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618A - 터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618A
KR20160095618A KR1020160010476A KR20160010476A KR20160095618A KR 20160095618 A KR20160095618 A KR 20160095618A KR 1020160010476 A KR1020160010476 A KR 1020160010476A KR 20160010476 A KR20160010476 A KR 20160010476A KR 20160095618 A KR20160095618 A KR 20160095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
layer
fingerprint recognition
concave groove
cov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 헤보
리 유-웬
장 유
수 푸-유
수 리앙첸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06K9/0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제어 감지 구조, 커버 렌즈 및 지문인식 구조를 포함하는 터치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커버 렌즈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구비한다. 제1 주 표면은 터치면이다. 커버 렌즈는 오목홈을 구비하며, 오목홈은 제2 주 표면에 설치되어 상면 및 상면과 이웃한 측면을 구비하고, 상면과 측면 간의 사잇각은 90도 이상이다. 지문인식구조 중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홈의 상면에 설치되고,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제2 주 표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오목홈의 가공 형성이 용이하고, 기타 어셈블리를 오목홈의 측면에 형성하기에도 유리하여 터치제어장치의 양품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제어장치{TOUCH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터치제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종의 터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문인식기술은 그것이 제공하는 보안인식기능에 힘입어 각종 전자장치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근래들어 이동장치에 응용되는 지문인식기술은 우수한 도난방지 기능 및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갖춤으로 인해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아울러 유사 전자장치의 후속되는 중요 발전 방향이 될 것이다.
종래 기술 중, 터치제어장치는 통상적으로 커버렌즈(Cover Lens)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터치하도록 조작 표면을 제공하고, 커버 렌즈 아래의 기능 어셈블리를 보호한다. 지문인식 구조는 커버렌즈 하부에 설치되며, 또한 커버렌즈 하부면의 오목홈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 중 상기 오목홈은 통상적으로 입방체의 오목홈으로서, 상기 형상의 오목홈은 상면과 측면의 기울기가 직각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가공 형성이 불편한 동시에 후속되는 기타 어셈블리가 오목홈 측면에 부착되기에도 불편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르면, 일종의 터치제어장치는 터치제어 감지 구조, 커버 렌즈 및 지문인식 구조를 포함한다. 커버 렌즈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구비한다. 제1 주 표면은 터치면이다. 커버 렌즈는 오목홈을 구비하며, 오목홈은 제2 주 표면에 설치되어 상면 및 상면과 이웃한 측면을 구비하고, 상면과 측면 간의 사잇각은 90도 이상이다. 지문인식구조 중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홈의 상면에 설치되고,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제2 주 표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상면과 측면 간의 사잇각은 95도 내지 175도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상면과 측면 간의 사잇각은 110도 내지 165도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는 상기 오목홈 상면에 인접한 표면이 지문인식 구조의 상면이고, 지문인식 구조의 상면과 커버 렌즈의 제1 주 표면 간의 최소 거리는 50 미크론 내지 450 미크론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지문인식 구조의 상면과 커버 렌즈의 제1 주 표면 간의 최소 거리는 80 미크론 내지 400 미크론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는 오목홈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차폐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는 지문인식 구조와 상면을 덮는 차폐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고정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제1 고정층의 두께는 5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차폐층의 두께는 20 미크론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는 지문인식 구조와 오목홈의 측면을 덮는 차폐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제2 고정층은 상기 제1 고정층과 함께 오목홈에 충진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제2 고정층은 지문인식 구조를 피복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지문인식 구조는 오목홈의 상면을 덮는 차폐층에 직접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지문인식 구조는 감지전극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감지전극 구조는 오목홈 및 제2 주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지문인식 구조는 집적회로 칩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커버 렌즈에 제작되는 터치제어 감지전극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기판층과 기판층의 일측에 설치되는 터치제어 감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커버 렌즈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더 구비하고; 터치제어장치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버퍼층은 커버 렌즈의 측면에서 상기 버퍼층의 외부면까지의 최대 두께가 0.03 내지 0.2mm이다.
터치제어장치 중, 커버 렌즈에 오목홈을 설치하고, 지문인식 구조를 오목홈에 설치함으로써, 지문인식 구조와 터치물, 예를 들어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커버 렌즈는 오목홈 이외의 부분이 여전히 적합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지문인식 구조에 필요한 감도 및 커버 렌즈의 전체 구조의 강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의 측면과 상면의 사잇각은 90도 이상으로서, 오목홈의 가공 형성이 용이하며, 기타 어셈블리를 오목홈의 측면에 형성하기에도 유리하여 터치제어장치의 양품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에 따른 것이다.
