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454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454A
KR20170140454A KR1020160072262A KR20160072262A KR20170140454A KR 20170140454 A KR20170140454 A KR 20170140454A KR 1020160072262 A KR1020160072262 A KR 1020160072262A KR 20160072262 A KR20160072262 A KR 20160072262A KR 20170140454 A KR20170140454 A KR 2017014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groove
display device
fingerprint recognition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김민구
조우진
김승호
백종인
신희균
오현준
천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454A/ko
Priority to US15/475,989 priority patent/US10318789B2/en
Priority to EP17174665.4A priority patent/EP3255584A3/en
Priority to CN201710429980.0A priority patent/CN107491143A/zh
Publication of KR2017014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9Protecting the fingerprint sensor against damage caused by the fing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g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06K9/0002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 및 상기 지문 인식 센서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그 예이다.
지문 인식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열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정전용량 방식은 센싱 전극을 매우 촘촘히 배치한 후,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 용량 차이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는 커버 글래스의 유전율, 커버 글래스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커버 글래스의 유전율이 높을수록, 커버 글래스의 두께가 얇을수록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가 증가한다.
다만, 커버 글래스의 재료적 특성 및 강도 저하 문제로 인해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 및 상기 지문 인식 센서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문 인식 센서는 상기 홈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아치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으로 갈수록 더 큰 잔류 응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에서 1MPa 내지 10MPa의 잔류 응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의 중심부에서 최소 두께를 가지며,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두께의 5%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두께의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홈과 상기 지문 인식 센서 사이에 개재된 점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과 상기 점착 부재 사이에 개재된 고유전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율 물질은 저융점 유리, ZnO, Al2O3, Ta2O5, TiO2, ZrO2, La2O3, 및 Y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율 물질은 10㎛ 이상 1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커버 글래스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에 지문 인식 센서를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에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상기 홈이 형성될 위치에 열원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열원을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 글래스를 면취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글래스를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으로 갈수록 더 큰 잔류 응력을 갖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에서 1MPa 내지 10MPa의 잔류 응력을 갖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의 중심부에서 최소 두께를 갖게 형성하고,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 두께의 5% 내지 95%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 두께의 5% 내지 30%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원은 1200℃ 이상 내지 1600℃ 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원은 100kgf 이상 내지 500kgf 이하의 압력으로 상기 커버 글래스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에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 상에 고유전율 물질을 개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아치형 단면을 갖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글래스에 아치형 홈을 형성하고, 지문 인식 센서를 수납함으로써,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열 박리 공정으로 커버 글래스에 아치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의 잔류 응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 및 지문 인식 센서(20)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3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패널(10)은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은 제1 기판(111), 제1 기판(111)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2 기판(113), 및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3)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지문 인식 센서(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센서(20)는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문 인식 센서(20)는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문 인식 센서의 경우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2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센싱 전극 및 센싱 전극과 연결된 복수의 구동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20)가 배치된 표시 패널(10)의 전면(全面) 상에 커버 글래스(30)가 배치된다. 즉,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모두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패널(10)과 마주하는 제1 면(31) 및 표시 장치의 외부면인 제2 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는 제1 면(31)에 지문 인식 센서(20)가 수납되는 아치형 홈(33)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홈(33)은 평면상에서 타원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33)은 지문 인식 센서(2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평면상에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홈(33)은 평면상에서 사각, 원형, 타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지문 인식 센서(20)가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경우, 커버 글래스(30)의 홈(33)은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면, 지문 인식 센서(20)가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경우, 커버 글래스(30)의 홈(33)은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하나의 홈(33)을 갖는 커버 글래스(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글래스(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버 글래스(30)는 어느 위치에서든 지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홈을 가질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는 유리(glass) 또는 사파이어(sapphir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는 열 팽창 계수(10-7/℃)가 50 이상인 유리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패널(10)과 커버 글래스(30) 사이에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은 터치 입력의 존재 및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한 성질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제1 면(31) 및 표시 장치의 외부면인 제2 면(32)을 포함하며, 제1 면(31)에 지문 인식 센서 등이 수납되는 홈(33)을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는 제2 면(32)에 아치형 홈을 가질 수도 있다.
홈(33)은 단면이 아치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홈(33)의 중심(33a)을 기준으로 대칭인 아치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33)은 홈(33)의 중심(33a)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아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홈(33)은 단면이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는 홈(33)이 시작되는 영역(33b)에서 홈(33)의 중심(33a)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즉, 커버 글래스(30)는 홈(33)의 중심(33a)에서 최소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최소 두께(t1)는 커버 글래스(30)의 두께(t2)의 5% 내지 9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최소 두께(t1)는 커버 글래스(30)의 두께(t2)의 5%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의 두께(t2)는 450㎛ 내지 550㎛일 수 있으며, 홈(33)의 최소 두께(t1)는 150㎛ 내지 250㎛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의 잔류 응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커버 글래스(30)의 제1 면(31)과 홈(33)의 표면 위치(position)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각 표면 위치에서의 잔류 응력(residual stre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글래스(30)는 홈(33)의 표면에서 제1 면(31)보다 더 큰 잔류 응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커버 글래스(30)는 홈(33)의 표면에서 1MPa 내지 10MPa의 잔류 응력을 가질 수 있다.
