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513B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513B1
KR102555513B1 KR1020180095939A KR20180095939A KR102555513B1 KR 102555513 B1 KR102555513 B1 KR 102555513B1 KR 1020180095939 A KR1020180095939 A KR 1020180095939A KR 20180095939 A KR20180095939 A KR 20180095939A KR 102555513 B1 KR102555513 B1 KR 10255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dispos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018A (ko
Inventor
손양한
김무현
김성민
신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513B1/ko
Priority to EP19850407.8A priority patent/EP3840340A4/en
Priority to US17/259,388 priority patent/US11508175B2/en
Priority to CN201980054467.5A priority patent/CN112602312B/zh
Priority to PCT/KR2019/002171 priority patent/WO2020036279A1/ko
Publication of KR2020002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전자 장치는 베이스 기판 및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정의된 커버 패널, 커버 패널과 소정의 갭으로 이격되어 개구부에 수용된 지문 센서, 및 개구부에 수용되고, 지문 감지 유닛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개구부는 단차를 가진 측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문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등 사용자와 유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지문 인식 방식으로는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광 센서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 방식, 압전체 등을 활용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에 있어서, 지문 감지를 위한 지문 감지 유닛은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정의된 커버 패널, 상기 커버 패널과 소정의 갭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된 지문 센서, 및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단차를 가진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된 제1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시트를 관통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는 굴곡을 가진 엠보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트는 쿠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2 시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은 상기 점착 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은 평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평면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하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지문 센서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널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은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측에 연결된 회로 기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감지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평면상에서 상기 화소들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을 향해 휘어진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벤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의 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된 제2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수용된 지문 센서,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수용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지문 센서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하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광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 커버층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 커버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센서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표시 패널의 배면 비침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야외 시인성이 개선되고 표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E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전자 장치(E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 부재(WM)의 전면(IS)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ED)의 표시면, 전면, 및 윈도우 부재(WM)의 전면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이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3)에서 서로 대향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3)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전자 장치(ED)의 전면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전면은 실질적으로 윈도우 부재(WM)의 전면(I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ED)의 전면과 윈도우 부재(WM)의 전면(IS)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설명한다.
투과 영역(T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은 꼭지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 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E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지문(FNG)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D)는 표시면(IS)에 지문 감지 영역(FRA)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문 감지 영역(FR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투과 영역(TA) 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지문 감지 영역(FRA)은 베젤 영역(BZA)에 제공되거나, 투과 영역(TA)의 모든 영역에 제공되거나, 전면(IS)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ED)는 지문 감지 영역(FRA)에 제공되는 지문(FNG)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지문(FNG)은 사용자의 손의 표면 상태, 예를 들어 표면 균일도나 표면 굴곡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무체물의 입력이 전자 장치(ED)에 제공되는 경우, 전자 장치(ED)는 무체물의 표면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ED)의 구성들을 살펴보면, 전자 장치(ED)는 표시 장치(DD), 전자 모듈(EM), 전원공급 모듈(PM), 브라켓(BRK), 및 외부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구성들은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표시 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 패널 유닛(DU)을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윈도우 부재(WM)는 전자 장치(ED)의 외관을 구성한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자 장치(ED)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며,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ED)의 표시면(IS)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 유닛(DU)은 윈도우 부재(WM)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 유닛(DU)은 표시 패널(DP) 및 지문 감지 유닛(FS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투과 영역(TA)을 통해 표시면(IS)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지문 감지 유닛(FSU)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지문(FNG)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문 감지 유닛(FSU)은 지문 감지 영역(FRA)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지문(FNG, 이하 무체물의 표면 정보 포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 유닛(DU)은 미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전자 모듈(E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 유닛(DU)은 전자 모듈(EM)을 통해 표시할 영상(IM)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감지된 지문(FNG) 정보를 전자 모듈(EM)에 제공하여 이를 기초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BRK)은 표시 장치(DD) 및/또는 외부 케이스(EDC)와 결합되어 전자 장치(ED)의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브라켓(BRK)은 다른 구성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브라켓(BRK)은 표시 장치(DD)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표시 장치(DD)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BRK)에는 전자모듈(EM)이 고정되도록 전자모듈(EM)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정의될 수 있다. 