2-3-피페리디닐, (CH2)2-3-피롤리디닐이고, T'가 H, F, O-C1 -3 알킬, OH, NH2, N(H)CH3 또는 N(CH3)2이고, R2가 원래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A1 내지 A20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아그룹의 한 측면에서, R2는 OSO3H이다.
상기 제3 그룹의 제3 아그룹(아그룹 C3-S3)은, T가 H이고, T'가 H, F, O-CH3 또는 OH이고, R2가 OSO3H인, 화학식 A1 내지 A20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4 그룹(그룹 C4)은,
Figure pat00011
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V, V, V", Y,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3,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CH2-피롤리디닐, CH2-피페리디닐, CH2-피페라지닐, CH2-모르폴리닐, CH2-티오모르폴리닐, NH2, N(H)CH3, N(CH3)2, CH2NH2, CH2N(H)CH3 및 CH2N(CH3)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i) V, V 및 V" 중의 하나 이상이 H이고, (ii) Y 및 Y' 중의 하나 이상은 H이다)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상기 제4 그룹의 제1 아그룹(아그룹 C4-S1)은, V, V 및 V"중의 둘 이상이 H이고, R2가 OSO3H인, 화학식 B1 내지 B9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실시예 1 내지 117의 표제 화합물(또는 화합물 1 내지 11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실시예 1 내지 13의 표제 화합물(또는 화합물 1 내지 13)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화합물 1, 2, 4 및 6 내지 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2S,5R)-N-[4-(아미노메틸)페닐]-7-옥소-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2S,5R)-7-옥소-N-[(3R)-피롤리딘-3-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2S,5R)-7-옥소-6-(설포옥시)-N-(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2S,5R)-7-옥소-N-(5-피페리딘-4-일피리딘-2-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피페리딘-4-일메틸 (2S,5R)-7-옥소-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레이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즉, 실시예 1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2S,5R)-N-[4-(아미노메틸)페닐]-7-옥소-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즉, 실시예 9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 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2S,5R)-7-옥소-N-[(3R)-피롤리딘-3-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즉, 실시예 14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 1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결정질 일수화물 형태의 화합물 1이다.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도 1에 도시한 XRPD 패턴과 도 2에 도시한 DSC 곡선을 갖는다.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실시예 1D에서 파트 A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2Θ 값(즉, 2Θ 값에서의 반사도)이 약 15.6, 17.4 및 20.4°인 구리 Kα 방사선(즉, 상기 방사선 공급원은 Cu Kα1 및 Kα2 방사선의 조합이다)을 사용하여 수득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양태 및 후술되는 임의의 유사한 양태에서, 용어 "약"은 각각의 2Θ 값을 수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2Θ 값이 약 15.6, 17.4, 20.4, 24.0, 26.3 및 29.3°인 구리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2Θ 값이 약 13.5, 15.5, 15.6, 17.4, 18.7, 19.7, 20.4, 21.7, 22.6, 24.0, 24.3, 25.9, 26.3, 26.6, 27.0, 27.5, 29.3, 30.0, 31.3, 32.4, 32.9, 33.1, 34.0, 34.7, 35.5 및 38.9°인 구리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득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화합물 1의 결정질 일수화물은 도 1에 나타낸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유도된 PDF 흔적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DF 흔적은,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을 정의하는 원자간 거리의 지문을 제공한다. PDF 흔적은 WO 2005/082050에 기술된 방식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XRPD에서 약 15.6, 17.4 및 20.4°의 2Θ 값에 상응하는 PDF 흔적의 일부를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XRPD에서 약 15.6, 17.4, 20.4, 24.0, 26.3 및 29.3°의 2Θ 값에 상응하는 PDF 흔적의 일부를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결정질 일수화물은 XRPD에서 약 13.5, 15.5, 15.6, 17.4, 18.7, 19.7, 20.4, 21.7, 22.6, 24.0, 24.3, 25.9, 26.3, 26.6, 27.0, 27.5, 29.3, 30.0, 31.3, 32.4, 32.9, 33.1, 34.0, 34.7, 35.5 및 38.9°의 2Θ 값에 상응하는 PDF 흔적의 일부를 특징으로 한다.
용어 "약"은, 물질 또는 조성물의 양(예: kg, L 또는당량), 물리적 특성의 값, 또는 공정 단계를 특성화하는 파라미터의 값(예: 공정 단계가 수행되는 온도) 등을 수정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물질 또는 조성물의 제조, 특성화 및/또는 사용에 수반되는 전형적인 측정, 핸들링 및 샘플링 과정을 통해, 이들 과정에서의 의도치 않은 오차를 통해, 상기 조성물을 제조 또는 사용하거나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성분들의 제조, 공급원 또는 순도의 차이를 통해 및 기타 경로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수치량의 변화를 지칭한다. 본원에 기술된 XRPD에서 ° 단위의 2Θ 값의 특정한 경우, 상기 "약"은 전형적으로 ±0.1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원래 정의한 바와 같거나 상술한 바 중의 임의의 양태, 서브양태, 측면, 그룹 또는 아그룹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적합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생성물(예: 상기 화합물 또는 염을 제공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생성물) 약 60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약 7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중량% 이상(예: 약 90중량% 내지 약 99중량%),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중량% 이상(예: 약 95중량% 내지 약 99중량%, 또는 약 98중량%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9중량% 이상(예: 100중량%)를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 및 염의 순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질량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상기 방법이 측정된 순도면에서 실험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제공하는 경우, 최고 순도를 제공하는 방법이 지배적이다. 100% 순도의 화합물 또는 염은 표준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은 검측 가능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 또는 염이다.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갖고 입체이성체 혼합물로서 나타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관해,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은 입체이성체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혼합물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개별 부분입체이성체 또는 에난티오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양태는 다음 양태들을 포함한다:
(a)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b) 유효량의 β-락탐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a)의 약제학적 조성물.
(c) 상기 베타-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 에르타페넴, 메로페넴, 도리페넴, 비아페넴, 파니페넴, 티카르실린,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카르베니실린, 피페라실린, 아즐로실린, 메즐로실린, 티카르실린, 세포페라존,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및 세프타지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b)의 약제학적 조성물.
(d)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인, 상기 (b)의 약제학적 조성물.
(e)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세프타지딤인, 상기 (b)의 약제학적 조성물.
(f)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피페라실린인, 상기 (b)의 약제학적 조성물.
(g) 유효량의 β-락탐 항생제 및 DHP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a)의 약제학적 조성물.
(h) 상기 베타-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이고, 상기 DHP 억제제가 실라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상기 (g)의 약제학적 조성물.
(i)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β-락탐 항생제의 병용물.
(j) 상기 베타-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 에르타페넴, 메로페넴, 도리페넴, 비아페넴, 파니페넴, 티카르실린,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카르베니실린, 피페라실린, 아즐로실린, 메즐로실린, 티카르실린, 세포페라존,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및 세프타지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i)의 병용물.
(k)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인, 상기 (i)의 병용물.
(l)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세프타지딤인, 상기 (i)의 병용물.
(m) 상기 β-락탐 항생제가 피페라실린인, 상기 (i)의 병용물.
(n)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β-락탐 항생제 및 DHP 억제제의 병용물.
(o) 상기 베타-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이고, 상기 DHP 억제제가 실라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상기 (n)의 병용물.
(p)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임의로 유효량의 베타-락탐 항생제와 병용되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
(q)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유효량의 베타-락탐 항생제 및 DHP 억제제와 병용된,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
(r)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a), (b), (c), (d), (e), (f), (g) 및 (h)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
(s)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i), (j), (k), (l), (m), (n) 및 (o)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
(t) 상기 박테리아 감염이 슈도모나스 종 또는 클레브시엘라 종에 기인하는, 상기 (p), (q), (r) 또는 (s)에 나타낸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
본 발명은 또한 (i)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에서 사용하기 위 한, (ii)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또는 (iii)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이들 용도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β-락탐 항생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DHP 억제제와 병용하여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상기 (a) 내지 (t)에서 나타낸 약제학적 조성물, 병용물 및 방법과 상기 단락에서 나타낸 용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술한 양태, 서브양태, 그룹 또는 아그룹 중의 하나의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은 이들 양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들은 상기 단락에서 나타낸 약제학적 조성물, 병용물, 방법 및 용도 각각을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실질적으로 순수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해, 용어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자체, 즉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활성 성분의 순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특정 범위의 탄소수를 갖는 1가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C1 -8 알킬"(또는 "C1 -C8 알킬")은 n-, 이소-, 2급 및 3급-부틸, n-및 이소-프로필, 에틸 및 메틸 뿐만 아니라 옥틸, 헵틸, 헥실 및 펜틸 알킬 이성체 중의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예로서, "C1 -6 알킬"(또는 "C1-C6 알킬")은 n-, 이소-, 2급 및 3급-부틸, n-및 이소-프로필, 에틸 및 메틸 뿐만 아니라 헥실 및 펜틸 알킬 이성체 중의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예로서, "C1 -4 알킬"은 n-, 이소-, 2급 및 3급-부틸, n-및 이소-프로필, 에틸 및 메틸을 지칭한다.
용어 "할로알킬"은, 수소 원자 중의 하나 이상이 할로겐(즉, F, Cl, Br 및/또는 I)으로 대체된 상술한 바와 같은 알킬 그룹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C1-6 할로알킬"(또는 "C1-C6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C1 내지 C6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그룹이다. 용어 "플루오로알킬"은 상기 할로겐 치환기가 플루오로에 한정된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적합한 플루오로알킬은 일련의 (CH2)0-4CF3(즉,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용어 "할로겐"(또는 "할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또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로도 지칭됨)이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특정 범위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알칸의 1가 모노사이클릭 환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C4 -9 사이클로알킬"(또는 "C4-C9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및 사이클로노닐을 지칭하고, "C4 -7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을 지칭한다.
용어 "C(O)"은 카보닐을 지칭한다. 용어 "S(O)2" 및 "SO2"는 각각 설포닐을 지칭한다. 용어 "S(O)"는 설피닐을 지칭한다.
결합 말단에 있는 표시 "*"는 일부인 상기 분자의 나머지에 관능기 또는 기타 화학적 잔사가 부착하는 지점을 지칭한다.
명시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한, 용어 "치환된"은 일치환 및 다치환(동일 위치에서의 다치환 포함)이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한은 명명된 치환기에 의한 일치환 및 다치환을 지칭한다.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상기 명명된 치환기에 의한 치환은, 상기 환 치환이 화학적으로 허용되고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시킨다는 조건하에 환(예: 사이클로알킬, 페닐, 헤테로방향족 환 또는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 중의 임의의 원자 상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치환도는 정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현 "0개 내지 2개의 N(RA)RB 및 0개 내지 2개의 RC로부터 선택된 총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이라는 표현은, 임의로 도합 최대 2개의 N(RA)RB 치환기 및 최대 2개의 RC 그룹의 4개의 치환기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서, "AryA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도 아니고 1개 또는 2개의 N(RA)RB로 치환된 페닐도 아니다"란 표현은, AryA가 페닐, N(RA)RB로 일치환된 페닐페닐, 또는 N(RA)RB로 이치환된 페닐이 아니고, 그 외에는 Ary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을 의미한다.
HetA는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원 내지 9원 포화 또는 모노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인 것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며, 상기 환은 C3 -7 사이클로알킬로 임의로 융합된다. HetA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예를 들면, 아제티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아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이속사졸리디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피라졸리디닐, 헥사하이드로피리미디닐, 티아지나닐, 티아제파닐, 아제파닐, 디아제파닐, 아조카닐(= 옥타하이드로아조시닐), 아조나닐(= 옥타하이드로-1H-아조니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및 디옥사닐을 포함한다. 적합한 일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예를 들면, 이들이 이중결합(예: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문장에서 나타낸 포화 환에 상응하는 환들을 포함한다. HetA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이클로알킬과 융합된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예를 들면,
Figure pat00012
을 포함한다.
HetB는 1개 내지 3개의 N 원자, 0개 또는 1개의 O 원자 또는 0개 또는 1개의 S 원자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방향족 환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방향족 환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여기서, 임의의 환 S는 임의로 S(O) 또는 S(O)2로 임의로 산화되고, 1개 또는 2개의 비융합 환 탄소는 임의로 C(O)로 산화된다)를 함유하는 5원 내지 7원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환과 임의로 융합된다. HetB로서 사용하기에 헤테로방향족 환은, 예를 들면, 피리딜(피리디닐로도 지칭됨), 피롤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트리아지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트리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을 포함한다. HetB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융합된 환은, 예를 들면,
Figure pat00013
을 포함한다.
특정 맥락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사이클릭 환 및 환 시스템 중의 임의의 사이클릭 환 및 환 시스템은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시키기만 한다면 임의의 환 원자(즉, 임의의 탄소 원자 또는 임의의 헤테로원자)에서 상기 화합물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본원에 인용된 모든 범위는 포괄적이다. 예를 들면,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술된 헤테로방향족 환은, 상기 환이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 인용된 임의의 범위는 이의 범위 내에 상기 범위 내의 모든 아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술된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이의 측면으로서 2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3개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 1개의 헤테로원자, 2개의 헤테로원자, 3개의 헤테로원자 및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포함한다.
임의의 변수(예: RA 또는 RB)가 임의의 구성분에서 또는 화학식 I에서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도시하고 기술하는 임의의 기타 화학식에서 1회 이상 나타나며, 나타나는 각각의 정의는 기타 나타나는 모든 정의와 무관하다. 또한, 치환기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이러한 배합이 안정한 화합물에 생성되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 있다.
"안정한" 화합물은 제조 및 분리될 수 있고 구조 및 특성이 본원에 기술된 목적(예: 개체에 대한 치료용 투여)에 맞는 화합물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되거나 필수적으로 불변으로 유지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에 포함되는 안정한 화합물에 한정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지며, 특정 치환기 및/또는 치환기 패턴이 존재하는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개별 부분입체이성체 또는 에난티오머로서 나타날 수 있다. 개별적이거나 혼합물로서의 이들 화합물의 모든 이성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용어 "화합물"은 유리 화합물 및 이들이 안정하다면 임의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지칭한다. 수화물은 물로 착화된 화합물이고, 용매화물은 유기 용매로 착화된 화합물이다.
상기 지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모 화합물의 효율을 가지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기타 방식으로 바람직한(예를 들면, 독성이 없거나 이를 수용자에게 해롭지 않은) 염을 지칭한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예: 화학식 I의 화합물)을 1몰당량의 온화한 염기(예: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형성한 염이다. 이 경우, M은 나트륨 염기로 처리하는 경우 Na+와 같은 양이온이다.
M이 H(예를 들면, R2가 OSO3H이다)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이 양성자일 수 있는 내부 염기를 함유하는 경우(예를 들면, R1은 염기성 질소를 함유한다), 상기 화합물은 내부 염기가 M = H에 의해 완전히 양성자화되어 R2가 음이온(예를 들면, R2 = OSO3 -)이고 내부 염기가 양이온을 갖거나, 부분적으로 양성자화되어 R2가 부분적 음이온을 갖거나 양성자화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사하게는, M이 H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이 양성자화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내부 염기를 함유하는 경우(예를 들면, R1은 둘 이상의 염기성 질소를 함유한다), 상기 화합물은 내부 염기 중의 하나 또는 또 다른 하나가 M = H에 의해 완전히 양성자화되는 형태 또는 내부 염기의 둘 이상이 각각 충분히 양성자화되어 R2가 음이온을 갖는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염기가 부분적으로 양성자화되어 R2가 부분적 음이온을 갖는 형태 또는 상기 염기 중의 어느 것도 양성자화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이 내부 염 형태(즉, 쯔비터이온)일 수 있지만, 이들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 간주되지만,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니다.
