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602A -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602A
KR20160083602A KR1020140195839A KR20140195839A KR20160083602A KR 20160083602 A KR20160083602 A KR 20160083602A KR 1020140195839 A KR1020140195839 A KR 1020140195839A KR 20140195839 A KR20140195839 A KR 20140195839A KR 20160083602 A KR20160083602 A KR 2016008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ignal
control unit
data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128B1 (ko
Inventor
황인성
김종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28B1/ko
Priority to US14/981,409 priority patent/US9837006B2/en
Priority to CN201511019153.1A priority patent/CN105741800B/zh
Publication of KR2016008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with thermally address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각 구성 요소, 예컨대 LVDS 인터페이스,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회로,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각각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들을 입력받아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진단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체적으로 해결 가능한 이상 발생을 해결하여 다른 외부 시스템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복잡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소스 드라이브에서 데이터 전압이 액정액정 표시 패널로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자동차에 채용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에 액정 표시 장치가 채용되어 네비게이션이나 비디오 재생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이상으로 네비게이션의 화면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 네비게이션에 의지하여 목적지를 향해 운전 중인 운전자에게 커다란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이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액정 표시 장치의 상세한 부분에서의 진단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와 관련된 기술이 활발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부분의 진단을 통해 이상 가능성을 보다 정밀하게 진단하도록 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각 구성 요소, 예컨대 LVDS 인터페이스,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회로,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각각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들을 입력받아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진단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체적으로 해결 가능한 이상 발생을 해결하여 다른 외부 시스템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복잡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각 구성 요소, 예컨대 LVDS 인터페이스,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회로,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각각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들을 입력받아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진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그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 스스로 액정 표시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액정 표시 장치 자체에서 종합적인 진단 및 그 결과만을 통보하여 줄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 각각과 시스템 제어부 사이 단일 신호 라인만이 필요하므로 신호 라인 수를 현저히 줄여 라인의 복잡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진단 결과만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 각각으로부터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면, 시스템 제어부는 그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결국,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요소 등에서 검출되는 이상 유무 정보를 일일이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구성 요소에서의 이상 유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라인들이 필요하지 않아 신호 라인 수를 현저히 줄여 라인의 복잡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를 만드는 메이커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를 만드는 전문가이므로, 전문가인 액정 표시 장치 전문가인 메이커가 각 액정 표시 장치에 특화된 진단 회로를 레이아웃함으로써, 각 액정 표시 장치의 진단 성능이 더욱 더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해결 가능한 이상 발생은 해당 액정 표시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므로 시스템 제어부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복잡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이 구비된 자동차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2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3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진단 제어부에서 제3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이 구비된 자동차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10, 20, 3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운전석의 앞에 장착되고,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센터 페시아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3 액정 표시 장치(30)는 뒷좌석의 앞, 즉 운전석이나 조수석 카시트의 등받이 뒷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액정 표시 장치(30)는 운전석 카시트의 등받이 뒷면 상에만 장착되거나 운전석 카시트와 조수석 카시트 모두의 등받이 뒷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계기판용 표시장치이고,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네비게이션용 표시장치이며, 제3 액정 표시 장치(30)는 엔터테인먼트용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정 표시 장치(10) 상에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다양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액정 표시 장치(20) 상에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오디오 기능이나 비디오 기능, 라디오 선국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액정 표시 장치(30)는 엔터테인먼트 정보, 예컨대,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노래방, 게임 등이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운전자가 운전을 하는데 있어서, 수시로 체크해야 할 정보들이 표시되므로, 이들 기기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만일 제1 액정 표시 장치(10)에 이상이 발생되어 어떤 정보들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현재 운전 상태나 연료 상태 또는 자동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상황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만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 이상이 발생되어 어떤 정보들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목적지에 가는 길을 스스로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액정 표시 장치(10, 20)는 예컨대, 제3 액정 표시 장치(30)에 우선하여 이상 유무가 종합적으로 체크되어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진단이 내려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특히 제1 및 제2 액정 표시 장치(10, 20)에서 보다 세밀하고 다양한 체크 정보를 바탕으로 제1 및 제2 액정 표시 장치(10, 20)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간단하게 자동차의 메인 콘트롤러(도 2의 시스템 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차의 시스템 제어부(40) 스스로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자체에서 종합적인 진단 및 그 결과만을 통보하여 줌으로써,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과 시스템 제어부(40) 사이 단일 신호 라인만이 필요하므로 신호 라인 수를 현저히 줄여 라인의 복잡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를 만드는 메이커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를 만드는 전문가이므로, 전문가인 액정 표시 장치 전문가인 메이커가 각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에 특화된 진단 회로를 레이아웃함으로써, 각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의 진단 성능이 더욱 더 강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와 시스템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0)는 제 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로 해당 정보 내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40)는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다양한 정보 등을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4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2 액정 표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40)는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노래방, 게임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제3 액정 표시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액정 표시 장치(30)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표시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은 자체적으로 이상 유무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그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은 하기 표 1과 같이 이상 정도에 따른 진단 결과를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정도 Lv1 Lv2 Lv3
