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382B1 -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382B1
KR101793382B1 KR1020160085160A KR20160085160A KR101793382B1 KR 101793382 B1 KR101793382 B1 KR 101793382B1 KR 1020160085160 A KR1020160085160 A KR 1020160085160A KR 20160085160 A KR20160085160 A KR 20160085160A KR 101793382 B1 KR101793382 B1 KR 10179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d
attachment
attached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부착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순히 점착패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사바늘부 등의 피 고정물이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주사바늘부와 같은 피 고정물이 고정홈 내에서 흔들림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이다.
또한 점착패드를 피부등의 부착면으로부터 떼어내는과정에서 점착패드 하단면의 점착제가 사용자 손가락에 묻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내용이다.
또한 이렇게 점착패드의 구조개선만을 통해 피 고정물의 안정적인 위치고정은 물론 점착제로 인한 위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제작단가를 훨씬 낮출 수 있고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내용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Multi-function with a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병원의 링거(ringer) 주사바늘부의 위치고정 용도는 물론 각종 전선 등의 위치고정 역할 등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착부를 통해 주사바늘부나 전선 등의 피 고정물을 피부 표면 등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점착부의 구조를 개선시켜 기존에 비해 피 고정물의 흔들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점착부를 피부 표면 등에 부착시키거나 떼어내는 과정에서 점착부의 점착제가 사용자 손에 묻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분야의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환자 팔에 링거액을 주입할 때, 끝단부에 주사바늘이 구비된 주사바늘부를 환자 피부에 꽂아놓은 상태에서 링거튜브의 단부를 주사바늘부의 단부에 연결 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링거액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이 피부에서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테이프로 주사바늘 위를 덮은채로 피부에 접착시킨다.
이러한 기존 방식은 주사바늘부가 단순히 테이프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주사바늘부 전체가 쉽게 흔들릴 수밖에 없어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테이프를 통해 주사바늘부의 위치를 고정 시키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테이프의 점착제가 간호사 손에 묻을 수밖에 없으므로, 위생상 좋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별도의 주사바늘 고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기존의 주사바늘 고정장치는 하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전후 길이방향의 위치고정부재 및 위치고정부재의 하단부 중 고정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지점에는 부착패드가 날개 형태로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주사바늘부를 환자 피부에 꽂은 뒤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주사바늘부가 끼워지도록 한 후 양쪽의 부착패드를 피부에 붙임으로써 주사바늘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주사바늘이 피부에 꽂아진 상태에서 주사바늘부가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에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원활한 끼움을 위해서는 고정홈의 공간이 주사바늘부에 비해 넉넉히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치고정부재이 주사바늘부 위쪽을 둘러싼 상태로 주사바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는 하지만 주사바늘부가 위치고정부재 내에서 쉽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 된다.
또한 해당 주사바늘 고정장치의 부착패드를 피부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부착패드 하부면 전체가 피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부착패드의 테두리를 긁어내는 형태로 최초 일부를 떼어내야 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부착패드의 점착제가 불가피하게 간호가 손가락게 묻을 수밖에 없어, 해당 종래기술 역시 기존처럼 테이프 또는 부착패드를 피부에서 떼어내는 과정에서 점착제가 손에 묻는 현상은 방지가 불가능 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순히 점착패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사바늘부 등의 피 고정물이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주사바늘부와 같은 피 고정물이 고정홈 내에서 흔들림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착패드를 피부등의 부착면으로부터 떼어내는과정에서 점착패드 하단면의 점착제가 사용자 손가락에 묻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점착패드의 구조개선만을 통해 피 고정물의 안정적인 위치고정은 물론 점착제로 인한 위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제작단가를 훨씬 낮출 수 있고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일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1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1부착패드,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타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2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2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부착패드,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을 덮고 있는 형태로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패드가 피 부착면 상에 위치하는 피 고정물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피 고정물이 상기 연결패드와 함께 고정홈 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피 고정물의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패드의 하부면에는 제3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3점착제가 상기 피 고정물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피 고정물과 상기 연결패드가 상기 고정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과 상기 제2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해당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는 점착제 비 노출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 중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에 위치하는 지점은 점착제가 해당 지점에서만 일부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는 각각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하부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되,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은 상기 점착제 하부면에 별도의 커버지가 부착됨에 따라 해당 점착제 중 상기 커버지가 부착된 지점이 가려져 비 노출됨으로써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지는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점착제 전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은 상기 커버지 중 일부를 절개 후 제거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외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일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1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1부착패드,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타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2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2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부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과 상기 제2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해당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는 점착제 비 노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기존과 단순히 점착패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사바늘부 등의 피 고정물이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주사바늘부와 같은 피 고정물이 고정홈 내에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어, 결국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점착제 비 노출구간의 형성으로 인해 점착패드를 피 부착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점착제 비 노출구간이 쉽게 떼어지게 되므로, 강제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점착제가 사용자 손가락에 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또한 단순히 점착패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현되므로 제작이 쉽고 제작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착제 비 노출구간의 형성이 점착패드 제작시 필수적으로 점착제보호를 위해 부착사용되는 커버지를 활용하여 구현되므로, 그로 인한 제작단가 상승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전체 정단면도
도2는 도1의 저면 개략도
도3은 피 고정물이 주사바늘부이고 주사바늘이 환자 손에 꽂혀진 상태에서 본 발명이 주사바늘부 상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정면개략도
도5는 도4의 상태에서 본 발명이 주사바늘부와 일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6는 주사바늘부와 연결패드가 함께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내에 삽입된 ㅅ상태의 정면개략도
도7은 도6의 일부 확대도
도8은 점착제 비 노출구간을 나타낸 저면개략도
도9는 제3부착패드가 더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저면 개략도
도10은 제3부착패드의 면적이 달리 구현된 변형 에를 나타낸 저면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부착고정장치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괄적으로는 위치고정부재(6)와 점착패드(8)로 나뉘어 구성된다.