한편, 내부 염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예를 들면, R1은 염기성 질소를 함유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화합물을 적합한 양의 산(예: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설폰산 등)으로 처리하여 내부 염기가 음의 대이온(예: 클로라이드, 트리플루오라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등)에 의해 균형을 이룬 양성자화 염기의 양전하를 갖는 산에 의해 양성자화됨으로써 형성된 염이다. 2개의 내부 염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예를 들면, R1은 2개의 염기성 질소를 함유한다), 또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화합물을 적합한 양의 산으로 처리하여 상기 내부 염기 중의 하나가 상기 분자에 존재하는 설폰산 그룹에 의해 양성자화되고(즉, R2는 음이온을 갖는다) 나머지 내부 염기는 적합한 음의 대이온에 의해 평형을 이룬 양성자화 염기의 양이온을 갖는 산에 의해 양성자화됨으로써 형성된 염이다. 2개의 내부 염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또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화합물을 상기 분자 내에 존재하는 설폰산 그룹이 양성자화된 상태를 유지하고(즉, M = H) 내부 염기가 양성자화되고 적합한 음의 대이온(예: 설포네이트)과 회합되기에 충분한 산(예: 황산, HCl, 메탄설폰산 또는 TFA)으로 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바로부터 명백하게도, 수득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정확한 성질 및 형태는 처리되는 특정 화합물의 성질(예: R1에서 염기성 질소의 존재 또는 부재), 사용되는 처리 조건에 따라 좌우될 것이며, 예를 들면, 화합물을 처리하는 산 또는 염기의 선정 및 양, 처리 매체의 pH, 완충제(존재하는 경우)의 양 및 선정 등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모든 타입 및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 성분(예: β-락탐 항생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담체의 특성은 투여 경로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성분들이 서로 상용성이어야 하고, 활성 성분(들)의 효율을 간섭하지 않고, 이의 수용자에게 무해하다(예를 들면, 무독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상기 억제제 이외에 희석제, 충전제, 염, 완충제, 안정제, 가용화제, 및 당분야에 익히 공지된 기타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임의로 베타-락탐 항생제 및/또는 DHP 억제제와 병용된,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방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또는 "환자")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 개체인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지칭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용어 "투여"및 이의 변형어(예를 들면, 화합물을 "투여하는")는 치료를 요하는 개인에게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제(예: 카르바페넴 항생제, DHP 억제제, 또는 이들 둘 다)와 병용하여 제공되는 경우, "투여"및 이의 변형어는 각각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과 기타 제제를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 제공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병용물의 제제들을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 이들은 단일 조성물 내에 함께 투여되거나 이들이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활성제의 "병용물"이 모든 활성제를 함유하는 단일 조성물 또는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각각 함유하는 다수의 조성물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활성제가 2개인 경우, 상기 병용물이 상기 활성제를 둘 다 포함하는 단일 조성물이거나 각각 상기 활성제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2개의 별도의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활성제가 3개인 경우, 상기 병용물이 상기 활성제를 셋 다 포함하는 단일 조성물, 각각 상기 활성제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3개의 별개 조성물, 또는 상기 활성제 중의 2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나머지 세 번째 활성제를 포함하는 또 다른 조성물로 이루어진 2개의 조성물일 수 있는 등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병용물은 적합하게는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추구되는 조직, 시스템, 동물 또는 사람에서의 생물학적 반응 및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한 양태에서, 상기 유효량은 치료되는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박테리아 감염 및/또는 박테리아성 약물 내성과 관련된 상태를 치유하기 위한) "치료학적 유효량"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유효량은 예방되는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유효량"이다. 상기 용어는 또한 β-락타마제를 억제함으로써 추구하는 반응을 끌어내기에 충분한 활성 화합물의 양(즉, "억제 유효량")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 화합물(즉, 활성 성분)이 염으로서 투여되는 경우, 활성 성분의 양에 대한 기준은 상기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비경구, 경구, 설하, 경피, 국부, 비내, 기관지내 또는 직장내 투여되며,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문헌[참조: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2006, chapters 39, 41, 42, 44 and 45]에 기술된 제조 및 투여 방법을 포함하여 당분야에 익히 공지된 제형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된 경로에 의해 투여되도록 적합하게 제형화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병원 설비에서 정맥내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정제 또는 캡슐 등의 형태로 경구 투여된다. 전신 투여시, 치료학적 조성물은 약 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의 억제제 혈중치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투여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적합하다. 국부 투여시, 상기 농도보다 훨씬 더 낮은 농도가 효과적일 수 있으며, 훨씬 더 높은 농도가 허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정맥내 투여는 화합물의 분말 형태를 허용 가능한 용매로 재구성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면, 염수 용액(예: 0.9% 염화나트륨 주입액) 및 멸균수(예: 주입용 멸균수,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을 함유하는 주입용 박테리아발육저지수, 또는 0.9% 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주입용 박테리아발육저지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말 형태는 상기 화합물의 감마선 방사에 의해 수득하거나 상기 화합물의 용액을 동결건조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분말을 재구성될 때까지 실온 이하에서 (예를 들면, 밀봉된 바이알 속에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IV 용액 중의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예를 들면, 약 0.1mg/㎖ 내지 약 20m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박테리아 세포 배양물 또는 박테리아 감염된 세포 배양물, 조직 또는 기관에 억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성장의 억제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방금 기술한 박테리아 성장 억제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술한 양태, 서브양태 또는 그룹 중의 하나의 화합물인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이들 양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실험실내 실험용 세포 배양물에 투여하여 β-락탐 내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대안으로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체내 β-락탐 내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β-락탐 항생제와 공동투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β-락탐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로 인해 박테리아 성장 또는 감염의 치료, 예방 또는 억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특히, 상기 박테리아는 β-락탐 항생제에 높은 내성이 있는 β-락타마제 양성 균주일 수 있다. 용어 "약한 내성이 있는"및 "고도의 내성이 있는"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이들에게 익히 이해된다[참조: Payne et al.,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8:767-772(1994); Hanaki et al.,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0:11.20-11.26(1995)].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이미페넴에 고도의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 균주는 이에 대한 이미페넴의 MIC가 > 16㎍/㎖인 것들이고, 이미페템에 대해 약한 내성이 있는 균주들은 이에 대한 이미페넴의 MIC가 > 4㎍/㎖인 것들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생제의 항박테리아성 스펙트럼 내에 숨겨진 감염 이외에도 그룹 C-β-락타마제 생성 균주에 의해 야기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룹 C-β-락타마제 생성 박테리아의 예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Klebsiella pneumoniae), 에스체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및 악시네토박터 바우만니이(Acinetobacter baumannii)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카르바페넴,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또는 기타 β-락탐 항생제, 또는 이들의 프로프로그와의 혼합하거나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의 그룹 C β-락타마제 억제 특성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β-락탐 항생제과 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β-락탐 항생제는 별도로(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 투여되거나 활성 성분을 둘 다 함유하는 단일 조성물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르바페넴,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및 기타 β-락탐 항생제는 그룹 C-β-락타마제에 불안정성을 나타내거나 이에 민감한 것으로 공지된 것들 뿐만 아니라 그룹 C β-락타마제에 내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것들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카르바페넴 항생제와 병용되는 경우, 데하이드로펩티다제(DHP) 억제제도 병용될 수 있다. 다수의 카르바페넴은 DHP로서 공지된 신장 효소에 의한 공격에 민감하다. 이러한 공격 또는 분해는 카르바페넴 항박테리아제 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DHP 억제제 및 카르바페넴과의 이들의 용도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539,208호, 제4,616,038호, 제4,880,793호 및 제5,071,843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DHP 억제제는 7-(L-2-아미노-2-카복시에틸티오)-2-(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2-헵텐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하기에 적합한 카르바페넴은 이미페넴, 메로페넴, 비아페넴, (4R,5S,6S)-3-[3S,5S)-5-(3-카복시페닐-카바모일)피롤리딘-3-일티오]-6-(1R)-1-하이드록시에틸]-4-메틸-7-옥소-1-아자비사이클로[3.2.0]헵트-2-엔-2-카복실산, (1S,5R,6S)-2-(4-(2-(((카바모일메틸)-1,4-디아조니아비사이클로[2.2.2]옥트-1-일)-에틸(1,8-나프토설탐)메틸)-6-[1(R)-하이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레이트 클로라이드, BMS181139([4R-[4α,5β,6β(R*)]]-4-[2-[(아미노이미노메틸)아미노]에틸]-3-[(2-시아노에틸)티오]-6-(1-하이드록시에틸)-7-옥소-1-아자비사이클로[3.2.0]헵트-2-엔-2-카복실산), BO2727([4R-3[3S*,5S*(R*)], 4α,5β,6β(R*)]]-6-(1-하이드록시에틸)-3-[[5-[1-하이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필]-3-피롤리디닐]티오]-4-메틸-7-옥소-1-아자비사이클로[3.2.0]헵트-2-엔-2-카복실산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010((1R,5S,6S)-6-[1(R)-하이드록시메틸]-2-[2(S)-[1(R)-하이드록시-1-[피롤리딘-3(R)-일]메틸]피롤리딘-4(S)-일설파닐]-1-메틸-1-카바-2-페넴-3-카복실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S4661((1R,5S,6S)-2-[(3S,5S)-5-(설파모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3-일]티오-6-[(1R)-1-하이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복실산), (1S,5R,6S)-1-메틸-2-{7-[4-(아미노카보닐메틸)-1,4-디아조니아비사이클로(2.2.2)옥탄-1-일]-메틸-플루오렌-9-온-3-일}-6-(1R-하이드록시에틸)-카바펜-2-엠-3 카복실레이트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하기에 적합한 페니실린은 벤질페니실린, 페녹시메틸페니실린, 카베니실린, 아지도실린, 프로피실린,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에피실린, 티카르실린, 사이클라실린, 피르베니실린, 아즐로실린, 메즐로실린, 설베니실린, 피페라실린 및 기타 공지된 페니실린을 포함한다. 상기 페니실린은 이의 프로드럭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암피실린, 벤질페니실린 및 아목시실린의 체내 가수분해 가능한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세톡시메틸, 피발로일옥시메틸, α-에톡시카보닐옥시-에틸 및 프탈리딜 에스테르로서, 6-α-아미노아세트아미도 측쇄를 함유하는 페니실린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부가물(예: 헥타실린, 메탐피실린, 및 아목시실린의 유사한 유도체)로서, 및 카르베니실린 및 티카르실린의 에스테르(예: 페닐 및 인다닐 α-에스테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하기에 적합한 세팔로스포린은 세파트리진, 세팔로리딘, 세팔로틴, 세파졸린, 세팔렉신, 세파세트릴, 세파피린, 세파만돌 나페이트, 세프라딘, 4-하이드록시세팔렉신, 세팔로글리신, 세포페라존, 세프설로딘, 세프타지딤, 세푸록심, 세프메타졸,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및 기타 공지된 세팔로스포린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이의 프로드럭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될 수 있는 페니실린 및 세팔로스포린 이외의 β-락탐 항생제는 아즈트레오남, 락타목세프(목사락탐-상표명), 및 이미페넴과 같은 카르바페넴, 메로페넴 또는 (4R,5S,6S)-3-[(3S,5S)-5-(3-카복시페닐카바모일)피롤리딘-3-일티오]-6-(1R)-1-하이드록시에틸]-4-메틸-7-옥소-1-아자비사이클로[3.2.0]헵트-2-엔-2-카복실산과 같은 기타 공지된 β-락탐 항생제를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이의 프로드럭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되는 항생제는 이미페넴, 메로페넴 및 (4R,5S,6S)-3-[(3S,5S)-5-(3-카복시페닐카바모일)피롤리딘-3-일티오]-6-(1R)-1-하이드록시에틸]-4-메틸-7-옥소-1-아자비사이클로[3.2.0]헵트-2-엔-2-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에 공동투여되는 항생제는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카베니실린, 피페라실린, 아즐로실린, 메즐로실린 및 티카르실린으로 이루어진 페니실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페니실린은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이들의 나트륨 염 형태에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암피실린 또는 아몬시실린은 대안으로 주입 가능하거나 융합 가능한 현탁액에서 사용하기 위한 쯔미터이온성 형태(일반적으로 암피실린 3수화물 또는 아목시실린 3수화물로서)의 미립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양태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되는 페니실린은 임의로 나트륨염 또는 3수화물 형태의 아목시실린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 공동투여되는 항생제는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및 세프타지딤으로 이루어진 세팔로스포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나트륨 염 형태로 임의로 사용된다.
β-락탐 항생제과 공동투여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항생제와의 병용은 상승작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상승작용 효과"및 "상승작용"은, 둘 이상의 약물을 공동투여하는 경우 생성되는 효과가 상기 화합물이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생성된 효과를 기준으로 하여 예측되는 것에 비해 더 큼을 나타낸다. 이론에 얽매이려는 의도는 없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β-락탐 항생제의 변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효능을 증가시키고 상승작용 효과를 생성시키는 β-락타마제 억제제인 것으로 믿어진다.
본원에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 약어들을 포함한다: acac = 아세틸아세토네이트; AIBN =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BLI =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Bn = 벤질; BOC(또는 Boc)-t-부틸옥시카보닐; BOC-ON = 2-(3급-부톡시카보닐옥시아미노)-2-페닐 아세토니트릴; BOC-OSN = N-3급-(부톡시카보닐옥시)석신이미드; BOP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SA = 보빈 혈청 알부민; CBZ(또는 Cbz) = 카보벤즈옥시(또는 벤질옥시카보닐); COD = 사이클로옥타디에닐; DBU =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 DCC =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DCE = 1,2-디클로로에탄; DCM = 디클로로메탄;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또는 휘니그 염기); DMAC =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P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E = 1,2-디메톡시에탄;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 설폭사이드; EDC =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DSC = 시차 주사 열량계; Et = 에틸;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HMDS =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HOBT =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 HOPO =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사이드; HPLC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PA = 이소프로필 알콜; IPAc =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i-Pr = 이소프로필; LC/MS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 Me = 메틸; MHBII = 뮐러 힌톤 브로스(Mueller Hinton Broth) 타입 II; MIC = 최소 억제 농도; MSA = 메탄설폰산; NMP = N-메틸 피롤리디논; PG = 보호 그룹; PH= 페닐; TEA = 트리에틸아민;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E =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THF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LC =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SB = 트립티카제 소이 브로스(trypticase soy broth); TsOH= p-톨루엔설폰산; XRPD = X선 분말 회절.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출발 물질, 시약 및 통상적인 합성 과정(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112,592호에서 기술한 과정 포함)을 사용하여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 또는 이들의 변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반응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체 공지되어 있는 변형태들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를 보다 상세하게 언급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타 방법은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에 비추어 당분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모든 변수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a가 단일결합이고 X가 (CH2)1-3인 본 발명의 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4
상기 비사이클릭 중간체 A는 미국 특허 제7,112,592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득하거나 이의 통상적인 변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측쇄는 당분야에 공지된 표준 아미드 형성 조건하에 산 A와 아민 B(필요한 경우, 상기 아민에 보호 그룹을 혼입시킨다)와의 반응에 의해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예: 무수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알칸) 중의 산 A 및 아민 B(1 내지 2 몰당량)의 용액은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후속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트리에틸아민(1 내지 2당량), HOBT(1 내지 2당량) 및 EDC(1 내지 2당량)를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8 내지 24시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잔사를 실리카 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아미드 C를 수득한다. 벤질성 에테르 보호 그룹을 탈보호하여 중간체 하이드록시 락탐 D를 수득하는 과정은 수소화에 의해 일부 경우 산 촉매화 가수분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상 팔라듐(0.05 내지 0.5당량)은 적합한 용매(예: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콜, EtOAc와 같은 알킬 아세테이트, 또는 THF와 같은 에테르) 중의 벤질성 에테르의 용액에 첨가될 수 있으며, TLC 또는 HPLC와 같은 적합한 모니터링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1 내지 24시간)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하에(1 내지 3기압) 교반하였다. 종결시, 하이드록시 락탐 D는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 혼합물은 여과될 수 있고,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여 미정제 하이드록시락탐을 제조하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정제가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경우, 상기 미정제 하이드록시락탐 D는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또는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하이드록시락탐 D을 수득할 수 있다. 중간체 D를 황산화하여 설페이트 E를 수득하는 과정은 적합한 용매에서 황산화 시약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2 내지 10당량)는 실온에서 비양성자성 용매(예: 피리딘, DMF 또는 DMAC와 같은 3급 아미드) 중의 하이드록시락탐 D의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HPLC 또는 LC/MS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바와 같이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4 내지 24시간)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할 수 있다. 추가의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상기 반응을 종결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상기 농축물을 포화 인산이수소칼륨 수용액 중에 현탁시키고 상기 수용액을 적합한 유기 용매(예: EtOAc)로 세척하고 과량의 황산수소부틸암모늄을 상기 수성층에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유기 용매(예: EtOAc 4×)로 추출하고, 상기 유기층을 합하여, 상기 합한 유기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중간체 E의 테트라부틸암모늄 염을 수득하는 등의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정제된 반응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측쇄에 보호 그룹이 없는 경우, 상기 황산화 반응의 생성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보호 그룹이 상기 아미드 측쇄(예: 벤질 아민 또는 에테르, BOC 아민, 또는 CBZ 아민)에 혼입된 경우, 상기 그룹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당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보다 특정하게는, 측쇄 중에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예를 들면, R3이 아미노알킬이다)에서, 상기 아미노 그룹은 일반적으로 상기 합성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을 피하기 위해 보호시킨다. 보호는 BOC, CBZ 또는 유사한 보호 그룹을 통해 적합하게 달성할 수 있다.
a가 단일결합이고 X가 (CH2)1-3인 본 발명의 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5
반응식 2에서, TLC 또는 HPLC에 의해 모니터되는 바와 같이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1 내지 24시간), 약 0℃ 내지 35℃ 범위의 온도에서 비양성자성 용매(예: 디에틸 에테르 또는 THF와 같은 에테르,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할로알칸) 중에서 촉매(예: 0.05 내지 0.25당량의 DMAP)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 시약(예: 1 내지 2당량의 DCC 또는 EDC)의 존재하에 비사이클릭 우레아 중간체 A를 측쇄 알콜 F(필요한 경우, 상기 알콜에 보호 그룹을 혼입시킨다)와 반응시킴으로써 에스테르 G를 수득한다. 이어서, 중간체 G는, 아미드 동족체의 합성에 관한 반응식 1에 개략화한 바와 유사한 합성 시퀀스(탈벤질화, 황산화, 및 측쇄 탈보호(필요한 경우))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a가 단일결합이고 X가 CH=CH이 본 발명의 카복스아미드 화합물(하기 T 참조) 및 a가 이중결합이고 X가 CH2인 본 발명의 카복스아미드 화합물(하기 W 참조)은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16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된 아미노산 J는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용매(예: 무수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알칸) 중에서 아민 B(1 내지 2몰당량)와 커플링될 수 있으며, 후속적으로 질소하에 트리에틸아민(1 내지 2당량), HOBT(1 내지 2당량) 및 EDC(1 내지 2당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8 내지 24시간) 실온에서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체 아미드를 공지된 기술(예: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실리카 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를 사용하여 상기 잔사를 정제시킨다)을 사용하여 회수한다. 이어서, 상기 BOC 보호 그룹은 당분야에 익히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하여 아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 용매 중에서 0℃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 내지 3몰당량) 등과 같은 환원제와의 반응에 의해 알데히드 L과 환원적으로 아민화될 수 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상기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예: 약 1 내지 24시간) 교반한 다음, 아민 K를 공지된 기술(예: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한다)을 사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이어서, 아민 K를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예: 벤젠, 톨루엔 등) 중에서 DBU(약 1당량) 등과 같은 강한 염기의 존재하에 M과 아실화되어 중간체 우레아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예: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성 산으로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한다)을 사용하여 회수한다. 이어서, 상기 아세테이트 보호 그룹은 익히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1급 하이드록시 그룹은 저온(예: 0℃ 내지 25℃)에서 비친핵성 용매(예: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벤젠 등) 중에서 약 1 내지 1.5당량의 토실 클로라이드, 트리플산 무수물 등과의 반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활성화 하이드록실을 저온(예: 0℃ 내지 25℃)에서 DBU, 칼륨 t-부톡사이드, t-부틸리튬 등과 같은 비친핵성 염기로 처리하여 폐환된 중간체 Q를 수득하고, 이를 표준 후처리 과정을 사용하여 회수하고 정제할 수 있다.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익히 공지된 올레핀 복분해 기술을 사용하여 디-올레핀 중간체 Q를 폐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Q는 약 25℃에서 적합한 용매(예: 벤젠,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중에서 촉매량(0.05 내지 0.25당량)의 그럽스(Grubbs) 올레핀 복분해 촉매로 처리하여 사이클로헥센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후 상기 하이드록시락탐 상의 보호 그룹 PG를 익히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하이드록시락탐을 황산화하여 상기 설페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양성자성 용매(예: 피리딘, DMF 또는 DMAC와 같은 3급 아미드) 중에서 하이드록시락탐의 용액은 약 25℃에서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2 내지 10당량)로 처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를 회수하여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를 수득할 수 있다. 측쇄에서 보호 그룹이 없는 경우, 상기 황산화 반응의 생성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보호 그룹을 아미드 측쇄(예: 벤질 아민 또는 에테르, BOC 아민, 또는 CBZ 아민)에 혼입시키는 경우, 상기 그룹을 당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T를 비친핵성 용매(예: t-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테르 등) 중에서 0℃ 내지 25℃에서 비친핵성 염기(예: 칼륨 t-부톡사이드, 수소화나트륨 등)로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T에서의 베타-감마 올레핀을 이성체화하여 측쇄 아미드 카보닐과 공액화하였다. 또는, 상기 올레핀을 비친핵성 용매(예: t-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테르 등) 중에서 0℃ 내지 25℃에서 산(예: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등) 또는 산성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산성 조건하에 이성체화하여 공액화하였다. 상기 생성된 올레핀 이성체 W를 회수하여 표주 후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화합물에서 화학적 그룹이 본원에서 "보호된"것으로 지칭되거나 "보호 그룹"을 혼입시킨 것이라고 하는 경우, 이는 상기 화학적 그룹이 개질된 형태로 사용하여 보호된 위치에서 목적하지 않은 부반응을 배제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시 사용하기에 적합한 보호 그룹 및 이러한 보호 그룹을 첨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기술은 당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전문이 참조로 인용되는 문헌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참조: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ed. J.F.W. McOmie, Plenum Press, 1973 and in T.W. Greene &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3rd edition, 1999, and 2nd edition, 1991].
