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261B1 - 전동식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261B1
KR101894261B1 KR1020160052376A KR20160052376A KR101894261B1 KR 101894261 B1 KR101894261 B1 KR 101894261B1 KR 1020160052376 A KR1020160052376 A KR 1020160052376A KR 20160052376 A KR20160052376 A KR 20160052376A KR 101894261 B1 KR101894261 B1 KR 10189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cave portion
traveling
support pi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124A (ko
Inventor
민경균
Original Assignee
(주)머케인
민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머케인, 민경균 filed Critical (주)머케인
Priority to KR102016005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261B1/ko
Priority to CN201611137550.3A priority patent/CN107336596A/zh
Publication of KR2017012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L11/1877
    • B60L11/187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를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주행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주행본체(10)와,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허브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본체(10)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주행하는 구동휠(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 지지체(20)가 결합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탑승 지지체(20)의 저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주행하는 다수의 보조휠(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주행본체(10)와 탑승 지지체(20)를 결합 및 분리뿐만 아니라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수직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에 탑승 지지체(20)를 일정 범위 내에서 지지핀(26)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동식 주행장치{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전동식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탑승 가능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탑승한 부분이 착탈되거나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하고 보관 및 휴대성이 뛰어난 전동식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외에서 여가생활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여 새로운 즐길 거리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행하는 전동식 주행장치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전동식 주행장치는, 외발 또는 두발 전동휠, 전동 보드, 전동 킥보드 등 매우 다양하다.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주행장치를 전동식 주행장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주행장치는, 가까운 거리를 편리하게 이동하거나 레저용 등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전동식 주행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하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고, 계단이나 급격한 경사가 형성된 지면에서는 전동식 주행장치를 들고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식 주행장치는 휴대가 편리해야 하기 때문에 가볍고, 작은 부피를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종래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는 면적이 최소한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동식 주행장치는, 스스로 평형을 유지하며 탑승자의 무게중심에 의하여 주행 및 방향을 조작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균형을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 안전 사고가 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전동식 주행장치를 사용 중 급격한 방향 전환을 하거나, 장애물 등에 의하여 갑자기 정지해야 할 상황에서는 탑승자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넘어지거나, 전동식 주행장치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식 주행장치는, 초기에 비해서 점점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 시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주행 시, 그 충격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에 대한 문제는 물론이고, 장시간 주행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 보관, 휴대 상태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운송체에 착탈 가능하고, 전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조작장치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원격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전동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행장치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주행본체와,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허브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본체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주행하는 구동휠로 구성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탑승 가능하고 저면에 지면으로부터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휠을 구비하는 탑승 지지체와, 상기 주행본체와 탑승 지지체를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은, 상기 탑승 지지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양측면에 서로 깊이가 다른 다수의 오목부가 성형된 슬라이더와, 내측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핀이 설치된 연결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연결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되고, 내부 양측면에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홈이 성형된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단부가 접촉하는 오목부의 깊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홈에서 분리될 수 있는 깊이로 성형되는 제1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깊이로 성형되는 제2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깊이로 성형되는 제2오목부와, 상기 제2오목부의 전방에서 제2오목부보다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3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지지핀의 내측단부가 제3오목부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1구간과, 상기 지지핀의 내측단부가 제2오목부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구간이 성형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에, 상기 제2오목부의 전방에서 제2오목부의 전방에서 제2오목부보다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4오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지지핀의 내측단부가 제4오목부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3구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주행본체에는, 상기 지지핀의 외측단부가 제2구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탑승 지지체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탑승 지지체의 선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와, 상기 주행본체의 상면에 성형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주행본체는, 대상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부와, 상기 운송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가능하고 방향 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캐스터로 구성되는 운송체와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을 제어하여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가 안착되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본체에는, 상기 손잡이와 착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본체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허브모터가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에 의하여 