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817A -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817A
KR20150009817A KR20130084214A KR20130084214A KR20150009817A KR 20150009817 A KR20150009817 A KR 20150009817A KR 20130084214 A KR20130084214 A KR 20130084214A KR 20130084214 A KR20130084214 A KR 20130084214A KR 20150009817 A KR20150009817 A KR 2015000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vehicle
message
modul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922B1 (ko
Inventor
차봉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9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하여 차량 계기판 (Cluster)의 고장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클러스터 고장 시에도 주행에 필요한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에 관한 모든 정보와 엔진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상기 클러스터의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일 경우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오류 검출부, 상기 차량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망과 유무선 통신망을 연결하고, 유무선 통신모듈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와 통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luster Fail Saf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Wire and Wireless Gateway}
본 발명은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하여 차량 계기판 (Cluster)의 고장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클러스터 고장 시에도 주행에 필요한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계기판인 클러스터(Cluster)는 운전하는데 필요한 차량의 각종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차량의 속도와 같은 등 주행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전조등 점화 상태, 연료 소모 상태, 전후륜 타이어 압력 상태, 엔진 상태 등의 장치 정보 와 경고 메시지까지 표시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클러스터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MCU 고장 발생시 클러스터를 제어 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차량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LCD 클러스터의 경우 중앙 제어 장치의 고장 발생시 화면을 띄우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차량 주행 중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 클러스터 패널(Panel)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주행 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없어, 운행 중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러스터에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상황 발생시, 주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스마트기기나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로 정보를 전송하여, 클러스터 또는 MCU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다른 기기를 통해 주행에 필요한 차량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차량 주행에 관한 정보와 엔진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클러스터의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일 경우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오류검출부, 차량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망과 유무선 통신망을 연결하고, 유무선 통신모듈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와 통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류 검출부는 클러스터의 메시지 입력이 없거나, 상기 클러스터 패널(Panel)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고장 메시지를 연결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는 Wi-Fi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는 차량 내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차량과 스마트기기간 유무선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클러스터(Cluster) 메시지와 패널(Panel)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메시지와 패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클러스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클러스터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없거나, 패널이 상태가 고장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클러스터를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 생성 완료 후, 스마트기기로 고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고장 메시지를 수신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차량 주행정보 표시 준비 완료 메시지를 전송 받으면 클러스터에 표시되던 주행정보를 스마트기기에 표시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와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차량에 등록된 AVN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는 Wi-Fi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는 차량 주행정보는 차량의 속도 등 차량 주행에 관한 정보 및 차량의 전조등 점화 상태, 연료 소모 상태, 전후륜 타이어 압력 상태 엔진 상태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클러스터에 표시되던 주행정보를 다른 기기에 표시하여 차량의 클러스터 및 MCU 고장 시에도, 운전자가 편리하게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따른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따른 동작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고장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TFT LCD 클러스터(110) 클러스터(110)를 제어하는 MCU (Micro Controller Unit)(120), MCU(120)와 TFT LCD 클러스터(110) 고장 시, 고장여부 및 고장 상태를 판단하고, 클러스터(110)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오류 검출부(130), 브레이크 잠김을 방지하는 (Anti-lock brake system)(140), 차량 엔진을 관리하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150), 차량과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170) 및 전송된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기기(180)를 포함한다.
TFT LCD 클러스터(110)는 운전 시 필요한 차량 주행 정보를 운전자가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는 초박막 액정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있는 화소마다 액티브(active) 소자인 TFT(박막트랜지스터)를 부가,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LCD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성질을 지닌 액정을 넣어 전기자극을 줄 때마다 액정 안에 생기는 빛을 굴절시켜 문자, 화상 등을 띄워주는 표시장치로, TFT-LCD는 유리판 위에 실리콘으로 된 얇은 반도체막을 덮어 해상도를 높여 LCD에 있는 각각의 화소마다 켜거나 끄는 초박막소자인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트랜지스터)를 갖추고 있어,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TFT-LCD는 크게 TFT가 형성되어 있는 아래 유리기판, 컬러필터(Color Filter)가 형성되어 있는 위 유리기판, 그리고 그 사이에 주입된 액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TFT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액정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분자구조를 달리하여 빛의 투과를 제어한다.