본 발명은 또한, (A) 화학식 P-I의 케토설폭소늄을 이리듐, 로듐 또는 루테늄 촉매와 접촉시켜 화학식 P-II의 화합물을 수득함을 포함하는, 화학식 P-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또는 공정 P로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화학식 P-I]
Figure pat00017
[화학식 P-II]
Figure pat00018
위의 화학식 P-I 및 P-II에서,
PG는 카바메이트 및 벤질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아민 보호 그룹이고,
RU는 CH3 또는 페닐이고,
RV는 CH3 또는 페닐이고,
R4는 H 또는 C1 -4 알킬이고,
T'는 H, Cl, Br, F, C1 -3 알킬, O-C1 -3 알킬, OH, NH2, N(H)-C1 -3 알킬 또는 N(-C1-3 알킬)2이고,
p는 0, 1 또는 2이고,
q는 0, 1 또는 2이고,
p + q는 0, 1, 2 또는 3이다.
화학식 P-II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중간체이다. 상기 아민 보호 그룹 PG는 카바메이트[즉,화학식
Figure pat00019
의 보호 그룹(여기서, R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릴, 임의로 치환된 벤질 등이다)] 또는 벤질아민[(즉, 화학식
Figure pat00020
의 보호 그룹(여기서, Ar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일 수 있다. 적합한 카바메이트 및 벤질아민 보호 그룹과 이들의 형성 및 분리 방법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참조: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ed. J.F.W. McOmie, Plenum Press, 1973 and in T.W. Greene &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3rd edition, 1999, and 2nd edition, 1991]. 한 양태에서, PG는 (1) C(=O)-O-(CH2)0-1-CH=CH2, (2) C(=O)-O-CH2-페닐[여기서, 상기 페닐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NO2, -C1 -4 알킬 또는 -O-C1 -4 알킬인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3) C(=O)-O-C1 -4 알킬 또는 (4) CH2-페닐[여기서, 상기 페닐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NO2, -C1 -4 알킬 또는 -O-C1 -4 알킬인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PG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알릴옥시카보닐(Alloc), 벤질옥시카보닐(Cbz),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 p-브로모벤질옥시카보닐, p-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 2,4-디클로로벤질옥시카보닐 또는 벤질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PG는 Cbz이다.
화학식 P-II의 화합물의 기타 양태는 다음 예를 포함한다: (1) RU 및 RV는 둘 다 CH3이거나 둘 다 페닐이다; (2a) T'는 H 또는 F이다; (2b) T'는 H이다; (3a) R4는 H 또는 CH3이다; (3b) R4는 H이다. 이들 양태 (1) 내지 (3) 중의 하나 이상을 서로 및/또는 PG에 대해 상술한 양태들과 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은 각각 화학식 P-II의 화합물에 대한 별개의 양태이다.
단계 A는 케토설폭소늄 일라이드를 사용하여 NH를 분자간 삽입하여 사이클릭 생성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단계 A에서 사용된 일라이드 화학 구조는, 디아조메탄(폭발 위험)을 사용하여 디아조케톤을 생성시킨 다음, 이를 폐환반응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비해 안전성면에서 유리하다. 단계 A는 또한 높은 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매량의 [Ir(COD)Cl]2를 사용하는 단계 A의 수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
단계 A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DCE, DMF, THF, 클로로벤젠, 1,2-디클로로벤젠, 사이클로펜틸메틸 에테르, 아세토니트릴, IPAc, 니트로메탄, 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메틸 에틸 케톤, DME 및 2-MeTHF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톨루엔이다.
단계 A에서의 폐환반응은 Ir, Rh 또는 Ru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적합한 촉매는 [Ir(COD)Cl]2, RuCl2(PPh3)3, Ru(DMSO)4Cl2, [RuCl2(시멘)]2, [RuI2(시멘)]2, (사이클로펜타디에닐)Ru(PPh3)2, (인덴)RuCl(PPh3)2, Rh2(OAc)4, Rh2(TFA)4, (COD)2IrBF4, IrCl(CO)(PPh3)2, IrCl(CO)3, Ir(COD)(acac), Ir(CO)2(acac), (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COD)Ir, 또는 ((사이클로헥실)3P)3(COD)Ir(피리딘)을 포함한다. 적합한 촉매의 그룹은 [Ir(COD)Cl]2, RuCl2(PPh3)3, Ru(DMSO)4Cl2, [RuCl2(시멘)]2, [RuI2(시멘)]2, (사이클로펜타디에닐)Ru(PPh3)2, (인덴)RuCl(PPh3)2, Rh2(OAc)4, Rh2(TFA)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촉매는 [Ir(COD)Cl]2이다. 상기 촉매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P-I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약 0.25 내지 5mol%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2mol%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계 A에서의 반응은 적합하게는 약 50℃ 내지 약 1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며, 전형적으로는 약 70 내지 약 11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방법 P의 양태는, 상기 단계(A)에서 PG가 Cbz이어서 화학식 P-IIa의 화합물(= PG가 Cbz로 대체된 화학식 P-II의 화합물)이 수득되고, (B) 화학식 P-IIa의 화합물을 환원제로 처리하여 화학식 P-II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C) 화학식 P-III의 화합물을 3급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R^-SO2W의 설포닐 할라이드와 접촉시켜 화학식 P-IV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III]
Figure pat00021
[화학식 P-IV]
Figure pat00022
위의 화학식에서,
W는 할로겐이고,
R^는 (1) 각각 독립적으로 C1 -4 알킬, C1 -4 할로알킬, O-C1 -4 알킬, O-C1 -4 할로알킬, Cl, Br, F 또는 NO2인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2) C1 -4 알킬 또는 (3) C1 -4 할로알킬이다.
단계 B는 적합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THF, 이소프로필 알콜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톨루엔 및 THF이다.
단계 B에서 적합한 환원제는 LiBH4, NaBH4, KBH4, (Me4N)BH4, LiAlH(O-t-Bu)3, LiBH(OEt)3 및 Al(O-i-Pr)3/IPA이다. 적합한 환원제의 그룹은 LiBH4, NaBH4 및 KBH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환원제는 LiBH4 및 NaBH4를 포함한다. 상기 환원제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P-IIa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2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3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계 B에서의 반응은 적합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15℃ 내지 약 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단계 C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THF, 에틸 아세테이트 및 MTBE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이다.
단계 C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설포닐 할라이드의 예는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클로로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p-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p-브로모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p-플루오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p-메톡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설포닐 할라이드의 그룹은 클로로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p-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p-브로모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설포닐 할라이드는 p-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이다. 상기 설포닐 할라이드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III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2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5당량 범위의 양(예: 약 1.3당량)으로 사용된다.
단계 C에서의 3급 아민은 적합하게는 트리-C1 -4 알킬아민이다. 적합한 아민의 그룹은 TEA, DIPEA 및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으로 이루어진다. DIPEA가 바람직한 염기이다. 상기 염기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III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3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1 내지 약 2당량 범위의 양(예: 약 1.8당량)으로 사용된다.
단계 C에서의 반응은 약 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방법 P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단계 A, B 및 C(여기서, PG는 Cbz이다)를 포함하여 화학식 P-IV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D) 화학식 P-IV의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N-Boc-O-벤질하이드록실아민과 접촉시켜 화학식 P-V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E) 화학식 P-V의 화합물을 산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P-V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V]
Figure pat00023
[화학식 P-VI]
Figure pat00024
단계 D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DMAC, DMF, NMP, THF 및 DME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NMP이다.
단계 D에서의 적합한 염기는 Li t-부톡사이드, Na t-부톡사이드, K t-부톡사이드, 탄산세슘, KHMDS 및 NaHMDS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의 그룹은 Li t-부톡사이드, Na t-부톡사이드 및 K t-부톡사이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염기는 K t-부톡사이드이다. 상기 염기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IV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2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5당량 범위의 양(예: 약 1.3당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N-Boc-O-벤질하이드록실아민은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IV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2당량 범위의 양으로 단계 D에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5당량 범위의 양(예: 약 1.3당량)으로 사용된다.
단계 D에서의 반응은 약 3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35℃ 내지 약 45℃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단계 E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DCM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한다.
단계 E에서의 적합한 산은 설폰산을 포함한다. 단계 E에서의 적합한 산은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 클로로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p-브로모벤젠설폰산, p-메톡시벤젠설폰산 및 p-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그룹은 p-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산은 메탄설폰산이다. 상기 산은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V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6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3 내지 약 5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계 E에서의 반응은 약 25℃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3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방법 P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단계 A, B, C, D 및 E(여기서, PG는 Cbz이다)를 포함하여 화학식 P-VI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F) 화학식 P-VI의 화합물을 3급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포스겐, 디포스겐 또는 트리포스겐과 접촉시킨 다음, 산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화학식 P-VI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G) 화학식 P-VII의 화합물을 가수소분해 촉매의 존재 및 Boc-생성제의 존재하에 수소의 공급원과 접촉시켜 화학식 P-VII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VII]
Figure pat00025
[화학식 P-VIII]
Figure pat00026
단계 F는 유기 용매에서 수행하였다. 적합한 용매는 DCM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DCM이다.
단계 F에 포함된 적합한 산은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산은 인산이다. 상기 산은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VI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6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3 내지 약 5당량 범위의 양(예: 약 3.2당량)으로 사용된다.
단계 F에서 3급 아민은 적합하게는 트리-C1 -4 알킬아민이다. 적합한 아민의 그룹은 TEA, DIPEA 및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으로 이루어진다. DIPEA는 바람직한 염기이다. 상기 염기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VI의 화합물 1당량당 약 1 내지 약 6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3 내지 약 5당량 범위의 양(예: 약 3.2당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또는 포스겐은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VI의 화합물 1당량당 약 0.5 내지 약 1당량 범위의 양으로 단계 F에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0.7 내지 약 1당량 범위의 양(예: 약 0.8당량)으로 사용된다. 트리포스겐은 디포스겐 및 포스겐에 비해 바람직하다.
단계 F에서 화학식 P-VI의 화합물과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또는 포스겐과의 접촉은 약 -15℃ 내지 약 0℃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35℃ 내지 약 45℃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후속적인 첨가 및 상기 산과의 반응은 약 0℃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G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DMAC, t-부탄올 및 THF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THF이다.
단계 G에서 적합한 Boc-생성제는 디-t-부틸 카보네이트, t-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BOC-ON 및 BOC-OSN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제제는 d-t-부틸 카보네이트이다. 상기 제제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P-VII 화합물 1당량당 약 0.9 내지 약 3당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0.9 내지 약 1.5당량 범위의 양(예: 약 0.95 내지 약 1.1당량)으로 사용된다.
단계 G에서의 수소의 공급원은 전형적으로는 수소 가스이고, 이는 단계 G에서 사용되는 반응 조건하에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담체 가스(예: 질소, 또는 헬륨 또는 아르곤과 같은 희가스)와 임의로 혼합된다. 대기압 또는 초대기압이 편리한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단계 G에서 압력이 중요하지는 않다. 상기 압력은 전형적으로는 약 2psig(약 115kPa) 이상이다. 또는, 상기 수소 공급원은 암모늄 포르메이트, 사이클로헥센 또는 사이클로헥사디엔과 같은 수소 전달 분자일 수 있다.
화학양론적 양 이상의 수소 가스 또는 기타 수소 공급원이 전형적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수소의 흡수는 중요한 공정 파라미터가 아니다.
상기 가수소분해 촉매는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은 8족 금속을 포함하거나 8족 금속의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은 화합물, 염 또는 착체를 포함한다. 단계 G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된 촉매는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은 Pd 금속이거나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은 Pd 화합물, 염 또는 착체이다. 적합한 촉매 지지체는 탄소, 실리카, 알루미나, 탄화규소, 불소화알루미늄 및 불소화칼슘을 포함한다. 적합한 촉매의 그룹은 Pd 블랙(즉, 미세 금속성 팔라듐 입자), Pd(OH)2, 및 Pd/C(즉, 탄소 지지체상 팔라듐)로 이루어진다. Pd/C는 바람직한 가수소분해 촉매이다. 상기 촉매는 전형적으로는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양에 대해 약 5 내지 약 20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고,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5 내지 약 15중량%(예: 약 10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계 G에서의 반응은 약 10℃ 내지 약 50℃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약 15 내지 약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방법 P의 서브양태는, 상기 단계(A)에서 화학식 P-II의 화합물이 화학식 p-2의 화합물이고, 단계(A)가 (A) 화학식 p-1의 케토설폭소늄 일라이드를, 이리듐 사이클로옥타디엔 클로라이드 이량체, RuCl2(PPh3), Ru(DMSO)4Cl2 및 Rh2(TFA)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촉매와 접촉시켜 화학식 p-2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화학식 p-1
Figure pat00027
화학식 p-2
Figure pat00028
방법 P의 또 다른 서브양태는, 상기 서브양태에 기술된 단계(A)에서 화학식 p-2의 화합물이 수득되고, (B) 화학식 p-2의 화합물을 Li 보로하이드라이드, Na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K 보로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환원제로 처리하여 화학식 p-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C) 화학식 p-3의 화합물을 트리-C1 -4 알킬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R^-SO2W의 설포닐 할라이드와 접촉시켜 화학식 p-4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3]
Figure pat00029
[화학식 p-4]
Figure pat00030
위의 화학식에서,
W는 클로라이드이고,
R^는 메틸, 클로로메틸, 페닐, 4-브로모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또는 4-메틸페닐이다.
방법 P의 또 다른 서브양태는, 상기 서브양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단계 A, B 및 C를 포함하여 화학식 p-4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D) 화학식 p-4의 화합물을, Li t-부톡사이드, Na t-부톡사이드, K t-부톡사이드 및 K 아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의 존재하에 N-Boc-O-벤질하이드록실아민과 접촉시켜 화학식 p-5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E) 화학식 p-5의 화합물을, 메탄설폰산, 클로로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벤젠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p-6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5]
Figure pat00031
[화학식 p-6]
Figure pat00032
방법 P의 또 다른 서브양태는, 상기 서브양태에 기술한 바와 같은 단계 A, B, C, D 및 E를 포함하여 화학식 p-6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F) 화학식 p-6의 화합물을 트리-C1 -4 알킬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트리포스겐과 접촉시킨 다음 인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화학식 p-7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 및 (G) 화학식 p-7의 화합물을, Pd 촉매의 존재 및 디-t-부틸카보네이트 및 BOC-O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Boc-생성제의 존재하에 수소와 접촉시켜 화학식 p-8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p-7]
Figure pat00033
[화학식 p-8]
Figure pat00034
화학식 P-VIII을 생성시키는 방법 P 및 이의 양태에서 단계 A 내지 F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용매, 제제, 촉매, 반응량 및 반응 온도 등은, 상기 서브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해 표현의 제한을 두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학식 p-8을 생성시키는 상기 서브양태들에 나타낸 단계 A 내지 F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p-1의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p-2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술하는 방법 P의 서브양태는, 단계 A에서 사용된 촉매를 Ir, Ru 및 Rh 촉매의 특정 그룹으로 한정한다. 따라서, 공정 P에 대해 원래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적합한 촉매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기술이 상기 서브양태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방법 P 및 이의 양태와 서브양태와 관련하여 상술한 용매, 제제, 촉매, 반응량 및 반응 온도 등은 상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지 상기 방법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단계 A 내지 G 중의 어느 하나에 사용된 유기 용매는, 관심 단계에서 사용되는 반응 조건하에 액상이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상기 반응물 및 임의의 시약들을 용해, 현탁 및/또는 분산시켜 상기 반응물 및 시약들이 접촉하여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임의의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유사한 고려가 공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염기, 촉매 및 기타 시약의 선택에 적용된다. 또한, 각각의 단계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형성하는 반응이 검측 가능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소정 단계에서 반응물, 촉매 및 시약은 목적하는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시키는 임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목적하는 생성물의 높은 수율(예: 약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과 조합된 출발 물질의 높은 전환율(예: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은 각 단계에서의 전형적인 목표이고, 비교적 우수한 전환율과 생성물 수율을 제공할 수 있는 용매, 제제, 촉매, 반응량 및 온도 등의 선택이 바람직하고, 최적의 전환율 및 수율을 제공할 수 있는 선택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P 및 이의 양태 및 서브양태에 대해 상술한 특정 용매, 제제, 촉매, 반응량 및 반응 온도 등은 우수 내지 최적의 전환율 및 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P-I 내지 P-VI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35
위의 화학식에서,
PG는 카바메이트 및 벤질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아민 보호 그룹이고,
RU는 CH3 또는 페닐이고,
RV는 CH3 또는 페닐이고,
R4는 H 또는 C1 -4 알킬이고,
T'는 H, Cl, Br, F, C1 -3 알킬, O-C1 -3 알킬, OH, NH2, N(H)-C1 -3 알킬 또는 N(-C1-3 알킬)2이고,
p는 0, 1 또는 2이고,
q는 0, 1 또는 2이고,
p + q는 0, 1, 2 또는 3이고,
R^는
(1) 각각 독립적으로 C1 -4 알킬, C1 -4 할로알킬, OC1 -4 알킬, O-C1 -4 할로알킬, Cl, Br, F 또는 NO2인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2) C1 -4 알킬 또는
(3) C1 -4 할로알킬이다.
