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451A - 볼 엔드 밀 - Google Patents

볼 엔드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451A
KR20160074451A KR1020167003501A KR20167003501A KR20160074451A KR 20160074451 A KR20160074451 A KR 20160074451A KR 1020167003501 A KR1020167003501 A KR 1020167003501A KR 20167003501 A KR20167003501 A KR 20167003501A KR 20160074451 A KR20160074451 A KR 2016007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ill
axis
bottom edge
flank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아제가미
다로 아베
마사노리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C2210/203Number of cutting edges f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8Arrangement of teeth
    • B23C2210/285Cutting edges arranged at different di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54Configuration of the cut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Abstract

본 발명의 볼 엔드 밀은, 축선 (O) 둘레에 회전하는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에 적어도 2 개의 바닥날 (9) 이 축선 (O) 의 근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바닥날 (9) 이 형성된 2 개의 개시 (7) 는,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의 제 1 개시 (7A) 가 엔드 밀 본체 (1) 선단 상의 축선 (O) 을 넘어 연장되고,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의 제 2 개시 (7B) 는 축선 (O) 을 넘지 않도록 된다. 제 1 개시 (7A) 에 제 1 바닥날 (9A) 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은, 제 2 개시 (7B) 에 제 2 바닥날 (9B) 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연장부 (8c) 와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사이에는, 연장부 (8c) 에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 (1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바닥날 (9B) 은 오목 곡절면 (10) 에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Description

볼 엔드 밀{BALL END MILL}
본 발명은, 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축선 둘레의 회전 궤적이 그 축선 상에 중심을 갖는 볼록 반구상이 되는 바닥날이 형성된 볼 엔드 밀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10월 23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22063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와 같은 볼 엔드 밀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각각의 바닥날의 랜드가 볼록 R 곡면을 갖고, 각각의 랜드의 에지가 전부 바닥날 전체의 정점 중심부에 접하는 볼 엔드 밀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3 장 이상의 바닥날을 갖는 볼 엔드 밀이 제안되어 있다. 이 볼 엔드 밀에서는, 엔드 밀의 바닥면에서 봤을 때, 엔드 밀의 축심부 부근에 바닥날 (볼 날) 로부터 변곡되어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여 다음 날까지 연신된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날의 플랭크각은, 바닥날의 플랭크각보다 작다. 절삭날의 변곡점은 바닥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축심으로부터 0.015 ㎜ 이상 떨어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28611호 일본 특허공보 제3840661호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볼 엔드 밀에 있어서는,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의 더욱 선단부에, 단면 오목 V 자형의 오목홈상의 개시를 내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개시는, 단면 볼록 V 자형의 외주면을 갖는 개시 지석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과 엔드 밀 본체 선단의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축선 둘레의 회전 궤적이 엔드 밀 본체의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또한 선단측으로 볼록해지는 반구상이 되는 바닥날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 지석의 외주면이 이루는 단면 볼록 V 자형의 돌출단은, 엄밀하게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하기는 곤란하여, 실제로는 둥그스름해져 있다.
또, 개시 지석에 의해 개시를 형성하는 동안에도, V 자의 돌출단은, 마모에 의한, 이른바 처짐에 의해 둥그스름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볼 엔드 밀과 같이, 랜드의 에지 (즉 바닥날의 전부) 를 정점 중심부 (즉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상) 에 접하도록 하면, 개시끼리가 중첩됨으로써 축선 상에 바닥날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바닥날의 형성은 현실적으로는 어렵다.
