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203A - 전지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203A
KR20160085203A KR1020150185969A KR20150185969A KR20160085203A KR 20160085203 A KR20160085203 A KR 20160085203A KR 1020150185969 A KR1020150185969 A KR 1020150185969A KR 20150185969 A KR20150185969 A KR 20150185969A KR 20160085203 A KR20160085203 A KR 2016008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ircuit
block
f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558B1 (ko
Inventor
게이지 가이타
히로마사 다나카
다카히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8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58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31/362
    • G01R31/362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H02J7/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복수의 전지 블록을 접속한 전지 유닛으로서, 각각의 전지 블록이 복수의 전지 셀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전지 유닛을 감시하는 전지 감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에 전압 검출 라인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적어도 제 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셀과 접속된 제 1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라인에 설치된 저항 소자와; 적어도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블록과 접속되는 제 2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균등화 회로는, 상기 저항 소자보다 전지 블록측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전지 감시 장치{BATTERY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 블록을 직렬 접속한 전지 유닛을 감시하는 전지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에서는, 동력원인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전지 유닛은, 복수의 전지 블록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되고, 또한, 각 전지 블록은, 복수의 전지 셀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각 전지 셀은 니켈 수소 전지나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이다. 여기서, 각 전지 셀의 용량이나 내부 저항, 자기 방전량 등에는 불균일이 있어, 이 불균일에 기인하여 각 전지 셀의 전압에도 불균일이 생긴다. 이러한 전압의 불균일이 발생하면, 전지 셀의 열화가 가속적으로 진행되거나,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이 저하되거나 한다. 그래서, 각 전지 셀의 전압의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지 셀 간의 전지 특성을 균등화하는 균등화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187534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143853호).
균등화 회로는, 각 전지 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여, 전압이 높은 전지 셀을 검출하면, 그 전지 셀로부터 방전시켜 전지 셀 간의 전지 특성의 균등화를 도모한다. 일반적으로, 이 균등화 회로는, 스위칭 소자와 저항 소자를 직접 접속한 회로이며, 이 스위칭 소자를 온 하여, 균등화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대응하는 전지 셀을 방전한다. 이 균등화 회로, 나아가서는, 스위칭 소자는, 전지 셀마다 설치되어 있어, 전지 셀 단위로 균등화가 도모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187534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143853호).
그런데, 최근, 전지 용량의 증가에 따라, 전지 셀의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의 절대량이 증가하여, 균등화를 위하여 필요한 방전 전류가 증가되어 왔다. 이 경우, 전지 감시 장치의 대형화나 레이아웃의 복잡화, 비용 상승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전지 감시 장치에는, 각 스위칭 소자에 온/오프 전환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IC가 각 전지 블록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 IC에, 균등화 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를 내장하는 것이 일부에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균등화를 위한 방전 전류가 증가하면, 내장 스위칭 소자의 발열량도 커지기 때문에, IC의 대형화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었다. 그래서, 스위칭 소자를, IC에 내장하지 않고, 전류 용량이 큰 외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전지 셀마다 외부 스위칭 소자를 준비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나, 기판의 부품 레이아웃의 복잡화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나아가서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그래서, 전지 블록마다 균등화 회로를 설치하여, 전지 블록 간의 전압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전지 블록과 병렬로 접속된 균등화 회로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균등화 회로의 접속 위치에 따라서는, 전지 셀의 전압 검출시에 균등화 회로 제어를 실시(균등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ON)하면, 전압 효과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전압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지 셀의 전압 검출과 전지 블록의 균등화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이 증가하더라도, 비용 상승이나 사이즈 업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전지 셀을 균등화할 수 있고, 또한, 전압 검출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전지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떤 태양(態樣)에 관련된 전지 감시 장치는, 복수의 전지 블록을 직렬 접속한 전지 유닛으로서, 각각의 전지 블록이 복수의 전지 셀을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전지 유닛을 감시하는 전지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지 감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에 전압 검출 라인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지 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적어도 제 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의 전압을 균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셀과 병렬로 접속된 제 1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라인에 설치된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와, 적어도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 각각의 전압을 균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블록과 병렬로 접속되는 제 2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균등화 회로는, 상기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보다 전지 블록측에 접속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전지 블록마다 설치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가 내장된 IC를 가져도 되고, 상기 제 2 스위칭소자는, 상기 IC의 외부에 장착된 외부 스위칭 소자여도 된다. 또,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상기 IC에 내장된 내장 스위칭 소자여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분압 회로로서, 당해 제 2 스위칭 소자의 양단(兩端) 전압에 비례한 전압값을 취출하는 분압 회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압 회로에 의해 취출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고장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온 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검지 회로를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고장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의하면, 전지 블록 각각의 전압을 균등화시키는 제 2 균등화 회로를 전지 블록마다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균등화 회로에 흐르는 균등화 전류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의 증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 제 2 균등화 회로는,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보다 전지 블록측에 접속되기 때문에, 블록 균등화 처리와 전압 검출 처리를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이 증가하더라도, 비용 상승이나 사이즈 업을 억제하면서, 복수의 전지 셀을 균등화할 수 있고, 또한, 전압 검출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지 유닛 및 감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셀 전압의 불균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균등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 2 FET의 고장 검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2 FET의 고장 검지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제 2 FET의 고장 검지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 2 FET의 고장 검지의 다른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전지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 도 2는 전지 감시 장치(30)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전지 시스템(10)은,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이 차량으로서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동 차량이 있다. 전기 자동차는, 차량의 동력원으로서, 후술하는 전지 유닛(12)만을 구비한 차량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후술하는 전지 유닛(12) 외에, 연료 전지나 엔진 등을 구비한 차량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지 유닛(12)을 충전할 수도 있다. 외부 전원이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예를 들면, 상용 전원)이다.