이하 도면으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방식을 공개하며,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많은 실무상의 세부 내용을 아래에서 함께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무상의 세부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방식 중, 이러한 실무상의 세부내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약간의 종래의 관용적인 구조와 어셈블리는 도면에서 간단히 표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2를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식은 일종의 터치제어장치(100)를 제공한다. 터치제어장치(10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이동장치일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제어장치(100)는 터치 감지 구조(110), 커버 렌즈(120) 및 지문인식 구조(130)를 포함한다. 커버 렌즈(12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주 표면(121)과 제2 주 표면(122)을 구비한다. 제1 주 표면(121)은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도록 제공되는 터치면이다. 터치 감지 구조(110)는 제2 주 표면(122)에 설치된다. 커버 렌즈(120)는 오목홈(123)을 구비하고, 오목홈(123)은 제2 주 표면(122)에 설치되어 상면(124) 및 상면(124)에 이웃한 측면(125)을 구비하며, 상면(124)과 측면(125) 간의 사잇각(θ)은 90도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오목홈(123)은 제2 주 표면(122)이 제1 주 표면(12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다. 지문인식 구조(130)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홈(123)의 상면(124)에 설치된다.
지문인식의 감도와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문인식 구조(130)와 예를 들어 손가락 같은 터치 물체 간의 거리가 너무 크지 않도록, 지문인식 구조(130)와 제1 주 표면(121) 간의 간격은 너무 커서는 안 된다. 이와 동시에, 커버 렌즈(120) 하부에 설치되는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 등과 같은 어셈블리가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고, 커버 렌즈(120)의 강도 및 내충격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커버 렌즈(120)의 두께 역시 너무 얇아서는 안 된다. 따라서, 오목홈(123)을 커버 렌즈(120)의 제2 주 표면(122)에 설치하고, 지문인식 구조(130)를 오목홈(123) 내에 설치하되,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 이외의 부분은 여전히 적합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지문인식의 감도와 정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터치제어장치(100)의 강도(또는 커버 렌즈(120)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인식 구조(130)가 커버 렌즈(120)에서 조작되는 지문을 보다 더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 렌즈(120)의 제1 주 표면(121)과 지문인식 구조(130)의 상면 간의 최소 거리(D)는 50 미크론 내지 450 미크론이며, 일부 실시방식에서 최소 거리(D)는 80 미크론 내지 400 미크론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 중, 지문인식 구조(130)의 상면은 지문인식 구조(130)가 오목홈(123) 상면(124)에 인접한 표면이다. 설명해야 할 점으로, 커버 렌즈(120)의 제1 주 표면(121)에 1층 또는 다층의 기능성 필름, 예를 들어 반사 방지, 눈부심 방지 또는 증투(reflection reducing) 필름 등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제1 주 표면(121)에 기타 기능성 필름이 더 설치되는 경우, 최소 거리(D)는 터치 물체가 실제로 터치하는 면에서 지문인식 구조(130) 상면까지의 최소 거리, 즉 기능성 필름의 커버 렌즈(120)에서 먼 표면에서 지문인식 구조(130)의 상면까지의 최소 거리여야 한다.
상면(124)과 측면(125) 간의 사잇각(θ)이 90도 이상이므로, 오목홈(123)의 측면(125)은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을 연결하는 하나의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다. 형상이 입방체인 오목홈에 비해, 커버 렌즈(120) 가공에 있어서, 특히 커버 렌즈(120)가 유리 등과 같이 경도가 비교적 높은 재질인 경우, 이와 같이 기울기를 갖는 오목홈(123)은 제2 주 표면(122)에 형성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따라서, 커버 렌즈(120)의 제조 양품률이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상면(124)과 측면(125) 간의 사잇각(θ)은 95도 내지 175도 또는 110도 내지 165도일 수 있다. 이상으로 예를 든 상면(124)과 측면(125)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소속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실제 필요에 따라 상면(124)과 측면(125)의 구체적인 각도 또는 형상이 조합된 실시방식을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측면(125)은 평면이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기타 실시방식에서, 측면(125)은 안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밖으로 만곡된 곡면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 측면(125)이 곡면일 경우, 상면(124)과 측면(125) 간의 사잇각은 상면(124)과 측면(125)을 제2 주 표면(122) 및 상면(124)의 양단과 연결하는 기기연결의 사잇각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방식 중, 지문인식 구조(130)는 정전용량식 지문인식 구조(130)이다. 지문인식 구조(130)는 감지전극 구조로서, 오목홈(123) 내측 및 제2 주 표면(122)의 일부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지문인식 구조(130)는 오목홈(123)의 상면(124), 측면(125) 및 측면(125)에 연결되는 제2 주 표면(122)의 일부에 설치된다. 오목홈(123)의 상면(124)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13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주 표면(122)의 일부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130)는 외부 회로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며, 오목홈(123)의 측면(125)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130)는 오목홈(123)의 상면(124)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130)와 제2 주 표면(122)의 일부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1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지문인식 구조(130)를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1층의 전도층을 오목홈(123)의 상면(124), 측면(125) 및 측면(125)에 연결되는 제2 주 표면(122)의 일부에 증착하고(이때 커버 렌즈(120)는 도 2를 거꾸로 놓은 상태, 즉 제2 주 표면(122)이 상부 표면이고, 오목홈(123)은 상방을 향한다), 전도층을 패터닝하여 지문인식 구조(130)를 형성한다.