잔류 응력은 가공이나 열처리를 한 재료의 내부에 생기는 응력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잔류 응력은 열처리로 인해 발생한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의 홈(33)은 열 박리 공정을 통해 형성하기 때문에, 홈(33)의 표면은 제1 면(31)보다 큰 잔류 응력을 갖게 된다.
커버 글래스(30)의 홈(33)은 잔류 응력을 갖기 때문에, 제1 면(3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기계적 강도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홈(33)은 아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1 면(3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누르는 압력에 대한 강도 저하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홈(33)의 기계적 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홈(33)의 최소 두께(t1)를 커버 글래스(30) 두께(t2) 대비 5% 내지 30% 수준으로 낮게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홈(33)에 수납되는 지문 인식 센서(20)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 및 지문 인식 센서(20)가 배치된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패널(10)과 마주하는 제1 면(31)에 지문 인식 센서(20)를 수납하기 위한 홈(33)을 갖고, 홈(33)에 수납된 지문 인식 센서(20)는 점착 부재(25)에 의해 커버 글래스(30)에 고정될 수 있다.
점착 부재(25)는 투명한 소재의 점착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재(25)는 OCR(Optical Clear Resin)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20), 및 지문 인식 센서(20)가 배치된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는 표시 패널(10)과 마주하는 제1 면(31)에 지문 인식 센서(20)를 수납하기 위한 홈(33)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30)의 홈(33) 상에 고유전 물질(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고유전 물질(40)은, 예를 들어 저융점 유리(Low Melting Glass, LMG), ZnO, Al2O3, Ta2O5, TiO2, ZrO2, La2O3, 및 Y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융점 유리는 셀레늄, 탈륨, 비소, 유황 등을 첨가하여 녹는점을 130℃ 내지 350℃로 만든 유리이다.
고유전 물질(40)은 커버 글래스(30)의 홈(33) 상에 10㎛ 이상 10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유전 물질(40)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핀 코팅 공정,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및 프린팅 공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유전 물질(40)이 배치된 커버 글래스(30)의 홈(33)에 수납된 지문 인식 센서(20)는 점착 부재(25)에 의해 커버 글래스(30)에 고정될 수 있다. 점착 부재(25)는 투명한 소재의 점착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재(25)는 OCR(Optical Clear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글래스(30)의 홈(33)에 고유전 물질(40)이 더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 글래스(30)는 홈(33)에서 커버 글래스(30)의 유전율보다 더 큰 유전율을 갖게 된다. 그 결과, 지문 인식 센서(20)와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을 증가시켜 지문 인식 센서(20)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커버 글래스에 아치형 홈을 형성하는 단계, 커버 글래스의 홈에 지문 인식 센서를 수납하는 단계, 및 커버 글래스를 표시 패널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커버 글래스(30)에 홈(33)을 형성하는 단계는 커버 글래스(30)의 제1 면(31)에 열원(50)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열원(50)을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켜 커버 글래스(30)의 제1 면(31)을 면취하는 단계, 및 커버 글래스(30)를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원(50)은 1200℃ 이상 내지 1600℃ 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100kgf 이상 내지 500kgf 이하의 압력으로 커버 글래스(30)와 접촉할 수 있다.
열원(50)은 홈(33)의 평면상 형태, 면적, 및 깊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동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에 높은 열을 인가한 후 급속 냉각하는 경우, 커버 글래스(30)의 표면과 내부의 팽창/수축력 차에 의해 박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박리 현상은 커버 글래스(30)의 열팽창 계수가 높을수록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래스(30)의 홈(33)은 열 박리 현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홈(33)의 표면은 거울 면과 같이 낮은 표면 거칠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 박리 특성 상 단면이 아치 형태를 갖는 홈(33)이 형성되는데, 구조적 특성 상 누르는 압력에 대한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열 응력과 같은 잔류 응력이 남게 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글래스에 아치형 홈을 형성하고, 지문 인식 센서를 수납함으로써,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지문 인식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열 박리 공정으로 커버 글래스에 아치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표시 패널 20: 지문 인식 센서
30: 커버 글래스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 및
    상기 지문 인식 센서 상에 배치된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는 상기 홈에 수납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아치형 단면을 갖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으로 갈수록 더 큰 잔류 응력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에서 1MPa 내지 10MPa의 잔류 응력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의 중심부에서 최소 두께를 가지며,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두께의 5% 내지 95%인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두께의 5% 내지 30%인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지문 인식 센서 사이에 개재된 점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점착 부재 사이에 개재된 고유전율 물질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율 물질은 저융점 유리, ZnO, Al2O3, Ta2O5, TiO2, ZrO2, La2O3, 및 Y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율 물질은 10㎛ 이상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12. 커버 글래스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에 지문 인식 센서를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에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상기 홈이 형성될 위치에 열원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열원을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 글래스를 면취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글래스를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으로 갈수록 더 큰 잔류 응력을 갖게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에서 1MPa 내지 10MPa의 잔류 응력을 갖게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상기 홈의 중심부에서 최소 두께를 갖게 형성하고,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 두께의 5% 내지 95%로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두께는 상기 커버 글래스 두께의 5% 내지 30%로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1200℃ 이상 내지 1600℃ 이하의 온도를 갖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100kgf 이상 내지 500kgf 이하의 압력으로 상기 커버 글래스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에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 상에 고유전율 물질을 개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아치형 단면을 갖게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60072262A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4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62A KR20170140454A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5/475,989 US10318789B2 (en) 2016-06-10 2017-03-31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7174665.4A EP3255584A3 (en) 2016-06-10 2017-06-07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710429980.0A CN107491143A (zh) 2016-06-10 2017-06-09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62A KR20170140454A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54A true KR20170140454A (ko) 2017-12-21