이 때문에, 실제로는 개시를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상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하고, 그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개시의 벽면과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바닥날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개시의 내주단의 둥그스름한 부분과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는, 회전 궤적이 반구상을 이루는 바닥날 부분보다, 약간 엔드 밀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런데, 선단 플랭크면에는, 엔드 밀 회전 방향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반구상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후퇴하도록 플랭크각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해서는, 교차 능선부가 상기 반구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개시의 내주단에 엔드 밀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선단측으로 뾰족한 돌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절삭 가공시에 이 돌기부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에 줄무늬가 발생하여 가공 정밀도를 열화시키거나, 뾰족한 돌기부가 파손되어 바닥날에 말려들어감으로써 바닥날의 결손을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는,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도 지적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볼 엔드 밀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볼 엔드 밀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바닥날으로부터 변곡시켜 다음 날까지 연신시킨 절삭날의 플랭크면에는 작긴 하지만 플랭크각이 부여되고, 이와 같은 플랭크면이 축심까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볼 엔드 밀과 동일하게, 축심의 위치에 뾰족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역시 가공 정밀도의 열화나 바닥날의 결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 3 장 이상의 바닥날으로부터 변곡시켜 연신시킨 절삭날의 플랭크면이 전부 축심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드 밀 본체의 선단의 축선 근방에 있어서의 절삭날에 의한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이 저해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뾰족한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 정밀도의 향상이나 바닥날의 결손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의 축선 근방에 있어서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볼 엔드 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엔드 밀 본체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조 (條) 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과, 상기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내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개시를 구비하고, 상기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과 이 벽면에 교차하는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의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바닥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닥날은, 상기 축선 둘레의 회전 궤적이 그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선단측으로 볼록해지는 반구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바닥날 중 적어도 2 개의 바닥날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근방으로 연장되고, 이들 적어도 2 개의 바닥날 중 더욱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바닥날이 형성된 2 개의 상기 개시는, 엔드 밀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개시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 상의 상기 축선을 넘어 연장됨과 함께, 엔드 밀 회전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개시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 상의 상기 축선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대하여, 상기 2 개의 바닥날 중 제 1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은, 상기 제 2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대하여 상기 2 개의 바닥날 중 제 2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2 선단 플랭크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와 상기 제 2 선단 플랭크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날이, 이 오목 곡절면에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 곡절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볼 엔드 밀에서는, 먼저,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바닥날 중,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의 2 개의 바닥날이 형성된 제 1, 제 2 의 2 개의 개시에 있어서, 엔드 밀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개시가 엔드 밀 본체의 선단 상의 축선을 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개시에 의해,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에 연통되는 포켓의 용량을 축선 근방에서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제 1 바닥날에 의한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개시에 제 1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은, 그 엔드 밀 회전 방향의 후방측에 인접하는 제 2 선단 플랭크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와 제 2 선단 플랭크면 사이에는,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곡절면에 제 2 바닥날이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볼 엔드 밀에서는, 내주단이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제 2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과 제 2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제 2 바닥날이 형성됨과 함께 돌기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볼 엔드 밀에서는, 엔드 밀 회전 방향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바닥날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로부터 후퇴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을 연장시킴과 함께 오목 곡절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내주단이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제 2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과 제 2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볼 엔드 밀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돌기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와 오목 곡절면에 의해 모따기된 구성이 된다. 그 때문에, 절삭 가공시에 돌기부에 의해 가공면에 줄무늬가 발생하거나, 파손된 돌기부가 바닥날에 말려들어가 바닥날 결손을 초래하거나 하지 않아, 가공 정밀도의 향상과 엔드 밀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바닥날은,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됨과 동시에,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바닥날의 내주단에 있어서의 강도도 확보하여 결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닥날과 오목 곡절면은 둔각의 각도를 갖고 직접 교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모따기부나 둥그스름한 볼록 곡부 등을 통하여, 제 2 바닥날의 연장선과 오목 곡절면의 연장면이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단, 어느 경우에도, 제 2 바닥날 또는 그 연장선과 상기 오목 곡절면 또는 그 연장면의 교점과 바닥날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축선이 이루는 협각 (挾角) 은 1°∼ 10°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협각이 상기 범위보다 커지면, 제 2 바닥날의 내주단이 축선으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져, 엔드 밀 본체의 선단의 축선 근방에서는 제 1 바닥날만으로 절삭이 실시되게 된다. 따라서, 이 제 1 바닥날에 대한 부담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발생한다.
또, 상기 협각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상기 연장부 및 오목 곡절면이 지나치게 작아져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제 2 바닥날이 상기 오목 곡절면에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려면, 제 2 바닥날 또는 그 연장선이, 상기 오목 곡절면 또는 그 연장면과 제 2 바닥날의 레이크면의 교차 능선부, 혹은 상기 오목 곡절면 또는 그 연장면과 제 2 바닥날의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또,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를 상기 축선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하고,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4 개의 바닥날을 연장시켜도 된다.
