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421A -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421A
KR20160089421A KR1020167016196A KR20167016196A KR20160089421A KR 20160089421 A KR20160089421 A KR 20160089421A KR 1020167016196 A KR1020167016196 A KR 1020167016196A KR 20167016196 A KR20167016196 A KR 20167016196A KR 20160089421 A KR20160089421 A KR 2016008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lkyl
polycarbonate
polycarbona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410B1 (ko
Inventor
미하엘 에르켈렌츠
티모 쿨만
레이스 왕
위 런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8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개선된 난연성 특성과 조합하여 높은 강성도 및 개선된 열적 및 유동학적 거동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화재 방지 등급 UL 94 VI, 바람직하게는 V0에 대한 요건을 여전히 충족하면서, 성형물, 특히 EE 및 IT 분야에서 1.0 mm 내지 0.75 mm의 벽 두께를 갖는 박벽 하우징 부속품 또는 스위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GLASS-FIBRE REINFORCED POLYCARBONATE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벽 두께 ≤ 1.00 mm를 갖는 초박벽 부품에 관련하여 개선된 난연성 특성과 조합하여 높은 강성도 및 개선된 열적 및 유동학적 거동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성형물, 예컨대 EE (전기/전자) 및 IT (정보 기술) 분야에서의 박벽 하우징 부속품 또는 스위치 박스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1.0 mm 내지 0.75 mm의 벽 두께에서 화재 방지 등급 UL 94 V1, 바람직하게는 V0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부품에 특히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260℃ 및 5 kg에 대해 ≥ 20 g/10 min의 적절히 높은 용융 부피 유량을 가져야 한다.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은 선행 기술로부터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어느 것도, 용융 부피 유량 (MVR)을 통해 결정되는 성형 공정에서의 조성물의 적절한 가공성과 함께, 벽 두께 ≤ 1.00 mm, 바람직하게는 ≤ 0.75 mm에 대하여 화재 방지 등급 UL 94 V1, 바람직하게는 V0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US 20130131241 A는 유동 특성, 내충격성 및 탄성률이 동시에 양호하면서 낮은 벽 두께에 대해 양호한 난연 효과를 갖는 난연성 열가소성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승작용적 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난연제, 활석, 유리 섬유 및 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서류에 기재된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은 단지 소량의 퍼플루오로알킬술포네이트 기재의 난연제 및 또한 소량의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JP 2007-070468 A는 편평 유리 섬유 및 또한 또 다른 추가의 층상 물질의 사용에 의해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 뿐만 아니라 낮은 비등방성, 양호한 유동성 및 또한 유리한 난연 효과를 제공하는 유리-섬유-강화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서 SAN의 사용은 유동을 개선시키고, 이것은 현저하게 개선된 가공성을 제공한다. 또한, SAN의 사용은 얻어지는 성형물의 취성(brittleness)을 상승시킨다. SAN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중에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US 20090048389 A는 폴리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양호한 유동 거동 및 뛰어난 인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서류는 기재된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화재 거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성형물의 벽 두께에 관련하여 특정한 화재 방지 등급을 달성하기 위한 화재 방지 첨가제의 사용은 포함되는 주제 중 하나가 아니다. 또한, 사용된 폴리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공중합체의 선택된 용융 유량이 너무 작기 때문에, 낮은 벽 두께 ≤ 1 mm, 바람직하게는 ≤ 0.75 mm를 갖는 성형물을 제조하기에 충분하게 유동성인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로 이어지지 않는다.
EP 758003 A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활석, 점토 및 운모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고 또한 인산 에스테르 기재의 추가의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개선된 표면 품질 및 높은 탄성률을 특징으로 한다. 유동 거동 및 내충격성의 제어를 위해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중에 폴리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US 20070072995 A는 열가소성 조성물 및 하우징 또는 전자 부품의 제조를 위한 사출-성형품으로서 그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무-개질 비닐 블록 중합체, 및 또한 비개질 비닐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 서류에 따르면 이들은 내충격성, 유동성 및 열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탄성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리 섬유의 사용 및 성형물의 벽 두께에 관련하여 특정한 화재 방지 등급을 달성하기 위한 화재 방지 첨가제의 사용은 포함되는 주제가 아니다.
US 20110160411 A는 사출 성형물 및 압출된 반완성 제품의 제조를 위한, 고온에서 안정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또한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탄성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리 섬유의 사용 및 성형물의 벽 두께에 관련하여 특정한 화재 방지 등급을 달성하기 위한 화재 방지 첨가제의 사용은 포함되는 주제가 아니다.