그렇게 제어된 빛은 컬러필터(Color Filter)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색과 영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TFT-LCD는 이처럼 전압을 액정에 전달함으로써 화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CRT(브라운관) 모니터와는 달리 전자총이 없어서 두께가 훨씬 얇은 모니터를 만들 수가 있다.
또한 스위치가 온(on)되는 시간에 원하는 전압을 화소에 공급한 후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시간에는 화소가 완전히 고립되어 다음 스위치 온(on)되는 시간까지 원하는 전압을 유지하는 능동적인 소자다.
고화질, 고휘도, 대용량 표시가 가능하며, 기존 TV 브라운관에 비해 두께와 무게가 10분의 1에 지나지 않고 소비전력도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제어속도가 빨라 동화상처리에 유리하다.
그리고 기존 LCD에 비해 선명도와 용량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현재 많은 디지털 기기 및 차량용 클러스터(110)의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TFT LCD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는 정보는 차량의 속도와 같은 차량 주행에 관한 모든 정보 및 차량의 전조등 점화 상태, 연료 소모 상태, 전후륜 타이어 압력 상태 엔진 상태(예컨대 온도)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와 경고 메시지(예컨대, Low Fuel Warning, Parking Brake Warning, Pressure Warning) 등이 있다.
MCU (Micro Controller Unit)(120)는 클러스터(110)로 주행 정보를 전송하고 클러스터(110)를 제어한다.
클러스터(110)는 MCU(120)로부터 획득한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하며, 정상 동작 시 오류 검출부(130)로 패널(Panel) 상태가 정상임을 알리는 CAN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 사용하는 통신모듈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클러스터(110), ABS(Air Bag System)(140), EMS(Engine Management System)(150), ECU(Electronic Control Unit)(160), 오류 검출부(130)등 차량 제어를 위한 정보를 연결부(170)를 전송한다.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이 점차 복잡해지고 지능화되는 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반도체 장치는 그 성능이 향상되고 가격이 낮아짐에 따라,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져 제어용 실시간 네크워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용 실시간 네크워크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이 출현하였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은 1980년대에 자동차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개발된 것으로,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하여 ISO에 의해 직렬 통신 규약 ISO11898 국제표준으로 지정되어 다른 산업 분야로의 적용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CAN의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 전기적 장애에 대한 강력한 면역성과 에러를 감지하고 교정하는 능력 때문에 자동차뿐만 아니라 제조업, 항공, 철도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체계로 알려지고 있다.
CAN 통신 프로토콜은 ISO의 OSI 참조 모델에 의거하여 정의된 통신 단말기들간의 정보 교환 방식을 정하고 있는데, OSI의 7개 계층 중에서 CAN의 아키텍처는 하위 두 개의 물리적 계층과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에 걸쳐 정의되어 있다.
CAN은 버스 접근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시지 종류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 식별자에 의해 메시지의 충돌을 막을 수 있는 데, 비파괴 비트 방식이라는
중재 방식을 통해 충돌한 메시지 가운데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메시지가 지연 시간 없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이러한 CAN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종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정보를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 TFT LCD)에 표시하고, 차량 내부의 각 부품간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향후에 차량 내 통신을 담당할 이더넷(Ethernet) 이나, 그 외의 통신 방식에 의하여 부품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결부(170)는 차량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Wi-Fi 통신모듈(171), 근거리 통신모듈(172), 유선 게이트웨이(gateway)(173), CAN통신 모듈(174)를 포함한다.
Wi-Fi 통신모듈(17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72)을 통해, 차량과 스마트기기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110) 고장 발생 시, 연결부(170)가 오류 검출부(130)로부터 클러스터(110)고장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스마트기기(180)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180)가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할 준비를 할 수 있게 한다.
