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81A -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681A
KR20160084681A KR1020150001234A KR20150001234A KR20160084681A KR 20160084681 A KR20160084681 A KR 20160084681A KR 1020150001234 A KR1020150001234 A KR 1020150001234A KR 20150001234 A KR20150001234 A KR 20150001234A KR 20160084681 A KR20160084681 A KR 2016008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main body
guide
mo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394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00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3/00Preparing for use and conserving prin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및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본 발명은 CTP 장치 등과 같은 인쇄 제판 기기에 인쇄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CTP(Computer To Plate)는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를 인쇄판에 직접 빛을 주어 제판과 인쇄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한 이미지 세터 기술의 한 갈래다. 필름 출력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 세터(plate setter)라고도 하며, 필름 출력의 단계를 건너뛰는 공정을 말한다. 광원이 레이저이므로 초정밀 화상 형성이 가능하며, 판식의 종류에 따라 바이올렛 플레이트(violet plate), 서멀 플레이트(thermal plate), CTcP(Computer To coventional Plate) 타입이 있다. 탁상 출판(DTP)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쇄용 필름을 뽑아낼 때까지만 하는 것이 통례였으나, CTP에서는 이러한 필름 작업을 생략하고 직접 인쇄판을 뽑을 수 있다. 오프셋 인쇄에서는 출판물의 원래 크기의 제판 파일을 만들고 감광제를 씌운 알루미늄판에 노광시켜 인쇄기의 인쇄판을 만든다. 그러나 CTP에서는 필름을 사용한 노광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디지털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어서 설비나 보관 장소가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CTP 장치 등과 같은 인쇄 제판 기기에는 인쇄판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인쇄판 공급장치에는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고, 이중에서 인쇄판은 하나씩 공급될 수 있다. 인쇄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인쇄판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여 인쇄판이 손상될 수 있으며, 또한 2개 이상의 인쇄판이 한꺼번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래치 등에 의한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인쇄판을 하나씩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및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및 제1가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제1가이드에 설치되고 요철구조를 포함하는 2매 방지 패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킹 레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쇄판의 낙하를 감지하는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및 스크래치 방지용 암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출발위치는 본체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하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제1보호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부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승강부재, 회전부재, 제2승강부재는 절곡 금속판 및 절곡 금속판에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 등을 통해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매 방지 패드를 통해 인쇄판이 한꺼번에 2매 이상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구성과 구동을 단순화함으로써, 인쇄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회전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좌측면도로서, 제1보호커버(100) 및 제2보호커버(3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본체(10)의 평면도로서, 본체(10) 부위를 위에서 바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고, 도 2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본래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좌측은 본체(10)의 상단, 우측은 본체(10)의 하단, 상하는 본체(10)의 양측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 정면도로서, 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60) 쪽을 제외하고 장치 하부, 즉 본체(10)와 그 하부만을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정면도로서, 장치 하부를 제외하고, 상부 프레임(160) 쪽을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고, 도 4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본래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좌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우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 상하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측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좌측면도, 장치 상부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160)을 누인 상태로서, 좌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우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회전부재(220)와 제2승강부재(260)의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부재(220)와 제2승강부재(260) 등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 또한 도 4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220)의 사시도로서, 회전부재(220) 등의 절곡 금속판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간략화를 위해, 센서 장착 홀(16),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흡착부재(320)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일명 오토 로더(Auto-Loader)라고도 부를 수 있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오토 로더)는 본체(10), 제1가이드(20), 2매 방지 패드(30), 제2가이드(40), 스크래치 방지용 암(50), 제1가이드 레일(60), 제1벨트(70), 제1풀리(pulley)(80, 82), 제1모터(90), 제1보호커버(100), 지지대(110), 이동부재(120), 정면 커버(130), 도킹 레일(docking rail)(140), 제어 패널(150), 상부 프레임(160), 제1승강부재(170), 제2가이드 레일(180), 제2벨트(190, 192), 제2풀리(200, 202, 204, 206), 제2모터(210), 회전부재(220), 제3벨트(230), 제3풀리(240, 242), 제3모터(250), 제2승강부재(260), 솔레노이드 밸브(270), 전달 기어(280, 282), 제4모터(290), 랙(rack)(300), 피니언(pinion)(310), 흡착부재(320), 제2보호커버(3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대략 판상 또는 얇은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일명 카세트(cassette)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체(10)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도 2의 세로 방향은 본체(10)의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고, 도 2의 가로 방향은 본체(10)의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인쇄판(미도시)이 적재될 수 있다. 인쇄판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100매가 적재될 수 있다. 인쇄판은 금속판 및 이 금속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판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지층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광성 수지, 적외선 흡수 염료, 기타 염료 및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인쇄판 중 맨 위에 있는 인쇄판이 이동하는 중에 그 다음의 인쇄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하는 인쇄판의 하면 및/또는 모서리가 하부에 있는 인쇄판의 상면을 긁어서 손상시킬 수 있다. 즉, 로딩 중의 인쇄판 뒷부분이 다음 판의 수지막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크래치를 유발한다. 또한, 인쇄판을 흡착하여 이동하는 중에 흡착부재(320)의 흡착력에 의해 인쇄판의 상면이 손상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장착 홀(16)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모든 센서 장착 홀(16)에 설치되거나, 일부 센서 장착 홀(16)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센서 장착 홀(16)을 하나씩 건너뛰어 교대로 설치되어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불규칙적으로 배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센서 장착 홀(16) 및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다만 센서 장착 홀(16)의 수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상기 센서(18)의 수보다 많아야 한다. 