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591A -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591A
KR20160082591A KR1020167014953A KR20167014953A KR20160082591A KR 20160082591 A KR20160082591 A KR 20160082591A KR 1020167014953 A KR1020167014953 A KR 1020167014953A KR 20167014953 A KR20167014953 A KR 20167014953A KR 20160082591 A KR20160082591 A KR 2016008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oter
combination device
combined device
support
hand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옵스빅
Original Assignee
피터 옵스빅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옵스빅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피터 옵스빅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8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Handcart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조절을 위한 겸용 장치(10)가 설명된다. 겸용 장치(10)는, 스티어링 조립체(18)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22)이 제공되는 전방 부분(12), 및 적어도 하나의 리어 휠(64)이 제공되는 후방 부분(45)을 포함한다. 전방 부분(12)은 공통의 회전 축(A)을 갖는 하나의 피벗 조인트(72) 또는 복수 개의 피벗 조인트들(72)에서 후방 부분(4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적어도 하나의 리어 휠(64)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22)이 서로를 향해서 그리고 서로에 대해 선회된다.

Description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본 발명의 장치는, 개인 운송(personal transport)의 도시형 겸용 수단 및 화물 운송(transport for goods)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장치는, 장치가 선택적으로 추진용 모터(motor for propulsion)를 갖는, 스쿠터(scooter)로서 기능하는 스쿠터 위치와 장치가 핸드카트(handcart)로서 기능하는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겸용 장치(combined device)에 관한 것이다.
걸을 때 또는 놀이에 사용될 때보다 더 빠르게 짧은 거리들을 커버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스쿠터들이 사용된다.
차보다 더 작은 개인 운송의 공지된 수단 모두는,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means of public transport) 상에 또는 빌딩들 내로 사용자들을 운송하는 수단을 갖는다면 사용자는 취급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야외에서(out of door) 이러한 소형 비클(small vehicle)들을 잠금하는 적절하고 안전한(secure) 위치들을 찾는 것이 주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스쿠터 또는 핸드카트의 선택된 형태로 하루 내내 사용자와 동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점(shop) 안으로 실내에 들어가게 될 때, 스쿠터를 외부에 놓기에 적절한 위치를 찾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고 시간을 소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도난의 위험이 있다. 화물용 트롤리(trolley for goods)를 미는 것과 동시에 상점에서 스쿠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도전일 수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 공간을 갖는 스쿠터로서 사용될 수 있고 화물들을 위해 동일한 공간을 갖는 트롤리 또는 핸드카트 내로 쉽게 접혀질 수 있는 장치를 갖는 것이 요망된다.
적은 공간을 취하기 위해서 스쿠터가 접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핸들바(handlebar)들의 앞쪽에 여행가방(suitcase) 등을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는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일부 예들은, EP 2 514 661 A1, DE 297 15 152 U1, FR 2 818 100, DE 102 04 478 A1 및 DE 31 38 095 A1에서 도시되어 있다. 공지된 스쿠터들의 문제점은, 그 중에서 특히, 이 스쿠터들이 2 개의 또는 그 초과의 조인트들을 가지며, 사용자가 서있는 부분이 핸들바들을 따라 위로 피벗된다(pivoted up)는 점이다. 이는, 짐(luggage)이 핸들바들의 앞쪽에 배치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스쿠터가 흔들릴듯하고(unstable) 휘청거리게(unsteady) 만든다. 많은 조인트(joint)들 및 종종 복잡한 기계적인 부분들(mechanics)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수개의 컴포넌트들이 또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핸드카트 또는 스쿠터로서 야외에서 사용자와 동반할 수 있고, 접혀질 때, 다른 운송 수단에 승차(on board)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도착 위치에서 다시 스쿠터로 펴질(unfolded) 수 있는 개인 운송/화물 운송의 단일 수단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는 보다 단순한 설계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쿠터 및 핸드카트 양자 모두로서 양호하게 기능할 수 있는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독립항인 제 1 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겸용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은 종속항인 제 2 항 내지 제 16 항에서 규정된다.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조절되도록 설계되는 겸용 장치가 제공된다. 겸용 장치는, 스티어링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front wheel)이 제공되는 전방 부분(front part), 및 적어도 2 개의 리어 휠(rear wheel)들이 제공되는 후방 부분(rear part)을 포함한다. 전방 부분은 하나의 피벗 조인트(pivot joint),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피벗 조인트들에서 후방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피벗 조인트들은 공통의 회전축을 가져,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리어 휠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이 서로를 향해서 그리고 서로에 대해 회전되어, 즉, 리어 휠들이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을 향해서 피벗되고 또는 이와 반대로 피벗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 및 리어 휠들 양자 모두가 서로를 향해 피벗되어, 리어 휠들이 핸드카트 위치에서 기저 표면과 접촉되며, 그리고 겸용 장치가 핸드카트 위치에서 리어 휠들에 휠온된다(wheeled on).
핸드카트로서, 이는 열차 또는 버스의 시트 앞쪽에서 플로어에 배치되고, 도착 위치에서, 제품이 펴져서 다시 스쿠터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핸드카트로서 함께 당겨질 수 있다. 최종 목적지가 작업장(place of work)이라면, 제품은 데스크 옆에 세워질 수 있다. 이후, 전동 모터가 장비되는 겸용 장치의 변형은, 풋온 차지식(put on charge)일 수 있다.
실용적인 실시예에서, 리어 휠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을 향해서 그리고 그에 대해서 피벗되어, 리어 휠들이 핸드카트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 아래에 전체가 또는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이에 따라, 겸용 장치는, 핸드카트 위치에서 리어 휠들에 휠 온된다. 겸용 장치에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리어 휠들 및 하나의 프론트 휠이 제공된다. 이는,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만드는 한편, 스쿠터 위치에서 용이하게 스티어링(steer)되게 한다. 실제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의 회전 축과 리어 휠들의 회전 축은, 이후 서로를 향해서 피벗될 것이고,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로에 사실상 가능한 한 가깝게 놓여질 것이다.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직립 핸드카트 위치(upright handcart position)에서 세워질 수 있으며, 즉, 스티어링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다. 이 위치에서, 겸용 장치는, 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휠 상에 그리고, 예컨대 서포트 부분을 갖는 플레이트 수단(plate means)의 도움에 의해, 자립(stand alone)할 수 있다. 서포트 부분은 피벗 조인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플레이트 수단의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리어 휠들은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에서 전방 부분의 위치에 대해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을 향해서 그리고 이 아래로 피벗될 것이다.
스티어링 조립체(steering assembly)는, 바람직하게는, 스쿠터 위치에서, 기저 표면(underlying surface)에 대해 직립하는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을 포함하며, 기저 표면 상에서, 겸용 장치가 서 있으며, 스티어링 칼럼의 하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에 연결된다. 전방 부분은, 전방 부분에 고정 연결되는 스티어링 가이드(steering guide)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티어링 칼럼은 스티어링 가이드를 통해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스티어링 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피벗 조인트 또는 피벗 조인트들은, 실시예에서, 전방 부분에 고정 연결되는 2 개의 내부 요소들 및 2 개의 외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요소들은 외부 요소들 각각의 내부 요소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후방 부분에 고정되며, 내부 요소들 및/또는 외부 요소들은 피벗 조인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내부 요소들 및/또는 외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샤프트(shaft)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샤프트의 회전축은, 이후 피벗 조인트의 회전축에 일치할 것이다. 내부 요소들은 플레이트형 요소들일 수 있다. 외부 요소들은 또한 플레이트형 요소들일 수 있다.