진단 결과 OK 점검 필요 교체 필요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레벨 1(Lv1)에 해당하는 OK라는 진단 결과를 수신하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레벨 2(Lv2)에 해당하는 점검 필요라는 진단 결과를 수신하면, “점검이 필요하오니, 가까운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중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로 표시하여 주고, 위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줄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레벨 3(Lv3)에 해당하는 교체 필요라는 진단 결과를 수신하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을 제어하여 긴급 상황에 맞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화면 상에 어떠한 정보가 전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40)는 원래 제1 액정 표시 장치(10)에 표시되던 정보, 예컨대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다양한 정보 등을 제2 액정 표시 장치(20)로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액정 표시 장치(20) 상에는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정보만 표시되든지 또는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정보와 함께 네비게이션 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액정 표시 장치(20)의 화면 상에 어떠한 정보가 전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40)는 원래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던 정보, 예컨대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제1 액정 표시 장치(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액정표시장 상에는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정보만 표시되든지 또는 속도 계기판, 연료 계기판, 기타 정보와 함께 네비게이션 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는 터치 기능이 구비되어, 임시적으로 네비게이션 정보가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표시되더라도, 터치 기능이 실행되어 운전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제1 운전자가 입력하는 제1 명령을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하고,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명령에 따라 특정 목적지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전송하고,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운전자가 입력하는 제2 명령을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하고, 시스템 제어부(40)는 제2 명령에 따라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목적지로 가는 안내 기능을 실행하는 한편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목적지로 가는 경로 상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를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전송하고,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수신한 해당 지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40)는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레벨 3(Lv3)에 해당하는 점검 필요라는 진단 결과를 수신하면, “가능한 신속히 가까운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해당 액정 표시 장치를 교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중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로 표시하여 주고, 위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줄 수 있다. 예컨대,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화면 상에 어떠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 경우, 위 메시지는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진단 결과만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각각으로부터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하면, 시스템 제어부(40)는 그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결국, 제1 내지 제3 액정표시장치(10, 20, 30)의 각 구성 요소 등에서 검출되는 이상 유무 정보를 일일이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 구성 요소에서의 이상 유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라인들이 필요하지 않아 신호 라인 수를 현저히 줄여 라인의 복잡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를 만드는 메이커가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를 만드는 전문가이므로, 전문가인 액정 표시 장치 전문가인 메이커가 각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에 특화된 진단 회로를 레이아웃함으로써, 각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의 진단 성능이 더욱 더 강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에서 해결 가능한 이상 발생은 해당 액정 표시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므로 시스템 제어부(40)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복잡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액정 표시 장치(10, 20, 30) 중 어느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액정 표시 장치(10)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제2 및 제3 액정 표시 장치(20, 30) 또한 도 3에 도시한 구성 요소 내지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10)는 인쇄 회로 기판(100), 액정 표시 패널(118) 및 백라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00)은 입력단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컨넥터(102)와 출력단에 장착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컨넥터(104, 10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컨넥터(102)와 출력 컨넥터(104, 105) 각각은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인쇄 회로 기판(100) 상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출력 컨넥터는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118)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컨넥터(104)와 신호를 백라이트(130)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 컨넥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00)의 제1 출력 컨넥터(104)는 제1 캐리어 패키지(122)를 매개로 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에 접속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00)의 제2 출력 컨넥터(105)는 제2 캐리어 패키지(124)를 매개로 하여 백라이트(130)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캐리어 패키지(122, 124) 각각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일 측은 인쇄 회로 기판(100)의 제1 출력 컨넥터(104)에 끼움 삽입되고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타 측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패키지(122)와 액정 표시 패널(118) 간의 본딩 결합 정도에 따라 본딩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캐리어 패키지(122)와 액정 표시 패널(118) 간의 본딩 결합이 양호하지 않으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와 액정 표시 패널(118) 사이의 본딩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18)로 공급되는 신호가 이러한 본딩 저항으로 인해 드롭(drop)되어 결국 신호 지연이 발생되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화질이 저하되거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캐리어 패키지(124)의 일 측은 인쇄 회로 기판(100)의 제2 출력 컨넥터(105)에 끼움 삽입되고 제2 캐리어 패키지(124)의 타 측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백라이트(130)에 접속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00)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회로나 집적회로(IC)가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100)은 LVDS 인터페이스(106), 타이밍 제어부(108), 전원전압 생성부(110), 백라이트 구동부(112), 진단 제어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VDS 인터페이스(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106)는 시스템 제어부(40)와 입력 컨텍터로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부(40)의 신호를 잡음 없이 고속으로 수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LVDS 인터페이스(106)는 잡음 없이 수신한 신호를 타이밍 제어부(108)로 공급할 수 있다.
LVDS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클럭 신호, 동기 신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신호나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LVDS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 구동회로들(128)과 게이트 구동회로들(26)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회로들(126)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데이터 구동회로들(128)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데이터 구동회로(128)에 접속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데이터 구동회로들(128)을 초기화하기 위한 프리엠블신호(Preamble signal), 데이터 제어신호, 클럭,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신호 등을 EPI(clock Embedded Point-to-point Interface) 데이터신호로서 하나의 데이터 배선 쌍을 통해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EPI 프로토콜 전송 방식에 기반한다.
EPI(clock Embedded Point-to-point Interface) 프로토콜은 아래의 (1) 내지 (3)의 인터페이스 규정을 만족한다.
(1) 데이터 배선 쌍을 경유하여 타이밍 제어부(108)의 송신단과 데이터 구동회로(128)의 수신단을 점 대 점 방식으로 연결한다.
(2) 타이밍 제어부(108)와 데이터 구동회로(128) 사이에 별도의 클럭 배선 쌍을 연결하지 않는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데이터 배선 쌍을 통해 클럭신호와 함께 데이터 제어신호 및 비디오 데이터신호를 데이터 구동회로들(128)로 전송할 수 있다.