오목홈(123)의 측면(125)에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을 연결하는 기울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도층이 오목홈(123)의 측면(125) 하부에 형성되기 용이하고, 또한 패터닝 공정 역시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오목홈(123)의 측면(125)과 각각 상면(124), 제2 주 표면(122) 사이의 기울기가 비교적 완만하므로, 지문인식 구조(130)의 감지전극 구조가 측면(125)에서 각각 상면(124) 및 제2 주 표면(122)과 연결부위가 끊어져 손상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100)는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 하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90)이 함께 터치제어와 디스플레이의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90)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CM),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모듈 등 터치제어 감지 구조와 접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는 커버 렌즈(120)에 제작되는 단층 터치제어 감지 전극 구조이며, 다시 말해,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는 커버 렌즈(120)와 함께 단일형 유리 터치제어 패널(One Glass Solution, OGS)을 형성한다. 또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의 재질은 금속 나노 도선, 투명 금속산화물 박막 또는 금속 메쉬(metal mesh) 등일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를 먼저 제2 주 표면(122)에 형성하고(이때 커버 렌즈(120)는 도 2를 거꾸로 놓은 상태, 즉 제2 주 표면(122)이 상부 표면이다), 이어서 커버 렌즈(120)와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를 디스플레이 모듈(190)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100)는 차폐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폐층(140)은 오목홈(123)의 상면(124), 측면(125) 및 일부 제2 주 표면(122)을 덮는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터치제어장치(100)를 바라보았을 때, 제1 주 표면(121)이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과 프레임 영역(121F)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 표면(122)에서 프레임 영역(F)의 정투영은 즉 제2 주 표면(122)이 차폐층(14)에 의해 덮이는 부분이고, 제2 주 표면(122)에서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의 정투영은 즉 제2 주 표면(122)에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가 설치된 부분이다. 이와 상응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90) 역시 주로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차폐층(140)은 통상적으로 불투명한 잉크, 포토레지스트 등 재료로 형성되어, 터치제어장치(100)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나타나며, 커버 렌즈(120) 하부에 위치하는 약간의 불투명한 어셈블리, 예를 들어 연성회로기판 및 전도성 회로 등을 차폐한다. 차폐층(140)은 단층 구조일 수도 있고, 다층 재료를 적층하여 구성된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차폐층(140)이 오목홈(123) 상면(124) 부분을 덮는 두께는 20 미크론보다 작거나 같다. 이상에 예를 들은 차폐층(140)의 재질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소속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실제 필요에 따라 차폐층(140)의 재질을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차폐층(140)을 커버 렌즈(120)의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에 형성하는 방법은 도포 후 리소그래피 에칭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 방법을 사용할 경우, 먼저 차폐층(140)을 오목홈(123)의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에 도포하고(이때 커버 렌즈(120)는 도 2를 거꾸로 놓은 상태, 즉 제2 주 표면(122)이 상부 표면이다), 이어서 리소그래피 에칭 과정을 실시하여, 제2 주 표면(122)에서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의 정투영 부분에 덮이는 차폐층(140)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하면, 차폐층(140)은 커버 렌즈(120)의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 중 프레임 영역(121F)에 위치하는 영역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폐층(140)이 커버 렌즈(120)의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 중 프레임 영역(121F)에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된 후, 이어서 차폐층(140)을 커버 렌즈(120)의 측면(125)에 형성한다. 차폐층(140)을 커버 렌즈(120)의 측면(125)에 형성하는 방법은 잉크 분사 또는 패드 인쇄일 수 있다.