내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하고, 외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함몰부(depression)를 포함하여, 이 함몰부 내로 각각의 외부 요소들의 돌기들이 돌출하고,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때 따라서 움직인다(move along). 함몰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돌기들이 각각,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에서 함몰부의 각각의 단부들에 맞닿아 인접하도록(butt against)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들은 핀(pin)들의 형태일 수 있는 한편, 함몰부들은 핀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그루브(groove)들 또는 리세스들의 형태일 수 있다.
피벗 조인트에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각각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하는 잠금 기구, 예컨대, 일체형(integrated) 잠금 기구가 제공된다.
예컨대, 상기 내부 요소들에는 리세스(recess)가 제공되며, 외부 요소들에는 각각의 제 1 리세스들 및 제 2 리세스들이 제공되며,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요소들의 리세스들 및 외부 요소들의 제 1 리세스들이 서로 정렬되는 반면, 겸용 장치가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요소들의 리세스들 및 외부 요소들의 제 2 리세스들이 서로 정렬된다. 피벗 조인트는 잠금 요소 돌기를 갖는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요소를 더 포함하며, 잠금 요소 돌기는 리세스들에 적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이들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에 대해 잠금하도록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각각에서 정렬된 리세스들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기구는 전방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앵커(anchor)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 앵커는 스쿠터 위치에서 제 1 잠금 요소 및 핸드카트 위치에서 제 2 잠금 요소와 맞물림하도록 적응되며, 제 1 잠금 요소 및 제 2 잠금 요소는 후방 부분 상에 배열된다.
겸용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방 부분 및/또는 피벗 조인트 또는 조인트들에 연결되거나 고정되는 플레이트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쿠터 위치에서 플레이트 수단에 서있을 수 있고, 전체 플레이트 수단 또는 플레이트 수단의 일부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겸용 장치를 위한 서포트(support)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수단은, 스쿠터 위치에서 사용자가 서있을 수 있는 풋 부분(foot part), 및 풋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서포트 부분(support part)을 포함하여, 이 서포트 부분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한다. 플레이트 수단의 풋 부분 및 서포트 부분은 단일편(single piec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수단은, 피벗 조인트 또는 피벗 조인트들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 부분을 포함하여, 서포트 부분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한다. 게다가, 플레이트 수단은 후방 부분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풋 부분을 포함하며, 그 위에서 사용자가 스쿠터 위치에서 서있을 수 있다.
플레이트 수단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수단은 피벗 조인트 또는 피벗 조인트들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 부분을 포함하여, 서포트 부분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 수단 전체는 서포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스쿠터 위치에서 서포트 부분 상에 서있을 수 있도록 적응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레이트 수단은 서포트 부분 및 바람직하게는 후방 부분에 부착되는 별도의 풋 부분을 포함하며, 서포트 부분은 스쿠터 위치에서 풋 부분에 있는 리세스에 놓일 수 있다. 서포트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피벗 조인트 또는 피벗 조인트들에 연결되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서포트 부분 및 전방 부분 또는 피벗 조인트 또는 피벗 조인트들 상의 각각의 정지 면들이 서로에 맞닿아 인접하고 서포트 부분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소정의 지점(certain point)까지, 서포트 부분이 리세스로부터 튀어나온다(flipped out of).
겸용 장치는, 하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 개의 기다란 체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 부재는 일단부에서 서포트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피벗 조인트 또는 각각의 피벗 조인트들에 연결된다. 제 1 체결 부재 단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체결 부재 단부 부분에 대해 체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다. 체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 정지 면으로 구성되며, 이 정지 면은,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 조절될 때, 체결 부재 정지 면이 체결 부재 정지 요소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며, 서포트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적응되며, 이 체결 부재 정지 요소는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상에 배열된다.
대안으로, 서포트 부분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회전이 완료되기 이전에 전방 부분 상에서 대응하는 정지 면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는 정지 면으로 구성되어, 지지 부분은 전방 부분을 향한 후방 부분의 추가 회전이 후속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서포트 부분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한다.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에는, 더 바람직하게는, 운송 중 상이한 아이템들의 스토리지를 위한, 스쿠터 위치에서 겸용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볼 때, 겸용 장치의 핸들바들 뒤에 스토리지 유닛이 제공된다. 스토리지 유닛은, 유닛에서,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스티어링 조립체에 체결되고 밖으로 또는 위로 당겨질 수 있도록 적응되는 스토리지 백이 제공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토리지 유닛은, 사용에 따라 상이한 구성들을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겸용 장치에 체결될 때 화물 운송을 위한 백 그리고 스토리지 유닛이 겸용 장치에서 벗겨질 때(taken off) 숄더 백(shoulder bag)일 수 있다.
리어 휠들에는, 바람직하게는 겸용 장치의 핸들바들로부터 작동되는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겸용 장치는, 하나의 프론트 휠 및 적어도 2 개의 리어 휠들을 포함하고, 리어 휠들은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다.
겸용 장치의 핸들바들은,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상에 탈착가능하게(detachably)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겸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다이렉트 스티어링을 갖는데, 즉 프론트 휠이 스티어링 조립체의 스티어링 칼럼에 직접 체결되어, 스티어링 칼럼이 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프론트 휠 또는 휠들이 이에 대응하여 또한 회전될 것이라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스토리지 백이 스토리지 콘테이너(storage container)로부터 잡아당겨지는 상태에서 겸용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겸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에서 제 1 발명의 추가의 사시도들이고, 도 6 및 도 7은 스토리지 유닛이 없다.
도 8 내지 도 11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 겸용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조절을 예시한다.
도 12는 풋플레이트 및 스토리지 유닛이 없는 겸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겸용 장치의 전방 부품 및 후방 부품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14는 스토리지 백이 스토리지 콘테이너로부터 잡아당겨지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핸드카트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아래에서부터 경사지게 봄)이다.
도 18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스쿠터 위치에서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20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22는 스쿠터 위치에서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23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 겸용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조절을 예시한다.
도 28은 스쿠터 위치에서 상대 운동에 대해서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잠금하기 위한 잠금 기구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벗 조인트 둘레의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0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상대 운동에 대해서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잠금하기 위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기구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벗 조인트 주위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2는 겸용 장치의 핸들 바들로부터 작동되는 리어 휠들 상에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가 제공되는 겸용 장치를 도시한다.
도 33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핸드카트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본질적으로, 뒤에서부터 봄)이다.
