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890A - 변형 조 교정구 - Google Patents

변형 조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890A
KR20160091890A KR1020167011695A KR20167011695A KR20160091890A KR 20160091890 A KR20160091890 A KR 20160091890A KR 1020167011695 A KR1020167011695 A KR 1020167011695A KR 20167011695 A KR20167011695 A KR 20167011695A KR 20160091890 A KR20160091890 A KR 2016009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
nail
band
region
downstream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561B1 (ko
Inventor
마사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마사노리 하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노리 하라다 filed Critical 마사노리 하라다
Publication of KR2016009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변형, 만곡의 강한 중증의 변형 조(爪), 또는, 조측연부(爪側部, lateral edges of the nail)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변형 조(爪)에 있어서도, 장착시에 환자에게 아픔을 주지 않고, 조(爪)의 근원(根元)의 근처까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큰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변형 조(爪)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변형 조(爪)의 교정구를 제공한다.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특정의 형상과 치수를 가지는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Description

변형 조 교정구{DEFORMED NAIL STRAIGHTENING TOOL}
본 발명은, 변형 조(爪)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이며,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특정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는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組)의 상기 변형 조(爪) 교정구로부터 구성되는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 및 상기1조의 변형 조(爪) 교정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변형 조(爪) 교정 시스템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정구를 이용하면, 스크류 날개 모양부와 후크부와의 연계에 의해, 변형, 만곡의 강한 중증의 함입조(陷入爪)라도, 장착시에 아픔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인 조(爪) 교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개소인 조(爪)의 뿌리의 측조부(側爪部)까지 교정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큰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爪)의 변형증에는, 「권조(捲爪)」나 「함입조(陷入爪)」라고 칭해지는 것이 있어, 이들의 용어는 자주 구별 없이 이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횡방향에 조(爪)가 감은 것처럼 되는 증상을 「권조」라고 칭하고, 강하게 만곡한 조(爪)의 양단이 피부·육부(肉部, 연부 조직)에 파고든 상태가 되는 증상을 「함입조」라고 칭하는 것이 많다. 함입조의 경우, 조(爪)의 성장에 따라서, 조(爪)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연부(側緣部)가 조구(爪溝) 내에 깊숙히 파고들어, 연부 조직(조(爪) 내부의 살)에 박히고 염증을 일으켜, 동통(疼痛)이나 격통(激痛)을 일으킨다. 주된 발증 원인으로는 압박, 외상, 조(爪)를 바싹 깊이 깎음(深爪), 선천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함입조는 다리 엄지에 특히 높은 빈도로 일어난다. 함입조를 고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조구(爪溝)에 함입한 조측연부(爪側部, lateral edges of the nail)를 외과적 수술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 교정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교정용 처리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교정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057,055호 공보(특허 문헌 1), 특개평 8-215227호 공보(특허 문헌 2), 특개 2001-276104호 공보(특허 문헌 3), 특개 2011-104231호 공보(특허 문헌 4)나 특개 2002-360619호 공보(특허 문헌 5)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교정용 처리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개 2004-238288호 공보(특허 문헌 6)를 참조할 수 있다. 나아가, 교정용 처리제를 이용한 처치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장치로서 WO2008-142880(특허 문헌 7)에 기재의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한 방법은 번잡하고, 또한, 수술에 의해 조갑폭(爪甲幅)이 항구적으로 좁아진다. 또한, 외과적 수술에 의한 방법에서는, 연부 조직에 먹혀든 조(爪)를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을 때는 수술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외과적 수술에 의해 조(爪)를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함입조를 일시적으로 고쳤다고 하여도, 조(爪) 전체의 감기는 방향으로의 굴곡성이 교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함입조가 재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함입조를 고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외과적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 즉, 보존적 방법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교정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함입부(陷入部)를 가지는 조(爪)의 외표면의 양측 테두리부(兩側緣部)에, 해당 조(爪)를 갖는 손발가락(指)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착하는 포스트 부재, 및 고무 끈 등의 장력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 포스트 부재는, 장력 부재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직립 부분을 가지고 있어, 조(爪)의 외표면의 양측 테두리부에 접착된 포스트 부재끼리를 상기의 장력 부재에 의해서 서로 끌어당기는 것으로, 조(爪)의 양측 테두리부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 기억 수지로 된 판 모양 편(片)을 감아 조(爪)의 굴곡면에 접착제로 첩착하여 두고, 환경 온도를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서, 판 모양 편의 복원력에 의해 권조를 고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나아가, 특허 문헌 3에는, 다음과 같은 조(爪)의 변형을 고치는 교정구 및 그것을 이용한 교정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조(爪)의 변형을 고치는 교정구는, 후크부를 가지는 와이어 등의 후크부를 조(爪)의 양측 테두리부의 함입부분에 걸고, 함입한 조(爪)의 양측 테두리부를 조(爪)의 중앙 방향으로 이끌도록 구성된 교정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체(爪體)의 폭 방향으로의 한쪽 측단연(側端緣)에 계지(係止)되는 제1의 계지부(係止部), 조체의 표면의 일부에 당접되는 제1의 당접부 및 제1의 당접부에 연접(連接)되는 제1의 연결 후크부를 가지는 제1의 교정체와, 조체의 폭방향의 다른쪽 측단연(側端緣)에 계지되는 제2의 계지부, 조체의 표면의 일부에 당접되는 제2의 당접부 및 제2의 당접부에 연접되는 제2의 연결 후크부를 가지는 제2의 교정체와, 제1의 연결 후크 및 제2의 연결 후크부에 계지되어, 제1의 계지부 및 제2의 계지부를 조체의 폭방향의 중간부 측으로 소정의 견인력으로 끌어 당겨 한군데로 모으는 상태로 보지(保持)하고, 조체(爪體)의 한쪽의 한쪽 측단연(側端緣) 및 다른쪽의 측단연(側端緣)을 끌어 당기는 교정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4에는, 삼각형의 한 변에 U자형 홈을 가지고, 그 홈에 대향하는 한 정점(頂点)에 걸쇠장식을 가지고 있는 삼각형 모양의 플레이트와, S자형이며 양단이 90도 축 전환된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조(捲爪) 장비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함입한 조(爪)의 양측 테두리부에 대해서, 함입부를 조구(爪溝)로부터 뽑아내기 위해서 필요한 윗 방향의 힘보다, 조(爪)의 중앙 방향으로 가까이 당기는 방향으로 크게 힘이 작용해 버려, 적절한 교정 효과를 얻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이 장치를 이용했을 경우, 수개월의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이 특허 공보에 기재된 장치의 포스트 부재는 직립 부분을 가지고 있어 이 장치를 장착한 채로 생활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실용적이지 않았다. 나아가서는, 함입조 등의 조(爪) 변형증에 있어서는, 조(爪)는, 그 근원(根元)의 근처에 있어서도 조구(爪溝)의