오류 검출부(130)가 클러스터를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는, 클러스터(110)에서 CAN 메시지 (예컨대, Body 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 Chassis 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 경우와, 정보를 표시할 때, 표시 형식이나 표시 내용, 입력의 조건들이 정해지는 화면인 패널(Panel)의 상태 정보가 고장일 경우 클러스터 (110)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생성한 클러스터(110) 고장 메시지를 연결부(170)로 전송한다.
오류 검출부(130)에서 클러스터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상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 다양한 경우들이 포함 될 수 있다.
연결부(170)의 근거리 통신 모듈(172)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기기(180)와 차량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던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유선 게이트웨이(Gateway)(173)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 (Protocol, 통신규약)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여, 다른 통신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간 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유선 게이트웨이(173)는 OSI 참조 모델의 전 계층을 인식하여 전송방식이 다른 통신망을 흡수해 서로 다른 기종끼리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 내 통신인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근거리통신 또는 Wi-Fi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클러스터(110) 고장 신호 및 클러스터 표시 정보를 전송 받는 스마트기기(180)는 차량으로부터 클러스터(110) 고장 신호를 받으면,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던 정보를 표시할 준비를 시작하고, 이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 완료 메시지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연결부(170)에서 스마트기기(180)의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던 차량 주행 정보를 스마트기기(180)에 전송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클러스터(110) 고장 시,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던 차량 주행 정보를 스마트기기(210)나 차량 내 AVN(220) 등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연결부(170)의 유선 게이트웨이(WG)(173) 모듈에서 클러스터(11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S210), 오류 검출부(130)는 클러스터(110)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S220).
클러스터(110)를 고장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클러스터(110)에서 CAN 메시지 (예컨대 Body 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 Chassis 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를 보내지 않을 경우 및 클러스터(110)의 패널(Panel) 상태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예컨대, 클러스터(110)의 패널(Panel) 상태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패널의 그래픽 카드에 이상이 있어, 디스플레이 입력 조건 및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지 못하여 패널이 정상적인 정보 표시 신호를 출력하지 할 수 없어 출력 오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및, 패널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AD(Analog Digital) 보드와의 접촉 불량일 때,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패널로 전달되지 않아 오류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등이다.
위와 같이, 클러스터(110) 패널에 이상이 있을 경우, 클러스터가 송신 메시지에 패널의 고장 내용을 포함시켜 전달하면, 오류 검출부(130)를 통해 패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패널(Panel)은 클러스터(110)에 정보를 표시할 때, 표시내용, 입력 조건들이 정해지는 화면으로서, 이 장치의 상태 정보가 고장일 경우, 클러스터(110) 고장이라고 판단한다.
오류 검출부(130)에서 클러스터(110) 고장을 판단한 후 차량에 등록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30).
만약 차량에 등록된 AVN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정보를 표시할 기기로 스마트폰(210)을 선택하여(S240) 클러스터(110) 고장 메시지를 선택한 스마트폰(210)으로 전송한다(S250).
차량에 등록된 AVN(220)이 존재하면, 등록된 AVN 기기(220)로 차량 클러스터(110)가 고장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250).
클러스터(110) 고장메시지를 수신한 AVN(220)은 차량 클러스터에 표시되던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할 준비를 한다(S260).
AVN 기기의 표시 준비가 완료되면, 클러스터(110)에 표시될 주요 차량 주행 정보를 AVN(220)으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AVN 을 통해 주행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AVN 기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거치지 않고, 클러스터 고장 확인(S220) 이후에 곧바로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10)으로 고장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폰(210)은 클러스터(110) 고장 메시지를 수신하면 클러스터(110)에 표시되던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할 준비를 하고, 주행 정보 표시 준비를 완료하면(S260), 준비 완료 메시지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210)의 정보 표시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은 클러스터에 표시되던 주요 운행 정보를 스마트폰(210)으로 전송한다(S280).
이럼으로써, 클러스터가 고장 난 경우에도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량 주행에 관한 정보와 엔진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상기 클러스터의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일 경우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오류검출부;
    상기 차량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망과 유무선 통신망을 연결하고, 유무선 통신모듈이 구비된 스마트기기와 통신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클러스터의 메시지 입력이 없거나, 상기 클러스터 패널(Panel)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장 메시지를 상기 연결부로 전송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Wi-Fi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차량 내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스마트기기간 유무선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시스템.