도 37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본질적으로, 앞에서부터 봄)이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스토리지 유닛의 크기/볼륨이 사용되는 방법에 관해서 조절될 수 있도록 스토리지 유닛이 구성되는 상태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9a 및 도 39b는 플레이트 수단이 별개의 풋 부분 및 서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겸용 장치의 2 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3 개의 실시예들이 하기에서,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 도 1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 및 도 33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다. 3 개의 실시예들은,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겸용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동일한 해법에 기초하지만, 약간 상이한 상세 해법들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13은 겸용 장치(10)의 제 1 실시예를 예시한다. 겸용 장치(10)는 2 개의 피벗 조인트들(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포함한다. 2 개의 피벗 조인트들(72)은 도 8 내지 도 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통 회전축(A)을 갖는다. 축(A)을 중심으로 전방 부분(12)에 대해 후방 부분(45)을 회전시킴으로써, 겸용 장치(10)는, 사용자가 스쿠터로서 겸용 장치(10)를 채용할 수 있는 스쿠터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핸드카트 또는 트롤리로서, 예컨대, 상점에서 겸용 장치(10)를 채용할 수 있는 핸드카트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겸용 장치(10)의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의 차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전방 부분(12)은, 스티어링 가이드(14)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스티어링 가이드(14)는 그의 하단부에서 프론트 휠 포크(23)에 연결된다. 프론트 휠(22)은 프론트 휠 포크(23)에 장착된다. 프론트 휠 포크(23)는, 원통형 구멍을 갖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스티어링 가이드(14)에 고정되며, 이 구멍에서 겸용 장치의 스티어링 조립체(18)가 배열될 수 있다.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스티어링 가이드(14)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하게 배열된다. 이는, 겸용 장치(10)의 스토리지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대안으로, 스티어링 조립체(18)는, 물론, 스티어링 가이드(14)가 전방 부분(12)으로부터 분해될 수 없도록 스티어링 가이드(14)에 영구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스티어링 칼럼(19)(스티어링 칼럼(19)은 스티어링 가이드를 통해서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스티어링 가이드(14)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및 스쿠터로서 사용될 때, 겸용 장치(10)를 스티어링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채용하는 스티어링 핸들(2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은, 스티어링 칼럼(19)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횡단하게 배열된다. 스티어링 조립체(18)는, 프론트 휠 포크(2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스쿠터로서 채용될 때에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겸용 장치(10)를 스티어링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방 부분(12)은,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30) 및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를 더 포함하며, 이들은 일단부에서 예컨대, 용접에 의해 스티어링 가이드(14)에 연결된다.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30) 및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의 대향 단부들 각각은,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연결하는 피벗 조인트(72)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방 부분 횡단 바(transverse bar)(38)는,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side bar)(30)와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 사이를 연장하고, 이들에 체결되며, 그리고 이들의 단부들에 근접한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체결되어,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의 단부들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조인트들(72)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부분(12)은, 전방 부분 중앙 바(central bar)(25)를 더 포함하며, 이 바는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30)와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 사이에 배열되고, 일단부에서 스티어링 가이드(14)와 타단부에서 전방 부분 횡단 바(38) 사이를 연장하고, 이들에 체결된다.
전방 부분 중앙 바(25)는, 바람직하게는, 스티어링 가이드(14) 상에서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30)와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보다 하부에 체결된다. 게다가, 전방 부분 중앙 바(25)에는,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벤드(bend)(28)가 제공되어, 전방 부분 중앙 바(25)의 일부가 벤드(28)와 전방 부분 횡단 바(38)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평하게 놓인다. 게다가, 제 1 전방 부분 사이드 바(30) 및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스쿠터 위치에서 사이드로부터 봄)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서로에 대해 동일한 높이(level with)에 놓이도록 배열된다(예컨대, 도 8 내지 도 11 참조). 전방 부분(12)의 이러한 구성은, 스토리지 유닛(41)이 전방 부분(12)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스토리지 유닛(41)이 전방 부분 중앙 바(25) 상에 놓여질 수 있지만,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이 횡단(lateral) 방향 및 전방 방향으로 스토리지 유닛(41)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토리지 유닛에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피벗될 수 있는 덮개(lid)(42)가 제공될 수 있다. 겸용 장치(10)가 스쿠터로서 사용되고, 그리고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로서 사용되는, 양자 모두의 경우에, 스토리지 유닛(41)이 상이한 물품(different article)들의 수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유닛(41)에서의 공간(예컨대, 도 4 참조)은,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제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리지 유닛(41)에서 스토리지 백(43)을 배열하는 것에 대한 대안이 있다. 스토리지 백(43)이 사용 중이 아닐 때, 이 백은 스토리지 유닛(41)에 보관된다. 사용자가 스토리지 백(43)을 채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 백은 스토리지 유닛(41)으로부터 잡아당겨지며, 스티어링 조립체(18)에, 예컨대, 스티어링 핸들(20)에 적절한 패스너(fastener)들에 의해서 체결된다. 패스너들은, 예컨대, 코드(cord) 또는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백(43)은,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스토리지 백(43)에는 사이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개구들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집 패스너(zip fastener),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들 등을 사용하여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사람이 예컨대 쇼핑하러 나갈 예정일 때, 겸용 장치(10)는 이에 따라 상점에서 스쿠터로서, 상점에서 스토리지 백(43)에 화물이 놓여지는 핸드카트로서, 그리고 스토리지 백의 화물들을 가지고 상점으로부터 집으로 오는 도중에는 스쿠터 또는 핸드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토리지 백(43)이 사용중이 아닐 때, 이 백은 스토리지 유닛(41) 내로 쉽게 넣어질 수 있다.
겸용 장치(10)의 후방 부분(45)은,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 및 앞쪽 후방(forward rear) 부분 횡단 바(55)(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에 각각의 단부들이 체결됨) 및 뒤쪽 후방 부분(rearward rear) 횡단 바(59)(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에 각각의 단부들이 체결됨)를 포함한다.
최후방(겸용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 봄)에서,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에는 휠 포크(63)가 제공된다. 리어 휠(64)은 휠 포크들(63)에 배열된다.
앞쪽 단부(겸용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 봄)에서,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는 각각의 피벗 조인트들(72)의 일부를 형성한다. 피벗 조인트들(72)은, 도 12 및 도 3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회전축(A)을 갖는다.
피벗 조인트들(72) 중 하나가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13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는, 전방 부분 사이드 바(34) 및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에서 홀들을 통해 지나가는 볼트(73)에 의해 연결된다.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볼트(73)에는 너트를 위한 스레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은, 예컨대, 도 1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볼트(73)를 통해 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피벗 조인트(72)는, 바람직하게는, 핸드카트 위치로부터 스쿠터 위치로의 조절 중,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 내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의 추가적인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에 후방 부분 정지 면(81)이 각기 제공되는 것으로 성취된다. 후방 부분 정지 면(81)은, 바람직하게는 주름식(corrugated)이다. 각각의 후방 부분 정지 면들(81)과 협동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후방 부품 정지 요소들(82)이 전방 부분(12) 상에 배열되어, 겸용 장치(10)가 스쿠터 위치에 있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알게 됨에 따라, 후방 부분 정지 면들(81)은 이들의 각각의 후방 부분 정지 면들(82)에 대항하여 접촉하게 된다.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 정지 요소(82)는 코루게이션 골(corrugation valley)에 진입하고, 이에 따라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 시도되는 추가의 상대 회전에 대해 코루게이션 마루(corrugation crest)에 맞닿아 인접한다. 이에 따라,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에 있고 사용자가 후방 부분(45) 상에 서있을 때,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 추가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후방 부분 정지 요소들(82)은,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 상에 배열된 별개의 볼트 등일 수 있다. 그러나, 후방 부분 정지 요소들(82)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부분 횡단 바(38)로 구성된다. 또한, 물론,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 상에 정지 면들 그리고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 상에 정지 요소를 배열할 가능성이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방 부분(45)은, 또한,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과 후방 부분 횡단 바들(55, 59)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상에 배열되는 플레이트 수단(66)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수단(66)은, 적절한 방식으로, 예컨대, 스크류들에 의해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 및/또는 후방 부분 횡단 바들(55, 59)에 체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 수단(66)은, 겸용 장치가 스쿠터로서 사용될 때 사람이 플레이트 수단(66) 상에 서있을 수 있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플레이트 수단(66)은 스티어링 장치(18)가 실질적으로 수직한 직립(upright) 위치에서 안정된 채 유지되도록 겸용 장치가 핸드카트로서 사용될 때 겸용 장치(10)를 위한 서포트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수단(66)은 풋 부분(68) 및 서포트 부분(69)으로 구성된다. 풋 부분(68) 및 서포트 부분(69)은 서로 각지게(at an angle) 배열되어, 겸용 장치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겸용 장치(10)를 위한 서포트로서 기능하는데, 즉 사용자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에 겸용 장치(10)를 둘 수 있고, 겸용 장치가 쓰러지지 않고(falling over) 장치를 놓을 수 있다(let go of). 직립 위치에서, 스티어링 조립체(18)는,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한다.