피부·육부(肉部)에 깊게 파고 들어 있고, 또한, 근원에서는, 후조곽(後爪郭)에 덮여 있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충분한 교정 효과를 얻는 한편,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爪)의 근원에서 조구(爪溝)에 파고 들고 있으며, 또, 후조곽에 덮여 있는 조측부(爪側部)의 만곡을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장치에서는, 기본적으로, 노출하고 있는 조(爪)의 중앙 부분에게만 작용하는 것이라, 큰 교정 효과는 바라지 못하고, 특히 조(爪)의 측 테두리부가 피부·육부에 깊게 파고든 중증의 함입조의 교정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 및, 조(爪)가 성장에 따라 함입조가 재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는 방법의 경우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 기억 수지로부터 된 판 모양 편(片)을 접착제로 조면(爪面)에 접착(貼着)하기 때문에, 판 모양 편이 평탄화할 때에 조(爪) 표면이 추종 할 수 없기 때문에, 접착제의 접착력이 낮은 경우에는 판 모양편이 조면(爪面)으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지고, 반대로, 접착력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판 모양 편의 복원력을 저해하는 등이 사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의 판 모양 편은 노출하고 있는 조(爪)의 중앙 부분에게만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방법의 경우도, 상기의 판 모양 편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수개월의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하고, 게다가 교정구를 장착한 채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환자에게 있어서 매우 고통을 주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조(爪)의 함입한 측연부에 와이어의 후크를 쓰므로, 자주 동통이나 출혈을 수반해, 환자에게 있어서는 더욱 고통일 뿐만 아니라, 조(爪)가 딱딱하거나, 무르거나 했을 경우나 조백선(onychomycosis, 爪白癬)의 환자의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가는 와이어 모양의 후크로 함입부를 들어 올리기 위해, 필연적으로, 조(爪)의 측연부에 가해지는 힘은 국소적인 것이고, 조측연부의 만곡을 균등하게 효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상기한 대로, 함입조 등의 조변형증에 있어서는, 조(爪)가, 조구(爪溝)의 피부·육부에 깊게 파고 드는 근원 부분은, 많은 경우, 눈으로 확인하는 것조차 하지 못하고, 따라서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상기 부분에 와이어의 후크를 쓰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결국은, 조(爪)의 근원 부분의 만곡을 해소하지 못하고, 조(爪)의 변형이 재발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삼각형 모양의 장비는, 삼각형의 1변에 형성된 폭이 넓은 U자형 홈에 조(爪) 주변부를 끼워넣은 상태로 효과적인 교정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U자형 홈이 너무 길고, 또한, 전체 길이에 걸친 일정한 단면 형상이기 때문에, 특히 중증의 함입조나 조(爪)의 옆 가장자리가 변형하여 비직선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장착이 곤란하고, 실용성이 낮았다. 또한, 그 형상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조(爪)의 근원에 장비를 장착하는 것은 곤란하고, 상기 특허 문헌 1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조작부와, 조(爪)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에, 단면이 대략 J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함입조의 부분으로 삽입되는 선단홈(先端溝)을 구비한 교정구이며, 상기 선단홈을 함입조의 부분에 삽입한 상태로, 시술자가 교정구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함입조의 만곡 상태를 교정하고, 교정한 상태로 교정구와 조(爪)를 접착시킨 후, 교정구를 조(爪)의 형태에 맞추어 정형(整形)하여 외관적으로 조와 일체화시키고, 그 후, 조(爪)가 성장하는 것에 맞추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입조의 교정구가 개시되고 있다. 나아가,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이 특허 문헌 5에 개시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기술 사상에 근거한 기구(splint)를 이용한 치료의 예가 보고되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 5의 도면에 나타난 교정구는, 언뜻 보기에, 조(爪)의 근원까지 찔러 넣는 설계인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는, 상기대로 교정구의 「선단홈」만을 조(爪)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것 밖에 개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의 도 1에 나타나는 것의 경우, 상기 선단홈의 조(爪)의 뒤편에 삽입하는 부분의 폭이 3 mm로 개시되고 있다. 당연히, 폭 3 mm의 선단홈을, 조(爪)의 근원까지 찔러 넣는 것은 상정할 수 없고, 실제로, 상기대로, 이 특허 문헌에는, 「선단홈」을 삽입한다는 기재 밖에 없고, 또 도면 에 있어서도, 선단부만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덧붙여 상기의 폭 3 mm는, 선단홈에서 조(爪)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비틀어 조(爪)를 교정한다고 하는 특허 문헌 5의 기술 사상상, 요구되는 사이즈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최저로 필요한 폭으로 이해된다.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상기와 같은 형상인 경우, 교정구를, 근원까지 찔러 넣으려고 하면,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된다. 실제로,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나, 사진에 나타나고 있는 모양에 있어서,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즉, 조(爪)가 피부를 파고 드는 개소)에 삽입되는 것은, 선단(先端)의 매우 짧은 영역에 머문다. 그 결과, 교정 효과도 조(爪)의 선단 및 그 부근에 미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5의 교정구에 대해서는, 중증의 함입조의 교정에는 효과가 작고, 또 조(爪)의 근원 부분이 충분히 교정되지 않기 때문에, 조(爪)의 성장에 수반해 함입조가 재발해 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의 경우와 같이, 특허 문헌 5의 교정구의 상기 선단홈(先端溝)도,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친 일정한 단면 형상이기 때문에, 조(爪)의 측연부(側緣部)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하려고 해도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교정용 처리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다. 이 특허 문헌은, 시스테인, 티오 글리콜산 및 티오 글리콜산염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함입조 등의 변형 조(爪) 교정용 처리제, 및 그것을 이용하는 변형 조(爪)의 교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의 발명은, 조(爪)의 성분이 머리카락의 성분에 가까운 것에 주목하고, 두발용의 영구 웨이브 기술을 변형 조(爪)의 교정에 응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조작을 실시한다. 영구 웨이브용 제1 제(劑)의 주성분인 상기 환원제에 유화제를 첨가하고, 환원제 5 중량% 함유의 크림 형태 약제를 조제하여, 이것을 변형 조(爪) 교정용 처리제로 한다. 우선, 조(함입조 등의 변형 조(爪))를 충분히 성장시켜 신장한 상태로 하고, 그 전방부의 신장한 부분(자유단연부분, 自由端緣部分)에 2~3개의 작은 관통홀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처리제를 조(爪)의 외표면 전체에 도포하고 약 30분간 정치(靜置)하는 것에 의해, 조(爪) 중의 케라틴 단백질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테인의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을 환원하여 2개의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절단하고, 이것에 의해, 조(爪)를 연화시킨다. 처리제를 온수로 세정 제거한다. 이와 같이 연화시킨 상태의 조(爪)의 형상을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교정한 후, 상온 경화성 레진을, 조(爪)의 자유단연부분(自由端緣部分)의 해당 작은 관통홀을 메우도록 조(爪)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조(爪)를 고정하고 나서 1시간 정치(靜置)하고, 그 후에 고정용 레진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는, 교정을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행하므로, 번잡하고, 숙련된 손재주를 필요로 한다. 또한, 교정 후에 고정하기 위하여 조(爪)가 충분히 성장하여 신장한 상태여야 하지만, 함입조의 환자는 손톱을 바싹 깊이 깎는 경우(深爪)가 매우 많기 때문에, 즉시 교정 시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본적으로 조(爪)의 근원부는 교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5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7에는, 조구(爪溝)에 함입한 조(爪) 가장자리부를 치켜 올리는 것으로 함입조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압하(押下) 헤드를 하단부에 가지는 직립한 압하 부재;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이며, 그 중간 부분에 해당 압하 부재가 설치되는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 및 해당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의, 압하 부재가 설치된 해당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아래 방향으로 늘어나는 1조의 리프팅 부재이고, 그 하단부에 앵커를 보지(保持)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팅 부재를 포함하고, 조(爪)의 외표면에 장착한 해당 장치가 리프팅 부재에 장력을 거는 것으로, 조(爪)의 외표면의 해당 측부에 각각 설치된 해당 앵커에 대해서 함입조를 교정하기 위한 리프팅 힘을 발휘시키면서, 압하 부재의 압하 헤드에 의해, 조(爪) 외표면의 중간부를 손발가락(指)의 두께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특히 이 교정 장치를 전술한 특허 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조연화제(爪軟化劑)와 병용하는 것에 의해, 약 30분 ~ 약 1시간 정도의 단시간으로, 또한,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일 없이 함입조를 확실히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교정 처치 후의 조(爪)의 형태를 유지하고, 함입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 목적으로 최적인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미국 등록특허 제 4,057,055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 평 8-215227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 2001-276104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 2011-104231호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특허 2002-360619호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특허 2004-238288호 특허 문헌 7: 국제 공개특허 WO2008-142880 호
비특허 문헌 1 : J. Med. Invest. 2010 Aug;57(3-4):321-5. "Resin splint as a new conservative treatment for ingrown toenails.", K. Matsumoto et. al.