상면(124)과 측면(125) 사이의 사잇각(θ)이 90도보다 크기 때문에,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을 연결하는 하나의 기울기(즉 측면(125))가 형성된다. 차폐층(140)은 잉크 분사 또는 패드 인쇄를 이용하여 측면(125)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차폐층(140)을 측면(125)에 형성할 수 없거나, 또는 차폐층(140)을 측면(125)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없어 차폐층(140)의 차폐가 불완전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차폐층(140)의 색상은 검정 또는 백색이다. 이상에 예를 든 차폐층(140)의 색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소속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갖춘 자라면 실제 필요에 따라 차폐층(140)의 색상을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차폐층(140)은 커버 렌즈(120)와 지문인식 구조(130) 사이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조 과정에서, 먼저 차폐층(140)을 커버 렌즈(120)에 형성한 다음, 지문인식 구조(130)를 차폐층(140)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커버 렌즈(120)는 제1 주 표면(121)과 제2 주 표면(122)을 연결하는 측면(126)을 더 구비한다. 터치제어장치(100)는 버퍼층(160)을 더 포함하며, 버퍼층(160)은 측면(126)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버퍼층(160)의 재질은 고정접착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접착제는 유동성과 점성을 지닌 겔체로서, 주요 성분은 예를 들어 아크릴산 수지이고, 상온에서 액체상태이며, 자외선과 같은 경화 공정을 거쳐 경화되어 형성된다. 고정접착제는 액체 상태에서 사출성형, 점착, 분사도포 또는 롤러 도포 등 방식으로 측면(126)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접착제의 점도는 500 내지 1200 밀리파스칼·초일 수 있으며, 경화 후의 경도는 70 내지 85D(쇼어 경도)이고, 버퍼층(160)은 커버 렌즈(120)의 측면(126)에서 버퍼층(160)의 외표면까지의 최대 두께(T)가 0.03 내지 0.2mm일 수 있으며, 0.08 내지 0.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버퍼층(160)의 외표면은 측면(126)에서 먼 표면이다. 따라서 버퍼층(160)은 외부의 힘을 완충하고 렌즈 커버(120)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는 렌즈 커버(120)는 가공 과정에서 측면(126)에 미세한 균열 또는 흠집에 나타날 수 있는데, 버퍼층(160)은 액체 상태에서 측면(126)의 미세한 균열 또는 흠집과 모세관 작용을 일으켜 상기 미세한 균열 및 흠집을 보수하여 커버 렌즈(1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특성의 고정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퍼층(160)을 형성하면 버퍼층(160)을 측면(126)에 긴밀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측면(126)의 내충격, 파열 방지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버 렌즈(120) 내지 터치제어장치(100)의 전체 강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앞 글의 단일형 유리 터치제어 패널에 대해 터치제어 패널의 내낙하, 내충격 능력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렌즈(120)의 재질은 투명한 고경도 재료이다. 예를 들어, 커버 렌즈(120)의 재질은 강화유리, 사파이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일 수 있다. 커버 렌즈(120)의 제1 주 표면(121)과 제2 주 표면(122)은 화학 또는 물리적으로 강화된 표면이고, 또한 커버 렌즈(120)의 측면(126) 역시 화학 또는 물리적으로 강화된 표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 렌즈(1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커버 렌즈(120)의 제1 주 표면(121) 및/또는 제2 주 표면(122)은 커버 렌즈(120)가 3D(3차원) 구조의 커버 렌즈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곡면일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 표면(121)은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 프레임 영역(121F) 및 지문인식 영역(121R)으로 더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 표면(121)에서 오목홈(123)의 정투영은 즉 지문인식 영역(121R)이고, 제1 주 표면(121)에서 상면(124)의 정투영은 지문인식 영역(121R)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또한, 제1 주 표면(121)상에서 지문인식 구조(130)의 정투영은 제1 주 표면(121)상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의 정투영과 중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지문인식 영역(121R)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기타 실시방식에서 지문인식 영역(121R)의 형상은 마름모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제어장치(100)는 제2 주 표면(122)에 설치되어 오목홈(123)을 둘러싸는 차폐 패턴층(142)을 더 포함한다. 차폐층(140), 차폐 패턴층(142)의 색상은 서로 다르며, 예를 들어, 차폐층(140)의 색상은 검정이고, 차폐 패턴층(142)의 색상은 적색 또는 청색이다. 따라서, 제1 주 표면(121)은 지문인식 영역(121R)의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121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폐 패턴층(142)의 제1 주 표면(121)에서의 정투영은 즉 표시 영역(121E)이다.