전지 유닛(12)의 정극 단자에는, 정극 라인(PL)이 접속되어 있고, 정극 라인(PL)에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지 유닛(12)의 부극 단자에는, 부극 라인(NL)이 접속되어 있고, 부극 라인(NL)에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가 설치되어 있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는, 컨트롤러(18)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음으로써, 온 및 오프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컨트롤러(18)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함으로써, 전지 유닛(12)을 부하(후술하는 승압 회로(22))와 접속할 수 있다.
전류 센서(27)는, 전지 유닛(12)에 흐르는 전류값(Ib)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컨트롤러(18)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 유닛(12)을 방전하였을 때의 전류값(Ib)으로서, 양의 값을 이용하고, 전지 유닛(12)을 충전하였을 때의 전류값(Ib)으로서, 음의 값을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센서(27)를 정극 라인(PL)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류 센서(27)는, 전지 유닛(12)에 흐르는 전류값(Ib)을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정극 라인(PL) 및 부극 라인(NL) 중 적어도 일방(一方)에 전류 센서(27)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정극 라인(PL) 및 부극 라인(NL) 중 일방에 대하여, 복수의 전류 센서(2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전지 유닛(12)은, 정극 라인(PL) 및 부극 라인(NL)을 개재하여 승압 회로(22)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22)는, 전지 유닛(12)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고, 승압 후의 전력을 인버터(24)에 출력한다. 인버터(24)는, 승압 회로(22)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교류 전력을 모터 제네레이터(26)에 출력한다. 모터 제네레이터(26)는, 인버터(24)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받음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운동 에너지를 생성한다. 모터 제네레이터(26)에 의해서 생성된 운동 에너지를 차륜에 전달함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차량을 감속시킬 때나 차량을 정지시킬 때, 모터 제네레이터(26)는, 차량의 제동시에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교류 전력)로 변환한다. 여기서, 차량이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에도, 모터 제네레이터(26)는,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모터 제네레이터(26)가 생성한 교류 전력은, 인버터(24)에 의해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또, 승압 회로(22)는, 인버터(24)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 후의 전력을 전지 유닛(1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회생 전력을 전지 유닛(12)에 축적할 수 있다.
컨트롤러(18)는 메모리(20)를 갖고 있고, 메모리(20)는, 컨트롤러(18)가 특정 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모리(20)가 컨트롤러(18)에 내장되어 있지만, 컨트롤러(18)의 외부에 메모리(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8)에는,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면, 컨트롤러(18)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함으로써, 전지 유닛(12)을 승압 회로(22)와 접속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전지 시스템(10)은, 기동 상태(Ready-온)가 된다.
한편,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면, 컨트롤러(18)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함으로써, 전지 유닛(12) 및 승압 회로(22)의 접속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전지 시스템(10)은 정지 상태(Ready-오프)가 된다.
전지 유닛(12)은, 복수의 전지 블록(Bn)(n = 1, 2, …, N)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 각 전지 블록(Bn)은, 복수의 전지 셀(Ci)(i = 1, 2, …, I)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전지 유닛(12)을 구성하는 전지 블록(Bn)의 수, 및, 각 전지 블록(Bn)을 구성하는 전지 셀(Ci)의 수는, 전지 유닛(12)의 요구 출력 등 에 기초하여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전지 셀(Ci)로서는 니켈 수소 전지나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이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이차 전지 대신에,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지 유닛(12)의 전압 등은, 전지 감시 장치(30)에 의해 감시되고 제어된다. 전지 감시 장치(30)는, 복수의 전지 감시 유닛(32)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지 감시 유닛(32)은 각 전지 블록(Bn)마다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이 전지 감시 유닛(32) 및 전지 블록(B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지 감시 유닛(32)은, 각 전지 블록(Bn)마다 설치된 IC(34)와, 전지 셀(Ci)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균등화하는 제 1 균등화 회로와, 전지 블록(Bn)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균등화하는 제 2 균등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IC(34)는, 전압 검출 회로로서 기능함과 함께, 제 1 균등화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집적 회로이다. 이 IC(34)에는, 후술하는 제 1, 제 2 FET(36, 38)의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컨트롤러(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 1, 제 2 FET(36, 38)를 온 또는 오프한다. 또, 각 전지 셀(Ci)의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 각각에는, 전압 검출 라인(L1)이 접속되어 있고, 각 전압 검출 라인(L1)은 IC(34)의 입력 채널에 접속되어 있다. IC(34)의 내부에는, 이 전압 검출 라인(L1)과 접속된 전압 검출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전지 셀(Ci)과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와, 샘플링 스위치를 개재하여 각 전압 검출 라인(L1)에 접속된 컴퍼레이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압 검출 회로의 경우, 검출하고 싶은 전지 셀(Ci)에 대응하는 샘플링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당해 전지 셀(Ci)의 전압값(대응하는 캐패시터의 전압값)이 컴퍼레이터로부터 출력된다.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은, A/D 변환 후, 컨트롤러(18)에 입력된다.