전술한 대로, 통상, 함입조 등의 조(爪) 변형증에 있어서는, 조(爪)는, 그 근원의 근처에 있어서도 조구(爪溝)의 피부·육부에 깊게 파고들고 있고, 또한, 근원에서는, 후조곽(後爪郭)에 덮여 있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충분한 교정 효과를 얻는, 한편,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爪)의 근원에서 조구(爪溝)를 파고들고, 또한, 후조곽에 덮여 있는 조측부(爪側部)의 만곡을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의 변형 조(爪) 교정구에서는, 조(爪)의 선단만 또는 조(爪)의 중앙부만을 교정할 수 밖에 없었고, 조(爪)의 상기 개소의 만곡이 해소되지 않고, 조(爪)의 성장에 따라 조(爪)의 변형이 재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교정구를 무리하게 조(爪)의 근원 쪽에 장착하려고 해도, 조구(爪溝)의 연부 조직을 손상시켜 버리고, 또한, 조(爪)의 측연부(側緣部)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래 조(爪)의 근원부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했다. 따라서, 교정하려고 하는 변형 조(爪)가, 변형, 만곡의 강한 중증의 것인 경우나 조(爪)의 측연부(側緣部)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경우라도, 장착시에 환자에게 아픔을 주지 않고, 조(爪)의 근원의 근처까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큰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변형 조(爪)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변형 조(爪)의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를 행한 결과,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에 있어서,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특정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는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특정한 구조에 의해, 교정하려고 하는 변형 조(爪)의 변형의 정도나 모양에 상관없이, 환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지 않고, 조(爪)의 근원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러한 지견(知見)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교정구를 이용하면, 교정하려고 하는 변형 조(爪)가, 변형, 만곡의 강한 중증의 것인 경우나 조(爪)의 측연부(側緣部)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경우라도, 장착시에 환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지 않고,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할 수 있어 그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큰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조(爪)의 변형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조(爪)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함입조를 가지는 발의 엄지의 정면도이다(파선은, 거의 원형으로 만곡한 조(爪)에 대해서, 그 원의 중심으로부터 등 각도(30도)의 12 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정구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만곡 각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파선은, 본 발명의 교정구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만곡을 그대로 연장한 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정구의 일 태양(態樣)을 비스듬한 위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교정구를 비스듬한 아래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정구의 다른 1개의 태양을 비스듬한 아래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정구의 또 다른 1개의 태양을 비스듬한 아래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교정구의 또 다른 1개의 태양을 비스듬한 아래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1조의 본 발명의 교정구를 비스듬한 위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 1에 있어서의 교정 처치 전후의 환자의 발끝의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 예 2에 있어서의 교정 처치 전후의 환자의 발끝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에 있어서,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 및 바람직한 여러 태양(態樣)을 열거한다.
1.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에 있어서,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2.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대치를 100%라고 했을 때에,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소치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교정구.
3.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대치를 100%라고 했을 때에,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소치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교정구.
4.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및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내측으로 움푹 패인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5. 적어도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이, 가요성(可撓性)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6.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길이가, 상기 교정구를 설치하는 조(爪)의 폭의 50%를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7. 상기 교정구의, 상류 측의 단부 및 하류 측의 단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교정구의 조(爪)로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8.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상부 표면에 적어도 1개의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9.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이 연속하여 신장하고,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이 인장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인 것에 의해서,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각각 조(爪)의 좌우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를 좌우로부터 단단히 조이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10.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에 대한 환원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연화제(爪軟化劑)로 보다 연화시켜 정형(整形)한 조(爪)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교정구.
11.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를 포함한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해서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
12.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조합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해서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상기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각각의 띠모양 중앙부에서 적층되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조(爪, 1)의 정면도이다. 예를 들면, 전술의 특허 문헌 5에 개시되는 교정구의 경우, 교정구의 선단홈(先端溝, 조(爪)의 선단부를 넣기 위한 홈)은,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대략 J자 모양 단면을 가지고 있다. 즉, 이 문헌의 교정구를 조(爪)의 선단으로부터 근원 측에 밀어 넣는 경우, 당해 선단홈은, 조(爪)의 측단부(側端部)에 있어서, 하면(a) 및 측면(b), 또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상면(c)의 주변의 연부 조직을 밀어 헤쳐 진행해 가게 된다. 상기 선단홈의 조(爪)의 하면(a)에 접하는 개소는, 최선단 부분에 곡률 반경(R)을 줄 수 있지만, 조(爪)의 측면(b) 및 상면(c)에 접하는 개소에서는, 선단홈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형상이 되고 있다. 이것을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하면, 당연히,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특허 문헌 5에 있어서는, 상기의 선단홈에 함입조의 측부 선단만 삽입하고, 이것을 선단홈에 의해서 파 지킨 상태로 교정구를 조(爪)의 폭방향(즉,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爪) 선단(先端)을 비틀어 교정한다는 수법을 채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본적으로 교정되는 것은, 조(爪)의 선단부와 그 부근만 되지만, 함입조의 만곡은, 조(爪)의 근원으로부터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조(爪)의 성장에 따라, 함입조가 재발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함입조는, 중증의 것이 되면, 도 2에 나타내듯이, 360도 이상의 만곡이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예의 경우, 정면에서 보아 손발가락(指)의 우측에 있어서는, 조(爪)는 3시의 방향에서 7시의 방향으로 걸쳐 피부·육부를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상태의 함입조에 있어서는, 조(爪)의 선단부와 그 주변에 대해서만 조(爪)의 만곡을 해소하여도, 충분하고 지속적인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중증의 함입조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교정구를 이용해 교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특허 문헌 2와 같이 조(爪)의 노출하고 있는 표면에만 판 모양 편(片)의 교정구를 첩착하는 기술에서는, 조구(爪溝)에 파고드는 조(爪)의 측부의 만곡에까지 교정 효과를 미치는 것이 곤란했다. 나아가서는, 특허 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장비와 같이 폭의 넓은 U자형 홈에 조(爪) 주변을 끼워 넣으려고 해도, 조(爪)의 근원의 쪽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조(爪)의 측면(b)은 연부 조직에 파고들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조(爪)의 근원 부분의 측면(b)에 상기와 같은 U자형 홈을 끼워 넣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5의 교정구는, 조(爪)의 측연부(側緣部)를 넣기 위한 홈이,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단면 형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조(爪)의 측연부(側緣部)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하려고 해도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교정구는, 이를 조(爪)의 선단으로부터 근원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 먼저,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서서히 조(爪)의 측면(b)을 잡아 가고, 그리고 후크부가 측면(b)으로부터 하면(a)까지를 잡도록 구성되어 있어 실제의 사용시에는, 교정구를 조(爪)의 선단으로부터 밀어넣으면, 먼저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조측연부(爪側緣部, lateral edges of the nail)와 연부 조직과의 사이에 미끄러져 들어가듯이 매끄럽게 진입하여 가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에 선도(先導)되는 형태로 후크부도 매끄럽게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되어, 그것에 의해 조(爪)가 파고든 연부 조직에 부하를 주지 않고 교정구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교정구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최초로 조(爪)에 접하는 부분)를 포함하는 개소에 형성되고, 이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해당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해당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있다. 여기서, 스크류 날개 모양부 및 후크부의 만곡의 각도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교정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만곡 부분 (도 3에 있어서의 e-f의 곡선)을 그대로 연장한 원(도 3에 있어서 연장 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혹은 이것에 근사하는 원을 상정하여, 그 원의 중심(d)과 만곡의 개시 지점(e)을 묶는 직선 d-e와 해당 중심(d)과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또는 후크부)의 선단부(f)를 묶는 직선 d-f 를 연장했을 때, 상기 직선 d-e와 직선 d-f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심각α(도 3의 예에서는 80도)를 의미한다. 스크류 날개 모양부(또는 후크부)가 만곡에 의해 완전하게 일주(一周) 하면, 해당 각도α는 360도이며, 반원을 그리고 있으면, 각도α는 180도이며, 원의 1/4이면, 각도α는 90도이다. 또한, 도 8과 같이, 해당 후크부는, 만곡이 적은 부분이 있고, 그것에 의해 "コ" 자(字)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상관없지만, 그 경우, 띠모양 중앙부 영역과 후크부의 경계로부터 개시하는 만곡을 그대로 연장한 원을 상정하고(즉, 만곡이 적은 부분은 무시하고),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만곡 각도α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에 대해서, 만곡이 적은 부분이 있어, 그것에 의해 "L" 자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고 있을 때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한다.