전동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탑승 지지체에 의하여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에 의하면, 지지홈과 지지핀의 결합 상태에 의하여 주행본체와 탑승 지지체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하여 주행본체만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에 의하면, 지지홈과 지지핀의 결합 상태에 의하여 탑승 지지체가 지지핀을 중심축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에 의하면, 지지홈과 지지핀의 결합 상태에 의하여 탑승 지지체가 지지핀을 중심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탑승 지지체를 수직으로 접을 수 있고, 탑승 지지체가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 장치에 의하면, 주행본체는 물건이나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체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용 주행장치로 사용됨과 동시에 무겁거나 부피가 큰 물건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용 주행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에 의하면, 주행본체에 설치되고, 구동휠을 제어하여 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와 리모트컨트롤러가 착탈 가능한 안착부재를 구비하는 손잡이가 구성되기 때문에, 리모트컨트롤러가 안착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주행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리모트컨트롤러가 안착부재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탑승 지지체의 상면이 분해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지지핀과 지지홈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지지핀이 지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탑승 지지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으로 주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전동으로 주행한다는 것은 배터리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내부에 허브모터(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휠(12)과, 상기 한 쌍의 구동휠(12)이 지면에 대하여 회전 주행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주행본체(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 지지체(2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탑승 지지체(20)의 저면에는 지면에 대하여 주행하는 다수의 보조휠(2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주행본체(10)에는, 내부에 주행을 위한 허브모터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휠(12)이 양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는 허브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시 생략)와,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 생략)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에 착탈 가능한 탑승 지지체(20)는, 운전자를 탑승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탑승 지지체(20)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판 형상으로 성형되는 발판(21)과, 상기 발판(2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주행본체(10)와 착탈하기 위한 연결부(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21)의 저면에는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지면으로부터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휠(22)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휠(22)은, 발판(21)의 후방에서 양측 하부에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지면에 대하여 주행가능하다면, 상기 보조휠(22)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휠(22)은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4)는 발판(2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 주행본체(10)에 탑승 지지체(2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탑승 지지체(20)는, 상기 주행본체(1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영역 회전하거나, 접힐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본체(10)와 탑승 지지체(20)를 다양한 상태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은, 상기 주행본체(10)와 탑승 지지체(20)에 각각 형성된다.
먼저 상기 주행본체(20)에는, 연결부(24)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4)가 내부로 삽입 가능한 안착부(14)가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안착부(14)는, 주행본체(10)의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연결부(24)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돌기(14a)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4)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14a)의 내측면, 즉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지지홈(16)이 각각 성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홈(16)은, 단면의 형태가 서로 다른 제1구간(16a)과 제2구간(16b), 그리고 제3구간(16c)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제1구간(16a)은 지지핀(26)이 삽입되는 입구에서부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구간(16b)은 지지핀(26)이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가장 깊은 깊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3구간(16c)은 제1구간(16a)과 제2구간(16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24)가 안착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핀(26)이 결합될 수 있어, 연결부(24)가 안착부(14) 내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연결부(24)에는, 레버(29)가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운전자의 조작을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9)의 동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 형상의 슬라이더(28)가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29)는, 슬라이더(28)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24)의 상하면을 모두 관통하여 돌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28)는, 양측면에 각각 가장 깊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1오목부(28a)와, 상기 제1오목부(28a)와 연속되는 전방부분에서 가장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2오목부(28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오목부(28b)에서 연속되는 전방부부분에서 상기 제1오목부(28a)보다 얕고 제2오목부(28b)보다 깊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4오목부(28d), 그리고 상기 제4오목부(28d)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4오목부(28d)보다 깊고 제1오목부(28a)보다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3오목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는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선단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오목부(28a,28b,28c,28d) 사이를 연결하는 슬라이더(28)의 양측면은 곡면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4)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핀(26)은, 스프링(S)에 의하여 내측단부가 상기 슬라이더(28)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각각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가로 방향의 동축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외측단부가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지핀(26)이 탄성 지지되는 방향을 지지핀(26)의 축방향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기 지지핀(26)이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26)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S)이,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면에 성형된 돌출부(26b)와, 상기 연결부(24) 내측면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26)은, 고정된 연결부(24)의 내측면에 대하여 스프링(S)에 의한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항상 연결부(24)의 축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26)은, 