WO 2013079630 A는 높은 강성도, 개선된 열적 및 유동학적 거동, 및 또한 양호한 화재 방지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충격-개질 유리-섬유-충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서류는 전기/전자 산업을 위해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중에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이 서류에 기재된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은, 퍼플루오로알킬술포네이트 기재의 사용된 난연제 및 또한 난연제의 함량 때문에, 낮은 벽 두께 ≤ 1 mm, 바람직하게는 ≤ 0.75 mm로 가공하기에 부적절하다. 또한, ≤ 0.75 mm의 벽 두께에서 UL 94V에 따른 화재 방지 등급 V0의 달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벽 두께 ≤ 1.00 mm, 바람직하게는 ≤ 0.75 mm를 갖는 초박벽 부품에 관련하여 개선된 화재 방지 등급과 조합하여 높은 강성도 및 개선된 열적 및 유동학적 거동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언급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성형 조성물은 극도로 낮은 벽 두께에서 개선된 난연성과 함께, 양호한 기계적 특성 및 또한 양호한 인성 및 양호한 유동학적 및 열적 거동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10 내지 7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5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5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0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중량부 이하의 적어도 1종의 다른, 바람직하게는 층상 충전제,
D) 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및/또는 임의로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이고,
N은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특히 0.7 내지 5, 특히 1.0 내지 3.0, 더욱 특별하게는 1.05 내지 2.0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Y는 1 내지 3개의 메틸 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리덴, 메틸렌, 시클로헥실리덴, 또는 직접 결합임]
E) 0.5 내지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이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이고,
단 ≥ 4.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함유되는 경우에 적어도 1종의 층상 충전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벽 두께 ≤ 1.0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벽 두께 ≤ 0.75 mm에 대하여 레벨 V1, 바람직하게는 레벨 V0에서 UL 94V 시험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260℃ 및 5 kg에 대해 20 g/10 min 초과의 적절히 높은 용융 부피 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뿐만 아니라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며,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카르보네이트일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평균 몰 질량 Mw (중량 평균) (CH2Cl2 중에서 25℃에서 CH2Cl2 100 ml당 0.5 g의 농도에서 상대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됨)는 20,000 g/mol 내지 32,000 g/mol, 바람직하게는 23,000 g/mol 내지 28,000 g/mol, 특히 24,000 g/mol 내지 26,000 g/mol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내 카르보네이트 기의 일부, 8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ol% 내지 50 mol%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탄산으로부터의 산 모이어티 뿐만 아니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산 모이어티를 분자 쇄 내에 도입되는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라고 일컫는다. 단순성을 위해, 본 출원은 포괄적 용어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내에 이들을 포함시킨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 탄산 유도체, 및 임의로 쇄 종결제 및 임의로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되고,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구체적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구조 단위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내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대체하도록 의도되는 정도에 따라서 탄산 유도체의 일부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로 대체하는 것을 수반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절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것이다.
<화학식 2>
HO-Z-OH
[상기 식에서,
Z은 가교원으로서,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환을 가질 수 있고 각각 지방족 또는 지환족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는 방향족 모이어티, 알킬아릴 모이어티 또는 헤테로원자임]
화학식 2에서의 Z은 하기 화학식 3의 모이어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1- 내지 C18-알킬, C1- 내지 C18-알콕시, 할로겐, 예컨대 Cl 또는 Br이거나, 또는 각각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아르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 내지 C12-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 내지 C8-알킬,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이고,
X는 단일 결합, -SO2-, -CO-, -O-, -S-, C1- 내지 C6-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또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이고, 이들은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로의 치환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한 추가의 방향족 고리와 임의로 축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아릴렌임]
X가 단일 결합, C1- 내지 C5-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또는 하기 화학식 3a 또는 3b의 모이어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a>
Figure pct00003
<화학식 3b>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8 및 R9는 각각의 X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X1은 탄소이고,
n은 4 내지 7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이고, 단 적어도 1개의 원자 X1 상에서, R8 및 R9가 동시에 알킬임]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디페놀)의 예는 디히드록시벤젠, 디히드록시비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아릴 화합물,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1,1'-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이들에 관련된 고리-알킬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절한 디페놀의 예는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비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또한 이들에 관련된 알킬화, 고리-알킬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비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3-비스[2-(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비스페놀 M),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3-비스[2-(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비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이다.
이들 및 다른 적절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US-A 2 999 835, 3 148 172, 2 991 273, 3 271 367, 4 982 014 및 2 999 846, 독일 공개 출원 1 570 703, 2 063 050, 2 036 052, 2 211 956 및 3 832 396, 프랑스 특허 1 561 518, 연구논문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pp. 28 ff; pp.102 ff by H.Schnell] 및 [D.G.Legrand, J.T.Bendler, "Handbook of Polycarbonate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2000, pp. 72 ff]에 기재되어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단지 1종의 디페놀이 사용되지만,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2종 이상의 디페놀이 사용된다. 사용된 디페놀은 그 자체의 합성, 취급 및 보관으로부터 유래된 오염물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합성 반응에 첨가되는 모든 다른 화학물질 및 보조제에 적용된다. 그러나, 최대 순도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겐 또는 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말단 기가 반응 혼합물에 여전히 존재하는 한, 또는 쇄 종결제로서 아실 클로라이드 및 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에스테르의 경우에, 형성되는 중합체의 충분한 페놀성 말단 기가 이용가능한 한, 분자량 제어를 위해 필요한 일관능성 쇄 종결제, 예를 들어 페놀 또는 알킬페놀, 특히 페놀, p-tert-부틸페놀, 이소옥틸페놀, 쿠밀페놀, 이들의 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에스테르 또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상기 쇄 종결제들의 혼합물을 합성 반응의 임의의 원하는 합류점에서 비스페놀레이트(들) 등과 함께 반응에 도입한다. 그러나, 남아있는 포스겐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 또는 합류점에서 포스겐화 반응 후에, 그러나 촉매의 첨가 전에, 쇄 종결제(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을 촉매 전에, 촉매와 함께, 또는 이들과 병행하여 첨가한다.
사용되는 임의의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을 합성 반응에 첨가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지만, 통상적으로 쇄 종결제 전에 이들을 첨가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트리스페놀, 쿼터페놀 또는 트리- 또는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페놀 또는 아실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다.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히드록시 기를 갖는 분지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일부 화합물의 예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및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이다.
다른 삼관능성 화합물의 일부는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 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및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이다.
적절하다면 사용될 수 있는 분지화제의 양은 사용된 각각의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0.05 mol% 내지 2 mol%이다.
