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314B1 -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314B1
KR102035314B1 KR1020180040606A KR20180040606A KR102035314B1 KR 102035314 B1 KR102035314 B1 KR 102035314B1 KR 1020180040606 A KR1020180040606 A KR 1020180040606A KR 20180040606 A KR20180040606 A KR 20180040606A KR 102035314 B1 KR102035314 B1 KR 10203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vehicle
information
stat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18004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314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00 priority patent/WO20191943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314B1/ko
Priority to US16/916,628 priority patent/US202003277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K2350/1004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4Info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74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the centre 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 예들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 예는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또는 IVI(In-Vehicle Infotainment) 장치가 클러스터 기능을 백업하여, 안정적으로 클러스터에 표시될 차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실시 예들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안전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안전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를 비롯하여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비게이션은 길안내 정보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라디오 등 오디오,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 가능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엔진 등의 각종 장치의 작동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클러스터가 구비되는바, 이러한 클러스터에는 자동차의 순간 속도를 측정하여 지시하는 속도계, 구간거리계, 적산계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엔진의 회전수를 지시하는 RPM 속도계,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냉각수 온도계 등이 포함된다.
전술한 클러스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클러스터로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차량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클러스터가 대중화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운전에 필수적인 중요한 정보들을 많이 표시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표시해주어야 한다. 만약, 디지털 클러스터가 어떤 이유로 인해 리셋(reset)/재부팅(reboot)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 차량 주행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다.
[선행기술문헌번호]
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공보 2017-0129464호
선행기술 2: 한국공개특허공보 2017-0047494호
선행기술 3: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36988호
일 실시 예들은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또는 IVI(In-Vehicle Infotainment) 장치가 클러스터 기능을 백업하여, 안정적으로 클러스터에 표시될 차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 및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백업 기능의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차량 제어 장치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러스터의 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설정된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상기 클러스터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는,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러스터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러스터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 제어 장치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클러스터의 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설정된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클러스터 상태 신호를 기초로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클러스터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장치는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차속 또는 엔진 회전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는, 상기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클러스터 오작동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장치는, 상기 클러스터 오작동 신호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는, 상기 클러스터가 다시 정상작동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상작동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장치를 제어방법은 상기 클러스터 장치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클러스터 장치 또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오작동 시, 오작동 신호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정상 작동 시, 정상작동 신호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상기 정상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또는 IVI(In-Vehicle Infotainment, 이하 IVI라 한다) 장치가 클러스터 기능을 백업하여, 안정적으로 클러스터에 표시될 차량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의 상세 블록 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된 예시 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된 예시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는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에 탑재되어, 다양한 정보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일 예로, 내비게이션, AVN(Audio Video Navigation, 이하 AVN이라 한다), IVI(In-Vehicle Infotainment, 이하 IVI라 한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Cluster)는 주행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엔진 등의 각종 장치의 작동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계기판 장치를 의미하며,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날로그 클러스터, 디지털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MPU(Microprocessing Unit, 이하 MPU라 한다) 또는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의 운전석의 전면에 클러스터(100)가 구비되고, 중앙에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가 구비된다. 클러스터(100)의 디스플레이에는 대시 보드의 운전석 측에 마련되며, 차량의 운행 속도, 차속을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는 rpm게이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차속 및 엔진 회전수만을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차량 정보, 예를 들면 구간거리계, 적산계, 연료계, 냉각수 온도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길안내 정보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라디오 등 오디오,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 가능한 AVN 기능을 구현한다.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여기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유선(wired) 또는 무선(wireless)일 수 있으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러스터(100)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클러스터(100)는 하트비트(Heartbeat)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수신된 하트비트 메시지를 기초로 클러스터(100)가 정상상태인지, 비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하트비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해 클러스터(100)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이하 HDMI라 한다), 또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이하 LVDS라 한다)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클러스터(100)가 비정상 상태, 예를 들면 리셋(reset)/재부팅(reboot)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 클러스터(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클러스터에 전송하여, 영상 정보를 클러스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제어 장치(미도시), 예를 들면 ECU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이하 CAN이라 한다)을 통해 차량 정보, 예를 들면 차량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클러스터 감지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는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한다.