제 1 균등화 회로는, 전지 셀(Ci)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균등화하는 회로이다. 즉, 전지 셀(Ci)의 자기 방전량에는 불균일이 있어, 이 불균일에 기인하여 각 전지 셀(Ci)의 전압값(셀 전압값)에도 불균일이 생긴다. 셀 전압값의 불균일이 발생하면, 전지 셀(Ci)의 열화가 가속적으로 진행되거나,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이 저하되거나 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특정 전지 셀(Ci)을 방전시켜, 당해 특정 전지 셀(Ci)의 전압값을 낮추는 제 1 균등화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균등화 회로는 각 전지 셀(Ci)마다 설치된다. 제 1 균등화 회로는, 저항 소자(R1)와, 스위칭 소자인 제 1 FET(36)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이다. 이 제 1 균등화 회로는, 대응하는 전지 셀(Ci)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FET(36)는 IC(34) 내에 형성된 내장 FET이다.
컨트롤러(18)는, 특정 전지 셀(Ci)의 전압값이, 다른 전지 셀(Ci)의 전압값보다 높을 때에는, 당해 특정 전지 셀(Ci)과 병렬로 접속된 제 1 FET(36)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함으로써, 특정 전지 셀(Ci)을 방전시킨다. 즉, 제 1 FET(36)를 온으로 하면, 특정 전지 셀(Ci)의 방전 전류를 저항 소자(R1)에 흐르게 할 수 있어, 특정 전지 셀(Ci)의 전압값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방전 처리를, 셀 전압값이 일정 이상으로 높은 전지 셀(Ci) 모두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복수의 전지 셀(Ci)의 전압값을 균등하게 맞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전지 블록(Bn)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지 셀(Ci)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맞추는 처리를, 「셀 균등화 처리」라고 부른다.
각 전압 검출 라인(L1) 중, 전지 셀(Ci)과 제 1 균등화 회로 사이에는,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R2)도 설치되어 있다.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R2)는, 허용 전류값보다 큰 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단(溶斷)한다. 이에 의해, 전지 감시 유닛(32) 및 전지 유닛(12)의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되어, 전지 유닛(12)(전지 셀(Ci))으로부터 전지 감시 유닛(32)에 과대한 전류가 흘러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전지 셀(Ci)에는, 전압 검출 라인(L1)을 개재하여 제너 다이오드(D)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너 다이오드(D)의 캐소드는, 전지 셀(Ci)의 정극 단자와 접속되어 있고, 제너 다이오드(D)의 애노드는, 전지 셀(Ci)의 부극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 제너 다이오드(D)는, 전지 유닛(12)으로부터 전지 감시 유닛(32)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즉, 전지 유닛(12)으로부터 전지 감시 유닛(32)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제너 다이오드(D)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지 감시 유닛(32)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억제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너 다이오드(D)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균등화 회로는, 전지 블록(Bn)의 전압값(블록 전압값)의 불균일을 균등화하는 회로이다. 이 제 2 균등화 회로는 각 전지 블록(Bn)마다 설치된다. 제 2 균등화 회로는, 저항 소자(R3)와, 스위칭 소자인 제 2 FET(38)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이다. 이 제 2 균등화 회로는, 대응하는 전지 블록(Bn)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FET(38)는 IC(34)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FET이다. 이 제 2 균등화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R2)보다 전지 블록(Bn)측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8)는, 특정 전지 블록(Bn)의 전압값이, 다른 전지 블록(Bn)의 전압값보다 높을 때에는, 특정 전지 블록(Bn)과 병렬로 접속된 제 2 FET(38)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여, 특정 전지 블록(Bn)을 방전시킨다. 즉, 제 2 FET(38)를 온으로 하면, 특정 전지 블록(Bn)의 방전 전류를 저항 소자(R3)에 흐르게 할 수 있고, 특정 전지 블록(Bn)의 전압값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방전 처리를, 블록 전압값이 높은 전지 블록(Bn) 모두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복수의 전지 블록(Bn)의 전압값을 균등하게 맞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지 블록(Bn)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맞추는 처리를, 「블록 균등화 처리」라고 부른다.