브라켓(BRK)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브라켓(BRK)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ED)는 복수 개의 브라켓(BRK)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브라켓(BRK) 및/또는 표시 장치(DD)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EDC)는 윈도우 부재(WM)와 함께 전자 장치(ED)의 외관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EDC)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부 케이스(EDC)는 서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EDC)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마더보드 및 마더보드에 실장되며 전자 장치(E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마더 보드는 커넥터(미 도시)를 통해 표시장치(D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더 보드는 리지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제어 모듈(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메모리(60), 외부 인터페이스(70),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은 전자 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장치(DD)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출력 모듈(50)은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70)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발광 모듈(80)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80)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90)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에는 표시 장치(DD)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3b에는 윈도우 부재(WM)를 제외한 표시 패널 유닛(DU)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4에는 커버 패널(CVP)의 배면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 패널 유닛(DU)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 유닛(DU)은 표시 패널(DP), 회로 기판(CB), 커버 패널(CVP), 지문 감지 유닛(FSU), 및 점착 부재(RS)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 부재(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투과 영역(TA) 및 투과 영역(TA)에 인접한 베젤 영역(BZA)을 포함하는 전면을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WM)는 도 2a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WM)와 대응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BS), 복수의 신호 라인들(DL, GL, PL), 복수의 화소들(PX), 및 복수의 표시 패드들(PD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화소(PX)의 신호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하였다.
베이스 기판(BS)은 제3 방향(D3)에서 서로 대향하는(opposing) 전면(IS1) 및 배면(미 도시)을 포함한다. 전면(IS1)은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영상(IM, 도 1a 참조)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을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액티브 영역(AA)에 영상(IM)이 표시된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A)의 전체와 중첩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의 가장 자리를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의 가장 자리 중 일부에만 인접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각종 신호 라인들이나 전자 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라인들(GL, DL, PL), 화소(PX), 및 복수의 표시 패드들(PDD)은 베이스 기판(BS)의 전면(IS1)에 배치된다. 신호 라인들(GL, DL, PL)은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은 각각 서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게이트 라인(GL)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일의 게이트 라인(G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 유닛(DU)은 베이스 기판(BS)의 전면(IS1)에 실장 되어 게이트 라인(GL)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구동 회로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패드는 표시 패드들(PDD)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DP)은 외부에 제공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게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패드들은 표시 패드들(PDD)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다. 데이터 라인(DL)은 게이트 라인(GL)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일의 데이터 라인(D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데이터 라인(DL)은 패드들(PDD)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데이터 패드에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DL)은 데이터 패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화소(PX)에 제공한다.
전원 라인(PL)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다. 전원 라인(PL)은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일의 전원 라인(P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원 라인(PL)은 화소(PX)에 전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화소(PX)는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화소(PX)는 복수로 제공되어 대응되는 신호 배선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일의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표시하여 영상(IM)을 구현한다.
화소(PX)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커패시터(CP), 및 발광 소자(EM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커패시터(CP), 및 발광 소자(EMD)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화소(PX) 전체가 액티브 영역(AA) 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PX)의 일부 구성, 예를 들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또는 커패시터(CP)는 주변 영역(NAA)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화소(PX)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 되어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커패시터(CP)에 제공한다.
커패시터(CP)는 전원 라인(PL)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 신호와 박막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전원 라인(PL)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 신호를 발광 소자(EMD)에 제공한다.
발광 소자(EM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거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MD)는 유기발광소자, 양자점 발광소자, 전기 영동 소자, 또는 전기 습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MD)는 전원 단자(VSS)와 연결되어 전원 라인(PL)이 제공하는 전원 신호와 상이한 전원 신호를 제공받는다. 발광 소자(EMD)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와 제2 전원 신호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발광 소자(EMD)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화소(PX)는 다양한 구성과 배열을 가진 전자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패드들(PD)은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다. 패드들(PD)은 신호 배선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패드들(PD)을 통해 표시 패널(DP) 외부에 배치된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회로 기판(CB)은 패드들(PD)에 접속된다. 회로 기판(CB)은 패드들(PD)을 통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한다. 회로 기판(CB)은 영상(IM)을 제어하는 신호나 전원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회로 기판(CB)은 연성 기판(FCB) 및 구동 소자(IC)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기판(FCB)은 표시 패드들(PDD)을 통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연성 기판(FCB)은 미 도시된 점착 부재(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필름)를 통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연성 기판(FCB)은 미 도시된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IC)는 연성 기판(FCB)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 소자(IC)는 연성 기판(FCB)의 신호 라인들에 접속되어 표시 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소자(IC)는 각종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거나 처리한다.