분지화제를 디페놀 및 쇄 종결제와 함께 수성 알칼리 상에서 초기 충진물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에 포스겐화 전에 첨가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상기 모든 수단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친숙하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절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는 오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tert-부틸이소프탈산, 3,3'-비페닐-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4,4-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 3,4'-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 술폰 디카르복실산, 2,2-비스(4-카르복시페닐)프로판, 및 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복실산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에서,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는 디아실 디할라이드 및 디알킬 디카르복실레이트, 특히 디아실 디클로라이드 및 디메틸 디카르복실레이트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에 의한 카르보네이트 기의 대체는 필수적으로 화학양론적으로 그리고 또한 정량적으로 발생하고, 따라서 반응물의 몰 비가 최종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에 반영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를 랜덤 방식으로 또는 블록 방식으로 혼입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공지된 계면 방법 및 공지된 용융 에스테르교환 방법이다 (참조. 예를 들어 WO 2004/063249 A1, WO 2001/05866 A1, WO 2000/105867, US-A 5,340,905, US 5,097,002, US-A 5,717,057)
첫 번째 경우에, 포스겐 및 적절하다면 디아실 디클로라이드가 산 유도체로서 바람직하게 역할을 하고, 후자의 경우에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및 적절하다면 디카르복실 디에스테르가 산 유도체로서 바람직하게 역할을 한다. 양쪽 경우에,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촉매, 용매, 처리, 반응 조건 등이 널리 기재되어 있고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압출 또는 사출 성형을 거쳐 임의의 원하는 성형물을 수득하기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하고 가공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물질을 위해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충전제, UV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염료 및 안료, 이형 보조제, IR 흡수제 및 난연제를 일반적으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인 통상적인 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또한 첨가할 수 있다.
적절한 첨가제의 예는 ["Additives for Plastics Handbook", John Murphy, Elsevier, Oxford 1999] 및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 Zweifel, Hanser, Munich, 2001]에 기재되어 있다.
적절한 항산화제 또는 열 안정화제의 예는
알킬화 모노페놀, 알킬티오메틸페놀,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토코페롤, 히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알킬리덴비스페놀, O-, N- 및 S-벤질 화합물,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아실아미노페놀, 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β-(5-ter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에스테르, 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적절한 티오시너지스트, 2차 항산화제,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이다. 유기 포스파이트,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톨릴포스핀 또는 2,4,6-트리-tert-부틸페닐 2-부틸-2-에틸프로판-1,3-디일 포스파이트, 포스포네이트 및 포스판, 주로 유기 모이어티가 완전히 또는 어느 정도까지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모이어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적절한 첨가제는 이르가녹스(IRGANOX) 1076® 및 트리페닐포스핀 (TPP)이다.
적절한 이형제의 예는 1가 내지 6가 알콜, 특히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게르베(Guerbet) 알콜의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이다.
1가 알콜의 예는 스테아릴 알콜, 팔미틸 알콜 및 게르베 알콜이고, 2가 알콜의 예는 글리콜이고, 3가 알콜의 예는 글리세롤이고, 4가 알콜의 예는 펜타에리트리톨 및 메소에리트리톨이고, 5가 알콜의 예는 아라비톨, 리비톨 및 크실리톨이고, 6가 알콜의 예는 만니톨, 글루시톨 (소르비톨) 및 둘시톨이다.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 C10 - 내지 C36-모노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 C14- 내지 C32-모노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으로 제조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펜타에스테르 및 헥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특히 랜덤 혼합물이다.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의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지방산 에스테르는 제조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 60%의 다양한 부분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10 내지 36개 C 원자를 갖는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틴산 및 몬탄산이다.
벤조트리아졸 부류로부터의 적절한 UV 흡수제의 예는 티누빈(Tinuvin)® 171 (2-[2-히드록시-3-도데실-5-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CAS 번호 125304-04-3), 티누빈® 234 (2-[2-히드록시-3,5-디(1,1-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CAS 번호 70321-86-7)), 티누빈® 328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CAS 번호 25973-55-1)이다.
옥살아닐리드 부류로부터의 적절한 UV 흡수제의 예는 클라리언트(Clariant)로부터의 샌두버(Sanduvor)® 3206 (N-(2-에톡시페닐)에탄디아미드 (CAS 번호 82493-14-9)) 및 N-(2-에톡시페닐)-N'-(4-도데실페닐)옥사미드 (CAS 번호 79102-63-9)이다.
히드록시벤조페논 부류로부터의 적절한 UV 흡수제의 예는 키마소르브(Chimasorb)® 81 (BASF SE로부터의 2-벤조일-5-옥틸옥시페놀 (CAS 번호 1843-05-6)),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CAS 번호 131-56-6),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CAS 번호 1843-05-6),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CAS 번호 2985-59-3)이다.
트리아진으로부터의 적절한 UV 흡수제의 예는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리덴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티누빈® 405 (BASF SE)로서 또한 공지된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CAS 번호 137658-79-8), 티누빈® 1577 (BASF SE)로서 수득가능한 2,4-디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CAS 번호 147315-50-2)이다. 화합물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은 CAS 번호 204848-45-3을 갖고, BASF SE로부터 티누빈® 479로서 수득가능하다. 화합물 2-[2-히드록시-4-[(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리덴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은 CAS 번호 204583-39-1을 갖고, BASF SE로부터 CGX-UVA006 또는 티누빈® 1600으로서 수득가능하다.
UV 흡수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이다.
사용될 수 있는 염료 또는 안료의 예는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또는 유기 염료 등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카본 블랙이 착색제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성분 B
성분 B는 M, E, A, S, R, AR, ECR, D, Q 또는 C 유리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리 조성물로 구성된 유리이고, 여기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E, S 또는 C 유리이다.
