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73A -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73A
KR20100116573A KR1020100099305A KR20100099305A KR20100116573A KR 20100116573 A KR20100116573 A KR 20100116573A KR 1020100099305 A KR1020100099305 A KR 1020100099305A KR 20100099305 A KR20100099305 A KR 20100099305A KR 20100116573 A KR20100116573 A KR 2010011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lass
double
cylind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엠에스나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나노(주) filed Critical 엠에스나노(주)
Priority to KR102010009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573A/ko
Publication of KR2010011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50Tape automated bonding [TAB] connectors, i.e. film carri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LCD 와 PDP, OLED를 포함하는 글라스의 측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체형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판(110)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과, 하나 이상의 공압 호스 인입홈(111) 및 실린더로더 관통홈(112)과, 볼부쉬의 샤프트 관통홈(113)이 형성된 베이스판(110)과, 안착판(1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더(123)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121)와, 승강실린더의 작동시 안착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샤프트(124)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볼부쉬(122)로 구성된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의 실린더로더 및 샤프트와 부착고정되며, 상부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131)가 구성됨과 동시에 가장자리 중심부 일측으로 흡입골(13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글라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블록(134)이 구비된 안착판(130)과, 글라스의 측면과 직접적으로 닿으며 테이블실린더(142,142')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되는 터치롤러(141)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테이블실린더(142,142')가 상기 밀림방지블록(134)을 기준으로 전면 방향 및 측면방향에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는 한편, 전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측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이송헤드(153)와 고정되어 안착판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 시켜주는 글라스정열부(140)와, 장방향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부착하우징(160) 이송용 볼스크류(151)가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이송레일(152)이 대칭형성된 이송헤드(153)와, 상기 이송헤드가 안착판의 중심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과 이송헤드(153)에 고정되는 볼스크류(155) 및 그 볼스크류(155)의 구동에 따라 이송페드를 안정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과 이송헤드에 각각 고정되는 LM가이드(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부(150)와, 상기 이송헤드(153)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이송레일(152)을 타고 일정구간 이동하는 이동블럭(161)과, 상기 이동블록(1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양면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롤러(162)와, 양면테이프의 이형지(166)를 권취하는 권취롤러(163) 및 각각의 롤러(162,163)를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164)와, 상기 양면테이프 및 이형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블럭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텐션롤러(165)와 양면테이프의 끝단을 흡착하여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시키는 부착헤드(170)와,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되고 난 후 글라스의 끝단과 일치된 위치에서 양면테이프를 절단시켜주는 절단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하우징(160)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여 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Glass side tape attachment tape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LCD 와 PDP, OLED를 포함하는 글라스의 측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CD 와 PDP, OLED를 포함하는 글라스(1)의 측면(2)에는 백라이트유닛(BLU)의 빛이 글라스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면테이프(3)를 부착하였다.