회로 기판(CB)은 표시 패널(DP)에 결합된 후,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소자(IC)는 표시 패널 유닛(DU)의 전면에서 볼 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은 제1 시트(ST1) 및 제2 시트(S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ST1)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을 커버한다. 제1 시트(ST1)는 미 도시된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시트(ST1)는 미세한 굴곡을 포함하는 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트(ST1)는 엠보 시트(embossed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ST1)는 표시 패널(DP)에 마주하는 전면이 굴곡면일 수 있다. 제1 시트(ST1)에 형성된 굴곡은 표시 패널(DP)과 제1 시트(ST1) 사이의 불균일한 기포 형성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DP)과 제1 시트(ST1)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시트(ST2)는 제1 시트(ST1) 하측에 배치된다. 제2 시트(ST2)는 쿠션 시트(cushion shee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시트(ST2)는 스펀지, 발포 폼,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트(ST2)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미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한다. 제2 시트(ST2)는 제1 시트(ST1)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의 점착층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커버 패널(CVP)은 제1 시트(ST1)나 제2 시트(ST2) 외에 추가 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CVP)에는 소정의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한다. 개구부(OP)는 커버 패널(CVP)을 제3 방향(D3)에서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OP)는 제1 시트(ST1) 및 제2 시트(ST2)를 관통하여 표시 패널(DP)의 배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부(OP)는 단차(STP)를 가진 측면을 포함한다.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시트(ST1)를 관통하여 정의된다. 제2 개구부(OP2)는 제2 시트(ST2)를 관통하여 정의된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중첩하는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제2 개구부(OP2)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 각각은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제1 개구부(OP1)의 사각 형상은 제2 개구부(OP2)의 사각 형상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는 각각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개구부(OP1)의 측면과 제2 개구부(OP2)의 측면이 연결되어 개구부(OP)의 측면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OP)는 단차(STP)를 가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단차(STP)를 해칭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패널(CVP)은 단차(STP)가 정의된 측면을 포함하는 개구부(OP)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DP) 배면에서의 외광 비침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문 감지 유닛(FSU)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감지 유닛(FSU)은 지문 센서(FS) 및 감지 회로 기판(CB-F)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회로 기판(CB-F)은 지문 센서(FS)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문 센서(FS)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FS)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 방식 지문 센서나 압전체를 활용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 부재(RS)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다. 점착 부재(RS)는 개구부(OP)에 수용된다. 점착 부재(RS)는 표시 패널(DP)과 지문 감지 유닛(FSU)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점착 부재(RS)는 제1 개구부(OP1)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과 지문 감지 유닛(FSU)을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점착 부재(RS)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지문 센서(FS)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 부재(RS)와 지문 센서(FS)는 단면상에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점착 부재(RS)는 점착 물질을 포함한다. 점착 물질은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재(RS)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재(RS)는 액상으로 제공되어 경화되거나, 양면 테이프와 같은 시트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과 지문 센서(FS)를 결합할 수도 있다.