유리 조성물이 사용되는 형태는 솔리드 유리 구체, 중공 유리 구체, 유리 비드, 유리 박편, 유리 단편 또는 유리 섬유 형태일 수 있고, 여기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유리 섬유이다. 유리 섬유가 사용되는 형태는 연속-필라멘트 섬유 (로빙), 절단 유리 섬유, 분쇄 섬유, 유리-섬유 텍스타일 또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고, 여기서 절단 유리 섬유 또는 분쇄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유리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배합 전에 절단 유리 섬유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 m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m이다. 다양한 단면을 갖는 절단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원형, 타원형, 계란형, 팔각형 및 편평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원형, 계란형 및 편평 단면이 특히 바람직하다. 원형 섬유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7 ㎛이다.
바람직한 편평 및 계란형 유리 섬유의 두께:폭 단면 비율은 약 1.0:1.2 내지 1.0:8.0, 바람직하게는 1.0:1.5 내지 1.0: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 내지 1.0:4.0이다. 또한, 편평 및 계란형 유리 섬유의 평균 섬유 두께는 4 ㎛ 내지 17 ㎛,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12 ㎛,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8 ㎛인 한편, 이들의 평균 섬유 폭은 12 ㎛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4 ㎛ 내지 28 ㎛,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 내지 26 ㎛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리 섬유를 유리 섬유의 표면 상에서 유리 사이징(sizing)으로 개질하였다. 바람직한 유리 사이징은 에폭시-개질, 폴리우레탄-개질 및 비개질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언급된 실란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리 섬유는 유리 사이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유리 섬유의 특징은, 섬유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덕분에 섬유의 선택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합체 기질에 강하게 커플링될 때 뿐만 아니라 비-커플링 섬유가 사용될 때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성의 개선이 명백하다.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중합체 기질에 대한 유리 섬유의 강한 커플링을 저온 파괴 표면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으며, 이때 대부분의 파괴된 유리 섬유 및 기질의 파괴가 동일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단지 몇 개의 유리 섬유 만이 기질로부터 돌출된다. 비-커플링 특성에 반대로, 주사 전자 현미경은 저온 파괴에서 유리 섬유가 기질로부터 현저하게 돌출되거나 접착성 부족 때문에 전체 섬유가 제거됨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20.0 중량부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부 초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중량부 초과의 유리 섬유 함량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편평 섬유를 사용한다.
성분 C
성분 B와는 상이한 다른 무기 물질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고, 여기서 이들이 물질의 기계적 특성에 유리하거나 또는 적어도 불리하지 않은 효과를 갖는 방식으로 양을 결정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미세 분쇄된 무기 물질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입자, 박편 또는 섬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언급될 수 있는 예는 백악, 석영 분말, 이산화티탄, 실리케이트/알루미노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활석, 규회석, 운모/점토 미네랄, 몬모릴로나이트, 특히 이온 교환에 의해 개질된 유기친화성 형태에서, 카올린, 제올라이트, 질석 및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다. 또한, 다양한 무기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양호한 중합체-친화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기 물질을 표면-처리, 예를 들어 실란화할 수 있다.
무기 물질의 사용되는 농도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특히 7 중량부 이하이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의 무기 물질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4 내지 6 중량부의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 20 중량%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 조성물을 비교적 소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5.5 중량%의 무기 물질과 바람직하게 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 40 중량%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 조성물을 비교적 소량, 바람직하게는 ≤ 5.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중량%의 무기 물질과 바람직하게 조합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성분 B로서 20 내지 30 중량% 유리 섬유 및 성분 C로서 5 내지 10 중량% 활석을 포함한다.
박편 형태를 갖는 무기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의 예는 활석, 운모/점토 미네랄, 몬모릴로나이트, 특히 또한 이온 교환에 의해 개질된 유기친화성 형태에서, 카올린 및 질석이다. 활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석은 천연 발생 또는 합성 활석을 의미한다.
순수한 활석은 화학 조성 3 MgO·4SiO2·H2O를 갖고, 따라서 그의 MgO의 함량은 31.9 중량%이고, 따라서 그의 SiO2의 함량은 63.4 중량%이고, 따라서 화학 결합된 물의 함량은 4.8 중량%이다. 이것은 필로실리케이트이다.
천연 발생 활석 물질은, 다른 원소에 의한 마그네슘의 부분 치환에 기인하여, 예를 들어 알루미늄에 의한 규소의 부분 치환에 기인하여, 및/또는 다른 미네랄, 예를 들어 돌로마이트, 마그네사이트 및 클로라이트와의 호생에 기인하여 이들이 불순물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언급된 이상적인 조성을 갖지 않는다. 불순물을 포함한 이들 천연 활석 분말을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에서 또한 사용할 수 있지만, 고순도 유형의 활석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28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5 내지 32 중량%의 MgO 함량, 및 5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64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2.5 중량%의 SiO2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유형의 활석은 5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특히 0.7 중량% 미만의 Al2O3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
< 20 ㎛, 바람직하게는 < 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 5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 2.5 ㎛의 중간 입자 크기 d50을 갖는 미세 분쇄된 유형의 형태로 활석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바람직한 무기 성분으로서 다음을 언급할 수도 있다: 원소 주기율표의 제1 내지 제5 주 족의 1종 이상의 금속 및 제1 내지 제8 전이금속 족, 바람직하게는 제2 내지 제5 주 족 및 제4 내지 제8 전이금속 족,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3 내지 제5 주 족 및 제4 및 제8 전이금속 족과 하기 원소: 산소, 황, 붕소, 인, 탄소, 질소, 수소 및/또는 규소로 만들어진 매우 미세 분리된 (나노-규모) 무기 화합물.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옥시드, 히드록시드, 수화/염기성 옥시드, 술페이트, 술파이트, 술피드, 카르보네이트, 카르바이드, 니트레이트, 니트라이트, 니트라이드, 보레이트,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및 히드라이드이다.
