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649A -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649A
KR20160074649A KR1020167013475A KR20167013475A KR20160074649A KR 20160074649 A KR20160074649 A KR 20160074649A KR 1020167013475 A KR1020167013475 A KR 1020167013475A KR 20167013475 A KR20167013475 A KR 20167013475A KR 20160074649 A KR20160074649 A KR 2016007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urtain airbag
inflatable curtain
airbag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289B1 (ko
Inventor
시아오홍 왕
타카유키 마키오카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7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수납 구성형태 및 전개 구성형태를 구비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제1 챔버 및 제1 챔버의 전방에서 팽창하는 제2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챔버는 비-팽창 영역에 의하여 제1 챔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동안에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선택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상 굽힘은 상기 제2 챔버의 위치가 제1 챔버보다 더 낮게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2 챔버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에 인접한 도어의 상당한 부분과 겹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감소시키는 접힘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평면상 굽힘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는, 스몰 오버랩 충돌 상황에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챔버에 대해 평면 밖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Description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WRAP AROUND SIDE IMPACT AIRBAG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충돌, 비스듬한 전방 충돌, 및 측면 충돌 상황들에서 보호를 제공하는 팽창가능 에어백 커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과 같이 팽창가능한 안전용 구속 장치는 대부분의 새로운 자동차에서 의무사항이다.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측에서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대쉬보드 안에 있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설치된다. 사고 발생시, 자동차 내부의 센서가 비정상적인 감속을 측정하여 팽창기(inflator) 내에 있는 장전물(charge)의 점화를 촉발시킨다. 상기 장전물로부터의 팽창하는 가스가 도관을 통해 이동하여 에어백을 채우고, 이로 인하여 에어백은 즉시 운전자와 탑승객의 전방에서 팽창함으로써 자동차의 내부에서의 유해한 충돌로부터 그들을 보호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은 보통의 자동차 작동 동안에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트림 안에 은닉(conceal)된다.
자동차 내부의 측면과 탑승객 사이에서의 측방 충격으로부터 위와 유사한 보호를 제공할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도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은 자동차의 측면에 다른 자동차가 충돌하는 때, 또는 자동차의 측면이 지면에 반복적으로 충돌하는 롤오버(rollover)가 있는 때에 발생한다. 측면 충격 에어백은 종종 "패창가능 커튼"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많은 팽창가능 커튼은 자동차의 루프가 측면 윈도우 및 필러들과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서 수납된다. 이와 같은 팽창가능 커튼은, 자동차의 루프를 덮는 직물인 헤드라이너(headliner)의 가장자리에서 헤드라이너 트림 뒤에 수납될 수 있다.
여러 정부들에 의하여 발표된 최근의 안전 표준은, 측면 또는 정면 충돌시 보다 강화된 보호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조 및 설치 면에서 경제적이고, 자동차 제조사가 자동차 내부에 다양한 특징물들을 배치시킴에 있어서 간섭을 회피하며, 신속히 전개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는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자동차의 탑승객들은 에어백의 전개 시에 자동차 내의 다양한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탑승자 위치의 가능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충격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롤오버 충돌과 같은 소정의 충돌 상황에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설계를 가진 팽창가능 커튼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롤오버 충돌의 경우에는, 자동차 탑승자의 자세와 궤적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순수히 측방 충돌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설계된 공지의 팽창가능 커튼은 가장 필요성이 큰 보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에어백 시스템의 전개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내부 표면과의 충돌로 인한 상해가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자동차로부터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명확해진 한 가지 안정 요구사항으로서, "스몰 오버랩" 및 "비스듬" 충돌의 경우에 있어서의 강화된 보호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스몰 오버랩 충돌은 충격이 자동차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전방 충돌이다. 비스듬 충돌은, 앞부분에서 각도를 이루어 가해지는 충격이 발생하되 그 충격이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에 가해지는 전방 충격이다. 이와 같은 충돌들은 충격이 발생하는 측부에서 자동차 구조물의 큰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충돌은 자동차의 중심이 회전하여 이동선으로부터 이탈함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자동차의 탑승자가 전방 외향의 궤적으로 움직이게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현존하는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자동차 내부의 탑승자들의 궤적이 그 에어백 시스템이 보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스몰 오버랩 및 비스듬 충돌들에 대해 충분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용 측면 에어백과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한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머리는 전방 및 측방의 성분들을 갖는 벡터를 가지고 전방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머리는 전개된 운전자용 측면 에어백 및 전개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 사이로 움직이는 경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경향으로 인하여, 에어백 시스템들의 전개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머리가 자동차의 계기 패널 또는 A-필러와 충돌함이 유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에어백의 비용, 복잡성, 및 제작 시간을 감소시킴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더 단순하고 저렴한 에어백 시스템은 소비자의 소비지출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경우에 자동차 충돌시 상대적으로 적은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자동차 탑승자에게도 에어백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 기술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개발된 것이며, 특히 현재 가용한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충분히 해결되지 않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응하여 개발된 것이다. 따라서, 폭넓게 다양한 충돌 상황들에서 자동차 탑승자에게 신뢰성있는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제작 및 설치 비용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다른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따라 제공되는 에어백 조립체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에어백 조립체는,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한 수납 구성형태(stowed configuration)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형태(deployed configuration)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변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에서 서로 고정되는 내측 직물층(inboard fabric layer) 및 외측 직물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는 제1 챔버(first chamber),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되는 제2 챔버(second chamber), 및 상기 주변 접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비-팽창 영역(non-inflating region)이 형성된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in-plane bending)을 허용하도록 선택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bottom edge)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전체적 수직 부분(generally vertical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챔버가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를 상측 세그먼트(upper segment)와 하측 세그먼트(lower segment)로 분할하는 전체적 수평 부분(generally horizontal portion)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제2 챔버는 윈도우(window)의 내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상기 하측 세그먼트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현저히 낮게 그리고 제1 챔버보다 낮게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는 전방 세그먼트(forward seg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가 협동하여 단일의 비-분기 통로(non-branching passageway)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inflation gas)를 제1 챔버로부터 상측 세그먼트로, 그리고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전방 세그먼트로, 그리고 전방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전달한다.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하측 세그먼트는, 하측 세그먼트의 내측 직물 층의 외부 표면이 상방향으로 향하게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은 7mm 내지 120mm 사이일 수 있다.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챔버는 자동차의 계기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부분과 자동차의 A-필러 중 적어도 하나와 평상시에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점유하는 탑승자 구역의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챔버를 제1 챔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비-팽창 영역에서 평면을 벗어나 접혀지도록, 제2 챔버에 고정가능한 제1 단부 및 자동차에 고정가능한 제2 단부를 구비한 테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키는 부착 특징부(attachment featur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 특징부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압축시키는 소형화 특징부(compaction feature)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소형화 특징부는 접음부 또는 절단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부착 특징부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적용된 꿰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동차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은: 내측 직물층 및 외측 직물층을 제공하는 단계;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을 주변 접합부에서 외측 직물층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전체적으로 종장형인 형상으로 소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적으로 종장형인 형상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 안으로 팽창 가스가 도입됨에 따라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하방향으로 확장되어 전개 구성형태를 취하여 자동차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고정됨을 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직물층을 외측 직물층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주변 접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동안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을 허용하도록 선택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체적 수직 부분을 형성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윈도우의 내측에서 팽창하는 제2 챔버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의 각도를 갖게 되고 또한 제2 챔버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명확히 낮게 확장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은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를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형성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는 협력하여 단일의 비-분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를 제1 챔버로부터 상측 세그먼트로,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전방 세그먼트로, 그리고 전방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전달한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전체적으로 종장형의 형상을 갖게끔 소형화시키는 단계는,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챔버가 자동차의 계기 패널의 일부분과 자동차의 A-필러 중 적어도 하나와 평상시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점유하는 탑승자 구역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선택된 위치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고정시킴을 용이하게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은 부착 특징부에 의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압축시키는 접힘부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부착 특징부는 꿰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킴은 상기 전방부를 후방부에 꿰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납 구성형태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형태를 갖는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변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되는 내측 직물층 및 외측 직물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되고 또한 단일의 비-분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진입하는 통로가 되는 상측 세그먼트; 및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상측 세그먼트 아래에 있고, 팽창 가스를 다시 상기 제1 챔버 쪽으로 되돌아 향하게 하는, 하측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를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하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된 전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이 가능하도록 선택된 폭을 가지며,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제2 챔버가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으로 향하는 각도를 갖게 되어, 제2 챔버가 윈도우의 내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상기 하측 세그먼트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명확히 낮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키는 부착 특징부를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감소시키는 접힘부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면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할 뿐이라는 점과, 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가 자동차 내의 수납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고;
도 3 에는 도 1 의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가 자동차 내의 수납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고;
도 6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고;
도 8 에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a 에는 도 9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비-팽창 영역의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가 상기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된 이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b 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비-팽창 영역의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가 상기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된 이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 에는 도 11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12-12 로 표시된 평면에서 취한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 에는 도 11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제2 보호 구역의 13-13 으로 표시된 평면에서 취한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할 때 가장 잘 이해될 것인데, 상기 도면들에서는 유사한 부분들에 유사한 참조번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폭넓게 다양한 구성형태로 구성 및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원의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다.