상기 양면테이프는 작업자가 일일이 테이프를 절단하여 부착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생산이 될 수 없었으며, 측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정확하게 부착되지 않았음은 물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글라스 측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함에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S)는,
입체형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판(110)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과;
하나 이상의 공압 호스 인입홈(111) 및 실린더로더 관통홈(112)과, 볼부쉬의 샤프트 관통홈(113)이 형성된 베이스판(110)과;
안착판(1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더(123)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121)와, 승강실린더의 작동시 안착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샤프트(124)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볼부쉬(122)로 구성된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의 실린더로더 및 샤프트와 부착고정되며, 상부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131)가 구성됨과 동시에 가장자리 중심부 일측으로 흡입골(13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글라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블록(134)이 구비된 안착판(130)과;
글라스의 측면과 직접적으로 닿으며 테이블실린더(142,142')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되는 터치롤러(141)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테이블실린더(142,142')가 상기 밀림방지블록(134)을 기준으로 전면 방향 및 측면방향에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는 한편, 전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측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이송헤드(153)와 고정되어 안착판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 시켜주는 글라스정열부(140)와;
장방향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부착하우징(160) 이송용 볼스크류(151)가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이송레일(152)이 대칭형성된 이송헤드(153)와, 상기 이송헤드가 안착판의 중심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과 이송헤드(153)에 고정되는 볼스크류(155) 및 그 볼스크류(155)의 구동에 따라 이송페드를 안정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과 이송헤드에 각각 고정되는 LM가이드(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부(150)와;
상기 이송헤드(153)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이송레일(152)을 타고 일정구간 이동하는 이동블럭(161)과, 상기 이동블록(1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양면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롤러(162)와, 양면테이프의 이형지(166)를 권취하는 권취롤러(163) 및 각각의 롤러(162,163)를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164)와, 상기 양면테이프 및 이형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블럭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텐션롤러(165)와 양면테이프의 끝단을 흡착하여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시키는 부착헤드(170)와,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되고 난 후 글라스의 끝단과 일치된 위치에서 양면테이프를 절단시켜주는 절단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하우징(160)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여 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판(130)의 흡착골(132)에는 공압에 의해 글라스의 가장자리와 중심부가 골고루 진공 흡착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흡착홈(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헤드(17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이동블록(161)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7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171)와 연결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전·후진되며, 양면테이프를 진공흡입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경사부(174)를 갖는 홀딩홈(175) 및 그 홀딩홈의 일측으로 다수 개의 흡착공(172)이 형성된 홀딩블록(1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18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부착헤드(170)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8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181)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승강하며, 양면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182)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는 글라스의 측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함에 있어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양면테이프 부착에 소요되는 제조원가를 대폭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 중 베이스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착장치 중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 중 글라스가 안착판에 안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나)는 글라스가 안착판에 안착된 후 안착판이 상승하고, 이송부가 글라스방향으로 전진 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글라스 안착 후 정열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9는 이송부의 이송헤드가 전진 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0은 이송부의 이송헤드가 후진 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1은 이송부의 이송헤드가 전진되며, 이동블럭이 이동을 하면서 글라스의 측면에 테이핑이 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 중 이동블럭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가)는 컷팅날이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나)는 컷팅날이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 중 홀딩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S)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판(110)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이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110)은 하나 이상의 공압 호스 인입홈(111) 및 실린더로더 관통홈(112)과, 볼부쉬의 샤프트 관통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1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더(123)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121)와, 승강실린더의 작동시 안착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샤프트(124)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볼부쉬(122)로 구성된 승강부(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120)의 실린더로더 및 샤프트와 부착고정되며, 상부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131)가 구성됨과 동시에 가장자리 중심부 일측으로 흡입골(13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글라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블록(134)이 구비된 안착판(130)이 구비된다.
또한 글라스의 측면과 직접적으로 닿으며 테이블실린더(142,142')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되는 터치롤러(141)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테이블실린더(142,142')가 상기 밀림방지블록(134)을 기준으로 전면 방향 및 측면방향에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는 한편, 전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측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이송헤드(153)와 고정되어 안착판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 시켜주는 글라스 정열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장방향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부착하우징(160) 이송용 볼스크류(151)가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이송레일(152)이 대칭형성된 이송헤드(153)와, 상기 이송헤드가 안착판의 중심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과 이송헤드(153)에 고정되는 볼스크류(155) 및 그 볼스크류(155)의 구동에 따라 이송페드를 안정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과 이송헤드에 각각 고정되는 LM가이드(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부(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헤드(153)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이송레일(152)을 타고 일정구간 이동하는 이동블럭(161)과, 상기 이동블록(1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양면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롤러(162)와, 양면테이프의 이형지(166)를 권취하는 권취롤러(163) 및 각각의 롤러(162,163)를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164)와, 상기 양면테이프 및 이형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블럭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텐션롤러(165)와 양면테이프의 끝단을 흡착하여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시키는 부착헤드(170)와,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되고 난 후 글라스의 끝단과 일치된 위치에서 양면테이프를 절단시켜주는 절단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하우징(1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여 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190)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착장치(S)는 공압에 의해 각 구성품(승강실린더, 글라스흡착, 테이블실린더)이 작동되며, 제어부(190)가 각 구성품을 포함한 전체적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안착판(130)의 흡착골(132)에는 공압에 의해 글라스의 가장자리와 중심부가 골고루 진공 흡착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흡착홈(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헤드(17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이동블록(161)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7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171)와 연결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전·후진되며, 양면테이프를 진공흡입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경사부(174)를 갖는 홀딩홈(175) 및 그 홀딩홈의 일측으로 다수 개의 흡착공(172)이 형성된 홀딩블록(17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18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부착헤드(170)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8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181)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승강하며, 양면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182)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S)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하술 한다.