(3) 데이터 구동회로들(128) 각각에 CDR(Clock and Data Recovery)을 위한 DLL(Delay Locked Loop, 이하 DLL)가 내장되어 있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DLL의 출력 위상과 주파수가 고정(lock)될 수 있도록 프리엠블신호를 데이터 구동회로(128)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8)에 내장된 DLL는 그 출력의 위상이 고정된 후에 데이터 배선 쌍을 통해 프리엠블신호와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내부 클럭을 발생할 수 있다.
EPI 전송 프로토콜 방식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27458(2008-12-15), 미국 출원 12/543,996(2009-08-19),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27456(2008-12-15), 미국 출원 12/461,652(2009-08-19),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32466(2008-12-23), 미국 출원 12/537,341(2009-08-07)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전원전압 생성부(110)는 다수의 구동 전압들, 다수의 기준 전압들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구동 전압들 각각은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 예컨대 LVDS 인터페이스(106), 타이밍 제어부(108), 백라이트 구동부(112) 및 진단 제어부(114)에 공급될 수 있다. 기준 전압들은 예컨대 다수의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백라이트 구동부(112)는 타이밍 제어부(108)의 제어 하에 백라이트(1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백라이트(130)는 다수의 램프나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어, 백라이트 구동부(112)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발광되는 광의 세기가 달라지거나 특정 방향을 따라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18)은 화상을 표시하는 한편, 제1 캐리어 패키지(122)를 매개로 인쇄 회로 기판(100)에 접속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18)은 하부 기판(116), 상부 기판(115) 그리고 이들 기판들(115, 116)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116) 상에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화소(P)가 정의될 수 있다. 각 화소(P)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5)에는 각 화소(P)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컬러필터, 컬러필터를 분리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공통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이 하부 기판(116)과 상부 기판(115)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공통 전극은 액정 표시 패널(118)이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부 기판(115)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화소 전극과 함께 하부 기판(11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18)은 각 화소(P)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118) 상에 게이트 구동회로들(126)과 데이터 구동회로들(128)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들(126)은 게이트 인 패널(GIP: Gate-In Panel) 기술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 상에 내장될 수 있다. 즉,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때 게이트 구동회로들(126)도 형성될 수 있다.
각 게이트 구동회로(126)는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들(128)은 집접회로(IC) 형태로 제조되어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116)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본딩 방식을 칩 온 글라스(COG: Chip On Glass) 방식이라 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들(128)과 액정 표시 패널(118) 간의 본딩 결합 정도에 따라 본딩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회로들(128)과 액정 표시 패널(118) 간의 본딩 결합이 양호하지 않으면, 데이터 구동회로들(128)과 액정 표시 패널(118) 사이의 본딩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들(128) 각각의 입력 핀으로 입력되어 출력 핀으로 출력되어 데이터 라인 상으로 공급되는 신호가 이러한 본딩 저항으로 인해 드롭(drop)되어 결국 신호 지연이 발생되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화질이 저하되거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8)는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EPI 데이터신호를 바탕으로 기준 클럭 신호를 설정하고, 이 기준 설정 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제어신호 및 극성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데이터 제어신호 및 극성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8)의 각 화소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게이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도통되고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이 박막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화소 전극으로 인가되며, 공통 전극으로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화소 전극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 사이의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변위하여 광 투과율이 제어되어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상부 기판(115)은 글라스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기반으로 다양한 레이어(layers)가 형성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18)은 가이드 부재 등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10)가 자동차에 장착되는 경우, 자동차의 강한 진동, 예컨대 엔진으로 인한 진동,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한 진동, 주변 자동차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진동, 자동차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표시 패널(118)은 가이드 부재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및/또는 상부 기판(115)이 깨질 수 있다(크랙(crack) 발생). 하부 기판(116) 및/또는 상부 기판(115)이 깨지는 경우, 다양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 예컨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공통 전압 라인, 라인 온 글라스(LOG: Line On Glass, 이하 LOG라 함) 신호 라인이 단선될 수 있다. 이들 신호 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신호 전달이 불가능해져 액정 표시 패널(118)에 이상이나 오동작이 발생되어 화상이 찌그러지거나 표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들 신호 라인의 단선 여부가 검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액정 표시 패널(118),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116) 및/또는 상부 기판(115)의 테두리를 따라 크랙 검출 라인(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들, 예컨대 LVDS 인터페이스(106), 타이밍 제어부(108), 전원전압 생성부(110), 백라이트 구동부(112), 데이터 구동회로(128) 각각에서 신호나 전압의 입출력에 이상이 없는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8)에 원하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의 입출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오동작으로 인해 화상이 찌그러지거나 아예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구성 요소들 모두의 입출력에서 발생되는 신호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이상 유무 관련 신호들(① 내지 ⑧, 이하, 검출 신호라 함) 모두를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단 제어부(114)는 이들 이상 유무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하고 진단 결과(⑨)를 생성하여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8 검출신호(① 내지 ⑧)가 검출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검출 신호(①)는 예컨대, 제1 캐리어 패키지(122) 및/또는 데이터 구동회로(128)의 본딩 저항으로 인해 드롭(drop)된 신호일 수 있다.