덧붙여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교정구에 있어서는, 선단홈은, 조(爪)의 단부를 확실히 파지하고, 그 상태로 교정구를 비틀어도, 조(爪)의 선단부가 선단홈으로부터 빗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교정구의 경우, 상기대로, 스크류 날개 모양부를 가지는 것으로, 조(爪)에의 장착시에는, 이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조(爪)의 측부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것으로, 환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구라면, 도 2에 나타내는 중증의 함입조라도, 조(爪)의 근원 방향까지 무리 없이 삽입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교정이 가능하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과 특허 문헌 5에 따른 발명은, 서로 정반대의 기술 사상에 근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교정구에 대해서, 도 4~9를 참조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 조(爪) 교정구는,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이며,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3),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는,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을 가지고 있다.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은 조(爪)의 위쪽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이 영역의 치수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조(爪)에 장착하기 전에는, 조작성 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조(爪)의 폭보다 상당히 길게 해 두어, 장착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해도 상관없다. 일반적으로, 조(爪)의 표면에 접착되고 있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면적이 큰 만큼, 교정구를 보다 안정하게 조(爪)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길이가, 해당 교정구를 설치하는 조(爪)의 폭의 50%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조(爪)의 표면에 접착되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면적이 작아도, 교정구를 안정하게 조(爪) 표면이나 손발가락(指) 표면에 고정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면, 삽입부 영역(4)을 조(爪)나 손발가락에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경우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길이가, 해당 교정구를 설치하는 조(爪)의 폭의 50% 미만이라도 상관없다. 따라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바람직한 길이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의 위쪽 표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의 정도에 따를 수 있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의 위쪽 표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의 정도가 비교적으로 높은 경우는, 구체적으로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통상 3~2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5~20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15 mm이다. 단, 상기한 대로, 장착시의 조작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의 범위보다 길게 해 두어, 조(爪)에의 장착 후에 불필요한 길이를 커트해도 상관없다. 한편,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의 위쪽 표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필요성의 정도가 비교적으로 낮은 경우는, 구체적으로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통상 5 mm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1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 mm이다. 단, 상기한 대로, 장착시의 조작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의 범위보다 길게 해 두어, 조(爪)에의 장착 후에 불필요한 길이를 커트해도 상관없다.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폭은, 대상으로 하는 조(爪)의 사이즈 등에 의해, 적절한 폭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폭은, 통상 0.2~20 mm이며, 바람직하게는 2~20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9 mm이다. 또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두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교정구를 장착시에 눈에 띄지 않게 하고, 또한, 장착감을 향상하는 관점에서는,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도나 교정력을 발휘하는 탄성도 등을 고려하여, 통상 0.05~5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 mm의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은, 평판 모양이라도 상관없지만, 조(爪)의 표면의 형상에 피트시킬 수 있도록,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다만, 교정구의 설치 용이성이나 충분한 교정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곡률 반경(R)이, 후크부의 곡률 반경(R)보다 클 것을 필요로 한다. 평판 모양이라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에 의한 판용수철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만곡하고 있으면, 교정구를 조(爪)에 접착할 때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균일해도 좋고, 불균일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은 1개 또는 2이상의 작은 구멍을 가져도 상관없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 및,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폭은, 모두, 균일해도 좋고, 불균일이라도 상관없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재질은,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재질과 같아도 좋고, 달라도 상관없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질(硬質) 재료라도 상관없고, 연질(軟質) 재료라도 상관없고, 가요성(可撓性) 재료라도 상관없고, 탄성 재료라도 상관없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료의 예로서는, 수지, 금속, 탄성중합체(elastomer), 고무, 직포(織布), 부직포(不織布) 등을 들 수 있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예를 들면, 금속제 와이어나 수지제 와이어로 형성해도 좋고, 탄성중합체(elastomer)제의 띠모양체나 끈 모양체나, 고무제의 띠모양체나 끈 모양체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가능한 한, 점착 테이프나 반창고 등을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재료로서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구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조(爪)의 상측 표면에 당접시키는 부분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이며, 그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는, 조(爪)의 상측 표면에는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이다.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이 만곡 형상이며, 삽입 가장자리 영역(4)(후크부(4a) 및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곡률 반경(R)보다 후크부의 곡률 반경(R)이 작기 때문에, 곡률 반경(R)이 변하는 지점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으로 후크부(4a)와의 경계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의 경계가, 언뜻 보기에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후크부(4a)와의 경계선의 연장선상에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의 경계가 있는 것으로 한다.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곡률 반경(R)이 상류 측과 하류 측으로 서로 달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곡률 반경(R)이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여 대략 원추 형상을 가져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4b)가 형성되고,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4a)가 형성되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해당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있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4)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해당 후크부(4a)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있다.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4)의 폭의 5~99% 인 것이 바람직하고, 7~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만곡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9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90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90도이다.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만곡 각도는 상류 측과 하류 측으로 서로 달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서서히 만곡 각도가 커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상류 측 단부로부터 하류 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 라고 했을 때에, 상류 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20%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의 만곡 각도를 1~18도, 상류 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20%~40%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의 만곡 각도를 18~36도, 상류 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40%~60%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의 만곡 각도를 36~54도, 상류 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60%~80%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의 만곡 각도를 54~72도, 상류 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80%~100% 까지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의 만곡 각도를 72~9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인 만곡 각도는, 환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실제의 치료 시에, 개개의 증상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해도 상관없다.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길이(조(爪)의 폭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의 경계로부터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선단까지의 거리)의 최대치를 100%로 했을 때에,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길이의 최소치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상류 측 단부에 있어서, 길이가 최소(예를 들면 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최장부(상기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개소)의 실제의 길이는, 통상 10 mm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 mm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m이하이다.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해서는, 상기의 요건을 채우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4 b),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4 b),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4 b), 및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내측으로 움푹 패인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4 b)으로부터 되는 군보다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4 b와 같이, 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개소가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모두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폭과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폭은, 같아도 달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폭에 비하여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폭을 크게 하고, 조(爪) 표면보다 큰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교정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폭 쪽을 크게 하는 경우로서 도 9와 같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의 경계에 있어서만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 같은 폭으로 하여, 상류 측 단부에 있어서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의 경계 주변이 만곡 형상으로 돌출하는 모양이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모양은, 장착시에 조함입부(爪陷入部)의 연부 조직에의 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특히, 중증의 함입조이며, 연부 조직이 조(爪)의 상측 표면(도 1의 c)에 크게 덮여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교정구의 재료에 대해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여러 가지의 수지나 금속, 탄성중합체(elastomer), 고무 등의 여러가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을, 각각 다른 재료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를 수지로 형성하고, 후크부(4a)를 금속제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예를 들면,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금속제 와이어나 수지제 와이어로 형성해도 상관없고, 탄성중합체(elastomer)제의 띠모양체나 끈모양체나, 고무제의 띠모양체나 끈모양체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점착 테이프나 반창고 등으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 특히 스크류 날개 모양부(4b)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가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나일론(폴리아미드), 테니테 아세트산(tenite acetate), 아세트산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탄화불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 에테르 술폰 수지(PES) 및 폴리 페닐 술폰 수지(PPSU)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조합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미국 BASF Corporation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C)인 Styrolux(등록상표) 684 D, 미국 Cyro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 베이스의 다중 폴리머인 Cryro(등록상표) R40(아크릴 베이스), 미국 SABIC Innovative Plastics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Lexan KR01, 미국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인 K-resin(등록상표), 일본 덴키화학공업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메치르메타크리르산브타지엔스치렌타포리마인 TP-UXS(MMBS)(상품명), 한국 Samsung Cheil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인 Starex(등록상표) 5010, 캐나다국 NOVA Chemicals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 메틸 메타크릴산 폴리머(SMMS)인 Zylar(등록상표) 220및 Nas(등록상표) 30, 및 미국 Toray Resin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인 Toyalac 920(투명한 ABS)을 들 수 있다. 2 종류 이상의 수지를 혼합해 이용하는 예로서는, ABS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금속으로서는, 생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면 특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동, 금, 백금, 팔라듐, 인듐, 이리듐, 철, 주석, 코발트, 크롬, 니켈, 티탄, 및 그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합금의 예로서는, 은합금, 금은 팔라듐 합금, 금 합금, 도재(陶材) 인화용 합금, 코발트 크롬 합금, 니켈 크롬 합금, 및 티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조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특히 스크류 날개 모양부(4b))과는 단일의 재료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을 다른 재료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4a)가 형성되고 이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있다. 