본 발명은 또한
Figure pat00036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여기서, R^은 메틸, 클로로메틸, 페닐, 4-브로모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또는 4-메틸페닐이다)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 및 이의 실시를 설명하기 위해 주어졌을 뿐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요지에 대해 제한을 가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제조 실시예 1
(4R,6S)-3-( 벤질옥시 )-2-옥소-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 카복실산
Figure pat00037
단계 1: 2-알릴 1-3급-부틸 (2S,4S)-4- 하이드록시피롤리딘 -1,2- 디카복실레이트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0.532mL, 2.291mmol)를 DMF(5mL) 및 수성 수산화나트륨(2mL, 2mmol) 중의 시스-4-하이드록시-L-프롤린(265mg, 2.02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알릴 브로마이드(0.18mL, 2.08mmol)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희석된 수성 HCl, 물, 포화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며,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알릴 (4S)-4- 하이드록시 -L- 프롤리네이트 -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산(디옥산 중의 4.2M 용액, 5mL, 21mmol)을 디클로로메탄(20mL) 중의 2-알릴 1-3급-부틸 (2S,4S)-4-하이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1.05g, 4.87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알릴 (4S)-4- 하이드록시 -1-( 트리플루오로아세틸 )-L- 프롤리네이트
THF(18mL)를 알릴 (4S)-4-하이드록시-L-프롤리네이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01 1g, 4.87mmol)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3.0mL, 21.5mmol)에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2mL, 14.2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N HCl 용액, 물, 희석된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며,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부산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상기 잔사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1.5mL) 및 물(11.5mL)에 취하였다. 상기 생성된 탁한 용액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진공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담황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4 : 알릴 (4R)-4-[( 벤질옥시 )아미노]-1-( 트리플루오로아세틸 )-L- 프롤리네이트
아세토니트릴(16mL) 중의 알릴 (4S)-4-하이드록시-1-(트리플루오로아세틸)-L-프롤리네이트(844mg, 3.16mmol)의 용액을 -10℃로 냉각시키고, 2,6-루티딘(0.62mL, 5.32mmol)에 이어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0.85mL, 5.15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온도를 0℃로 가온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O-벤질하이드록실아민(1mL, 8.67mmol)에 이어서 2,6-루티딘(0.62mL, 5.32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가온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며,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황갈색 오일 잔사(2.57g)를 처음에는 95:5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용출되고 마지막으로는 80:20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용출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5: 알릴 (4R)-4-[( 벤질옥시 )아미노]-L- 프롤리네이트
메탄올(9.5mL) 중의 알릴 (4R)-4-[(벤질옥시)아미노]-1-(트리플루오로아세틸)-L-프롤리네이트(1.19g, 3.20mmol)의 용액을 -10℃에서 메탄올(9.5mL) 중의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312mg, 8.25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로 서서히 가온한 다음,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0.29g, 7.67mmol)를 0℃에서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해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예비흡수하기 위한) 실리카 겔을 첨가하고, 상기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상기 잔사를 15:9:1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 용출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6: 2-알릴 1-3급-부틸 (2S,4R)-4-[( 벤질옥시 )아미노] 피롤리딘 -1,2- 디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29mL) 중의 알릴 (4R)-4-[(벤질옥시)아미노]-1-프롤리네이트(1.2g, 4.34mmol)의 용액을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1.1mL, 4.34mmol)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헥산에 이어서 4: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축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gum)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7: 2-알릴 1-3급-부틸 (2S,4R)-4-{( 벤질옥시 )[( 트리클로로메톡시 )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2- 디카복실레이트
디포스겐(0.1mL, 0.804mmol)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4mL) 중의 2-알릴 1-3급-부틸 (2S,4R)-4-[(벤질옥시)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261mg, 0.745mmol) 및 트리에틸아민(0.13mL, 0.933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처음에는 헥산으로 용출되고 이어서 4: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8: 알릴 (4R,6S)-3-( 벤질옥시 )-2-옥소-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 카복실레이트
염산(디옥산 중의 4.2M 용액, 16mL, 70.4mmol)을 2-알릴 1-3급-부틸 (2S,4R)-4-{(벤질옥시)[(트리클로로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80mg, 1.49mmol)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상기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디클로로메탄(82mL)을 상기 잔사에 첨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0.62mL, 4.45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상기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상기 잔사를, 2분 동안 헥산, 6분에 걸친 7:3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의 구배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ISCO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하고, 3분 동안 방치하고 8분 넘게 EtOAc 100%로 처리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9: (4R,6S)-3-( 벤질옥시 )-2-옥소-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카복실산
나트륨 2-에틸헥사노에이트(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0.5M, 2.5mL, 1.25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7.6mL) 중의 알릴 (4RJ6S)-3-(벤질옥시)-2-옥소-1,3-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6-카복실레이트(459mg, 1.52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착체(116mg, 0.14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침전물이 형성된다). 아세톤(37mL)을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시켰다. 상기 고체를 수집하고, 아세톤 및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양이온화) m/e 363(M+H)
실시예 1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38
단계 1: 3급-부틸 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
무수 디클로로메탄(3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0.141g, 0.509mmol)(주: 본 중간체는 미국 특허 제7,112,592호의 실시예 32b에 기술되어 있다)의 용액에, 4-아미노-1-BOC-피페리딘(0.1532g, 0.765mmol), 트리에틸아민(0.16mL, 1.148mmol), HOBT(0.1145g, 0.748mmol) 및 EDC(0.1455g, 0.759mmol)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하고, 상기 잔사를 HPLC(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5㎛; 35mL/min; 210nM; 15분에 걸쳐 15% 내지 100% CH3CN + 0.05% TFA/물 + 0.05% TFA; 목적하는 생성물을 50% CH3CN + 0.05% TFA/물 + 0.05% TFA에서 용출한다)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
탄소상 팔라듐(30.5mg; 10% Pd/C)을 메탄올(3mL) 중의 3급-부틸 4-({[(2S,5R)-6-(벤질옥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51mg, 0.33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N,N,N- 트리부틸부탄 -1- 아미늄 [({(2S,5R)-7-옥소-2-[(피페리딘-4- 일아미노 ) 카보닐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6-일} 옥시 ) 설포닐 ] 옥시다나이드 :
피리딘(0.5mL) 중의 3급-부틸 4-({[(2S,5R)-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6mg, 0.098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70mg, 0.440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반응이 불완전함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상기 고체를 무수 피리딘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수집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무수 피리딘(0.75mL)에 용해시키고,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31mg)에 이어서 활성화 4Å 분자체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4시간 동안 교반하지만, LC/MS에 의하면 변화가 거의 없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상기 분자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포화 인산이수소칼륨 수용액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상기 수성 층을 수집하고,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0.034mg, 0.098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4×)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 층들을 합쳐서,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
0℃에서 질소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2mL) 중의 N,N,N-트리부틸부탄-1-아미늄 [({(2S,5R)-7-옥소-2-[(피페리딘-4-일아미노)카보닐]-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6-일}옥시)설포닐]옥시다나이드(22.4mg, 0.050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mL, 1.298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상기 고체를 에테르(2×)로 세척하여,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및 피리딘으로 오염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아세토니트릴(2×)로 분쇄하고, 상기 백색 고체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47(M-H); LC-MS(양이온화) m/e 349(M+H), 381(M+H);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4.19(1H, br d, J= 2.5Hz), 3.98-4.06(2H, m), 3.47(2H, br d, J= 13Hz), 3.31(1H, br d, J= 12Hz), 3.12(2H, br dd, J= 13, 3Hz), 3.06(1H, d, J= 12Hz), 2.04-2.21(m, 4H), 1.87-1.95(1H, m), 1.72-1.83(m, 3H).
실시예 1A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39
단계 1: 3급-부틸 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
무수 디클로로메탄(60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1.484g, 5.37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88mL, 13.49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1.60g, 6.26mmol) 및 4-아미노-1-BOC-피페리딘(1.30g, 6.49mmol)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하고, 이스코 콤비플래쉬(Isco Combiflash) 상에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40g 실리카 겔, 40mL/min, 254nM, 14개 컬럼 용적에 대해 15% 내지 100% EtOAc/헥산에 이어서 4개 컬럼 용적에 대해 100% EtOAc; 표제 화합물은 6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서 용출한다)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옅은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
탄소상 팔라듐(394mg; 10% Pd/C)을 메탄올(50.6mL) 중의 단계 1의 생성물(1.81g, 3.95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아세트산(6방울) 및 추가의 촉매(159mg의 10% Pd/C)를 상기 반응에 첨가하고, 수소하의 교반을 추가로 2.5시간 동안 지속하며, 이때 LC-MS에 의해 반응의 종결을 판단한다. 상기 반응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수집된 고체를 MeOH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3급-부틸-4-({[(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
무수 피리딘(30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1.455g, 3.95mmol; 단계 2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3.2g, 20.11mmol)를 질소하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점성 혼합물을 주말에 걸쳐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상기 백색 불용성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톨루엔으로 추가로 공비시켜 과량의 피리딘을 제거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
질소하에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30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의 혼합물(1.772g, 3.95mmol; 단계 3의 이론적 수율)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1mL, 79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바로 용액이 되었다. 1시간 후, 추가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8m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LC-MS 분석에 의해 반응이 종결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반응물을 0℃에서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에테르(3×)로 분쇄하여 과량의 TFA 및 유기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생성된 백색 불용성 고체를 원심분리를 통해 수집하고, 진공에서 건조시킨 다음, 분취용 HPLC(250×21.2mm Phenomenex Synergi Polar-RP 80A 컬럼; 10㎛; 35mL/min; 210nM; 15분에 걸쳐 0% 내지 30% 메탄올/물; 표제 화합물은 10% 메탄올/물에서 용출하였다)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표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쳐서 밤새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347(M-H).
실시예 1C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단계 1: 벤질 4-[(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0
4-(N-BOC 아미노)피페리딘(17kg, 84.88mol)을 DCM(90kg)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0.14kg, 100.16mol)을 첨가하며, 상기 생성된 용액을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16.51kg, 96,76mol)를 45분에 걸쳐 첨가하면서 상기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시킨 후, 상기 용액을 20℃에서 30분 동안 에이징시켰다. 이어서, 2M HCl(61kg, 118.13mol)을 10분에 걸쳐 첨가하면서 상기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진탕한 다음, 상기 진탕을 중지시키고, 상을 분리시켰다. 이어서, 상기 상들을 서로 분리하고, 유기 상을 진공에서 35mL 용적으로 증류시켰다. 이어서,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89kg)를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35℃ 미만에서 진공 증류에 의해 약 50L 의 용적으로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결정화하였다. 이어서, 헵탄(47kg)을 10분에 걸쳐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20℃로 냉각시키고 20분 동안 에이징시킨 후, 상기 에이징된 슬러리를 여과하고, 헵탄(17kg)으로 세척하며, 필터 상에서 N2 스위프에 의해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24.7kg, 87%)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7.33(5H, m), 5.13(2H, s), 4.47(1H, m), 4.11(2 H, m), 3.61(1H, m), 2.93(2H, m), 1.94(2H, m), 1.45(9H, s) 및 1.30(2H. m).
단계 2: 벤질 4- 아미노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1
4-(N-BOC 아미노)-CBz 피페리딘(24.4kg 73.42mol), THF(65kg) 및 5M HCl(23.0kg, 110.13mol)을 합하여 30 내지 35℃에서 약 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5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97kg) 및 1OM NaOH(7.97kg, 145.12mol)를 첨가하면서 상기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상기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25중량% NaCl 용액(27.5kg)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유기 상을 대기압에서 70L의 용적으로 증류시켰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162k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증류에 의해 120L의 용적으로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DCM(17.2kg. 100%) 중의 용액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7.33(5H, m), 5.14(2H, s), 4.14(2 H, br s), 2.87(3H, m), 1.83(2H, m), 1.66(3H, m) 및 1.28(2H, m).
단계 3: 벤질 4-{[1-(3급- 부톡시카보닐 )-5-옥소-L- 프롤릴 ]아미노}피페리딘-1-카 복실레이
Figure pat00042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사이드(811g, 7.3mol), L-피로글루탐산(9.43kg, 73mol), 벤질 4-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디클로로메탄 중의 17.1kg, 용적 120L, 73mol) 및 디클로로메탄(80kg)을 함께 혼합하고, 20℃에서 10분 동안 에이징하여 고점성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8kg, 87.6mol)를 여러 분획으로 나누어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면서,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상기 슬러리를 25℃에서 30분 동안 에이징시킨 후, 1M 염산(94kg, 85.5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상들을 밤새 정치시켜 침전시킨 다음, 유기 상을 후속적으로 2M 탄산나트륨(109kg)으로 세척한 후, 용매를 아세토니트릴로 전환시켜 최종 용적이 50L가 되었다. 톨루엔(88.2kg)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0℃로 냉각시켰다.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18.32kg, 83.95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23g, 1.83mol)을 상기 뱃치에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25℃로 가온하고 밤새 에이징시켰다. 이어서, 상기 뱃치를 증류에 의해 80L의 용적으로 농축시켰다. 추가의 톨루엔(88.2kg)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50L로 추가로 농축시켰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0kg)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10분 동안 에이징시켰다. 이어서, 헵탄(70kg)을 상기 슬러리에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상기 슬러리를 30분 동안 에이징한 다음, 여과하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헵탄(22.5kg/17.4kg)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55℃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7.5kg, 95.5 중량%, 82 %). 1H NMR(CDCl3) 7.33(5H, m), 6.19(1H, m), 5.13 (2H, s), 4.48(1H, dd), 4.15(2H, m), 3.97(1H, m), 2.95(2H, m), 2.73(1H, d tr), 4.65(1H, m), 2.61(1H, m), 2.18(2H, m), 1.45(9H, s) 및 1.30(2H. m).
단계 4: 벤질 4-({N-(3급- 부톡시카보닐 )-6-[디메틸( 옥시도 )-λ 4 - 설파닐리덴 ]-5-옥소-L- 노르류실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3
칼륨 3급-부톡사이드(9.58kg, 85.38mol)를 세 분획으로 나누어, 15 내지 25℃에서 DMF(115kg) 중의 트리메틸 설폭소늄 요오다이드(18.79kg, 85.38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20 내지 25℃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다음, 출발 물질인 벤질 4-{[1-(3급-부톡시카보닐)-5-옥소-L-프롤릴]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27.17kg, 60.99mol)을 네 분획으로 나누어 30분에 걸쳐 첨가한 다음, 20℃에서 30분 동안 에이징시켰다. 물(54kg) 및 시드 물질(10g)을 첨가하고(주: 시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정화가 일어나겠지만, 시드를 사용하면 보다 일관된 생성물이 보다 우수한 수율로 제공되므로 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탁액을 20℃에서 30분 동안 에이징시켰다. 10% NaCl 용액(543kg)을 1시간에 걸쳐 첨가하면서 상기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상기 슬러리를 1시간에 걸쳐 3℃로 냉각시키고 3℃에서 밤새 에이징시킨 후, 상기 슬러리를 여과하고 물(136L, 82L, 82L)로 3회 세척하고, 진공하에 55℃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2.8kg, 83%). 1H NMR(CDCl3) 7.49(1H, br s), 7.33(5H, m), 5.83(1H, br s), 5.13(2H, s), 4.48(1H, s), 4.08(3H, m), 3.96(1H, m), 3.45(3H, s), 3.41(3H, s), 3.03(2H, m), 2.41(1H, m), 2.24(1H, m), 1.94(4H, m), 1.68(5H, s) 및 1.44(12H, s).
단계 5: 3급-부틸 (2S)-2-[({l-[( 벤질옥시 ) 카보닐 ]피페리딘-4-일}아미노) 카보닐 ]-5- 옥소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4
톨루엔(318kg) 중의 이리듐 사이클로옥타디엔 클로라이드 이량체(336.3g, 0.502mol)를 3회의 진공 탈기 주기를 사용하여 탈기시킨 다음 질소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표면 아래를 스파징함으로써 탈산소시킨 후, 상기 용액을 105℃로 가온하였다. 25℃에서 DMF(128kg) 중의 상기 일라이드 출발 물질(27.0kg, 50.22mol)을 3회의 진공 탈기 주기를 사용하여 탈기시킨 다음 질소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표면 아래를 스파징함으로써 탈산소시켰다. 이어서, 상기 탈기된 용액을 30분에 걸쳐 상기 고온 촉매 용액에 첨가하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02℃를 초과하게 유지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5℃에서 40분 동안 에이징시킨 다음, 20℃로 냉각시켰다. 상기 유기 반응 혼합물을 5중량% 염화리튬 용액(81L×2)으로 2회 세척한 다음, 물(81L)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 상 및 수성 상을 분리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류에 의해 상기 유기 상으로부터 톨루엔을 제거하여 130L의 용적이 되게 하고, 상기 증류된 상을 냉장고에 저장한 후, 후속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6: 3급-부틸 (2S,5S)-2-[({1-[( 벤질옥시 ) 카보닐 ]피페리딘-4-일}아미노)카보닐]-5- 하이드록시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5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 용액(THF 중의 4.1M 용액 22.2kg, 101.9mol)을 THF(290kg)로 희석한 다음, 메탄올(3.26kg)을 20℃에서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30분 동안 에이징시킨 후 -4℃로 냉각시켰다. 톨루엔 중의 케톤의 용액(톨루엔 중의 약 4mL/g 용액 중의 46.8kg, 101.9mol)을 상기 에이징된 보로하이드라이드 용액에 첨가하면서, 상기 반응온도를 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을 아세트산(30.6kg, 509.5mol, 메탄올 183kg에 용해됨)의 용액으로 켄칭시키면서, 상기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상기 켄칭된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후, 이를 진공에서 184L의 용적으로 농축시켰다. 메탄올(203kg)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진공에서 184L의 용적으로 증류시켰다. 이소프로판올(294kg)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진공에서 184L의 용적으로 증류시키면서, 내부 온도를 약 30℃로 유지하였다. 시드(5g)를 첨가하고(주: 시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정화가 일어나겠지만, 시드를 사용하면 보다 일관된 생성물이 보다 우수한 수율로 제공되므로 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뱃치를 1시간 동안 에이징하여 시드 베드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물(560kg)을 약 60분에 걸쳐 첨가한 다음, 이소프로판올(111kg)을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여과하고, MTBE(30kg, 35kg, 5kg)으로 3회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55℃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26.74kg, 일라이드로부터의 수율 57%). 1H NMR(CDCl3) 7.33(5H, m), 6.17(1H, br s), 5.13(2H, s), 4.61(1H, m), 4.11(3H, m), 3.94(1H, m), 3.64(1H, m), 2.98(2H, m), 2.59(1H, dd), 2.33(1H, m), 1.94(4H, m), 1.71(1H, m), 1.63(2H, m), 1.48(9H, s) 및 1.35(2H, m).
