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37B1 - 드레싱용 밴드 - Google Patents

드레싱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37B1
KR101421937B1 KR1020120128464A KR20120128464A KR101421937B1 KR 101421937 B1 KR101421937 B1 KR 101421937B1 KR 1020120128464 A KR1020120128464 A KR 1020120128464A KR 20120128464 A KR20120128464 A KR 20120128464A KR 101421937 B1 KR101421937 B1 KR 10142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ds
release paper
adhesive substrate
adhesiv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625A (ko
Inventor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주)비엔에스메디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에스메디븐스 filed Critical (주)비엔에스메디븐스
Priority to KR102012012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싱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점착되어서 붙는 점착 기재(110); 상기 점착 기재(110)의 내면에 접착되고, 피부의 상처부위를 보호하거나 지혈하는 접면 패드(120); 상기 점착 기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점착 기재(110)의 접면 패드(120)를 노출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노출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130); 상기 접면 패드(120)를 보호하고 접면 패드(120)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면 패드(120)를 외포하고 있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점착 기재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고 접면 패드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위생 및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레싱용 밴드{A BAND FOR DRESSING}
본 발명은 드레싱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리지가 점착 기재에 들뜨지 않고 밀착되어서 점착 구비될 수 있도록 하고 상처부위에 닿는 접면 패드는 박리지가 아닌 별도로 채택한 보호캡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점착 기재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고 접면 패드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위생 및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드레싱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혈관을 통한 의료 시술 등에는 카테터 등을 혈관 또는 몇몇 다른 생체 조직 내로 삽입함으로써, 시약 등을 인체 내부로 용이하게 투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구들은 피부조직과 혈관 측 사이에 천공된 통로를 통하여 혈관에 삽입된 후 이 혈관의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의 의료 시술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카테터를 이용한 시술이 완료된 후 카테터를 천공된 부위에서 뽑아내면 맥박과 같은 박동 등에 의해 혈관 내의 혈액이 분출되면서 출혈 현상이 발생되므로, 치료가 완료된 후에, 천공된 부위를 지혈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의사나 간호사 등이 천공된 부위를 손으로 직접 막거나 물리적인 차단 및 압박이 가능한 별도의 기구(지혈 솜 : styptic cotton) 등을 이용하여 지혈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 상황에 따라 다르긴 하나 지혈하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짧게는 30분에서 길게는 3시간 내지 4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 간호사가 오랜 시간 지혈 행위를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인력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21608 호(공고일: 2011년03월17일)에 의한 "지혈 밴드 세트"가 알려져 있다.
위 등록특허 제 10-1021608 호에 의한 "지혈 밴드 세트"는, 환자 신체에 착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체 착용밴드; 상기 신체 착용밴드의 중심부에 장착되고, 상단에 가압부가 고정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누름 부재; 및 상기 누름 부재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신체 착용밴드가 환자의 신체에 착용될 경우, 환자 신체의 출혈부위에 접촉되되, 투명하고 유연한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의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출혈부위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공기 주입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주입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주입하는 제 1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기 주입부에 공기 주입장치가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가압부가 외측으로 팽창되어, 상기 출혈부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 10-1021608 호에 의한 "지혈 밴드 세트"는 누름부, 가압부, 공기 주입부 등을 필요로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 가격이 비싸며, 또한 혈관에 접촉하는 누름부재(120)가 외부에 노출 구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의 흡착 등 위생상 매우 불량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등록특허 제 10-1021608 호에 의한 "지혈 밴드 세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기술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는, 부직포나 필름 등에 점착 가공한 점착 기재(11)와, 상처에 닿는 부분으로서 부직포나 폼 등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점착 기재(11) 위에 부착하는 접면 패드(12)와 상기 점면 패드(12)를 덮어서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나 이형필름 등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점착 기재(11)에 점착 구비되는 박리지(13)로 구성된다.
