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134A - 집게손발톱 교정구 - Google Patents

집게손발톱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134A
KR20100096134A KR1020107012363A KR20107012363A KR20100096134A KR 20100096134 A KR20100096134 A KR 20100096134A KR 1020107012363 A KR1020107012363 A KR 1020107012363A KR 20107012363 A KR20107012363 A KR 20107012363A KR 20100096134 A KR20100096134 A KR 2010009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nail
contact portion
contact
straightener
corr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074B1 (ko
Inventor
요시코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빗구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빗구방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빗구방
Publication of KR2010009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게손발톱 교정구는, 집게손발톱 상태가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상기 필요 부분의 접착에 앞서서 파지되어,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는 평판형의 조작부(1)와, 상기 조작부(1)의 한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선단 방향을 향해 똑바로 돌출하는 박판형의 접촉부(2)와, 상기 접촉부(2)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이며, 상기 접촉부(2)와 대략 평행하게 상기 조작부(1)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박판형의 결합부(3)와, 상기 조작부(1)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2)와 상기 결합부(3)를 접속하여 J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부(4)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2)의 돌출 길이가, 상기 결합부(3)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집게손발톱 교정구{PINCER NAIL CORRECTION TOOL}
본 발명은,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자연스럽게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하이힐과 같이 앞이 좁은 구두를 계속적으로 신으면, 발톱이 극단적으로 만곡하여, 집게손발톱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집게손발톱을 교정하는 기구로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의 교정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 교정구는, 발톱의 한쪽 선단에 교정구를 삽입하여, 발톱의 만곡 상태를 교정하는 방향으로 교정구를 이동시킨다. 그 상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를 교정하는 것으로,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393865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교정구는, 그 구성상, 발가락의 피부가 장해가 되어 발톱 깊숙이까지는 삽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발톱과의 접착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성장하는 발톱에 의한 응력이, 좁은 접착 지점에 집중되는 결과, 발톱이 깨질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단일 교정구로, 여러 가지 만곡도의 집게손발톱을 교정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기 때문에, 집게손발톱의 만곡도에 대응한 교정구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발톱 끝이 백선균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발톱이 깨지는 것을 회피한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톱의 만곡 정도 등에 따라, 최적의 교정력을 발휘하는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집게손발톱 상태가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상기 필요 부분의 접착에 앞서서 파지되어,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는 평판형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 방향을 향해 똑바로 돌출하는 박판형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이며, 상기 접촉부와 대략 평행하게 상기 조작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박판형 결합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접속하여 J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돌출 길이가, 상기 결합부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집게손발톱에는, 함입(陷入) 발톱(내향성 발톱)이나, 트럼펫 발톱, 찌르는 발톱이라고 불리는 것, 및 소용돌이형으로 감긴 발톱도 포함되어 있다.
발톱 표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킴으로써, 발톱 표면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접촉부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인 결합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발톱의 옐로우 라인에 대응하여, 협폭의 결합 본체부를 한계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어, 발톱 이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본체부는, 선단을 향해 점차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정 초기는, 발톱 이면에 대한 접착 면적이 넓기 때문에, 특히 발톱 선단에서 강력한 교정력을 발휘한다. 그 후, 발톱의 신장에 따라 만곡 상태가 교정되기 때문에, 접착 면적이 감소하여도 문제가 없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는, 선단을 향해 점차 협폭으로 형성된 중간부를 경유하여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본체부를 동일 폭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톱 이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장기간에 걸쳐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강력한 교정력을 발휘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속하는 기단 접촉부와, 상기 기단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인 선단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협폭의 선단 접촉부를 갖기 때문에, 충분한 삽입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심한 정도의 집게손발톱에 대하여, 발톱 표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부의 선단측이 절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본체부의 선단을 한계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어, 발톱 이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에는 복수의 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정구를 발톱에 고정하고, 발톱으로부터 가외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잘라낼 때에, 가공하기 쉽다.
또한,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집게손발톱 상태가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박판재를 접음으로써 J자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며, 선단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짧고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접속하는 접음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사용에 앞서서, 발톱의 교정 위치에 맞춰, 불필요 지점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이다.
본 교정구로는, 발톱이 얇은 경우, 종래에는 어려웠던 엄지 이외의 발가락, 더 나아가서는 손가락의 경우에도, 교정할 수 있다.