"연결", "결합", 및 "소통"으로 기재된 표현들은 기계, 전기, 자기, 전자기, 유체, 및 열에 관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요소들 간의 임의의 형태의 상호작용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두 개의 구성요소드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맞닿다"라는 표현은 구성요소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경우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 때 상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서로에 대해 부착될 필요는 없다. "유체 소통"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구성요소 내의 유체가 다른 구성요소 안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연결되는 경우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예시적"이라는 표현은 전형적이거나 대표적인 예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특별하다거나 바람직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충돌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팽창가능 에어백 시스템 폭넓게 사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설치되며, 그 위치에는 스티어링 휠, 계기 패널, 측면 도어 또는 좌석 측면의 내부, 자동차의 루프 레일에 인접한 위치, 머리 위의 위치, 또는 무릎이나 다리의 위치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설명에서 "에어백"이라 함은 임의의 유형의 에어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측면 충돌 또는 롤오버 충돌의 경우에 자동차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에어백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는 자동차의 길이를 따라서 지향된 길이 방향(101), 자동차의 일 측면으로부터 반대측 측면으로 지향된 측방 방향(102), 즉 도 1 에서 페이지의 안밖으로 지향된 방향, 그리고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지향된 횡단 방향(103)을 가질 수 있다. "내측" 또는 "외측"이라는 용어는 대상물의 상기 측방 방향(102)에서의 위치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외측"은, 상기 측방 방향(102)에 대해 직각인 두 개의 평면, 즉 자동차의 최좌측 경계와 간신히 접하는 평면과 자동차의 최우측 경계와 간신히 접하는 평면 중 어느 하나인 자동차의 측방 평면에 대하여, 어떤 대상물이 제2의 대상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의 위치를 지칭한다. "내측"은, 상기 측방 방향(102)에 대해 직각인 평면으로서 자동차를 두 개의 동등한 절반으로 분할하는 자동차의 중간 평면에 대하여, 어떤 대상물이 제2의 대상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의 위치를 지칭한다. "내측" 및 "외측"은 어떤 두 개의 대상물이 측방 방향(102)으로 정렬되어야 함을 필요로 하는 개념이 아니며, 상기 두 개의 대상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 평면 또는 중간 평면에 대한 인접성을 지칭할 뿐이다.
"후방" 및 "전방"이라는 표현은 상기 길이 방향(101)에서 대상물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전방"은, 자동차의 최전방 경계에 간신히 접하고 길이 방향(10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인 자동차의 전방 평면에 대해서, 어떤 대상물이 제2의 대상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를 지칭한다. 유사하게, "후방"은, 자동차의 최후방 경계에 간신히 접하고 길이 방향(10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인 자동차의 후방 평면에 대해서, 어떤 대상물이 제2의 대상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를 지칭한다. 제2의 대상물의 "전방"에 있는 대상물은 반드시 길이 방향(101)에서 상기 제2의 대상물과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전방"은 상기 대상물이 제2의 대상물보다 자동차의 전방 평면에 대해 더 가까이 위치함을 의미할 뿐이다. 유사하게 "후방"도, 상기 길이 방향(101)에서의 정렬을 필요로하는 개념이 아니다.
"측방"이라는 표현은 상기 측방 방향(102)에 관한 방향, 대상물, 또는 표면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자동차의 "측방 표면"은, 전체적으로(반드시 정확할 필요는 없음) 자동차의 중간 평면을 향하는 자동차의 내부 표면이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팽창기(104), 튜브(106), 및 상기 팽창기(104)로부터 튜브(106)을 거쳐서 가스를 수용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조립체(100)는 충돌 또는 충돌의 임박함을 검출하여 팽창기(104)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 및 제어 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기(104)는 폭발식, 저장가스식, 또는 조합 방식의 팽창기일 수 있으며, 또한 단일 단계 또는 다중 단계의 팽창기일 수 있다. 팽창기(104)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에 대해 상대적인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104)가 폭발식 팽창기라면, 상기 팽창기(104)는 상기 활성화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팽창 가스를 신속히 발생시키기 위하여 점화되는 추진제(propellant)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자동차 내에서 상기 길이 방향(101)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자동차의 루프 레일(roof rail; 112)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루프 레일(112)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각각에 인접하여 결합되어 있는 전방 테더(forward tether; 108)와 후방 테더(rear tether; 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팽창시, 상기 전방 테더(108)와 후방 테더(109)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데에 도움이 되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충돌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상기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측방 표면, 또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측면 윈도우 및 필러들(측방 윈도우들 및/또는 전방 및 후방 윈도우 사이의 구조물)과 자동차 탑승객의 사이에서 자동차의 측면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필러들에는 A-필러(114), B-필러(116), C-필러(118), 그리고 존재한다면 D-필러(119)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그들 각각의 상측 단부에서 루프 레일과 합쳐질 수 있다. 일부 실시에들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A-필러로부터 C-필러까지 펼쳐질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자동차의 A-필러(114)로부터 D-필러(119)까지 펼쳐질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에 부가하여 다른 에어백이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121) 및 계기 패널(122)을 포함하여 자동차의 다양한 전방 표면들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즉,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운전자용 측면 에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는 앞서 설명된 측방 표면들에 대해서만 충격 완화 작용을 함으로써 보완적인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 및/또는 A-필러에 대한 충격 완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부분(123)은 전체적으로 스티어링 휠(121)의 외측에 놓인 계기 패널(122)의 부분이다.
보통의 경우에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수납 구성형태로 놓여져 있을 수 있는바, 수납 구성형태에서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예를 들어 측방 헤드라이너 트림(lateral headliner trim)(통상적으로 자동차 루프의 내부를 덮는 직물 시트인 헤드라이너의 가장자리를 덮는 트림)과 같은 자동차의 내부 트림 뒤에 은닉된다. 자동차에의 설치 전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수납 구성형태 안으로 소형화되어 들어갈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롤링(rolling), 폴딩(foldin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며, 이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횡단면 형상의 높이 또는 폭보다 훨씬 더 큰 길이를 가진 통로를 따라서 연장된 종장형 형상(elongated shape)을 취하게 된다.
일단 상기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된 다음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배송 및 설치 용이성을 위하여 감싸개(wrapper), 고정구 등을 이용함으로써 수납 구성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루프 레일(1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길이를 따라서 배분되어 있는 복수의 장착 조립체(120)들의 형태로, 통합된 감쌈 및 체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조립체(120)들 각각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에 고정된 탭(tab; 124), 상기 탭(124)을 루프 레일(112)에 고정시키는 체결구(125), 및 전개시까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수납 구성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둘러싸는 감싸개(12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장착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장착 조립체에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과 일체로 형성되는 탭, 대안적인 체결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싸개(126)들은 모든 실시예들에 존재하는 것이 아닐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소형화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특징물 또는 부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감싸개 또는 다른 특징물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자동차에 고정시키는데에 사용되는 장착 조립체에 대해 독립적인 것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루프 레일(112)에 고정된 제1 보호 구역(130) 및 필러(114)에 고정된 제2 보호 구역(13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조립체(120)들은 상기 D-필러가 배치된 후방 위치 또는 D-필러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A-필러(114)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전방 위치까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길이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되는 때에는, 팽창기(104)가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리고/또는 튜브(106) 안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 팽창 가스는 상기 튜브(106)로부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 안으로 신속히 진입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팽창 시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팽창에 응답하여 감싸개(126)가 파손됨으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놓아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수납 구성형태로부터 이탈하여 확장된 형상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전개"라고 호칭한다. 전개가 완료된 때에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전개 구성형태에 있다고 일컬어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 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 에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팽창기(104) 및/또는 다른 선택적인 팽창기의 활성화시에 팽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수납 구성형태로부터 전개 구성형태로 전환된다. 전개 동안에, 감싸개(126)가 찢어짐으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수납 구성형태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B-필러(116) 및 C-필러(118)를 지나서 펼쳐질 수도 있는바, 이로써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필러(116) 및 C-필러(11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D-필러(119)의 일부분을 덮을 수도 있다.