위치고정부재(6)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주사바늘부(2)나 일반 전선(미도시)가닥 등의 피 고정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체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6)는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관 형태이되 하부면에는 고정홈(7)이 형성됨에 따라 하단면이 고정홈(7)에 의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위치고정부재(6)의 형상은 위 기본적인 구조를 유지한다면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점착패드(8)는 위치고정부재(6)가 피 고정물(1)과 체결된 상태에서 환자 피부나 벽체 등의 피 부착면(5)에 부착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은 물론 피 고정물(1)의 흔들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착패드(8)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패드 형태를 띠는데, 부분적으로 봤을 때 다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연결패드(13) 및 커버지(15)로 나뉘어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각 부분별로 설명을 통해 점착패드(8) 전체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제1부착패드(9)는 위치고정부재(6)를 실질적으로 피 부착면(5)에 부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제1부착패드(9)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 단부가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일측주변에 연결되어 마치 날개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제1부착패드(9)의 하부면 전체에는 제1점착제(10)가 도포됨에 따라 제1점착제(10)를 통해 피 부착면(5)에 테이프 형태로 부착된다.
제2부착패드(11)는 제1부착패드(9)와 마찬가지로 위치고정부재(6)를 실질적으로 피 부착면(5)에 부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제2부착패드(11)는 제1부착패드(9)와 동일하게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을 기준으로 제1부착패드(9)와 대칭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단부가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일측주변에 연결되어 마치 날개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제2부착패드(11)의 하부면 전체에는 제2점착제(12)가 도포됨에 따라 제2점착제(12)를 통해 피 부착면(5)에 테이프 형태로 부착된다.
연결패드(13)는 역시 위치고정부재(6)를 피 부착면(5)에 부착시키는 매개체 역할은 물론, 피 고정물(1)이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 고정물(1)의 흔들림 현상을 더욱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패드(13)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사이에 위치하여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하단부를 덮고 있는 형태로 위치하고, 양단부가 각각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에 일체로 연결된 형태이다.
즉 기존에는 점착패드가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만이 형성되어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아래쪽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사이에 연결패드(13)가 위치됨에 따라, 연결패드(13)에 의해 고정홈(7) 하부가 막혀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연결패드(13)의 하부면에는 제3점착제(14)가 도포되는데, 제3점착제(14)는 피 부착면(5)에 부착되는 역할이 아니라 피 고정물(1)과 연결패드(13)가 점착 역할을 한다.
참고로 연결패드(13)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의 작용 설명과정에서 언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점착패드(8)는 전체적으로 부직포처럼 피부에 부착되었을 때 자극 등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물론 이는 피 부착면의 종류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패드(8) 전체 또는 연결패드는 자체적으로 인장 및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후 피 고정물(1)이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연결패드(13)도 함께 원활히 삽입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에는 커버지(15)가 부착되어 있는데,
커버지(15)는 점착패드(8)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 및 제3점착제의 외부노출을 막기 위해 부착되는 일명'후지'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커버지(15)는 단순히 종이재질의 필름 형태이고 점착패드(8) 하부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지(15) 중 제1점착제(10)의 외측단부 부근 지점과 제2점착제(12)의 외측단부 부근 지점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v커팅 등의 형태를 갖는 절개유도슬릿(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지(15)를 내측지점부터 떼어내면 절개유도슬릿(16)을 기준으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외측 단부 부근의 커버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분리되어 제거되고,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의 외측단부 부근에만 커버지(15)가 남겨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의 하부면에는 남겨진 커버지(15)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만 점착제가 노출된 상태가 되고, 커버지(15)가 위치한 부분은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는 점착제 비 노출구간(17)이 된다.