발톱 표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킴으로써, 발톱 표면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접촉부의 기단측은 면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대략 T자형의 평면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선단측이 사다리꼴형상으로 절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교정구의 가공시의 공정이 대폭 삭감되고, 장착 시간이 짧으며 간이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선단측에, 두께 조작부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교정구의 파지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따른 발명은, 함입 발톱이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함입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평판형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박판형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판형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접어 형성된 갈고리형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집게손발톱 교정구이다.
본 교정구는, 다른 교정구를 집게손발톱에 장착한 후, 그 교정구의 표면에 접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피부에 침입한 발톱의 측단뿐만 아니라, 발톱의 선단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킴으로써, 발톱이 깨질 우려를 회피하여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고, 또한 발톱의 측단을 광범위하게 끌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선균에 감염된 경우에도, 그 감염된 부분을 피해, 발톱을 교정할 수 있고, 심한 정도의 함입 발톱이라도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정구 EQ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교정구 EQ1의 다른 일례인 교정구 EQ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교정구 EQ1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교정구 EQ1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정구 EQ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교정구 EQ2의 다른 일례인 교정구 EQ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교정구 EQ2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교정구 EQ2의 다른 일례인 교정구 EQ2", 교정구 EQ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정구 EQ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교정구 EQ3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교정구 EQ3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교정구 EQ3의 다른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교정구 EQ3의 다른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교정구 EQ3의 다른 일례인 교정구 EQ3', 교정구 EQ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정구 EQ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교정구 EQ4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교정구 EQ4의 다른 일례인 교정구 EQ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교정구 EQ4'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사용하는 교정구를 결정하는 집게손발톱 도수(度數) 일람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집게손발톱 교정구 EQ1을 도시한 것이다. 각각 정면도(a), 평면도(b), 저면도(c), 사시도(d),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e)이다.
이 교정구 EQ1은, 사용시에 파지되는 평판형의 조작부(1)와, 조작부(1)의 좌측면의 배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 방향을 향해 똑바로 돌출하는 박판형의 접촉부(2)와, 접촉부(2)보다 상하 방향으로 협폭이고, 접촉부(2)와 대략 평행하게 조작부(1)의 좌측면의 정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박판형의 결합부(3)와, 조작부(1)의 좌측면의 바닥면측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2)와 결합부(3)를 접속하여 대략 J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부(4)가, 일체적으로 투명 플라스틱제(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정구 EQ1은 좌우 방향의 길이가, 예컨대 52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와 결합부(3)와 바닥부(4)에 의해, 대략 J자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2)의 돌출 길이는, 결합부(3), 바닥부(4)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면방향(상하 방향)의 폭 길이가 조작부(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2)에는, 선단측(좌측) 약간 중앙 부근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얇게 형성된 박육부(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박육부(6)는, 후술하는 교정구 EQ1을 컷트할 때의 대략적인 표시이고, 컷트하기 쉽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는, 상하 방향의 폭의 길이가 조작부(1)보다 협폭으로 형성되어 조작부(1)에 연속하는 연결부(3a)와, 연결부(3a)로부터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더 협폭인 결합 본체부(3b)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 본체부(3b)는, 바닥부(4)를 향해 점차 협폭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발가락의 집게손발톱의 교정 대상 부분이, 피험자를 향해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교정 대상 부분이 피험자를 향해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2 구성의 교정구 EQ1'을 사용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교정구 EQ1의 사용에 앞서서, 피험자의 발을 뜨거운 타월 등으로 닦는다. 풋배스(족욕기)에 발을 침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발톱 안에 수분이 너무 들어가지 않도록, 발을 헹구는 정도로 한다.
계속해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험자의 집게손발톱(10)의 발톱 끝(11)(프리 에지)의 기단부 부근에 일단 결합부(3)의 선단을 댄다. 그리고, 발톱(10)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촉부(2)의 박육부(6) 일부를 컷트한다. 다음에, 교정구 EQ1의 접촉부(2)의 내표면 하측 부근에 젤(13)을 도포한다. 그리고, 브러시(도시 생략)에 액티베이터(14)(활성제)를 포함시켜, 접촉부(2)에 바른 젤(13)을, 브러시로 액티베이터(14)와 혼합하여, 삽입홈(5) 내부에까지 젤(13)이 골고루 미치도록 브러시로 바른다. 이때 접촉부(2)의 내표면 상측에는, 젤을 바르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젤(13)이란,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Ethyl-2-Cyanocrylate)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액티베이터(14)는 초산에틸(Ethyl acetate)과 디메틸-P-톨루이딘(Dimethl-P-Toluid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젤(13)을 빠르게 건조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도 3의 (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0)의 측단이 보이도록 피험자의 측부 발톱의 윤곽을 개방하고, 삽입 홈(5)을 발톱 끝(11)의 기단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결합부(3)가 발톱 끝(11)의 이면측과, 접촉부(2)의 하측이 발톱(10) 및 발톱 끝(11)의 표면측과, 젤(13)로 접착될 때까지, 접촉부(2)의 외표면 하측을 압박한다.