도 2 에는 제1 보호 구역(130) 및 제2 보호 구역(132)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보호 구역(130)은 상기 스티어링 휠로부터 후방으로 자동차의 측방 표면들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한편,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방에 있는 측방 표면들을 덮는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상측부(134) 및 하측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체적으로 직물 또는 얇은 폴리머와 같은 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외측 섹션(outboard section; 139) 형태의 외측 직물층과 내측 섹션(inboard section; 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138)과 외측 섹션(139)은 개별적으로 제1 직물 층과 제2 직물 층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은 전체적으로 직조된 나일론 직물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직물 또는 유연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별도 조각의 직물이거나, 또는 단일 조각의 직물이 접혀져서 형성되는 섹션일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예를 들어 도시된 주변 꿰맴부(144)를 거쳐서, 주변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서는,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이 기계적 체결구, 접착제, 단일 직조, RF 용접(RF welding), 초음파 용접,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의 내측 섹션(138) 및 외측 섹션(139)은 제1 보호 구역(130) 안에서 제1 챔버(140)를 형성하고 제2 보호 구역(132) 안에서 제2 챔버(142)를 형성할 수 있다. "챔버(chamber)"는 몸체 안의 내부 공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140)는 충전 튜브(106)를 통하여 팽창기(104)로부터 팽창 가스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142)는 상기 제1 챔버(140)으로부터 팽창 가스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챔버(140)는 내부 꿰맴부(148)에 의하여 팽창 셀(inflation cell; 146)로 구획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평면도에는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을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3 에는 평상시에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머리가 점유하고 있을 탑승자 구역(160)과 예시적인 운전자 측면 에어백의 전개 위치(16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는 자동차에 대해 상대적인 탑승자 머리의 전방 궤적(170), 외측 궤적(172), 및 전방 외측 궤적(174)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방 궤적(170)은 보통의 (즉, 스몰 오버랩 또는 비스듬 충돌이 아닌) 전방 충돌 동안에 머리가 탑승자 구역(160)으로부터 이동하는 궤적이다. 외측 궤적(172)은 측면 충격 동안에 머리가 탑승자 구역(160)으로부터 이동하는 궤적으로서, 상기 측면 충격 시에는 자동차의 측면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이 팽창하게 된다. 상기 전방 외측 궤적(174)은 스몰 오버랩 또는 비스듬 충돌 시에 머리가 탑승자 구역(160)으로부터 이동하는 궤적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외측 궤적(174)은 스몰 오버랩 또는 비스듬 충돌에 의해 유발되는 자동차의 회전으로부터 귀결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스티어링 휠(12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 및/또는 A-필러(114)와 충돌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자동차는 스티어링 휠(121)의 전방으로 확장된 도어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스몰 오버랩 또는 비스듬 충돌 시에 그 도어의 트림 또는 도어의 다른 부분들에 의해 충격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은 머리를 그와 같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으로 인하여 에어백 조립체(100)가 롤오버, 스몰 오버랩, 또는 비스듬 충돌시에 향상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내부 꿰맴부(148)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은 상기 제1 보호 구역(130)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팽창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보호 구역(130)의 팽창이 실질적으로 완료된 이후에야 팽창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꿰맴부(148),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꿰맴부(148)의 챔버 분할부(chamber divider; 150)가 상기 제1 보호 구역(130)으로부터 제2 보호 구역(132)으로의 팽창 가스 유동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면, 제2 보호 구역(132)의 팽창은 필요한 만큼 지연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은 예를 들어 A-필러(114), 계기 패널(122), 및 스티어링 휠(121)과 같은 자동차의 다양한 내부 구조물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보호 구역(132)과 탑승자 머리의 잠재적인 충돌 동안에 제2 보호 구역(132)이 제 위치에 유지됨을 돕는 소정의 마찰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이 전개 동안에 상기 구조물들에 대해 받쳐질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은 자동차의 운전자 측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조립체(100)에 부가하여 또는 에어백 조립체(100)를 대체하여 자동차의 탑승객 측에 그와 유사하게 구성된(즉, 거울 대칭적으로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 조립체는 A-필러(114), 스티어링 휠(121), 및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에 대응되는 내부 표면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전방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시된 제2 보호 구역(132)과 유사한 대응되는 제2 보호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탑승객 측에는 그와 같은 제2 보호 구역에 의하여 덮이는 것이 바람직한 A-필러, 글로브 수납부(glove compartment), 대쉬 보드, 및/또는 계기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유형 및 구성형태를 갖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치수, 형상, 및 비율을 갖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는, 자동차 내에서의 요망되는 위치, 예상되는 충돌 유형 및 강도, 자동차 탑승자의 예상되는 습관, 그리고 자동차 안전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지하고 있는 임의의 다른 기준을 감안하여 그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보호 구역(132)은 A-필러(114)에 부착된 트림 내부에 전체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것은 일부 자동차에 대해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A-필러(114)에 고정 및/또는 수납되는 에어백 구조물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자동차, 특히 소형차는 A-필러(114)에 부착된 트림 안에 매우 제한된 공간 만이 있을 수 있다. 또한, A-필러 트림의 구성요소들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에어백 전개 동안에 자동차의 내부 안으로 돌출될 위험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제2 보호 구역이 다른 장소에 보관될 수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2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자동차 내에서 수납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조립체(100)와 유사하게 에어백 조립체(200)는, 튜브(106)를 거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연결된 팽창기(104)와, 전개 시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전방 테더(108) 및 후방 테더(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복수의 장착 조립체(120)를 거쳐서 루프 레일(112)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장착 조립체(120)들 각각은 탭(124), 체결구(125), 및 감싸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감싸개(126)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초기 팽창 시에 파손됨으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개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A-필러(114)에 대한 에어백 구성요소들의 부착 또는 보관의 필요성을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스티어링 휠(121)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부분들이 A-필러(114) 상의 트림 내에 보관되기 보다는 루프 레일(112)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게끔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전체적으로 스티어링 휠(121)의 후방에서 전개되는 제1 보호 구역(230)과, 전체적으로 스티어링 휠(121)의 전방에서 전개되는 제2 보호 구역(232)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 구성형태에서,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은 제1 보호 구역(230)과 겹쳐지도록 후방으로 접혀질 수 있다. "겹쳐진다"는 표현은 두 개의 대상물들이 서로에 대해 맞대이도록 배치된 외부 표면을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4 의 수납 구성형태에 있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키지(package)는 앞선 실시예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에 비하여 루프 레일(112)의 전방부에 어느 정도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A-필러(114)에는 장착 조립체(120)들이 고정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A-필러(114)에는 전방 테더(108)와는 별도로 에어백 구성요소들이 없게 된다. 이것은 A-필러(114)의 트림 안에 보관되는 자재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형태는, 에어백 조립체(200)의 전개 동안에 에어백의 구성요소들이 A-필러 트림 또는 A-필러로부터 돌출될 위험을 저감시킴으로써, 에어백 조립체(200)의 전체적인 안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장착 조립체들 중 단 하나(즉, 최전방의 장착 조립체)가 A-필러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특히 A-필러 트림이 루프 레일과의 접합부를 향하여 가면서 더 커지고 이로 인하여 A-필러의 상부 단부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전술된 장점들 중 많은 것들은 여전히 유효하다.
도 5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다. 초기의 전개는, 도 1 내지 도 3 의 에어백 조립체(100)에 관한 상기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개(126)들이 파손되어 열림으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해제시키고,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하방향으로 확장되어서 자동차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11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상측부(234) 및 하측부(2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주변 접합부에서 앞서 설명한 방법들 중 임의의 것, 예를 들어 주변 꿰맴부(244)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는 내측 섹션(238)와 외측 섹션(23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변 접합부"는 내부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 구성요소와 외측 구성요소를 접합시키는 임의의 특징부일 수 있다. 따라서 주변 꿰맴부(244)는 주변 접합부의 수많은 가능한 예들 중 하나일 뿐이다. 다른 예들로서는, 초음파 용접 접합부, 단일 부재 직조 접합부, 접착제에 의하거나 화학적으로 접합된 접합부, 기계적으로 체결된 접합부, RF 용접 접합부, 등이 있다.