제어부(220)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로부터 클러스터(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한다. 제어부(220)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가 클러스터(100)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한다. 여기서, 클러스터 백업 기능은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 정보의 표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 클러스터(10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GUI에 따라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220)는 클러스터(100)의 GUI와는 다른 GUI를 디스플레이에 실행시켜,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는 클러스터 백업 기능이 설정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클러스터(100)의 상태를 감시하고, 클러스터(100)의 상태가 정상으로 돌아왔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220)는 클러스터(100)의 상태가 정상으로 복귀한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한다. 이 경우, 클러스터(100)의 디스플레이의 영상 제어는 클러스터(100) 또는 ECU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가 클러스터(100)에 포함되어, 클러스터(100)의 비정상 상태를 감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러스터(100)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 비정상 상태에 상응하는 이상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러스터(100)가 정상 상태로 복귀한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 정상 상태에 상응하는 정상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클러스터(100)의 화면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2와 구성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러스터(100)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데이터 수신부(230)를 더 포함한다.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MPU 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클러스터 상태 정보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에 송신한다. 또한, 클러스터 모니터링부(210)가 주기적으로 상태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120)에 전송하고, 제어부(120)의 응답에 따라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차량 데이터 수신부(230)는 외부의 차량 제어 장치(미도시), 예를 들면 ECU(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한다), 또는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들로부터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차량 데이터 수신부(230)는 차량 제어 장치(미도시)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차량 데이터 수신부(230)는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클러스터(100)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차량 데이터 수신부(230)에서 수신된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100)의 제어부(120)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도 차량 정보를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부(110)에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2 및 3의 구성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러스터(10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제어 장치(300)와 각각 접속된다. 클러스터(10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각각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고, 차량 제어 장치(300)는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300)는 ECU 또는 차량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들일 수 있다.
클러스터(100)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제어 장치(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차량 정보 또는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클러스터 상태를 감시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클러스터로부터 수신되는 주기적인 하트비트 신호로부터 클러스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클러스터의 상태가 비정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클러스터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는,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의 MPU 등이 리셋(reset) 또는 재부팅(reboot) 등을 이유로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504에서, 클러스터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클러스터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고, 단계 506에서, 클러스터의 화면을 제어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HDMI를 통해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클러스터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08에서, 클러스터 상태를 감시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클러스터 상태를 감시한다.
단계 510에서, 클러스터의 상태가 정상으로 복귀하였는지 판단한다.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한 경우는, 비정상적인 하트비트 신호가 다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부터 정상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12에서, 클러스터의 상태가 정상으로 복귀한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한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클러스터의 상태가 정상으로 복귀한 경우,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제어 권한을 다시 클러스터에 넘겨준다.
단계 514에서, 클러스터 화면 제어를 종료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의 상세 블록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는 센싱부(610), 제어부(620), 출력부(630), A/V 입력부(640) 및 메모리(6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는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61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61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612), 온/습도 센서(613), 적외선 센서(614), 자이로스코프 센서(615), 위치 센서(예컨대, GPS)(616), 기압 센서(617), 근접 센서(61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6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620)는 통상적으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20)는, 메모리(6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센싱부(610), 출력부(630), A/V 입력부(640) 및 메모리(6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고,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러스터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630)는, 제어부(620)에서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631) 및 음향 출력부(63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출력부(630)는 클러스터 백업 기능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러스터에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32)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6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6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63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41)와 마이크로폰(6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64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62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6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6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64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64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64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제어부(6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650)는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 예를 들면 차속, 엔진 회전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650)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50)는 복수의 운영체제 각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50)는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651) 및 터치 스크린 모듈(652)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된 예시 도이다. 여기서, 하나의 디바이스는 차량 제어 장치 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디바이스(700)는 클러스터(701)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702)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700)는 2개의 OS(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를 구비하여, 클러스터(701)를 구동하는 제1 OS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702)를 구동하는 제2 OS를 구비할 수 있다. 클러스터(701)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702)는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720)를 제어한다.