점착 부재(RS)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부재(RS)는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FS)가 광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점착 부재(RS)의 투명 정도가 높을수록 지문 센서(FS)의 지문 감도는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점착 부재(RS)는 광학적으로 불 투명할 수도 있다. 지문 센서(FS)가 초음파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지문 센서(FS)는 점착 부재(RS)의 투명 정도에 관계 없이 안정적인 지문 감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RS)는 지문 센서(FS)의 구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FS)는 커버 패널(CVP)에 정의된 개구부(OP) 내에 된다. 지문 센서(FS)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되어 개구부(OP) 내에 수용된다. 지문 센서(FS)는 평면상에서 표시 패널(DP)과 중첩될 수 있다. 도 3b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지문 센서(FS)가 배치되는 영역을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지문 센서(FS)는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센서(FS)를 액티브 영역(AA)에 구비함으로써, 액티브 영역(AA)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의 지문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별도의 지문 감지 영역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어 베젤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OP)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제1 개구부(OP1)와 제2 개구부(OP2)에 의해 정의됨으로써, 소정의 단차(STP)를 가진 측면을 포함한다. 커버 패널(CVP)에 정의된 단차(ST)는 지문 감지 유닛(FSU)과 개구부(OP) 사이의 공간으로의 빛 샘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표시 특성을 가진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5b 및 도 5c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5c에는 표시 패널 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였고, 광의 투과 정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로 기판(CB)은 표시 패널(DP)의 일 측으로부터 휘어져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소자(IC)는 표시 패널 유닛(DU)의 배면에서 시인될 수 있다. 이때, 회로 기판(CB)은 커버 패널(CVP) 중 제2 시트(ST2)의 배면의 일부를 커버하며 휘어질 수 있다.
한편, 감지 회로 기판(CB-F)은 회로 기판(CB)에 접속되어 회로 기판(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 회로 기판(CB-F)은 회로 기판(CB)에 배치된 소정의 커넥터(CNT)를 통해 회로 기판(CB)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센서(FS)는 회로 기판(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DP)과도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감지 회로 기판(CB-F)은 소정의 구동 소자(IC-F)가 실장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감지 회로 기판(CB-F)에 있어서, 구동 소자(IC-F)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 회로 기판(CB-F)은 부분적으로 개구부(OP)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회로 기판(CB-F) 중 지문 센서(FS)에 연결된 측의 일부분은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와 중첩할 수 있다. 감지 회로 기판(CB-F) 중 나머지 부분은 제2 개구부(OP2) 외측으로 연장되어 표시 회로 기판(CB)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감지 회로 기판(CB-F)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감지 회로 기판(CB-F)의 전체 부분이 커버 패널(CVP)에 정의된 개구부(OP)에 수용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문 센서(FS)는 커버 패널(CVP)의 개구부(OP)에 수용된다. 커버 패널(CVP)의 개구부(OP)는 지문 센서(FS)를 수용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지문 센서(FS)는 평면상에서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로부터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의 배면에서 볼 때, 지문 센서(FS)와 제1 개구부(OP1)의 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GA, 이하 제1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갭(GA1)은 지문 센서(FS)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1 갭(GA1)은 지문 센서(FS)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갖거나 가변되는 너비를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차(STP)는 제1 개구부(OP1)와 제2 개구부(OP2) 사이의 크기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단차(STP)는 제1 갭(GA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점착 부재(RS)는 제1 개구부(OP1) 내에 수용되고 지문 센서(FS)는 제2 개구부(OP2)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점착 부재(RS)는 개구부(OP) 내에 수용되어 개구부(OP) 내에서 지문 센서(FS)와 표시 패널(DP)을 결합시킨다. 커버 패널(CVP)의 단차(STP)는 지문 센서(FS)와 커버 패널(CVP)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점착 부재(RS)는 제1 개구부(OP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점착 부재(RS)와 제1 개구부(OP1) 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GA2, 이하 제2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갭(GA2)은 평면상에서 점착 부재(RS)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제2 갭(GA2)은 점착 부재(RS)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갖거나 가변되는 너비를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DP)의 배면을 향하는 제1 광(L1)은 개구부(OP) 중 지문 센서(FS)와 제1 개구부(OP1) 사이의 제2 갭(GA2)으로 입사된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BS) 및 화소층(PXL)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의 배면은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상술한 복수의 화소들(PX: 도 3a 참조)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제1 광(L1)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연광 및/또는 화소층(PXL)에서 생성된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FS)와 제1 개구부(OP1) 사이의 제2 갭(GA2)은 지문 센서(FS)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려진다. 제2 갭(GA2)을 지난 광은 이후, 제1 갭(GA1)을 지나게 된다. 