상기 내측 섹션(238)과 외측 섹션(239)은 개별적으로 제1 직물 층과 제2 직물 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변 꿰맴부(244)의 내부에는 내부 꿰맴부(248)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238)과 외측 섹션(239)이 협력하여서, 제1 보호 구역(230) 내에 제1 챔버(240)를, 그리고 제2 보호 구역(232) 내에 제2 챔버(2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240)와 제2 챔버(242)의 경계들은 주변 꿰맴부(244) 및 내부 꿰맴부(248)의 기하형태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앞선 실시예의 팽창 셀(146)들과 유사한 팽창 셀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대신에 내부 꿰맴부(248)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비-팽창 영역(246)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246)들은 자동차 탑승자와 충돌할 것 같지 않은 영역 또는 테더 또는 다른 에어백 구성요소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착은 비-팽창 영역(246)들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팽창을 저해하지 않고서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에 걸쳐서 상기 부착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비-팽창 영역(246)들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는데, 이로써 필요한 팽창 가스의 양을 저감시켜서 팽창기(104)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내부 꿰맴부(248)의 챔버 분할부(250)는 상기 제1 보호 구역(230)과 제2 보호 구역(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챔버(240)를 제2 챔버(24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챔버 분할부(250)는 제1 챔버(240)로부터 제2 챔버(242)로의 팽창 가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보호 구역(230)이 전체적으로 제2 보호 구역(232)의 팽창에 앞서서 팽창됨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소형으로 될 수 있고, 전개된 때에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의 제2 보호 구역(132)와 많이 상이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 구체적으로는 제2 보호 구역(232)이 제1 보호 구역(230)과 겹쳐지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확장된 전방부가 루프 레일(112)용 트림 안에 제공된 공간 안으로 소형화되게 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전개 동안의 상기 제1 보호 구역(230) 및 제2 보호 구역(232)의 팽창으로 인하여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이 제1 보호 구역(230)과 겹쳐지는 수납 위치로부터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피봇됨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은, 그것이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전체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측방 방향(102)으로 확장되기까지 먼저 내측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은 계속하여 전방으로 피봇되거나, 또는 여기에서 외측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저지받지 않는다면,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이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허용된다면, 즉 그것이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될 때까지 외측으로 피봇되도록 허용된다면, 스몰 오버랩 충돌의 경우에 탑승자의 충격을 방지하기에 최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정확히 설명하자면, 그와 같은 움직임은 운전자의 머리가 도 3 에 도시된 전방 외측 궤적(174)을 따라서 운전자의 측면 에어백과 제2 보호 구역(232) 사이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로부터 볼 때에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을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180°보다 적은 각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메카니즘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는 도 7 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이 외측으로 피봇하여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이동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속 부재(restraint member)가 이용될 수 있다. "구속 부재"는 대상물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임의의 구조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200)에서, 구속 부재는 전개 동안에 제2 보호 구역(232)의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200)에서 상기 구속 부재는 제1 보호 구역(230)에 고정된 제1 단부(282) 및 제2 보호 구역(232)에 고정된 제2 단부(284)를 구비한 테더(280)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282)는 제1 보호 구역(230)의 상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그리고 제1 보호 구역(230) 자체에 고정되거나, 또는 루프 레일(112)과 같은 자동차의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에서, 제1 단부(282)는 장착 조립체(120)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따라서 장착 조립체(120)의 탭(124)을 루프 레일(1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구(125)에 의하여 루프 레일(1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부(284)는 제2 보호 구역(232)의 상부 가장자리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이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와 같은 구속 부재는 다양한 구성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코드(cord) 또는 테더와 같은 유연성 부재들, 또는 레일, 브라켓 등과 같은 강성 부재들이 포함될 수 있다. 레일(미도시)은 쿠션에 연결된 링과 같은 미끄럼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학 고정되어서 제2 보호 구역(232)의 외측으로의 그리고/또는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의 외측으로의 그리고/또는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직접 차단하기 위하여 자동차 루프로부터 하방향으로 브라켓(미도시) 또는 다른 단단한 정지부가 전개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의 외측으로의 그리고/또는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많은 다른 대안적인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6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분할부(250)는 제1 챔버(240)와 제2 챔버(242) 사이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높이의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테더(108)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에 고정된 제1 단부(286)와 자동차에 고정가능한 제2 단부(28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286)는 챔버 분할부(250)에 고정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챔버 분할부(25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비-팽창 영역(246)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단부(286)는 꿰맴부(287)를 거쳐서 영역(24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288)는 구멍(289), 또는 A-필러(114)에 대한 제2 단부(288)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부착은 예를 들면 고정구(미도시)의 사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분할부(250)는,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가 부분적으로 접혀진 채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자연적 접음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 내의 팽창 가스의 압력, 그리고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측방 방향(102)에서 외측으로 불룩해짐으로 인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대부분의 영역들이 길이 방향(101)으로부터 멀리 굽혀짐이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다른 위치에서 접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챔버 분할부(250)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높이의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챔버 분할부(250)가 자연적인 접음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제2 보호 구역(232)의 제2 챔버(242)는 단일의 챔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챔버(242)가 복수의 챔버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챔버(242)는 두 개의 인접한 챔버들, 즉 최전방 챔버와 중간 챔버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챔버의 일 측부에는 챔버 구획부(250)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측부에는 상기 최전방 챔버와 중간 챔버 사이의 구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중간 챔버 및 최전방 챔버를 구비한 에어백 구성형태는, 측면 도어, A-필러, 및 계기 패널의 윤곽을 따라서 보다 우수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필러에 대한 자동차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배치된 중간 챔버와 계기 패널에 대한 자동차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배치된 최전방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참조하면, 특정의 자동차 구성형태에서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복수의 챔버들을 이용하는 구성형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수납 구성형태로 소형화되기 위하여 수납 접음선(290)에서 접혀질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접음선(290)은 자연적인 접음선(즉, 전개된 접음선)과 동일하며, 따라서 챔버 분할부(250)에 의해서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접혀질 수 있다. 전개 구성형태에서 어느 부분에서 접혀질지는 상기 챔버 분할부(250)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수납 접음선의 위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개 구성형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방 테더(108)의 제1 단부(286)의 부착 위치는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에서의 요망되는 인장력 수준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에 제1 단부(286)를 고정시키면, 제1 보호 구역(230)에서 뿐만아니라 제2 보호 구역(232)에서도 전방 테더(108)가 길이 방향(101)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장력은 전개 동안에 제2 보호 구역(232)의 피봇을 도움으로써 제2 보호 구역(232)의 펼쳐짐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제2 보호 구역(232)이 제1 보호 구역(230)과 평행하게 되는 위치로 향하게끔 제2 보호 구역(232)을 당기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챔버 분할부(250)의 후방에 제1 단부(286)를 고정시키면, 제1 보호 구역(230)에서만 전방 테더(108)가 길이방향(101)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제1 단부(286)를 챔버 분할부(250)에 직접적으로 또는 챔버 분할부(250)의 전방 가까이에 고정시키면, 전방 테더(108)가 제2 보호 구역(232)에 대해 소정 수준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되면서도, 모멘트 아암(moment arm)이 작기 때문에 제2 보호 구역(232)을 전방으로 피봇시키는 결과적인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제1 단부(286)의 부착 지점은,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의 신속한 전개와,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을 스몰 오버랩 충돌, 비스듬 충돌, 또는 롤오버 충돌의 경우에 보호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유지함 간의 바람직한 균형이 얻어지도록 주의깊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단부(286)는 챔버 분할부(250)의 비-팽창 영역(246)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비-팽창 영역(246)은 전체적으로 상기 챔버 분할부(250)의 나머지 부분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테더(108)는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에 대하여 존재하더라도 미미한 정도인 길이방향 인장력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테더(280)의 제2 단부(284)는 예를 들어 꿰맴부(285)에 의하여 제2 보호 구역(232)의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부(284)를 제2 보호 구역(232)에 고정시키는 꿰맴부(285)가 제2 보호 구역(232)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고서 내측 섹션(238) 및 외측 섹션(239)를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단부(284)는 제2 보호 구역(232)의 상부에서 주변 꿰맴부(244)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부(284)는 전개 접음선(또는 챔버 분할부(250))과 제2 보호 구역(232)의 전방 가장자리(292)로부터 대략적으로 동등한 거리에 있는 위치에서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단부(284)는 길이 방향(101)에서 전체적으로 제2 보호 구역(232)의 중간에 가가운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는, 챔버 분할부(250)에 가까운 부착이 유리한 테더 재료의 절약과, 탑승자의 상대적으로 고속인 움직임이 있는 때에 제2 보호 구역(232)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긴 모멘트 아암(long moment arm)을 제공함 사이에서의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232)을 과도하게 견고하게 제 위치에 유지시킴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모멘트 아암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보호 구역(232)에 대한 탑승자의 충격이 부드럽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2 보호 구역(232)이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해 평행한 위치를 향하여 외측으로 피봇됨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2 단부(284)의 위치는, 제2 보호 구역(232)의 위치와 관련하여 견고함과 유연성 사이의 최적 균형을 달성하도록 주의깊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 의 구성형태를 참조하면, 테더(280)의 제1 단부(282)를 그에 대응되는 장착 조립체(120)(즉, 도 6 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장착 조립체(120))에 부착시키기 전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형화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테더(28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 가장자리(294) 상의 요망되는 위치와 장착 조립체(120)에 대해 동시에 부착되기에 충분히 길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284)가 상부 가장자리(294)에 고정된 상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수납 접음선(290)에서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로써 전방 가장자리(292)가 내측으로 옮겨지거나 또는 도 6 의 모습을 기준으로 할 때 페이지를 벗어나서 (도 6 에서의 좌측인) 후방으로 옮겨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옮겨짐은 상기 전방 가장자리(292)가 제1 보호 구역(230)의 대응되는 영역과 겹쳐질 때까지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수납 접음선(290)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전방 가장자리가 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테더(280)의 제1 단부(282)가 장착 조립체(120)의 탭(124)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는, 상기 에어백 조립체(200)가 자동차에 설치된 때에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길이 방향(101)에서 접혀진 이후에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롤링, 폴딩,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하여 횡단 방향(103)에서 소형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수납 구성형태로 되게끔 종장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이 수납 구성형태에 있는 상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을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하여 장착 조립체(120)들이 루프 레일(112)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장착 조립체(120)들 중 어느 것도 A-필러(114)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도 7 에는 도 4 의 에어백 조립체(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전개 구성형태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 구역(232)은 제1 보호 구역(230)으로부터 테더(280)에 의하여 제한된 양만큼 펼쳐져 있다. 제2 보호 구역(232)은 운전자 측 에어백의 위치(162)와 제1 보호 구역(230) 사이의 간극을 막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호 구역(232)은 전체적으로 계기 패널(122)의 외측 부분(123) 및 A-필러(114)와 탑승자 머리의 탑승자 구역(160) 사이에 위치해서 이들의 표면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탑승자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자연적인 접음선을 형성하는 챔버 분할부(250)에서 접혀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의 수납 접음선도 챔버 분할부(250)에 위치할 수 있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자연적인 접음선이 챔버 분할부(250)와 상이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전개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구성형태에 영향을 주거나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 구역(232)은 제1 보호 구역(230)에 대한 각도(296)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각도(296)는 테더(280)의 부착 위치 및 길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296)는 1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296)는 110° 내지 16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296)가 120° 내지 1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296)가 130° 내지 1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296)가 대략 135°일 수 있다.