참고로 점착제 비 노출구간(17)은 커버지의 형태 등에 따라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양쪽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과정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내지 도7과 같이 피 고정물(1)이 주사바늘부(2)이고 피 부착면(5)이 환자 피부일 경우, 주사바늘부(2)의 주사바늘(3)이 환자 피부에 꽂혀진 상태에서 본 발명이 피 고정물(1) 위쪽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주사바늘부(2)와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이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뒤, 본 발명을 하강시키면 연결패드(13)의 하부면이 주사바늘부(2) 상부면을 덮음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주사바늘부(2)와 연결패드(13)가 함께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내부에 삽입 위치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의 하부면이 환자 피부에 밀착 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지 일부를 점착패드(8)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절개유도슬릿(16)을 기준으로 내측 구간의 커버지가 떼어져 제거된다.
따라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는 제1점착제(10)와 제2점착제(12)를 통해 환자 피부에 부착고정되되,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중 남겨진 커버지(15)가 위치하는 지점, 즉 점착제 비 노출구간(17) 지점은 환자 피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위치고정부재(6)가 환자 피부에 부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연결패드(13)가 주사바늘부(2)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주사바늘부(2)와 주사바늘부(2)가 위치고정부재(6)의 고정홈(7) 내에 삽입됨에 따라, 도7에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패드(13)가 인장된 상태로 고정홈(7)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아래쪽을 향해 탄성력이 발휘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력과 더불어 연결패드(13)의 제3점착제(14)가 주사바늘부(2) 표면에 점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고정홈(7)의 공간크기가 주사바늘부(2)에 비해 크게 형성되더라도 연결패드(1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주사바늘부(2)를 환자피부를 향해 누르는 힘이 작용되므로, 주사바늘부(2)는 고정홈 내에서 연결패드(13)와 환자피부 사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피 고정물(1)이 고정홈(7) 내에서 흔들리는 등의 현상이 완전히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 이 상태에서 피 고정물(1)은 제3점착제(14)를 통해 연결패드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연결패드(13)의 탄성력과 더불어 제3점착제(14)의 점착력에 의해 흔들림 등의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피 고정물(1)이 여러가닥의 전선(미도시)이고 피 부착면(5)이 벽체 등일 경우, 위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전선(미도시)들이 벽면 상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점착패드(8)의 구조개선만으로 피 고정물(1)이 위치고정부재(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림 등의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해당 효과 구현을 위해 기존에 비해 훨씬 제작이 손쉽고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점착패드(8)를 피 부착면(5)으로부터 떼어내고자 할 경우, 점착패드(8) 중 점착제 비 노출구간(17)이 형성된 단부 부근은 피 부착면(5)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점착제도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사락으로 점착패드(8) 중 점착제 비 노출구간(17) 지점을 잡고 떼어내면 떼어내는 과정에서 점착제가 손가락에 묻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점착패드의 구조개선만을 통해 점착패드 제거 시 점착제가 사용자 손에 붇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위생성이 훨씬 향상됨은 물론 점착패드 제작 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커버지를 활용하여 점착제 비 노출구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경제성 및 자원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점착제 비 노출구간(17)은 커버지를 활용하지 않고 점착제 표면에 별도 인쇄 등을 통해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약품 등의 처리를 통해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도록 하는 등의 의미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패드(8)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점착패드(8)가 단순히 일자형 밴드 형태인데, 이를 도9 내지 도10처럼 기본 점착패드(8)에 제3부착패드(18)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제3부착패드(18)이 제1부착패드(9) 및 제2부착패드(11) 간 중간지점으로부터 전측 또는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도록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제3부착패드(18) 하부면에는 제4점착제(19)가 도포 형성됨에 따라 사용 시 피 부착면에 대한 부착력이 제3부착패드(18)를 통해서도 발휘되므로 보다 강한 부착력이 발휘된다.