여기서, 제 2 균등화 회로를 설치한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이미 서술한 대로, 전지 셀(Ci)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은, 제 1 균등화 회로에 의해 균등화된다. 그러나, 최근, 전동 차량의 항속 거리의 증가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지 유닛(12) 전체의 전지 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전지의 자기 방전의 불균일량의 절대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균등화 처리를 위하여 균등화 회로에 흐르게 하는 전류(균등화 전류)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또, 전지 유닛(12) 내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불균일로서는, 하나의 전지 블록(Bn)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 셀(Ci) 간에서의 전압값의 불균일 외에, 하나의 전지 유닛(12)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 블록(Bn) 간에서의 전압값의 불균일도 있다. 하나의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전지 셀(Ci)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은, 주로 전지 셀(Ci)의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에 의해서 생긴다. 한편, 전지 블록(Bn) 간에서의 전압값의 불균일은, 전지 셀(Ci)의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에 추가하여, 각 전지 블록(Bn)에 접속되어 있는 IC(34)의 소비 전류의 불균일에 의해서 생긴다. 이 전지 블록(Bn)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을, 제 1 균등화 회로만으로 해소하려고 하면, 제 1 FET(36)에 흐르게 하는 균등화 전류를 크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IC(34)에 내장된 제 1 FET(36)에 흐르게 하는 균등화 전류를 증가시키면, 제 1 FET(36)의 발열량이 커지기 때문에, IC(34) 그 자체의 대형화, 부품비의 증가와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제 1 FET(36)를 IC 내장 FET가 아니라, 외부 FET로 하는 것도 생각하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FET(36)를 외부 FET로 하였을 경우, 전지 셀(Ci)마다 부품(외부 FET)을 설치해야만 하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또, 한정된 사이즈의 기판에, 전지 셀(Ci)과 동일한 수의 외부 FET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다층 기판을 채용할 필요가 있어, 부품비의 증가도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균등화 회로를 설치하여, 전지 블록(Bn)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은 당해 제 2 균등화 회로에 의해 해소하고 있다. 제 2 균등화 회로의 스위칭 소자는, 이미 서술한 대로, 외부 FET이기 때문에, 허용 통전량이 높다. 또, 제 2 FET(38)는, 하나의 전지 블록(Bn)에 하나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나 부품 레이아웃의 복잡화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균등화 회로를,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R2)보다 전지 블록(Bn)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였을 경우, 전압 검출 라인(L1)에서의 전압 강하가 없기 때문에, 제 2 FET(38)를 온 하고 있는 동안에도, 양호한 정밀도로 셀 전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셀 전압값의 검출중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블록 균등화 처리가 실행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 전지 감시 장치(30)에서의 균등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하나의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전압값의 불균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섯 개의 전지 블록(B1∼B5)에 의해, 하나의 전지 유닛(12)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전지 블록(Bn)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지 셀(Ci)의 전압 중, 최소의 셀 전압을 「블록 내 최소 전압(Bn_Vmin)」, 최대의 셀 전압을 「블록 내 최대 전압(Bn_Vmax)」이라고 부른다. 또, 하나의 전지 유닛(12)에 포함되는 모든 전지 셀(Ci)의 전압 중, 최소의 셀 전압을 「유닛 내 최소전압(Bmin_Vmin)」, 최대의 셀 전압을 「유닛 내 최대 전압(Bmax_Vmax)」이라고 부르고, 이 최소·최대의 셀 전압을 갖는 전지 셀(Ci)을 가진 전지 블록(Bn)을 「최소 전압 블록(Bmin)」, 「최대 전압 블록(Bmax)」이라고 부른다.
도 3의 예에서는, 전지 블록(B1)이 최소 전압 블록(Bmin)이고, 이 전지 블록(B1)의 블록 내 최소 전압(B1_Vmin)이 유닛 내 최소 전압(Bmin_Vmin)이다. 또, 전지 블록(B5)이, 최대 전압 블록(Bmax)이고, 이 전지 블록(B5)의 블록 내 최대 전압(B5_Vmax)이 유닛 내 최대 전압(Bmax_Vmax)이 된다.
균등화 처리시에는, 먼저 각 전지 셀(Ci)의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전지 블록(Bn) 간에서의 전압의 불균일이 큰 경우에는, 제 2 균등화 회로에 의한 블록 균등화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내 최소 전압(Bn_Vmin)이, 유닛 내 최소 전압(Bmin_Vmin)에 비하여 큰 전지 블록(Bn)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제 2 균등화 회로의 제 2 FET(38)를 온 하여, 블록 전압값을 낮춘다. 도 3의 예에서는, 전지 블록(B3, B5)의 셀 내 최소 전압은, 유닛 내 최소 전압(Bmin_Vmin)에 비하여 높다. 그 때문에, 전지 블록(B3) 및 전지 블록(B5)에 접속된 제 2 균등화 회로의 제 2 FET(38)를 온 하고, 이들 전지 블록(B3, B5)의 블록 전압값을 낮춘다.