풋 부분과 서포트 부분 사이에서 정확한 각도가 각각의 개별적인 경우에서 판정되어야 할 것이지만, 0도 내지 90도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는 90도에 근접하고, 어떠한 경우라도, 0도 보다 90도에 근접한다. 풋 부분(68)과 서포트 부분(69) 사이 각도의 크기(magnitude)는, 또한 서포트 부분(69)의 길이와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길이 및 각도는, 겸용 장치(10)가 서포트 부분(69)의 도움에 의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안정을 유지하도록 서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서포트 부분(69)의 길이는, 핸드카트 위치에서 기저(underlying) 표면에 대해서 놓이는 서포트 부분(69)의 상부 에지(70)와 풋 부분(68)과 서포트 부분(69) 사이의 연결부(junction) 사이의 거리로서 여기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카트 위치로의 겸용 장치(10)의 조절을 도시하는 4 개의 도면들이다. 도 9에서, 스티어링 조립체는, 하방 및 전방으로 피벗되고 있으며, 피벗 조인트들(72)을 이동시키고, 회전 축(A)이 상방으로 이동되었으며, 전방 부분(12)이 후방 부분(45)에 대해 회전된다. 도 10에서, 리어 휠들(64)이 프론트 휠 위로 피벗되고 있으며, 서포트 부분(69)은 기저 표면(99)을 향해서 가리키기 시작하고 있다. 도 11에서,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다시 직각이 되고 있다. 이제, 후방 부분(45)이 전방 부분(12) 아래에 놓이는 반면, 지지 부분(69)의 상부 에지(70)는 기저 표면(99)에 대해서 놓여지며, 겸용 장치(10)는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단독으로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기저 표면(99)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단지 리어 휠들(64)만이도록 배열된다. 겸용 장치(10)에 2 개의 리어 휠들 및 단지 하나의 프론트 휠이 제공되기 때문에,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로 사용될 때, 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부여할 것이다. 프론트 휠들 및 리어 휠들의 상이한 개수들의 분배에 의해, 디바이스가 핸드카트로서 사용될 때,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2 이상의 프론트 휠들이 존재하고, 프론트 휠들이 기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반면, 리어 휠 또는 휠들이 핸드카트 위치에서 프론트 휠들 위에 배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4 내지 도 27에 도시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수단(66)을 제외하고, 프론트 부분(12) 및 리어 부분(45)은, 이 실시예 및 전술된 실시예에서 동일하다. 2 개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피처들은, 따라서 하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특히, 스티어링 가이드(14), 프론트 휠 포크(23) 및 프론트 휠(22), 핸들바(18),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 전방 부분 횡단 바(38), 전방 부분 중앙 바(25),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 후방 부분 횡단 바들(55, 59), 리어 휠 포크들(63) 및 리어 휠들(64)을 갖는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의 구조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수단(66) 및 플레이트 수단이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의 조절 상에서 기능하는 방법이 도 17 내지 도 23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플레이트 수단(66)은, 서포트 부분(68)을 포함하며, 이 서포트 부분은 겸용 장치(10)가 스쿠터로서 사용될 때 사용자가 그 위에 서있으며,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로서 사용될 때, 전술된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서포트 부분(69)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서포트 부분(68)은 체결 부재들(76)에 의해 2 개의 피벗 조인트들(72)에 피벗식으로 체결된다. 체결 부재들(76)은,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플레이트 요소들로서 구성되며, 이 요소들은 일단부에서 스크류들 또는 다른 적절한 패스너들에 의해 서포트 부분(68)에 체결되고, 타단부에서 제각기 피벗 조인트들(72)에 피벗식으로 배열된다. 서포트 부분(68)은, 이에 따라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과 동일한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들(76)의 일단부는, 타단부에 대해 체결 부재들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 이에 따라 제각기 서포트 부분(68) 및 피벗 조인트(72)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 및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과 마찬가지로, 체결 부재들(76)에는, 각기 피벗 조인트(72)의 커넥팅 볼트들(73)이 통과되는 구멍들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서포트 부분(68)은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의 나머지 양자 모두에 대해 피벗 조인트(72)에 피벗식으로 지지된다.
체결 부재들(76)에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 정지 면(84)이 제공된다(도 19, 도 21 및 도 22 참조). 체결 부재 정지 면(84)은,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고 전방 부분(12)에 대해 서포트 부분(68)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서포트(68)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서포트 부분(69)과 동일한 방식으로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10)에 대한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소망하는 위치로 서포트(68)가 회전한다.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는, 전방 부분(12) 상에 배열되고, 유리하게는, 전방 부분 횡단 바(3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제 실시예에서, 전방 부분 횡단 바(38)는 후방 부분 정지 요소(82) 및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 양자 모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대안으로,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는, 전방 부분 사이드 바들(30, 34)에 체결되는 2 개의 별개의 볼트들 등일 수 있다.
겸용 장치(10)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기저 표면에 대해서 놓여질 서포트 에지(71)와 함께 서포트(68)가 구성된다. 서포트 에지(71)는, 바람직하게는, 겸용 장치(10)가 스쿠터 위치에 있을 때 겸용 장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볼 때 서포트(68)의 후방 에지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쿠터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카트 위치로 겸용 장치(10)의 제 2 실시예가 조절되는 법을 도시하는 일련의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절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조립체(18)가 전방 및 하방으로 피벗된다(도 25 참조). 이는, 조인트(72)가 리프팅되고, 프론트 휠(22) 및 리어 휠들(64)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유발한다. 먼저, 플레이트 수단(66)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12)에 대해 후방 부분(45)과 함께 회전할 것이지만, 체결 부재 정지 면(84)이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와 맞닿게 되며, 체결 부재 정지 요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부분 횡단 바(38)로 구성되고, 전방 부분(12)에 대해 플레이트 수단(66)의 추가 회전이 도 2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방지된다. 겸용 장치(10)의 조절이 완료되었을 때, 플레이트 수단(66)을 제외하고, 후방 부분(45)이 전방 부분(12) 아래에 놓이며, 스티어링 조립체(18)는 다소(more or less) 수직한 위치로 다시 위로 피벗되었다. 플레이트 수단(66)의 서포트 에지(71)는, 기저 표면에 대해서 놓여질 것이며, 겸용 장치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시된 겸용 장치에는 2 개의 리어 휠들(64) 및 하나의 프론트 휠(22)이 제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리어 휠들(64)은, 핸드카트 위치에서 기저 표면과 접촉하는 한편, 프론트 휠(22)은 표면으로부터 리프트 업된다.
도 28 내지 도 31은,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의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겸용 장치를 잠금하기 위해서 설명된 실시예들 양자 모두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배열체를 도시한다.