관련 제조 공정에서, 먼저 차폐층(140)을 제2 주 표면(122)에 형성하고, 제2 주 표면(122)에서 표시 영역(121E)의 정투영 상의 차폐층(140)을 제거하여 중공 구조를 형성한 다음, 이어서 제2 주 표면(122)에서의 표시 영역(121E)의 정투영에 차폐 패턴층(142)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과 전술한 실시방식은 대체로 동일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지문인식 구조(130)는 오목홈(123)의 상면(124) 하부에 설치되어, 오목홈(123)의 상면(124)을 덮는 차폐층(140)과 직접 접촉되는 집적회로 칩이다. 이상에 예를 든 지문인식 구조(130)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소속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실제 필요에 따라 지문인식 구조(130)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차폐층(140)은 선광성을 차폐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착 재료이다. 따라서, 차폐층(140)은 차폐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지문인식 구조(130)를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기타 실시방식 중, 지문인식 구조(130)는 반드시 차폐층(140)을 통해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에 고정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지문인식 구조(130)는 보조 어셈블리의 설치를 통해 커버렌즈(120)의 오목홈(123)에 고정되거나, 또는 오목홈(123)의 크기 또는 형상을 지문인식 구조(130)가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제어장치(100)는 오목홈(123)의 상면(124)에 설치되는 차폐 패턴층(142)을 더 포함한다. 차폐층(140), 차폐 패턴층(142)의 색상은 서로 다르며, 예를 들어, 차폐층(140)의 색상은 검정이고, 차폐 패턴층(142)의 색상은 적색 또는 청색이다. 따라서, 제1 주 표면(121)은 지문인식 영역(121R)의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121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폐 패턴층(142)의 제1 주 표면(121)에서의 정투영은 즉 표시 영역(121E)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차폐 패턴층(142)은 제2 주 표면(122)에 설치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관련 설명은 전술한 실시방식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과 도 3의 실시방식은 대체로 동일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차폐층(140)은 차폐 기능만 구비하며, 따라서 터치제어장치(100)는 지문인식 구조(130)와 오목홈(123)의 상면(124)을 덮는 차폐층(140) 사이에 설치되어, 지문인식 구조(130)를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층(15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층(150)의 재질은 점성을 구비한 겔체로서, 예를 들어 광학접착제 또는 고정접착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접착제의 주요 성분은 예를 들어 아크릴산 수지이고, 상온에서 액체상태이며, 자외선과 같은 경화 공정을 거쳐 경화되어 형성된다. 고정접착제는 액체 상태에서 사출성형, 점착, 분사도포 또는 롤러 도포 등 방식으로 지문인식 구조(130)와 차폐층(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경화 후, 지문인식 구조(130)와 차폐층(140)을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접착제의 점도는 500 내지 1200 밀리파스칼·초일 수 있으며, 경화 후의 경도는 70 내지 85D(쇼어 경도)이고, 두께는 5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층(150) 역시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 부위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특히 전술한 특성의 고정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고정층(150)을 형성하면, 그 점도와 경도로 인해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 부위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과 도 4의 실시방식은 대체로 동일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제어장치(100)는 제2 고정층(170)을 더 포함하며, 제2 고정층(170)은 지문인식 구조(130)와 오목홈(123)의 측면(125)을 덮는 차폐층(140) 사이에 설치되어, 오목홈(123)에 충진됨으로써, 지문인식 구조(130)를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층(170)의 재질은 점성을 구비한 겔체로서, 예를 들어 광학접착제 또는 고정접착제일 수 있다. 제2 고정층(170)의 주요 성분, 형성방법은 제1 고정층(150)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고정층(170)과 제1 고정층(150)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지문인식 구조(130)와 오목홈 상면(134) 및 측면(125)의 차폐층(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층(170)은 경화 후 지문인식 구조(130)와 차폐층(140)을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오목홈(123)과 지문인식 구조(130) 사이에 틈새가 없게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고정층(170)은 지문인식 구조(130)를 오목홈(123)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 부위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5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제2 고정층(170)은 지문인식 구조(130)와 오목홈(123)의 측면(125)을 덮는 차폐층(140) 사이에 설치되는 이외에, 지문인식 구조(130)를 더 피복한다는데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고정층(170)은 외부의 힘을 완충시켜 지문인식 구조(130)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출 수 있어, 후속되는 제조 공정에서 외부의 힘에 의한 지문인식 구조(130)의 스크래치 또는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5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100)의 지문인식 구조(130)가 오목홈(123)의 상면(124)을 덮는 차폐층(140)에 직접 접촉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지문인식 구조(130)와 상면(124) 사이에 제1 고정층(150)이 설치되지 않고, 지문인식 구조(130)는 제2 고정층(170)을 통해 오목홈(123)에 고정된다. 또한, 제2 고정층(170)은 도 6 중의 제2 고정층(170)과 유사하여, 지문인식 구조(130)의 측면과 저면을 더 피복할 수 있다.
지문인식 구조(130)가 오목홈(123)의 상면(124)을 덮는 차폐층(140)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지문인식 구조(30)와 제1 주 표면(121)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지문인식의 감도와 정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5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차폐층(140)은 차폐 기능만 구비하고, 터치제어장치(100)는 제2 고정층(170)을 더 포함하여, 지문인식 구조(130)가 제2 고정층(170)을 통해 측면(125)에 고정되며, 지문인식 구조(130)는 오목홈(123)의 상면(124)을 덮는 차폐층(140)과 직접 접촉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제2 고정층(170)은 지문인식 구조(130)와 오목홈(123)의 측면(125)을 덮는 차폐층(140) 사이에 설치되고, 제2 고정층(170)은 오목홈(123)의 측면(125)을 덮는 차폐층(140)에만 설치되며, 오목홈(123)에 충진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층(170)의 재질은 점성을 구비한 겔체로서, 예를 들어 광학접착제 또는 고정접착제일 수 있다. 제2 고정층(170)의 주요 성분, 형성방법은 제1 고정층(150)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고정층(170)은 경화 후 지문인식 구조(130)와 차폐층(140)을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2 고정층(170)은 지문인식 구조(130)를 오목홈(123)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2 고정층(170)은 충분한 경도를 구비하며 오목홈(123)에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 렌즈(120)의 오목홈(123) 부위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4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는 기판층(111)과 터치제어 감지층(112)을 포함하여, 터치제어 감지층(112)은 기판층(111)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판층(111)은 커버 렌즈(120)와 터치제어 감지층(112) 사이에 위치한다는데 있다. 또한, 터치제어 감지층(112)은 단층 터치제어 감지전극 구조일 수 있다.
