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618A -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 Google Patents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618A
KR20160097618A KR1020150019513A KR20150019513A KR20160097618A KR 20160097618 A KR20160097618 A KR 20160097618A KR 1020150019513 A KR1020150019513 A KR 1020150019513A KR 20150019513 A KR20150019513 A KR 20150019513A KR 20160097618 A KR20160097618 A KR 2016009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open
concrete found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524B1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to KR102015001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5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와 콘크리트기초 사이의 연결부위를 개폐하도록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COVERING DEVICE FOR SUPPORT IN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방음벽 지주의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이미 설치된 방음벽에 커버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하 수 있으며,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 연결부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용도로변, 주거 밀집지역 및 학교나 병원이 인접해 있는 도로변, 그리고 교량의 가장자리 또는 철도와 주거지역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나 기차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를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 및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방음벽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음벽은 콘크리트 기초 위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세워 고정하고, 인접한 지주 사이에 흡음기능을 가진 패널을 차곡차곡 끼워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패널이 발생된 소음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된 다수개의 앙카볼트에 지주 하단의 지주플레이트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보강리브를 지주의 양 측면에 용접함으로써 지주가 튼튼하게 세워져 있도록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 외에도 지주를 세워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공지된 바와 같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주 세우고 방음패널을 끼워 방음벽을 완성하는 종래의 방음벽 구조에 의하면 당연하게도 방음벽의 하부, 특히 기초 콘크리트와 지주가 연결되는 부분에 앙카볼트나 보강리브와 같은 지저분한 구성들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지저분한 구성들이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보는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는바, 이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어왔다.
또한, 지주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지주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방음판넬과 기초 콘크리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짐으로 틈새를 통한 소음의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음벽의 하부, 즉 기초 콘크리트와 지주 사이의 연결부위에 커버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4957호(2010년 11월 1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방음벽용 하부커버)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벽용 하부커버는 지주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설치하고 별도의 개폐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방음벽에 커버를 설치하기 어려우며, 지주와 기초 콘크리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 커버를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방음벽 지주의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이미 설치된 방음벽에 커버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하 수 있으며,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 연결부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와 콘크리트기초 사이의 연결부위를 개폐하도록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개방유지부가 안착되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는 걸림굴곡부와, 상기 지주의 장착패널을 감싸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연결홈부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회전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측으로 배치되면 상기 커버를 지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는, 지주의 외벽에 설치되는 힌지부에 의해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이미 시공된 방음벽에 힌지부 및 커버를 설치하여 지주와 콘크리트기초의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는, 개방유지부에 의해 커버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콘크리트기초와 지주의 연결부위에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을 행할 때에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는,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커버를 용이하게 개방시키면 개방유지부에 의해 커버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커버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장치가 설치된 방음벽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분새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의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장치가 설치된 방음벽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분새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는, 방음벽(1) 지주(10)와 콘크리트기초(3) 사이의 연결부위를 개폐하도록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0)와,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설치되고 커버(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50)와,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30)를 지지하는 개방유지부(70)를 포함한다.
새롭게 시공되는 방음벽(1) 또는 기존에 시공완료된 방음벽(1) 지주(10)에 힌지부(50)를 설치하고 커버(30) 및 개방유지부(70)를 설치하여 지주(10)와 콘크리트기초(3) 사이의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 또는 눈이 지지플레이트 및 앵커볼트(14)에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우수 또는 눈에 의해 지지플레이트 및 앵커볼트(14)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앵커볼트(14)에 체결되는 너트부재(56b) 등을 교체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는 개방유지부(70)에 의해 커버(3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커버(30)에는, 개방유지부(70)가 안착되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는 걸림굴곡부(32)와, 지주(10)의 장착패널(12)을 감싸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34)가 구비된다.
커버(30)는 배면 및 저면이 개방되고 전면, 상면 및 양측면이 밀폐되는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면 하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34)가 형성되어 커버(30)가 지주(10)와 콘크리트기초(3) 사이의 연결부위에 안착될 때에 확장부(34)에 의해 지주(10) 하단에 설치되는 장착패널(12)을 감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3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36)가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커버(30)의 상면과 경사부(36) 사에 형성되는 걸림굴곡부(32)에 지지패널(74)이 안착되어 커버(3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커버(30)의 상면에는 힌지부(50)가 연결되도록 연결홀부(38)가 형성되고, 커버(30)의 하부와 경사부(36) 사이에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경계선이 형성된다.