슬라이더(2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28a,28b,28c,28d)에 그 내측단부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28a,28b,28c,28d)는 서로 다른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접촉하는 오목부(28a,28b,28c,28d)에 따라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에서 외측단부의 돌출길이가 변경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지지홈(16)과 지지핀(26)의 형상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서는, 상기 지지핀(26)와 지지홈(16)의 각 부분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26)은, 원통형상에서 양측이 일부 커팅되어, 길이방향 양측면의 일부가 평면(26a)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지지핀(26)의 평면(26a)은 서로 평행하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16)의 입구에서 가장 얕은 영역인 제1구간(16a)은, 그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지핀(26)이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간이며, 이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지지홈(16) 중에서 제1구간(16a)에서 연속하면서 입구부분이 형성되는 제3구간(16c)은, 그 단면이 대칭되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핀(26)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동 가능한 구간이며, 이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지지홈(16) 중에서 가장 깊은 영역인 제2구간(16b)은, 그 단면이 상기 지지핀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 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핀(26)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핀(26)은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에는 상기 지지홈(16)과 지지핀(26)의 결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26)은, 상기 슬라이더(28)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단부의 길이가 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접촉하는 오목부(28a,28b,28c,28d)의 깊이에 따라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는 길이가 변경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제2오목부(28b)에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제2오목부(28b)는 가장 얕은 깊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돌출된 외측단부의 길이는 가장 긴 상태이다. 따라서 지지핀(26)의 돌출된 외측단부는, 지지홈(16) 중에서 가장 깊은 부분인 제2구간(16b)에 안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20)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지지홈(16)의 제2구간(16b)에 결합되면 탑승지지체(20)는 주행본체(10)에 대하여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연결된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지지체(20)는 주행본체(10)에 의하여 주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제2구간(16b)에 삽입된 상태를 고정 연결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고정 연결상태에서 상기 레버(29)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지지핀(26)이 제4오목부(28d)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4오목부(28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오목부(28b)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은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26)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는, 상기 제3구간(16c)에 삽입되어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10)에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핀(26)은 일정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탑승 지지체(20)는 지지핀(26)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상기 제3구간(16c)에 삽입되면 상기 탑승 지지체(20)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제3구간(16c)에 삽입된 상태를 부분회전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부분회전상태에서 레버(29)를 후방으로 더 당기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지지핀(26)이 제3오목부(28c)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3오목부(28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4오목부(28d)보다 더 깊은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핀(26)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는, 상기 제1구간(16a)에 안착되어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10)에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핀(26)은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상기 제1구간(16a)에 삽입되면 상기 탑승 지지체(20)는 주행본체(1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폴딩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제2구간(16b)에 삽입된 상태를 자유회전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주행본체(10)에는,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행본체(10)에 수직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홈(18)이 형성된다.
도 6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홈(18)은, 상기 주행본체(10)의 상면에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8)은,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행본체(10)에 수직으로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폴딩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회전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9)가 최후방으로 당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 역시 후방으로 최대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의 후방 이동은,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폴딩하기 위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선단에서 돌출된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가 주행본체(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8)은 상기 슬라이더(28)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가 고정홈(18)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29)를 후방으로 당겨서 고정 연결상태 또는 부분회전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고정홈(18)은 탑승 지지체(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를 보관 및 휴대하거나, 운전자가 탑승 지지체(20)에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 연결상태에서 레버(29)를 전방으로 밀게되면, 상기 슬라이더(28)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지지핀(26)이 제1오목부(28a)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오목부(28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장 깊은 깊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본체(10)와 탑승 지지체(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상태를 분리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주행본체(10)에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24)를 안착부(1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29)를 후방으로 당겨서 고정 연결상태로 변환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주행본체(10)가, 사람이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운송체(3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운송체(30)는,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는 운송부(32)와, 상기 운송부(32)의 저면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캐스터(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운송부(32)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2a) 및 수평프레임(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에는, 운송체(30)와 