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398A -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7398A KR20160077398A KR1020140186580A KR20140186580A KR20160077398A KR 20160077398 A KR20160077398 A KR 20160077398A KR 1020140186580 A KR1020140186580 A KR 1020140186580A KR 20140186580 A KR20140186580 A KR 20140186580A KR 20160077398 A KR20160077398 A KR 20160077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spare tire
- cross member
- gear box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차량 후방에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기 차량의 하면에서 일 측면에서부터 다른 일측면으로 연장한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스패어 타이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에 스패어 타이어가 장착되면 상기 스패어 타이어의 림이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전기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간 활용성이 좋은 전기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에 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는 종래의 픽업 트럭의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보이듯이, 픽업 트럭(1)에서 스패어 타이어(60)는 후륜부 차체 하부에 장착된다. 픽업 트럭(1)에서 후륜은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내연기관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액슬 샤프트(40)와 상기 액슬 샤프트(40)가 연결된 디프런셜 기어박스(30)에 연결되어 있다.
픽업 트럭(1)은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두 개의 메인 프레임(2)과 상기 메인 프레임(2)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10, 20)를 포함하며, 스패어 타이어(60)는 디프런셜 기어박스(30) 후방에 위치한 크로스 멤버(10, 20)에 연결된 상판(53),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봉(52) 및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며, 스패어 타이어(60)가 안착되는 하판(51)을 포함하는 스패어 타이어 장착부(50)에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픽업 트럭(1)를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으로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후방에 짐칸이 있는 픽업 트럭에서 모터를 배치하는 경우 짐칸이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차량 후방에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의 하면에서 일 측면에서부터 다른 일측면으로 연장한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스패어 타이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에 스패어 타이어가 장착되면 상기 스패어 타이어의 림이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전기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디스크와 연결되도록 하면에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디스크를 관통하며, 차량의 디프런셜 기어박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디프런셜 기어박스는 복수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및 상기 디프런셜 기어박스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크로스 멤버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로스 멤버 사이에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측면이 상기 크로스 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 차량은 픽업 트럭이며, 상기 모터와 상기 스패어 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차량 후방에 모터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픽업 트럭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픽업 트럭의 스패어 타이어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에서 스패어 타이어를 장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픽업 트럭의 스패어 타이어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에서 스패어 타이어를 장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의 프레임 사이드 멤버(1; 도 1 참고)에 연결되며, 차량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멤버(10, 20)에 스패어 타이어(6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이기 때문에, 후방에서 후륜을 구동하는 모터(100)가 배치되어야 하며, 이 모터(100)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측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타이어의 경우에 림 내측에 원기둥형의 공간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래에 빈공간으로 낭비되던 이 원기둥형 공간에 모터(100)를 배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며, 전기 차량과 내연 기관의 차량에 사용자 사용 공간 차이가 없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크로스 멤버(20)의 경우에 크로스 멤버(20)의 하면과 모터(100)의 상면(101)이 직접 볼트(150)로 연결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다른 크로스 멤버(10)는 브라켓(140)을 통하여 모터(100)의 상면(101)과 연결된다. 브라켓(140)은 크로스 멤버(10)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다른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모터(100)의 상면(101)과 크로스 멤버(10, 20)의 결합은 크로스 멤버(10, 20)의 형상에 따라서, 다른 결합 관계를 가질 수도 있으나, 모터(100)의 장탈착을 위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모터(100)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측에 배치되며, 모터(100)의 하면(102)에 스패어 타이어(60)의 디스크(61)가 볼트(150)를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100)는 전기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임과 동시에 모터(100)를 통하여 스패어 타이어(60)가 차량의 크로스 멤버(10, 20)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모터(100)의 회전축(105)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디스크(61)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타이어는 기본적으로 전륜 또는 후륜에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디스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관통공을 통하여 회전축(105)이 스패어 타이어(60)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스패어 타이어(60)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05)은 후륜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디프런셜 기어박스(30)에 연결된다.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경우 종래에는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매인 샤프트(20; 도 1 참고)와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 후방에 동력원인 모터(10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회전축(105)과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연결은 복수의 샤프트(120, 130)와 회전축(105)과 샤프트(120) 사이 혹은 샤프트(120)와 샤프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를 통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축(105)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디프런셜 기어박스(30)는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130)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가 사용되었으나,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가 아닌 다른 방향 전환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유니버셜 조인트(110, 110)의 경우에 샤프트(120, 130)나 회전축(105)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차량의 하나의 타이어에 문제가 스패어 타이어(60)를 활용할 때, 스패어 타이어(60)를 모터(100)로부터 분리할 때 샤프트(120, 130)가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에서 스패어 타이어(60)를 빼내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모터(100)와 디프런셜 기어박스(30)가 연결되어 있으면, 스패어 타이러(60)를 모터(100)로부터 뺄 수 없기 때문에, 샤프트(120, 130)와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를 분리시킴으로써, 모터(100)와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연결을 해제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 4 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를 분리하여 중간의 샤프트(120)를 제거한 후, 디프런셜 기어박스(30)쪽 샤프트(130)를 제거한다. 샤프트(120, 130)가 제거된 후에는 스패어 타이어(60)을 빼는데 걸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모터(100)와 스패어 타이어(60)를 연결하는 볼트(150)를 풀어내서 스패어 타이어를 제거하면 된다.