제1 갭(GA1)은 제2 갭(GA2)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너비를 가지므로, 개구부(OP)를 경유하여 커버 패널(CVP)의 배면으로 출사되는 제2 광(L2)은 제1 광(L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광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광(L2)의 광량이 클수록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 지문 센서(FS)나 커버 패널(CVP), 및 개구부(OP)의 경계가 시인되기 쉽다. 즉, 제2 광(L2)의 광량이 클수록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DP)에 인접하는 제1 시트(ST1)에 제2 개구부(OP2)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개구부(OP1)를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DP)의 전면으로부터 입사되거나 표시 패널(DP) 자체에서 생성되는 광이 개구부(OP)에서 투과되는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개구부(OP)에 형성된 단차(STP)는 제1 개구부(OP1)에서의 공간과 제2 개구부(OP2)에서의 공간 사이의 연속성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1 갭(GA1)과 제2 갭(GA2)은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OP)에 단차(STP)가 형성됨으로써, 지문 감지 유닛(FSU)과 제2 시트(ST2)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개구부(OP) 내에서의 점착 부재(RS)나 지문 센서(FS)와 커버 패널(CVP)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OP) 내에서의 지문 센서(FS)와 커버 패널(CVP) 사이의 공간을 통한 표시 패널(DP)의 배면이 비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센서(FS)와 인접하는 영역에서의 표시 패널(DP)의 배면이 비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D)의 야외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고, 표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6a 내지 도 6c에는 표시 패널 유닛들(DU1, DU2, DU3)의 단면도들을 도 5b에 도시된 영역과 대응되도록 도시하였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 유닛(DU-1)에 있어서, 제1 시트(ST11)는 점착 부재(RS)와 접촉할 수 있다. 점착 부재(RS)는 제1 개구부(OP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부(OP11)의 측면은 점착 부재(RS)의 측면과 접촉하여 접촉면(XX)을 형성하고, 점착 부재(RS)를 에워쌀 수 있다. 제2 개구부(OP21)는 제1 개구부(OP1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 패널(CVP-1)에 정의된 개구부(OP-1)는 단차(STP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지문 센서(FS)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시트(ST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문 센서(FS)는 제2 개구부(OP2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지문 센서(FS)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제2 개구부(OP21)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개구부(OP11)가 점착 부재(RS)에 의해 전면적으로 충진됨에 따라, 제1 개구부(OP11)와 점착 부재(RS) 사이의 이격 공간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2 개구부(OP21)와 지문 센서(FS)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존재하더라도, 제1 개구부(OP11)에서의 광 투과를 위한 이격 공간이 제거됨으로써,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이 안정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 유닛(DU-2)에 있어서, 제2 시트(ST22)는 지문 센서(FS)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개구부(OP22)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지문 센서(FS)의 평면상에서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2)의 측면은 지문 센서(FS)와 접촉면(YY)을 형성하며 지문 센서(FS)를 에워쌀 수 있다.
제1 개구부(OP12)는 제1 시트(ST12)를 관통한다. 제1 개구부(OP12)는 제2 개구부(OP22)와 연결되어 개구부(OP2)의 단차(STP2)를 형성한다. 점착 부재(RS)는 제1 개구부(OP12)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점착 부재(RS)와 제1 개구부(OP1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개구부(OP12) 내에 소정의 이격 공간(GA)이 형성되더라도, 제2 개구부(OP21)의 측면과 지문 센서(FS)가 접촉함으로써, 커버 패널(CVP)의 개구부(OP-2)에서의 광 투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이 안정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 유닛(DU-3)에 있어서, 개구부(OP-3)는 점착 부재(RS-1)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 부재(RS-1)는 제1 개구부(OP13)를 충진하고, 제2 개구부(OP23)의 측면과 지문 센서(FS)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OP-3)에 정의된 단차(STP3)는 점착 부재(RS-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센서(FS)와 개구부(OP-3)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점착 부재(RS-1)를 통해 충진함으로써, 개구부(OP-3)를 통한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7a에는 도 3a와 대응되는 구성들을 도시하였고, 도 7b에는 표시 패널 유닛(DU-A)을 도시하였으며, 도 7c에는 표시 패널 유닛(DU-A1)을 도시하였고, 각각에 대해 일부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A)는 하부 패널(LP)을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유닛(DU-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널(LP)은 커버 패널(CV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패널(LP)은 표시 패널(DP)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패널(LP)은 별도로 제공된 점착 부재 등을 통해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하부 패널(LP)은 금속 및/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널(LP)은 방열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패널(LP)은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하부 패널(LP)은 높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패널(LP)은 높은 강성을 가진 SUS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패널(LP)은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패널(LP)은 하부 패널(LP)에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 유닛(DU-A1)에 있어서, 개구부(OP-A)의 단차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개구부(OP1A)의 측면 및 제2 개구부(OP2A)의 측면은 단면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다만, 개구부(OP-A) 내에서 단차(STP-A)는 지문 센서(FS)와 점착 부재(RS)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단차(STP-A)는 제1 개구부(OP1A)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GA2)의 