그 후, 젤(13)이 굳어져, 발톱(10)의 우측단과, 교정구 EQ1의 하측이 고정되면,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13)을 발톱(10) 표면과, 접촉부(2) 사이에 더 유입한다. 다음에,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를 회전시키고 교정구 EQ1을 눕혀, 발톱(10) 표면과, 접촉부(2)의 상측을 접합시킨다. 그 후, 교정구 EQ1을 눕힌 상태를 유지한 채로 대기하면, 젤(13)이 경화되어, 집게손발톱의 만곡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교정구 EQ1과 피험자의 발톱(10)이 일체화된다.
계속해서 도 3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구 EQ1의 조작부(1)와, 접촉부(2)와 결합부(3) 중 발톱(10)으로부터 가외로 튀어나와 있는 불필요 부분을 잘라내고, 발톱에 접착된 필요 부분만을 남긴다. 또한, 도 3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0) 표면과 접촉부(2) 사이의 단차를 없애도록, 접촉부(2)의 상단을 잘라낸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미관이 좋은 형상이 되도록 발톱(10) 및 교정구 EQ1을 잘라내어, 형태를 정리한다[도 3의 (i) 참조].
이상의 처리 결과, 발톱(10)은 교정구 EQ1과 일체화되어, 도 4의 (a)의 상태로 마무리된다. 다음에 교정구 EQ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파이버 글래스(15)를 발톱(10)에 접착한다. 우선, 직사각형상의 파이버 글래스(15)를 발톱(10) 표면에 붙이고, 발톱(10) 표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부분을, 컷트한다[도 4의 (b) 참조]. 그리고, 발톱(10) 표면에 붙여진 파이버 글래스(15) 위에서 레진을 도포하고, 발톱(10) 표면에 파이버 글래스(15)를 확실히 접착시킨다[도 4의 (c)]. 그 결과, 파이버 글래스(15)의 섬유형 메시는,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레진(수지)은 에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하이드로퀴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젤(13)과 액티베이터(14)를, 파이버 글래스(15)가 붙여진 발톱(10) 표면 전체에 칠하여, 발톱(10) 표면 전체를 젤로 굳힌다. 이것에 의해, 발톱(10)이 교정된 상태로 고정화되어, 집게손발톱의 교정 처리는 완료된다. 도 4의 (d)와 도 4의 (e)는, 완성 상태의 발톱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에서는, 접촉부(2)의 돌출 길이는, 결합부(3)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톱 표면의 광범위에 교정구 EQ1이 고착된다. 그 결과,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발톱이 깨질 우려를 회피하며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를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톱 표면에 대한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교정구 EQ1은, 투명 플라스틱제이기 때문에, 간이하게 절단하거나, 형태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피험자의 발톱에 교정구 EQ1을 고착한 후, 교정구 EQ1을 통해 피험자의 발톱 형태를 볼 수 있고, 그 발톱 형태에 맞춰 교정구 EQ1을 컷트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교정구 EQ1과 함께 투명하게 되는 파이버 글래스(15)가 발톱 표면에 붙여지기 때문에, 교정구 EQ1을 부착하여 발톱을 교정하고 있는 동안에도 위화감 없이 지낼 수 있다. 또한, 외관도 교정구 EQ1이 붙어 있는 것을 거의 모르게 보기 좋게 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집게손발톱 교정구 EQ2를 도시한 것이고, 정면도(a), 평면도(b), 사시도(c)이다.