도 2에는 복수의 센서 장착 홀(16) 및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본체(10)의 중앙에 일렬로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의 설치 위치와 배열 및 설치 방향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16) 및 센서(18)는 중앙이 아닌 측부 쪽으로 설치될 수 있고, 1개의 열이 아닌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열에서 일자 형태가 아닌 지그재그 등 불규칙인 배열도 가능하고, 폭 방향이 아닌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16)의 형상과 크기 그리고 상기 센서(18)의 종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솔레노이드 밸브(270)와 연계되고, 상기 센서(18) 및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인쇄판을 정렬하고 인쇄판의 크기에 맞추어 인쇄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20, 4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이드(20, 4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가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상면 중에서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단부는 도 2에서 좌측으로,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이 연결되는 쪽이다. 제1가이드(20)는 인쇄판의 정렬과 위치 조절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가이드이다.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10)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재(22), 및 이 수평부재(2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인쇄판의 측면을 향하는 수직부재(2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20)의 단면은 L자형일 수 있다. 제1가이드(2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홀(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에서는 2개의 제1가이드 홀(12)이 형성되어 있으나, 하나만 형성되거나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 홀(12)은 제1가이드(2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에는 체결부재(26)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26)는 예를 들어 나사와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나사는 제1가이드(20)를 관통하며, 이를 위해 제1가이드(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과 제1가이드 홀(12)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6)는 제1가이드 홀(12)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체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 홀과 제1가이드 홀(12)을 정렬한 상태에서, 제1가이드(20)를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 제1가이드(20)의 나사 홀 및 제1가이드 홀(12)을 관통하도록 나사(26)를 끼운 다음, 나사(26)에 볼트를 체결하여 제1가이드(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사(26)는 본체(10)의 위에서 아래로 끼우거나, 반대로 본체(10)의 아래에서 위로 끼울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는 제1가이드(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체(10)의 상면이나 다른 부위에도 설치 가능하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는 인쇄판을 로딩할 때 어떠한 문제로 인쇄판이 흡착부재(320)로부터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가 인쇄판이 떨어진 것을 감지하면,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동작을 멈추고 에러를 발생시킨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의 종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2매 방지 패드(30)는 제1가이드(20)의 수직부재(2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부재(24) 중 인쇄판을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매 방지 패드(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2매 방지 패드(30)가 설치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제1가이드(20)에 나사결합, 접착,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얇고 작은 판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한 변의 크기가 제1가이드(20)의 수직부재(24)의 높이와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2매 방지 패드(3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한 변의 크기가 수직부재(24)보다 1 내지 100% 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2매 방지 패드(30)는 요철구조(32)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구조(32)는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높이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선 형태나 불규칙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요철구조(32)는 인쇄판이 2매 이상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판을 다수 개로 적재할 경우, 금속판과 수지층의 접착력에 의해 인접하는 인쇄판끼리 서로 붙을 수 있는데, 최상부 인쇄판을 흡착하여 들어올릴 때 그 아래 하나 이상의 인쇄판이 붙여서 한꺼번에 2매 이상의 인쇄판이 따라올라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상부 인쇄판을 흡착한 후, 제2승강부재(260)를 통해 인쇄판의 말단부를 2매 방지 패드(30)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위로 1회 올리거나 상하로 1회 내지 10회 흔들면, 흡착된 최상부 인쇄판만 남고 그 밑에 붙은 인쇄판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인쇄판만이 공급될 수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는 본체(10)의 상면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거나,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이격되어 분리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1가이드(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설치방향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제1가이드(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20)와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40)도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10)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재(42), 및 이 수평부재(4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인쇄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부재(44)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의 단면은 L자형일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도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2가이드(40)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 홀(14)은 제2가이드(4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에는 예를 들어 나사와 볼트로 구성되는 체결부재(4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과 제2가이드 홀(14)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 홀과 제2가이드 홀(14)을 정렬한 상태에서, 제2가이드(40)를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 제2가이드(40)의 나사 홀 및 제2가이드 홀(14)을 관통하도록 나사(46)를 끼운 다음, 나사(46)에 볼트를 체결하여 제2가이드(4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하나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도 2에서는 제1가이드(20)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출발 위치(홈 위치)는 본체(10)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이러한 위치 설정에 의해 인쇄판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취급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상단부(도 2의 좌측)에서 하단부(도 2의 우측)로 이동했다가, 다시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되돌아오고, 즉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풀리(80, 82)와 벨트(7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 예를 들어 실린더와 피스톤 메커니즘, 랙과 피니언 메커니즘 등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부재(52), 막대부재(52)의 일단에 연결되는 롤러(54), 막대부재(52)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고 제1벨트(70)와 결합하는 제1연결부재(5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막대부재(5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막대부재(52)의 길이는 본체(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막대부재(52)는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막대부재(52)는 본체(10)로부터 떠 있을 수 있다. 막대부재(52)가 떠 있는 이유는 막대부재(52)가 다수의 적재된 인쇄판 위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막대부재(52)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막대부재(52)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링 부재(58)가 막대부재(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막대부재(52)에 끼울 수 있다. 링 부재(58)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막대부재(5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링 부재(58)가 설치될 수 있다. 