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02B1 -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02B1
KR101968502B1 KR1020170163451A KR20170163451A KR101968502B1 KR 101968502 B1 KR101968502 B1 KR 101968502B1 KR 1020170163451 A KR1020170163451 A KR 1020170163451A KR 20170163451 A KR20170163451 A KR 20170163451A KR 101968502 B1 KR101968502 B1 KR 10196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tube
medical device
cab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승
Original Assignee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8Clips, separato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tubes or l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줄과 의료기기용 케이블이 정리되어 고정되며, 조명부재를 통해 특히, 야간에 시술자가 용이하게 링거줄이나 의료기기용 케이블의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목에 감아 착용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면에 의료기기 케이블 또는 링거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되 조명에 의해 상기 링거줄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형상복원이 가능한 탄력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면은 상기 착용부재와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의료기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몸체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기립하여 상기 링거줄이 삽입되는 링거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고정구는 상기 몸체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상기 링거줄이 출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한 상기 링거줄이 지지되는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링거고정구는 기립한 이후에 각각의 상기 중공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Fixing instrument for Ringer's tube}
본 발명은 링거줄과 의료기기용 케이블이 정리되어 고정되고, 조명부재를 통해 특히, 야간에 시술자가 용이하게 링거줄이나 의료기기용 케이블의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입원환자의 영양보충이나 기타 수액투여환자의 경우에는 손목이나 손/발에 수액바늘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텐드로 높은 위치에 유지되는 수액용기와 수액튜브로 연결하여 수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액은 상당한 량을 가지기 때문에 수액이 체내로 완전히 공급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이 시간 동안 환자는 화장실이나 식사, 산보 등을 위하여 많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환자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환자의 손목이나 손에 꽂혀진 수액바늘이 이탈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는 체내로 삽입된 수액바늘과 수액튜브의 고정을 위하여 반창고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반창고만으로는 유동성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움직임이 많고 주의성이 없는 소아 환자의 경우에는 쉽게 수액바늘이 이탈하게 되는 현상과 더불어, 수액바늘이 심하게 유동함으로서 신체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반창고를 이용하여 수액바늘과 수액튜브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몸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분 등에 의하여 쉽게 이탈하게 됨으로써 안정된 상태를 지속할 수 없게 되어 환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수액의 교환을 위하여 반창고를 주기적으로 접착시키고 이탈시켜야 하기 때문에 반창고에 구비되는 접착성분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되고 특히 연약하고 부드러운 피부를 가진 유,소아들의 경우에는 반창고가 접착된 부위가 헐어 습진과 세균성 감염 등과 같이 더 큰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반창고를 이용하여 수액바늘과 수액튜브를 고정할 경우에는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여 환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반창고가 오염될 경우에는 반창고를 통하여 다른 병원균의 침투하는 원인이 됨으로써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공개특허 제10-2003-41934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효과는 수액바늘과 수액튜브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움직임에 의한 유동과 이탈현상을 방지하여 수액세트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여러 가지 색상이나 그림 및 동식물의 캐릭터를 표면에 도시하여 환자로 하여금 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외관을 수려하게 하여 탈부착에 따른 신체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수액바늘과 수액튜브를 유지함으로써, 위생적이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액튜브 이외에 의료행위에 필요한 환자의 신체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의료기기 케이블 등의 고정구성은 존재하지 않아 단지 수액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환자가 취침 중인 야간시간에 해당 수액이 수액튜브를 따라 원활하게 환자에게 투여되는지나 환자의 뒤척임에 의해 수액튜브가 꼬였는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아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액튜브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기기 케이블의 정리를 위한 고정은 물론, 야간에 병실의 조명이나 손전등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수액튜브의 이탈 여부나 환자에게 원활한 투여가 진행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시술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는 팔목에 감아 착용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면에 의료기기 케이블 또는 링거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되 조명에 의해 상기 링거줄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형상복원이 가능한 탄력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면은 상기 착용부재와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의료기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몸체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기립하여 상기 링거줄이 삽입되는 링거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고정구는 상기 몸체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상기 링거줄이 출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한 상기 링거줄이 지지되는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링거고정구는 기립한 이후에 각각의 상기 중공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모듈과,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 내부 바닥면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제1엘이디 및 한 쌍의 상기 링거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제2엘이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엘이디 또는 상기 제2엘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손목을 감싸도록 구부러짐이 용이하며, 손목을 감싸 링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게 제1접착면이 형성된 착용체 및
상기 착용체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링거고정구에 형성된 중공부 내에 링거줄의 삽입은 물론,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의료기기 케이블 등이 삽입되어 환자에게 간섭을 주지않게 정리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엘이디에 의해 특히, 야간에 별도의 조명이 없이도 링거고정구에 삽입된 링거줄의 상태 등을 육안으로 시술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수액튜브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의 고정부재 평면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이하, 간략하게 '고정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1)는 크게 착용부재(100), 고정부재(200) 및 조명부재(3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착용부재(100)는 환자의 손목에 링 형상을 갖도록 착용하되 후술하는 상기 고정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환자에게 사용되는 링거줄(R/T: Sydney Ringer Tube)이나 의료기기용 케이블(C) 등이 해당 환자의 이동 등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착용체(110), 제1접착면(120) 및 제2접착면(1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착용체(1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자의 손목 등에 링 형태로 감겨 사용될 수 있는 모직이나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등의 구부러짐에도 파손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도 5 참조).