나노-규모 무기 물질의 중간 입자 직경은 200 nm 또는 그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nm 또는 그 미만, 특히 1 내지 100 nm이다.
입자 크기 및 입자 직경은 항상 [W.Scholtan et al., Kolloid-Z. und Z.Polymere 250 (1972), pp. 782 - 796]에 따른 초원심분리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중간 입자 직경 d50을 의미한다.
나노-규모 무기 화합물은 분말, 페이스트, 졸, 분산액 또는 현탁액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분산액, 졸 또는 현탁액으로부터의 침전에 의해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성분 D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인-함유 난연제 D는 바람직하게는 모노- 및 올리고머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 및 포스포네이트 아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지만, 여기서 이들 군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성분들의 혼합물을 난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할로겐-무함유 인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할로겐-무함유 인 화합물과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모노- 및 올리고머 인산 또는 포스폰산 에스테르는 상기 언급된 화학식 I의 인 화합물이다.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알킬, 또는 각각 임의로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로민-, 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20-아릴 또는 C7- 내지 C12-아릴알킬이다.
R1, R2, R3 및 R4가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페닐-C1- 내지 -C4-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기 R1, R2, R3 및 R4는 다시 할로겐 기 및/또는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로민 및/또는 C1- 내지 C4-알킬에 의한 치환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모이어티는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및 부틸페닐 및, 또한 그의 해당하는 브로민화 및 염소화 유도체이다.
하기 화학식 Va에 따른 비스페놀 A-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가 성분 D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Va>
Figure pct00005
[N =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6, 특히 N = 1.1임]
성분 D에 따른 인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참조, 예를 들어 EP-A 0 363 608, EP-A 0 640 655) 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Ullmann's encyclopa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ol. 18, pp. 301 ff., 1979];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 12/1, p. 43]; [Beilstein Vol. 6, p. 177]).
상이한 화학 구조를 갖고 및/또는 동일한 화학 구조 및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성분 D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이한 쇄 길이를 갖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언급된 N 값은 평균 N 값이다. 평균 N 값은 인 화합물의 조성 (분자량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아세토니트릴 및 물 (50:50)의 혼합물 중에서 40℃에서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사용하고, 따라서 N에 대한 평균 값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난연제로서 WO 00/00541 및 WO 01/18105에 기재된 포스포네이트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D의 난연제를 단독으로 또는 상호 간의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로 또는 다른 난연제와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난연성으로 되었을 때, 점적방지제가 또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적방지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또는 PTFE-함유 조성물, 예를 들어 PTFE와 스티렌-함유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마스터배치를 분말 형태로 또는 예를 들어 성분 B와의 응결된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적방지제로서 사용되는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높은 분자량이고, -30℃ 초과, 일반적으로 100℃ 초과의 유리 전이 온도,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6 중량%, 특히 70 내지 76 중량%의 불소 함량, 및 0.05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20 ㎛의 중간 입자 직경 d50을 갖는다.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1.2 내지 2.3 g/cm3이다. 바람직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이 공지되어 있다 (참조, ["Vinyl and Related Polymers" by Schildknech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62, pp. 484-494]; ["Fluoropolymers" by Wall, Wiley-Interscienc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Volume 13, 1970, pp. 623-654];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1970-1971, Volume 47, No. 10 A, October 1970, Mc Graw-Hill, Inc., New York, pp. 134 and 774];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1975-1976, October 1975, Volume 52, No. 10 A, Mc Graw-Hill, Inc., New York, pp. 27, 28 and 472] 및 미국 특허 3 671 487, 3 723 373 및 3 838 092).
이들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7 내지 71 kg/cm2의 압력 및 0 내지 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성 매질 중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는 촉매, 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술페이트와 함께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세부사항을 위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2 393 967 참조). 사용 형태에 의존하여, 이들 물질의 밀도는 1.2 내지 2.3 g/cm3일 수 있고, 이들의 중간 입자 크기는 0.05 내지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의 중간 입자 직경은 0.0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10 ㎛이고, 이들의 밀도는 1.2 내지 1.9 g/cm3이다.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 D는 100 내지 1000 ㎛의 중간 입자 직경 및 2.0 g/cm3 내지 2.3 g/cm3의 밀도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적절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분말은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이고 예를 들어 듀폰(DuPont)에 의해 테플론(Teflon)®으로 공급된다.
특히 바람직한 난연성 조성물은, 임의의 다른 첨가제와 함께, 0.0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부의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성분 E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성분 E는 화학식 IV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2-알킬 모이어티,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헥실, 이소아밀 또는 tert-아밀이고,
각각의 x 및 y는 독립적인 중합 정도 (정수)이고,
n은 >=1의 정수임]
중합 정도 x 및 y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x:y = 1:300 내지 90:10 범위이다.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랜덤, 블록 또는 다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구조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분지화 및 비분지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특히 선형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E는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성분 E의 1종이다.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 유량 (MFR) (190℃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측정됨)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g/10 min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g/10 min 범위,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g/10 min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임의의 코어-쉘 개질제를 함유하지 않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충격 개질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다. 코어-쉘 개질제를 갖지 않지만 단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만을 갖는 조성물은 가공 동안에 개선된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 성분 E에 추가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개질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추가의 개질제는 전형적으로 높은 분자량을 갖고 올레핀, 모노비닐방향족 단량체,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또한 공액 디엔을 기재로 하는 엘라스토머 물질이다. 공액 디엔으로부터 수득된 중합체는 어느 정도까지 또는 완전히 수소화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물질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교대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중에 C1- 내지 C8-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부틸, n-옥틸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및 또한 이들 단량체의 혼합물이 있다. 부틸-아크릴레이트-기재 개질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E가 적어도 1종의 추가의 개질제와 조합될 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된 상기 성분의 총 량은 0.5 내지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이다.