제2 검출 신호(②)는 예컨대, 데이터 구동회로(128) 각각에서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전달된 EPI 데이터신호의 복원에 이상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3 검출 신호(③)는 액정 표시 패널(118)에서 발생되는 크랙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4 검출 신호(④)는 데이터 구동회로(128)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4 검출 신호(④)는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데이터 구동회로(128)로 전달되는 데이터 구동 전압이 전류 값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제5 검출 신호(⑤)는 LVDS 인터페이스(106)의 에러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6 검출 신호(⑥)는 백라이트 구동부(112)의 에러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7 검출 신호(⑦)는 외부로부터 입력 컨넥터(102)를 경유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10)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전압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제8 검출 신호(⑧)는 백라이트 구동부(1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백라이트 구동부(112)로 공급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40)는 진단 제어부(114)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⑨)를 바탕으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대응 조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제1 액정 표시 장치)가 아닌 다른 액정 표시 장치, 예컨대 제2 및/또는 제3 액정 표시 장치로 조치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초기화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주요 검출 신호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들은 도 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도면 부호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캐리어 패키지(122)를 매개로 데이터 구동회로들(128)은 인쇄 회로 기판(100)에 접속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은 칩 온 글라스(COG) 방식으로 액정 표시 패널,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116)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의 입출력 핀들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된 패턴 신호 라인들(201 내지 209)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상에 라인 온 글라스(LOG) 방식으로 형성된 LOG 신호 라인들(211 내지 225)에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의 입출력 핀들은 대응하는 LOG 신호 라인들(211 내지 225)에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과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간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 간의 본딩 결합 정도에 따라 본딩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과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및/또는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 간의 본딩 결합이 양호하지 않으면, 및/또는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사이의 본딩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 각각의 입력 핀으로 입력되어 출력 핀으로 출력되어 데이터 라인 상으로 공급되는 신호나 제1 캐리어 패키지(122)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으로 공급되는 신호가 이러한 본딩 저항으로 인해 드롭(drop)되어 결국 신호 지연이 발생되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화질이 저하되거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이 구비되는 경우, 본딩 저항 측정을 위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에 제1 내지 제5 패턴 신호 라인들(201 내지 209)이 구비되고,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에 제1 내지 제8 LOG 신호 라인들(211 내지 2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이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1 LOG 신호 라인(211)에 접속되고, 제1 LOG 신호 라인(211)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1 입력 핀에 접속되고, 제1 입력 핀은 제1 출력 핀에 접속되고, 제1 출력 핀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2 LOG 신호 라인(213)에 접속되고 제2 LOG 신호 라인(213)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03)에 접속되고,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03)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3 LOG 신호 라인(215)에 접속되고, 제3 LOG 신호 라인(215)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2 입력 핀에 접속되고, 제2 입력 핀은 제2 출력 핀에 접속되고, 제2 출력 핀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4 LOG 신호 라인(217)에 접속되고, 제4 LOG 신호 라인(217)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3 패턴 신호 라인(205)에 접속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패턴 신호 라인(205)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5 LOG 신호 라인(219)에 접속되고, 제5 LOG 신호 라인(219)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1 입력 핀에 접속되고, 제1 입력 핀은 제1 출력 핀에 접속되고, 제1 출력 핀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6 LOG 신호 라인(221)에 접속되고, 제6 LOG 신호 라인(221)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4 패턴 신호 라인(207)에 접속되고, 제4 패턴 신호 라인(207)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7 LOG 신호 라인(223)에 접속되고, 제7 LOG 신호 라인(223)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2 입력 핀에 접속되고, 제2 입력 핀은 제2 출력 핀에 접속되고, 제2 출력 핀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기판(116)의 제8 LOG 신호 라인(225)에 접속되고, 제8 LOG 신호 라인(225)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5 패턴 신호 라인(209)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때,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으로 본딩 저항 검사를 위한 기준 전압, 예컨대 3.3V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타이밍 제어부(108)나 전원전압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으로 인가될 수 있다.
기준 전압은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으로 인가된 후, 하부 기판(116)의 제1 LOG 신호 라인(211),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1 입력 핀 및 제1 출력 핀, 하부 기판(116)의 제2 LOG 신호 라인(213),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03), 하부 기판(116)의 제3 LOG 신호 라인(215),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2 입력 핀 및 제2 출력 핀, 하부 기판(116)의 제4 LOG 신호 라인(217),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3 패턴 신호 라인(205), 하부 기판(116)의 제5 LOG 신호 라인(219),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1 입력 핀 및 제1 출력 핀, 하부 기판(116)의 제6 LOG 신호 라인(221),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4 패턴 신호 라인(207), 하부 기판(116)의 제7 LOG 신호 라인(223),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2 입력 핀 및 제2 출력 핀 및 하부 기판(116)의 제8 LOG 신호 라인(225)을 경유한 후,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5 패턴 신호 라인(209)을 통해 제1 검출 신호(①)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검출 신호(①)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되고, 진단 제어부(114)는 제1 검출 신호(①)를 바탕으로 본딩 결합 불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3.3V의 기준 전압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으로 공급되었는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5 패턴 신호 라인(209)으로 2V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내지 제5 패턴 신호 라인(209)들,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의 제1 내지 제8 LOG 신호 라인(225)들,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들(128a, 128b)의 제1 및 제2 입력 핀들과 제1 및 제2 출력 핀들 서로 간의 본딩 저항에 기인하여 1V의 전압 드롭(drop)이 발생됨이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5 패턴 신호 라인(209)을 통해 출력되는 제1 검출 신호(①)는 기준 전압을 바탕으로 하기와 같은 본딩 저항들에 기인하여 드롭(drop)된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검출 신호(①)를 통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와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사이의 본딩 결합 정도와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 간의 본딩 결합 정도가 파악될 수 있다.