도 28은 스쿠터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겸용 장치(10)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피벗 조인트(72) 둘레 영역을 도시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겸용 장치(10)에는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하는 잠금 기구(87)가 제공된다. 잠금 기구(87)는 전방 부분(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앵커(88)를 포함한다. 앵커는, 후방 부분(45) 상에 제공되는 잠금 볼트들과 맞물림하는 후크들(89)을 포함한다. 도 28 및 도 29에서,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스쿠터 위치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하기 위해서, 앵커(89)가 후방 부분(45) 상에 잠금 볼트(도시 생략)와 맞물림하도록 어떻게 적응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30 및 도 31은,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핸드카트 위치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하기 위해서, 앵커가 제 2 잠금 볼트(90)와 맞물림하도록 어떻게 피벗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32에서, 겸용 장치(10)는 플레이트 수단(66) 없이 도시된다. 겸용 장치(10)에는 리어 휠들(64) 상에 브레이크(92)가 제공된다. 휠들(64) 중 단지 하나에만 브레이크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양쪽 휠들에 브레이크(92)가 제공된다. 브레이크(92)는, 바람직하게는 스티어링 조립체(18)의 스티어링 핸들(20) 상에 배열되는 브레이크 레버(94)에 의해 작동된다. 브레이크 레버(94)는, 바람직하게는, 도 3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와이어들(93)에 의해서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들(92)에 연결된다.
리어 휠들(64) 상의 브레이크들(92)은 적어도 2 개의 목적들을 갖는다. 첫 번째로, 이 브레이크들은, 겸용 장치(10)가 스쿠터로서 사용될 때 속도를 감소시키커나 또는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로서 사용될 때 급격한 다운힐(downhill) 상에서, 슬로프들을 감소시키도록 사용될 것이다. 게다가, 브레이크는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겸용 장치(10)를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리어 휠들(64)이 브레이크들(92)에 의해 잠금된다면,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 위치를 취할 때까지,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아래로 용이하게 피벗될 수 있고 프론트 휠(22)은 리어 휠들(64)을 향해서 용이하게 푸시될 수 있다. 또한, 핸드카트 위치로부터 스쿠터 위치로의 조절은, 프론트 휠은, 겸용 장치(10)가 스쿠터 위치를 취할 때까지 리어 휠들(64)에서 용이하게 끌어내어질(pulled away from) 수 있도록, 리어 휠들(64)이 브레이크들(92)에 의해서 잠금될 수 있을 때 사용자에게 용이해질 것이다.
도면들에서, 겸용 장치(10)에는 하나의 프론트 휠 및 2 개의 리어 휠들이 제공된 채 도시된다. 이는, 동작(manoeuvrability) 및 안정성(stability)에 관하여 최적의 해법을 제공하도록 고려된다. 그러나, 예컨대, 2 개의 프론트 휠들 및 2 개의 리어 휠들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2 개 초과의 프론트 휠들 및/또는 리어 휠들이 또한 요망된다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2 개의 실시예들에 2 개의 피벗 조인트들이 제공되지만, 물론,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이 도 33 내지 도 38의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피벗 조인트에 의해서 또는 선택적으로 모든 피벗 조인트들이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 한, 2 개 초과의 피벗 조인트들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이 부분들이 구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도 33 내지 도 38은 겸용 장치(10)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피벗 조인트(72)와 함께 구성되며, 그리고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에 있어서 약간 단순해진 설계를 갖는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12)은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스티어링 가이드(14)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전방 부분 바(24)를 포함한다. 전방 부분 바(24)의 타단부는 피벗 조인트(72)에 체결된다. 이는, 하기 도 36 및 도 37의 설명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스티어링 칼럼(19)에 대해 상기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스티어링 칼럼(19)은 스티어링 가이드(14)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그의 하단부에서 프론트 휠 포크(23) 및 그의 상단부에서 스티어링 핸들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스티어링 핸들(20)을 잡고 핸들을 돌릴 때, 이에 따라 프론트 휠(22)이 대응하여 회전될 것이다.
후방 부분(45)은,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를 포함하며, 이들 양자 모두는 일단부에서 피벗 조인트(72)에 연결된다. 이는, 또한 도 36 및 도 37의 설명과 관련되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후방 부분 사이드 바들(47, 51)의 타단부에는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휠들(64)을 유지하는 리어 휠 포크들(63)이 배열된다. 후방 부분(45)에는, 후방 부분에 더 큰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후방 부분 횡단 바(5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후방 부분(45)의 상부에 도 38a 및 도 3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부분의 형태로 플레이트 수단이 배열되며, 이 플레이트 수단은 플레이트를 후방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방법들 또는 체결 스크류들에 의해서 후방 부분(45)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 수단에는, 사용자가 장치를 잡지않고 장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핸드카트 위치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겸용 장치(10)에 부여할 수 있는 풋플레이트에 대한 길이 및 각도와 함께,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직립 에지가 제공될 수 있다.
피벗 조인트(72)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6에서, 2 개의 내부 요소들(98)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내부 요소들(9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24)의 각각의 사이드 상에서 하나의 내부 요소가 전방 부분(24)의 단부 부분에 체결된다. 내부 요소들은, 예컨대, 전방 부분(24)에 용접될 수 있다. 내부 요소들(98)은 샤프트(100) 상에 배열되고, 샤프트(100) 주위에서 원형 경로(circular path)로 연장하는 함몰부(depression)(102)와 함께 구성된다. 함몰부들은, 예컨대, 그루브(groove)들 또는 리세스(recess)들일 수 있다.
피벗 조인트(72)는, 2 개의 외부 요소들(99)을 더 포함하는데, 2 개의 외부 요소들(99)은 이들의 2 개의 내부 요소들(98) 중 각각 하나의 외부측 상에 배열된다. 2 개의 외부 요소들(99)은 또한, 내부 요소들(98) 및 외부 요소들(99)이 샤프트(100)를 통해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100) 상에 배열된다. 2 개의 외부 요소들(99) 중 하나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에 체결되는 한편, 다른 외부 요소(99)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에 체결된다. 내부 요소들(98) 및 외부 요소들(99)이 서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이들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성 및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외부 요소들 중 하나 이상,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외부 요소들(99)에는 내부 요소(98)들의 각각의 함몰부들(102) 내로 돌출하는 돌기(101)가 제공된다. 돌기는, 예컨대, 핀(pin) 또는 유사한 요소일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01)는, 겸용 장치가 스쿠터 위치에 있을 때 함몰부(102)의 일단부에 충돌하며(butt against), 사용자가 풋플레이트에 서 있을 때(도시 생략)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추가로 방지한다. 도 34 및 도 35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들(101)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 중 함몰부들(102)을 따를 것이다. 핸드카트 위치에서, 돌기(101)는 스쿠터 위치와 비교하여 함몰부(102)의 대향 단부에 맞닿아 인접하며, 이에 따라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추가로 방지한다. 따라서, 함몰부(102)의 길이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이 얼마나 많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에서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 사이 상대 이동에 대하여 겸용 장치(10)를 잠금하기 위해서, 피벗 조인트(72)에는, 도 36 및 도 37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잠금 기구(96)가 제공될 수 있다. 잠금 기구(96)는, 2 개의 내부 요소들(98) 사이에 놓이며 일단부에서 2 개의 내부 요소들(98)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 요소(locking element)(108)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108)의 대향 단부에서, 요소에는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 돌기가 제공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외부 요소들(99)을 향해서 밖으로 돌출하는 2 개의 잠금 요소 돌기들(109)이 제공된다. 게다가, 내부 요소들은, 내부 요소들의 외부 에지(반경 방향으로 봄)에서 리세스들(104)과 함께 구성되며, 이 리세스들(104)은 잠금 요소 돌기들(109)이 끼워맞춰지는(fit) 형상을 갖는다. 외부 요소들(99)은, 외부 요소들의 외부 에지들(반경 방향으로 봄)에서 각각의 제 1 리세스들(106) 및 제 2 리세스들(109)과 함께 구성되며, 이 리세스들은 잠금 요소 돌기들(109)이 끼워맞춰지는(fit) 형상을 갖는다. 내부 요소들 상의 리세스들(104) 및 외부 요소들 상의 리세스들(106)은, 이들 각각의 요소들 상에 배치되어, 이들 요소들이 스쿠터 위치로 정렬되며, 이에 의해 잠금 요소들의 잠금 요소 돌기들(109)이 리세스들(104, 106)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 부분(12)이 후방 부분(45)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요소(108)는, 유리하게는, 잠금 요소 돌기들(109)이 리세스들(104, 106)을 부주의하게 튀어나오지(pop out of) 않도록, 스프링 장착식일 수 있다.