이 교정구 EQ2는, 심한 정도의 집게손발톱으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와 발톱 사이의 간극이 거의 없고,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의 바닥부(4)가 피부와 발톱 사이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 더 나아가서는, 발톱이 여러 번 감긴 소용돌이형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이 교정구 EQ2는, 사용시에 파지되는 평판형의 조작부(21)와, 조작부(21)의 우측면의 배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우)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박판형의 접촉부(22)와, 접촉부(22)보다 상하 방향으로 협폭이고, 접촉부(22)와 대략 평행하게 조작부(21)의 우측면의 정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박판형의 결합부(23)와, 조작부(21)의 우측면의 바닥면측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22)와 결합부(23)를 접속하여 J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정구 EQ2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예컨대 56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2)의 돌출 길이는, 결합부(23), 바닥부(24)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22)는 조작부(21)에 연속하고, 조작부(21)와 면방향(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폭의 기단 접촉부(22a)와, 협폭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선단 접촉부(22c)와, 기단 접촉부(22a)와 선단 접촉부(22c)를 접속하며 점차 협폭으로 형성된 중간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23)는, 상하 방향의 폭 길이가 조작부(21)보다 협폭으로 형성되고 조작부(21)에 연속하는 연결부(23a)와, 연결부(23a)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협폭인 결합 본체부(23c)와, 연결부(23a)와 결합 본체부(23c)를 접속하며 점차 협폭으로 형성된 중간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24)는, 결합부(23)의 돌출 길이보다 그 돌출 길이가 짧고, 접촉부(22) 및 결합부(23)에 대하여 노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접촉부(22)와 결합부(23)는, 바닥부(24)로부터 두갈래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교정구 EQ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발가락의 집게손발톱의 교정 대상 부분이, 피험자를 향해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교정 대상 부분이 피험자를 향해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6의 구성의 교정구 EQ2'를 사용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정구 EQ2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의 위생 처리를 하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30)의 끝(31)을 선단 부분을 소정 길이로 컷트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젤과 액티베이터를 혼합하여, 접촉부(22)의 내표면 하측, 결합부(23) 및 바닥부(24)에 도포한다. 이때 접촉부(22)의 기단 접촉부(22a)와 중간부(22b)의 내표면 상측에는, 젤을 바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2)가 발톱(30)의 표면과, 결합 본체부(23c)가 발톱(30)의 이면과 결합하고, 바닥부(24)가 발가락 피부와 맞붙지 않을 정도로, 발톱 끝(31)의 측단에 교정구 EQ2를 삽입한다.
잠시 후에, 젤이 굳어져, 발톱(30)의 측단과, 교정구 EQ2의 하측이 고정된다. 고정 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젤을 발가락으로부터 돌출한 발톱 표면과, 기단 접촉부(22a) 및 중간부(22b)의 내표면 상측 사이에 더 유입한다. 다음에,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1)를 비틀어, 발톱 표면과, 접촉부(22)의 상측 측면을 접합시킨다. 그 후, 교정구 EQ2를 비튼 상태를 유지한 채로 대기하면, 젤이 경화되어, 집게손발톱의 만곡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교정구 EQ2와 피험자의 발톱(30)이 일체화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교정구 EQ2 중 발톱(30)으로부터 가외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잘라낸다. 그리고, 파이버 글래스를 발톱(30) 표면에 붙이고, 그 위에 젤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발톱(30)이 교정된 상태로 고정화된다.
제2 실시예의 교정구 EQ2에서는, 접촉부(22)의 돌출 길이는, 결합부(23)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톱 표면의 광범위에 교정구 EQ2가 고착된다. 그 결과,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발톱이 깨질 우려를 회피하며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심한 정도의 집게손발톱으로서, 피부와 발톱 사이의 간극이 없고,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의 바닥부(4)가 피부와 발톱 사이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라도, 교정구 EQ2에서는, 접촉부(22)와 함께 결합부(23)가 두갈래로 바닥부(24)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가락의 피부가 바닥부(24)와 맞붙지 않고, 핀셋으로 발톱을 집도록 발톱에 고착할 수 있다.
또한, 교정구 EQ2는, 예컨대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여러 번 감긴 소용돌이형 발톱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 발톱의 선단에 교정구 EQ2를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부(21)를 회전시켜 고정화하는 것에 의해, 소용돌이가 해소된 상태로 발톱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교정구 EQ2는 도 8의 (a)에 도시된 변형예, 교정구 EQ2"여도 좋다. 이 교정구 EQ2"에서, 접촉부는 조작부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연장되고, 결합부는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접촉부와 결합부는, 두갈래로 바닥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변형예, 교정구 EQ2"'여도 좋다. 이 교정구 EQ2"'의 접촉부는, 조작부(21)에 연속하고, 조작부(21)와 면방향(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폭의 기단 접촉부(22a)와, 기단 접촉부(22a)의 선단 방향(우측 방향)으로부터 연장되고, 면방향으로 협폭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선단 접촉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 접촉부(22a)의 표면에는, 상하 방향 중앙에 2행 8열에 걸쳐 복수의 홈 구멍(24…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교정구 EQ2"'에서는, 복수의 홈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톱에 고정하고, 발톱으로부터 가외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잘라낼 때에, 가공하기 쉽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집게손발톱 교정구 EQ3을 도시한 것이고, 각각 정면도(a), 배면도(b), 좌측면도(c), 우측면도(d), 평면도(e), 저면도(f), 사시도(g)이다.