조성물 중 E 및 추가의 개질제의 양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성분 E 대 추가의 개질제의 중량비는 10:9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이다. 50:50의 중량비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 성분 E가 추가의 개질제와 함께 사용될 때, 본 발명은 성분 C의 무기 충전제를 갖지 않는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성형 조성물은 부타디엔 고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를 기재로 한 그라프트 중합체를 갖지 않는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바람직한 대안은
A) 10 내지 78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0 내지 15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층상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활석,
D) 5 내지 1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및/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3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내지 C4-알킬을 나타내고,
Y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임]
E) 0.5 내지 < 4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이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이고,
추가의 충격 개질제는 함유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또 다른 바람직한 대안은
A) 10 내지 78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5 내지 10.5 중량부의 활석,
D) 5 내지 1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및/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3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을 나타내고,
Y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임]
E) ≥ 4 내지 4.5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이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조성물은 임의의 추가의 충격 개질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이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5.05 내지 10.1 중량부의 활석을 함유한다.
양쪽 대안의 경우에, 성분 E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거나 이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임의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예를 들어 TPP 및 이르가녹스 B900, 안료 및 착색제,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및 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이외의 임의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개별 성분들을 조합, 혼합 및 균질화함으로써 친숙한 혼입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여기서 특히 균질화는 바람직하게는 용융물 중에서 전단력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일어난다. 분말 프리믹스의 사용과 함께 용융물 중에서 균질화에 앞서서 물질들을 임의로 조합하고 혼합한다.
또한, 입상화 물질 또는 입상화 물질 및 분말과 본 발명의 첨가로 제조된 프리믹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용매 중 혼합물 성분들의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프리믹스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때 이 물질들을 임의로 용액 중에서 균질화한 다음 용매를 제거한다.
특히, 여기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 및 상기 언급된 첨가제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또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첨가제의 도입을 위해 마스터배치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고, 특히 각각의 중합체 기질을 기재로 한 마스터배치가 여기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조성물을 통상적인 장치, 예컨대 스크류-기반 압출기 (예를 들어, ZSK (이중 스크류 압출기)), 혼련기, 브라벤더(Brabender) 믹서 또는 밴버리(Banbury) 믹서에서 조합하고, 혼합하고, 균질화한 다음 압출한다. 압출물을 냉각하고 분쇄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성분들을 미리 혼합한 다음, 남아있는 출발 물질들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유사하게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플라스틱 성형물을 사출 성형, 열성형, 압출, 적층, 필름-삽입 성형, 인-몰드 장식, 인-몰드 코팅 및 급속-가열주기 성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조성물의 사용이 또한 관심을 끈다. 여기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품에 본 발명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1개 이상의 층으로 도포한다. 성형물의 성형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예를 들어 물질을 호일, 공압출 또는 다-성분 사출 성형물의 뒷면에 사출함으로써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필름으로의 적층, 기존 성형물 주위에 물질의 사출, 또는 용액으로부터의 코팅에 의하여 이미 최종 형태를 갖는 베이스 상에 도포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성형물, 예를 들어 박벽 경질 부품, 특히 전기 및 전자 및 IT 분야에서 LCD/LED 장치를 위한 프레임 부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및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성분 A-1
MVR 약 19.0 g/10 min (300℃ 및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에 따름)을 갖는 선형 비스페놀 A-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2
MVR 약 17.0 g/10 min (250℃ 및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에 따름)을 갖는 선형 비스페놀 A-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3
MVR 약 6.5 g/10 min (300℃ 및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에 따름)을 갖는 선형 비스페놀 A-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4
MVR 약 12.0 g/10 min (300℃ 및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에 따름)을 갖는 선형 비스페놀 A-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B-1
평균 섬유 직경 11 ㎛ 및 평균 섬유 길이 4.5 mm를 갖는 란세스(Lanxess) AG로부터의 CS 7968, 절단 원형 단 유리 섬유 (양호한 커플링을 가짐)
성분 B-2
평균 섬유 직경 13 ㎛ 및 평균 섬유 길이 3.0 mm를 갖는 니토보(Nittobo)로부터의 CS 03 PE 937, 절단 원형 단 유리 섬유 (양호한 커플링을 가짐)
성분 B-3
평균 섬유 두께 6 ㎛ 내지 8 ㎛ 및 평균 섬유 폭 22 ㎛ 내지 28 ㎛를 갖는 니토보로부터의 CSG 3PA-830S, 절단 편평 단 유리 섬유 (양호한 커플링을 가짐). 따라서 이 섬유의 두께:폭 단면 비는 약 1:3 내지 1:4이다.