제1 검출 신호(①)에 반영된 본딩 저항으로는 제1 검출 신호(①)에는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01)과 하부 기판(116)의 제1 LOG 신호 라인(211) 간의 본딩 저항, 제1 LOG 신호 라인(211)과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1 입력 핀 간의 본딩 저항,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1 출력 핀과 하부 기판(116)의 제2 LOG 신호 라인(213) 간의 본딩 저항, 제2 LOG 신호 라인(213)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03) 간의 본딩 저항, 제2 패턴 신호 라인(203)과 하부 기판(116)의 제3 LOG 신호 라인(215) 간의 본딩 저항, 제3 LOG 신호 라인(215)과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2 입력 핀 간의 본딩 저항,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제2 출력 핀과 하부 기판(116)의 제4 LOG 신호 라인(217) 간의 본딩 저항, 제4 LOG 신호 라인(217)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3 패턴 신호 라인(205) 간의 본딩 저항, 제3 패턴 신호 라인(205)과 하부 기판(116)의 제5 LOG 신호 라인(219) 간의 본딩 저항, 제5 LOG 신호 라인(219)과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1 입력 핀 간의 본딩 저항,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1 출력 핀과 하부 기판(116)의 제6 LOG 신호 라인(221) 간의 본딩 저항, 제6 LOG 신호 라인(221)과 캐리어 기판의 제4 패턴 신호 라인(207) 간의 본딩 저항, 제4 패턴 신호 라인(207)과 하부 기판(116)의 제7 LOG 신호 라인(223) 간의 본딩 저항, 제7 LOG 신호 라인(223)과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2 입력 핀 간의 구동 저항,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제2 출력 핀과 하부 기판(116)의 제8 LOG 신호 라인(225) 간의 구동 저항 및 제8 LOG 신호 라인(225)과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5 패턴 신호 라인(209) 간의 본딩 저항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 이외에 또 다른 데이터 구동회로들이 더 구비된다면, 이들 데이터 구동회로들 또한 위와 마찬가지 접속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2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5를 참고하면,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EPI 데이터신호들과 함께 락(LOCK)신호가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로 공급될 수 있다. EPI 데이터신호들은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로 공급되는 한편, 락(LOCK)신호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로 공급되고, 인접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들(128b)로 전달되어 마지막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부터 피드백신호가 제2 검출 신호(②)로서 출력되어 타이밍 제어부(108) 및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검출 신호(②)를 바탕으로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의 이상 유무가 파악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하이 레벨의 락(LOCK)신호가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지막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부터 출력되는 제2 검출 신호(②)가 여전히 하이 레벨인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에 이상이 없음을 나타내지만, 제2 검출 신호(②)가 로우 레벨인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회로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제어부(114)는 제2 검출 신호(②)를 바탕으로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락(LOCK)신호의 입력과 제2 검출 신호(②)의 출력을 위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그리고 데이터 구동회로들(128a, 128b)은 다음과 같이 접속될 수 있다.
락(LOCK)신호의 입력과 제2 검출 신호(②)의 출력을 위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제1 내지 제3 패턴 신호 라인들(231 내지 235)이 형성되고,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상에 제1 내지 제4 LOG 신호 라인들(241 내지 24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패턴 신호 라인들(231 내지 235)과 하부 기판(116) 상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LOG 신호 라인들(241 내지 247)은 도 4에서 본딩 저항에 기인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제1 검출 신호(①)를 위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 패턴 신호 라인들(201 내지 209)과 하부 기판(116)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8 LOG 신호 라인들(211 내지 225)과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31)이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의 제1 LOG 신호 라인(241)에 접속되고, 제1 LOG 신호 라인(241)은 본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입력 핀에 접속되고, 입력 핀은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들을 경유하여 출력 핀에 접속되고, 출력 핀은 하부 기판(116)의 제2 LOG 신호 라인(243)에 접속되고, 제2 LOG 신호 라인(243)은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33)에 접속되고, 제2 패턴 신호 라인(233)은 하부 기판(116)의 제3 LOG 신호 라인(245)에 접속되고, 제3 LOG 신호 라인(245)은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입력 핀에 접속되고, 입력 핀은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들을 경유하여 출력 핀에 접속되고, 출력 핀은 하부 기판(116)의 제4 LOG 신호 라인(247)에 접속되고, 제4 LOG 신호 라인(247)은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3 패턴 신호 라인(235)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231)으로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전달되는 락(LOCK)신호가 공급되면, 락(LOCK)신호가 하부 기판(116)의 제1 LOG 신호 라인(241),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의 입력 핀, 내부 회로들 및 출력 핀, 하부 기판(116)의 제2 LOG 신호 라인(243),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33), 하부 기판(116)의 제3 LOG 신호 라인(245),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의 입력 핀, 내부 회로들 및 출력 핀 및 하부 기판(116)의 제4 LOG 신호 라인(247)을 통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233)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락(LOCK)신호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나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를 경유하면서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에 이상이 있고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에 이상이 없는 경우, 락(LOCK)신호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에 이상이 있으므로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를 경유하면서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되고, 로우 레벨의 락(LOCK)신호가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 전달되고, 로우 레벨의 락(LOCK)가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에서는 레벨 변화가 없게 되어, 결국 로우 레벨의 락(LOCK)신호가 제2 검출 신호(②)로서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를 로우 레벨의 제2 검출 신호(②)를 바탕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회로에 이상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에 이상이 없고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에 이상이 있는 경우, 락(LOCK)신호는 제1 데이터 구동회로(128a)를 경유하면서 레벨 변화가 없게 되므로,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전달된 하이 레벨의 락(LOCK)신호가 그대로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 전달되고,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가 이상이 있으므로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에서 하이 레벨의 락(LOCK)신호가 로우 레벨의 락(LOCK)신호로 변경되어 제2 데이터 구동회로(128b)로부터 로우 레벨의 락(LOCK)가 제2 검출 신호(②)로서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3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을 참고하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테두리를 따라 크랙 검출 라인(120)이 배치될 수 있다. 