또, 하나의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전압값의 불균일이 큰 경우에는, 제 1 균등화 회로에 의한 셀 균등화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 전압(Bn_Vi)이, 셀 내 최소 전압(Bn_Vmin)에 비하여 큰 전지 셀(Ci)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제 1 균등화 회로의 제 1 FET(36)를 온 하여, 셀 전압값을 낮춘다. 도 3의 예에서는, 전지 블록(B1, B2, B3)은,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전압의 불균일은 작기 때문에, 이들 전지 블록(B1, B2, B3) 내에서의 셀 균등화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전지 블록(B4, B5)은,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전압값의 불균일이 크기 때문에, 이들 전지 블록(B4, B5)에서의 셀 균등화 처리를 실행한다.
도 4는 이 균등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미 서술한 대로, 균등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모든 전지 블록(B1∼BN)(N은, 전지 유닛(12)을 구성하는 전지 블록의 개수)에 포함되는 모든 전지 셀(Ci)의 전압(Bn_Vi)을 취득한다(S10).
계속해서, 모든 셀 전압(Bn_Vi) 중, 최대의 전압(즉, 유닛 내 최대 전압(Bmax_Vmax))과 최소의 전압(즉, 유닛 내 최소 전압(Bmin_Vmin))과의 편차(ΔV)가, 규정의 역치(ΔA)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이 역치(ΔA)는, 모든 전지 셀(Ci)의 전압값이 균등화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 값이며, 전지 유닛(12)의 전지 용량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편차(ΔV)가 역치(ΔA) 미만인 경우, 모든 전지 셀(Ci)의 전압값은, 거의 균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균등화 처리는 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한편, 편차(ΔV)가 역치(ΔA) 이상인 경우에는, 전압값에 불균일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균등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전지 블록(Bn)의 블록 내 최소 전압(Bn_Vmin)과, 유닛 내 최소 전압(Bmin_Vmin)과의 편차(ΔVmin)가 규정의 역치(Δ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이 역치(ΔB)는, 모든 전지 블록(Bn)이 균등화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 값이며, 전지 유닛(12)의 전지 용량이나, IC(34)의 소비 전류의 불균일량, 각 FET의 허용 통전량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 역치(ΔB)는, 통상, 역치(ΔA)보다 높다.
편차(ΔVmin)가 규정의 역치(ΔB) 이상인 경우, 당해 전지 블록(Bn)의 블록 균등화 처리를 실행한다(S18). 이것은, 편차(ΔVmin)가 역치(ΔB) 미만이 될 때까지, 전지 블록(Bn)에 대응하는 제 2 FET(38)를 계속해서 온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제 2 FET(38)는, 외부 FET이기 때문에,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비교적 큰, 블록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편차(ΔVmin))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블록 균등화가 완료된 경우, 및, 편차(ΔVmin)가 역치(ΔB) 미만인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20에서는, 전지 블록(Bn) 내의 전지 셀(Ci)의 균등화 처리를 행한다. 이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균등화 처리는, 공지의 종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지 블록(Bn)을 구성하는 전지 셀(Ci) 중, 블록 내 최소 전압(Bn_Bmin)과의 편차(ΔVc)가 규정 역치(ΔC)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역치(ΔC) 이상의 전지 셀(Ci)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제 1 FET(36)를 온 함으로써, 셀 균등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이미 서술한 대로, 제 1 균등화 회로는, 하나의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셀 전압값의 불균일만 해소할 수 있으면 된다. 이 하나의 전지 블록(Bn) 내에서의 전압값의 불균일량은, 전지 블록(Bn) 간의 전압값의 불균일량(편차(ΔVmin))에 비하여 작은 경우가 많고, 제 1 균등화 회로에 흐르게 하는 균등화 전류는 비교적 작아도 된다. 그 때문에, 제 1 FET(36)를, 허용 통전량이 작은 내장 FET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셀 균등화 처리가 종료되면, 컨트롤러(18)는, 모든 전지 블록(Bn)에 대한 균등화 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그리고, 단계 S16∼S22의 처리를, 모든 전지 블록(Bn)에 대하여 행할 수 있으면, 균등화 처리는 종료가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셀(Ci)마다 설치된 제 1 균등화 회로뿐만 아니라, 전지 블록(Bn)마다 설치된 제 2 균등화 회로도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제 2 균등화 회로에 설치하는 스위칭 소자를, 외부 FET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균등화 회로에 흐르게 하는 균등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한편, 제 1 균등화 회로에 흐르게 하는 균등화 전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균등화 회로에 설치되는 스위칭 소자를 IC(34) 내장의 스위칭 소자로 할 수 있고, 부품 점수의 저감이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균등화 회로를,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R2)보다 전지 블록(Bn)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 경우, 전압 검출 라인(L1)에서의 