이 교정구 EQ3은, 가벼운 정도의 집게손발톱 및 함입 발톱의 교정에 사용되는 것이고, 선단 방향(상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접촉부(41)와, 접촉부(41)보다 짧고 대략 평행하게 상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결합부(42)와, 접촉부(41)와 결합부(42)를 기단측에서 접속하는 접음부(43)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J자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교정구 EQ3도 투명 플라스틱제로 형성되어 있지만, ABS 수지보다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정구 EQ3은 상하 방향의 길이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41)의 기단측은, 면방향(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고, 접촉부(41)는,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교정구 EQ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어느 집게손발톱에 대해서도 동일한 교정구 EQ3을 사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정구 EQ3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의 위생 처리를 한다. 다음에, 발톱(50)의 끝(51)의 우측단을 교정하는 경우는, 도 10의 (a) 교정구 EQ3의 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구 EQ3의 접촉부(41) 및 결합부(42)를 컷트라인 L1의 라인을 따라 컷트한다[도 10의 (b) 참조]. 그리고, 젤과 액티베이터를 혼합한 것을, 접촉부(41)의 기단측, 결합부(42), 바닥부(43)에 도포한다. 이때 접촉부(41)의 상측에는, 젤을 바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 끝(51)의 우측단에 교정구 EQ3을 삽입하고, 접촉부(41)의 기단측을 발톱(50)의 표면에, 결합부(42)를 발톱(50)의 이면에 고착시킨다. 이 경우, 핀셋(52)으로 교정구 EQ3을 발톱 끝(51)에 삽입하면 좋다.
그 후, 젤이 굳어져, 발톱(50)의 측단과, 교정구 EQ3의 기단측이 고정되면, 젤을 발톱(50) 표면과, 접촉부(41) 상측 사이에 더 유입한다. 다음에, 발톱 끝(51)을 핀셋(52)으로 집어 발톱(50)을 외측으로 빼내면서, 접촉부(41)의 위쪽을 발톱(50) 표면에 붙인다[도 11의 (b) 참조]. 젤이 경화되면, 교정구 EQ3 중 발톱(5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컷트한다. 또한, 젤을 접촉부(41)의 둘레 가장자리에 발라서 굳히는 것에 의해, 집게손발톱의 만곡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교정구 EQ3와 피험자의 발톱(50)이 일체화된다.
또한, 발톱 끝의 좌측단을 교정하는 경우는, 도 12의 (a) 교정구 EQ3 배면도에 도시하는 컷트라인 L2에 따라서, 접촉부(41) 및 결합부(42)를 컷트하고[도 12의 (b) 참조], 교정구 EQ3을 발톱에 부착한다[도 12의 (c) 참조].
발톱 끝 이외의 발톱 측단을 교정하는 경우는, 도 13의 (a) 교정구 EQ3 배면도에 도시하는 컷트라인 L3에 따라, 결합부(42)만을 컷트하고[도 13의 (b) 참조], 발톱 측단에 결합부(42)를 삽입하여, 발톱을 교정한다[도 13의 (c) 참조].
제3 실시예의 교정구 EQ3에서는, 접촉부(41)의 기단측은, 면방향(좌우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손발톱의 교정시에 압력을 넓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발톱이 깨질 우려를 회피하며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발톱 측단을 광범위하게 끌어 올릴 수 있다.
이 교정구 EQ3의 접촉부(41)의 기단측은,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삼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이어도 좋다. 교정시에 발톱 측단에 걸리는 압력을 넓게 분산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접촉부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교정구 EQ3는, 컷트라인 L1∼L2에 따라 접촉부(41) 및 결합부(42)를 컷트함으로써, 발톱 끝의 좌우 양측단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톱 끝만이 감겨 있는 경우라도, 유효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컷트라인 L3에 따라 결합부(42)를 컷트함으로써, 발톱 끝 이외의 발톱 측단에 사용할 수 있고, 백선균에 감염되어 있는 부분을 피해, 교정구 EQ3을 발톱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심한 정도의 집게손발톱이 다른 실시예의 교정구 EQ의 사용에 의해, 가벼운 정도의 집게손발톱으로 교정되었을 때에, 발톱의 근원에 교정구 EQ3을 장착함으로써, 발톱의 근원만을 확실하게 올릴 수 있다.