성분 C
나인취(Naintsch) A3: 나인취 미네랄베르크 게엠베하(Naintsch Mineralwerke GmbH) (오스트리아 그라즈)로부터의 매우 미세하게 분쇄된 고순도 활석
성분 D-1
8.9% 인 함량을 갖는 비스페놀-A-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
Figure pct00009
성분 D-2
포타슘 노나플루오로-1-부탄술포네이트는 특히 바이오웨트(Bayowet)® C4 (독일 레버쿠젠 란세스, CAS 번호 29420-49-3), RM64 (이탈리아 미테니) 또는 3MTM 퍼플루오로부탄술포닐 플루오라이드 FC-51 (3M, USA)로서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성분 E-1
엘바로이(Elvaloy) AC1820 (듀폰), 20%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및 190℃ 및 2.16 kg에 대해 결정된 용융 유량이 8 g/10 min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 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켐투라(Chemtura)로부터의 블렌덱스(Blendex)® B449 (약 50%의 PTFE 및 약 50%의 SAN [80% 스티렌 및 20%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됨])
성분 G-1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는 에머리 올레오케미칼스(Emery Oleochemicals)로부터 록시올(Loxiol) VPG 861로서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성분 G-2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는 에머리 올레오케미칼스로부터 록시올 G32로서 통상적으로 수득가능하다.
성분 H
트리페닐포스핀 (TPP, 독일 82018 타우프키르켄 시그마-알드리치)
성분 I
시트르산은 하맨 앤드 레이머(Hamann und Reimer)로부터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성분 J
흑색 안료 블랙 펄스(Black Pearls) 800은 캐보트 코포레이션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성분 K
이르가녹스 B900은 BASF SE로부터 가공 및 열 안정화제로서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성분 A 내지 K를 ZSK 25 실험실 압출기 (워너 앤드 프레이더러(Werner & Pfleiderer))에서 혼합하였고, 용융 온도는 300℃이고 산출량은 15 kg/h이고, 스크류 회전 빈도수는 200 rpm이었다. 성형물을 사출-성형 기계 (아르버르그(Arburg) 270E)에서 300℃에서 제조하였다.
난연성 플라스틱을 화재 등급 UL 94 V0의 등급에는 하기 세부 기준이 요구된다: 5개 ASTM 표준 시험 견본 세트 (치수: 127 × 12.7 × X, 여기서 X = 시험 견본의 두께, 예를 들어 2.0; 1.2; 1.0 및 0.75 mm)에 대하여, 정의된 높이의 개방 화염을 사용하여 2회의 10초간 화염 적용 후에 견본의 어느 것도 10초보다 긴 잔염 시간(afterflame time)을 가질 수 없다. 5개 견본에 10회 화염 적용을 위한 잔염 시간의 합이 50초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요구되는 기준은, 화염 점적(flaming drip)이 없고, 견본의 완전 소모가 없고, 각각의 시험 견본에 대해 30초보다 길지 않은 잔염 시간이다. UL 94 V1 등급은 개별 잔염 시간이 30초보다 길지 않고 5개 견본에 10회 화염 적용을 위한 잔염 시간이 합이 250초를 초과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총 잔신 시간(total afterglow time)은 250초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기준을 상기 언급된 것과 동일하다. 화염 점적이 생성되지만 UL 94 V1 등급의 다른 기준이 달성될 때 화재 등급 UL 94 V-2로의 등급이 달성된다.
5 kg의 램 하중을 사용하여 260℃에서 또는 2.16 kg의 램 하중을 사용하여 300℃에서 ISO 1133에 따라 MVR을 결정한다.
80 × 10 × 4 mm 치수의 코어를 갖는 단면-사출 아령형 견본 상에서 ISO 527에 따라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는 조성 및 시험 결과를 요약한다.
결과
비교예 1.1 내지 1.3과 비교예 2.3 내지 2.7의 비교는, 성분 D-2를 포함한 성형 조성물이 성분 D-1을 포함한 성형 조성물에 비해 더 낮은 용융 부피 유량 (MVR)을 갖는 것을 명백히 나타낸다. 또한, 성분 D-2를 포함한 성형 조성물은 벽 두께 1.00 mm, 바람직하게는 0.75 mm에서 UL 94에 따른 화재 등급 V0을 달성하기에 부적절하다.
비교예 3.1 내지 3.3은 증가된 비율의 성분 E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을 나타낸다. 이들 성형 조성물의 특징은, 이들이 벽 두께 1.00 mm, 바람직하게는 0.75 mm에서 UL 94에 따른 화재 등급 V0을 달성하기에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5는 또한, 한편으로는 벽 두께 1.0 mm, 바람직하게는 0.75 mm에서 UL 94에 따른 화재 등급 V0을 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형 조성물의 적절하게 양호한 가공성이 보장되는 성분 A 내지 E의 조합을 갖는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을 나타낸다. 또한, 성분 B 내지 E의 바람직한 범위의 구체적인 선택을 통해 가변적으로 정의가능한 탄성률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제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1 내지 3에서 성분들의 양은 중량%로 주어진다.
<표 1>
Figure pct00010
<표 2>
Figure pct00011
<표 3>
Figure pct00012

Claims (16)

  1. A) 10 내지 78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0 내지 15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층상 충전제,
    D) 5 내지 1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및/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3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을 나타내고,
    Y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임]
    E) 0.5 내지 4.5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이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이고,
    단 ≥ 4.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함유되는 경우에 적어도 1종의 층상 충전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5 내지 10.5 중량부의 층상 충전제가 함유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층상 충전제가 활석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평균 몰 질량 Mw가 20,000 g/mol 내지 32,000 g/mol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N이 0.7 내지 5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E)에 대하여,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 (MFR)이 3.0 내지 8.0 g/10 min 범위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 중량부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부 초과의 유리 섬유가 사용될 때 유리 섬유가 편평 섬유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가 활석을 포함한 성분 C)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충격 개질제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A) 10 내지 78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0 내지 15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층상 충전제,
    D) 5 내지 1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및/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3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을 나타내고,
    Y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임]
    E) 0.5 내지 < 4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인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이고,
    추가의 충격 개질제는 함유되지 않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11. A) 10 내지 78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15 내지 60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리 섬유,
    C) 5 내지 10.5 중량부의 활석,
    D) 5 내지 1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알킬-치환된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10-아릴 및/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30의 수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을 나타내고,
    Y는 C1- 내지 C7-알킬리덴, C1- 내지 C7-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렌, C5- 내지 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임]
    E) ≥ 4 내지 4.5 중량부의, 190℃ 및 2.16 kg에 대해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량이 적어도 2.5 g/10 min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E)의 중량부의 합계는 100 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추가의 충격 개질제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Figure pct00016

    이며, 여기서 N = 1.1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14. 전기, 전자 및 정보 기술 적용에서 벽 두께 ≤ 1.00 mm를 갖는 박벽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조성물로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부품의 벽 두께가 각각의 지점에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 0.75 mm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물.