연속성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패널(LP)이 높은 광 반사율을 가짐으로써, 커버 패널(CVP)에 입사되는 광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패널(LP)을 더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DP) 배면으로 출사되는 광량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DP)의 배면 비침 현상을 용이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8a에는 도 7a와 대응되는 구성들을 도시하였고, 도 8b 및 도 8c에는 도 7b와 대응되는 구성들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B1)는 표시 패널(DP)과 커버 패널(CVP) 사이에 배치된 제1 배면 커버층(C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층(CP)은 표시 패널(DP)과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널일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층(CP)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로 조립되거나, 미 도시된 점착 부재 등을 통해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B2)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된 제2 배면 커버층(BP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커버층(BPL)은 표시 패널(DP) 중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에 배치되어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제2 배면 커버층(BPL)은 코팅층일 수 있다. 제2 배면 커버층(BPL)은 베이스 기판(BS)의 배면에 코팅/증착/인쇄 등의 공정을 통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면 커버층(BPL)의 컬러는 베이스 기판(BS)에 투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기판(BS)이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기판(BS)은 자체적으로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BS)은 블랙 컬러와 같은 광 투과율이 낮은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배면 커버층(BPL)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c에는 제2 배면 커버층(BPL)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배면 커버층(CP)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유닛의 단면도도 이와 대응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8c를 참조하여 제1 배면 커버층(LP-B) 및 제2 배면 커버층(BPL)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배면 커버층(LP-B) 및 제2 배면 커버층(BPL)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층(LP-B) 및 제2 배면 커버층(BPL)은 광 흡수을이 높은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면 커버층(LP-B) 및 제2 배면 커버층(BPL)은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출사되는 광량이 감소되어 표시 패널(DP)에서의 배면 비침 현상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BS)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DP) 배면으로 출사되는 광량의 감소가 증가되어 표시 패널(DP)의 표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10)는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 패널 유닛(DU10)을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WM)는 도 1a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WM)와 대응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 유닛(DU10)은 표시 패널(DP10), 회로 기판(CB10), 터치 센서(TS), 커버 패널(CVP), 지문 감지 유닛(FSU), 및 흡광 커버(AB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10)은 평면상에서 일 측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10)은 평면부(PP) 및 돌출부(R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RP)는 평면부(PP)의 일 측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들(PDD)은 돌출부(RP)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DP10)을 구성하는 신호 라인들(DL, GL, PL), 화소(PX), 및 패드들(PDD)은 도 3a에 도시된 표시 패널(DP, 도 3a 참조)의 구성들과 대응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DP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TS)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여 외부 입력의 위치나 세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외부 입력 외부 입력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센서(TS)는 터치 센서(TS)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TS)는 감지 영역(SA) 및 비 감지 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AA)은 감지 영역(SA)과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비 감지 영역(NSA)은 감지 영역(SA)에 인접한다. 비 감지 영역(NSA)은 감지 영역(SA)의 가장 자리를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 감지 영역(NSA)은 감지 영역(SA)의 가장 자리 일부에만 인접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 전극(SS)은 감지 영역(SA)에 배치된다. 감지 전극(SS)은 서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 전극(SP1) 및 제2 감지 전극(SP2)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SS)은 제1 감지 전극(SP1)과 제2 감지 전극(SP2)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TC)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SP1)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다. 제1 감지 전극(SP1)은 제2 방향(D2)에서 서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SP1)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SP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감지 전극(SP2)은 제1 방향(D1)에서 서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SP2)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감지 라인들(SL1, SL2) 및 감지 패드들(PDT)은 비 감지 영역(NSA)에 배치된다. 감지 패드들(PDT)은 감지 라인들(SL1, SL2)에 각각 연결된다. 감지 라인들(SL1, SL2)은 제1 감지 라인(SL1) 및 제2 감지 라인(SL2)을 포함한다. 제1 감지 라인(SL1)은 제1 감지 전극(SP1)과 감지 패드(PDT)를 연결하여 감지 패드(PDT)를 통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1 감지 전극(SP1)에 전달한다. 제2 감지 라인(SL2)은 제2 감지 전극(SP2)과 감지 패드(PDT)를 연결하여 감지 패드(PDT)를 통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2 감지 전극(SP2)에 전달한다.