일부 충격은, 화살표(298)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구역(160) 내에서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의 Z축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Z축 회전이 과도하면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 및/또는 목(미도시)에 대한 상해로 귀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Z축 회전을 저감 및/또는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 에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수납 구성형태로 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그 길이를 따라서, 자동차에 대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장착 조립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 조립체(320)들 각각은 탭(3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서 장착 조립체(120)에 관한 설명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장착 조립체(320)들 모두가 A-필러(114)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장착 조립체(320)들 중 하나(즉, 최전방의 것)이 루프 레일(112)에 인접하여 A-필러(114)에 고정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과 유사하게,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제1 보호 구역(330) 및 제1 보호 구역(330)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제2 보호 구역(332)을 구비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상측부(334), 하측부(336), 내측 섹션(338), 및 (도 8 의 관점에서는 멀리 향하고 있는) 외측 섹션(339)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338)과 외측 섹션(339)은 개별적으로 제1 직물 층과 제2 직물 층을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섹션(338)과 외측 섹션(339)이 서로 고정됨으로써, 제1 보호 구역(330) 내에 제1 챔버(340)가 형성되고 제2 보호 구역(332) 내에 제2 챔버(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338)과 외측 섹션(339)은 예를 들어 주변 꿰맴부(344)를 이용함으로써 주변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변 꿰맴부(344)는 도 8 의 예시적인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과 같이 절단-및-재봉 에어백(cut-and-sewn airbag)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내측 층과 외측 층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꿰맴부 또는 솔기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주변부에서 내측 층과 외측 층을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단일 부재 직조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 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주변 꿰맴부(344)의 내측에 내부 꿰맴부(348)가 적용될 수 있으며, 내부 꿰맴부(348)가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346)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호 구역(332)은 전방 가장자리(392), 상부 가장자리(394), 저부 가장자리(396), 및 후방 가장자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호 구역(330) 및 제2 보호 구역(332)은, 비-팽창 영역(346)에 의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횡단 방향(103)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는 챔버 분할부(350)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346)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높이의 상당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는바, 비-팽창 영역(346)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전개 이후에 부분적으로 접혀진 채로 유지될 수 있는 전개 접음선(deployed fold line)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 접음선(390)이 챔버 분할부(350)에 의해 형성되는 전개 접음선과 동일하게 되도록, 수납 접음선(390)은 챔버 분할부(350)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전방 테더(308)에 의하여 자동차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전방 테더(308)는 예를 들어 꿰맴부(387)에 의하여 챔버 분할부(350)에 인접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에 고정된 제1 단부(386)와 자동차의 A-필러(114)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단부(388)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테더(280)와 유사하게 제1 보호 구역(330)에 대해서 제2 보호 구역(332)이 펼쳐지는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테더(380)의 형태를 갖는 구속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테더(380)는 장착 조립체(320)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도 8 에서 좌측의 장착 조립체인) 최전방에서 두 번째인 장착 조립체인 장착 조립체(320)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단부(38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고정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소형화 이전, 동안, 또는 이후의 적절한 때에 수행될 수 있다. 테더(380)는 제2 단부(384)도 구비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몇 가지 사항에 있어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210)과 구별된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에서는, 제2 챔버(342)가 제2 챔버(342)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가스는 상부 가장자리(394)에 인접한 주변 꿰맴부(344)와 챔버 분할부(350)의 피-팽창 영역(346)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서 제2 챔버(342)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챔버(342) 안으로의 가스 유입을 허용하는 통로의 폭은 꽤 넓을 수 있으므로, 제2 보호 구역(332)의 팽창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호 구역(332)은 제1 보호 구역(330)의 팽창과 동시에 또는 제1 보호 구역(330)의 팽창 직후에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챔버 분할부(350)를 형성하는 비-팽창 영역(346)의 폭은 앞선 실시예의 챔버 분할부(250)에 비하여 길이 방향(101)을 따라서 현저히 클 수 있다. 이것은, 전개 동안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앞선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된 각도(296)에 대응되는) 요망되는 각도로 챔버 분할부(350)에서 접혀진 채로 유지되게 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챔버 분할부(350)에 인접한 제2 보호 구역(332)의 부분이 제1 보호 구역(330)의 대응되는 부분과 맞물리기 전에 제1 보호 구역(330) 및 제2 보호 구역(332) 각각이 팽창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맞물림은 제2 보호 구역(332)으로 하여금 제1 보호 구역(330)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강제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분할부(350)의 폭은, 제2 보호 구역(332)가 제1 보호 구역(330)에 대해 최적으로 유지됨을 보장하기 위하여 테더(380)와 함께 조합되어 작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곳에서의 주변 꿰맴부(344)의 기하형태도 상기 제2 보호 구역(332)과 제1 보호 구역(330) 간에 요망되는 각도가 형성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전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주변 꿰맴부(344)의 곡선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저부 단부에 인접한 챔버 분할부(350)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로서 전개 과정에서 챔버 분할부(350)의 저부 부분에 존재하는 길이방향의 긴장력을 경감시키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제2 보호 구역(332)이 제1 보호 구역(330)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유지됨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은 주변 꿰맴부(344)의 외측에 위치한 비팽창 주변 영역 또는 주변 영역(3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352)은 주변 꿰맴부(344)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챔버(340) 및 제2 챔버(342)의 반대측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팽창 가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은 주변 영역(352) 안에서 서로 고정되거나, 또는 주변 영역(352)에서 전체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채로 남겨질 수 있다.
주변 영역(352)은 상부 부분(354), 저부 부분(356), 전방부(358), 및 후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주변 꿰맴부(344)도 상부 부분(364), 저부 부분(366), 전방부(368), 및 후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부분(354)은 전체적으로 상부 부분(364)의 위에 놓일 수 있으며, 저부 부분(356)은 전체적으로 저부 부분(366) 아래에 놓일 수 있고, 전방부(358)는 전체적으로 전방부(368)의 앞에 놓일 수 있다. 유사하게, 주변 영역(352)의 후방부는 전체적으로 주변 꿰맴부(344)의 후방부 뒤에 놓일 수 있다.
테더(380)는 주변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의 직물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380)는 상부 부분(35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테더(380)의 주 몸체는 슬릿(slit; 372)에 의하여 주변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슬릿(372)은 테더(380)의 제2 단부(384)에 이르기 전에 종료됨으로써, 주변 영역(352)의 상부 부분(354)이 제2 단부(384)에서 테더(380)와 일체로 접합된 채 유지된다.