  5. 클러스터(Cluster) 메시지와 패널(Panel)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와 패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러스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없거나, 상기 패널이 상태가 고장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클러스터를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고장 메시지 생성 완료 후, 스마트기기로 고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장 메시지를 수신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차량 주행정보 표시 준비 완료 메시지를 전송 받으면 상기 클러스터에 표시되던 주행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표시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고장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와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상기 차량에 등록된 AVN 기기를 포함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Wi-Fi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는 차량 주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속도 등 차량 주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전조등 점화 상태, 연료 소모 상태, 전후륜 타이어 압력 상태 엔진 상태 등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인 클러스터 고장 처리 방법.













KR1020130084214A 2013-07-17 2013-07-17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7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14A KR102027922B1 (ko) 2013-07-17 2013-07-17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14A KR102027922B1 (ko) 2013-07-17 2013-07-17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17A true KR20150009817A (ko) 2015-01-27
KR102027922B1 KR102027922B1 (ko) 2019-10-02

Family

ID=5248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214A KR102027922B1 (ko) 2013-07-17 2013-07-17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888B1 (ko) * 2015-12-10 2017-01-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제어기
CN107992022A (zh) * 2017-11-27 2018-05-04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故障诊断的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系统
WO2019194355A1 (en) * 2018-04-06 2019-10-10 Daesung Eltec Co., Ltd.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137756A (ko) * 2020-05-11 2021-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190A (ko) * 2009-11-12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클러스터의 불량 감지시스템
KR101095583B1 (ko) * 2009-10-28 2011-12-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내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83B1 (ko) * 2009-10-28 2011-12-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내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2190A (ko) * 2009-11-12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클러스터의 불량 감지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888B1 (ko) * 2015-12-10 2017-01-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제어기
CN107992022A (zh) * 2017-11-27 2018-05-04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故障诊断的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系统
CN107992022B (zh) * 2017-11-27 2020-09-0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故障诊断的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系统
WO2019194355A1 (en) * 2018-04-06 2019-10-10 Daesung Eltec Co., Ltd.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35314B1 (ko) * 2018-04-06 2019-10-22 주식회사 대성엘텍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37756A (ko) * 2020-05-11 2021-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22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5631B (zh) 具有域控制功能的车载控制系统及方法
CN112655200B (zh) 一种信号发送方法和装置
CN109532720A (zh) 一种具有后配置功能的以太网网关的智能汽车
US10848272B2 (en) Error detection in automobile tell-tales
CN111194276B (zh) 用于交通工具指示的替换显示器选项
CN211280643U (zh) 一种车用仪表备用显示系统
CN111108724B (zh) 数据系统、数据传输系统和用于针对牵引车辆和/或挂车车辆进行数据传输的方法
KR20150009817A (ko)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209410B (zh) 使用网关修复通信中断的方法、设备及智能接合块
US20190179588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options for vehicle telltales
CN107809796B (zh) 用于车辆通信的自适应发射功率控制
CN111038258B (zh) 一种车用数字仪表显示控制方法
CN103680126B (zh) 并排泊车问题解决系统及方法
CN102804734B (zh) 车辆单元
CN113632028B (zh) 车载显示控制方法、控制装置、车载显示系统和车辆
CN215621755U (zh) 车辆显示系统、中控系统及车辆
JP2013216182A (ja) 車載システム
JP2020202543A (ja) 映像信号送信装置及び映像信号受信装置
CN110494319B (zh) 车辆用显示装置
CN207731471U (zh) 防止大车后的小车误闯红灯的系统
US2021040971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619348A (zh) 车辆、车机设备及基于仪表盘的显示控制方法
US20220157096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anomaly detection program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KR20020097370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서 can 통신을 이용한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75179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스터와 avn 시스템의 데이터 표시에 있어서 시간 오차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