링 부재(58)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인쇄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재로서, 링 부재(58)를 설치함으로써 인쇄판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래치 방지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58)를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같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58)의 외주면을 중앙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즉 볼록하게 구성함으로써, 인쇄판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막대부재(52)는 하나 이상의 인쇄판 지지판(53)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막대부재(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막대부재(52)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일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바람직하게는 막대부재(52)와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상단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일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링 부재(58)와 일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금속,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막대부재(52)와 인쇄판 지지판(53)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이동하는 인쇄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본체(10)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마지막으로 올라가는 인쇄판의 후단부가 흔들리거나 요동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인쇄판 자체 및/또는 다른 부재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올라가는 인쇄판을 끝까지 지지함으로써 상기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와 3에서는 좌측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롤러(54)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한쪽만 구동시킴으로써, 장치의 제조비용과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장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구동됨에 따라, 롤러(54)는 그냥 구르면서 따라간다. 롤러(54)에는 볼 베어링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6)는 막대부재(52)와 제1벨트(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연결부재(56)와 막대부재(52)는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6)와 제1벨트(70)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벨트(70)를 2개의 연결판(56b) 사이에 끼운 후 두 연결판(56b)을 고정함으로써, 제1연결부재(56)와 제1벨트(70)를 체결할 수 있다. 두 연결판(56b)의 고정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6)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56)는 복수의 연결판(56a, 56b, 56c)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재(56)는 막대부재(52)와 연결되는 제1연결판(56a), 제1벨트(70)와 연결되는 2개의 제2연결판(56b), 제1연결판(56a)과 제2연결판(56b)을 연결하는 제3연결판(56c)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연결판(56a, 56b, 56c)들은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56a, 56b, 56c)의 개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연결판(56a, 56b, 56c)들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56)의 하부에는 제1가이드 블록(5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블록(59)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3을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2가이드(4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2가이드(40)와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1가이드 블록(59)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레일부재(62), 이 레일부재(62)를 본체(10)의 상면에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6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부재(6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레일부재(62)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레일부재(62)와 레일 고정부재(64) 그리고 레일 고정부재(64)와 본체(10)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레일부재(62)와 레일 고정부재(64)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제1가이드 블록(59)이 제1가이드 레일(60)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왕복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벨트(7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풀리(80, 82)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1벨트(7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1벨트(70)와 결합된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벨트(70)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제1가이드 레일(60)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벨트(70)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일 수 있다. 제1벨트(70)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벨트(70)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벨트(70)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1풀리(80, 82)는 제1벨트(7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풀리(80, 82)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1풀리(80, 8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84)는 본체(10)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제1벨트(7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풀리(80, 82)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모터(90)는 한 쌍의 제1풀리(80, 82) 중 하나의 풀리(80 또는 82)와 연결되어 제1풀리(80, 8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모터(90)와 제1풀리(80, 8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모터(9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풀리(80, 8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1풀리(80, 82)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1모터(90)는 본체(10)의 상단부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9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일 수 있다. 제1모터(9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모터(90)로는 낮은 토크(low torque)의 모터를 사용하여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구동하는데 큰 토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제1모터(90)는 본체(10)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1보호커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의 노출에 의한 미관 손상과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연결부재(56), 제1가이드 레일(60), 제1벨트(70), 제1풀리(80, 82) 및/또는 제1모터(90)를 덮어서 은폐하도록, 박스 형태의 제1보호커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의 일 측면은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막대부재(52)의 이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는 본체(10)에 나사결합, 용접, 끼움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과 3을 참고하면, 지지대(11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1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대(110)의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대(112) 및/또는 수평 지지대(11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1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12)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114)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112)는 본체(10)의 하부의 양 측면 쪽에 설치될 수 있고, 평판 형태 및/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114)는 양 측면의 수직 지지대(112)를 연결하는 평판 형태 및/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지대(114)는 수직 지지대(112)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CTP 장치(미도시)와의 결합 등을 고려하여, 수직 지지대(112)는 본체(10)의 하부 측면 중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연결부위 반대쪽을 향해 30 내지 70% 정도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160) 쪽으로 하중이 쏠리기 때문에, 오토 로더의 하중 쏠림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대(110)의 하부에서 수평 지지대(114)를 상부 프레임(160) 쪽으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연장된 수평 지지대(114)는 CTP 장치의 하단으로 들어갈 수 있다. 