주행본체(1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장치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주행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지지파이프(11)를 들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지지파이프(11)는, 상기 운송체(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32a)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수직프레임(32a)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파이프(11) 뿐만 아니라, 운송체(30)의 어떠한 부분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장치는 운송체(30)의 수평프레임(32b) 및 수직프레임(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한 브라켓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주행본체(10)에 구동휠(12)을 제어하여 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44)와, 상기 리모트컨트롤러(44)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착부재(42)를 구비하는 손잡이(40)가 장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40)는, 주행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제2지지파이프(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파이프(13)는 주행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러(44)는 안착부재(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고, 상기 안착부재(42)에서 분리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리모트컨트롤러(44)는, 리모트컨트롤러(44)에서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가 한 쌍의 구동휠(12)에 각각 구비되는 허브모터를 제어하여 주행 및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구동휠(12)에 각각 구비되는 허브모터가 동시에 같은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전진하게 되고, 허브모터가 동시에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 및 우측의 허브모터 중 좌측의 허브모터가 우측보다 더 빨리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우회전, 우측의 허브모터가 좌측보다 더 빨리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좌회전하게 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허브모터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시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주행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허브모터가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12)에 의하여 전동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탑승 지지체(20)에 의하여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16)과 지지핀(26)의 결합 상태에 의하여 다양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연결상태에서는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10)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분회전상태에서는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핀(26)을 축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분회전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가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유회전상태에서는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주행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핀(26)을 축으로 상기 주행본체(1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주행본체(10)에는 고정홈(18)이 성형되어, 상기 탑승 지지체(20)가 지지핀(26)을 축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행본체(10)에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상태에서는 상기 지지핀(26)이 지지홈(16)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연결부(24)가 주행본체(10)의 안착부(14)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주행장치는 주행, 휴대, 보관 등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지지홈(16)과 지지핀(26)의 결합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행본체 12 ..... 구동휠
14 ..... 안착부 16 ..... 지지홈
16a ..... 제1구간 16b ..... 제2구간
16c ..... 제3구간 18 ..... 고정홈
20 ..... 탑승 지지체 22 ..... 보조휠
24 ..... 연결부 26 ..... 지지핀
28 ..... 슬라이더 28a ..... 제1오목부
28b ..... 제2오목부 28c ..... 제3오목부
28d ..... 제4오목부 28e ..... 선단부
30 ..... 운송체 32 ..... 운송부
34 ..... 캐스터 40 ..... 손잡이
42 ..... 안착부재 44 ..... 리모트컨트롤러

Claims (9)

  1.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주행본체(10)와,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허브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본체(10)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주행하는 구동휠(12), 운전자가 탑승 가능하고, 지면에 대하여 주행 가능한 보조휠(22)을 저면에 구비하는 탑승 지지체(20), 그리고 상기 주행본체(10)와 탑승 지지체(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양측면에 서로 깊이가 다른 다수의 오목부가 성형된 슬라이더(28)와, 내측단부가 상기 슬라이더(28)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각각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가로 방향의 동축상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지지핀(26)을 구비하는 연결부(24)와;
    상기 주행본체(10)의 상면에서 상기 연결부(24)가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되고, 내부 양측면에 상기 지지핀(26)이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홈(16)이 성형된 안착부(1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는,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단부가 접촉하는 오목부의 깊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24)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8)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홈(16)에서 분리될 수 있는 깊이로 성형되는 제1오목부(28a)와, 상기 제1오목부(28a)의 연속되는 전방에서 제1오목부(28a)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는 제2오목부(28b)가 성형되고;
    상기 지지홈(16)에는,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제2오목부(28b)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구간(16b)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8)의 양측면은,
    상기 제2오목부(28b)의 전방에서 제2오목부(28b)보다 깊고, 제1오목부(28a)보다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3오목부(28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16)은,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제3오목부(28c)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1구간(16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8)의 양측면은,
    상기 제2오목부(28b)의 연속되는 전방에서 제2오목부(28b)보다 깊고, 제3오목부보다 얕은 깊이로 성형되는 제4오목부(28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16)은, 상기 지지핀(26)의 내측단부가 제4오목부(28d)에 접촉할 때,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3구간(16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본체(10)는,
    상기 지지핀(26)의 외측단부가 제1구간(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탑승 지지체(2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승 지지체(20)의 선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와;
    상기 주행본체(10)의 상면에 성형되고, 상기 슬라이더(28)의 선단부(28e)가 삽입되는 고정홈(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본체(10)는,
    대상을 운송할 수 있는 운송부(32)와, 상기 운송부(32)의 저면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가능하고 방향 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캐스터(34)로 구성되는 운송체(30)와 착탈되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본체(10)와 착탈 가능한 손잡이(40)와, 상기 손잡이(4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12)을 제어하여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44)와, 상기 리모트컨트롤러가 착탈 가능한 안착부재(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주행장치.