Family

ID=5923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62A KR20170140454A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8789B2 (ko)
EP (1) EP3255584A3 (ko)
KR (1) KR20170140454A (ko)
CN (1) CN1074911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155A (ko) * 2018-04-17 2019-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생체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79664B2 (en) 2019-03-1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11617038B2 (en) 2021-03-31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7707B2 (en) * 2016-06-24 2019-08-20 Idex Asa Reinforcement panel for fingerprint sensor cover
CN106662900A (zh) * 2016-09-29 2017-05-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指纹模组的屏幕组件及电子设备
CN108254957A (zh) * 2018-01-05 2018-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EP3940504A1 (en) * 2018-04-17 2022-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ple fixing members to fix biometric sensor to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55513B1 (ko) * 2018-08-17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1666781B (zh) * 2019-03-05 2024-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785756B (zh) * 2019-03-15 2022-07-0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366559A (zh) * 2019-07-10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625945B2 (en) * 2020-06-23 2023-04-11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print sensor housing with non-uniform thickness
CN112286396A (zh) * 2020-11-02 2021-01-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屏下指纹显示面板及屏下指纹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902B2 (ja) 2000-05-23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158958B2 (en) 2010-10-28 2015-10-13 Synaptics Incorporated Signal strength enhancement in a biometric sensor array
TWI469938B (zh) 2011-02-17 2015-01-2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玻璃基板的切割方法
US8635887B2 (en) 2011-08-10 2014-01-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separating glass substrate sheets by laser-formed grooves
US10043052B2 (en) * 2011-10-27 2018-08-07 Synaptic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packages and methods
KR101405442B1 (ko) 2012-08-01 2014-06-13 주식회사 라미넥스 고주파 유도 가열기를 이용한 유리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57622A (ko)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코디에스 기판 가공 장치 및 기판 가공 방법
CN104049803B (zh) * 2014-06-16 2017-03-2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5468187A (zh) 2014-06-18 2016-04-0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KR102220783B1 (ko) 2014-10-10 2021-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898644B2 (en) * 2014-11-20 2018-02-20 Chih-Chung Lin Touch panel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US20170372123A1 (en) * 2014-12-11 2017-12-28 Crucialtec Co., Ltd. Fingerprint sensor module assembly integrated with cover window for electronic device
WO2016122173A1 (ko) * 2015-01-27 2016-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CN205427872U (zh) * 2015-01-30 2016-08-03 旭硝子株式会社 盖构件和具有其的便携式信息终端
TWI576734B (zh) * 2015-02-03 2017-04-01 宸鴻科技(廈門)有限公司 觸控裝置
CN104834892B (zh) 2015-03-06 2019-03-12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触控屏及终端设备
CN104794454A (zh) * 2015-04-30 2015-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器件、显示屏及显示装置
CN106250800B (zh) * 2015-06-05 2021-08-27 Agc株式会社 一种保护玻璃以及便携式信息终端
CN107451513B (zh) * 2016-05-31 2023-12-2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指纹辨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155A (ko) * 2018-04-17 2019-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생체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79664B2 (en) 2019-03-1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11617038B2 (en) 2021-03-31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7842A1 (en) 2017-12-14
EP3255584A3 (en) 2018-04-18
CN107491143A (zh) 2017-12-19
EP3255584A2 (en) 2017-12-13
US10318789B2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045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02281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odule
CN107797700B (zh) 触摸面板及包括其的显示装置
US9911025B2 (en) Sensor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18092B2 (en) Curve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54150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odule
WO2018188392A1 (zh) 触控基板及显示面板
US8436819B2 (en) Flexible touch display apparatus
US20160224818A1 (en) Sensor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2690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667595B (zh) 輸入裝置、感測器、鍵盤及電子機器
US8922500B2 (en) Projective capacitive touch sensor
US1095670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disposed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of a cover glass
US9442603B2 (en) Touch panel
KR20180012913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1900576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438042B2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US10139949B2 (en) Input device and touch panel display
US10963052B2 (en) Touch sensitive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90095025A1 (en) Force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27297B2 (en) Input device pressing unit
WO2019218752A1 (zh) 纹路识别组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0481732B2 (en) Press detecting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151347B1 (en) Touch-fingerprint complex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90059672A (ko) 정전용량식 지문인식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