지지대(110)와 본체(10) 그리고 각 지지대(112, 114)끼리는 용접, 나사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과 3을 참고하면, 이동부재(120)는 오토 로더 및/또는 CTP 장치의 보수와 청소 등을 위해 오토 로더가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120)는 복수의 바퀴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캐스터(caster)일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지지대(110)에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정면 커버(130)는 본체(10)의 하부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정면에서 보면, 사각 틀 형태의 지지대(110)를 제외하고, 본체(10)의 하부는 대부분 개방될 수 있는데, 이 개방 부위를 정면 커버(130)가 문 형태로 커버할 수 있다. 정면 커버(130)는 지지대(110)와 힌지 결합 등을 통해 개폐 가능하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 전원공급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정면 커버(130)를 통해 진공펌프 등을 은폐 및 보호할 수 있다. 정면 커버(130)에는 손잡이(132)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부재가 오토 로더의 고정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측면 쪽에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는 풋 브레이크(foot brak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풋 브레이크는 실린더,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피스톤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고무부재, 피스톤 또는 실린더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해제 레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풋 브레이크의 상단 고무부재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면 피스톤이 내려가고 하단의 고무부재가 바닥과 밀착되어 오토 로더가 고정될 수 있고, 해제 레버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면 피스톤이 올라가면서 오토 로더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도킹 레일(140)은 오토 로더와 CTP 장치의 결합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 지지대(11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킹 레일(14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지지대(110)에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어패널(150)은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모터(90, 210, 250, 290),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패널(15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일 측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패널(150)은 오토 로더의 운전 제어를 위하여, 다수의 버튼 및/또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흡착부재(320)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므로, 흡착부재(320)의 작동 제어를 위한 별도의 버튼은 필요 없다.
도 1, 4 및 5를 참고하면, 상부 프레임(160)은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흡착부재(320), 제2모터(210), 제3모터(250), 제4모터(290) 및 승강하는 인쇄판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60)이 본체(1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유는 CTP 장치에 인쇄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오토 로더와 CTP 장치를 인접하게 또는 겹치도록 설치하고,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까지 끌어올린 후 떨어뜨려서 CTP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둔각으로서, 95 내지 175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7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0도일 수 있다. 본체(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 연결부위가 경사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분리 및 조립 등을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지지 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은 본체(10)와 체결되는 하판, 하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상부 프레임(160)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와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부가 지지 브라켓의 상판에 걸릴 수 있도록 지지 브라켓을 구성 및 설치함으로써,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분리 및 조립 시에 상부 프레임(16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60)은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본체(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양측과 연결되는 2개의 측부 프레임(162, 164)과 두 측부 프레임(162, 164)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66)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각 프레임(162, 164, 166) 사이는 빈 공간이지만, 이 공간에 연결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의 정면도를 참고하면, 도 4의 세로 방향은 상부 프레임(160)의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고, 도 4의 가로 방향은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도 4와 5에서 좌측)과 하단(도 4와 5에서 우측)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승강부재(170)는 상부 프레임(16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171, 172) 및 이 수평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173, 17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판상 형태를 갖는 2개의 수평부재(171, 172)와 2개의 측면부재(173, 174)가 조합되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를 이룰 수 있다. 수평부재(171, 172)는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하로 설치될 수 있다. 측면부재(173, 174)는 후술할 회전부재(220)와의 결합을 위해, 두 수평부재(171, 172)의 간격보다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재(173a, 17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과 마찬가지로 풀리(200, 202, 204, 206)와 벨트(190, 192)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 예를 들어 실린더와 피스톤 메커니즘, 랙과 피니언 메커니즘 등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제2벨트(190, 192)와의 결합을 위해 제2연결부재(175, 17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의 두 측면부재(173, 17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와 제2벨트(190, 19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1승강부재(170)는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2벨트(190, 192)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벨트(190, 192)를 2개의 연결판(175b, 176b) 사이에 끼운 후 두 연결판(175b, 176b)을 고정함으로써,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2벨트(190, 192)를 체결할 수 있다. 두 연결판(175b, 176b)의 고정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복수의 연결판(175a, 175b, 176a, 176b)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판(175a, 176a), 제2벨트(190, 192)와 연결되는 2세트의 제2연결판(175b, 176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판(175a, 176a)은 제1승강부재(170)의 두 측면부재(173, 17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판(175b, 176b)은 2개가 1세트로 구성되고, 양쪽 제1연결판(175a, 176a)에 각각 1세트씩,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판(175a, 176a)은 제2연결판(175b, 176b)과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즉 제2연결부재(175, 17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175a, 175b, 176a, 176b)의 개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연결판(175a, 175b, 176a, 176b)들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은 제1승강부재(170)의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록(177, 178)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5를 참고하면, 상부 프레임(160)의 양쪽 측부 프레임(162, 164) 각각에는 제2가이드 레일(1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측부 프레임(162, 164)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측부 프레임(162, 164)의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레일부재(181, 182), 레일부재(181, 182)를 상부 프레임(160)에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183, 18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60)의 전체 높이(폭)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와 레일 고정부재(183, 184) 그리고 레일 고정부재(183, 184)와 상부 프레임(160)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의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이 제2가이드 레일(180)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제1승강부재(17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승강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벨트(190, 192)는 적어도 한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2벨트(190, 