감지 패드(PDT)는 표시 패널(DP10)의 돌출된 일 측까지 연장되어 표시 패널(DP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감지 패드(PDT)는 표시 패널의 패드들(PDD)과 별도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DP1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SS)이나 감지 라인들(SL1, SL2)은 표시 패널(DP1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DP10)과 별도로 형성된 후, 미 도시된 점착 부재 등을 통해 표시 패널(DP10)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DP10)의 배면에 배치되거나, 표시 패널(DP10)에 내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TS)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일 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제1 측(S1)에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제1 측(S1)은 표시 패널(DP10)의 돌출된 돌출부(RP)와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의 패드들(PD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회로 기판(CB10)은 감지 패드(PDT)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10) 및 터치 센서(TS)는 하나의 회로 기판(CB10)에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DP10) 및 터치 센서(TS) 각각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제1 측(S1)은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 즉, 표시 패널 유닛(DU10)의 배면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돌출부(RP)는 평면부(PP)로부터 휘어져 표시 패널(DP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RP)는 제1 측(S1)과 대응되며, 제1 측(S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CB10)이 접속된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제1 측(S1)이 휘어짐에 따라,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DP10)의 배면에 위치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CB10)이 리지드하더라도,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일 측이 휘어짐으로써, 회로 기판(CB10)은 표시 패널(DP10)의 배면에 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 유닛(DU10)은 휘어지는 복수의 측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유닛(DU10)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2)에서 대향되는 제2 측(S2) 및 제3 측(S3)이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을 향해 휘어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전면(IS10)의 일부는 휘어질 수 있으며, 액티브 영역(AA) 중 제2 측(S2) 및 제3 측(S3)에 정의된 부분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유닛(DU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10)는 적어도 일 측이 휘어지는 표시 패널 유닛(DU10)을 포함함으로써, 베젤 영역(BZA)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향상된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측(S1), 제2 측(S2), 및 제3 측(S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휘어지지 않을 수도 있고, 표시 패널 유닛(DU10)의 네 측면들이 모두 휘어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10)는 다양한 형상의 표시 패널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패널(CVP10)은 평면부(PP)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10)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10)의 개구부(OP10)는 평면부(PP)와 중첩하는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 부재(RS) 및 지문 센서(FS)는 평면부(P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패널(CVP)에 정의된 단차(STP)는 안정적으로 표시 패널(DP10), 구체적으로 평면부(P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 유닛(DU10)의 적어도 일 측이 휘어지더라도, 지문 센서(FS)와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되는 표시 패널(DP10)의 배면 비침 불량을 해소할 수 있어, 표시 특성이 향상된 전자 장치(ED1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전자 장치 DD: 표시 패널 유닛
DP: 표시 패널 CVP: 커버 패널
OP: 개구부 STP: 단차
ST1: 제1 시트 ST2: 제2 시트
FSU: 지문 감지 유닛 RS: 점착 부재

Claims (23)

  1.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개구부가 정의된 커버 패널;
    상기 커버 패널과 소정의 갭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된 지문 센서; 및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단차를 가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측면은 상기 단차를 가진 측면과 마주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된 제1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의 배면 상에 배치된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시트를 관통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은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굴곡을 가진 엠보싱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쿠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2 시트로부터 이격된 전자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로부터 이격된 전자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은 상기 점착 부재에 의해 채워진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은 평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하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지문 센서를 결합시키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은 금속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은 블랙 컬러를 가진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컬러를 가진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측에 연결된 회로 기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감지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평면상에서 상기 화소들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을 향해 휘어진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벤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의 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된 제2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수용된 지문 센서;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수용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지문 센서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지문 센서의 측면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측면과 마주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평면상에서의 크기보다 작은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측면에 접촉하는 전자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전자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하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광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 커버층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에 직접 배치된 전자 장치.