내측 섹션(338) 및 외측 섹션(339)의 재료를 절단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잘라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가장자리들, 즉 전방 가장자리(392), 상부 가장자리(394), 저부 가장자리(396), 및 후방 가장자리(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 의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동일 또는 다른 절단 또는 다른 자르는 과정에 의하여 슬릿(37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테더(380)가 상부 부분(354)의 나머지와 구별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소정의 충돌 상황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이탈함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차 도어의 일부분을 가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전개시에, 충격을 받는 표면들이 (도 7 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화살표(298)로 표시된 바와 같이) 머리의 Z축 회전을 저감시키도록 적절한 각도를 갖게 되는 형상을 가진 챔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탑승자의 머리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표면을 따라서 아래로 미끄러지는 경향을 저지하도록 된 형상을 가진 챔버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아래로의 미끄러짐은 목의 과도한 휘어짐 또는 회전 및/또는 자동차의 하측 표면에 대한 머리의 충격으로 인한 상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관한 일부 예들은 아래에서 도 9 내지 도 12 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400)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자동차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한 명 이상의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미도시)의 루프 레일에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복수의 장착 조립체(420)를 사용하여 자동차에 고정될 수 있는바, 상기 장착 조립체(420)들은 앞서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요망되는 충격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팽창하는 제1 보호 구역(430) 및 제2 보호 구역(4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상측부(434) 및 하측부(436)를 구비할 수 있다.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내측 섹션(438)과 외측 섹션(439)에 해당될 수 있는 제1 직물 층과 제2 직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438) 및 외측 섹션(439)은 제1 보호 구역(430) 내에 제1 챔버(440)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보호 구역(432) 내에 제2 챔버(4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는 내측 섹션(438)을 외측 섹션(439)에 고정시키는 주변 접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접합부는 꿰맴, 단일 부재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체결구, 접착 접합, 화학적 접합, 등과 같은 다양한 부착 방법 및 구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 에서, 주변 접합부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꿰맴부(444)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상기 주변 꿰맴부(444)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안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446)을 가질 수 있다. 비-팽창 영역(446)들은 내부 꿰맴부(448)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내측 섹션(438)과 외측 섹션(439)이 주변 꿰맴부(44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안에서 서로 고정되게 하는 (단일 부재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체결구, 접착 접합, 화학적 접합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부착 수단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나의 비-팽창 영역(446)(즉, 도 9 에 도시된 최전방의 비-팽창 영역(446))은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 사이에 장애물(impediment)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최전방의 비-팽창 영역(446)에 의해 형성된 장애물은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의 하측부들 사이에서의 가스 유동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의 상부 부분들 아래에서 종료됨으로써 팽창 가스가 제1 챔버(440)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제2 챔버(442)의 상부 부분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주변 꿰맴부(444)는 상부 부분(464), 저부 부분(466), 전방부(468), 및 후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400)는 전방 테더로서 작용하는 테더(408)를 구비할 수 있는데, 그것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을 전개 이후에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에서의 긴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후방 테더(미도시)와 협력할 수 있다. 테더(408)는 도 9 에 도시된 바아 같이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에 고정된 제1 단부(486)와, 자동차, 예를 들어 A-필러(114)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단부(488)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꿰맴부(444)이 상부 부분(464)에 인접하게 위치된 테더(48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310)의 테더(380)와 유사하게, 상기 테더(480)는 에어백 조립체(400)가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때에 제2 보호 구역(432)이 제1 보호 구역(4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각도를 제어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더(480)는, 에어백 조립체(400)가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때에, 제2 보호 구역(432)이 제1 보호 구역(430)에 대해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테더(480)는 상부 부분(464)의 전방부에 인접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단부(48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480)는 자동차, 예를 들어 루프 레일(112)에 부착가능한 제2 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제1 단부(482)의 후방의 위치에서 루프 레일(11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챔버(442)에서 제2 보호 구역(432)을 나누는 비-팽창 구역(446)은 전체적 수직 부분(450) 및 전체적 수평 부분(4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450)은 주변 꿰맴부(444)의 저부 부분(466)으로부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내부를 향해서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체적 수평 부분(452)은 전체적 수직 부분(450)의 상부 단부로부터 주변 꿰맴부(444)의 전방부(468)를 향해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팽창 영역(446)은, 전체적 수직 부분(450)에 의하여 제1 챔버(440)를 제2 챔버(442)로부터 나눔과 함께, 전체적 수평 부분(452)에서 제2 챔버(442)를 상측 세그먼트(470)와 하측 세그먼트(472)로 분할한다. 상기 전체적 수평 부분(452)의 전방 단부는, 상측 세그먼트(470)와 하측 세그먼트(472) 간에 유체 소통을 제공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전방 세그먼트(474)가 형성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전개 동안에는 팽창 가스가 (도 9 에는 도시되지 않은) 팽창기(104)로부터 튜브(106)를 통하여 제1 챔버(440) 안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1 챔버(440)로부터는 주변 꿰맴부(444)의 상부 부분(464)와 비-팽창 영역(446)의 전체적 수직 부분(450)의 상부 단부 사이에 있는 공간을 통하여 제2 챔버(442)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간으로부터는, 팽창 가스가 상측 세그먼트(470)를 통해서 제2 챔버(4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측 세그먼트(470)으로부터는 팽창 가스가 전방 세그먼트(474) 안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전방 세그먼트(474)로부터 하방향으로 하측 세그먼트(472)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세그먼트(474)의 후방 단부에는 막힌 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세그먼트(470), 전방 세그먼트(474), 및 하측 세그먼트(472)는, 제2 챔버(442)를 통하여 팽창 가스를 전달하는 비-분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비-분기 통로"는 특별한 대안적인 유동 경로가 없는 채로 유체를 전달하는 통로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세그먼트(470), 전방 세그먼트(474), 및 하측 세그먼트(472)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분기 통로는, 상측 세그먼트(470), 전방 세그먼트(474), 및 하측 세그먼트(472)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통해서 충격 팽창 가스 유동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분할기, 골방(alcove), 하위 챔버, 또는 다른 구조물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비-팽창 영역(446)의 전체적 수직 부분(450)은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 사이에 장애물로서의 역할에 엄밀히 필요한 것보다 더 큰 폭(47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폭(478)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평면상 굽힘이 가능하게 되도록(즉,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이 전체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평면에서 접혀질 수 있게 되도록), 제1 챔버(440)와 제2 챔버(442)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남겨지게끔 충분할 수 있다.
상기 폭(478)은 7mm 내지 120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폭(478)은 20mm 내지 80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폭(478)은 대략 40mm 일 수 있다.
상기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폭(478)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챔버(440)의 하측 단부가 제2 챔버(442)의 하측 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루프 레일(112)과 A-필러(114)가 180° 미만의 각도로 만나는 한편, 주변 꿰맴부(444)의 상부 부분(464)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라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내부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에 대해 반력(reaction force)을 가함에 따라서, 제2 보호 구역(432)이 제1 보호 구역(4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비-팽창 영역(446)의 폭(478)은 위와 같은 하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은 아래에서 도 11 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아 우수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하다면, 내측 섹션(438)과 외측 섹션(439)이 서로 고정된 다음에 상기 폭(478)을 압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평면상 굽힘이 더 많이 유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적 수직 부분(450)이 전방부(490) 및 후방부(492)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부(490)와 후방부(492)를 서로에 대해 가깝게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전방부(490)를 후방부(492)에 부착시켜서 비-팽창 영역(446)을 압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방 접음부(494), 후방 접음부(496), 및 중앙 접음부(498)의 형태를 갖는 소형화 특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a 를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의 경사 단면도에는 도 9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의 비-팽창 영역(446)의 전체적 수직 부분(450)이 도시되어 있되, 비-팽창 영역(446)의 후방부(492)에 비-팽창 영역(446)의 전방부(490)가 부착된 이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방부(490)는 꿰맴부(499)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부착 특징부에 의해서 후방부(492)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꿰맴부(499)는 예를 들어 먼저 전체적 수직 부분(450)을 접어서 비-팽창 영역(446)에 전방 접음부(494), 후방 접음부(496), 및 중앙 접음부(498)를 형성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방부(490)는 후방부(492)와 겹쳐져서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V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방부(490)를 후방부(492)에 고정시키도록, 전방부(490)와 후방부(492)를 관통하여 꿰맴부(499)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a 에는 과장되게 둥글게 도시된 것일 수 있는 전방 접음부(494), 후방 접음부(496), 및 중앙 접음부(498)가 도시되어 있다 - 사실 상기 접음부들은 접힌 자국이 생기도록 접히거나 또는 도시된 것보다 더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꿰맴부(499)가 적용된 이후에 상기 전방부(490)와 후방부(492)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하다면 상기 꿰맴부(499)가 바짝 당겨짐으로써 그 간극이 없게 되어 전방부(490)가 후방부(492)에 직접 맞닿게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팽창 영역(446)이 절단되어서 후방부(492)로부터 전방부(49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절단은 도 10a 에 도시된 중앙 접음부(498)의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방부(490)와 후방부(492)가 각각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로 접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중앙 접음부(498)가 절단 부분으로 대체된 상태에서 전방 접음부(494)와 후방 접음부(496)가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b 의 경사 단면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미도시)의 비-팽창 영역의 전체적 수직 부분(6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650)은 전방부(690)와 후방부(6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부(690)는, 전방부(690)와 후방부(692) 사이에서 전체적 수직 부분(650)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 부분(698)의 형태를 갖는 소형화 특징부에 의하여, 후방부(69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650)을 압축시키기 위한 접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에, 전방부(690)와 후방부(692)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그들이 서로에 대해 겹쳐져 놓이도록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당겨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방부(690)와 후방부(692)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바느질, 단일 부재 직조, RF 용접, 초음파 용접, 화학적 접합, 접착 접합, 및 기계적 체결과 같은 방법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b 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690)는 꿰맴부(698)에 의하여 후방부(692)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0a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비-팽창 영역의 전체적 수직 부분(650)의 폭(478)을 압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 모두에는 폭(478)의 압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0a 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폭(478)의 압축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내부의 형상과 무관하게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보호 구역(432)이 제1 보호 구역(430)에 대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아래에서 도 11 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몇가지 현저한 잇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에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500)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전방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되,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도 9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410)과 유사하게, 장착 조립체(520)들, 제1 챔버(540)를 구비한 제1 보호 구역(530), 및 제2 챔버(542)를 구비한 제2 보호 구역(5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은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측부(534) 및 하측부(5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은, 주변 꿰맴부(544)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주변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변 꿰맴부(544)는 상부 부분(564), 저부 부분(566), 전방부(568), 및 후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500)가 도 9 에 도시된 테더(480) 및/또는 테더(408)와 같은 테더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테더는 도면의 명확성을 위하여 도 11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내측 섹션(538) 및 외측 섹션(539)은 복수의 비-팽창 영역(546)들에서 내부 꿰맴부(548)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비-팽창 영역(546)들 중 최전방의 것은 제1 챔버(540)를 제2 챔버(542)로부터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비-팽창 영역(546)은 도 9 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할 수 있는 전체적 수직 부분(550) 및 전체적 수평 부분(55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비-팽창 영역(546)은 전체적 수평 부분(552)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말단 부분(55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체적 수평 부분(552)은 제2 챔버(542)를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말단 부분(554)은 제2 챔버(542)를 전방 세그먼트(574)와 말단 세그먼트(terminal segment; 576)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세그먼트는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서,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의 전방 단부들 사이에서 팽창 가스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말단 세그먼트(576)는 상기 하측 세그먼트(572)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체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것의 막힌 상측 단부에서 종료될 수 있다.