192)와 연결된 제1승강부재(170)가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제2가이드 레일(180)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제2벨트(190, 19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한 쌍이 한 세트로 구성되고, 양쪽 제2벨트(190, 192)에 각각 한 세트씩,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상부 프레임(160)과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벨트(190, 19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긴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긴 홀의 길이만큼 풀리 고정부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풀리 고정부재의 위치를 선정한 후, 상기 긴 홀을 통해 나사나 볼트를 삽입하여 풀리 고정부재와 측부 프레임(162, 164)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풀리 고정부재 및 이에 실치된 제2풀리(200, 202, 204, 206)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2벨트(190, 19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쪽 측부 프레임(162, 164)에 모두 한 세트씩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양쪽의 풀리(200, 204)는 상부 프레임(160)의 수평방향을 가로지르는 긴 회전축(208)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벨트(190, 192)도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제2벨트(190, 192)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모터(210)는 두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 중 적어도 하나의 풀리(200, 202, 204 및/또는 206)와 연결되어 제2풀리(200, 202, 204, 206)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모터(210)와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모터(21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2모터(210)는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부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모터(21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2모터(210)는 상부 프레임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모터(21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와 6을 참고하면, 회전부재(22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220)는 대략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판재들이 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의 양쪽 측면부재(173, 174) 중 연장부재(173a, 17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17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회전부재(220)는 회전을 위해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의 회전축(242a)과 직접 연결되거나 축 연결부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1승강부재(170)의 양쪽 연장부재(173a, 174a)에는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회전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5 내지 175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7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60도일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풀리(240, 242)와 벨트(23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회전부재(220)가 약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이고, 따라서 도 4에서는 회전부재(220)의 상면 쪽만 보이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재(260)와 흡착부재(320) 등은 도 4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는 측면부재(173)에 가려서 회전부재(220)가 보이지 않는다.
도 5를 참고하면, 제3벨트(230)는 적어도 한 쌍의 제3풀리(240, 242)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3벨트(2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3벨트(230)와 연결된 회전부재(2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제3벨트(230)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벨트(230)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역할만 하므로, 제2벨트(190, 192)에 비해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3풀리(240, 242)는 제3벨트(2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풀리(240, 242)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3풀리(240, 24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60)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 내지 50%일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에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제1승강부재(170)의 한쪽 측면부재(173 또는 174)에만 설치되거나, 양쪽 측면부재(173, 174)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제3벨트(23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의 회전축(242a)은 회전부재(220)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 연결부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3벨트(230)와 맞물려서 제3벨트(2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3벨트(230)의 장력 조절을 통해 회전부재(2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3벨트(230)의 외곽 쪽으로 제3벨트(230)의 중간 부위에서 제3벨트(230)와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3모터(250)는 한 쌍의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와 연결되어 제3풀리(240, 24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모터(250)와 제3풀리(240, 24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3모터(25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3풀리(240, 24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3풀리(240, 242)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3모터(25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또는 172)에 설치될 수 있다. 제3모터(25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3모터(25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또는 172)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3모터(25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2승강부재(26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승강부재(260)는 회전부재(2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승강부재(260)는 대략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회전부재(220)의 하부에 회전부재(2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상부 프레임(160)이나 제1승강부재(170)와의 연결 없이 회전부재(220)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승강할 때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6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승강부재(260)는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모터(290)의 회전 운동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제2승강부재(26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승강부재(260)는 다른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의 승강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와 6을 참고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회전 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전자 밸브라고도 하며,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로서, 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플런저가 올라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런저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는 밸브이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케이블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회로를 자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흡착부재(320)와는 튜브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진공펌프와도 튜브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와 6을 참고하면, 전달 기어(280, 282)는 제4모터(290)의 회전운동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달 기어(280, 282)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기어(280, 282)가 2개일 경우, 상부 전달 기어(280)는 제4모터(290)와 연결될 수 있고, 하부 전달 기어(282)는 상부 전달 기어(280)와 맞물리면서 동시에 피니언(3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연결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전달 기어(280, 282) 대신에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제4모터(290)의 회전력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전달할 수도 있다.