또한, 이를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디프런셜 기어박스(30)와 모터(100)의 연결을 다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기 차량, 특히 전기 픽업 트럭에서 후륜을 구동하는 모터(100)를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프레임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비 절감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픽업 트럭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픽업 트럭이 아닌 일반 트럭 혹은 SUV 차량에서 스패어 타이어가 차체 하면에 설치되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의 실시예의 경우에 모터(100')의 용량이 증가하여 도 3 내지 5 의 실시예보다 더 큰 공간이 필요할 경우의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6 에서 보이듯이, 모터(100')의 크기는 도 3 내지 5 의 모터(100)보다 크며, 그에 따라서,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부 공간에 전부 위치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 의 실시예에서는 모터(100')는 상기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부 공간 뿐만 아니라, 크로스 멤버(10, 20') 사이의 공간까지 모터(100')가 연장한다.
이때는 모터(100')의 상면(101)이 크로스 멤버(10, 20')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모터(100')의 측면(103)이 크로스 멤버(10, 20')에 연결된다. 후방의 크로스 멤버(20')은 상기 모터(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역'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이 크로스 멤버(20')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모터(100')의 측면(103)이 연결된다. 이때 모터(100')는 상기 크로스 멤버(2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케이스가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 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방 크로스 멤버(10)는 브라켓(140')을 통하여 연결되나, 브라켓(140')은 모터(100')의 상면(101)이 아닌 측면(103)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경된다. 크로스 멤버(10)와 브라켓(140')의 연결은 용접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결합 역시 가능하다.
도 6 의 실시예도 도 3 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모터(100')의 일부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측에 배치되며, 모터(100')의 하면(102)에 스패어 타이어(60)의 디스크(61)가 볼트(150)를 통하여 연결된다.
모터(100')의 회전축(105)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디스크(61)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타이어는 기본적으로 전륜 또는 후륜에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디스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관통공을 통하여 회전축(105)이 스패어 타이어(60)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스패어 타이어(60)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05)은 후륜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디프런셜 기어박스(30)에 연결된다.
회전축(105)과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연결은 복수의 샤프트(120, 130)와 회전축(105)과 샤프트(120) 사이 혹은 샤프트(120)와 샤프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를 통하여 달성된다.
도 6 에서의 실시예에서도 보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 모터(100, 100')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종래 내연기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모터(100, 10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차량을 만들 때 기존의 내연기관 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거나, 적어도 내연기관과 공간 면에서 차이가 없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4 의 실시예와 크로스 멤버(10, 20), 모터(100) 및 스패어 타이어(60) 의 연결관계는 동일하다. 즉, 차량의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1; 도 1 참고)에 연결되며, 차량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멤버(10, 20)에 모터(100)가 연결되고, 모터(100) 외측에 스패어 타이어(60)가 장착된다. 모터(100)는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측의 공간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크로스 멤버(20)의 경우에 크로스 멤버(20)의 하면과 모터(100)의 상면(101)이 직접 볼트(150)로 연결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다른 크로스 멤버(10)는 브라켓(140)을 통하여 모터(100)의 상면(101)과 연결된다. 브라켓(140)은 크로스 멤버(10)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다른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모터(100)의 상면(101)과 크로스 멤버(10, 20)의 결합은 크로스 멤버(10, 20)의 형상에 따라서, 다른 결합 관계를 가질 수도 있으나, 모터(100)의 장탈착을 위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도 7 에서 보이듯이, 모터(100)의 회전축(105)은 스패어 타이어(60)의 디스크(61)와 연결되는 하면이 아니라 모터(100)의 상면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단부에 구동 기어(106)가 연결된다. 구동 기어(106)은 디프런셜 기어박스(30)와 연결되는 종동 기어(168)에 벨트 혹은 체인과 같은 구동 전달 수단(170)으로 연결되며, 종동 기어(168)은 샤프트(160, 165) 및 상기 샤프트(160, 165)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62)에 의해서 디프런셜 기어박스(30)에 연결된다.