단계 7: 3급-부틸 (2S,5S)-2-[({1-[( 벤질옥시 ) 카보닐 ]피페리딘-4-일}아미노)카보닐]-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설포닐 } 옥시 )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6
상기 알콜 출발 물질(26.6kg, 57.7mol)을 디클로로메탄(120kg)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카트릿지를 통과시켰다.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1.06kg, 8.66mol) 및 TEA(11.1kg, 109.63mol)를 상기 알콜 용액에 첨가한 다음,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18.0kg, 73.6mol)를 디클로로메탄(30kg) 중의 용액으로서 25℃ 미만의 온도에서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뱃치를 3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후, 물(110kg)을 첨가하면서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상기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물(80kg×2)로 세척한 다음, 수성 HCl(물(80kg) 중의 37중량% 농축 HCl 15L)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 층을 디클로로메탄(75kg)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72L로 증류시켰다. 이어서, MTBE(157kg)를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진공에서 170L로 증류시켜 상기 생성물을 결정화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다음, 헵탄(58kg)을 약 20분에 걸쳐 첨가하고, 상기 슬러리를 2O℃에서 18시간 동안 에이징시켰다. 이어서, 상기 에이징된 슬러리를 여과하고, 헵탄(20kg) 및 MTBE(40kg)으로 세척하고, 필터 상에서 질소 스트림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38.3kg, 98%). 1H NMR(CDCl3) 8.20(2H, d), 7.85(2H, d), 7.33 (5H, m), 6.09(1H, br s), 5.13(2H. s), 4.59(1H, m), 4.46(1H, m), 4.10(3H} m), 3.91(1H, m), 2.96(2H, m), 2.75(1H, m), 2.33(1H, m), 1.58(1H, m), 1.48(9H, s) 및 1.35(2H, m).
단계 8: 벤질 4-[({(2S,5R)-5-[( 벤질옥시 )아미노]피페리딘-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7
N-Boc-O-벤질하이드록실아민(8.65g, 38.7mmol, DMAC 용적 38mL 중의 용액으로서)을 DMAC(80mL) 중의 칼륨 3급-부톡사이드(4.35g, 38.7mmol)의 용액에 첨가하며, 이때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였다. 상기 용액을 30분 동안 에이징시키면, 상기 용액은 슬러리가 된다. DMAC(40mL)에 용해된 설포네이트 출발 물질(20g, 29.9mmol)을 20℃에서 15분에 걸쳐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40℃로 가열한 다음, 20℃에서 밤새 두었다. 물(350m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며, 이때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DCM(350mL)을 첨가하여, 상기 상들을 분리시켰다. 유기 상을 물(350mL×3)로 3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척된 유기 상을 대기압하에 90mL의 용적으로 증류시킨 후, 메탄설폰산(10m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8시간 동안 35 내지 4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20℃로 냉각시키고, 2N NaOH(200mL)를 첨가한 다음, DCM(90mL)을 첨가하였다. 상기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물(90mL)로 세척한 다음, 대기압에서 용매를 아세토니트릴(용적 5OmL)로 전환시켰다. p-톨루엔설폰산(4g, 생성물 검정을 기준으로 하여 1당량)을 40℃에서 아세토니트릴 (4OmL)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고 상기 생성물을 결정화시켰다. 이어서, MTBE(45mL)를 첨가하고, 상기 슬러리를 20℃로 냉각시키고, 20℃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다음 여과하여 상기 표제 생성물을 모노-토실레이트 결정염(9.8g, 53%)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7.75(1H, br s), 7.59 (2H, d), 7.36(5H, m), 7.20(3H, m), 7.14(2H, d), 6.98(2H, d), 5.30(1H, m), 5.10(2H, m), 4.37(2H, s), 3.88(3H, m), 3.61(2H, m), 3.23(2H, m), 2.22(3H, s), 1.65(1H, m), 1.26(5H, m) 및 1.21(3H, m).
단계 9: 벤질 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8
토실레이트 염(8.1kg, 12.68mol) 형태의 벤질 4-[({(2S,5R)-5-[(벤질옥시)아미노]피페리딘-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를 디클로로메탄(108kg) 중에 슬러리화시킨 후, 5중량%의 NaHCO3(42kg, 25.36mol)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2상 혼합물을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상기 상들을 분리한 후, 유기 상을 물(40.5kg)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기 상을 대기압에서 약 20L로 증류시킨 다음, DCM(108k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DIPEA(5.25kg, 40.58mol)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트리포스겐(3.01kg, 10.14mol)을 네 분획으로 나누어 첨가하며, 이때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30분 후, 희석 인산 용액(물 32kg 중의 4.97kg 85중량% 인산)을 첨가하고, 상기 뱃치를 20℃에서 밤새 에이징시켰다. 상기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5중량% NaHCO3(26kg) 및 물(25kg)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기 상을 대기압에서 30L로 증류시켰다. 이어서, 에탄올(77kg)을 첨가한 다음, 시드(10g)을 첨가하였다(주: 시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정화가 일어나겠지만, 시드를 사용하면 보다 일관된 생성물이 보다 우수한 수율로 제공되므로 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리를 진공에서 33L의 용적으로 증류시킨 다음, 헵탄(55kg)을 적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슬러리를 0℃로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3:1 헵탄:에탄올(30L)로 세척하고, 질소 스트림하에 필터 상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5.90kg, 94 %). 1H NMR(CDCl3) 7.35(10H, m), 6.57(1H, d), 5.14(2H, s), 5.07(1H, d), 4.92(1H, d), 4.13(2H, m), 3.95(1H, m), 3.89(1H, d), 3.31(1H, s), 2.99(3H, m), 2.65(1H, d), 2.38(1H, m), 1.94(4H, m), 1.62(2H, m) 및 1.34(2H, m).
단계 10: 3급-부틸 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9
벤질 4-({[(2R,5S)-6-(벤질옥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출발 물질(97중량%에서 1.9kg) 및 Boc2O(0.776kg)를 유리병에 장전하고, 상기 고체를 THF(15L)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Pd(OH)2(184.3g) 및 또 다른 분획의 THF(10.8L)와 함께 수소화 반응기에 장전하였다. 상기 반응을 45psig H2 및 23℃에서 5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이 HPLC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종결되면, 상기 용액을 솔카 플록(solka flok)을 통해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상기 필터 케이크를 THF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상기 여과물 및 세척물을 진공 증류에 의해 EtOAc로 용매 전환하여 용적이 10L가 된다. 상기 용매 전환 동안 약 30L의 EtOAc를 사용하고, 일정한 용적 증류 후(최대 온도 20℃에서 10L) THF 수준을 양성자 NMR에 의해 측정하면 약 4mol% THF:EtOAc이었다. 상기 생성된 EtOAc 슬러리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후, 헥산(4L)을 1시간에 걸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추가로 1시간 동안 에이징시킨 후, 상청액 농도를 측정하였다(목표: 약 6mg/g). 이어서, 상기 고형분을 여과하고 60% EtOAc/헥산 용액(3×3L)으로 세척하고, 진공 및 N2하에 실온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80% 분리된 수율). 1H NMR(400MHz, CDCl3): 8.60(br s, 1H), 6.67(d, J= 8.2Hz, 1H), 4.12-4.00(m, 2H), 4.00-3.91(m, 1H), 3.89(d, J= 7.8Hz, 1H), 3.81-3.76(m, 1H), 3.19(dt, J= 11.2, 2.9Hz, 1H), 2.90(t, J= 11.9Hz, 2H) 2.82(d, J= 11.3Hz, 1H), 2.45(dd, J= 15.0, 6.7Hz, 1H), 2.21-2.11(m, IH)5 2.02-1.85(m, 3H), 1.80-1.69(m, 1H), 1.48(s, 9H), 1.44-1.30(m, 2H)
단계 11: 설페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
Figure pat00050
3급-부틸 4-({[(2S,5R)-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kg), THF(30L), 2-피콜린(1.61L) 및 피리딘-SO3 착체(4.54kg)를 질소하에 플라스크에 장전하였다. 발열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 불균질 혼합물을 밤새(약 15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DCM(8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켜 약 30L의 THF/DCM을 제거하였다. 추가의 DCM(28L)을 첨가한 다음, 물(20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빙욕에 두고, K2HPO4(2.20kg)를 4분에 걸쳐 첨가한 다음, 물 세정액(1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BU4NHSO4(2.90kg)를 10분에 걸쳐 첨가하고, 추가의 물(4L)을 첨가하였다. 상기 2상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하부 유기층을 인-라인 필터를 통해 100L 추출기로 옮겼다. 상기 플라스크에 남아 있는 수성층을 추가의 DCM(2×4L)으로 세정한 다음, 역시 상기 추출기로 옮겼다. 소량의 수성층(약 2L)을 또한 옮기고, 상기 2개의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추출기로 복귀시키고 물(1×6L)로 세척하며, pH는 4.5이었다. 상기 유기층을 분리하고, 인-라인 필터를 통해 새로운 플라스크에 장전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증류(34L 최종 용적)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로 용매 전환하고, 후속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칼-피셔(Karl-Fisher) 적정법에 의해 측정한 물 함량은 1900ppm이었다. 동일한 과정을 사용한 보다 소규모의 실험에서,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면 1H NMR 데이타가 다음과 같이 수집되는 고체가 수득된다. 1H NMR(400MHz, CDCl3): 6.65(d, J= 8.4Hz, 1H), 4.37-4.32(m, 1H), 4.18-4.00(m, 2H), 4.00-3.89(m, 1H), 3.87(d, J= 7.7Hz, 1H), 3.36-3.27(m, 9H), 2.95-2.79(m, 2H), 2.75(d, J= 11.4Hz, 1H), 2.42(dd, J= 15.0, 6.9Hz, IH) 2.24-2.11(m, 2H), 1.96-1.81(m, 3H), 1.74-1.60(m, 8H), 1.47(s, 9H), 1.46(m, 8H), 1.39(m, 2H), 1.01(t, J=7.3, 12H)
단계 12: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1
TFE(34L) 중의 Bu4N+ -OSO3 염의 용액을 이전 단계에서 받은 그대로 사용하며, 추정된 수율은 100%이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욕 중에서 냉각시키고, HBF4-Et2O(1.57L)를 11분에 걸쳐 18 내지 22℃에서 적가 깔대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백색 슬러리를 밤새(12시간) 교반하였다. TFE(-15L)를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어서, DCM(15L)를 첨가하였다. 100L 추출기에 발열원 비함유 물(35L) 및 NaHCO3(274g)을 장전하고, 상기 용액을 13℃로 냉각시켰다.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추가의 DCM(5L)으로 세정하고, 상기 현탁액을 또한 상기 추출기에 옮겼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8.5℃로 가온하고, 발열원이 제거된 물(12L)을 첨가하여 모든 고체를 가용화하였다. 최종 pH는 4.5이었다. 상기 유기 층을 분리하고, 상기 수성층을 DCM(2×16L)로 세척하였다. 상기 수성층을 검정한 결과, 2.38kg(83.8%)이었다.
상기 수성 층을 깨끗한 플라스크에 장전하였다. 상기 용액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킨 다음, IPA와 함께 공비 증류하였다. 이때, IPA:H2O 비의 1H NMR 분석 결과, 13.4L의 물과 24.6L의 IPA가 존재한다. IPA(22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백색 결정 고체를 여과하고, 7:1 IPA:발열원이 제거된 물(16L)로 세척하고, 진공 및 질소하에 실온에서 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결정질 채널 수화물, 1.5중량% 물의 형태로 수득하였다(수율 = 1.715kg, 단계 11 및 12에 걸쳐 57.4%). 1H NMR(400MHz, DMSO-d6): 8.3(br s, 2H), 8.21(d, J= 7.8Hz, 1H), 4.01(s, 1H), 3.97-3.85(m, 1H), 3.75(d, J= 6.5Hz, IH) 3.28(dd, J= 12.9, 2.5Hz, 2H) 3.05-2.93(m, 4H), 2.08-1.97(m, 1H), 1.95-1.79(m, 3H), 1.75-1.59(m, 4H)
실시예 1D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의 결정질 일수화물
파트 A: 제조
무정형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1g) 및 탈이온수(5mL)를 유리병에 첨가하고, 상이한 형태로의 전환이 종결되었음을 XRPD 모니터링(파트 B 참조)이 지시할 때까지 상기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정질 고체를 중력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또는, 상기 결정질 슬러리를 증발 제거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데, 상기 결정질 수화물이 물 속에서 가용성이므로(실온에서 약 55g/㎖), 보다 높은 수율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을 건조시켜 탈수시킬 수 있으므로, 진공 및/또는 고온을 사용하는 건조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건조 환경의 상대 습도 조절은 탈수를 최소화하거나 탈수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기 함량을 조절하면서(예를 들면, 상대습도를 약 40% 내지 약 70%의 범위로 조절하면서) 질소 스트림을 사용하여 상기 결정을 건조시켜 탈수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결정질 수화물은 또한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의 혼합물에서 슬러리하고 상술한 분리 과정 중의 임의의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소프로필 알콜 대 물의 비는 용적 기준으로 약 7:1이 적합하다.
파트 B: 특성 확인
파트 A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결정질 일수화물의 XRPD 패턴은, 4 내지 40도 2Θ로부터의 연속식 스캔을 사용하여 P W3040/60 콘솔을 갖는 필림스 패널리티컬 엑스퍼트 프로(Philips Panalytical X'Pert Pro)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생성시킨다. 구리 K-알파 1(Kα1) 및 K-알파 2(Kα2) 방사선을 상기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을 실온에서 상기 샘플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대기에 개방하였다. 상기 XRPD 패턴을 도 1에 도시하였다. XRPD 패턴에서 2Θ 값 및 상응하는 d-스페이싱은 하기 데이터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52
파트 A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결정질 일수화물은 질소 대기하에 개방된 알루미늄 팬에서 25℃로부터 350℃까지 10℃/min의 가열 속도로 TA 계기 DSC Q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DSC 곡선(도 2 참조)은 22.5℃의 개시 온도에서의 물 손실 및 엔탈피 변화 186J/g로 인해 흡열임을 나타낸다. 분해는 270℃ 초과 온도에서 관찰된다.
파트 A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결정질 일수화물의 열비중 분석(TGA)은 25℃로부터 350℃까지 10℃/min의 가열 속도로 질소하에 TA 계기 TGA Q 50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TGA 분석 결과, 100℃까지 중량 손실이 4.9%이고, 270℃를 초과하면 분해되었다. 상기 4.9중량% 손실은 상기 화합물 1mol당 물 1mol 손실에 상응하며, 이는 일수화물에 일치하는 결과이다.
실시예 2
(2S,5R)-N-[(4S)- 아제판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탄-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3
단계 1: 3급-부틸 (4S)-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아제판 -1- 카복실레이트
무수 디클로로메탄(2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51.7mg, 0.187mmol)의 용액에 3급-부틸 (4S)-4-아미노아제판-1-카복실레이트(69mg, 0.275mmol), 트리에틸아민(0.090mL, 0.646mmol), HOBT(42.5mg, 0.278mmol) 및 EDC(54.7mg, 0.285mmol)의 용액을 질소하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15분에 걸쳐 15% 내지 100% CH3CN + 0.05% TFA/물 + 0.05% TFA로 용출시키면서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 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4S)-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아제판 -1- 카복실레이트
탄소상 팔라듐(11.8mg; 10% Pd/C)를 메탄올(1.5mL) 중의 3급-부틸 (4S)-4-({[(2S,5R)-6-(벤질옥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아제판-1-카복실레이트(49.7mg, 0.33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상기 반응이 종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불순한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44.8mg)로서 수득하고, 이를 정제하지 않고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N,N,N- 트리부틸부탄 -1- 아미늄 {[((2S,5R)-2-{[(4S)- 아제판 -4- 일아미 노] 카보닐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6-일) 옥시 ] 설포닐 } 옥시다나이드
피리딘(1mL) 중의 불순한 3급-부틸 (4S)-4-({[(2S,5R)-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아제판-1-카복실레이트(40.2mg, 0.105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42.1mg, 0.265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에 따르면, 불완전 반응이 나타낸다. 추가의 피리딘을 첨가한 다음, 추가의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40mg)를 첨가한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을 여과하고, 상기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포화 인산이수소칼륨 수용액에 현탁시켰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수성층을 수집하고,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0.036mg, 0.105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4×)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들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4: (2S,5R)-N-[(4S)- 아제판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7mL) 중의 N,N,N-트리부틸부탄-1-아미늄 {[((2S,5R)-2-{[(4S)-아제판-4-일아미노]카보닐}-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6-일)옥시]설포닐}옥시다나이드(30.9mg, 0.067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mL, 6.5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61(M-H); LC-MS(양이온화) m/e 385(M+Na);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4.17(1H, br d, J= 3Hz), 3.96-4.03(2H, m), 3.27-3.38(3H, m), 3.15-3.22(2H, m), 3.02(1H, d, J= 12Hz), 1.62-2.18(m, 12H).
실시예 3
(2S,5R)-N-[(4R)- 아제판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4
실시예 2의 과정에서 3급-부틸(4R)-4-아미노아제판-1-카복실레이트를 3급-부틸 (4S)-4-아미노아제판-1-카복실레이트 대신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
(2S,5R)-7-옥소-N-[(3R)- 피롤리딘 -3-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탄-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5
단계 1: 3급-부틸 (3R)-3-({[(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무수 디클로로메탄(2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53mg, 0.192mmol)의 용액에 3급-부틸 (3R)-3-아미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55mg, 0.288mmol), 트리에틸아민(0.061mL, 0.441mmol), HOBT(44.1mg, 0.288mmol) 및 EDC(55.2mg, 0.288mmol)의 용액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15분에 걸쳐 15% 내지 100% CH3CN + 0.05% TFA/물 + 0.05% TFA로 용출시키면서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3R)-3-({[(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탄소상 팔라듐(9.18mg; 10% Pd/C)를 메탄올(2mL) 중의 3급-부틸 (3R)-3-({[(2S,5R)-6-(벤질옥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38mg, 0.085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상기 반응이 종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불순한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N,N- 디부틸부탄 -1- 아미늄 ({[(2S,5R)-2-({[(3R)-1-(3급- 부톡시카보닐 ) 피롤리딘 -3-일]아미노} 카보닐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6-일]옥시} 설포닐 ) 옥시다나이드
피리딘(1mL) 중의 3급-부틸 (3R)-3-({[(2S,5R)-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30mg, 0.085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53.9mg, 0.339mmol) 및 4Å 분자체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불완전한 반응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상기 잔사를 HPLC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미반응 출발 물질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반응 조건하에 두었다. 상기 합한 생성물을 포화 인산이수소칼륨 수용액에 현탁시켰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상기 수성 층을 수집하고,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4×)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n-[(3R)- 피롤리딘 -3-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탄-2- 카복스아미드 :
질소하에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0.5mL) 중의 N,N-디부틸부탄-1-아미늄 ({[(2S,5R)-2-({[(3R)-1-(3급-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3-일]아미노}카보닐)-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6-일]옥시}설포닐)옥시다나이드(2mg, 0.046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25mL, 0.046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펜메넥스 시너지 폴라-RP 80A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33(M-H); LC-MS(양이온화) m/e 336(M+H);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4.50-4.54(1H, m), 4.20(1H, dd, J= 3, 6Hz), 4.03(1H, br d, H= 7Hz), 3.54(1H, dd, J= 7, 13Hz), 3.40-3.48(1H, m), 3.30-3.35(2H, m), 3.24(1H, dd, J= 5, 13Hz), 3.07(1H, d, J= 12Hz), 2.31-2.37(1H, m), 2.15-2.20(1H, m), 2.00-2.10(2H, m), 1.88-1.98(1H, m), 1.76-1.84(1H, m).