크랙 검출 라인(120)은 하부 기판(116) 및 상부 기판(115) 모두 또는 하부 기판(116) 및 상부 기판(115) 중 어느 하나의 기판 또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크랙 검출 라인(120)이 하부 기판(116) 상에 배치되는 경우, 크랙 검출 라인(120)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되므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랙 검출 라인(120)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화소 전극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크랙 검출 라인(120)이 상부 기판(115) 상에 배치되는 경우, 크랙 검출 라인(120)은 공통 전극이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되므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랙 검출 라인(120)은 공통 전극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크랙 검출 라인(120)의 일 단은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패턴 신호 라인과 접속되고, 크랙 검출 라인(120)의 타 단은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2 패턴 신호 라인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패턴 신호 라인은 본딩 저항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 패턴 신호 라인들(도 4)이나 락(LOCK)신호의 이상 유무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캐리어 패키지(122) 상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패턴 신호 라인들(도 5)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과 상부 기판(115)은 글라스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기반으로 다양한 레이어(layers)가 형성되어,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118)의 하부 기판(116) 및/또는 상부 기판(115)가 깨질 수 있다. 하부 기판(116) 및/또는 상부 기판(115)이 깨지는 경우, 다양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 예컨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공통 전압 라인, 라인 온 글라스(LOG: Line On Glass, 이하 LOG라 함) 신호 라인이 단선될 수 있다. 이들 신호 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신호 전달이 불가능해져 액정 표시 패널(118)에 이상이나 오동작이 발생되어 화상이 찌그러지거나 표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신호 라인의 단선 여부가 검출하기 위해 크랙 검출 라인(12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전압이 타이밍 제어부(108)나 전원전압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액정 표시 패널(118) 상에 배치되는 크랙 검출 라인(120)을 경유하여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으로 제3 검출 신호(③)로서 출력될 수 있다. 제3 검출 신호(③)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되고, 진단 제어부(114)는 제3 검출 신호(③)를 바탕으로 크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118)에 크랙이 발생되어 신호 라인들이 단선되고 크랙 검출 라인(120)도 단선되는 경우,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으로 제3 검출 신호(③)로서 어떠한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118)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아 크랙 검출 라인(120)도 단선되지 않는다면,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2 패턴 신호 라인으로 제1 캐리어 패키지(122)의 제1 패턴 신호 라인으로 공급되는 기준 전압과 동일한 레벨이나 기준 전압에 근접한 레벨의 전압이 제2 검출 신호(②)로서 출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검출 신호(④)는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데이터 구동회로(128)로 공급되는 데이터 구동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 구동 전압을 전류값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구동회로(128)의 소비 전류를 제4 검출 신호(④)로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4 검출 신호(④)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검출 신호(⑤)는 LVDS 인터페이스(106)에 내장된 에러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신호일 수 있다. LVDS 인터페이스(106)의 에러 검출부는 시스템 제어부(4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의 에러 발생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발생 유무 결과를 반영한 검출 신호가 제5 검출 신호(⑤)로서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검출 신호(⑥)는 백라이트 구동부(112)에 내장되는 에러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신호일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12)는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을 바탕으로 타이밍 제어부(108)의 제어 하에 백라이트(130)로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12)의 에러 검출부는 이와 같이 백라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러 유무를 제6 검출 신호(⑥)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6 검출 신호(⑥)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검출 신호(⑦)는 외부로부터 입력 컨넥터(102)를 경유하여 전원전압 생성부(110)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전압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메인 전원전압은 외부에서 이상이 발생하든지 또는 입력 커넥터에서 이상이 발생하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컨넥터(102)로부터 전원전압 생성부(110)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전압의 이상 유무가 제7 검출 신호(⑦)로서 검출되고, 제7 검출 신호(⑦)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검출 신호(⑧)는 백라이트 구동부(1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백라이트 구동부(112)로 백라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원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전원전압 생성부(110)와 백라이트 구동부(112) 사이의 신호 라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되는 전원전압이 제대로 백라이트 구동부(112)로 공급될 수 없다. 따라서, 전원전압 생성부(110)로부터 백라이트 구동부(112)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이상 유무가 제8 검출 신호(⑧)로서 검출되고, 제8 검출 신호(⑧)는 진단 제어부(114)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타이밍 제어부(108)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검출 신호와 게이트 구동회로(126)에 대한 검출 신호 또한 진단 제어부(114)로 전송되어 진단 제어부(114)의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114)는 제 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가 입력되고, 이들 제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을 내리고 진단 결과(⑨)를 생성하여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는 제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이 입력되기 위한 제1 내지 제8 입력 핀들과 진단 결과(⑨)가 출력되기 위한 출력 핀이 할당될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는 제1, 제4, 제7 및 제8 검출 신호들(①, ④, ⑦, ⑧)은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진단 제어부(114)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디아날로그 신호를 지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가 제1, 제4, 제7 및 제8 검출 신호들(①, ④, ⑦, ⑧)이 입력되는 제1, 제4, 제7 및 제8 입력 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⑥)는 디지털 신호이므로, 별도의 ADC가 필요하지 않다.