전압 강하가 없기 때문에, 블록 균등화 처리와 셀 전압값의 검출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FET를 이용하고 있지만, 컨트롤러(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FET 대신에 다른 스위칭 신호, 예를 들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나 IGBT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균등화 회로의 스위칭 소자(제 1 FET(36))를 IC 내장의 스위칭 소자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 2 균등화 회로의 스위칭 소자가, 외부 스위칭 소자인 것이라면, 제 1 스위칭 소자는, 내장 스위칭 소자 및 외부 스위칭 소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FET(38)의 온 고장·리크 고장을 검지하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제 2 FET(38)의 고장 검지용의 구성을 추가해도 된다. 이하에서, 제 2 FET(38)의 고장 검지용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은, 제 2 FET(38)의 고장 검지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장 검지 회로는 제 2 균등화 회로에 편입된다. 고장 검지 회로는, 제 2 FET(38)와 병렬로 접속된 회로이며, 두 개의 분압 저항(Ra, Rb)을 직렬로 접속한 분압 회로이다. 이 분압 회로는, 블록 전압값을 5 V로 분압하도록, 그 분압비가 조정되고 있다. 두 개의 분압 저항(Ra, Rb)의 중간 접속점은, 저항 소자(Rc)를 개재하여 IC(34)에 설치된 A/D 컨버터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IC(34)는, 분압 회로로부터 취출된 전압값(Vcheck)을 컨트롤러(18)에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의 고장 검지 회로로부터는, 제 2 FET(38)의 양단 전압(에미터- 컬렉터 간 전압)에 비례한 전압이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당해 고장 검지 회로에 의하면, 제 2 FET(38)가 온인 경우에는 0 V가, 오프인 경우에는 5 V가 출력된다. 컨트롤러(18)는, 출력된 전압값(Vcheck)에 기초하여 제 2 FET(38)가, 온 상태에서 달라붙는 온 고장의 유무를 판단한다.
도 6은 이 고장 검지 회로에서의 온 고장의 유무 판단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제 2 FET(38)가 온 고장난 경우, 대응하는 전지 블록(Bn)은, 방전을 계속하게 되기 때문에, 그 전압값이 대폭적으로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온 고장의 유무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먼저, 과도하게 전압 저하되어 있는 전지 블록(Bn)의 유무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8)는, 온 고장의 유무를 판단할 때에는, 먼저, 모든 전지 블록(Bn) 각각의 블록 전압값(BVn)을 취득한다(S30). 다음으로, 얻어진 복수의 블록 전압값(BVn) 중, 최대의 블록 전압값(BVmax)과 최소의 블록 전압값(BVmin)의 편차(ΔBV)가, 규정의 역치(ΔD)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이 역치(ΔD)는, 각 전지 셀(Ci)의 자기 방전량의 불균일량이나, IC(34)의 소비 전류의 불균일량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편차(ΔBV)가 역치(ΔD) 미만인 경우, 블록 전압값(BVn)이 대폭적으로 저하된 전지 블록(Bn)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온 고장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편차(ΔBV)가 역치(ΔD) 이상인 경우, 온 고장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블록 전압값(BVn)이 가장 저하되어 있는 전지 블록(Bn), 즉, 최소의 블록 전압(BVmin)이 된 전지 블록(Bn)에 대응하는 제 2 FET(38)의 고장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8)는, 블록 전압값(BVn)이 최소의 전지 블록(Bn)에 대응하는 제 2 FET(38)를 오프로 하는 신호를 보냄과 함께, 검출 전압(Vcheck)을 취득한다(S34, 36). 계속해서, 얻어진 검출 전압(Vcheck)이 0 V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8). 제 2 FET(38)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8)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 2 FET(38)가 오프가 되고, Vcheck = 0 V가 된다. 한편, 제 2 FET(38)가 온 고장나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8)의 제어 신호에 상관없이, 제 2 FET(38)는 온 상태 대로가 되고, Vcheck = 5 V가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8)는, Vcheck = 0 V인 경우, 제 2 FET(38)는 정상이라고 판단한다(S40). 한편, Vcheck ≠ 0 V인 경우, 컨트롤러(18)는, 제 2 FET(38)에 온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에러를 출력한다(S42).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고장 검지 회로에 의하면, 제 2 FET(38)의 온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이 고장 검지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회로에, 세 개의 저항 소자(Ra, Rb, Rc)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낮은 추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FET(38)의 고장 검지 회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고장 검지 회로는, 제 2 FET(38)의 온 고장에 추가하여, 리크 고장도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고장 검지 회로는, 5 V 전원에 접속됨과 함께, 저항 소자(Rd)와 트랜지스터(40)를 직렬로 접속한 검지 회로를 갖고 있다. 트랜지스터(40)의 컬렉터는 IC(34)의 GPIO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IC(34)는, 입력된 전압과 규정의 역치를 비교하여, Lo 또는 Hi를 컨트롤러(18)에 출력한다.