실시예 5
(2S,5R)-N- 아조칸 -5-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6
실시예 1의 과정에서 3급-부틸 5-아미노아조칸-1-카복실레이트를 4-아미노-1-BOC-피페리딘 대신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6
(2S,5R)-7-옥소-N-피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7
단계 1: (2S,5R)-6-( 벤질옥시 )-7-옥소-N-피리딘-4-일-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디클로로메탄(5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51.5mg, 0.186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65mL, 0.466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63.4mg, 0.248mmol) 및 4-아미노피리딘(19.2mg, 0.204mmol)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을 50℃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LC/MS 분석 결과, 불완전한 반응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 후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2S,5R)-6- 하이드록시 -7-옥소-N-피리딘-4-일-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탄소상 팔라듐(13.2mg; 10% Pd/C)을 메탄올(1.5mL) 중의 (2S,5R)-6-(벤질옥시)-7-옥소-N-피리딘-4-일-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52.7mg, 0.15mmol; 2회 수행하여 합칩 생성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5시간 동안 수소(벌룬)하에 교반하였다. TLC 및 HPLC 분석 결과, 소량의 출발물질이 잔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의 촉매(5.6mg)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2S,5R)-7-옥소-N-피리딘-4-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피리딘(0.5mL) 중의 (2S,5R)-6-하이드록시-7-옥소-N-피리딘-4-일-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9.2mg, 0.035mmol)의 용액에 건조된 4Å 분자체 및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22mg, 0.138mmol)를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및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쇄하였다. 상기 잔사를 진공하에 건조시키고, 포화 인산이수소나트륨에 용해시키고,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 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41(M-H); LC-MS(양이온화) m/e 343(M+H);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8.57(2H, br s), 8.15(2H, br s), 4.27(1H, br d, J= 7Hz), 4.20(1H, br s), 3.33(1H, d, J= 12Hz), 3.10(1H, d, J= 12Hz), 2.28-2.32(1H, m), 2.08-2.11(1H, m), 1.93-1.98(1H, m), 1.83-1.88(1H, m).
실시예 7
(2S,5R)-N-(2- 메톡시피리딘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8
단계 1: (2S,5R)-6( 벤질옥시 )-N-(2- 메톡시피리딘 -4-일)-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디클로로메탄(2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38.9mg, 0.141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49mL, 0.352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53.3mg, 0.209mmol) 및 2-메톡시-4-아미노피리딘(20.2mg, 0.163mmol)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을 1.5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LC/MS 분석은 반응 종결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후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2S,5R)-6- 하이드록시 -N-(2- 메톡시피리딘 -4-일)-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탄소상 팔라듐(13.4mg; 10% Pd/C)을 메탄올(1mL) 중의 (2S,5R)-6-(벤질옥시)-N-(2-메톡시피리딘-4-일)-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43.6mg, 0.114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HPLC 분석은 반응 종결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불순한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2S,5R)-N-(2- 메톡시피리딘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피리딘(1mL) 중의 (2S,5R)-6-하이드록시-N-(2-메톡시피리딘-4-일)-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33mg, 0.114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111mg, 0.696mmol)를 질소하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및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쇄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시키고, 포화 인산이수소나트륨에 용해시키고,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에 의해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추가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에 의해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71(M-H); LC-MS(양이온화) m/e 373(M+H);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8.10(1H, br d, J= 6Hz), 7.59(1H, s), 7.41(1H, d, J= 6Hz), 4.26(1H, br d, J= 7Hz), 4.23(1H, br s), 4.07(3H, s), 3.36(1H, d, J= 12Hz), 3.12(1H, d, J= 12Hz), 2.29-2.33(1H, m), 2.10-2.14(1H, m), 1.93-1.99(1H, m), 1.84-1.90(1H, m).
실시예 8
(2S,5R)-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59
단계 1: (2S,5R)-6-( 벤질옥시 )-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7-옥소-1,6-디 아자비사이클로[3.2.1] 옥탄-2- 카복스아미드
무수 디클로로메탄(2.5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37.3mg, 0.135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47mL, 0.338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38.3mg, 0.15mmol) 및 2-디메틸아미노-4-아미노피리딘(21.7mg, 0.158mmol)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LC/MS 분석은 반응 종결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2S,5R)-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6- 하이드록시 -7-옥소-1,6-디 아자비사이클로[3.2.1] 옥탄-2- 카복스아미드
탄소상 팔라듐(10.4mg; 10% Pd/C)을 메탄올(2mL) 중의 (2S,5R)-6-(벤질옥시)-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47.8mg, 0.121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HPLC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2S,5R)-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7-옥소-6-( 설포옥시 )-1,6-디 아자비사이클로[3.2.1] 옥탄-2- 카복스아미드
무수 피리딘(1.5mL) 중의 (2S,5R)-N-[2-(디메틸아미노)피리딘-4-일]-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37mg, 0.121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92mg, 0.578mmol)를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량을 NMR 분석한 결과, 불완전한 반응을 나타낸다. 추가의 피리딘(2mL) 및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60mg)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하고, 상기 잔사를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불순한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추가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84(M-H); LC-MS(양이온화) m/e 386(M+H);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7.77(1H, br d, J= 6Hz), 7.41(1H, s), 6.94(1H, d, J= 6Hz), 4.23(2H, br s), 3.36(1H, d, J= 12Hz), 3.18(6H, s), 3.11(1H, d, J= 12Hz), 2.29-2.32(1H, ra), 2.10-2.14(1H, m), 1.93-1.99(1H, m), 1.84-1.90(1H, m).
실시예 9
(2S,5R)-N-[4-( 아미노메틸 ) 페닐 ]-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0
단계 1: 3급-부틸 [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카바메이트
무수 디클로로메탄(3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29.9mg, 0.108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38mL, 0.271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41.0mg, 0.160mmol) 및 4-(N-BOC-아미노메틸)아닐린(30.6mg, 0.138mmol)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카바메이트
탄소상 팔라듐(7.8mg; 10% Pd/C)을 메탄올(2mL) 중의 단계 1의 생성물(35mg, 0.073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이를 톨루엔으로부터 공비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3급-부틸 [4-({[(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카바메이트
무수 피리딘(1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28.9mg, 0.074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60.3mg, 0.379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반응이 약 50%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추가의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64.4mg)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7시간 후, LC-MS 분석은 대부분 생성물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불용성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톨루엔과 공비시켜 과량의 피리딘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표제 화합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2S,5R)-N-[4-( 아미노메틸 ) 페닐 ]-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질소하에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3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34.8mg, 0.074mmol)의 혼합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mL, 13mmol)을 첨가하였다. 모든 고체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자마자 용해되며, 상기 용액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LC-MS 분석은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에테르로 분쇄하여 과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유기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생성된 점착성 고체를 진공하에 건조시키고, 동결기에 밤새 저장하였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불순한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 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아세토니트릴(3×)로 분쇄하여 순수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m/e 369(M-H); LC-MS(양이온화) m/e 354(M+H-NH3);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7.53(2H, d, J= 8.5Hz), 7.46(2H, d, J= 8.5Hz), 4.23(2H, br s), 4.11(2H, s), 3.39(1H, d, J= 12Hz), 3.18(1H, d, J= 12Hz), 2.27-2.31(1H, m), 2.09-2.14(1H, m), 1.90-2.00(1H, m), 1.813-1.89(1H, m).
실시예 10
(2S,5R)-7-옥소-2-[(피페리딘-4- 일아미노 ) 카보닐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6- 설폰산
Figure pat00061
단계 1: 3급-부틸 4-[({(2S,5R)-7-옥소-6-[( 페녹시카보노티오일 ) 옥시 ]-1,6-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중의 페닐 클로로티오노카보네이트(1.25당량)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피리딘(1.25당량),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1당량) 및 3급-부틸 4-({[(2S,5R)-6-하이드록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실시예 1, 단계 2 참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빙욕에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상기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4-({[(2S,5R)-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AIBN(0.1당량)을 건조 벤젠 중의 3급-부틸 4-[({(2S,5R)-7-옥소-6-[(페녹시카보노티오일)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2-일}카보닐)아미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켰다. 벤젠 중의 트리부틸틴 수화물(1.25당량)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2S,5R)-2-({[1-(3급- 부톡시카보닐 )피페리딘-4-일]아미노} 카보닐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6- 설폰산
단계 2의 생성물을 실시예 1의 단계 3의 과정에 따라 황산화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2-[(피페리딘-4- 일아미노 ) 카보닐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6- 설폰산
(2S,5R)-2-({[l-(3급-부톡시카보닐)피페리딘-4-일]아미노}카보닐)-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6-설폰산을 실시예 1의 단계 4의 과정에 따라 탈보호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4R,6S)-2-옥소-N-피페리딘-4-일-3-( 설포옥시 )-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2
실시예 1의 과정에서 (4R,6S)-3-(벤질옥시)-2-옥소-1,3-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6-카복실산을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 대신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2
(4R,6S)-2-옥소-N-[(4S)- 아제판 -4-일]-3-( 설포옥시 )-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실시예 2의 과정에서 (4R,6S)-3-(벤질옥시)-2-옥소-1,3-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6-카복실산을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 대신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3
(4R,6S)-2-옥소-N-피리딘-4-일-3-( 설포옥시 )-1,3- 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6-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5
실시예 6의 과정에서 (4R,6S)-3-(벤질옥시)-2-옥소-1,3-디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6-카복실산을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 대신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4
(2S,5R)-7-옥소-N-[(3S)- 피롤리딘 -3-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6
단계 1: 3급-부틸 (3S)-3-({[(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무수 디클로로메탄(30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1g, 3.62mmol)의 용액에 디메틸아미노피리딘(884mgL, 7.24mmol), EDC(1.388g, 7.24mmol) 및 3급-부틸 (3S)-3-아미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742mg, 3.98mmol)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에 걸쳐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15분에 걸쳐 15% 내지 100% CH3CN + 0.05% TFA/물 + 0.05% TFA로 용출된 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 (3S)-3-({[(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탄소상 팔라듐(335mg; 10% Pd/C)을 메탄올(30mL) 중의 단계1의 생성물(1.4g, 3.15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3급-부틸 3-({[(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피리딘(10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1.11g, 3.15mmol, 단계 2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2.51g, 15.75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수집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4×)로 세척하고, 상기 합한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N-[(3S)- 피롤리딘 -3-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탄-2- 카복스아미드 :
0℃에서 질소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5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1.37g, 3.15mmol, 단계 3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TFA(2mL, 26mmol)를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에테르 분쇄를 2회 이상 반복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물로 용출된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333(M-H). LC-MS(양이온화) m/e 335(M+H), 357(M+Na); 1H NMR(600MHz, D2O; 비참조)(δ, ppm) 4.51(1H, m), 4.16(1H, br d, J= 2.6Hz), 3.99(1H, d, J= 7Hz), 3.54(1H, dd, J= 7, 13Hz), 3.40-3.50(1H, m), 3.30-3.40(1H, m), 3.20-3.30(2H, m), 3.02(1H, d, J= 12Hz), 2.30-2.40(1H, m), 2.10-2.20(1H, m), 2.00-2.10(2H, m), 1.83-1.93(1H, m), 1.72-1.805(1H, m).
실시예 15
(2S,5R)-N-[(3R,4S)-3- 플루오로피페리딘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7
단계 1: 3급-부틸-(3R,4S)-4-({[(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 플루오로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5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2.108g, 7,63mmol)의 용액에 BOP(4.05g, 9.15mmol)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2.66mL, 15.26mmol)을 첨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mL 중의 3급-부틸 (3R,4S)-4-아미노-3-플루오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665g, 7.63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이스코 콤비플래쉬 장치 - 120g 실리카 겔, 80mL/min, 254nM, 6개의 컬럼 용적에 대하여 0% 내지 100% EtOAc/헥산에 이어서 9개의 컬럼 용적에 대하여 100% EtOAc; 표제 화합물은 100% EtOAc에서 용출하였다)를 통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표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수집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황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도 수집하고, HPLC(30×100mm Sunfire 컬럼, 5㎛, 35mL/min, 15분에 걸쳐 10% 내지 100% CH3CN + 0.1% TFA/물 + 0.1% TFA; 표제 화합물을 70% CH3CN + 0.1% TFA에서 용출하였다)에 의해 재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수성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여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진공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분리한 물질과 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급-부틸-(3R,4S)-4-({[(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 플루오로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메탄올(8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20mL) 중의 단계 1의 생성물(3.0175g, 6.33mmol)의 용액에 탄소상 10% 팔라듐(0.73g, 6.86m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벌룬)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상기 반응이 종결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수집된 고체를 메탄올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함께 공비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며,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3: 3급-부틸-(3R,4S)-4-({[(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 플루오로피페리딘 -1- 카복실레이트
피리딘(30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2.59g, 6.7mmol, 단계 2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5.40g, 34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추가의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5.40g, 34mmol)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수집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철저하게 세척하고, 상기 수집된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사를 후속 단계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2S,5R)-N-[(3R,4S)-3- 플루오로피페리딘 -4-일]-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0℃에서 질소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50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3.13g, 6.7mmol, 단계 3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mL, 130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mL, 78mmol)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에테르 분쇄를 2회 이상 반복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물로 용출된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크림색 고체를 수득하며, 상기 고체를 NMR에 의해 측정한 결과 약 6% 피리딘을 함유한다. 이러한 불순한 생성물을 분쇄하고 아세토니트릴(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고체)로 2회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365(M-H).
실시예 16
(2S,5R)-7-옥소-6-( 설포옥시 )-N-(1,2,3,4-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6-일)-1,6-디 아자비사이클로[3.2.1] 옥탄-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8
단계 1: 3급-부틸-6-({[(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4- 디하이드로퀴놀린 -2(1H)- 카복실레이트
무수 디클로로메탄(2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53.3mg, 0.193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67mL, 0.482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58.7mg, 0.230mmol) 및 6-아미노-2-N-BOC-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54.8mg, 0.221mmol)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50℃로 45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반응 생성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HPLC를 위해 용출제(2:1:1 CH3CN/DMSO/물)에 반응 생성물을 용해시키려는 시도가 성공하지 못했으므로, 이는 수성층과 디클로로메탄에 분배된다. 상기 유기층을 수집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며 진공에서 농축시켜 별도의 정제를 위해 따로 둔다. 상기 수성층 또한 수집하여 HPLC(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5㎛; 35mL/min; 210nM; 15분에 걸쳐 15% 내지 100% CH3CN + 0.05% TFA / 물 + 0.05% TFA; 상기 표제 화합물은 80% CH3CN + 0.05% TFA / 물 + 0.05% TFA에서 용출하였다)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표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점착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미정제 생성물을 분배하여 수득한 유기 층은 분취용 TLC(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된 1000㎛ 실리카 겔 플레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표제 화합물의 두 뱃치를 모두 합하고,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2: 3급-부틸-6-({[(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4- 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2(1H)- 카복실레이트
메탄올(4mL) 및 에틸 아세테이트(2mL) 중의 단계 1의 생성물(79.6mg, 0.157mmol)의 용액에 탄소상 10% 팔라듐(18m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벌룬)의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은 상기 반응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음을 보여주므로, 탄소상 10% 팔라듐(10m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벌룬)의 대기하에 추가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수집된 고체를 메탄올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공비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며,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3: 3급-부틸-6-({[(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4- 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2(1H)- 카복실레이트
피리딘(1.5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64.6mg, 0.155mmol)의 용액에 삼산화황 피리딘 착체(129.5mg, 0.814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하에 주말에 걸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상기 수집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철저하게 세척하고, 상기 합한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사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2S,5R)-7-옥소-6-( 설포옥시 )-N-(1,2,3,4-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6-일)-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0℃에서 질소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3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77mg, 0.155mmol, 단계 3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mL, 13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테르를 상기 잔사에 첨가하고, 상기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에테르 분쇄를 2회 이상 반복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체를 메탄올/물로 용출된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395(M-H).
실시예 17
(2S,5R)-7-옥소-N-(5-피페리딘-4- 일피리딘 -2-일)-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069
단계 1: (2S,5R)-6-( 벤질옥시 )-N-(5- 브로모피리딘 -2-일)-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디클로로메탄(17.66mL)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0.400g, 1.448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504mL, 3.62mmol),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0.433g, 1.694mmol), 및 2-아미노-5-브로모피리딘(0.311g, 1.795mmol)을 순차적으로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다음, 상기 질량 유도된 HPLC(30×100mm Waters Sunfire 컬럼; 5㎛; 50mL/min; 15분에 걸쳐 아세토니트릴/물 + 0.1% TFA) 상에서 정제하였다. 상기 표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진공하에 농축시킨 다음, 밤새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6-({[(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3',6'- 디하이드로 -3,4'- 비피리딘 -1'(2'H)- 카복실레이트
3급-부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3,6-디하이드로피리딘-1(2H)-카복실레이트(215mg, 0.696mmol)를 반응병에서 단계 1의 생성물(150mg, 0.348mmol)에 첨가한 다음,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24mg, 0.035mmol)에 이어서 1M 수성 탄산나트륨(0.869mL, 0.869mmol) 및 아세토니트릴(0.899m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탈기시킨 다음, 예열된 70℃ 오일욕에 잠시 둔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상기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500mL에 대하여 0 내지 50%에 이어서 750mL에 대하여 50-100%)로 용출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3: 4-[6-({[(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리딘-3-일]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에틸 아세테이트(6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50mg, 0.094mmol)의 혼합물에 탄소상 10% 팔라듐(9.97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벌룬)의 대기하에 밤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며,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4-[6-({[(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트 -2-일] 카보닐 }아미노)피리딘-3-일]피페리딘-1- 카복실레이트
무수 피리딘(1.5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30mg, 0.067mmol)의 용액에 피리딘 삼산화황(53.6mg, 0.337mmol)을 실온에서 어두운 곳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주말에 걸쳐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수집된 고체는 디클로로메탄으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5: (2S,5R)-7-옥소-N-(5-피페리딘-4- 일피리딘 -2-일)-6-( 설포옥시 )-1,6-디아자비사이클로[ 3.2.1]옥탄 -2- 카복스아미드
무수 디클로로메탄(3mL) 중의 단계 4의 생성물(35mg, 0.067mmol; 단계 4의 이론적 수율)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00513mL, 0.067mmol)을 0℃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에테르로 분쇄하여 과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유기 가용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체를 건조시키고, 물에 용해시키며, 메탄올/물로 용출된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424(M-H).