전개 동안에는 팽창 가스가, (도 9 에는 도시되지 않은) 팽창기(104)로부터 튜브(106)를 통해서 제1 챔버(540) 안으로 유동할 수 있고, 주변 꿰맴부(544)의 상부 부분(564)과 비-팽창 영역(546)의 전체적 수직 부분(550)의 상부 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1 챔버(540)로부터 제2 챔버(542)로 유동할 수 있다. 팽창가스는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측 세그먼트(570)를 통해서 제2 챔버(542)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팽창가스는 상기 상측 세그먼트(570)로부터 전방 세그먼트(574) 안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전방 세그먼트(574)로부터 하측 세그먼트(572) 안으로 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 다음 팽창 가스는 하측 세그먼트(572)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말단 세그먼트(576) 안으로 유동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 세그먼트(576)의 상부 단부는 막힌 단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세그먼트(570), 전방 세그먼트(574), 하측 세그먼트(572), 및 말단 세그먼트(576)가 협력하여서, 팽창 가스가 제2 챔버(542)를 통하도록 전달하는 비-분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는 앞선 실시예들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루프 레일(112) 및 A-필러(114)를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580)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것은 루프 레일(112)의 전방부 및 A-필러(114)의 후방부 아래에 존재할 수 있다. 도어(582)는 윈도우(58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는 스티어링 휠(58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제2 보호 구역(532)이 윈도우(580)의 저부 아래로 상당히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보호 구역(532)은 도어(582)와의 겹침부(586)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겹침부(586)는 최대 확장 상태에서 5cm 내지 50cm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겹침부(586)는 10cm 내지 30cm 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겹침부(586)는 대략 20cm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보호 구역(532)의 상당한 부분이 도어(582)의 바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겹침부(586)는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대한 탑승자의 충격이 있는 때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이 윈도우(580)를 통해서 자동차 밖으로 밀리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곧,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겹침부(586)는 자동차 탑승자의 도어(582)에 대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2 에는 도 11 의 12-12선을 따라 취한 평면에서의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전개 구성형태에 있는 에어백 조립체(500)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 구역(532)의 상당 부분이 스티어링 휠(58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구역(532)의 전방부는 도 9 의 테더(480)와 유사한 상부 테더(미도시)의 작동으로 인하여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584)에 장착된 전방 충격 에어백(미도시)의 전개 위치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보호 구역(532)은, 스몰 오버랩 충돌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충격 에어백과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 사이로 탑승자의 머리가 지나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 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차지하는 탑승자 구역(160)과, 탑승자의 머리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을 향하는 가능한 일 궤적을 나타내는 화살표(588)가 도시되어 있다.
이탈 가능성 감소 및 스몰 오버랩 충돌 보호에 부가하여, 에어백 조립체(500)는 도 7 과 관련하여 설명된바 있는 탑승자 머리의 Z축 회전을 저감시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Z축 회전은 도 12 에서 화살표(589)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팽창 영역(546)의 전체적 수직 부분(550)은 폭(578)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폭(578)이 도 9 의 비-팽창 영역(446)의 전체적 수직 부분(450)의 폭(478)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폭(578)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평면상 굽힘을 용이하게 하도록 충분히 크되,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전체적 수직 부분(550)에 직접적으로 수용됨을 허용할 정도로 크지 않을 수 있다.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전체적 수직 부분(550)에 직접적으로 수용되면 그 머리의 바람직하지 못한 Z축 회전 및/또는 관통타격(strikethrough)이 초래될 수 있다.
제2 챔버(542)의 기하형태는 탑승자의 머리가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에 부딪친 후에 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이 얻어지는 방식은 아래에서 도 13 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에는 도 11 의 13-13선을 따라 취한 경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전개 구성형태에서 도 11 의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제2 보호 구역(532)이 나타나 있다. 도 13 에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이 루프 레일(112), 윈도우(580), 및 도어(582)의 내부에서 어떻게 팽창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보호 구역(532)이 도어(582)와 어떻게 겹쳐지는지도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팽창 영역(546)의 전체적 수평 부분(552)은 제2 챔버(542)를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로 인하여, 제2 챔버(542)가 전체적 수평 부분(552)를 따라서 접혀짐으로써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가 서로를 향하여 각도를 이루게 되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한 V자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측 세그먼트(572)의 내측 섹션(538)의 외부 표면은 적어도 약간 상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도어(582) 및/또는 윈도우(580)가 저부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내측으로 만곡하게 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달성될 수 있는데, 전술된 바와 같이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가 V자 형상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그와 같은 만곡으로 인하여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510)의 내측 표면들이 하방향으로의 각도를 갖게 될 것이다. 상기 제2 챔버(542)가 상측 세그먼트(570)와 하측 세그먼트(572)로 분할된 상태에서는, 실제에 있어서 상기 도어(582) 및/또는 윈도우(580)의 기하형태가 내측 섹션(538)의 외부 표면이 상방향의 각도를 갖게 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도어(58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세그먼트(572)로 하여금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를 취하게끔 하기 때문이다.