실시 예에서, 클러스터 모니터링부(703)가 클러스터(701)의 상태를 감시하고, 클러스터(701)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702)의 제어부(704)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하는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701)가 정상 상태로 복귀한 경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이 해제되고, 다시 클러스터(701)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러스터와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된 예시 도이다. 도 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 7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디바이스(800)는 클러스터 기능 모듈(801), 클러스터 모니터링부(802) 및 제어부(803)를 포함하고, 하나의 디바이스(800)는 하나의 OS를 가지고, 클러스터 디스플레이(810) 및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820)를 각각 제어한다. 클러스터 기능 모듈(801)은 메인 클러스터 모듈과 백업 클러스터 모듈을 구비하고, 클러스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메인 클러스터에 따라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실시 예에서, 메인 클러스터 모듈의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백업 클러스터 모듈이 동작하여, 클러스터 디스플레이(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는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 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클러스터
200: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Claims (20)

  1.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로서,
    클러스터와 데이터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클러스터 모니터링부; 및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 - 상기 비정상 상태는 리셋(reset) 또는 재부팅(reboot)을 포함함 - 를 감지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상기 클러스터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제어 장치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스터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러스터의 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설정된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러스터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클러스터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10.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속 및 엔진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의 비정상 상태 - 상기 비정상 상태는 리셋(reset) 또는 재부팅(reboot)을 포함함 - 를 감지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상기 클러스터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접속되고,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클러스터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클러스터 백업 기능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화면에 상기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차량 제어 장치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의 정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설정된 클러스터 백업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40606A 2018-04-06 2018-04-06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606A KR102035314B1 (ko) 2018-04-06 2018-04-06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18/006000 WO2019194355A1 (en) 2018-04-06 2018-05-28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916,628 US20200327749A1 (en) 2018-04-06 2020-06-30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606A KR102035314B1 (ko) 2018-04-06 2018-04-06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314B1 true KR102035314B1 (ko) 2019-10-22

Family

ID=6810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606A KR102035314B1 (ko) 2018-04-06 2018-04-06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27749A1 (ko)
KR (1) KR102035314B1 (ko)
WO (1) WO2019194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03B1 (ko) * 2020-09-24 2021-06-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7770B2 (ja) * 2019-06-11 2023-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030A1 (en) * 2012-08-16 2014-02-2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trip data in vehicle
KR101459794B1 (ko) * 2009-11-12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클러스터의 불량 감지시스템
KR20150009817A (ko) * 2013-07-17 2015-0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0102B2 (en) * 1999-12-15 2011-04-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heads-up display system
KR101273668B1 (ko) * 2011-12-12 2013-06-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클러스터의 패널 이상 검출 방법
US20140309930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Automatic camera image retrieval based on route traffic and conditions
KR102089109B1 (ko) * 2013-12-13 2020-04-1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US20160196131A1 (en) * 2014-07-07 2016-07-07 Symphony Teleca Corporation Remote Embedded Device Update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891907B2 (en) * 2014-07-07 2018-02-13 Harman Connected Services, Inc. Device component status detection and illust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60294614A1 (en) * 2014-07-07 2016-10-06 Symphony Teleca Corporation Remote Embedded Device Update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794B1 (ko) * 2009-11-12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클러스터의 불량 감지시스템
US20140053030A1 (en) * 2012-08-16 2014-02-2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trip data in vehicle
KR20150009817A (ko) * 2013-07-17 2015-0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03B1 (ko) * 2020-09-24 2021-06-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355A1 (en) 2019-10-10
US20200327749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929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1348495B2 (en) Image display system for vehicle
US9881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system
JP6690581B2 (ja) 運転モード切替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87979B2 (en) Processing of automobile data on a smartphone
US10216468B2 (en) Cluster-radio information interchange system for enhancing human-machine interface experience
US20180218758A1 (en) Driving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WO20120475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on of vehicle systems
US20170154227A1 (en) Traffic sign recognition system
CN107818581B (zh) 车辆的图像处理系统
KR102035314B1 (ko)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2974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Vehicle Surroundings of a Motor Vehicle on a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Motor Vehicle
KR20190105152A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그의 전방차량 출발 알림 방법
US10399494B2 (en) Vehicle-mounted warning system
US109282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ast mile navigation cache point of interest
US11318984B2 (en) Electronic device for assisting driv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140014718A (ko)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JP573342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10018908A1 (en) Remote driving system
JP2022139593A (ja) 運転者視認状況確認装置
JP6929146B2 (ja) 閾値設定装置、閾値設定方法、及び閾値設定プログラム
WO2018101274A1 (ja) 安全確認装置
JP7482489B2 (ja) 情報表示方法及び対応する表示システム
KR20200082317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410920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