실시예 18
피페리딘-4- 일메틸 (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0
단계 1: [1-(3급- 부톡시카보닐 )피페리딘-4-일] 메틸 (2S,5R)-6-( 벤질옥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실레이트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9mg, 0.57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9.6mg, 0.57mmol)을 실온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의 (2S,5R)-6-(페닐메톡시)-7-옥소-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실산(105mg, 0.38mmol)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3급-부틸 4-(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123mg, 0.57mmol)를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1-(3급- 부톡시카보닐 )피페리딘-4-일] 메틸 (2S,5R)-6- 하이드록시 -7-옥소-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실레이트
메탄올 중의 단계 1의 생성물(100mg, 0.211mmol)의 혼합물에 탄소상 10% 팔라듐(6.74m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수소(벌룬)의 대기하에 밤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며,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1-(3급- 부톡시카보닐 )피페리딘-4-일] 메틸 (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실레이트
무수 피리딘(1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50mg, 0.13mmol)의 용액에 피리딘 삼산화황(104mg, 0.652mmol)을 실온에서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수집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잘 세척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피페리딘-4- 일메틸 (2S,5R)-7-옥소-6-( 설포옥시 )-1,6- 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2- 카복실레이트
TFA를 0℃에서 질소하에 단계 3의 생성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에테르로 분쇄하여 과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유기 가용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생성된 고체를 건조시키고, 물에 용해시켜며, 메탄올/물로 용출된 Phenomenex Synergy Polar-RP 80A 컬럼 상에서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상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음이온화 모드) m/e 362(M-H).
실시예 19 내지 56
실시예 1A에 나타낸 과정을 사용하여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며, 지정된 아민 출발 물질을 단계 1의 4-아미노-1-BOC-피페리딘 대신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실시예 57 내지 90
실시예 6에 나타낸 과정을 사용하여 실시예 57 내지 77 및 80 내지 90의 화합물을 제조하며, 여기서 지정된 아민 출발 물질은 단계 1의 4-아미노피리딘 대신 사용되었다. 실시예 17에서 나타낸 과정을 사용하여 실시예 78 및 79의 화합물을 제조하며, 여기서 지정된 피리딘 출발 물질은 단계 1의 2-아미노-5-브로모피리딘 대신 사용되었다.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실시예 91 내지 117
실시예 18에서 나타낸 과정을 사용하여 하기 화합물들을 제조하며, 여기서 지정된 알콜 출발 물질은 단계 1의 3급-부틸 4-(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대신 사용되었다.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실시예 118
효소 활성: IC 50 의 측정
그룹 C 효소 활성은, 시판 중인 기질인 니트로세핀에 대한 분광학적 검정에서 시험 억제제의 존재하에 측정되었다. 상기 효소 AmpC(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및 기질을 10OmM KH2PO4 완충제(pH 7)에 용해시켰다. 상기 완충제는 또한 0.005% BSA를 함유한다. 상기 시험 억제제는 DMSO에 용해시키고, 상기 검정에서 1:20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 범위가 50μM 내지 0.0002μM이 되었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상기 시험 억제제를 주변 온도에서 40분 동안 베타-락타마제 효소와 함께 항온배양하고, 상기 기질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항온배양을 또 다른 40분 동안 지속하였다. 상기 분광분석반응은 2.5N 아세트산의 첨가에 의해 켄칭되며, 492nm에서의 흡광도가 측정되었다. 상기 IC50 값은, 4-파라미터 피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곡선을 사용하는, 효소 억제율 대 억제제 농도의 세미-로그 플롯으로부터 측정되었다.
그룹 A 효소 활성은 효소 KPC-2(케이. 뉴모니아에(K. pneumoniae))을 AmpC 대신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그룹 C 효소에 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시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은 상기 검정에서 그룹 C 및 그룹 A β-락타마제의 억제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2, 4 및 6 내지 9의 화합물을 상기 검정에서 시험한 결과, 표 2에 나타낸 IC50 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3은 기타 예시된 화합물에 대한 검정 데이타를 포함한다.
상승작용 검정 프로토콜:
상기 검정은, β-락탐 항생제의 MIC를, 문제의 항생제에 대해 통상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 균주에 대해 1/2, 1/4, 1/8, 1/16 및 1/32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β-락타마제 억제제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는, 마이크로적정기 플레이트를 통한 연속식 희석시 상기 BLI를 적정하는 동시에, 마이크로적정기 플레이트 아래로 연속식 희석시 상기 항생제를 적정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에 문제의 박테리아 균주를 접종하고 상기 박테리아를 밤새 성장시킴으로써, 달성한다. 이러한 마이크로플레이트 체커보드에서의 각각의 웰은 상기 억제제와 항생제를 상이한 농도 조합으로 함유하여, 이들 둘 사이의 임의의 상승작용을 완전히 측정할 수 있다.
박테리아성 균주/항생제 병용물:
CL 5701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a AmpC)/이미페넴
MB 2646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 P99)/세프타지딤
CL 5513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SHV-5)/세프타지딤
CL 6188 (악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이; Oxa40)/이미페넴
CL 6569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KPC-2)/ 이미페넴
CL 5761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KPC-3)/ 이미페넴
CLB 21648 (악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이; Ab AmpC)/이미페넴
일반적인 체커보드 방법:
1. MIC 2000 마이크로적정기 플레이트의 B 내지 H열에서 모든 웰에 100㎕의 MHBII + 1% DMSO를 충전한다.
2. MIC 2000 마이크로적정기 플레이트의 A열에서 모든 웰에 100㎕의 2×MHBII + 2% DMSO를 충전한다.
3. 100㎕의 4× 원하는 최종 항생제 농도를 MIC 2000 플레이트의 웰 A1에 첨가한다.
4. 100㎕의 2× 원하는 최종 항생제 농도를 MIC 2000 플레이트의 웰 A2 내지 A12에 첨가한다.
5. 100㎕가 각각의 MIC 2000 플레이트의 A열 내지 G열을 연속식 희석한다.
6. 100㎕를 각각의 MIC 2000 플레이트의 G 열 중의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한다.
7. (MHBII + 1 % DMSO 중) 100㎕의 2× 원하는 최종 억제제 농도를 상기 마이크로적정기 플레이트의 1행 중의 모든 웰에 첨가한다.
8. 100㎕가 각각의 MIC 2000 플레이트의 1행 내지 11행을 연속식 희석한다.
9. 100㎕를 각각의 MIC 2000 플레이트의 11행 중의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한다.
10. 이어서, MIC 2000 접종기를 사용하여 밤새 성장하는 (TSB 중의) 시험 대상 균주를 플레이트에 접종한다.
11. 플레이트를 37℃에서 약 20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육안으로 성장 등급을 매긴다.
매체(모두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멸균처리한 다음, DMSO 를 임의로 첨가한다):
MHBH + 1% DMSO
조절된 MHBII 양이온(BBL™) 4.4g
DMSO 2.0mL
증류수 198.OmL
MHBII + 2% DMSO
조절된 MHBII 양이온(BBL™) 8.8g
DMSO 4.0mL
증류수 196.0mL
1.02× MHBII
조절된 MHBII 양이온(BBL™) 4.4g
증류수 198.0mL
1.1× MHBII + 1% DMSO
조절된 MHBII 양이온(BBL™) 4.4g
DMSO 2.0mL
증류수 178.0mL
TSB
트립티카제 소이 브로스(BBL™)는 병에 바로 제조하였다.
상승작용은, β-락타마제 억제제의 존재하에 시험된 항생제의 최소 억제 농도(MIC)에 대한,β-락타마제 억제제의 부재하에 시험된 동일한 항생제의 MIC의 비로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비가 1이면, 상기 β-락타마제 억제제가 항생제 효능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 비가 1보다 크면, 상기 β-락타마제 억제제가 상기 항생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 상승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β-락타마제 억제제는 약 2 이상의 상승작용 비를 나타내며,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약 4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8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 이상의 비를 나타낸다. 또는, 상기 상승 효과는 상기 항생제의 MIC를 저하시키는 BLI의 농도를 활용하는 인자서 표현될 수도다. 따라서, 상기 항생제의 MIC가 20㎍/㎖이고, 1.5μM 농도의 BLI가 MIC를 5㎍/㎖으로 저하시킨다면, 상승 효과는 1.5μM 농도의 BLI에서 4배 또는 "4× 상승작용"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2, 4 및 6 내지 9의 화합물은 약 100μM 이하의 범위에서 2× 상승작용 농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피. 아에루기노사 균주 CL5701 및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균주 CL6569를 억제하는 데 있어서 실시예 1, 2, 4 및 6 내지 9에 대한 상승작용 농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92
1. 이들은 피. 아에루기노사 균주 CL5701에 대해 이미페넴을 사용한 2×, 4× 및 8×의 농도이다. 예를 들면, 6.25μM 농도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은 피. 아에루기노사 균주 CL5701에 대한 이미페넴의 MIC를 8배까지 감소시킨다(8배 상승작용).
2. 이들은 케이. 뉴모니아에 균주 CL6569에 대해 이미페넴을 사용한 16×, 32× 및 64×의 농도이다. 예를 들면, 12.5μM 농도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케이. 뉴모니아에 균주 CL6569에 대한 이미페넴의 MIC를 64배까지 감소시킨다(64배 상승작용).
표 3의 데이타는, 표 2에서와 동일한 효소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AmpC IC50 값이 표 3에 나타낸 실시예 7 및 8에서는 11nM 및 16nM이고 표 2에 나타낸 실시예 7 및 8에서는 각각 1.1nM 및 1.6nM이며 KPC-2 IC50 값이 표 3에 나타낸 실시예 8에서는 16nM이고 표 2에서는 1.6nM임을 제외하고는, 표 3에서 실시예 2, 6, 7 및 8은 표 2의 실시예에 대해 나타난 데이타와 중복된다.
추가로, 표 2의 실시예 1의 화합물 및 표 3의 실시예 1A의 화합물은 동일한 화합물이다. KPG-2 IC50 값은 표 2에 나타낸 실시예 1 및 표 3에 나타낸 실시예 1A에서 각각 208nM 및 210nM이다. 이들 2개 값은 별도의 수행 시 생성될 수 있거나, 동일한 수행 결과 생성되는 데이타일 수 있다.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1. LC-MS(음이온 모드)를 통해 수득한 값
전술한 명세서는 본 발명의 원칙을 교시하며 실시예가 예시용으로 제공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통상적인 변형, 채택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본원에 인용되는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원은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었으며, 불일치하는 점이 있는 경우 본원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Claims (4)

  1. 유효량의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효량의 베타-락탐 항생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타-락탐 항생제가 이미페넴(imipenem)인, 박테리아 감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S,5R)-7-옥소-N-피페리딘-4-일-6-(설포옥시)-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2-카복스아미드가 결정질 일수화물의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DHP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DHP 억제제가 7-(L-2-아미노-2-카복시에틸티오)-2-(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2-헵텐산(실라스타틴, cilastatin)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감염이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p.) 또는 클레브시엘라 종(Klebsiella spp.)에 기인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67021668A 2008-01-18 2009-01-15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KR101800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308P 2008-01-18 2008-01-18
US61/011,533 2008-01-18
PCT/US2009/031047 WO2009091856A2 (en) 2008-01-18 2009-01-15 Beta-lactamase inhibit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963A Division KR101648728B1 (ko) 2008-01-18 2009-01-15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17A true KR20160099117A (ko) 2016-08-19
KR101800610B1 KR101800610B1 (ko) 2017-11-23

Family

ID=40642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668A KR101800610B1 (ko) 2008-01-18 2009-01-15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KR1020107015963A KR101648728B1 (ko) 2008-01-18 2009-01-15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963A KR101648728B1 (ko) 2008-01-18 2009-01-15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Country Status (39)

Country Link
US (2) US8487093B2 (ko)
EP (2) EP2666774B1 (ko)
JP (3) JP5038509B2 (ko)
KR (2) KR101800610B1 (ko)
CN (2) CN101918407B (ko)
AU (1) AU2009206119C1 (ko)
BR (1) BRPI0906871B1 (ko)
CA (1) CA2712783C (ko)
CO (1) CO6331438A2 (ko)
CR (1) CR11626A (ko)
CY (5) CY1114900T1 (ko)
DK (2) DK2231667T3 (ko)
DO (1) DOP2010000218A (ko)
EC (2) ECSP10010345A (ko)
ES (2) ES2433744T3 (ko)
FR (3) FR20C1030I2 (ko)
HK (2) HK1143809A1 (ko)
HN (1) HN2010001395A (ko)
HR (2) HRP20131123T1 (ko)
HU (2) HUS2000024I1 (ko)
IL (1) IL206395A (ko)
LT (3) LTC2666774I2 (ko)
LU (1) LUC00165I2 (ko)
MA (1) MA32025B1 (ko)
ME (1) ME02089B (ko)
MX (1) MX2010007823A (ko)
MY (1) MY162532A (ko)
NI (1) NI201000115A (ko)
NL (2) NL301051I2 (ko)
NO (1) NO2020024I1 (ko)
NZ (1) NZ586861A (ko)
PL (2) PL2666774T3 (ko)
PT (2) PT2666774E (ko)
RS (2) RS53052B (ko)
RU (1) RU2445314C9 (ko)
SI (2) SI2666774T1 (ko)
UA (1) UA101966C2 (ko)
WO (1) WO2009091856A2 (ko)
ZA (1) ZA2010053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01966C2 (en) * 2008-01-18 2013-05-27 Мерк Шарп Енд Доме Корп. Beta-lactamase inhibitors
ES2789177T3 (es) 2010-08-10 2020-10-26 Melinta Therapeutics Inc Derivados de éster del ácido borónico cíclico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y usos terapéuticos de los mismos
CN103328476B (zh) * 2010-12-22 2016-12-28 明治制果药业株式会社 光学活性二氮杂环辛烷衍生物及其制备方法
US8772490B2 (en) 2010-12-22 2014-07-08 Meiji Seika Pharma Co., Ltd. Optically active diazabicycloocta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RU2769076C2 (ru) * 2011-06-17 2022-03-28 Пфайзер Анти-Инфективз Аб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включая транс-7-оксо-6-(сульфокси)-1,6-диазабицикло[3.2.1]октан-2-карбоксамид и его соли
JP5666743B2 (ja) * 2011-08-27 2015-02-12 ウォックハート リミテッド 1,6−ジアザビシクロ[3,2,1]オクタン−7−オン誘導体および細菌感染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WO2013030735A1 (en) 2011-08-30 2013-03-07 Wockhardt Limited 1,6- diazabicyclo [3,2,1] octan- 7 - 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WO2013033461A1 (en) 2011-08-31 2013-03-07 Rempex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boronic acid ester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8796257B2 (en) 2011-12-02 2014-08-05 Naeja Pharmaceutical Inc. Bi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and β-lactamase inhibitors
US9505761B2 (en) 2011-12-02 2016-11-29 Fedora Pharmaceuticals Inc. Bi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and beta-lactamase inhibitors
AU2013207510A1 (en) * 2012-01-06 2014-07-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methods of use, and methods of treatment
US8969570B2 (en) 2012-03-30 2015-03-03 Cubist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KR20150003777A (ko) 2012-03-30 2015-01-09 큐비스트 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이속사졸 β-락타마제 억제제
US8916709B2 (en) 2012-03-30 2014-12-23 Cubist Pharmaceuticals, Inc. 1,2,4-oxadiazole and 1,2,4-thiadiazole β-lactamase inhibitors
TW201343645A (zh) 2012-03-30 2013-11-01 Cubist Pharm Inc 1,3,4-□二唑及1,3,4-噻二唑β-內醯胺酶抑制劑
AR090539A1 (es) * 2012-04-02 2014-11-19 Astrazeneca Ab COMPUESTOS INHIBIDORES DE b LACTAMASA
EP2847327B1 (en) 2012-05-08 2018-12-26 Codexis, Inc. Biocatalysts and methods for hydroxylation of chemical compounds
US9156858B2 (en) 2012-05-23 2015-10-13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MX366948B (es) 2012-05-30 2019-07-30 Meiji Seika Pharma Co Ltd Nuevo inhibidor de beta-lactamasa y proceso para prepararlo.