힌지부(50)는, 커버(30)에 연결되는 연결홈부(52a)와,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지지되는 회전축(72)을 구비하는 회전부재(52)와, 회전축(7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설치되는 회전파이프(54)를 포함한다.
회전파이프(54)는 힌지축(52b)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힌지축(52b)의 외경과 비교하여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설치되어 커버(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회전파이프(54)가 지주(10)의 전면에 용접되는 연결구조를 설명하지만 회전파이프(54)가 콘크리트기초(3)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또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재(52)는 중앙부에는 볼트부재(56a)가 통과되는 연결홈부(52a)가 형성되고, 연결홈부(52a)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에는 각각 회전파이프(5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52b)이 형성된다.
커버(30)의 내벽에 회전부재(52)를 설치하여 지주(10)에 용접된 한 쌍의 회전파이프(54)에 삽입하는데, 이때, 회전부재(52)의 양단부를 연결홈부(52a) 측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킨 후에 한 쌍의 힌지축(52b)을 회전파이프(54)에 대향되게 배치시킨 후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회전부재(52)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양단부 형성되는 힌지축(52b)이 회전파이프(54)에 삽입된다.
회전부재(52)의 연결홈부(52a)는 커버(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홀부(38)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연결홀부(38)를 통해 삽입되는 볼트부재(56a)가 너트부재(56b)와 결합되면서 회전부재(52)를 커버(30)의 내벽이 밀착시키게 된다.
개방유지부(70)는, 지주(10) 또는 콘크리트기초(3)에 설치되는 회전축(72)과, 회전축(72)에 설치되고 커버(30) 측으로 배치되면 커버(30)를 지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패널(74)을 포함한다.
지주(10)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한 쌍의 보강리브(16)가 설치되고, 한 쌍의 보강리브(16) 사이에는 한 쌍의 회전홀부(72a)가 설치되며, 한 쌍의 회전홀부(72a)에는 회전축(7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72)에는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패널(74)이 설치되고, 지지패널(74)의 단부에는 회전축(72) 측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지지굴곡부(7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30)를 개방한 후에 지지패널(74)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지지굴곡부(74a)를 걸림굴곡부(32)에 안착시키면 지지패널(74), 커버(30)의 상면 및 지주(10)의 전면이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면서 커버(30)의 내벽을 지지패널(74)이 지지하는 형상을 이루게 되면서 커버(3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패널(74)이 커버(30)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지지패널(74)의 단부에 하측 방향으로 커버(30)의 하중이 전달되는데, 이때, 지지패널(74)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굴곡부(74a)에 의해 커버(30)의 하중이 전달되는 부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커버(30)의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지지굴곡부(74a)가 걸림굴곡부(32)에 걸리면서 지지패널(74)의 단부가 커버(3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방음벽(1) 또는 새로 시공되는 방음벽(1)의 지주(10) 전면에 한 쌍의 회전홀부(72a) 및 한 쌍의 회전파이프(54)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회전파이프(54)에 회전부재(52)를 삽입하고 커버(30)의 연결홀부(38)에 볼트부재(56a) 및 너트부재(56b)를 설치하여 회전부재(52)에 커버(3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30)가 지주(10)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30)가 콘크리트기초(3)에 안착되면 확장부(34)에 의해 장착패널(12) 및 앵커볼트(14)가 감싸지도록 마감되므로 지주(10)와 콘크리트기초(3) 사이의 연결부위가 미려하게 마감되고 우수 또는 눈에 의해 장착패널(12) 및 앵커볼트(14)가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음벽(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장기간 경과되어 앵커볼트(14)에 설치되는 너트를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될 때에는 작업자가 커버(3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패널(74)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지지굴곡부(74a)가 걸림굴곡부(32)에 안착되면서 커버(3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의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는, 지지패널(74)을 회전시켜 커버(30)를 개방시키고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조작부(80)를 더 포함하고, 조작부(80)는, 회전축(72)으로부터 커버(30)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재(82)와, 레버부재(82)가 통과되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간섭홈부(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회전축(72)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부재(82)가 보강리브(16) 및 커버(3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커버(30)를 개방시킬 때에 레버부재(82)를 회전시키면 회전축(72)이 회전되면서 지지패널(74)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므로 지지패널(74)에 의해 커버(30)가 개방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레버부재(82)의 