관련 제조과정에서, 터치제어 감지층(112)을 먼저 기판층(111)에 형성하고, 이어서 기판층(111)을 터치제어 감지층(112)과 함께 기판층(111) 측으로 제2 주 표면(122)에 접합하여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121T)에 위치시키고,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터치제어 감지층(112)에 접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9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층(112)은 기판층(111)에 설치되고, 또한 커버 렌즈(120)와 기판층(111) 사이에 위치한다는데 있다.
관련 제조과정에서, 터치제어 감지층(112)을 먼저 기판층(111)에 형성하고, 이어서 기판층(111)을 터치제어 감지층(112)과 함께 터치제어 감지층(112) 측으로 제2 주 표면(122)에 접합함과 아울어,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기판층(111)에 접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4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는 기판층(111),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 및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을 포함하여,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은 각각 기판층(111)의 마주보는 양측에 설치되고,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은 또한 커버 렌즈(120)와 기판층(111) 사이에 위치한다는데 있다.
관련 제조과정에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을 먼저 기판층(111)의 마주보는 양측에 형성하고, 이어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을 제2 주 표면(122)에 접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에 접합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 및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의 전극 방향은 교차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의 전극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의 전극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의 전극은 구동단 배선이고,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의 전극은 수신단 배선이거나; 또는,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의 전극은 수신단 배선이고,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의 전극은 구동단 배선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 따른 터치제어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그 단면 위치는 도 1의 절취선 구간 2를 따른 것이다. 본 실시방식의 터치제어장치(100)는 도 11의 터치제어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며,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 감지 구조(110)는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 상부 기판층(115) 및 하부 기판층(116)을 포함한다는데 있다.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은 하부 기판층(116)에 설치되고,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은 상부 기판층(115)에 설치되며, 상부 기판층(115)은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은 또한 커버 렌즈(120)와 상부 기판층(115) 사이에 위치한다.
관련 제조과정에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을 먼저 상부 기판층(115)과 하부 기판층(116)의 일측에 형성하고, 이어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을 제2 주 표면(122)에 접합하고,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을 상부 기판층(115)에 접합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하부 기판층(116)에 접합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으로, 기타 실시방식은 전술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으며, 기타 실시방식에서,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상부 기판층(115)의 설치 위치는 서로 맞바꿔질 수 있고,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과 하부 기판층(116)의 설치 위치 역시 서로 맞바꿔질 수 있으며,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과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이 서로 절연되기만 하면 된다.
전술한 도 9 내지 도 12에서, 기판층(111), 상부 기판층(115) 및 하부 기판층(116)은 모두 투명 절연재료,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박막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박막은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제어 감지층(112),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113) 및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114)은 모두 광투과성이 비교적 높은 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금속 나노 도선, 투명 금속산화 박막 또는 금속 메쉬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방식에서, 터치제어장치(100)는 오목홈(123) 내에 설치되어 지문인식 구조(130)의 주위를 둘러싸는 금속링(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터치물체를 감지하고, 지문인식 구조(13)를 활성화하며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할 수 있다.