US10561675B2 (en) 2012-06-06 2020-02-18 Rempex Pharmaceuticals, Inc. Cyclic boronic acid ester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A2881169C (en) * 2012-08-25 2020-06-16 Wockhardt Limited 1,6-diazabicyclo [3,2,1]octan - 7 - 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EP2915805A4 (en) 2012-11-01 2016-03-23 Kaneka Corp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LY ACTIVE BICYCLIC UREA COMPOUND
WO2014089365A1 (en) 2012-12-07 2014-06-12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UA111925C2 (uk) * 2012-12-11 2016-06-24 Федора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 БІЦИКЛІЧНІ СПОЛУКИ ТА ЇХ ВИКОРИСТАННЯ ЯК АНТИБАКТЕРІАЛЬНИХ АГЕНТІВ ТА ІНГІБІТОРІВ β-ЛАКТАМАЗИ
AU2014204046B2 (en) 2013-01-04 2017-02-23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A2894891A1 (en) 2013-01-04 2014-07-10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9101638B2 (en) 2013-01-04 2015-08-11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9241947B2 (en) 2013-01-04 2016-01-26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4110442A1 (en) 2013-01-10 2014-07-17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US9624222B2 (en) 2013-03-08 2017-04-18 Wockhardt Limit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2S, 5R)-7-oxo-6-sulphooxy-2-[((3R)-pyrrolidine-3-carbonyl)-hydrazino carbonyl]-1,6-diaza-bicyclo[3.2.1]octance
KR101774132B1 (ko) 2013-03-08 2017-09-01 욱크하르트 리미티드 (2s, 5r)-7-옥소-6-술포옥시-2-[((3r)-피페리딘-3-카보닐)-히드라지노 카보닐]-1,6-디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의 제조 방법
US9556174B2 (en) 2013-03-08 2017-01-31 Wockhardt Limited (2S, 5R)-sulfuric acid mono-{[(4-aminopiperidin-4-yl) carbonyl]-7-oxo-1,6-diaza-bicyclo[3.2.1]-oct-6-yl} ester
CN105143226A (zh) * 2013-03-08 2015-12-09 沃克哈特有限公司 制备(2s,5r)-2-甲酰胺基-7-氧代-6-磺酰氧基-1,6-二氮杂-双环[3.2.1]辛烷的钠盐的方法
RU2627700C2 (ru) * 2013-03-08 2017-08-10 Вокхардт Лимите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s,5r)-7-оксо-6-сульфоокси-2-[((3r)-пиперидин-3-карбонил)-гидразинокарбонил]-1,6-диазабицикло[3.2.1]октана
WO2014135931A1 (en) * 2013-03-08 2014-09-12 Wockhardt Limited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2s, 5r)-7-oxo-6-sulphooxy-2-[((3r)-piperidine-3-carbonyl)-hydrazino carbonyl]-1,6-diaza-bicyclo [3.2.1]- octane
US9944658B2 (en) 2013-03-14 2018-04-17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EP2970338A1 (en) 2013-03-14 2016-01-20 Merck Sharp & Dohme Corp. Crystalline form of a beta-lactamase inhibitor
JP6427173B2 (ja) * 2013-06-10 2018-11-21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Merck Sharp & Dohme Corp. tert−ブチル 4−((1R,2S,5R)−6−(ベンジルオキシ)−7−オキソ−1,6−ジアザビシクロ[3.2.1]オクタン−2−カルボキサミド)ピペリジン−1−カルボキシレートの調製
HUE049027T2 (hu) 2013-09-24 2020-08-28 Meiji Seika Pharma Co Ltd Diazabiciklooktán-származékok és intermedierek elõállítási eljárása
US9120796B2 (en) 2013-10-02 2015-09-01 Cubist Pharmaceuticals, Inc. B-lactamase inhibitor picoline salt
JP6617029B2 (ja) 2013-10-08 2019-12-04 Meiji Seikaファルマ株式会社 ジアザビシクロオクタン誘導体の結晶とその製造法
US9604986B2 (en) 2013-11-26 2017-03-28 Wockhardt Limited Polymorph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2S, 5R)-7-oxo-N-[(2S)-pyrrolidin-2-yl-methyloxy]-6-(sulfooxy)-1,6-diazabicyclo[3.2.1]octane-2-carboxamide
SG11201606711UA (en) 2014-03-24 2016-10-28 Novartis Ag Monobactam organ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IN2014MU01195A (ko) * 2014-03-29 2015-10-02 Wockhardt Ltd
WO2015150890A1 (en) * 2014-03-29 2015-10-08 Wockhardt Limited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ans-sulfuric acid mono-{2-(5-(3-amino-propyl)-[1,3,4]oxadiazol-2-yl]-7-oxo-1,6-diazabicyclo [3.2.1] oct-6-yl}ester
EP3140310B1 (en) 2014-05-05 2019-08-07 Rempex Pharmaceuticals, Inc. Synthesis of boronate salts and uses thereof
EP3139930A4 (en) 2014-05-05 2018-01-17 Rempex Pharmaceuticals, Inc. Salts and polymorphs of cyclic boronic acid ester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N106459096B (zh) 2014-05-19 2019-03-08 莱姆派克斯制药公司 硼酸衍生物及其治疗用途
ES2874579T3 (es) 2014-06-11 2021-11-05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betalactamasa
US9511142B2 (en) 2014-06-11 2016-12-06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CA2952968A1 (en) 2014-07-01 2016-01-07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RS58429B1 (sr) 2014-11-17 2019-04-30 Entasis Therapeutics Ltd Kombinovana terapija za lečenje rezistentnih bakterijskih infekcija
WO2016081297A1 (en) 2014-11-18 2016-05-26 Rempex Pharmaceuticals, Inc. Cyclic boronic acid ester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N107428784B (zh) 2014-12-02 2020-08-21 默沙东公司 用于制备4-((2s,5r)-6-(苄基氧基)-7-氧代-1,6-二氮杂双环[3.2.1]辛烷-2-甲酰胺基)哌啶-1-甲酸叔丁酯及其类似物的方法
US10294224B2 (en) 2014-12-05 2019-05-21 Meiji Seika Pharma Co., Ltd. Lyophilized composition of a diazabicyclooctane compound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US20180051041A1 (en) 2015-03-17 2018-02-22 Rempex Pharmaceuticals, Inc. Boronic acid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MX2017012539A (es) 2015-03-31 2018-09-28 Mutabilis Compuestos heterociclicos y su uso en la prevencion o tratamiento de las infecciones bacterianas.
JP6767392B2 (ja) * 2015-05-07 2020-10-14 ミュタビリスMutabilis 複素環式化合物及び細菌感染の治療又は予防におけるその使用
CN108472284A (zh) 2015-09-11 2018-08-31 维纳拓尔斯制药公司 β-内酰胺酶抑制剂
MX2017013792A (es) * 2015-09-16 2018-07-06 Xuanzhu Pharma Co Ltd INHIBIDORES DE íŸ-LACTAMASA Y USOS DE LOS MISMOS.
AU2016332964A1 (en) 2015-10-02 2018-04-12 Legochem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eta-lactamase
WO2017100537A1 (en) 2015-12-10 2017-06-15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JP6643484B2 (ja) * 2015-12-11 2020-02-12 ウォックハート リミテッド 7−オキソ−6−(スルホオキシ)−1,6−ジアザビシクロ[3.2.1]オクタン−2−カルボキサミド含有化合物および細菌感染症の治療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WO2017136254A1 (en) 2016-02-04 2017-08-10 Merck Sharp & Dohme Corp. Methods of preparing hydroxylamine derivatives useful in the preparation of anti-infective agents
CN108778270B (zh) * 2016-03-31 2021-07-30 吉林四环制药有限公司 一种抗菌组合物及其用途
WO2017213758A1 (en) 2016-06-09 2017-12-14 Codexis, Inc. Biocatalysts and methods for hydroxylation of chemical compounds
ES2894251T3 (es) 2016-06-30 2022-02-14 Qpex Biopharma Inc Derivados de ácido borónico y usos terapéuticos de los mismos
WO2018027062A1 (en) 2016-08-04 2018-02-08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oron-containing compounds
CN114591223A (zh) * 2016-09-16 2022-06-07 恩塔西斯治疗有限公司 β-内酰胺酶抑制剂化合物
EP3515915B1 (en) * 2016-09-19 2021-08-04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preparing beta-lactamase inhibitor hydroxylurea intermediates
JOP20190061A1 (ar) * 2016-09-28 2019-03-26 Novartis Ag مثبطات بيتا-لاكتاماز
CN108078982B (zh) * 2016-11-21 2020-02-07 天津大学 脯氨酸衍生物在制备β-内酰胺酶抑制剂中的用途
AU2018230991B2 (en) 2017-03-06 2023-07-13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Solid forms and combin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a beta-lactamase inhibitor and uses thereof
CN108619141B (zh) * 2017-03-16 2021-09-10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组合物及其用途
TWI791018B (zh) 2017-05-08 2023-02-01 美商安特西醫療公司 治療細菌感染之化合物及方法
US10085999B1 (en) * 2017-05-10 2018-10-02 Arixa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8218154A1 (en) 2017-05-26 2018-11-29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Penicillin-binding protein inhibitors
CN110959008A (zh) 2017-05-26 2020-04-03 维纳拓尔斯制药公司 青霉素结合蛋白抑制剂
MA49623A (fr) 2017-07-21 2021-03-17 Antabio Sas Composés chimiques
CN109568323B (zh) * 2017-09-29 2022-09-30 吉林四环制药有限公司 抗菌组合物及其用途
CN111212843A (zh) 2017-10-11 2020-05-29 Qpex生物制药有限公司 硼酸衍生物及其合成
EP3719020B1 (en) 2017-12-01 2022-09-21 Qilu Pharmaceutical Co., Ltd. Crystal form of beta-lactamase inhibi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9956941B (zh) * 2017-12-25 2020-08-04 新发药业有限公司 一种阿维巴坦的简便制备方法
EP3744722A4 (en) 2018-01-25 2021-11-03 Suzhou Sinovent Pharmaceuticals Co., Ltd. Ss-LACTAMASE INHIBITOR AND ITS USE
EP3572411A1 (en) 2018-05-21 2019-11-27 Antabio SAS Thiazole derivatives as metallo-beta-lactamase inhibitors
US11905286B2 (en) 2018-08-09 2024-02-20 Antabio Sas Diazabicyclooctanones as inhibitors of serine beta-lactamases
EP3670512A1 (en) * 2018-12-18 2020-06-24 Antabio SAS Diazabicyclooctanones as inhibitors of serine beta-lactamases
AU2019318115B2 (en) * 2018-08-09 2024-04-18 Antabio Sas Diazabicyclooctanones as inhibitors of serine beta-lactamases
US11897844B2 (en) * 2018-09-21 2024-02-13 Api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mino acid derivatives
CA3114618C (en) 2018-10-01 2023-09-05 Arixa Pharmaceuticals, Inc. Derivatives of relebactam and uses thereof
CN111072660B (zh) * 2018-10-22 2021-05-18 新发药业有限公司 一种瑞来巴坦的简便制备方法
AU2020237440B2 (en) 2019-03-12 2022-10-20 Arixa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 of an avibactam derivative
US20220194941A1 (en) * 2019-04-26 2022-06-23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TERMEDIATES USEFUL FOR MAKING (2S,5R)-7-OXO-N-PIPERIDIN-4-YL-6-(SULFOXY)-l,6-DIAZABICYCLO[3.2.1]OCTANE-2-CARBOXAMIDE
WO2022047790A1 (en) * 2020-09-07 2022-03-10 Ningxia Academ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ciences Amidine substituted bi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and beta-lactamase inhibitors
CN111943950B (zh) * 2020-09-10 2022-03-29 山东安信制药有限公司 一种瑞来巴坦的制备方法
US11814385B2 (en) * 2021-06-25 2023-11-1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mall molecule inhibitors targeting Clostridioides difficile sporulation
WO2023220324A1 (en) * 2022-05-11 2023-11-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Antibiot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843A (en) 1978-07-24 1991-12-10 Merck & Co., Inc. Combination of 2-substituted carbapenems with dipeptidase inhibitors
US4880793A (en) 1978-07-24 1989-11-14 Merck & Co., Inc. Combination of thienamycin-type antibiotics with dipeptidase inhibitors
US4616038A (en) 1978-07-24 1986-10-07 Merck & Co., Inc. Combination of thienamycin-type antibiotics with dipeptidase inhibitors
US4539208A (en) 1980-09-17 1985-09-03 Merck & Co., Inc. Combination of thienamycin-type antibiotics with dipeptidase inhibitors
ES2090393T3 (es) 1991-04-11 1996-10-16 Hoffmann La Roche Beta-lactamas.
PL179435B1 (pl) 1993-12-29 2000-09-29 Pfizer Diazabicykliczni antagonisci neurokininy PL
JP3199300B2 (ja) 1994-05-09 2001-08-13 三共株式会社 1−メチルカルバペネム誘導体
NZ324447A (en) 1995-12-21 1999-08-30 Sankyo Co 1-methyl-carbapenem substituted by a 4-pyrrolidinylthio group and medicaments
JP2965922B2 (ja) * 1995-12-21 1999-10-18 三共株式会社 1−メチルカルバペネム誘導体
JP2955276B2 (ja) 1997-06-19 1999-10-04 三共株式会社 1−メチルカルバペネム誘導体を含有する抗菌剤
JP4490517B2 (ja) 1998-03-19 2010-06-30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5−デオキシ−5−アルカノイルアミノ−β−D−アロフラノシルウロン酸誘導体またはその塩、それらを含有する抗真菌剤及びキチン合成酵素阻害剤
AU770599B2 (en) 1999-07-06 2004-02-26 Methylgene Inc. Sulfonamidomethyl phosphonate inhibitors of beta-lactamase
CZ2002498A3 (cs) 1999-08-10 2002-07-17 British Biotech Pharmaceuticals Ltd. Deriváty kyseliny hydroxamové a N-formylhydroxylaminu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FR2812635B1 (fr) 2000-08-01 2002-10-11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 bacteriens
JP2002212182A (ja) * 2000-11-16 2002-07-31 Sankyo Co Ltd 1−メチルカルバペネム誘導体
SK5982003A3 (en) 2000-11-16 2004-05-04 Sankyo Co 1-Methylcarbapenem derivatives
FR2825705B1 (fr) 2001-06-08 2005-05-20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bacteriens
FR2835186B1 (fr) * 2002-01-28 2006-10-20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actifs comme inhibiteurs de beta-lactamases
JP2004043438A (ja) 2002-05-15 2004-02-12 Sankyo Co Ltd 1−メチルカルバペネム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
US7439253B2 (en) 2002-12-06 2008-10-21 Novexel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in particular as antibacterials and beta-lactamase inhibitors
EA201001081A1 (ru) * 2003-07-09 2011-02-28 Пэрэтек Фамэсьютикэлс, Инк. Соединения тетрациклин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к тетрациклину состояния у субъекта
US6984652B2 (en) 2003-09-05 2006-01-10 Warner-Lambert Company Llc Gyrase inhibitors
JP2008502583A (ja) * 2003-10-01 2008-01-31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抗細菌性アミド大員環
EP1751527A2 (en) 2004-02-24 2007-02-14 SSCI, Inc. Analysis and screening of solid forms using the atomic pair distribution function
CN101410111B (zh) 2005-12-07 2012-12-12 巴斯利尔药物股份公司 单环-内酰胺类抗生素与β-内酰胺酶抑制剂的有效的联合应用
WO2008039420A2 (en) 2006-09-27 2008-04-03 Merck & Co., Inc. Novel inhibitors of beta-lactamase
UA101966C2 (en) * 2008-01-18 2013-05-27 Мерк Шарп Енд Доме Корп. Beta-lactam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0C1030I1 (fr) 2020-02-10
SI2231667T1 (sl) 2013-12-31
CN101918407A (zh) 2010-12-15
LTPA2020518I1 (lt) 2020-07-27
FR20C1031I1 (ko) 2020-02-10
RU2445314C1 (ru) 2012-03-20
ECSP10010345A (es) 2010-08-31
MX2010007823A (es) 2010-08-10
CY1114900T1 (el) 2016-12-14
RU2445314C9 (ru) 2013-04-10
RS53862B1 (en) 2015-08-31
BRPI0906871A2 (pt) 2020-07-28
PT2231667E (pt) 2013-12-13
LTPA2020516I1 (lt) 2020-07-27
MY162532A (en) 2017-06-15
AU2009206119B2 (en) 2012-06-07
FR20C1032I1 (ko) 2020-02-10
CY2020023I2 (el) 2020-11-25
EP2231667B1 (en) 2013-09-04
NZ586861A (en) 2011-12-22
JP2012214475A (ja) 2012-11-08
NL301050I2 (nl) 2020-09-03
JP5038509B2 (ja) 2012-10-03
HUS000504I2 (hu) 2021-03-29
NI201000115A (es) 2011-07-08
US8487093B2 (en) 2013-07-16
CY1116243T1 (el) 2017-03-15
JP5422020B2 (ja) 2014-02-19
WO2009091856A2 (en) 2009-07-23
CR11626A (es) 2010-09-13
FR20C1031I2 (fr) 2022-07-29
CY2020025I2 (el) 2020-11-25
HK1186180A1 (en) 2014-03-07
CY2020025I1 (el) 2020-11-25
AU2009206119A1 (en) 2009-07-23
ZA201005333B (en) 2011-04-28
JP2011207900A (ja) 2011-10-20
CY2020024I1 (el) 2020-11-25
PL2666774T3 (pl) 2015-06-30
DK2231667T3 (da) 2013-12-16
CN101918407B (zh) 2014-02-26
LTPA2020517I1 (lt) 2020-07-27
PL2231667T3 (pl) 2014-01-31
WO2009091856A3 (en) 2009-12-03
ES2433744T3 (es) 2013-12-12
FR20C1030I2 (fr) 2021-08-27
LTC2231667I2 (lt) 2021-07-26
SI2666774T1 (sl) 2015-04-30
DK2666774T3 (en) 2015-03-23
IL206395A (en) 2015-04-30
AU2009206119C1 (en) 2016-05-26
UA101966C2 (en) 2013-05-27
NL301051I2 (nl) 2020-09-03
LTC2666774I2 (lt) 2022-01-25
JP5597164B2 (ja) 2014-10-01
HUS2000023I1 (hu) 2021-03-29
RS53052B (en) 2014-04-30
HRP20150269T1 (hr) 2015-04-24
EP2231667A2 (en) 2010-09-29
EP2666774A1 (en) 2013-11-27
CA2712783C (en) 2013-03-19
CY2020023I1 (el) 2020-11-25
KR20100130176A (ko) 2010-12-10
HK1143809A1 (en) 2011-01-14
EP2666774B1 (en) 2015-01-07
MA32025B1 (fr) 2011-01-03
ES2533826T3 (es) 2015-04-15
HUS2000024I1 (hu) 2021-03-29
LUC00165I2 (ko) 2021-08-16
US20130274475A1 (en) 2013-10-17
CN102827067B (zh) 2015-09-23
BRPI0906871B1 (pt) 2021-09-28
JP2011510012A (ja) 2011-03-31
HN2010001395A (es) 2012-11-12
HUS000513I2 (hu) 2021-03-29
FR20C1032I2 (fr) 2022-07-29
CY2020024I2 (el) 2020-11-25
ECSP10010568A (es) 2010-11-30
NO2020024I1 (no) 2020-08-10
DOP2010000218A (es) 2010-08-31
CN102827067A (zh) 2012-12-19
US20110294777A1 (en) 2011-12-01
CO6331438A2 (es) 2011-10-20
KR101800610B1 (ko) 2017-11-23
KR101648728B1 (ko) 2016-08-17
PT2666774E (pt) 2015-04-13
HRP20131123T1 (hr) 2013-12-20
ME02089B (me) 2014-04-30
IL206395A0 (en) 2010-12-30
CA2712783A1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610B1 (ko) 베타­락타마제 억제제
TW201107325A (en) Nitrogen-containing spiro cycli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JP2010504967A (ja) 新規なβ−ラクタマーゼ阻害剤
HU228082B1 (en) Cyclic amine derivatives usabl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embolism, thrombosis or arteriosclerosis and use thereof
TW200813020A (en) Substituted 3-amino-pyrrolidino-4-lactams
KR20150093809A (ko) 신규한 바이사이클릭 화합물, 및 항균제 및 β-락타마제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CA2415468A1 (en) Ester derivatives
CA3061238A1 (en) Indole derivatives as efflux pump inhibitors
TWI829686B (zh) 氧基取代化合物
CN108619141B (zh) 一种抗菌组合物及其用途
CN108778270B (zh) 一种抗菌组合物及其用途
JP2021504408A (ja) 呼吸器合胞体ウイルス(rsv)に対する活性を有するピラゾロピリミジン
EP0356193B1 (en) Amino-substituted bridged azabicyclic quinolone carboxylic acids and esters
JP2008201675A (ja) ムチリ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