이 후크부(4a)의 만곡의 각도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후크부(4a)의 만곡 각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360도 이하이며, 30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7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크부(4a)의 만곡 각도는 상류 측과 하류 측이 서로 달라도 상관없고, 예를 들면,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후크부(4a)의 만곡 각도가 서서히 증가해도 상관없다. 또한,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로부터 후크부(4a)에 결처셔 만곡 각도가 매끄럽게 변화하여,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 후크부(4a)가 매끄럽게 연속한 형상을 가져도 상관없다. 또한, 최적인 만곡 각도는, 환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실제의 치료 시에, 개개의 증상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해도 상관없다. 또한, 후크부(4a)의 최하부에 조(爪)의 하면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수단을 설치해도 상관없다. 그러한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예로서는, 후크부(4a)의 최하부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상향 갈고리 모양부나 후크부(4a)의 조(爪)의 하면에 접하는 부분에 마련한 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크부(4a)는, 상기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 마찬가지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증가하는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통상, 만곡 각도도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커진다. 또한, 후크부(4a)는 복수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그 경우, 상류 측의 후크부(4a)가 긴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해당 후크부(4a)의 길이(조(爪)의 폭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의 경계로부터 후크부(4a)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통상 1~10 mm이며, 바람직하게는 1.5~7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mm이다.
해당 삽입 가장자리(4)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후크부(4a)의 폭은, 통상 0.2~2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5~1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mm이다.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폭은, 통상 0.5~2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2.0~15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 mm이다.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 전체의 폭은, 통상 0.8~4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2.5~25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14 mm이다.
해당 삽입 가장자리(4)에 대해서, 해당 후크부(4a) 및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두께는, 각각 통상 0.03~5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 mm의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해당 후크부(4a)의 두께와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같아도 달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는 후크부(4a)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상관없고, 또 따로 따로 형성되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제조의 용이함이나 장착시의 환자에게의 부담 경감의 관점에서,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 후크부(4a)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9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와 후크부(4a)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당 교정구의, 상류 측의 단부 및 하류 측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장하는, 해당 교정구의 조(爪)에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연장부를 가져도 상관없다. 이 연장부의 형상이나 치수에 대해서는, 조(爪)에의 고정을 보다 안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상부 표면 또는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하류 측의 상부 표면에 적어도 1개의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손잡이에 의해, 본 발명의 교정구의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로의 삽입 작업, 조(爪)에의 접착 작업, 그리고 조(爪)에 교정력을 주는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손잡이는, 조(爪)에의 공정 작업이 완료한 다음은 제거해 버릴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의 형상이나 치수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 가능한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이,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있어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이 인장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인 것에 의해서,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각각 조(爪)의 좌우에 삽입하는 것으로써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를 좌우로부터 단단히 조이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교정구가 제공된다. 이 모양에 있어서의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이 인장 스프링으로서 기능하여,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중앙에 끌어 들이는 힘을 제공하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자바라 형상, W자형 모양, V자형 모양, Ω자형 모양의 평면 스프링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를 이용해 본 발명의 교정구를 제조하는 경우, 공지의 사출 성형으로 직접 제조해도 좋고, 또는 수지제의 평판을 가공(절단, 절곡 등 )하는 것으로써 제조해도 상관없다. 또한, 금속을 이용해 본 발명의 교정구를 제조하는 경우도 공지의 방법(다이캐스트법, 프레스법, 사형주물법, 단조법, 기계 가공법, 분말야금(powder metallurgy, 粉末冶金)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과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과는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상관없고, 따로 따로 형성하고, 서로 달아도 상관없다.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과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과 따로 따로 형성해 서로 다는 경우의 설치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 용착, 용접, 및 단순한 계합(係合)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교정구를 이용한 변형 조(爪)의 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교정구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4b)를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 방향으로 밀어 넣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하류에 위치하는 후크부(4a)가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 또는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를 파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교정구를 조(爪)의 선단으로부터 밀어 넣으면, 먼저 스크류 날개 모양부(4b)가 조측연부(爪側緣部, lateral edges of the nail)와 연부 조직과의 사이에 미끄러져 들어가듯이 매끄럽게 진입하고, 그리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에 선도(先導)되는 형태로 후크부(4a)도 매끄럽게 조(爪)의 근원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에 의한 매끄러운 도입에 의해, 조(爪)가 파고든 연부 조직에 부하를 주지 않고 본 발명의 교정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시에, 본 발명의 교정구를, 손발가락(指)의 정면에서 보고, 좌우로 조금씩 선회시키면서 조(爪)의 근원 방향으로 밀어 넣어도 상관없다. 교정구를 조(爪) 위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 조(爪)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흘려 넣는다. 그 후, 상기의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이 조(爪)의 중앙으로 가까이 당겨지도록 끌어 당기는 것으로, 조(爪)의 만곡을 교정하고, 교정된 상태로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의 표면에 접착한다.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양단으로부터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이 연속하여 신장하고 있어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이 인장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인 것에 의해서,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을 각각 조(爪)의 좌우에 삽입하는 것으로써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를 좌우로부터 단단히 조이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모양의 경우에는, 교정구를 조(爪) 의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면 장착 완료가 된다(접착제는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의 조작 중 또는 조작 전후에, 함입하고 있는 조(爪)의 측연부(側緣部)를 핀셋이나 전술의 선행 기술 문헌 7에 기재된 함입조 교정 장치 등을 사용하여, 교정을 보조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교정구로 변형 조(爪)를 정상적인 형상에 되돌린 상태로 고정하고, 몇일~수주간 정도 경과한 후에, 본 발명의 교정구를, 유기용제(예를 들면, 아세톤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위 「리무버」)를 사용해 제거한다. 또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 나이프나 줄 등의 도구를 이용해 제거해도 상관없다. 만약, 교정이 완료하기 전에, 본 발명의 교정구가 의도하지 않고 조(爪)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경우에는, 재차,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교정구를 장착한다.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의 표면에 접착할 때나,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 조(爪)를 접착할 때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공지의 접착제의 예로서는, 일본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의 예로서는, 의료용의 접착제인 일본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 A 「산쿄(三共)」(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인조 조(爪)를 자조(自爪)에 접착할 때에 이용되는 소위 「네일 아교」라고 칭해지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일 아교와 함께, 접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액티베이터(경화촉진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네일 아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ibd 5second 네일 아교」(일본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고 액티베이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MITHOS 액티베이터」(일본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구의 조(爪)에의 장착은,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에 대한 환원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연화제(爪軟化劑)로 연화시켜 정형(整形)한 후의 조(爪)에 대해서 해도 상관없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의하면,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에 대한 환원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연화제(爪軟化劑)로 연화시켜 정형한 후의 조(爪)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의 교정구가 제공된다. 조(爪)의 연화에 대해서는, 조(爪)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 시스테인의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을 환원에 의해 절단하여, 조(爪)를 연화시킬 수 있다. 조연화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핀셋이나 상기 특허 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교정 장치를 이용해 조(爪)의 형상을 정돈한 후, 산화제를 조(爪)에 도포하고, 재차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을 일으키게 하여 정형한 상태로 조(爪)의 경도를 어느 정도 되돌리고, 그 후, 본 발명의 교정구를 장착·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몇일~수주일 후에 본 발명의 교정구를 떼어내는 것으로 변형 조(爪)의 교정을 완료한다.