또한, 교정구 EQ3에서는, 발톱이 얇은 경우, 종래에는 어려웠던 엄지 이외의 발가락, 더 나아가서는 손가락의 경우에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교정구 EQ3는, 발톱과의 접착시에, 젤을 이용하지 않아도 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톱 끝에 교정구 EQ3을 걸고, 접촉부(41)보다 큰 천 테이프(TP)를 접촉부(41) 표면에 붙인다. 그리고, 천 테이프와 함께 접촉부(41)를 발톱 표면에 눕혀, 집게손발톱의 만곡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교정구 EQ3을 발톱에 고정한다[도 11의 (c)∼(e) 참조]. 이와 같이 접착제를 도포한 천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자택에서도 집게손발톱을 간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교정구 EQ3은 도 14의 (a),(b)에 도시하는 변형예, 교정구 EQ3', 교정구 EQ3"여도 좋다. 이 교정구 EQ3', EQ3"에서는 대략 T자형 접촉부(45)의 선단에 두껍게 형성된 원반형의 조작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5)의 기단측은, 면방향(좌우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고, 기단측이 일부 절결되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47)는, 교정구 EQ3'에서는 발톱 끝의 우측단에 결합하도록, 교정구 EQ3"에서는 좌측단에 결합하도록, 미리 사다리꼴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집게손발톱 교정구 EQ4를 도시한 것이고, 각각 사시도(a), 우측면도(b)이다.
이 교정구 EQ4는, 중간 정도∼심한 정도의 함입 발톱의 교정에 사용되는 것이고, 평판형의 조작부(61)와, 조작부(61)의 바닥면의 배면측으로부터 연장된 박판형의 연결부(62)와, 연결부의 하측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정면측을 향해 두껍게 형성된 접촉부(63)와, 접촉부(63)의 하측 선단으로부터 접어 형성된 갈고리형의 결합부(64)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교정구 EQ4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예컨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61)와 연결부(62)와 접촉부(63)의 배면측은,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63)의 정면측은, 측면에서 봤을 때 사다리꼴형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6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정구 EQ4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함입 발톱이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71)의 측단이 피부(72) 내부에 침입한 상태이고, 파선 부분은 발톱(71) 중 피부(72) 내부에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의 위생 처리를 한다. 다음에, 젤과 액티베이터를 혼합한 것을, 접촉부(63)의 내표면 하측과 결합부(64)의 내측에 도포한다. 이때 접촉부(63)의 상측에는, 젤을 바르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71)의 측단이 보이도록 피험자의 측부 발톱의 윤곽을 개방하여, 결합부(64)를 발톱(71)의 측단에 걸어 고착한다. 그 후, 젤이 굳어져, 발톱(71)의 우측단과, 교정구 EQ4의 하측이 고정되면, 젤을 발톱(71) 표면과, 접촉부(63) 및 연결부(62) 사이에 더 유입한다. 다음에,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61)를 파지하여 발톱(71)의 측단을 끌어 올리면서 교정구 EQ4를 눕히고, 발톱(71) 표면과, 접촉부(63)의 상측과 연결부(62)를 접합시킨다. 그 후, 교정구 EQ4를 눕힌 상태를 유지한 채 대기하면, 젤이 경화되어, 함입 발톱의 만곡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교정구 EQ4와 피험자의 발톱(71)이 일체화된다. 또한, 피부(72)는 사다리꼴형상의 접촉부(63)에 의해 넓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컷트라인을 따라 연결부(62)의 일부를 컷트하고, 파이버 글래스를 발톱(71)의 표면에 붙이며, 그 위에 젤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함입 발톱의 교정 처리를 마친다[도 16의 (d) 참조]. 그 후, 회복 정도에 따라서, 예컨대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을 발톱(71)에 삽입하고, 발톱(71)을 교정하는 것에 의해, 도 16의 (e)와 같이 발톱(71)의 함입 상태가 교정되게 된다.