종동 기어(168)는 프레임 사이드 멤버(1; 도 1 참고)에 연결된 다른 크로스 멤버(1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종동 기어(168)와 크로스 멤버(11) 사이에는 베어링(171, 172)이 배치되어 종동 기어(168)이 회전되면서도 크로스 멤버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종동 기어(168)와 직접 연결된 샤프트(165)와 디프런셜 기어박스(30)에 직접 연결된 샤프트(160)는 유니버셜 조인트(162)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이는 디프런셜 기어박스(30)와 연결된 차축이 차량 운행 중에 이동될 수 있으므로, 차축의 거동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도 7 의 실시예의 경우에 스패어 타이어(60)을 장탈함에 있어서, 모터(100)와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없이, 모터(100)와 스패어 타이어(60)의 볼트만 제거하면 되므로, 스패어 타이어(60)의 교환이 용이하다.
도 8 및 도 9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에는 도 8 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서 보이듯이, 대용량의 모터(100')가 크로스 멤버(10, 20')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6 의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즉, 모터(100')는 상기 스패어 타이어(60)의 림(62) 내부 공간 뿐만 아니라, 크로스 멤버(10, 20') 사이의 공간까지 모터(100')가 연장하며, 모터(100')의 회전축(105)과 디프런셜 기어박스(30)의 연결은 복수의 샤프트(120, 130)와 회전축(105)과 샤프트(120) 사이 혹은 샤프트(120)와 샤프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10, 111)를 통하여 달성된다.
다만, 도 6 과는 달리 크로스 맴버(20')에 직접 모터(100')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크로스 맴버(20')에 장착 브라켓(180)이 볼트(150)로 결합되고, 이 장착 브라켓(180, 190)에 모터(10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브라켓(180)은 모터(10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모터 장착부(181)와, 상기 모터 장착부(181)로부터 전방 크로스 멤버(10)로 연장형성되며, 전방 크로스 멤버(10)가 끼워지는 관통홀(186)이 형성된 전방 연장부(183)과, 상기 모터 장착부(181)로부터 후방 크로스 멤버(20')로 연장 형성되며, 후방 크로스 멤버(20')와 적어도 일부분은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된 후방 연장부(182)를 포함하며, 후방 연장부의 절곡되어 후방 크로스 멤버(20')와 평행한 부분에 관통홀(185)이 형성되어, 이 관통홀(185)을 통하여 볼트(150)가 후방 크로스 멤버(2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크로스 멤버(10)가 관형으로, 후방 크로스 멤버(20')가 역'ㄷ'자 단면을 가져서, 전방 연장부(183)와 후방 연장부(182)가 위와 같이 구성되나, 크로스 멤버(10, 20')가 변경되는 경우에 전방 연장부(183), 후방 연장부(182)의 형상이 그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모터 장착부(181)는 모터(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복수의 관통홀(184)이 형성되어, 모터(100')의 외주면과 상기 모터 장착부(181)가 체결되어 모터(100')를 크로스 멤버(10, 20')에 고정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81)는 상기 전방 연장부(183)나 후방 연장부(182)보다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방 연장부(18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터(100')의 용량이 작아서 크로스 멤버(10, 20') 높이까지 오지 않는 경우에도 모터(100')를 브라켓(18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게 한다. 하방 연장부(181a)는 모터 장착부(181)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브라켓(180)의 전방 연장부(183)는 상기 크로스 멤버(10)과는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고, 후방 연장부(182)는 크로스 멤버(20')과 볼트를 통하여 결합되고, 모터 장착부(181)는 모터(100')와 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나, 이 결합이 아닌 다른 결합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9 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용량의 모터(100')를 하나의 브라켓(180)으로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모터(100')와 크로스 멤버(10, 20')의 확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위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9 의 실시예에서 도 7 의 실시예와 같이 모터(100)의 회전축(105)이 상측에 구비되어 샤프트(160, 165)의 장탈착 없이 스패어 타이어(6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6 의 실시예에도 도 8 및 9 의 실시예의 브라켓(180)이 적용될 수도 있다.