아울러 착용체(110) 양측에는 링 형상으로 구부러져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구비된 이후에 해당 착용체(110)가 환자의 손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탈착 가능한 제1접착면(120)에 의해 고정한다.
나아가 제1접착면(120)은 착용체(110)의 재질이 탄성 복원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착면(130)은 착용체(110) 상면 즉, 후술하는 몸체(210)가 접착되고자 하는 착용체(110) 상면에 형성되어 해당 몸체(2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 및 제2접착면(120,130)은 벨크로테잎은 물론, 암수 형태로 서로 끼움 결합하는 구조의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착용체(110)에 부착되되 링거줄(R/T) 및 환자의 신체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의료기기용 케이블(C)이 삽입되어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0) 및 링거고정구(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몸체(2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면이 착용체(110) 상면에 형성된 제2접착면(13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한다.
아울러 몸체(210)는 제2접착면(130)에 부착된 이후에 링 형상으로 구부러진 착용체(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구부러지거나 펴짐이 가능하게 형상복원이 가능한 탄력재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이 사용된다.
이때, 몸체(210) 상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의료기기 케이블(C)이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해당 삽입홈(211)은 후술하는 링거고정구(220)에 간섭없이 케이블(C)이 삽입될 수 있게 몸체(210)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215)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210) 상면에는 회전하여 기립(起立)하기 이전의 링거고정구(220)가 수납되는 수납홈(213)이 형성되며, 해당 수납홈(213)에 삽입된 링거고정구(220)는 몸체(21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링거줄(R/T)을 고정시에 몸체(210) 상방으로 수직되게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링거고정구(220)는 전체적으로 일측에 링거줄(R/T)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221)가 형성된 후크(HOOK)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221)를 통해 삽입된 링거줄(R/T)이 링거고정구(220) 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223)가 형성된다.
이때, 링거고정구(220)는 몸체(210)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한 쌍(또는 한 쌍 이상)이 서로 마주보게 몸체(210) 상면에 형성되되 각각의 개구부(221)는 그 개구된 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일치하도록 하여 한 쌍 이상의 링거고정구(220)에 하나의 링거줄(R/T)이 각각의 중공부(223)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링거고정구(220)는 서로 이웃하되 각각의 중공부(223)에 표시한 임의의 중심점(P,P')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마주보도록 기립하여 링거줄(R/T)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링거고정구(220) 사이에 여유롭게 링거줄(R/T)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기립된 링거고정구(220)는 링거줄(R/T)이 삽입된 이후에 수납홈(213) 방향으로 기울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재(300)는 특히, 야간에 링거고정구(220)에 삽입된 링거줄(R/T)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모듈(310), 제1엘이디(320) 및 제2엘이디(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어모듈(310)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엘이디(320,33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위치(311)를 포함한다.
제어모듈(310)은 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17)에 수납되되 상기 몸체(210)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판 상면에 설치되어 해당 도어판이 분리시에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제어모듈(310)은 제1 및 제2엘이디(320,33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210) 외부로 조작가능하게 구비된 스위치(311)의 모드 선택에 의해 제1 또는 제2엘이디(320,330) 어느 하나만 동작시키거나 전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엘이디(320)는 제어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몸체(210) 또는 돌출부(215) 내부에 설치되되 그 외면은 삽입홈(211)의 바닥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삽입홈(211)에 케이블(C)의 삽입 여부를 의사나 간호사 등과 같은 시술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엘이디(330)는 제어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몸체(210) 내부 즉, 한 쌍의 링거고정구(22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해당 링거고정구(220)에 삽입된 링거줄(R/T)의 내부를 야간에 시술자가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환자가 1인실이 아닌, 2인실 이상의 입원실 등에 입실한 경우, 야간에 손전등과 같은 장비를 가지지 않고도 의료기기용 케이블(C)의 수납상태는 물론, 투명 재질인 링거줄(R/T)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환자의 뒤척임 등에 의해 해당 링거줄(R/T) 내부로 피가 역류하거나 링거고정구(220)에서 링거줄(R/T)이 이탈하는 등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링거고정구(220)에 형성된 중공부(223) 내에 링거줄(R/T)의 삽입은 물론, 몸체(210)에 형성된 삽입홈(211)을 통해 의료기기 케이블(C) 등이 삽입되어 환자에게 간섭을 주지않게 정리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어모듈(31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엘이디(320,330)에 의해 특히, 야간에 별도의 조명이 없이도 링거고정구(220)에 삽입된 링거줄(R/T)의 상태 등을 육안으로 시술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100: 착용부재 110: 착용체
120: 제1접착면 130: 제2접착면
200: 고정부재 210: 몸체
211: 삽입홈 213: 수납홈
215: 돌출부 217: 공간부
220: 링거고정구 221: 개구부
223: 중공부 300: 조명부재
310: 제어모듈 311: 스위치
320: 제1엘이디 330: 제2엘이디
C: 의료기기용 케이블
R/T: 링거줄

Claims (3)

  1. 팔목에 감아 착용하는 착용부재(100);
    상기 착용부재(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면에 의료기기 케이블(C) 또는 링거줄(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설치되는 고정부재(200); 및