도 4와 6을 참고하면, 제4모터(290)는 전달 기어(280, 282)와 연결되어 전달 기어(280, 28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승강부재(26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모터(290)와 전달 기어(280, 28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4모터(29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달 기어(280, 28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4모터(290)는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4모터(29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4모터(290)는 회전부재(220)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4모터(29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은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전달 기어(280, 28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모터(290)가 회전하면, 회전력은 전달 기어(280, 282)를 통해 피니언(310)에 전달되어 피니언(310)이 회전하고, 피니언(31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310)과 맞물려 있는 랙(300)이 상하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랙(300)과 연결된 제2승강부재(260)가 높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피니언(310)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랙(300)은 피니언(31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랙(30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부재(220)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랙(300)의 하단은 제2승강부재(260)와 연결될 수 있다. 랙(300)은 기어 박스, 실린더, 브라켓 등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은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피니언(310)으로 2개 이상의 랙(30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또한 각 피니언(310)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2개 이상의 랙(30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 및 다른 부재는 나사결합, 브라켓,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달 기어(280, 282), 랙(300)과 피니언(310) 등을 보호하기 위해 회전부재(220)에는 보호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판은 회전부재(2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회전부재(220)와는 나사결합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보호판은 상기 기어들(280, 282, 300, 310)를 커버하는 범위의 면적을 갖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판은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흡착부재(320)는 제2승강부재(260)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착부재(320)는 복수 개로 설치되고,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흡착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260)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나사결합, 브라켓, 용접 등에 의해 제2승강부재(260)에 체결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내부에 갖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의 상단은 튜브(미도시)와 연결되고, 튜브는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진공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진공펌프는 예를 들어 지지대(110)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는 모든 흡착부재(320)와 연결되고, 흡착부재(320)와 연결된 각 튜브는 하나로 합쳐지거나, 복수의 병렬 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의 하단에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의 빨판(sucker)(322)이 설치될 수 있다.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흡착부재(320)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빨판(322)에 인쇄판이 흡착될 수 있으며, 진공펌프가 멈추면 흡입력이 소멸하여 인쇄판이 흡착부재(3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판이 흡착부재(320)에 흡착될 때 진공 흡입력에 의해 인쇄판의 흡착부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빨판(322) 하단에 손상 방지용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은 접착 등에 의해 빨판에 부착될 수 있다. 유로 연결을 위해, 손상 방지용 필름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의 형상과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는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 부재(170, 220, 260)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여 무거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회전부재(220)만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부재(170, 260)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절곡 금속판은 예를 들어 수평판(222)과 이 수평판(22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수직판(224, 2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곡 금속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강판, 알루미늄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곡 금속판의 강성을 더욱 보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228)는 두 수직판(224, 22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 수직판(224, 226)을 연결하는 수직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2보호커버(330)는 상부 프레임(160) 쪽의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 전선, 튜브 등의 노출에 의한 미관 손상과 구동부재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60),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흡착부재(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은폐하도록, 박스 형태의 제2보호커버(3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2개 이상의 커버로 제작되어 이들을 조립 또는 용접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일부, 예를 들어 하면, 상면, 측면 및/또는 후면은 인쇄판의 이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호커버(330)의 후면은 전면 개방됨으로써, 인쇄판의 최종 이동 후 인쇄판을 바로 떨어뜨려 공급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측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보호커버(33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는 상부 프레임(160) 등에 나사결합, 용접, 끼움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인쇄판과 구동부재의 이동과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인쇄판 크기를 예시한 것으로, 6개의 센서 장착 홀(16)이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설치되고, 위로부터 2번째, 4번째, 6번째 홀(16)에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각 홀(16)은 인쇄판의 폭 방향 크기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큰 인쇄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즉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보다 큰 인쇄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하단을 보면,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인쇄판의 끝이 상기 센서(18)의 끝에서부터 예를 들어 약 3 mm 이후를 지나면서부터 인쇄판을 감지할 수 있다. 