이때 박리지(13)는 점착 기재(11)로부터 쉽게 떼어내기 위해서 제1 박리지(13a)와 제2 박리지(13b)로 구성되기도 한다.
도 6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는 단순히 점착 기재(11) 상부에 접면 패드(12)를 부착하고 그 위를 다시 박리지(13)로 덮은 후 외곽을 성형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드레싱 밴드(10)는 접면 패드(12)는 환자의 상처 부위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고도의 청정을 요하는 제품인데, 접면 패드(12)는 출혈되는 피의 빠르고 많은 흡수 성능을 위하여 그 두께가 두껍게 제조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접면 패드(12)의 두께 때문에 접면 패드(12)를 덮고 있는 박리지(1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기재(11)에 달라붙어 있지 못하고 점착 기재(11)로부터 들뜨게 되고, 그 결과 점착 기재(11)와 박리지(13)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점착 기재(11)에 이물질이 부착되어서 점착 기재(11)의 점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와 같이 들떠 있는 박리지(13) 때문에 유통기간 중에 포장지 속에서 제품의 형태가 일그러지거나 훼손 또는 망실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박리지(13)가 점착 기재(11)에 달라붙어 있지 못하고 들떠 있기 때문에 박리지(13)가 점착 패드(11)의 틀어짐에 따라서 같이 틀어져서 실제 병원에서 환자에게 사용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목적은,
첫째, 박리지가 점착 기재로부터 들뜨지 않고 항상 달라붙어 있게 함으로써 점착 기재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달라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제품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박리지가 점착기재와 밀착되어 있고, 두꺼운 접면 패드 위에 그대로 박리지를 덮지 않고 경질 합성수지재의 보호캡으로서 접면 패드를 외포하여 보호함으로써, 접면 패드가 일그러지거나 뒤틀리거나 하는 등의 변형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원형(형태)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오염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제품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품 사용시 제품이 변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 사용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 및 사용 중 제품의 손상이나 망실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박리지를 벗겨내기만 하면 박리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캡도 자연스럽게 박리지와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보호캡에 대한 별도의 추가적인 분리 내지 제거 작업이 없더라도 간단하게 보호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박리지와 보호캡을 단 한 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드레싱용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는, 피부에 점착되어서 붙는 점착 기재; 상기 점착 기재의 내면에 접착되고, 피부의 상처부위를 보호하거나 지혈하는 접면 패드; 상기 점착 기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점착 기재의 접면 패드를 노출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 상기 접면 패드를 보호하고 접면 패드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면 패드를 외포하고 있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는,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박리지를 점착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떼어내는 경우 함께 제거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 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는,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박리지에 상면부와 측면부로 구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보호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노출공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 상에 면접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는, 상기 접면 패드는, 상처부위에서 나오는 피(blood)를 많은 양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박리지가 점착 기재로부터 들뜨지 않고 항상 달라붙어 있게 함으로써 점착 기재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달라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그리하여 제품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박리지가 점착기재와 밀착되어 있고, 두꺼운 접면 패드 위에 그대로 박리지를 덮지 않고 경질 합성수지재의 보호캡으로서 접면 패드를 외포하여 보호함으로써, 접면 패드가 일그러지거나 뒤틀리거나 하는 등의 변형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어서 제품의 원형(형태)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품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품 사용시 제품이 변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 및 사용 중 제품의 손상이나 망실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박리지를 벗겨내기만 하면 박리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캡도 자연스럽게 박리지와 함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보호캡에 대한 별도의 추가적인 분리 내지 제거 작업이 없더라도 간단하게 보호캡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박리지와 보호캡을 단 한 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에 있어서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로부터 떼어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단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드레싱용 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는 접면 패드(120)의 