이후에,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 위치로 조절될 때, 잠금 요소(108)는, 핸드카트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후방 부분(45) 및 전방 부분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기 이전에 들어올려져야 한다. 핸드카트 위치에서, 내부 요소들 상의 리세스들(104)은, 외부 요소들(99) 상의 제 2 리세스들(107)과 정렬될 것이다. 잠금 요소(108)는, 내부 요소들(98)과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잠금 요소 돌기들(109)은, 정렬된 리세스들(104, 107)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후방 부분(45)에 대해 전방 부분(1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3 내지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유리하게는, 브레이크, 예컨대 도 32에 도시된 브레이크와 같은 브레이크가 또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브레이크에서, 와이어는 전방 부분 바(24)를 통해 통과될 수 있고 전방 부분 바의 단부에서 개구를 통해 외부로 통과될 수 있다. 이후, 와이어는, 후방 부분 횡단 바(54)를 통해 배열될 수 있고, 이후에,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리어 휠들로 분기될 수 있다. 다른 브레이크 유형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 휠들(64) 상에 배열되고 가요적인 펜더(fender)(65)가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펜더에 올라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리어 휠(64)에 대해서 펜더를 가압하여, 펜더(65)와 휠(64) 사이의 마찰이 소망하는 제동 효과를 부여한다. 선택적으로, 펜더가 휠에 대하여 가압될 때 휠(64)과 펜더(65)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것인 마찰-향상 코팅을 펜더(65) 상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3 내지 도 37의 실시예는, 임의의 스토리지 장치가 도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토리지 장치는, 전방 부분(24)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칼럼(19)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료, 또는 전방 부분(24)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더 작은 스토리지 유닛으로 넣어지고 이 유닛으로부터 꺼내질 수 있는 연질 재료의 백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은, 예컨대, 도 1에서 도시된다.
도 38a 내지 도 38c에서, 겸용 장치(10)는 스토리지 유닛(41)을 가진 채 도시된다. 스토리지 유닛은, 수개의 사용 위치들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8a는, 스토리지 유닛(41)이 커서, 예컨대 쇼핑 여행 후에, 많은 아이템들을 보유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38b에서, 스토리지 유닛(41)은 숄더 백으로서 기능하는 위치로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유닛(41)에는, 겸용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스토리지 유닛이 어깨(shoulder) 상에서 휴대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어깨 스트랩(shoulder strap)(37)이 장비될 수 있다. 도 38c에서, 스토리지 유닛이 겸용 장치(10) 상에 배열될 때 스토리지 유닛(41)이 접혀진 위치로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템들의 스토리지를 위해 큰 볼륨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38c에 도시된 스토리지 유닛의 위치는, 예컨대,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 페이퍼 파일들 및/또는 다른 자그마한 아이템들이 수송되어야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또한, 제 3 실시예에 풋 부분의 형태의 플레이트 수단이 장비되는 것을 도시한다. 풋 부분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후방 부분 사이드 바(47) 및 제 2 후방 부분 사이드 바(51) 상에 놓여지고 선택적으로 이에 체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다른 재료들이, 물론 풋 부분을 만들기 위해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소망한다면, 풋 부분이 피벗 조인트(72)를 커버하여 이에 의해 피벗 조인트를 충격(impact), 먼지(dirt)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풋 부분이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풋 부분은, 또한, 도 1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심이 되도록(pivotal) 장착될 수 있어, 겸용 장치(10)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풋 부분이 서포트 부분(68)으로서 기능하고, 이에 의해 겸용 장치가 뒤집어질(tipping over) 어떠한 상당한 위험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15 내지 도 27에서, 서포트 부분(68)이 체결 부재들(76)에 의해서 피벗 조인트들(72)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별개의 체결 부재들(76)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서포트 부분(68)에는, 피벗 조인트(72)에 체결될 수 있는 상방 돌출 또는 하방 돌출 에지가 제공될 수 있음이 또한 예상될 수 있다. 서포트 부분의 단지 일부분이 피벗 조인트(72)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한편으로, 플레이트 수단(66)의 나머지가 후방 부분(45)에 고정식으로 고착된다. 회전가능한 지지 부분(68)이 후방 부분에 고정식으로 고착되는 플레이트 수단의 부분에 리세스가 놓이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플레이트 수단 전부는, 스쿠터 위치에서 단일 풋 부분으로서 보일 것이지만, 핸드카트 위치에서, 회전가능한 서포트 부분(68)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단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에 대해 소정의 지점으로 회전할 것이며, 이에 따라 핸드카트가 뒤집히지 않고 직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서포트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마지막 두 개의 도면 39a 및 도면 39b에서, 겸용 장치의 2 개의 변형들이, 하나 또는 두 개의 풋 부분들(202) 및 서포트 부분(200)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수단을 갖는 상태로 도시되며, 여기서 서포트 부분 및 풋 부분들은 별개의 부분들이다. 서포트 부분(202)은,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피벗 조인트(72)에 체결된다. 플레이트 수단은, 2 개의 풋 부분들(20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2 개의 부분들은 각각 후방 부분의 우측 및 좌측에 체결된다. 대안으로, 풋 부분들은 단일편(single piece)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예컨대, 피벗 조인트 위에 놓이며 그리고 이를 보호하는 부품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부분(200)은, 2 개의 길이 방향 바들을 포함하는 볼트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길이 방향 바들의 제 1 단부들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피벗 조인트(7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길이 방향 바들의 제 2 단부들은 횡단 볼트에 체결된다. 대안으로, 서포트 부분(200)은, 도 39b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벗 조인트(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9a 및 도 39b의 양자의 실시예들에서, 서포트 장치(200)는, 바람직하게는 스쿠터 위치에서 풋 부분 또는 부분들(202)과 동일한 높이(level with)에 놓인다.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서포트 부분이 핸드카트 위치에서 겸용 장치를 위한 서포트로서 기능하도록 서포트 부분 상의 정지 면이 피벗 조인트 또는 전방 부분 상에서 대응하는 정지 면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는 소정의 지점까지, 회전가능한 서포트 부분(200)이 풋 부분 또는 부품들(202)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다.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겸용 장치(10)의 실시예들 전부에는 또한, 추진용 모터(motor for propulsion)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휠(22) 상에 드라이브(drive)를 갖춘 전동 모터(electric motor)이다. 스티어링 가이드(14) 및/또는 스티어링 칼럼(19)이 배터리 홀더로서 채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모터 자체가 프론트 휠(22)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겸용 장치가 스토리지 장치, 이를테면, 스토리지 백을 갖춘 핸드카트 및 스쿠터 양자 모두로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은,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이와 반대로의, 전체 조절 프로세스 동안, 스티어링 칼럼이 비교적 수직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세 개의 예들의 설명으로 자명해져야 한다. 따라서, 스토리지 장치를 벗어나는 다른 것의 가능성이 적다.