상기의 조연화제(이황화결합에 대한 환원제) 및 산화제에 관해서는, 통상, 영구 웨이브용의 약액(소위 「파마액」)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시판의 파마액의 제1제(劑)를 조연화제(환원제)로서 사용하고, 제2제를 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환원제로서는, 일반적으로 티오 글리콜산 또는 그 염 혹은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부티로락톤 티올(butyrolactone thiol)(예를 들면, 일본 쇼와전공 주식회사제 「스피에라」(등록상표)) 및 글리세릴 모노치오글리코레트(Glycerin Mono Thioglycollate, GMT)를 들 수 있다. 산화제의 예로서는, 과산화 수소 및 브롬산염(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조연화제(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에 대한 환원제) 및 산화제의 도포량에 관해서는, 조(爪)의 모든 곳에 도포하면 좋다. 적절한 도포량은, 조연화제 및 산화제의 종류나 조(爪)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각각 통상 1~5 g의 범위이다. 또한 도포의 방법에 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고, 솔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조연화제를 사용하면 조(爪)의 주변의 자유단(free-end) 영역(조상(nail bed)으로부터 멀어진 조(爪)의 주변 개소)이 퍼져, 그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환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까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조(爪)의 근원의 만곡까지 확실히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확실히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히 중증의 함입조에 대해서는, 조연화제로 연화시킨 함입조에 대해서, 상기 특허 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교정을 실시한 후에, 본 발명의 교정구를 이용하고 교정을 실시하면, 교정 작업을 보다 효율 좋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장치란, 구체적으로는, 조구에 함입한 조(爪) 가장자리부를 치켜 올리는 것으로 함입조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압하 헤드를 하단부에 가지는 직립한 압하 부재;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이며, 그 중간부분에 해당 압하 부재가 설치되는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 및 해당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의, 압하 부재가 설치된 해당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아래 방향으로 늘어나는 1조의 리프팅 부재이고, 그 하단부에 앵커를 보지(保持)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팅 부재, 를 포함하고, 해당 앵커는, 그 하면에 조(爪)의 외표면에 대한 접착면을 가지고, 해당 리프팅 부재는, 해당 앵커를, 그 접착면에서 조(爪)의 외표면에 접착했을 때에, 해당 리프팅 각도 유지 수단으로부터 아래로, 조(爪)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향해 기운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해당 리프팅 부재와 앵커와의 결합부에서 측정되는 기울기가, 조(爪)를 가지는 손발가락(指)의 두께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수직 방향에 대해서 10도 이상이며, 해당 장치의 사용시에, 해당 압하 부재를, 조(爪)의 외표면의 중간 부분에 접촉시키고, 그리고 해당 1조의 앵커의 접착면을, 해당 조(爪)를 가지는 손발가락(指)의 선단에서 보고, 해당 압하 부재의 압하 헤드가 접촉하고 있는 해당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대립되는 위치에 있는 조(爪)의 외표면의 측부에 각각 접착하는 것으로써, 해당 장치를 조(爪)의 외표면에 장착하고, 조(爪)에 장착한 해당 장치가 리프팅 부재에 장력을 거는 것으로, 조(爪)의 외표면의 해당 측부에 각각 접착된 해당 앵커에 대해서 함입조를 교정하기 위한 리프팅 힘을 발휘시키면서, 압하 부재의 압하 헤드에 의해, 조(爪) 외표면의 중간부를 손발가락(指)의 두께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상기에서 밝혀진 것처럼, 본 발명의 교정구를 이용한 변형 조(爪)의 교정은, 이하의 공정(1)~(5)를 포함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1) 조연화제를 도포해 조(爪)를 연화 시키는 공정,
(2) 조(爪)의 형상을 정돈하는 공정(예를 들면, 핀셋 및/또는 상기 선행 기술 문헌 7에 기재의 교정 장치 등을 이용해 조(爪)의 형상을 정돈할 수 있다),
(3) 조(爪)에 산화제를 도포하는 공정,
(4) 본 발명의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접착해 조(爪)의 형상을 고정하는 공정, 및
(5) 몇일간~수주간 방치 후에, 유기용제(리무버 등)를 이용해 접착제를 용해하는 방법이나 나이프나 줄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벗기는 방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교정구를 조(爪)로부터 제거하는 공정.
또한, 조(爪)의 양측부와도 함입하여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교정구를 각각 조(爪)의 양측부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설치의 방법으로서는, 먼저 1개의 교정구를 조(爪)의 한쪽의 측부에 상기의 방법으로 장착하고, 그 후, 조(爪)의 나머지의 측부에 또 하나의 교정구를 상기의 방법으로 장착하면 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교정구의 각각의 띠모양 중앙부를 적층하고,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네일 아교를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액티베이터(경화촉진제)를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2개의 교정구를 서로 접착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인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1개의 조(爪)에 대해, 본 발명의 교정구를 3개 이상 장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더욱 다른 1개의 모양에 의하면,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를 포함한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이고, 해당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해당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해당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에 포함되는 해당 1조의 교정구의 각각에 관한, 구성, 특징, 재료,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교정구에 관련하여 상기한 대로이다. 각 교정구의 조(爪)에의 장착 방법 등에 관해서도 상기한 대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1개의 태양에 의하면,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조합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이며, 해당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해당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해당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해당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해당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해당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각각의 띠모양 중앙부에서 적층되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에 포함되는 해당 1조의 교정구의 각각에 관한, 구성, 특징, 재료,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교정구에 관련하여 상기한 대로이다. 또한, 해당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네일 아교를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액티베이터(경화촉진제)를 병용 하여도 상관없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를 조(爪) 위에서, 상기와 같이 조합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변형 조(爪) 교정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각 교정구의 조(爪)에의 장착 방법 등에 관해서도 상기한 대로이다.