한편, 제3 검출 신호(③)는 신호 발생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회로가 구비되어 제3 검출 신호(③)가 이 회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데, 이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진단 결과(⑨)는 상기 표 1과 같이 내려질 수 있다. 즉, 진단 결과(⑨)는 레벨 1(Lv1)에서는 OK이고, 레벨 2(Lv2)에서는 점검 필요이며, 레벨 3(Lv3)에서는 교체 필요로 내려질 수 있다.
진단 결과(⑨)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 비(duty ratio)를 이용하거나 I2C 통신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도 3의 진단 제어부에서 제3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검출 신호(③)는 진단 제어부(114)에 내장된 회로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제3 검출 신호(③)가 입력되는 진단 제어부(114)의 입력 핀과 그라운드 접지 사이에 제1 및 제2 저항기가 배치되고, 제3 검출 신호(③)는 제1 및 제2 저항기 사이의 노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3 검출 신호(③)는 액정 표시 패널(118)의 크랙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118)에 크랙이 발생되어 크랙 검출 라인(120)이 단선되는 경우, 제3 검출 신호(③)로서 어떠한 신호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진단 제어부(114)의 입력 핀으로 통해 제3 검출 신호(③)가 입력되지 않게 되므로, 제1 및 제2 저항기 사이의 노드를 통해 어떠한 전압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진단 제어부(114)는 이러한 경우 로우 레벨의 제3 검출 신호(③)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액정 표시 패널(118)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아 크랙 검출 라인(120)이 단선되지 않는 경우, 제3 검출 신호(③)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단 제어부(114)의 입력 핀으로 제3 검출 신호(③)가 출력되므로, 제3 검출 신호(③)가 제1 및 제2 저항기 사이의 노드를 통해 제1 및 제2 저항기에 의한 전압 분배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는 이러한 경우 하이 레벨의 제3 검출 신호(③)로 인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은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114)에 앤드 게이트(140)가 연결될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로 제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이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 중 일부 검출 신호들, 예컨대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은 곧바로 진단 제어부(114)로 입력되지 않고 앤드 게이트(140)의 제1 내지 제3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앤드 게이트(140)은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을 앤드 연산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진단 제어부(114)로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앤드 게이트(140)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 중 어느 하나의 검출 신호라도 로우 레벨인 경우 앤드 게이트(140)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 중 어느 하나의 검출 신호가 이상이 있음을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앤드 게이트(140)에 의해 3개의 검출 신호들, 즉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이 처리되어 하나의 출력 신호만이 진단 제어부(114)로 출력되므로, 진단 제어부(114)의 입력 핀들의 개수가 줄어 들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114)(도 7)는 제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을 입력받기 위해 8개의 입력 핀들이 필요한데 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부(114)(도 9)는 제1 내지 제8 검출 신호들(① 내지 ⑧)을 입력받기 위해 5개의 입력 핀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진단 제어부(114)의 입력 핀들이 줄어들어 IC 칩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진단 제어부(114)는 제1, 제3, 제4, 제7 및 제8 검출 신호들(①, ③, ④, ⑦, ⑧)을 직접 입력받고, 제2, 제5 및 제6 검출 신호들(②, ⑤, ⑧)이 앤드 게이트(140)에 의해 앤드 연산 처리되어 출력되는 하나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 검출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을 내리고 진단 결과(⑨)를 생성하여 시스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20, 30: 액정 표시 장치 40: 시스템 제어부
100: 인쇄 회로 기판 102, 104, 105: 컨넥터
106: LVDS 인터페이스 108: 타이밍 제어부
110: 전원전압 생성부 112: 백라이트 구동부
114: 진단 제어부 115: 상부 기판
116: 하부 기판 118: 액정 표시 패널
120: 크랙 검출 라인 122, 124: 캐리어 패키지
126: 게이트 구동회로 128: 데이터 구동회로
130: 백라이트 140: 앤드 게이트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검출 신호

Claims (7)

  1. 외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LVDS 인터페이스;
    상기 LVDS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회로;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상기 LVDS 인터페이스, 상기 타이밍 제어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및
    적어도 상기 LVDS 인터페이스, 상기 타이밍 제어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각각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들을 입력받아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진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크랙 검출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 라인의 단선 여부에 따른 검출 신호가 상기 진단 제어부로 전송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액정 표시 패널 상에 실장되고,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사이의 본딩 저항에 기인한 전원 드롭(drop)을 반영한 검출 신호가 진단 제어부로 전송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락(LOCK)신호의 레벨 변화에 따른 검출 신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의 이상 유무가 검출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제어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LVDS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및 백라이트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를 앤드 연산 처리하여 하나의 출력 신호를 상기 진단 제어부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자동차의 다수의 위치들에 장착되어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다수의 액정 표시 장치들;
    상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그 진단 결과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들 각각은,
    외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LVDS 인터페이스;
    상기 LVDS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회로;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상기 LVDS 인터페이스, 상기 타이밍 제어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및
    적어도 상기 LVDS 인터페이스, 상기 타이밍 제어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전원전압 생성부 각각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진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PWM 듀티 비(duty ratio)나 I2C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진단 제어부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40195839A 2014-12-31 2014-12-31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3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39A KR102236128B1 (ko) 2014-12-31 2014-12-31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4/981,409 US9837006B2 (en) 2014-12-31 2015-12-28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with the same
CN201511019153.1A CN105741800B (zh) 2014-12-31 2015-12-30 液晶显示装置及具有该液晶显示装置的显示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39A KR102236128B1 (ko) 2014-12-31 2014-12-31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602A true KR20160083602A (ko) 2016-07-12
KR102236128B1 KR102236128B1 (ko) 2021-04-05

Family

ID=5616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39A KR102236128B1 (ko) 2014-12-31 2014-12-31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37006B2 (ko)
KR (1) KR102236128B1 (ko)
CN (1) CN10574180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04A1 (ko) * 2017-03-15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WO2018182285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78832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1550B2 (ja) * 2015-08-10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表示装置