Claims (19)

  1. 스쿠터 위치(scooter position)와 핸드카트 위치(handcart position) 사이에서 조절을 위해 적응되는 겸용 장치(combined device)(10)로서,
    스티어링 조립체(steering assembly)(18)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front wheel)(22)이 제공되는 전방 부분(12), 및 적어도 두 개의 리어 휠들(rear wheels)(64)이 제공되는 후방 부분(45)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부분(12)은 공통의 회전 축(A)과 함께 하나의 피벗 조인트(pivot joint)(72) 또는 복수 개의 피벗 조인트들(72)에서 상기 후방 부분(4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조절시, 리어 휠들(64)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22)이 서로를 향해서 그리고 서로에 대해 회전되어, 리어 휠들이 핸드카트 위치에서 기저 표면(underlying surface)과 접촉되고, 상기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 위치에서 리어 휠들에 휠 온(wheeled on)되는,
    겸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겸용 장치(10)는 후방 부분(45) 및/또는 피벗 조인트 또는 조인트들(72)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수단(plate means)(66)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쿠터 위치에서 플레이트 수단(66)에 서있을 수 있고, 전체 플레이트 수단(66) 또는 플레이트 수단(66)의 일부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upright handcart position)로 세워져 있을 때 겸용 장치(10)를 위한 서포트(support)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수단(66)은, 스쿠터 위치에서 사용자가 서있을 수 있는 풋 부분(68) 및 상기 풋 부분(6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서포트 부분(69)을 포함하여, 상기 겸용 장치가 직립 핸드카트 위치로 세워져 있을 때, 상기 서포트 부분(69)이 겸용 장치(10)를 위한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수단(66)은, 상기 피벗 조인트(72) 또는 피벗 조인트들(72)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 부분(support part)(200)―상기 서포트 부분(200)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함―; 및 상기 후방 부분(45)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풋 부분(foot part)(2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수단(66)은, 상기 피벗 조인트(72) 또는 피벗 조인트들(72)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 부분(68, 200)을 포함하여, 상기 서포트 부분(68, 200)이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수단(66) 전체는, 서포트 부분(68)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스쿠터 위치에서 지지 부분(68) 상에 서있을 수 있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수단(66)은 상기 서포트 부분(200), 및 상기 후방 부분(45)에 체결되는 별도의 풋 부분(202)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부분(200)은 스쿠터 위치에서 상기 풋 부분(202)에 있는 리세스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겸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체결 부재(7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76)는 일단부에서 상기 서포트 부분(68)에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피벗 조인트(72) 또는 피벗 조인트들(72) 중 하나의 조인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76) 또는 상기 서포트 부분(68)은, 스쿠터 위치로부터 핸드카트 위치로의 회전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전방 부분(12) 상에서 대응하는 정지 면(stop face)에 맞닿아 인접되는 정지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부분(68)의 회전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서포트 부분(68)은 직립 핸드카트 위치에서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76)는 체결 부재 정지 면(fastening member stop face)(8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지 면은, 상기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체결 부재 정지 면(84)이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며, 풋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체결 부재 정지 요소(85)는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1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조립체(18)는 스티어링 칼럼(19)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은 상기 스쿠터 위치에서, 기저 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지향되고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의 하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휠(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12)은 상기 전방 부분(12)에 고정 연결되는 스티어링 가이드(steering guide)(14)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어링 가이드(14)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19)은 상기 스티어링 가이드(14)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19)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조인트(72)는 상기 전방 부분(12)에 고정 연결되는 2 개의 내부 요소들(98) 및 2 개의 외부 요소들(99)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요소들은 상기 외부 요소들 각각의 내부 요소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상기 후방 부분(45)에 체결되며, 상기 내부 요소들(98) 및/또는 상기 외부 요소들(99)은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들(98) 및/또는 상기 외부 요소들(99)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하나의 샤프트(shaft)(100) 또는 복수 개의 샤프트들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들(98)은 돌기(projection)(101)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요소들(99)은 대응하는 함몰부(depression)(102)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 내에 돌기들(101)이 제각기 돌출하며, 상기 겸용 장치(10)가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때, 상기 함몰부를 따라 돌기들이 이동하며, 상기 함몰부(102)의 길이는, 돌기들(101)이 스쿠터 위치 및 핸드카트 위치 각각에서 함몰부들(102)의 각각의 단부들에 맞닿아 인접하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조인트(72)에는 전방 부분(12) 및 후방 부분(45)을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각각에서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하는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9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들(98)에는 리세스(recess)(104)가 제공되며, 상기 외부 요소들(99)에는 각각의 제 1 리세스들(106) 및 제 2 리세스들(107)이 제공되며, 상기 겸용 장치(10)가 스쿠터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요소들의 리세스들(104) 및 외부 요소들의 제 1 리세스들(106)이 정렬되며, 상기 겸용 장치(10)가 핸드카트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요소들의 리세스들(104) 및 외부 요소들의 제 2 리세스들(107)이 서로 정렬되며, 상기 피벗 조인트(72)는 잠금 요소 돌기(locking element projection)(109)를 갖는 이동가능한 잠금 요소(108)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요소 돌기(109)는 리세스들(104, 106, 107)에 적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방 부분(12)과 후방 부분(45)을 이들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에 대해 잠금하도록 스쿠터 위치와 핸드카트 위치 각각에서 정렬된 리세스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겸용 장치의 전방 부분(12)에는, 스쿠터 위치에서 겸용 장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볼 때 겸용 장치의 핸들바들(handlebars)(18) 뒤에 스토리지 유닛(storage unit)(4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유닛(41)은, 상기 스토리지 유닛(41)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조립체(18)에 위로 당겨지고 체결될 수 있도록 적응되는 스토리지 백(storage bag)(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장치.
KR1020167014953A 2013-11-04 2014-11-04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KR20160082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31459 2013-11-04
NO20131459A NO336956B1 (no) 2013-11-04 2013-11-04 Sparkesykkel
PCT/IB2014/065785 WO2015063745A1 (en) 2013-11-04 2014-11-04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591A true KR20160082591A (ko) 2016-07-08

Family

ID=5202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953A KR20160082591A (ko) 2013-11-04 2014-11-04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63160B2 (ko)
EP (1) EP3066000A1 (ko)
JP (1) JP2017500251A (ko)
KR (1) KR20160082591A (ko)
CN (1) CN105683035B (ko)
NO (1) NO336956B1 (ko)
WO (1) WO2015063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36956B1 (no) * 2013-11-04 2015-11-30 Opsvik Peter As Sparkesykkel
US9745016B1 (en) * 2015-08-13 2017-08-29 Jonathan Makonnen Scooter system and method of use
ES1156108Y (es) * 2016-01-18 2016-08-02 Perez Nazabal Alberto (100 0%) Carro para la compra convertible en silla motorizada
KR101894261B1 (ko) * 2016-04-28 2018-09-04 (주)머케인 전동식 주행장치
CN107054534B (zh) * 2017-04-21 2023-11-1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台州供电公司 一种环保多角色代步车
KR102299340B1 (ko) * 2017-06-09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모드 변경이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
USD907130S1 (en) * 2017-07-20 2021-01-05 Coolryde B.V. Three-wheel carrying vehicle
US10829141B2 (en) * 2018-07-03 2020-11-10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Trailer for stroller
CN214138807U (zh) * 2020-12-31 2021-09-07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电动滑板车
DE202022104105U1 (de) 2022-07-20 2022-07-27 Guru Technologies Gmbh Einspuriges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8095A1 (de) 1981-09-24 1983-04-07 Wudy, Johann, 8373 Bodenmais Fortbewegungs- und transportmittel
JPH0710989Y2 (ja) * 1989-05-23 1995-03-15 株式会社東洋シート ショッピングカート
GB9014314D0 (en) * 1990-06-27 1990-08-15 Vessa Ltd Wheeled vehicle
CH688178A5 (de) * 1993-09-20 1997-06-13 Ligten Robert Hermanus Van Lenkbares, zusammenfaltbares Rollbrett mit der Moeglichkeit, Gepaeck mitzufuehren.