KR1020167016196A 2013-11-22 2014-11-04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2226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3/087646 2013-11-22
PCT/CN2013/087646 WO2015074233A1 (en) 2013-11-22 2013-11-22 Glass-fibre reinforced polycarbonate composition
PCT/CN2014/090218 WO2015074488A1 (en) 2013-11-22 2014-11-04 Glass-fibre reinforced polycarbonat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421A true KR20160089421A (ko) 2016-07-27
KR102226410B1 KR102226410B1 (ko) 2021-03-12

Family

ID=5317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196A KR102226410B1 (ko) 2013-11-22 2014-11-04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80910A1 (ko)
EP (1) EP3071647B1 (ko)
JP (1) JP6538051B2 (ko)
KR (1) KR102226410B1 (ko)
CN (1) CN106164173B (ko)
ES (1) ES2694013T3 (ko)
TW (1) TW201533153A (ko)
WO (2) WO20150742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617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레이더 투과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4869A1 (de) * 2014-04-04 2015-10-29 Hans-Peter Meyerhoff Biomaterialverbundwerkstoff
KR101935087B1 (ko) * 2014-12-31 2019-01-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66959B1 (ko) * 2016-05-24 2022-02-25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충전제, 카르복실산 및 그의 글리세롤 또는 디글리세롤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10280302B2 (en) 2016-11-02 2019-05-07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EP3502171A1 (de) * 2017-12-21 2019-06-26 Covestro Deutschland AG Mehrschichtverbundwerkstoff enthaltend speziell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als matrixmaterial
EP4130152A4 (en) * 2020-03-30 2024-04-24 Adeka Corp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GLASS FIBERS AND MOLDED OBJECT
JP2024500019A (ja) * 2020-12-17 2024-01-0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タルク充填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作製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967B1 (ko) * 2004-03-15 2005-07-2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7070468A (ja) * 2005-09-07 2007-03-22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10067006A (ko) * 2009-12-12 2011-06-20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8656A1 (de) * 1993-08-26 1995-03-02 Bayer Ag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JPH0948912A (ja) * 1995-08-07 1997-02-18 Nippon G Ii Plast Kk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DE19959410A1 (de) * 1999-12-09 2001-06-13 Basf Ag Füllstoffhalt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carbonat und Styrolcopolymeren
EP1824680B1 (en) * 2004-12-07 2019-07-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composite film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20070149661A1 (en) * 2005-12-23 2007-06-28 Sanjay Gurbasappa Charati Polycarbonat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2011001514A (ja) * 2009-06-22 2011-01-06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を射出成形して得られる電気・電子機器部品
CN102040818A (zh) * 2010-12-24 2011-05-04 苏州奥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明无卤阻燃玻纤填充聚碳酸酯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039755B1 (ko) * 2011-11-30 2019-11-01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Ee 섹터를 위한 유리 섬유 강화된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내 충격 개질제로서의 에틸렌-프로필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KR101381044B1 (ko) * 2012-02-03 2014-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 난연 고강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328296B1 (ko) * 2012-10-18 2013-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967B1 (ko) * 2004-03-15 2005-07-2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7070468A (ja) * 2005-09-07 2007-03-22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10067006A (ko) * 2009-12-12 2011-06-20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20110160411A1 (en) * 2009-12-12 2011-06-30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617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레이더 투과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410B1 (ko) 2021-03-12
WO2015074233A1 (en) 2015-05-28
EP3071647A1 (en) 2016-09-28
JP6538051B2 (ja) 2019-07-03
ES2694013T3 (es) 2018-12-17
JP2016539228A (ja) 2016-12-15
EP3071647A4 (en) 2017-07-05
TW201533153A (zh) 2015-09-01
CN106164173A (zh) 2016-11-23
CN106164173B (zh) 2021-04-13
US20160280910A1 (en) 2016-09-29
EP3071647B1 (en) 2018-09-26
WO2015074488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41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EP2785782B1 (de) Uv-stabilisierte, glasfaserverstärkte, flammgeschützte polycarbonate für den ee- und it-bereich
KR102331011B1 (ko) 균형 잡힌 가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열가소성 조성물
US11472099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object by means of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polycarbonate building material with improved flowability
JP2008163315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09153810B (zh) 包含填料、羧酸及其甘油酯或双甘油酯的聚碳酸酯组合物
JP2007211157A (ja)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9060986A1 (ja) 樹脂組成物
CN116096818A (zh) 耐水解聚碳酸酯组合物
KR20110017851A (ko)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EP2955201A1 (de) Glasfaserverstärk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CN112313283B (zh) 聚碳酸酯组合物、由其制备的模制品、以及其用途
JP5458662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