제4 실시예의 교정구 EQ4에서는, 접촉부(63)가 사다리꼴형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72)를 넓힐 수 있고, 성장해가는 발톱(71)이 피부(72) 내측에 들어가지 않도록 발톱(71)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교정구 EQ4는, 도 17에 도시하는 변형예, 교정구 EQ4'여도 좋다. 이 교정구 EQ4'에서, 조작부(65)는 두꺼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형의 결합부(66)와 반대 방향으로 정면에서 봤을 때 원호형의 접촉부(6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교정구 EQ4'도 교정구 EQ4와 마찬가지로 사용되지만, 다른 교정구와 함께 사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교정구 EQ1과 이 교정구 EQ4'를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톱을 교정할 수 있다. 우선, 미리 교정구 EQ4'를 컷트라인 L4를 따라 컷트해 둔다[도 18의 (a),(b) 참조]. 다음에, 발톱(73)의 측단이 피부(74) 내부에 침입한 상태의 발톱에 대하여, 교정구 EQ1을 삽입한다[도 18의 (c) 참조]. 그리고, 조작부(1)를 회전시켜 교정구 EQ1을 발톱에 고착시키고, 불필요 부분을 컷트한다. 교정구 EQ1의 고정 후, 발톱 측단의 피부(74)를 개방하고, 접촉부(67)로 피부(74)를 넓힌 상태가 되도록 교정구 EQ4'를 교정구 EQ1 표면에 고착시킨다[도 18의 (d) 참조]. 이 방법으로는 피부에 침입한 발톱의 측단뿐만 아니라, 발톱의 선단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교정구 EQ1∼EQ4는, 집게손발톱의 만곡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교정구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교정구 EQ1∼EQ4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 도 19에 도시하는 집게손발톱 도수 일람표(80)가 사용된다. 이 집게손발톱 도수 일람표(80)는, 명함 사이즈의 투명판체에, 발톱의 만곡도가 심각함에 대응하여, 세프티존, 가벼운 정도, 중간 정도, 심한 정도로 분류된 복수의 측정부(81)가 인쇄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정부에는, 소정의 발톱의 만곡도에 대응한 복수의 원호(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집게손발톱 도수 일람표(80)를 발가락의 정면에 배치하여, 발톱과 원호(82)를 비교해 보고, 발톱의 만곡 정도에 대응하는 원호(82)를 선택한다. 그 원호(82)가 속하는 측정부(81)의 분류를 보는 것에 의해, 사용할 교정구 EQ1∼EQ4를 결정한다. 예컨대 교정구 EQ1은 40∼70도, 교정구 EQ2는 80∼100도, 교정구 EQ3은 10∼50도 또는 가벼운 정도의 함입 발톱, 교정구 EQ4는 중간 정도∼심한 정도의 함입 발톱의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Claims (14)

  1. 집게손발톱 상태가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상기 필요 부분의 접착에 앞서서 파지되어,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는 평판형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선단 방향을 향해 똑바로 돌출하는 박판형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이며, 상기 접촉부와 대략 평행하게 상기 조작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박판형의 결합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접속하여 J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결합부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인 결합 본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본체부는, 선단을 향해 점차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는, 선단을 향해 점차 협폭으로 형성된 중간부를 경유하여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속하는 기단 접촉부와, 상기 기단부보다 면방향으로 협폭인 선단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결합부의 선단측이 절결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복수의 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9. 집게손발톱 상태가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집게손발톱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박판재를 접음으로써 J자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선단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보다 짧고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접속하는 접음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사용에 앞서서, 발톱 교정 위치에 맞춰, 불필요 지점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기단측은 면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대략 T자형의 평면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있는 집게손발톱 교정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선단측이 사다리꼴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선단측에, 두꺼운 조작부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집게손발톱 교정구.
  13. 함입(陷入) 발톱이 된 발톱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필요 부분이 접착되어 발톱과 일체화되고, 발톱의 성장에 맞춰 함입 상태를 해소하는 집게손발톱 교정구로서,
    평판형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한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박판형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판형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다른쪽 평면으로부터 접어 형성된 갈고리형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14. 제13항에 있어서, 다른 교정구의 표면에 접착하여 사용되는 것인 집게손발톱 교정구.