이뿐만 아니라, 제3부착패드(18)가 피 고정물(1)의 다른 지점을 덮어 가압하면서 피 부착면에 부착될 경우 연결패드(13)에 의한 가압부착과 더불어 제3부착패드(18)에 의한 가압부착력이 함께 발휘되기 때문에, 피 고정물(1)의 흔들림 등의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 전 제3부착패드(18) 하부면에도 커버지(15)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4점착제(19)를 보호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제3부착패드(18) 하부면을 덮고 있는 커버지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도면과 같이 제1, 2부착패드를 덮고 있는 커버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지 중 제3부착패드(18)을 덮고 있는 구간의 외측단부 부근에도 절개유도슬릿(16)을 형성시켜 사용 시 커버지 일부분만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부착패드(9)와 제2부착패드(11) 및 제3부착패드(18)의 면적 및 길이는 도면과 같이 상호 동일하게 제작되거나 필요에 따라 상호 틀리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2부착패드외에 추가적인 부착패드가 더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 점착패드(9)는 반드시 제1, 2, 3부착패드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4, 5,6...부착패드가 더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피 고정물 2;주사바늘부
3;주사바늘
5;피 부착면 6;위치고정부재
7;고정홈 8;점착패드
9;제1부착패드 10;제1점착제
11;제2부착패드 12;제2점착제
13;연결패드 14;제3점착제
15;커버지 16;절개유도슬릿
17;점착제 비 노출구간 18;제3부착패드(18)
19;제4점착제

Claims (8)

  1.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일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1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1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1부착패드,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일측이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 타측주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2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2점착제를 통해 피부착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부착패드,
    일정 면적을 갖는 패드 형태이고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고정홈을 덮고 있는 형태로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패드가 피 부착면 상에 위치하는 피 고정물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피 고정물이 상기 연결패드와 함께 고정홈 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피 고정물의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드의 하부면에는 제3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제3점착제가 상기 피 고정물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피 고정물과 상기 연결패드가 상기 고정홈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과 상기 제2부착패드의 테두리 부근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해당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는 점착제 비 노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 중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에 위치하는 지점은 점착제가 해당 지점에서만 일부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는 각각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하부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되,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은 상기 점착제 하부면에 별도의 커버지가 부착됨에 따라 해당 점착제 중 상기 커버지가 부착된 지점이 가려져 비 노출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는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점착제 전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점착제 비 노출구간은 상기 커버지 중 일부를 절개 후 제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7. 제6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패드와 제2부착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부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부착패드 하부면에는 제4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점착제 상에는 커버지가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고정장치.





  8. 삭제
KR1020160085160A 2016-06-16 2016-07-05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KR101793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84 2016-06-16
KR20160074984 201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82B1 true KR101793382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160A KR101793382B1 (ko) 2016-06-16 2016-07-05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02B1 (ko) * 2017-11-30 2019-04-1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309A2 (en) * 2002-08-15 2004-02-26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JP2015505689A (ja) 2011-12-07 2015-02-26 二虎 唐 傷口保護固定装置
US20150086741A1 (en) 2012-04-23 2015-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ing securement articles and methods of use
KR101615317B1 (ko) * 2015-01-28 2016-04-25 고창일 치질용 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309A2 (en) * 2002-08-15 2004-02-26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JP2015505689A (ja) 2011-12-07 2015-02-26 二虎 唐 傷口保護固定装置
US20150086741A1 (en) 2012-04-23 2015-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ing securement articles and methods of use
KR101615317B1 (ko) * 2015-01-28 2016-04-25 고창일 치질용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02B1 (ko) * 2017-11-30 2019-04-12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3971B2 (ja) センサデバイス用の取り外し可能なライナ
US20120041377A1 (en) Catheter Ancho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H0595975A (ja) フラツプ部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
JP6514186B2 (ja) 連続グルコース監視体表面センサ
KR101793382B1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JP3623124B2 (ja) 生体電極
JP2006181349A (ja) 付け爪粘着用シート
JP3246882B2 (ja) 二重まぶた形成用テープ
US20200405032A1 (en) Body hair removal pad for defibrillator usage
US5693068A (en) Scar-reducing frame
KR20120094270A (ko) 가발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발 부착 방법
KR101207312B1 (ko) 머리카락 끼임 방지용 인조네일
KR20180006829A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제작방법
KR101748087B1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JP3185270U (ja) 美容器具
JP3950449B2 (ja) 止血絆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81983Y1 (ko) 접착이 간편한 일회용 의료밴드
JP2002238944A (ja) 治療用テープ
CN216652628U (zh) 一种简易式减压敷贴包
JP3226028U (ja) 外包装が取外しやすい絆創膏
JP3231806U (ja) 衛生用マスクに貼付するノーズフィッター
KR101421937B1 (ko) 드레싱용 밴드
JP2003180642A (ja) 生体用電極
JP3131441U (ja) チューブ固定用粘着テープ
JP7028436B2 (ja) 患部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