각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각 흡착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27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홀(16)은 복수의 영역(zon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1번째 홀 이전은 제1영역(zone 1), 1번째와 2번째 홀은 제2영역(zone 2), 3번째와 4번째 홀은 제3영역(zone 3), 5번째와 6번째 홀은 제4영역(zone 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흡착부재(320)도 홀(16)의 영역과 대응되도록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가 제1영역에 해당하면 약 3개의 흡착부재(320)가 구동될 수 있고, 제4영역으로 갈수록 작동하는 흡착부재(320)의 수도 증가할 수 있다. 즉, 인쇄판의 크기가 커지면, 인쇄판을 흡착하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하므로, 작동하는 흡착부재(320)의 수도 증가하는 것이다. 반대로, 인쇄판의 크기가 작으면, 흡착부재(320) 전체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수의 흡착부재(320)만 구동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운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판의 크기에 맞추어 제1가이드(20)와 제2가이드(4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인쇄판을 제1가이드(20)와 제2가이드(40)에 밀착시키면서 본체(10)의 상면에 적재한다. 제1가이드(20)에 2매 방지 패드(30)가 설치되므로, 인쇄판의 상단 측면은 실질적으로 2매 방지 패드(30)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 제4모터(290)를 구동하여 전달 기어(280, 28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랙(300)과 피니언(310)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제2승강부재(260)를 하강시킴으로써 흡착부재(320)를 하강시키고, 흡착부재(320)가 인쇄판과 접촉하면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진공 흡입에 의해 인쇄판을 흡착한다. 이때,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상단부와 연결되므로, 인쇄판도 상단부만 흡착된다. 이때, 흡착부재(320)와 인쇄판이 직교하도록 회전부재(220)를 통해 흡착부재(320)를 미리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인쇄판이 2매 방지 패드(3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4모터(290), 전달 기어(280, 282), 랙(300), 피니언(310)을 통해 제2승강부재(26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승강을 몇 차례 반복함으로써, 즉 제2승강부재(260)를 그대로 올리거나 상하로 몇 번 흔들어 줌으로써, 인쇄판을 분리하고 인쇄판이 2매 이상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하나의 인쇄판만을 흡착한다.
다음, 하나의 인쇄판만이 흡착된 후, 제2모터(210)를 구동하여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제2벨트(190, 19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승강부재(17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켜 인쇄판의 상승을 시작한다.
다음, 인쇄판이 제1가이드(20)의 높이를 벗어나서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제3모터(250)를 구동하여 제3풀리(240, 242)와 제3벨트(23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220)를 회전시켜 인쇄판을 회전시킨다. 인쇄판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인쇄판이 흡착부재(320)와 직각을 이루면서 흡착되기 때문이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은 둔각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의 접촉 등에 의한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인쇄판을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면에서 인쇄판은 흡착부재(320)와 직각을 이루고, 본체(10)는 상부 프레임(160)과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인쇄판을 뒤쪽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인쇄판이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려면, 흡착부재(320)가 상부 프레임(160)과 직각을 이루도록 인쇄판을 뒤쪽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제2승강부재(260)와 흡착부재(320)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및 인쇄판은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해지고 흡착부재(320)는 상부 프레임(160)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인쇄판을 흡착할 때, 회전부재(220)가 미리 10 내지 80도의 범위 내에서 뒤로 회전하므로, 회전부재(220)의 두 번째 회전 각도는 90도에서 첫 번째 회전각도를 뺀 값이다. 즉, 두 차례에 걸친 회전부재(220)의 회전 각도의 합은 약 90도가 된다.
다음,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회전시킨 후, 계속 제1승강부재(17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켜 인쇄판을 계속 상승시킨다. 인쇄판의 회전을 위해 인쇄판의 상승이 잠시 멈출 수도 있지만, 인쇄판의 회전과 상승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쇄판이 상승 및 회전할 때, 인쇄판의 일부가 곡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다음, 인쇄판의 상승과 동시에, 제1모터(90), 제1풀리(80, 82), 제1벨트(7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본체(10)의 상단부(홈 위치)에서 하단부로 이동시킨다. 인쇄판의 회전 시점에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아직 본체(10) 쪽에 남아 있는 인쇄판의 중간 부위와 하단부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이동 중의 인쇄판이 다음에 이동될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인쇄판이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또는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하면, 진공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인쇄판을 흡착부재(320)로부터 탈착시킴으로써, 자유 낙하에 의해 인쇄판을 CTP 장치에 공급한다. 이때, 인쇄판의 최종 공급 위치나 공급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부재(220)를 통해 인쇄판을 추가로 회전시킨 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인쇄판을 공급한 후에는, 다음 인쇄판의 공급을 위해, 제1승강부재(170)를 하강시키고, 동시에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홈 위치로 되돌려 놓는다.