KR1020107012363A 2007-12-05 2008-12-01 집게손발톱 교정구 KR101531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14622 2007-12-05
JP2007314622 2007-12-05
PCT/JP2008/071769 WO2009072456A1 (ja) 2007-12-05 2008-12-01 巻爪矯正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134A true KR20100096134A (ko) 2010-09-01
KR101531074B1 KR101531074B1 (ko) 2015-06-23

Family

ID=4071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363A KR101531074B1 (ko) 2007-12-05 2008-12-01 집게손발톱 교정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7220B2 (ko)
EP (1) EP2221029B1 (ko)
JP (1) JP5133905B2 (ko)
KR (1) KR101531074B1 (ko)
CN (1) CN101888819B (ko)
HK (1) HK1149474A1 (ko)
WO (1) WO200907245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890A (ko) * 2013-11-29 2016-08-03 마사노리 하라다 변형 조 교정구
KR101659220B1 (ko) 2015-03-26 2016-09-22 라대창 착용가능한 내향성 발톱 교정구
KR101659219B1 (ko) 2015-03-26 2016-09-22 라대창 내향성 발톱 교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8277A1 (en) * 2006-05-08 2009-03-26 Fumiko Uemura Nail Shaper for Ingrown Nail and False Nail
DE102008039762A1 (de) 2008-08-26 2010-03-04 3To Gmbh Vorrichtung zur Nagelkorrektur
USD754863S1 (en) * 2013-11-06 2016-04-26 Kaori Shionoya Nail correction tool
JP1518157S (ko) * 2014-05-30 2015-02-23
WO2016075962A1 (ja) 2014-11-10 2016-05-19 正則 原田 陥入爪による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絆創膏構造体
JP6044011B1 (ja) * 2016-09-05 2016-12-14 株式会社メディカルケア 爪矯正具
US20190262165A1 (en) * 2017-05-25 2019-08-29 32905.36 Patent Application Trust Self-adjusting tool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
JP7327768B1 (ja) 2022-09-09 2023-08-16 株式会社MiRiTa 爪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6532A (en) * 1925-05-25 1926-08-17 Haener Frank Ingrowing-toenail appliance
US2920621A (en) * 1958-08-06 1960-01-12 Robert F Fettig Means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s
US3799160A (en) * 1972-09-21 1974-03-26 H Hahn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s
US5370140A (en) * 1993-07-02 1994-12-06 Meyerovich; John Side guar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ingrown nails
US5613503A (en) * 1996-02-22 1997-03-25 Penner; Abe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ingrowing toe nails
JP3393865B2 (ja) * 2001-06-08 2003-04-07 株式会社ビッグバン 陥入爪の矯正具
JP4330012B2 (ja) * 2005-05-13 2009-09-09 政雄 丸山 爪の矯正具とその矯正方法
JP4714871B2 (ja) * 2006-01-11 2011-06-29 株式会社アクトメント 陥入爪矯正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890A (ko) * 2013-11-29 2016-08-03 마사노리 하라다 변형 조 교정구
KR101659220B1 (ko) 2015-03-26 2016-09-22 라대창 착용가능한 내향성 발톱 교정구
KR101659219B1 (ko) 2015-03-26 2016-09-22 라대창 내향성 발톱 교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456A1 (ja) 2009-06-11
JPWO2009072456A1 (ja) 2011-04-21
CN101888819B (zh) 2013-01-16
JP5133905B2 (ja) 2013-01-30
EP2221029A1 (en) 2010-08-25
US8597220B2 (en) 2013-12-03
US20100268143A1 (en) 2010-10-21
EP2221029B1 (en) 2016-04-06
HK1149474A1 (en) 2011-10-07
CN101888819A (zh) 2010-11-17
EP2221029A4 (en) 2014-04-16
KR101531074B1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6134A (ko) 집게손발톱 교정구
JP2005349183A (ja) 付け爪用システム及び方法
JP3334940B2 (ja) 可撓性を有するパッド
US8262600B2 (en) Device for carrying out nail corrections
KR101058133B1 (ko) 내향성 네일용 네일 정형구
KR101919951B1 (ko) 플랙서블 인조손톱
KR20110118701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US7219674B1 (en) Template and method for applying makeup to eyebrows
US9364069B2 (en) Fingernail covering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714871B2 (ja) 陥入爪矯正具
JP2008136633A (ja) 変形爪の矯正具および変形爪の矯正方法
KR200438231Y1 (ko) 인조손톱 부착장치
KR101793382B1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JP2018038447A (ja) 爪矯正具
KR102058784B1 (ko) 손발톱 교정용 디바이스 및 손발톱판에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JP2005066003A (ja) 巻き爪矯正具及び矯正方法
JP2012029706A (ja) ネイルフォームとネイルチップ形成方法
JP4336529B2 (ja) 巻き爪修正具
JPH08238121A (ja) 爪補修方法
JP2002360619A (ja) 陥入爪の矯正方法及び矯正器具
WO2004023921A1 (en) Decoration band
JP3136129U (ja) 簡単脱着人工付け爪
JP2005245919A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JP3527888B2 (ja) 鼻筋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