먼저 글라스를 안착판에 안착시킨 후 제어부를 통해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글라스를 안착판에 안착시키는 공정은 산업용 로봇 등으로 자동으로 공급시켜도 무방하다.
글라스가 안착판에 안착 되면, 도 7 및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열부의 테이블실린더(142,142')가 작동을 하여 밀림방지블록(134)을 기준으로 글라스를 정위치 시킨다.
글라스가 정위치되면 승강실린더(121)가 작동을 하여 안착판을 상승시키되, 글라스의 측면위치가 홀딩블록(173)의 홀딩홈(175)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안착판을 상승시킨다.
안착판이 상승되면, 이송부(150)의 볼스크류(155)가 구동하여 이송헤드(153)를 글라스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송헤드가 글라스방향으로 전진되면 양면테이프를 공압으로 흡착 홀딩한 부착헤드(170)가 테이블실린더(171)의 작동에 의해 글라스의 측면에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이송헤드의 내측에 구비된 볼스크류(151)가 구동을 하여 부착헤드와 일체가 된 부착하우징을 글라스의 측면 끝단까지 이동시킴과 동시에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양면테이프를 수월하게 흡착하여 부착이 될 수 있도록 홀딩블록(173)의 내측에는 경사부(174)를 갖는 홀딩홈(17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되면 글라스의 끝단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부가 작동을 하여 양면테이프를 절단하고, 양면테이프의 이형지는 이형지 권취롤러에 권취되어 부착공정은 종료되며, 다음 글라스의 측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해 각 부분은 초기화가 됨이 바람직하다.
S:부착장치 2:글라스
2:측면 3:양면테이프
100:지지프레임 110:베이스판
111:인입홈 112,113:관통홈
120:승강부 121:승강실린더
122:볼부쉬 123:실린더로더
124:샤프트 130:안착판
131:흡착패드 132:흡착골
133:흡착홈 134:밀림방지블록
140:정열부 141:터치롤러
142,142':테이블실린더
150:이송부 151,155:볼스크류
152:이송레일 153:이송헤드
154:LM가이드 160:부착하우징
161:이동블록 162:장착롤러
163:권취롤러 164:벨트
165:텐션롤러 166:이형지
170:부착헤드 171:테이블실린더
172:흡착공 173:홀딩블록
174:경사부 175:홀딩홈
180:절단부 181:테이블실린더
182:절단날 190:제어부

Claims (4)

  1. 입체형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판(110)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과;
    하나 이상의 공압 호스 인입홈(111) 및 실린더로더 관통홈(112)과, 볼부쉬의 샤프트 관통홈(113)이 형성된 베이스판(110)과;
    안착판(1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더(123)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121)와, 승강실린더의 작동시 안착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샤프트(124)가 안착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볼부쉬(122)로 구성된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의 실린더로더 및 샤프트와 부착고정되며, 상부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131)가 구성됨과 동시에 가장자리 중심부 일측으로 흡입골(132)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으로 글라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블록(134)이 구비된 안착판(130)과;
    글라스의 측면과 직접적으로 닿으며 테이블실린더(142,142')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되는 터치롤러(141)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테이블실린더(142,142')가 상기 밀림방지블록(134)을 기준으로 전면 방향 및 측면방향에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는 한편, 전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측면 방향의 테이블실린더(142')는 이송헤드(153)와 고정되어 안착판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 시켜주는 글라스정열부(140)와;
    장방향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부착하우징(160) 이송용 볼스크류(151)가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이송레일(152)이 대칭형성된 이송헤드(153)와, 상기 이송헤드가 안착판의 중심방향으로 전·후진 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과 이송헤드(153)에 고정되는 볼스크류(155) 및 그 볼스크류(155)의 구동에 따라 이송페드를 안정적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과 이송헤드에 각각 고정되는 LM가이드(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송부(150)와;