US10339882B2 (en) * 2015-12-09 2019-07-02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Fault-tolerant AMLCD display
JP2017181574A (ja) *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WO2017183183A1 (ja) * 2016-04-22 2018-11-0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監視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102601650B1 (ko) *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1299B1 (ko) * 2016-08-30 202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파워 모니터링 회로
KR102564167B1 (ko) * 2016-09-23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그것의 구동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827753B2 (ja) * 2016-09-28 2021-02-1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回路
CN106531040A (zh) * 2016-12-27 2017-03-22 上海小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器智能检测系统
KR102391459B1 (ko) * 2017-06-01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05741A (zh) * 2017-09-07 2018-02-16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输入输出控制器和数据输入输出控制方法
WO2019050020A1 (ja) 2017-09-08 2019-03-14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
CN109817126A (zh) * 2017-11-21 2019-05-28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车用显示检错系统与方法
KR102460323B1 (ko) 2018-03-08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지정된 핀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JP2020067633A (ja) * 2018-10-26 2020-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コントローラー、表示制御システム、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KR102563285B1 (ko) * 2018-11-05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0140017A (ja) * 2019-02-27 2020-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駆動回路、液晶駆動コントローラ、及び、液晶表示装置
CN109976213A (zh) * 2019-03-12 2019-07-0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双屏显示控制方法、显示装置以及烹饪装置
CN112669740B (zh) * 2020-12-30 2023-05-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的检测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430408B1 (en) * 2021-03-29 2022-08-30 Dell Products L.P. Detecting display device failures using power consumption profiling
KR20230004149A (ko) * 2021-06-30 2023-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990231A (zh) * 2021-11-22 2022-01-28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显示异常切换系统
KR20230131349A (ko) * 2022-03-03 2023-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613303B (zh) * 2022-03-18 2023-10-2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控制系统故障预测方法及装置
US20230401986A1 (en) * 2022-06-14 2023-12-1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etection of a malfunctioning display using power measur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159A (ko) * 2011-08-25 2013-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32718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 백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멀티 펑션 드라이버 회로 그리고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20140055674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본딩 테스트 시스템
JP2014122974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317B2 (ja) * 2007-07-23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内表示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列車内表示器管理方法
EP2302619A4 (en) * 2008-07-07 2013-01-02 Mitsubishi Electric Corp ON-BOARD DISPLAY MANAGEMENT SYSTEM AND ON-BOARD DISPLAY MANAGEMENT METHOD FOR RAILWAY TRAINS
CN101719352B (zh) * 2008-10-09 2012-07-2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盒成盒后检测装置和方法
KR100968277B1 (ko) 2008-12-15 2010-07-06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US20100244705A1 (en) * 2009-03-27 2010-09-30 Hajjar Roger A Detecting Screen Breakage in Display Systems
KR101276557B1 (ko) * 2010-12-14 2013-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159A (ko) * 2011-08-25 2013-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32718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 백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멀티 펑션 드라이버 회로 그리고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20140055674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본딩 테스트 시스템
JP2014122974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04A1 (ko) * 2017-03-15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WO2018182285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20714B2 (en) 2017-03-28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detecting crack i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580887B2 (en) 2017-03-28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detecting crack i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00078832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9581A1 (en) 2016-06-30
CN105741800B (zh) 2018-06-26
KR102236128B1 (ko) 2021-04-05
CN105741800A (zh) 2016-07-06
US9837006B2 (en)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12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66560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ircuit board with co-layout design of multiple connector placement sites and related circuit board thereof
US8847941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device
EP2637031A1 (en) Led lighting device and cable connection detection device
CN110718198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7168368B2 (ja) 表示装置
CN104183222B (zh) 显示装置
US8351009B2 (en)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circuit-mounted board
KR10244972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WO2018171001A1 (zh) 差分信号传输电路及应用其的显示装置
KR102448543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패드 정렬 검사 방법
CN110310586B (zh) 一种tconless板的硬件调试方法
KR20150009817A (ko)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9486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57096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anomaly detection program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US11183138B2 (en) Driving circuit, display module, and mobile body
US10854122B2 (en)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river and display device
KR20180074896A (ko) 표시장치 및 컨트롤러
WO2019029479A1 (zh) 数字开关检测电路及方法
TWI707792B (zh) 用於車輛故障顯示器的功能安全系統以及相關的功能故障系統
WO2021117819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自動車
WO2021117641A1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およ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自動車
EP3724871B1 (e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detecting connection failure of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US20200312212A1 (en) Drive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movable body including electronic apparatus
JP2010191053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