이하에,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제의 교정구를 이용하고, 79세, 여성의 환자에 대해서 함입조의 교정 치료를 실시했다.
1. 교정구의 치수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15mm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폭:5mm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의 두께:0.5mm
해당 후크부(4a)가 길이(조(爪)의 폭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띠모양 중앙부 영역(3)과의 경계로부터 후크부(4a)의 선단까지의 거리):2mm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후크부(4a)의 폭:3mm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해당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폭:2mm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의 폭에 있어서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4b)의 폭의 비율:40%
2. 치료 방법
환자의 조(爪)에 조연화제(글리세릴 모노치오글리코레트) 2g을 도포하여 조(爪)를 연화시키고, 핀셋을 이용하여 연화한 조(爪)의 형상을 정돈하였다. 그 후, 조(爪)에 산화제(브롬산칼륨)를 2g 도포하였다. 상기의 교정구를 조(爪)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정구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4)을 조(爪)의 한쪽의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였다. 이 때, 교정구 전체가, 조선단(爪先端) 자유단(free-end)보다도 속으로 도달할 때까지 밀어 넣었지만, 환자에게 아픔을 주는 일 없이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었다.
다음에, 삽입 가장자리 영역(4)과 조(爪)와의 사이에 접착제(일본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 A 「산쿄」(등록상표))를 흘려 넣고, 그 후, 즉시 「ibd 5second 네일 아교」(일본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및 「MITHOS 액티베이터」(일본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를 이용하여, 교정구의 띠모양 중앙부 영역(3)을 조(爪) 상면에 접착하여, 이를 통해 교정구를 조(爪)에 접착·고정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조(爪)의 또 한쪽의 옆의 함입 부분에도 교정 처치를 실시하였다.
3주일 후에, 리무버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용해하고 본 발명의 교정구를 조(爪)로부터 제거하였다.
3. 결과
교정 치료전의 함입조의 모습을 도 10(a)에, 교정 치료 직후의 모습을 도 10(b)에 나타낸다. 상기의 교정 치료에는 30분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도 10에서 밝혀진 대로, 중증의 함입조가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교정되고 있다. 도 10(b)에는, 손발가락(指)에 원래 조(爪)가 파고들었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정 치료 동안, 환자가 불쾌감이나 아픔을 느끼는 것은 없었다. 덧붙여 상기한 대로, 치료로 3주일 후에 교정구를 제거했지만, 교정 효과는 유지되고 있었다.
<실시 예 2>
72세, 남성의 함입조환자에게, 실시 예 1과 같은 치료를 실시하였다.
교정 치료 전의 함입조의 모습을 도 11(a)에, 교정 치료 직후의 모습을 도 11(b)에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도, 실시 예 1과 같이, 중증의 함입조가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교정되고 있다. 또한, 실시 예 1과 같이, 교정 치료 동안, 환자가 불쾌감이나 아픔을 느끼는 것은 없었다.
<비교예 1>
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 예에 있어서 이용된 것과 같은 형상 및 치수의 교정구를 이용하여 함입조의 교정 치료를 실시하였다. 환자는, 55세의 여성이며, 함입조의 정도는, 실시 예 2와 거의 마찬가지였다.
실시 예 1과 같은 조건 및 조작으로 치료를 시도했지만, 교정구의 조(爪)에의 장착에 관해서는, 교정구를 조(爪)의 근원까지 밀어 넣으려고 하면, 환자가 아픔을 호소했기 때문에, 상기 교정구의 선단 홈을 실질적으로 조(爪)의 선단의 자유단(free-end)에만 삽입한 상태로 조작을 실시했다.
그 결과, 조(爪)의 선단 부근은 교정되었지만, 조(爪)의 근원 쪽의 만곡은 해소되지 않고, 그 때문에, 상기의 교정 치료로부터 3개월 후에 관찰했는데, 함입조가 재발하고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스크류 날개 모양부와 후크부와의 연계에 의해, 변형, 만곡의 강한 중증의 함입조라도, 장착시에 아픔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인 조(爪) 교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개소인 조(爪)의 근원의 측조부(側爪部)까지 교정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큰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조(爪)의 변형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a 조(爪)의 하면
b 조(爪)의 측면
c 조(爪)의 상면
d 파선으로 나타낸 원의 중심
e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만곡의 개시 지점
f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선단부
α 만곡의 각도
1 조(爪)
2 발의 엄지
3 띠모양 중앙부 영역
4 삽입 가장자리 영역
4a 후크부
4b 스크류 날개 모양부

Claims (12)

  1.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장착하는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에 있어서,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대치를 100%라고 했을 때에,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소치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대치를 100%라고 했을 때에,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의 길이의 최소치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길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영역,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및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내측으로 움푹 패인 곡선을 그리며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이, 가요성(可撓性)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爪)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길이가, 상기 교정구를 설치하는 조(爪)의 폭의 50%를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구의, 상류 측의 단부 및 하류 측의 단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교정구의 조(爪)로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상부 표면에 적어도 1개의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이 연속하여 신장하고,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이 인장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인 것에 의해서, 2개의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각각 조(爪)의 좌우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를 좌우로부터 단단히 조이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황화결합(二黃化結合, disulfide bond)에 대한 환원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연화제(爪軟化劑)로 보다 연화시켜 정형(整形)한 조(爪)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구.
  11.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를 포함한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해서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키트.
  12. 조(爪)의 좌우에 설치하기 위한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조합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조의 교정구의 각각이,
    조(爪)의 상부 표면에 당접시키기 위한 띠모양 중앙부 영역, 및
    상기 띠모양 중앙부 영역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신장하고, 측조갑연(側爪甲緣)과 측조곽(側爪郭)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가장자리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정구를 조(爪)에 장착했을 때에, 조(爪)의 근원(根元) 측이 되는 방향을 상류, 조(爪)의 선단(先端) 측이 되는 방향을 하류라고 할 때에,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상류 측 단부를 포함하는 개소(箇所)에 스크류 날개 모양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스크류 날개 모양부보다 하류 측에, 조(爪)의 측조갑연부(側爪甲緣部, side line portion of the nail) 또는 조(爪) 끝(先)의 측연부(側緣部)(lateral edge of the nail tip)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날개 모양부는, 하부를 향하여 90도 이하의 각도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조(爪)에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교정구에 대해서, 조(爪)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에 걸쳐 증가하고, 또한, 조(爪)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상기 삽입 가장자리 영역의 폭의 5% 이상으로 걸쳐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하부를 향해서 90도를 넘는 각도로 만곡하고,
    상기 1조의 띠모양의 변형 조(爪) 교정구가, 각각의 띠모양 중앙부에서 적층되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조(爪) 교정용 시스템.