    상기 이송헤드(153)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이송레일(152)을 타고 일정구간 이동하는 이동블럭(161)과, 상기 이동블록(1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양면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롤러(162)와, 양면테이프의 이형지(166)를 권취하는 권취롤러(163) 및 각각의 롤러(162,163)를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벨트(164)와, 상기 양면테이프 및 이형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블럭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텐션롤러(165)와 양면테이프의 끝단을 흡착하여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시키는 부착헤드(170)와, 양면테이프가 글라스의 측면에 부착되고 난 후 글라스의 끝단과 일치된 위치에서 양면테이프를 절단시켜주는 절단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하우징(160)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을 제어하여 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130)의 흡착골(132)에는 공압에 의해 글라스의 가장자리와 중심부가 골고루 진공 흡착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흡착홈(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헤드(17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이동블록(161)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7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171)와 연결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전·후진되며, 양면테이프를 진공흡입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경사부(174)를 갖는 홀딩홈(175) 및 그 홀딩홈의 일측으로 다수 개의 흡착공(172)이 형성된 홀딩블록(1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80)는 공압으로 작동되며, 부착헤드(170)의 일측에 고정되는 테이블실린더(181)와, 상기 테이블실린더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테이블실린더(181)의 작동에 따라 일정구간 승강하며, 양면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182)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KR1020100099305A 2010-10-12 2010-10-12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KR20100116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05A KR20100116573A (ko) 2010-10-12 2010-10-12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05A KR20100116573A (ko) 2010-10-12 2010-10-12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73A true KR20100116573A (ko) 2010-11-01

Family

ID=434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305A KR20100116573A (ko) 2010-10-12 2010-10-12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5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8B1 (ko) * 2011-12-26 2012-05-11 김태영 보호필름 부착기
KR101529485B1 (ko) * 2013-11-18 2015-06-29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절단장치
KR20160025207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필름 제조장치
CN109185296A (zh) * 2018-10-23 2019-01-11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玻璃侧面贴胶带压边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8B1 (ko) * 2011-12-26 2012-05-11 김태영 보호필름 부착기
KR101529485B1 (ko) * 2013-11-18 2015-06-29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절단장치
KR20160025207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필름 제조장치
CN109185296A (zh) * 2018-10-23 2019-01-11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玻璃侧面贴胶带压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1065A1 (en) Film-applying machine
JP5946635B2 (ja) マスク印刷装置
KR20100116573A (ko) 글라스 측면 테이프 부착용 테이프 부착장치
CN105314421A (zh) Pcb板抓取结构
KR101933298B1 (ko) 접착필름용 접착시트 부착장치
KR101318045B1 (ko) 패널이동용 진공 흡착기
KR10154104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CN106542309B (zh) 一种载具供应机
KR101431206B1 (ko) 필름 커팅장치
KR20190059574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746950B1 (ko) 소재 로딩장치
KR20090035277A (ko) 인쇄회로기판 언로딩장치
JP2000219344A (ja) 吸着装置
TWM449806U (zh) 玻璃切割機之移載機構
JP2008135577A (ja)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KR101354690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장치
KR102067987B1 (ko) 기판 절단 장치
WO2011024485A1 (ja) 板状部材の支持装置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JP2013205764A (ja) 露光装置
JP2019067834A (ja) 部品実装装置、部品実装ライン、部品実装装置による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ラインによる部品実装方法
KR102067986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517487B1 (ko) 무늬목 정렬 유닛을 구비한 목재 접합장치
CN112441269A (zh) 一种终端电子产品机身保护膜自动包膜装置
CN111842030A (zh) 作业台和具有其的点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