DE29610975U1 (de) * 1995-06-27 1996-10-24 Ito Design Und Marketing Gmbh Transportmittel für einen Personen- und/oder Warentransport zu Fuß
DE29715152U1 (de) 1997-08-23 1997-11-06 Voss Spezial Rad Gmbh Roller
US6206387B1 (en) * 1998-12-30 2001-03-27 Shui-Te Tsai Collapsible skateboard
US7143912B2 (en) * 2000-10-16 2006-12-05 Mary Ann Caneba Customizing pack carrier on wheels
US6460866B1 (en) * 2000-10-20 2002-10-08 Diece-Lisa Industries, Inc. Combination wheeled vehicle and article carrier
FR2818100A1 (fr) 2000-12-14 2002-06-21 Rhw Marketing Gmbh Bagage, associe a une trottinette
FR2822794B1 (fr) * 2001-03-29 2003-06-27 Mondial Ecolo Trottinette a plateforme pliable comportant un moyen pour immobiliser un bagage
KR20030030595A (ko) * 2001-10-12 2003-04-18 강복성 골프백 운반용 카트
AU2002363218A1 (en) * 2001-10-26 2003-05-12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DE10204478A1 (de) 2002-02-05 2003-08-21 Peter Hirschmann Multifunktionales mobiles Gerät
SE0201282D0 (sv) * 2002-04-29 2002-04-29 Lars Erik Dahl Kombinerad shoppingvagn och sparkcykel
NO317715B1 (no) * 2002-11-21 2004-12-06 Opsvik Peter As Personlig transportenhet
US7967095B2 (en) * 2003-10-08 2011-06-28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JP2005199980A (ja) * 2004-01-13 2005-07-28 Shiro Kimura 折り畳み式キャリーバック兼用補助動力付自転車
TWM257672U (en) * 2004-06-29 2005-03-01 Syndica Technologies Internat Bicycle storage compartment and similar article
NO321434B1 (no) * 2004-09-15 2006-05-08 Opsvik Peter As Sparkesykkel
US7431311B2 (en) * 2005-01-27 2008-10-07 Michael Hughesdon Turner Combination scooter/backpack
DE102006042119B4 (de) * 2005-09-13 2016-07-28 GreenPack GmbH Lastenroller
ES2311355B1 (es) * 2006-06-09 2009-10-26 Jose Gregorio Garcia Domingo Mochila convertible.
GB2444487B (en) * 2006-12-04 2010-02-17 Green Island Holding Co Ltd Personal Vehicles
US7461715B1 (en) * 2008-05-29 2008-12-09 Fu-Hsun Tsai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eleasable folding seat
US8708206B2 (en) * 2008-08-29 2014-04-29 Shawn Onessimo Bag that distributes weight over the back of a person
CN201385733Y (zh) * 2009-03-09 2010-01-20 陈康 便携式折叠电动车
US8282113B2 (en) * 2009-06-01 2012-10-09 Veal James W Rideable luggage
US8459679B2 (en) * 2009-07-21 2013-06-11 Huffy Corporation Pivot mechanism for scooters, tricycles and the like
US8201837B2 (en) * 2009-10-21 2012-06-19 Animations An Accessory Innovations Company Skateboard backpack system
JP2011177422A (ja) * 2010-03-03 2011-09-15 Kyoung-Ok Lee スタンディングバイク
US8282109B1 (en) * 2010-04-28 2012-10-09 Hamid Arjomand Convertible cargo container
TWM397919U (en) * 2010-09-01 2011-02-11 Dijiya Energy Saving Technology Inc Integrated wheel
CA2717158A1 (en) * 2010-10-07 2012-04-07 Kyle Reeves Article carrying scooter
EP2514661B1 (de) 2011-04-19 2013-12-11 Tim Ascheberg Dreirädriger Roller
US20120286011A1 (en) * 2011-05-10 2012-11-15 Wegener Andreas C Scooter carrying case and backpack apparatus
US8893937B1 (en) * 2011-06-28 2014-11-25 Jared D. Bristol Multiple mode portable wheeled backpack
IES20110306A2 (en) * 2011-06-29 2012-01-04 Federico Porri Luggage scooter device
US8534405B2 (en) * 2011-07-21 2013-09-17 Diomede Equity Llc Cargo scooter with the ability to lean
FR2978416B1 (fr) * 2011-07-26 2013-11-29 Decathlon Sa Vehicule, par exemple du type trottinette, avec systeme de repliage
AU2013232748B2 (en) * 2012-03-13 2016-12-22 Movpak Inc. Portable motor-driven transportation means
CN103387028B (zh) * 2012-07-19 2015-11-25 亚伯拉罕·尼诺·瑞森伯格 机动车
US20140061267A1 (en) * 2012-09-06 2014-03-06 Michael Hughesdon Turner Interchangeable Scooter and Article Carrier System
CN203369498U (zh) * 2013-07-22 2014-01-01 宫融 折叠式滑板包
NO336956B1 (no) * 2013-11-04 2015-11-30 Opsvik Peter As Sparkesykk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3035B (zh) 2018-06-22
US20160297459A1 (en) 2016-10-13
CN105683035A (zh) 2016-06-15
WO2015063745A1 (en) 2015-05-07
NO20131459A1 (no) 2015-05-05
NO336956B1 (no) 2015-11-30
US9963160B2 (en) 2018-05-08
EP3066000A1 (en) 2016-09-14
JP2017500251A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2591A (ko) 겸용 스쿠터 및 핸드카트
US8887852B2 (en) Foldable scooter
EP3024715B1 (en) Folding scooter
US8091908B2 (en) Bicycle trailer hitch
US20030025301A1 (en) Folding wagon assembly
EP2783966B1 (en) Foldable vehicle
US20120018968A1 (en) Scoo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JP2015532905A (ja) 折り畳み式自転車及び使用方法
US20040056442A1 (en) Baggage scooter
EP3512765B1 (en) A full folding tricycle
US20120013089A1 (en) Article carrying scooter
US11267527B2 (en) System for rolling a folded bike
US11485181B2 (en) Trolley for use as a bicycle trailer or as a hand cart
US20090121456A1 (en) Luggage trolley
WO1992015191A1 (fr) Chariot reglable de transport a roues escamotables a charger plein dans tout coffre automobile sans operation mecanique
JP3189269U (ja) 柵付き台車
KR20160103473A (ko) 폴딩유니트를 구비한 트라이시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