회전을 지속하면 지지패널(74)이 커버(30)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지지굴곡부(74a)가 걸림굴곡부(32)에 안착되면서 커버(30)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커버(30)를 개방시키는 작업을 행할 때에 한 손에 공구를 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사용하여 레버부재(82)를 회전시키면서 커버(30)를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방음벽 지주의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이미 설치된 방음벽에 커버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하 수 있으며,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 연결부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커버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방음벽 3 : 콘크리트기초
10 : 지주 12 : 장착패널
14 : 앵커볼트 16 : 보강리브
18 : 방음패널 30 : 커버
32 : 걸림굴곡부 34 : 확장부
36 : 경사부 37 : 경계선
38 : 연결홀부 50 : 힌지부
52 : 회전부재 52a : 연결홈부
52b : 힌지축 54 : 회전파이프
56 : 체결부재 56a : 볼트부재
56b : 너트부재 70 : 개방유지부
72 : 회전축 72a : 회전홀부
74 : 지지패널 74a : 지지굴곡부
80 : 조작부 82 : 레버부재
84 : 간섭홈부

Claims (5)

  1. 방음벽 지주와 콘크리트기초 사이의 연결부위를 개폐하도록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개방유지부가 안착되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는 걸림굴곡부와, 상기 지주의 장착패널을 감싸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연결홈부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회전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측으로 배치되면 상기 커버를 지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가 통과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KR1020150019513A 2015-02-09 2015-02-09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KR10172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13A KR101725524B1 (ko) 2015-02-09 2015-02-09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13A KR101725524B1 (ko) 2015-02-09 2015-02-09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18A true KR20160097618A (ko) 2016-08-18
KR101725524B1 KR101725524B1 (ko) 2017-04-11

Family

ID=5687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513A KR101725524B1 (ko) 2015-02-09 2015-02-09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26B1 (ko) * 2020-05-25 2020-10-13 대산산업(주) 방음벽 지주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677A (ko) 2021-05-04 2022-11-11 명보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벽 지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962A (ja) * 2004-01-19 2005-07-28 Zojirushi Corp 炊飯器の蓋ストッパ構造
KR200439602Y1 (ko) * 2006-11-27 2008-04-22 주식회사 현대금속 스토퍼의 안정된 설치상태가 확보된 디지털 도어록
KR20100056965A (ko) * 2009-10-21 2010-05-28 신동술 방음벽 지주대용 앵커볼트 보호캡
KR20110131410A (ko) * 2010-05-31 2011-12-07 태황건설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962A (ja) * 2004-01-19 2005-07-28 Zojirushi Corp 炊飯器の蓋ストッパ構造
KR200439602Y1 (ko) * 2006-11-27 2008-04-22 주식회사 현대금속 스토퍼의 안정된 설치상태가 확보된 디지털 도어록
KR20100056965A (ko) * 2009-10-21 2010-05-28 신동술 방음벽 지주대용 앵커볼트 보호캡
KR20110131410A (ko) * 2010-05-31 2011-12-07 태황건설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26B1 (ko) * 2020-05-25 2020-10-13 대산산업(주) 방음벽 지주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524B1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957B1 (ko) 내진성능 개선형 내진패널
KR101725524B1 (ko) 방음벽 지주용 커버링장치
JP4448066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320322B2 (ja) トンネル用防音壁
JP2011231476A (ja) オーバーレイ舗装における側溝の改修方法
JP4936809B2 (ja) 更生水路の構造、水路の更生方法
JP2009155920A (ja) 橋梁伸縮装置部の防音構造体
JP2006348523A (ja) 壁パネル接合構造、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及び地中連続壁
JP4190390B2 (ja) 建物躯体への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JP6585914B2 (ja) 引戸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S605960A (ja) 既設建物の外壁改装工法
KR102044342B1 (ko) 방음벽용 회동형 확장판 및 이를 구비한 보수용 방음벽
JP5743919B2 (ja) フロアヒンジ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2002168096A (ja) 鋼製セグメントの二次覆工法
KR101401800B1 (ko) 건설현장용 조립식 이동방음벽
JP5455389B2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JP4987913B2 (ja) 側溝改修工法
JP2002147121A (ja) 改修用開閉装置の取付方法及び改修された開閉装置
JP7213118B2 (ja) トンネルの防音扉の遮音施工方法及びトンネルの防音扉の遮音構造
JP5116242B2 (ja) 門柱改装方法及び門柱改装構造
JP5580957B2 (ja) ボルト固定金物
JPH0610470A (ja) 建築物の二重壁構造
JP2007332721A (ja) 壁パネルの補強用支持具および補強方法
JPH07301082A (ja) パーカッション式削孔装置
JP2003027840A (ja) 改装用建具枠の加工と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