상술한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작동순서와 방식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2매 방지 패드(30)를 설치함으로써 인쇄판이 한꺼번에 2매 이상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 등에 의해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흡착부재(320)와 인쇄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인쇄판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종래에는 흡착수단이나 인쇄판의 회전 기능이 없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구동 방식이 효율적이다. 종래에는 복수의 와이어(6개 정도)를 설치하고 브러시 형태로 구동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었다.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도킹 레일(140)을 설치하여 오토 로더와 CTP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본체
12, 14: 가이드 홀
16: 센서 장착 홀
18: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
20, 40: 가이드
22, 42, 171, 172: 수평부재
24, 44: 수직부재
26, 46: 체결부재
28: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30: 2매 방지 패드
32: 요철구조
50: 스크래치 방지용 암
52: 막대부재
53: 인쇄판 지지판
54: 롤러
56, 175, 176: 연결부재
56a, 56b, 56c, 175a, 175b, 176a, 176b: 연결판
58: 링 부재
59, 177, 178: 가이드 블록
60, 180: 가이드 레일
62, 181, 182: 레일부재
64, 183, 184: 레일 고정부재
70, 190, 192, 230: 벨트
80, 82, 200, 202, 204, 206, 240, 242: 풀리
84: 풀리 고정부재
90, 210, 250, 290: 모터
100, 330: 보호커버
110: 지지대
112: 수직 지지대
114: 수평 지지대
120: 이동부재
130: 정면 커버
132: 손잡이
140: 도킹 레일
150: 제어패널
160: 상부 프레임
162, 164: 측부 프레임
166: 수평 프레임
170, 260: 승강부재
173, 174: 측면부재
173a, 174a: 연장부재
208, 242a: 회전축
220: 회전부재
222: 수평판
224, 226: 수직판
228: 리브
244: 장력 조절 풀리
270: 솔레노이드 밸브
280, 282: 전달 기어
300: 랙
310: 피니언
320: 흡착부재
322: 빨판

Claims (8)

  1.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및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및
    제1가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에 설치되고 요철구조를 포함하는 2매 방지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킹 레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쇄판의 낙하를 감지하는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및
    스크래치 방지용 암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출발위치는 본체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하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제1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부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승강부재, 회전부재, 제2승강부재는 절곡 금속판 및 절곡 금속판에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KR1020150001234A 2015-01-06 2015-01-06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KR10171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ko) 2015-01-06 2015-01-06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ko) 2015-01-06 2015-01-06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81A true KR20160084681A (ko) 2016-07-14
KR101713394B1 KR101713394B1 (ko) 2017-03-07

Family

ID=564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ko) 2015-01-06 2015-01-06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15B1 (ko) * 2019-10-09 2020-01-02 이철윤 조판지 간편 고정지그 및 이를 가지는 조판지 드로잉 플랫베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43A (ja) * 2002-03-28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版搬送装置
JP2004002015A (ja) * 2002-04-05 2004-01-08 Agfa Corp 印刷版板のスタックから1枚の印刷版板を拾い上げ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976567B1 (ko) * 2009-01-07 2010-08-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급지 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43A (ja) * 2002-03-28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版搬送装置
JP2004002015A (ja) * 2002-04-05 2004-01-08 Agfa Corp 印刷版板のスタックから1枚の印刷版板を拾い上げ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976567B1 (ko) * 2009-01-07 2010-08-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급지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94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732B2 (en) Buffered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for tool utilization
JP2003017890A (ja) トレイフィーダー用トランスファ
US20140061989A1 (en) Module Assembling Device
TWI301818B (en) Inline buffer apparatus
RU2374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аминирования листов стекла
JP2019147671A (ja) 画像読取装置
KR101713394B1 (ko)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KR100977870B1 (ko) 이동탑재 로봇
KR20100102835A (ko) 에프피씨 본딩장치
CN110355021A (zh) 一种面板灯消除亮边的装置和方法
KR101231155B1 (ko) 트레이 물류시스템
CN104206048B (zh) 元件安装机的元件供给单元的安装装置
KR20100116573A (ko)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CN211319004U (zh) 手表镜片检测机
TWI729819B (zh) 貼合裝置及貼合方法
CN110850702A (zh) 手表镜片检测机
CN109879064A (zh) 一种分料装置
JP4564191B2 (ja) 基板搬送装置
CN2692322Y (zh) 平板式卷帘门装置
JP3185750B2 (ja) 自動倉庫
CN220164865U (zh) 物品提升输送系统
JP3849696B2 (ja) 遊技盤の段積み装置
CN210029050U (zh) 提升式板材供给装置
JP2002068412A (ja) 素材保管装置
JPH09328225A (ja) 野菜の取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