두께(t)를 두껍게 하여 주로 지혈 밴드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지혈 밴드 용도로 한정되어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처부위의 소독이나 상처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는, 신축성이 있으며,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피부에 점착되어서 붙는 점착 기재(110); 상기 점착 기재(110)의 내면에 접착되고, 피부의 상처부위를 보호하거나 지혈하는 접면 패드(120); 상기 점착 기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점착 기재(110)의 접면 패드(120)를 상방으로 노출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노출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130); 상기 접면 패드(120)를 보호(예컨대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접면 패드(120)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면 패드(120)를 외포하고 있는 보호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노출공(130a)을 형성하고 이 노출공(130a)을 통해서 접면 패드(120)가 접면 패드(120)에 부착 구성함으로써, 박리지(130)가 점착 기재(110)에 항상 밀착되어 있고 박리지(130)와 점착 기재(110) 사이에 들뜬 공간이 없게 되고,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점착 기재(110)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호캡(140)에 의해서 접면 패드(120)를 보호하므로 접면 패드(12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 위생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면 패드(120)에는 소독용이나 치료용의 약제가 도포될 수도 있고 단순힌 거즈나 폼 등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40)은, 상기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로부터 박리하여 떼어내는 경우 함께 제거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130a)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130) 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박리지(130)만을 떼어내면 보호캡(140)을 자동으로 함께 제거할 수 있어서 보호캡(140)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서 단 한 번의 동작으로 박리지(130)와 보호캡(140)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40)은 상기 박리지(130)에 상면부(140a)와 측면부(140b)로 구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140b)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140c)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40c)가 노출공(130a)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130) 상에 면접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플랜지부(140c)의 구성에 의해서 박리지(130)에 닿는 면적을 넓혀서 견고하게 박리지(130)에 부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호캡(140)은 박리지(130) 상에 예컨대 접착수단(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보호캡(140)은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내부의 접면 패드(120)를 더욱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서 접면 패드(120)의 형태의 일그러짐이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보호캡(140)은 투명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보호캡(140)에 의해서 보호되는 내부의 접면 패드(120)를 볼 수 있어서 제품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상기 접면 패드(120)는 상처부위에서 나오는 피(blood)를 많은 양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두께(t)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면 패드(120)의 두께(t)가 두꺼우면 많은 양의 피를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압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에 있어서, 상기 접면 패드(120)의 두께(t)는 소정 두께, 예컨대 4 mm 내지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너무 두껍지도 않고 너무 얇지도 않아서 지혈용으로서 적정한 두께가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는,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로부터 쉽게 박리하기 위해서 박리지(130)와 점착 기재(110) 사이의 일측에 보조 박리지(131)가 접어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박리지(131)를 박리지(130)와 점착 기재(110)의 일측에서 그들 사이에 끼우면 박리지(130)의 일측이 점착 기재(110)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점착 기재(110)로부터 이격된 박리지(130)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워서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품의 제조 과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박리지(130)에 접면 패드(120)가 내삽될 부분인 노출공(130a)을 사전에 형성한다.
상기 노출공(130a)은 점착 기재(110)에 접면 패드(120)가 붙을 위치에 대응하여서 접면 패드(120)보다 조금 더 크게 박리지(130)의 중앙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노출공(130a)이 형성된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에 밀착하여서 점착한다.
그리고, 노출공(130a)에 의해서 노출된 점착 기재(110) 부분에 접면 패드(120)를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보호캡(140)으로 접면 패드(120)를 외포하면서 박리지(130)에 부착하면 제품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100)의 사용에 대해서 기술한다.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로부터 벗겨내면 보호캡(140)이 박리지(130) 상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캡(140)도 자동으로 제거된다.