터치제어장치(100) 중, 커버 렌즈(120)에 오목홈(123)을 설치하고, 지문인식 구조(130)를 오목홈(123)에 설치함으로써, 지문인식 구조(123)와 터치물, 예를 들어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커버 렌즈(120)는 오목홈(123) 이외의 부분이 여전히 적합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필요로 하는 지문인식 구조(123)의 감도 및 커버 렌즈(120)의 구조 강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123)의 측면(125)에 상면(124)과 제2 주 표면(122)을 연결하는 기울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오목홈(123)은 제2 주 표면(122)에 비교적 용이하게 가공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 렌즈(120)의 제조 양품률이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오목홈(123)의 측면(125)과 각각 상면(124), 제2 주 표면(122) 사이의 기울기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문인식 구조(130)의 감지전극 구조가 측면(125)에서 각각 상면(124) 및 제2 주 표면(122)과의 연결부위가 끊어져 손상되는 현상 역시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차폐층(140)은 잉크분사 또는 패드 인쇄를 이용하여 측면(125)에 직접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차폐층(140)을 측면(125)에 형성할 수 없거나, 또는 차폐층(140)을 측면(125)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없어 차폐층(140)의 차폐가 불완전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안에서 실시되는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터치제어장치 110: 터치제어 감지 구조
111: 기판층 112: 터치제어 감지층
113: 상부 터치제어 감지층 114: 하부 터치제어 감지층
115: 상부 기판층 116: 하부 기판층
120: 커버 렌즈 121: 제1 주 표면
121T: 터치제어 디스플레이 영역 121F: 프레임 영역
121R: 지문인식 영역 121E: 표시 영역
122: 제2 주 표면 123: 오목홈
124: 상면 125, 126: 측면
130: 지문인식 구조 140: 차폐층
142: 차폐 패턴층 150: 제1 고정층
160: 버퍼층 170: 제2 고정층
190: 디스플레이 모듈
D: 최소 거리 T: 최대 두께
θ: 사잇각

Claims (19)

  1. 마주보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주 표면이 터치면인 커버 렌즈;
    상기 제2 주 표면에 설치되고,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이웃한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간의 사잇각이 90도보다 큰 오목홈;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목홈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구조; 및
    상기 제2 주 표면에 설치되는 터치제어 감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간의 사잇각은 95도 내지 175도 또는 110도 내지 16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는 상기 오목홈 상면에 인접한 표면이 상기 지문인식 구조의 상면이고, 상기 지문인식 구조의 상면과 상기 커버 렌즈의 상기 제1 주 표면 간의 최소 거리는 50 미크론 내지 450 미크론 또는 80 미크론 내지 400 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을 덮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와 상기 오목홈의 상기 상면을 덮는 상기 차폐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고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와 상기 오목홈의 상기 측면을 덮는 상기 차폐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층은 상기 제1 고정층과 함께 상기 오목홈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층은 상기 지문인식 구조를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의 두께는 5 미크론 내지 50 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0.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두께는 20 미크론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는 상기 오목홈의 상기 상면을 덮는 상기 차폐층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와 상기 오목홈의 상기 측면을 덮는 상기 차폐층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는 감지전극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 구조는 상기 오목홈 및 상기 제2 주 표면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구조는 집적회로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상기 커버 렌즈에 제작되는 터치제어 감지전극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 감지 구조는 기판층과 상기 기판층의 일측에 설치되는 터치제어 감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렌즈는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에 설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커버 렌즈의 측면에서 상기 버퍼층의 외부면까지의 최대 두께가 0.03 내지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제어장치.
KR1020160010476A 2015-02-03 2016-01-28 터치제어장치 KR20160095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55745.2 2015-02-03
CN201510055745 2015-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618A true KR20160095618A (ko) 2016-08-11

Family

ID=543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76A KR20160095618A (ko) 2015-02-03 2016-01-28 터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8131B2 (ko)
JP (1) JP6130939B2 (ko)
KR (1) KR20160095618A (ko)
CN (2) CN105528105A (ko)
TW (4) TWI5767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37A (ko) * 2016-09-29 2018-05-03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문 모듈을 구비한 스크린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0043A (zh) * 2014-06-13 2016-01-2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CN105468187A (zh) * 2014-06-18 2016-04-0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TWI576734B (zh) * 2015-02-03 2017-04-01 宸鴻科技(廈門)有限公司 觸控裝置
CN106250800B (zh) * 2015-06-05 2021-08-27 Agc株式会社 一种保护玻璃以及便携式信息终端
CN105302374B (zh) * 2015-11-13 2018-08-14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隐藏式盲孔之显示面板结构及其制作方法
TWI582659B (zh) * 2015-11-27 2017-05-11 關鍵禾芯科技股份有限公司 具指紋辨識之觸控裝置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86235B1 (ko) * 2016-05-27 2016-12-15 (주) 아이시스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및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용 폴리싱머신
KR20170140454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684167B2 (ja) 2016-06-27 2020-04-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934079B2 (ja) * 2016-06-27 2021-09-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55395B1 (ko) * 2016-07-07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908305B (zh) 2016-08-16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组件的制造方法、输入组件及终端
TWI741998B (zh) * 2016-08-22 2021-10-11 速碼波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裝置
JP2018128990A (ja) * 2017-02-10 2018-08-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240526B (zh) * 2017-04-27 2023-1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7092310B (zh) * 2017-04-27 2020-04-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7092311B (zh) * 2017-04-27 2020-03-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7169452B (zh) * 2017-05-12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模组、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1275920B1 (en) * 2017-09-27 2022-03-15 Apple Inc. Elongated fingerprint sensor
KR102615589B1 (ko) * 2017-12-28 2023-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이 가능한 표시 장치