    상기 고정부재(200)에 구비되되 조명에 의해 상기 링거줄(R/T)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는
    형상복원이 가능한 탄력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면은 상기 착용부재(100)와 결합하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의료기기 케이블(C)이 삽입되는 삽입홈(211), 상기 몸체(21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기립하여 상기 링거줄(R/T)이 삽입되는 링거고정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고정구(220)는 상기 몸체(210)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상기 링거줄(R/T)이 출입하는 개구부(22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221)를 통해 진입한 상기 링거줄(R/T)이 지지되는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223)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링거고정구(220)는 기립한 이후에 각각의 상기 중공부(223)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상기 몸체(2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300)는
    상기 몸체(21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모듈(310);
    상기 몸체(21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211) 내부 바닥면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제1엘이디(320); 및
    한 쌍의 상기 링거고정구(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10) 상면에 형성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제2엘이디(33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310)은 상기 제1엘이디(320) 또는 상기 제2엘이디(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스위치(3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손목을 감싸도록 구부러짐이 용이하며, 손목을 감싸 링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게 제1접착면(120)이 형성된 착용체(110); 및
    상기 착용체(110)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접착면(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KR1020170163451A 2017-11-30 2017-11-30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KR10196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51A KR101968502B1 (ko) 2017-11-30 2017-11-30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51A KR101968502B1 (ko) 2017-11-30 2017-11-30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02B1 true KR101968502B1 (ko) 2019-04-12

Family

ID=6616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51A KR101968502B1 (ko) 2017-11-30 2017-11-30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245Y1 (ko) * 2001-12-14 2002-03-12 김석년 링거호스 고정기구
EP1186316A2 (en) * 1993-03-19 2002-03-13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20110118670A1 (en) * 2009-11-18 2011-05-19 Kay Dennis M Tube Holder and Method of Securing Catheters to a Patient
KR101793382B1 (ko) * 2016-06-16 2017-11-02 이승현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6316A2 (en) * 1993-03-19 2002-03-13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KR200267245Y1 (ko) * 2001-12-14 2002-03-12 김석년 링거호스 고정기구
US20110118670A1 (en) * 2009-11-18 2011-05-19 Kay Dennis M Tube Holder and Method of Securing Catheters to a Patient
KR101793382B1 (ko) * 2016-06-16 2017-11-02 이승현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1342A1 (en) Pediatric tissue illuminator
JP7036728B2 (ja) 歩行調整用の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その使用方法
US20160106950A1 (en) Forehead-wearable light stimulator having one or more light pipes
US874082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hypertension
ES2713923T3 (es) Sistema conector de perfil bajo
US9364657B2 (en) Cuff unit for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US20090093761A1 (en) Medical-procedure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optical contrast, and new practitioner-safety, device-fixation, electrode and magnetic treatment and lumen-dilation capabilities
WO2008024222A3 (en) Device to monitor retinal ischemia
WO2012032413A3 (en) Disposable and detachable sensor for continuous non-invasive 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ing
WO2003000197A3 (en) Method and overhead system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therapeutic functions within a room
TW200621325A (en) Light therapeutic device
BR9808517A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de local intravenoso
CN108670549A (zh) 心理学实验用调节式眼罩
KR101968502B1 (ko) 의료기기용 케이블 고정수단이 부설된 링거줄 고정체
US200801471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eye during eye surgery
RU17653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инвазивн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подкожных вен
CN205359419U (zh) 一种口腔修复专用开口器
CN209285513U (zh) 步态平衡测训垫
US20110181832A1 (en) Eyewea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unilateral neglect syndrome
KR101910559B1 (ko) Led 패드를 이용한 치료장치
BRPI0804147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aparelho transiluminador cutáneo
WO2013115450A1 (ko) 엄지발가락 착용 성장 보조 기구
BR102019017389A2 (pt) transiluminador para mapeamento dos vasos sanguíneos da face
CN204910441U (zh) 一种应用于男童可防止导尿管滑脱的会阴部保护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