KR1020160052376A 2016-04-28 2016-04-28 전동식 주행장치 KR10189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76A KR101894261B1 (ko) 2016-04-28 2016-04-28 전동식 주행장치
CN201611137550.3A CN107336596A (zh) 2016-04-28 2016-12-12 电动驱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76A KR101894261B1 (ko) 2016-04-28 2016-04-28 전동식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24A KR20170123124A (ko) 2017-11-07
KR101894261B1 true KR101894261B1 (ko) 2018-09-04

Family

ID=6022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76A KR101894261B1 (ko) 2016-04-28 2016-04-28 전동식 주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4261B1 (ko)
CN (1) CN10733659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KR101485300B1 (ko) * 2014-09-12 2015-01-28 (주) 유진오토라이프 전동 카트
WO2015063745A1 (en) 2013-11-04 2015-05-07 Peter Opsvik As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KR101523936B1 (ko) * 2014-01-02 2015-05-29 윤형선 전동장치가 구비된 전동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630A1 (de) * 2002-11-05 2004-05-21 Easy-Glider Ag Zuggerät bzw. angetriebenes fortbewegungsmittel
CN2677252Y (zh) * 2004-01-12 2005-02-09 汕头市禧天逸电动代步车有限公司 一种电动牵引机头
KR101033658B1 (ko) * 2008-07-11 2011-05-12 주식회사 슬로비 발판 탈부착식 킥보드
JP2015516904A (ja) * 2012-03-13 2015-06-18 ドウラード, ヒューゴ レオナルドDOURADO, Hugo Leonardo 可搬型電動運搬手段
KR101565654B1 (ko) * 2013-10-31 2015-11-04 (주)헤네스 유아용 전동차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장치
CN104859773B (zh) * 2015-06-08 2017-12-22 杭州骑客智能科技有限公司 利用平衡车驱动的运输装置
CN204871380U (zh) * 2015-07-24 2015-12-16 傅映林 一种购物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WO2015063745A1 (en) 2013-11-04 2015-05-07 Peter Opsvik As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KR101523936B1 (ko) * 2014-01-02 2015-05-29 윤형선 전동장치가 구비된 전동캐리어
KR101485300B1 (ko) * 2014-09-12 2015-01-28 (주) 유진오토라이프 전동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36596A (zh) 2017-11-10
KR20170123124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583B1 (ko) 가변형 접이식 전기 스쿠터
US7537076B2 (en) Combined golf caddie and golf cart
CN204473026U (zh) 踏板车和组合
JP7065827B2 (ja) カート
US11505230B1 (en) Motorized stroller accessory
US9908570B1 (en) Electric beach wagon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US6464238B2 (en) Passenger carrier that nests with a cart basket
TWM500726U (zh) 自平衡車之車架機構
US9988114B1 (en) Self-balancing stand-up transporter-driven trailer
BRPI0615955A2 (pt) carrinho de golfe acionado a bateria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EP1764281B1 (en)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US7987933B1 (en) Motorized stroller apparatus
ES2789124T3 (es) Andador rollator con accionamiento eléctrico
US4020916A (en) Self-propelled shopping cart
US9365254B1 (en) Mobility scooter
KR20160000078A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JP2021030953A (ja) 電動車両
KR101894261B1 (ko) 전동식 주행장치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CN201694323U (zh) 多功能亲子折叠自行车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KR101523936B1 (ko) 전동장치가 구비된 전동캐리어
KR20170109960A (ko) 착탈 가능한 탑승체를 구비하는 전동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