10, 20: 크로스 멤버
30: 디프런셜 기어박스
60: 스패어 타이어 61: 디스크
62: 림 100, 100': 모터
110, 111: 유니버셜 조인트 120, 130: 샤프트
150: 볼트
60: 스패어 타이어 61: 디스크
62: 림 100, 100': 모터
110, 111: 유니버셜 조인트 120, 130: 샤프트
150: 볼트
Claims (10)
- 전기 차량의 하면에서 일 측면에서부터 다른 일측면으로 연장한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스패어 타이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에 스패어 타이어가 장착되면 상기 스패어 타이어의 림이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전기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디스크와 연결되도록 하면에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디스크를 관통하며, 차량의 디프런셜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모터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패어 타이어의 장탈 경로 외측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차량의 디프런셜 기어박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디프런셜 기어박스의 연결 구성은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디프런셜 기어박스의 연결 구성은 복수의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및 상기 디프런셜 기어박스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크로스 멤버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로스 멤버 사이에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측면이 상기 크로스 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크로스 멤버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은
모터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어, 모터의 외면에 연결되는 모터 장착부;
상기 모터 장착부로부터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크로스 멤버가 연결되는 전방 연장부; 및
상기 모터 장착부로부터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방 크로스 멤버연결되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연장부와 후방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크로스 멤버와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은 픽업 트럭이며,
상기 모터와 상기 스패어 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6580A KR101647218B1 (ko) | 2014-12-22 | 2014-12-22 |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6580A KR101647218B1 (ko) | 2014-12-22 | 2014-12-22 |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7398A true KR20160077398A (ko) | 2016-07-04 |
KR101647218B1 KR101647218B1 (ko) | 2016-08-10 |
Family
ID=5650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6580A KR101647218B1 (ko) | 2014-12-22 | 2014-12-22 |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21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5455A (ja) * | 1996-12-18 | 1998-06-30 | Suzuki Motor Corp | 電気自動車の駆動装置 |
JP2009074658A (ja) * | 2007-09-21 | 2009-04-09 | Tokai Rubber Ind Ltd | 車両用制振装置 |
-
2014
- 2014-12-22 KR KR1020140186580A patent/KR1016472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5455A (ja) * | 1996-12-18 | 1998-06-30 | Suzuki Motor Corp | 電気自動車の駆動装置 |
JP2009074658A (ja) * | 2007-09-21 | 2009-04-09 | Tokai Rubber Ind Ltd | 車両用制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7218B1 (ko) | 2016-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47642B2 (ja) | 電動車両 | |
JP5531211B2 (ja) | 電動式作業車両 | |
TWI507310B (zh) | 電動三輪車 | |
JP5919061B2 (ja) | 電動三輪車両 | |
CN102556237B (zh) | 电动摩托车 | |
JP5929435B2 (ja) | ハイブリッド車両用動力装置 | |
US8651216B2 (en) | Motor mount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
JP6800756B2 (ja) | 後輪軸、自転車フレーム及び自転車用の後輪 | |
JP6823418B2 (ja) |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 |
CN104066644A (zh) | 小型电动两轮车 | |
JP2017171272A (ja) |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 |
EP2644415B1 (en) | Electric vehicle | |
JP2013226994A (ja) |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 |
JP2021075111A (ja) |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支持装置 | |
KR101647218B1 (ko) | 전기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 장착 구조 | |
JP6775968B2 (ja) | 自律走行車両の車体構造 | |
JP5581175B2 (ja) | 作業車両 | |
WO2019172402A1 (ja) | アクスル構造 | |
JP4379867B2 (ja) | 電動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 |
JP6237600B2 (ja) | ブラケット | |
SE1250544A1 (sv) | Driven axelväxel för ett motorfordon | |
JP5505626B2 (ja) | 搬送台車の車輪の取付け構造 | |
CN112004740B (zh) | 电动车辆 | |
JP6812083B2 (ja) | 走行台車のフレーム構造 | |
JP6363850B2 (ja) |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と転舵機構との連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