KR1020167011695A 2013-11-29 2014-11-27 변형 조 교정구 KR10200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8727 2013-11-29
JP2013248727 2013-11-29
JP2013270878A JP5579913B1 (ja) 2013-11-29 2013-12-27 変形爪矯正具
JPJP-P-2013-270878 2013-12-27
PCT/JP2014/081376 WO2015080200A1 (ja) 2013-11-29 2014-11-27 変形爪矯正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890A true KR20160091890A (ko) 2016-08-03
KR102008561B1 KR102008561B1 (ko) 2019-08-07

Family

ID=5157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695A KR102008561B1 (ko) 2013-11-29 2014-11-27 변형 조 교정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07285B2 (ko)
EP (1) EP3075361B1 (ko)
JP (1) JP5579913B1 (ko)
KR (1) KR102008561B1 (ko)
CN (1) CN105792782B (ko)
CA (1) CA2931659C (ko)
HK (1) HK1222788A1 (ko)
PH (1) PH12016500993B1 (ko)
WO (1) WO2015080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5962A1 (ja) 2014-11-10 2016-05-19 正則 原田 陥入爪による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絆創膏構造体
CN110192945B (zh) * 2019-05-15 2021-03-19 赵亮 嵌甲矫正板制作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055A (en) 1975-08-22 1977-11-08 Clark John H Toenail appliance and method
JPH08215227A (ja) 1995-02-08 1996-08-27 Hidekazu Machida 陥入爪矯正具
JP2001276104A (ja) 2000-03-30 2001-10-09 Reflepro Japan:Kk 爪の変形を直す矯正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矯正方法
JP2002360619A (ja) 2001-06-08 2002-12-17 Bigban:Kk 陥入爪の矯正方法及び矯正器具
JP2003061996A (ja) * 2002-08-12 2003-03-04 Bigban:Kk 陥入爪の矯正方法及び矯正器具
JP2003265508A (ja) * 2002-03-14 2003-09-24 Yukio Ichimura 巻き爪矯正具
JP2004238288A (ja) 2003-02-03 2004-08-26 Kikuzo Okada 変形爪矯正用処理剤
WO2008142880A1 (ja) 2007-05-11 2008-11-27 Masanori Harada 陥入爪の矯正装置
KR20100096134A (ko) * 2007-12-05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빗구방 집게손발톱 교정구
JP2011104231A (ja) 2009-11-20 2011-06-02 Hideo Togawa 陥入爪治療用の溝付プレート装具
KR20110118701A (ko) * 2009-03-06 2011-10-31 슌지 스즈키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6532A (en) * 1925-05-25 1926-08-17 Haener Frank Ingrowing-toenail appliance
US2567601A (en) * 1950-07-05 1951-09-11 Cassius D Heinold Nail corrector
US2920621A (en) * 1958-08-06 1960-01-12 Robert F Fettig Means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s
US6231840B1 (en) * 1998-02-13 2001-05-15 Carol J. Buck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nail fungi conditions
US6050966A (en) * 1998-08-20 2000-04-18 Wilberscheid; William A. Method for straightening a nail
NL1016926C2 (nl) * 2000-12-20 2002-06-21 Irene Spapens Pedicuregereedschap en werkwijze voor het schoonmaken en/of verwijderen van huidweefsel.
JP3091516U (ja) * 2002-07-18 2003-02-07 京子 海老澤 まき爪矯正具
JP2007244851A (ja) * 2006-02-14 2007-09-27 Tohoku Univ 変形爪矯正具
WO2007094125A1 (ja) * 2006-02-14 2007-08-23 Tohoku University 変形爪矯正具
US20090078277A1 (en) * 2006-05-08 2009-03-26 Fumiko Uemura Nail Shaper for Ingrown Nail and False Nail
JP2007229509A (ja) * 2007-05-01 2007-09-13 Masao Maruyama 巻き爪用矯正用具
DE102008010442B3 (de) * 2008-02-21 2009-07-30 Bernd Stolz Nagelspangenapplikator
DE102008033568B4 (de) * 2008-07-17 2013-01-03 Norbert Cohrs Nagelkorrektursystem
JP2011024776A (ja) * 2009-07-24 2011-02-10 Aso Seiyaku Kk 巻き爪矯正具
US8435200B2 (en) * 2008-12-22 2013-05-07 Masanori Yoshikawa Ingrown nail correcting device
JP5009434B1 (ja) * 2011-01-31 2012-08-22 株式会社アクトメント 爪矯正具および爪矯正治療セット
CN202446313U (zh) * 2012-02-09 2012-09-26 烟台扶生堂保健品有限公司 一种嵌甲矫治器
CN202682125U (zh) * 2012-06-14 2013-01-23 蒋红英 指/趾甲矫正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055A (en) 1975-08-22 1977-11-08 Clark John H Toenail appliance and method
JPH08215227A (ja) 1995-02-08 1996-08-27 Hidekazu Machida 陥入爪矯正具
JP2001276104A (ja) 2000-03-30 2001-10-09 Reflepro Japan:Kk 爪の変形を直す矯正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矯正方法
JP2002360619A (ja) 2001-06-08 2002-12-17 Bigban:Kk 陥入爪の矯正方法及び矯正器具
JP2003265508A (ja) * 2002-03-14 2003-09-24 Yukio Ichimura 巻き爪矯正具
JP2003061996A (ja) * 2002-08-12 2003-03-04 Bigban:Kk 陥入爪の矯正方法及び矯正器具
JP2004238288A (ja) 2003-02-03 2004-08-26 Kikuzo Okada 変形爪矯正用処理剤
WO2008142880A1 (ja) 2007-05-11 2008-11-27 Masanori Harada 陥入爪の矯正装置
KR20100096134A (ko) * 2007-12-05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빗구방 집게손발톱 교정구
KR20110118701A (ko) * 2009-03-06 2011-10-31 슌지 스즈키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JP2011104231A (ja) 2009-11-20 2011-06-02 Hideo Togawa 陥入爪治療用の溝付プレート装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 J. Med. Invest. 2010 Aug;57(3-4):321-5. "Resin splint as a new conservative treatment for ingrown toenails.", K. Matsumoto et. 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200A1 (ja) 2015-06-04
CN105792782A (zh) 2016-07-20
CA2931659A1 (en) 2015-06-04
JP2015126760A (ja) 2015-07-09
EP3075361B1 (en) 2019-06-19
CA2931659C (en) 2017-08-15
US10307285B2 (en) 2019-06-04
HK1222788A1 (zh) 2017-07-14
EP3075361A4 (en) 2017-10-04
CN105792782B (zh) 2018-02-13
PH12016500993A1 (en) 2016-07-04
US20170020709A1 (en) 2017-01-26
KR102008561B1 (ko) 2019-08-07
EP3075361A1 (en) 2016-10-05
JP5579913B1 (ja) 2014-08-27
PH12016500993B1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493B2 (ja) 陥入爪及び巻き爪の矯正器具
KR20110118701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JPWO2008142880A1 (ja) 陥入爪の矯正装置
US20080138759A1 (en) Eyelet for coil spring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JP5922635B2 (ja) 巻き爪矯正具
CN108697432B (zh) 发声障碍治疗用具及发声障碍治疗组
KR20160091890A (ko) 변형 조 교정구
US7008391B2 (en) Tool for corrective treatment of ingrown toenail
JP2007185203A (ja) 陥入爪矯正具および装飾用付け爪
JP2006314748A (ja) 爪の矯正具とその矯正方法
EP3563779B1 (en) Dysphonia treatment tool
JP3914881B2 (ja) 変形爪矯正用処理剤
JP4125174B2 (ja) 巻き爪矯正用具
JP2018038447A (ja) 爪矯正具
US20070254955A1 (en) Nail softener for use in deformed-nail corrective treatment or nail-structure modification, enclosure for external chemicals and method of correcting deformed nail
JP4687926B2 (ja) 巻き爪矯正具
JP3195770U (ja) 爪変形矯正装具用圧着子
JP2007229509A (ja) 巻き爪用矯正用具
JP3188130U (ja) 爪変形矯正装具
JP2007292775A (ja) 巻き爪用変性検査処理剤および矯正用処理剤
JP2004236680A (ja) 外用薬封入容器
KR20190042841A (ko) 손발톱 교정기 및 손발톱 교정 방법
JP2006167332A (ja) 自然爪の甘皮処理具付き人工爪湾曲具
JP2008295982A (ja) 陥入爪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