제 2 FET(38)의 소스에는, 저항 소자(Rg)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소스와 저항 소자(Rg)의 접속점에는, 입력 라인(L2)이 접속되어 있고, 이 입력 라인(L2)은, 입력 저항(Re)을 개재하여,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도, 저항 소자(Rf)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검지 회로에서는, 제 2 FET(38)가 온 또는 리크하여, 입력 라인(L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트랜지스터(40)가 온이 되고, 입력 라인(L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트랜지스터(40)가 오프가 된다. 즉, 검지 회로의 트랜지스터(40)는, 제 2 FET(38)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온 되는 제 3 스위칭 소자이다. 그리고, IC(34)는, 트랜지스터(40)가 온 또는 리크하면 Lo를, 트랜지스터(40)가 오프가 되면 Hi를 출력값(Sout)으로서 출력한다.
도 8은, 이 고장 검지 회로에서의 고장의 유무 판단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 경우의 처리의 흐름은, 도 6에 있어서의 흐름과 거의 동일하다. 즉, 컨트롤러(18)는, 고장 유무를 판단할 때에는, 먼저, 모든 전지 블록(Bn) 각각의 블록 전압값(BVn)을 취득한다(S30). 다음으로, 얻어진 복수의 블록 전압값(BVn) 중, 최대의 블록 전압값(BVmax)과 최소의 블록 전압값(BVmin)의 편차(ΔBV)가, 규정의 역치(ΔD)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편차(ΔBV)가 역치(ΔD) 미만인 경우, 온 고장 및 리크 고장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편차(ΔBV)가 역치(ΔD) 이상인 경우, 컨트롤러(18)는, 블록 전압값(BVn)이 최소의 전지 블록(Bn)에 대응하는 제 2 FET(38)를 오프로 하는 신호를 보냄과 함께, 그 때의 출력값(Sout)을 취득한다(S44). 계속해서, 얻어진 출력값(Sout)이 Hi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6). 제 2 FET(38)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8)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 2 FET(38)가 오프가 되고, IC(34)로부터의 출력값(Sout)은 Hi가 된다. 한편, 제 2 FET(38)가 온 고장 또는 리크 고장나 있는 경우, 컨트롤러(18)의 제어 신호에 상관없이, 제 2 FET(38)는 온 상태 또는 리크 상태 대로가 되기 때문에, Sout는 Lo가 된다. 따라서, Sout가 Hi인 경우, 컨트롤러(18)는, 제 2 FET(38)는 정상이라고 판단한다(S40). 한편, Sout가 Hi가 아닌 경우, 컨트롤러(18)는, 제 2 FET(38)에 온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에러를 출력한다(S42).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고장 검지 회로에 의하면, 제 2 FET(38)의 온 고장은 물론, 리크 고장도 검지할 수 있다. 또, 도 5,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장 검지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블록 전압값의 대폭적인 저하가, 전지 셀(Ci)의 고장에 의한 것인지, 제 2 FET(38)의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전지 블록을 직렬 접속한 전지 유닛으로서, 각각의 전지 블록이 복수의 전지 셀을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전지 유닛을 감시하는 전지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에 전압 검출 라인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지 셀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압 검출 회로와,
    적어도 제 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의 전압을 균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셀과 병렬로 접속된 제 1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라인에 설치된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와,
    적어도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 각각의 전압을 균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 블록 각각마다 설치되고, 대응하는 전지 블록과 병렬로 접속되는 제 2 균등화 회로와,
    상기 제 1, 제 2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균등화 회로는, 상기 과전류 방지용의 저항 소자보다 전지 블록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 블록마다 설치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가 내장된 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IC의 외부에 장착된 외부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감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상기 IC에 내장된 내장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감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분압 회로로서, 당해 제 2 스위칭 소자의 양단 전압에 비례한 전압값을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압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압 회로에 의해 취출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고장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감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온 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검지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고장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감시 장치.