이후 접면 패드(120)를 상처부위나 혈관 주사바늘 자리에 위치하여 누르고, 점착 기재(110)를 피부에 붙이면 상처부위를 소독 내지 보호하거나 혈관을 지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싱용 밴드
110 : 점착 기재 120 : 접면 패드
130 : 박리지 130a: 노출공
131 : 보조 박리지 140 : 보호캡
140a: 상면부 140b: 측면부
140c: 플랜지

Claims (4)

  1. 피부에 점착되어서 붙는 점착 기재(110);
    상기 점착 기재(110)의 내면에 접착되고, 피부의 상처부위를 보호하거나 지혈하는 접면 패드(120);
    상기 점착 기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점착 기재(110)의 접면 패드(120)를 노출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노출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130);
    상기 접면 패드(120)를 보호하고 접면 패드(120)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면 패드(120)를 외포하고 있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박리지(130)를 점착 기재(110)로부터 박리하여 떼어내는 경우 함께 제거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130a)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130) 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용 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박리지(130)에 상면부(140a)와 측면부(140b)로 구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140b)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140c)로 구성되는 보호캡(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플랜지부(140c)가 노출공(130a)을 외포하면서 상기 박리지(130) 상에 면접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용 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면 패드(120)는, 상처부위에서 나오는 피(blood)를 흡수할 수 있도록 두께(t)가 4 ~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용 밴드.
KR1020120128464A 2012-11-14 2012-11-14 드레싱용 밴드 KR10142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64A KR101421937B1 (ko) 2012-11-14 2012-11-14 드레싱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64A KR101421937B1 (ko) 2012-11-14 2012-11-14 드레싱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625A KR20140061625A (ko) 2014-05-22
KR101421937B1 true KR101421937B1 (ko) 2014-07-23

Family

ID=5089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464A KR101421937B1 (ko) 2012-11-14 2012-11-14 드레싱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541A (ko)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투에잇 압박용 지혈 드레싱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224A (ja) * 1992-03-06 1993-11-0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ドレッシング材
KR0119565Y1 (ko) * 1995-02-04 1998-06-01 홍창표 상처 보호밴드
KR200307222Y1 (ko) * 2002-12-13 2003-03-12 박선식 상처 보호용 밴드
JP2005211647A (ja) * 2003-12-29 2005-08-11 Aso Seiyaku Kk 軟膏付救急用絆創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224A (ja) * 1992-03-06 1993-11-0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ドレッシング材
KR0119565Y1 (ko) * 1995-02-04 1998-06-01 홍창표 상처 보호밴드
KR200307222Y1 (ko) * 2002-12-13 2003-03-12 박선식 상처 보호용 밴드
JP2005211647A (ja) * 2003-12-29 2005-08-11 Aso Seiyaku Kk 軟膏付救急用絆創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541A (ko)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투에잇 압박용 지혈 드레싱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625A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0094B1 (en) Disposable eye pa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eye patch
KR200473635Y1 (ko) 압박 지혈밴드
CN109310529B (zh) 医用敷料、医用敷料系统以及减少医护人员工作量的方法
US20240082067A1 (en) Wound Dressing
KR200470009Y1 (ko) 압박 지혈용 패드가 부착된 밴드
US20190183695A1 (en) Surgical bandage with stabilizing elements
KR101421937B1 (ko) 드레싱용 밴드
CN113784694B (zh) 改良型伤口治疗用部件
JP2558818Y2 (ja) 止血用貼付材
CN219230380U (zh) 一种皮肤保护贴
JP2017144034A (ja) 駆血兼止血テープ
KR200345196Y1 (ko) 돌출된 공동부가 형성된 1회용 밴드
KR200381983Y1 (ko) 접착이 간편한 일회용 의료밴드
CN211749838U (zh) 捆绑加压止血输液贴
JPH0140503Y2 (ko)
CN213250378U (zh) 一种后颅窝手术或创伤后切口的快速加压包扎固定带
CN215191971U (zh) 一种动脉压迫止血带
KR20230009541A (ko) 압박용 지혈 드레싱 밴드
CN216167676U (zh) 止血带
CN219763441U (zh) 一种防感染止血贴
US20220355079A1 (en) A sanitary dressing
US20220062050A1 (en) Perioperative eye patch
CN107595353B (zh) 多功能经桡动脉pci术后术肢血管保护安全带
JP2010063547A (ja) 鍼治療用指先感染防止シート
US20130310725A1 (en) First Aid Pain Free Band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