CN108416280B (zh) * 2018-02-26 2021-09-1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TWI650695B (zh) * 2018-02-28 2019-02-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CN108549499B (zh) * 2018-03-30 2021-07-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867165B (zh) * 2019-11-29 2021-10-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PL3832992T3 (pl) * 2019-12-05 2023-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zenośne urządzenie komunikacyjne zawierające wyświetlacz
US11189248B1 (en) 2020-05-06 2021-11-3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vision correction graphical outputs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US11783629B2 (en) 2021-03-02 2023-10-10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118A (ja) * 1999-05-06 2000-11-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7546114B1 (en) * 2006-01-23 2009-06-09 Glaze Jr William Secure, light emitting cell phone
CN100514659C (zh) * 2007-01-15 2009-07-15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器的薄膜封装构造
EP2203865A2 (en) * 2007-09-24 2010-07-07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20090757A1 (en) * 2010-10-18 2012-04-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Fabrication of touch, handwriting and fingerprint sensor
CN102478727B (zh) * 2010-11-28 2016-04-0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的制造方法与显示装置、触控显示装置
KR20130057637A (ko) * 2011-11-24 2013-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촉 감지 장치
WO2013100067A1 (ja) * 2011-12-27 2013-07-04 Hoya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用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JP2013152525A (ja) * 2012-01-24 2013-08-08 Hoya Corp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機器用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CN102662542A (zh) * 2012-03-27 2012-09-12 深圳市宝明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无金属电极层非搭接一体式电容触摸屏及其制造方法
JP2014099159A (ja) * 2012-10-16 2014-05-29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と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との一体型センサー基板
TWM457921U (zh) * 2012-10-29 2013-07-21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觸控感測結構
JP2014095992A (ja) * 2012-11-08 2014-05-22 Konica Minolta Inc 電子機器
DE102012022894A1 (de) * 2012-11-23 2014-05-28 Gabriele Lisa Trinkel Verfahren und System zur Personalisierung und Energieversorgung von Geschosse und Geschossabgabesysteme
JP5922008B2 (ja) * 2012-11-30 2016-05-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透明積層体、それらの製造方法、静電容量型入力装置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NO340311B1 (no) * 2013-02-22 2017-03-27 Idex Asa Integrert fingeravtrykksensor
JP2014211731A (ja) * 2013-04-18 2014-1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の作製方法、タッチパネル装置面付け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TWI567619B (zh) * 2013-06-04 2017-01-21 達鴻先進科技股份有限公司 具指紋辨識及觸控感應之感測面板、觸控裝置及其感測面板之製造方法
CN105981039B (zh) * 2013-11-22 2019-04-1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安全的人体指纹传感器
CN104050445B (zh) * 2014-04-08 2018-10-16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指纹识别装置的封装方法和智能终端
TWM484793U (zh) * 2014-05-23 2014-08-21 Dynacard Co Ltd 指紋辨識晶片封裝模組
TWM491885U (zh) * 2014-06-18 2014-12-11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CN104051367A (zh) * 2014-07-01 2014-09-17 苏州晶方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芯片封装结构和封装方法
CN106304848A (zh) * 2014-07-07 2017-01-0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触摸屏和指纹传感器组件
CN104134063B (zh) * 2014-08-26 2018-01-30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检测组件及其电子装置
CN204009946U (zh) * 2014-08-26 2014-12-10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检测组件及其电子装置
CN204242132U (zh) * 2014-09-11 2015-04-0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
TWM517864U (zh) * 2015-02-03 2016-02-21 宸鴻科技(廈門)有限公司 指紋辨識裝置
TWI576734B (zh) * 2015-02-03 2017-04-01 宸鴻科技(廈門)有限公司 觸控裝置
CN204557433U (zh) * 2015-02-03 2015-08-1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37A (ko) * 2016-09-29 2018-05-03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문 모듈을 구비한 스크린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89592A (zh) 2016-05-18
TW201621579A (zh) 2016-06-16
TW201621752A (zh) 2016-06-16
JP6130939B2 (ja) 2017-05-17
CN105589592B (zh) 2019-07-26
US10198131B2 (en) 2019-02-05
TWI576734B (zh) 2017-04-01
TW201621590A (zh) 2016-06-16
TWI554921B (zh) 2016-10-21
CN105528105A (zh) 2016-04-27
JP2016143419A (ja) 2016-08-08
TWI566188B (zh) 2017-01-11
TWM506323U (zh) 2015-08-01
US20160224178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5618A (ko) 터치제어장치
KR101758187B1 (ko) 터치제어장치
US10514798B2 (en) Touch panel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51673B1 (ko) 지문 인식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
US20170372123A1 (en) Fingerprint sensor module assembly integrated with cover window for electronic device
WO2019137002A1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476656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TWI595220B (zh) 壓力感測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M491885U (zh)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US20170177107A1 (en) Infrared Touch Screen, Touch Detec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WO2021227042A1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191145B1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용 터치 필름, 이를 적용한 터치스크린 및 휴대 단말기
KR20170097318A (ko) 전자기기 커버윈도우 일체형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및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발광 가이드
JP2012098973A (ja) ガラス複合体及びその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
TWM517864U (zh) 指紋辨識裝置
JP2015035213A (ja) 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045397B (zh) 压力传感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70061015A (ko) 터치 윈도우
TWI480780B (zh) 觸控面板及應用其之觸控顯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9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08

Effective date: 201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