KR1020180095939A 2018-08-17 2018-08-17 전자 장치 KR10255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39A KR102555513B1 (ko) 2018-08-17 2018-08-17 전자 장치
EP19850407.8A EP3840340A4 (en) 2018-08-17 2019-02-21 ELECTRONIC DEVICE
US17/259,388 US11508175B2 (en) 2018-08-17 2019-02-21 Electronic device
CN201980054467.5A CN112602312B (zh) 2018-08-17 2019-02-21 电子装置
PCT/KR2019/002171 WO2020036279A1 (ko) 2018-08-17 2019-02-21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39A KR102555513B1 (ko) 2018-08-17 2018-08-17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18A KR20200021018A (ko) 2020-02-27
KR102555513B1 true KR102555513B1 (ko) 2023-07-17

Family

ID=6952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939A KR102555513B1 (ko) 2018-08-17 2018-08-17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8175B2 (ko)
EP (1) EP3840340A4 (ko)
KR (1) KR102555513B1 (ko)
CN (1) CN112602312B (ko)
WO (1) WO2020036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913A (zh) * 2019-08-14 2021-02-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0636196A (zh) * 2019-09-25 2019-12-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全面屏显示装置
CN113759595A (zh) * 2020-06-03 202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背光结构及显示装置
KR20220009532A (ko) * 2020-07-15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37529A (ko) 2020-09-17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495042B1 (en) * 2021-05-10 2022-11-08 Image Match Design Inc. Voltage sen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20220167843A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제조 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5393912A (zh) * 2022-08-22 2022-11-25 业泓科技(成都)有限公司 超声波指纹识别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51641A1 (en) * 2016-11-25 2018-05-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fingerprint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694B1 (ko) 2013-02-28 2019-10-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881196B (zh) * 2015-06-23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显示屏
KR102374479B1 (ko) * 2015-08-13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419624B1 (ko) * 2016-01-21 2022-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센서 배치 구조
US20170285778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KR101796660B1 (ko) 2016-04-19 2017-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10366272B2 (en) * 2016-04-1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70140454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3607B1 (ko) 2016-06-15 202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80005994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디바이스
KR102373566B1 (ko) 2016-09-2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3072B1 (ko) * 2016-11-25 2023-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70180B1 (ko) 2016-11-28 2023-08-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 일체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841583B1 (ko) 2016-12-05 201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모듈 배치 구조
KR102591568B1 (ko) 2017-01-19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10518B1 (ko) * 2017-04-11 2018-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CN107679486A (zh) 2017-09-28 2018-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指纹采集方法
EP3757885B1 (en) 2018-02-06 2022-06-29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biometric identification apparatus, biometric identification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51641A1 (en) * 2016-11-25 2018-05-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fingerprint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0340A4 (en) 2022-08-10
CN112602312B (zh) 2023-12-08
US20210279440A1 (en) 2021-09-09
US11508175B2 (en) 2022-11-22
CN112602312A (zh) 2021-04-02
EP3840340A1 (en) 2021-06-23
WO2020036279A1 (ko) 2020-02-20
KR20200021018A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513B1 (ko) 전자 장치
KR102333206B1 (ko) 전자 장치
US11579664B2 (en) Electronic apparatus
EP3929699A1 (en) Electronic device
KR20170003874A (ko)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US11126222B2 (en) Display device
KR20210038782A (ko) 전자 장치
CN113721706A (zh) 电子装置
KR20210008238A (ko) 전자 장치
CN114648917A (zh) 电子装置
KR20200076820A (ko) 전자장치
CN110659556A (zh) 电子装置
CN111199694B (zh) 电子装置
KR102592283B1 (ko) 전자 장치
US1113209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1361581B2 (en) Optical sensor,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109488B2 (en) Electronic panel assembly including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42023A (ko) 인쇄용 패드,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