탑승자 구역(160)에 의하여 표시된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는 충돌 동안에 화살표(59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및 하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세그먼트(572)의 내측 섹션(538)의 상방향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은 그 충돌을 수용할 수 있으며, 머리가 다시 상방향으로 되돌아 가도록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머리가 상기 내측 섹션(538)을 따라서 제2 보호 구역(532)의 저부 아래로 하방향으로 미끄러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방지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에어백 조립체(500)는 폭넓게 다양한 유형의 발생가능한 상해들을 감소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조립체(500)는 폭넓게 다양한 유형의 충돌들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500)는 자동차의 운전자 측면을 위한 것이지만, 매우 유사한 구조의 에어백 조립체가 조수석 측면(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조수석의 전방 충격 에어백 및/또는 내부 자동차 구조와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수석 측면 에어백 조립체에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한 가지 이상의 단계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은 서로 대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실시예의 적절한 작동을 위하여 단계들 또는 작용들의 특정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또는 "상기 실시예"라고 기재된 표현은, 해당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의 특징부, 구조, 또는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표현 또는 그 표현의 변형 형태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흐름 상 때때로 다양한 특징부들이 단일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서 함께 조합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명이 어떤 청구항이 해당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보다 많은 특징부를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보다는, 하기의 청구항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명의 특징은 전술된 임의의 단일 실시예의 모든 특징부들보다 적은 개수의 조합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 이후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명시적으로 본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각각의 청구항은 그 자체가 별도의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의 독립항들이 그들의 종속항에 치환되어 포함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어떤 특징부 또는 요소에 관하여 "제1"이라고 기재된 청구항의 표현은 반드시 제2의 특징부 또는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기능-플러스-수단 형식(means-plus-function format)으로 기재된 요소들은 35 U.S.C. 112조 6항에 따라서 이해되기를 의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에 대해 변화가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 적용예들이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 구성 및 구성요소들에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구성, 작동, 및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변화,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roof)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inflatable curtain airbag)을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로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납 구성형태(stowed configuration)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형태(deployed configuration)를 가지며,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변 접합부(peripheral juncture)에서 서로 고정되는 내측 직물층(inboard fabric layer) 및 외측 직물층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는 제1 챔버(first chamber),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fluid communication)되는 제2 챔버(second chamber), 및 상기 주변 접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비-팽창 영역(non-inflating region)을 형성하고,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in-plane bending)을 허용하도록 선택된 폭을 갖는, 에어백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bottom edge)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전체적 수직 부분(generally vertical portion)을 포함하고,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챔버가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는, 에어백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은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를 상측 세그먼트(upper segment)와 하측 세그먼트(lower segment)로 분할하는 전체적 수평 부분(generally horizontal portion)을 더 구비하고,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제2 챔버는 윈도우(window)의 내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상기 하측 세그먼트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낮게 그리고 제1 챔버보다 낮게 연장되는, 에어백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전방 세그먼트(forward seg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가 협동하여 단일의 비-분기 통로(non-branching passageway)를 형성하며,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inflation gas)를 제1 챔버로부터 상측 세그먼트로, 그리고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전방 세그먼트로, 그리고 전방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전달하는, 에어백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하측 세그먼트는, 하측 세그먼트의 내측 직물 층의 외부 표면이 상방향으로 향하게끔 경사를 이루는, 에어백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은 7mm 내지 120mm 사이인, 에어백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챔버는 자동차의 계기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부분과 자동차의 A-필러 중 적어도 하나와 평상시에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점유하는 탑승자 구역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에어백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전개 구성형태에서, 상기 제2 챔버의 하측부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접촉하게 되는, 에어백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키는 부착 특징부(attachment feature)를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압축시키는 소형화 특징부(compaction feature)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소형화 특징부는 접음 또는 절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백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적용되는 꿰맴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1. 자동차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은:
    내측 직물층 및 외측 직물층을 제공하는 단계;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을 주변 접합부에서 외측 직물층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소형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 안으로 팽창 가스가 도입됨에 따라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하방향으로 확장되어 전개 구성형태를 취하여 자동차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고정됨을 용이하게 하는 전체적으로 종장형의 형상(generally elongated shape)을 갖게끔 소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직물층을 외측 직물층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주변 접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을 포함하고,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동안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을 허용하도록 선택된 폭을 갖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체적 수직 부분을 형성함을 포함하고,
    상기 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윈도우의 내측에서 팽창하는 제2 챔버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의 각도를 갖게 되고 또한 제2 챔버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명확히 낮게 확장되도록 선택되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을 형성함은 상기 전체적 수직 부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를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형성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세그먼트, 전방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는 협력하여 단일의 비-분기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를 제1 챔버로부터 상측 세그먼트로,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전방 세그먼트로, 그리고 전방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전달하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전체적으로 종장형의 형상을 갖게끔 소형화시키는 단계는, 전개 구성형태에서 제2 챔버가 자동차의 계기 패널의 일부분과 자동차의 A-필러 중 적어도 하나와 평상시 자동차 탑승자의 머리가 점유하는 탑승자 구역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선택된 위치에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고정시킴을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은 부착 특징부에 의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킴을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압축시키는 접힘부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꿰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킴은 상기 전방부를 후방부에 꿰맴을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제작 방법.
  17.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로서,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납 구성형태와,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 표면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구성형태를 가지며,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은 주변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되는 내측 직물층 및 외측 직물층을 구비하고,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에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체 소통되고 또한 단일의 비-분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진입하는 통로가 되는 상측 세그먼트; 및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상측 세그먼트 아래에 있고, 팽창 가스를 다시 상기 제1 챔버 쪽으로 향하게 하는, 하측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단일의 비-분기 통로는 팽창 가스를 상측 세그먼트로부터 하측 세그먼트로 하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된 전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비-팽창 영역은 전개 구성형태에서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이 가능하도록 선택된 폭을 가지며, 상기 팽창가능 커튼 에어백의 평면상 굽힘으로 인하여 제2 챔버가 제1 챔버에 대해 하방향으로 향하는 각도를 갖게 되어, 제2 챔버가 윈도우의 내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상기 하측 세그먼트가 윈도우의 저부보다 명확히 낮게 연장되는, 에어백 조립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저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챔버를 제2 챔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직 부분 및 상측 세그먼트를 하측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전체적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비-팽창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직물층과 외측 직물층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조립체는 상기 비-팽창 영역의 전방부를 비-팽창 영역의 후방부에 부착시키는 부착 특징부를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비-팽창 영역의 폭을 감소시키는 접힘부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백 조립체.
KR1020167013475A 2013-11-26 2014-10-24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KR101804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1,224 US9272682B2 (en) 2013-11-26 2013-11-26 Wrap around side impact airbag systems and methods
US14/091,224 2013-11-26
PCT/US2014/062237 WO2015080821A1 (en) 2013-11-26 2014-10-24 Wrap around side impact airbag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649A true KR20160074649A (ko) 2016-06-28
KR101804289B1 KR101804289B1 (ko) 2017-12-04

Family

ID=5318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475A KR101804289B1 (ko) 2013-11-26 2014-10-24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2682B2 (ko)
EP (1) EP3074280B1 (ko)
JP (1) JP6294963B2 (ko)
KR (1) KR101804289B1 (ko)
CN (1) CN105764755B (ko)
WO (1) WO201508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088B1 (ko) * 2014-04-23 2021-0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2157025B1 (ko) 2014-04-29 2020-09-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1627498B1 (ko) 2014-10-17 2016-06-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1708217B1 (ko) * 2015-10-29 2017-03-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0032453B2 (en) * 2016-05-06 2018-07-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providing occupant-specific acoustic functions in a vehicle of transportation
KR101776506B1 (ko) * 2016-06-08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
US9862347B2 (en) 2016-06-14 2018-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mpact absorbing system
US9969346B2 (en) * 2016-08-24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restraint system
US10144385B2 (en) 2016-12-19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curtain including a strip connected to an inboard panel
JP6825921B2 (ja) * 2017-01-18 2021-02-0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US10336283B2 (en) 2017-05-09 2019-07-02 Autoliv Asp, Inc. Oblique impact airbag mit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199985A (zh) * 2017-05-27 2017-09-26 江苏大学 一种用于翻滚的侧气帘的双级气体发生器的控制方法
KR102293580B1 (ko) * 2017-06-08 2021-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US10266144B2 (en) * 2017-06-09 2019-04-2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bag system
DE102017210660A1 (de) * 2017-06-23 2018-12-2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ackanordnung
JP6836186B2 (ja) * 2017-08-24 2021-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6848839B2 (ja) 2017-11-30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1192512B2 (en) 2018-08-31 2021-12-0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irbag arrangement
US11130466B2 (en) * 2019-03-08 2021-09-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deployment controlling tether
CN109774646B (zh) * 2019-03-13 2023-09-01 上海临港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顶置式气囊
US11318907B2 (en) * 2019-09-24 2022-05-03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assembly
JP7312669B2 (ja) * 2019-10-29 2023-07-2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KR20210077539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1135992B2 (en) 2020-01-23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oof airbag
JP7342825B2 (ja) * 2020-09-16 2023-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960A (en) * 1998-04-24 2000-06-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DE19956710B4 (de) 1999-11-25 2008-05-08 Takata-Petri Ag Aufblasbarer Luftsack
US6705640B2 (en) 2000-08-28 2004-03-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ead-protection airbag device
JP3922057B2 (ja) 2002-03-19 2007-05-30 タカタ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及び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469923B2 (en) 2004-08-10 2008-12-30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556286B2 (en) * 2005-09-08 2009-07-07 Autoliv Asp, Inc. Extended inflatable coverage of inflatable curtains
JP4879661B2 (ja) 2006-06-21 2012-02-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これの製造方法
JP4453722B2 (ja) * 2007-06-13 2010-04-2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7028803B4 (de) * 2007-06-19 2011-06-16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5012726B2 (ja) 2008-08-07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8814202B2 (en) 2010-08-06 2014-08-26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JP5856405B2 (ja) * 2010-09-22 2016-02-0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DE102010056342A1 (de) * 2010-12-29 2012-07-0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für ein Fahrzeug
US8905432B2 (en) * 2011-03-04 2014-12-09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WO2012144404A1 (ja) * 2011-04-20 2012-10-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575704B2 (ja) * 2011-06-08 2014-08-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構造
US20130113192A1 (en) 2011-11-08 2013-05-09 Charles Richards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Twist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821A1 (en) 2015-06-04
JP2016537252A (ja) 2016-12-01
CN105764755B (zh) 2018-04-03
CN105764755A (zh) 2016-07-13
EP3074280A4 (en) 2017-07-12
EP3074280B1 (en) 2020-07-08
EP3074280A1 (en) 2016-10-05
US9272682B2 (en) 2016-03-01
JP6294963B2 (ja) 2018-03-14
KR101804289B1 (ko) 2017-12-04
US20150145234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289B1 (ko) 랩 어라운드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 및 방법
JP673488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EP2988975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US8894094B2 (en)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JP622200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25179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US9266494B2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US9566935B2 (en) Double fold and roll cushions for IC
CN111819113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7832759B2 (en) Side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2024522999A (ja) 展開支援ラッパーを備えた前面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20230182675A1 (en)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bi-roll package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