KR1020150185969A 2015-01-07 2015-12-24 전지 감시 장치 KR101738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1883A JP6107836B2 (ja) 2015-01-07 2015-01-07 電池監視装置
JPJP-P-2015-001883 2015-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03A true KR20160085203A (ko) 2016-07-15
KR101738558B1 KR101738558B1 (ko) 2017-05-22

Family

ID=5512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969A KR101738558B1 (ko) 2015-01-07 2015-12-24 전지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64442B2 (ko)
EP (1) EP3043440B1 (ko)
JP (1) JP6107836B2 (ko)
KR (1) KR101738558B1 (ko)
CN (1) CN10576286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151A (zh) * 2018-10-10 2018-12-18 北京动力京工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电池组串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0015130A (zh) * 2017-08-31 2019-07-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均衡系统、车辆、电池均衡方法及存储介质
KR20230095637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 전지 배터리 셀의 역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574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N106240391A (zh) * 2016-08-15 2016-12-21 惠州市蓝微新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的被动均衡电路
CN109792092B (zh) * 2016-09-13 2022-03-18 三洋电机株式会社 管理装置和电源系统
JP6769241B2 (ja) * 2016-11-02 2020-10-1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KR20190087616A (ko) * 2016-12-01 2019-07-24 볼보 트럭 코퍼레이션 전기 에너지 저장 팩의 밸런싱을 위한 에너지 저장 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8117438A (ja) * 2017-01-17 2018-07-26 太陽誘電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を備えた電源モジュール
KR102202613B1 (ko) * 2017-09-27 2021-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균등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19088066A (ja) * 2017-11-02 2019-06-06 Tdk株式会社 組電池
WO2019099213A1 (en) * 2017-11-15 2019-05-23 Nova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ulti-cell batteries
CN108407651B (zh) * 2018-04-16 2021-06-08 开封大学 一种双向分散式的动力电池均衡管理系统及方法
JP7247543B2 (ja) * 2018-11-22 2023-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095587B2 (ja) * 2018-12-17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電動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539221B2 (en) * 2019-06-11 2022-12-27 Ablic Inc.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including cell balancing circuits, cell balance detection circuits, overcharge detection circuits, and a control circuit
CN112327180A (zh) * 2019-11-27 2021-02-05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锂离子电池自放电评价及其电压均衡调节方法
JP2021191011A (ja) * 2020-05-25 2021-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JP7326237B2 (ja) * 2020-09-07 2023-08-15 株式会社東芝 複数の電池に関する判定装置、蓄電システム、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CN112234679A (zh) * 2020-10-27 2021-01-15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电池组均衡电路及其均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392B2 (ja) * 1999-02-26 200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過電流検出回路及び過電流検出・保護回路
JP4258133B2 (ja) * 2001-04-25 2009-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状態制御装置
JP4029351B2 (ja) * 2004-08-02 2008-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充電状態制御装置
JP4151662B2 (ja) * 2005-03-08 2008-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充電電圧均等化回路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7300701A (ja) * 2006-04-27 2007-11-1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US20100033128A1 (en) 2007-10-09 2010-02-11 O2Micro, Inc. Circuit and method for cell balancing
JP2009165206A (ja) * 2007-12-28 2009-07-23 Honda Motor Co Ltd 充放電装置
JP2010029050A (ja) * 2008-07-24 2010-02-04 Toshiba Corp 電池システム
JP2010142039A (ja) * 2008-12-12 2010-06-24 Macnica Inc 電力蓄積装置
JP5484985B2 (ja) * 2010-03-29 2014-05-0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2012231556A (ja) * 2011-04-25 2012-11-22 Aisin Aw Co Ltd 放電制御回路
JP6067236B2 (ja) * 2012-03-22 2017-01-25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モジュール
JP2015223008A (ja) * 2012-09-18 2015-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5660105B2 (ja) * 2012-10-24 2015-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JP5673657B2 (ja) * 2012-12-03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JP2014143853A (ja) 2013-01-24 2014-08-07 Hitachi Ulsi Systems Co Ltd 蓄電装置および電池監視装置
JP5920291B2 (ja) * 2013-08-02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均等化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5130A (zh) * 2017-08-31 2019-07-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均衡系统、车辆、电池均衡方法及存储介质
CN110015130B (zh) * 2017-08-31 2021-01-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均衡系统、车辆、电池均衡方法及存储介质
CN109031151A (zh) * 2018-10-10 2018-12-18 北京动力京工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电池组串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30095637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 전지 배터리 셀의 역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2864A (zh) 2016-07-13
EP3043440B1 (en) 2020-06-03
JP2016127761A (ja) 2016-07-11
US20160197499A1 (en) 2016-07-07
KR101738558B1 (ko) 2017-05-22
JP6107836B2 (ja) 2017-04-05
US10164442B2 (en) 2018-12-25
CN105762864B (zh) 2018-06-29
EP3043440A1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58B1 (ko) 전지 감시 장치
US10895603B2 (en) Voltage monitoring modul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to detect a current leakage
KR101234059B1 (ko)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100134069A1 (en) Battery system with practical voltage detection
US10222423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US20170125995A1 (en) Electricity storage system
US8148934B2 (en) Voltage step-up/down converter
CN112041200B (zh) 车载用的备用电路及车载用的备用装置
US10120009B2 (en) Ground-fault determination apparatus
US10031190B2 (en) Voltage detection device
US7330015B2 (en) Power generation controller
RU201213717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пенсации мощ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а энергопита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посредством конденсатора высокой емкости
US20150069960A1 (en) Auxiliary Battery Charging Apparatus
CN112236917A (zh) 车辆用电源装置
US20190312456A1 (en) Power supply device
JP2011067087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5100171A (ja) 電力変換システム
US10305128B2 (en)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ell system
KR101794101B1 (ko)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398748B2 (en) In-vehicle backup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in-vehicle backup power supply
JP2014102079A (ja) 蓄電システム
JP2016213967A (ja) 電源供給装置
JP2018017683A (ja) 電源監視装置
US10850691B2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CN115803986A (zh) 电池充放电测试装置及电池放电电力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