이들 바닥날이 형성된 4 개의 개시는,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상기 제 1, 제 2 개시로 한 경우, 이들 4 개의 개시 중 2 개의 상기 제 1 개시끼리를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하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서 이들 2 개의 제 1 개시가 연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엔드 밀 본체의 선단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더욱 확실하게 바닥날의 결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를 상기 축선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하고,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4 개의 바닥날을 연장시키고, 이들 4 개의 바닥날의 4 개의 개시를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제 1, 제 2 개시로 한 경우에는, 2 개의 제 1 개시끼리는 모두 축선을 넘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2 개의 제 1 개시끼리의 사이에, 이들 제 1 개시에 제 1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고 있는 제 1 선단 플랭크면끼리가 교차하는 치즐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엔드 밀 본체의 선단의 축선 근방을 절삭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 치즐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을 깎아내는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면 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치즐은, 축선 방향에서 본 정면에서 봤을 때, 2 개의 제 1 바닥날에 둔각으로 교차함과 함께, 축선에 직교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오목 곡절면은, 제 1 선단 플랭크면을 제 2 선단 플랭크면을 향하여 연장시켜 상기 연장부를 형성할 때, 이 제 1 선단 플랭크면을 연삭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연삭 지석을 제 2 선단 플랭크면에 간섭시켜, 제 2 선단 플랭크면의 내주부를 깎아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으로 연장된 바닥날, 이른바 긴 바닥날 외에, 축선으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협각의 범위보다 크게 떨어진 위치에 내주단을 갖고, 상기 긴 바닥날과 함께 회전 궤적이 볼록 반구를 이루도록 된, 이른바 짧은 바닥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있어서 절삭 부스러기 배출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이 축선 근방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에 줄무늬가 발생하거나, 절삭 가공시에 돌기부가 파손되어 바닥날에 말려들어감으로써 결손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수명이고 가공 정밀도가 높은 볼 엔드 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의 추가적인 확대 정면도이다.
도 4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의 회전 궤적의 축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설명을 위해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반경은 도 4a 에 대하여 작게 되어 있다).
도 5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제조할 때의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 및 오목 곡절면이 형성되기 전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의 추가적인 확대 정면도이다.
도 5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제조할 때의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 및 오목 곡절면이 형성되기 전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의 회전 궤적의 모식도로서, 축선을 따른 회전 궤적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설명을 위해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반경은 도 5a 에 대하여 작게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드 밀 본체 (1) 는, 초경 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원기둥상으로 되어 있다. 엔드 밀 본체 (1) 의 후단부 (도 1 에 있어서 우상측 부분, 도 2 에 있어서는 상측 부분) 는 원기둥상의 생크부 (2) 로 되어 있다.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 (도 1 에 있어서 좌하측 부분, 도 2 에 있어서는 하측 부분) 는 절삭날부 (3) 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 엔드 밀은, 생크부 (2) 가 공작 기계의 주축에 파지된 상태에서, 축선 (O) 둘레에 도 3 에 나타내는 엔드 밀 회전 방향 (T) 으로 회전되면서, 그 축선 (O) 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출됨으로써, 절삭날부 (3) 에 의해 워크를 절삭 가공한다.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의 절삭날부 (3) 에는, 그 외주에 복수 조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조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은, 축선 (O) 방향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비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과 이 벽면에 교차하는 외주 플랭크면 (5) 의 교차 능선부에는, 그 벽면을 레이크면으로 하여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과 동일하게 나선상으로 비틀어지는 외주날 (6) 이 형성되어 있다. 4 조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외주날 (6) 끼리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1 개의 원통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의 선단부에는, 이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에서 엔드 밀 본체 (1) 의 외주측을 향하는 바닥면, 및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하는 벽면 중 더욱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의 부분을 절결하도록 하여 개시 (7) 가 형성되어 있다.
개시 (7) 는,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과,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하는 벽면을 구비한 예를 들어 단면 V 자의 오목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벽면이 교차하는 개시 (7) 의 골 바닥선은,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엔드 밀 본체 (1) 의 내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O) 의 근방에 도달하고 있다.
단, 개시 (7) 의 골 바닥 부분은, 실제로는 오목 원호 등의 단면 오목 곡선상으로 형성되고, 개시 (7) 의 양 벽면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절삭날부 (3) 의 선단부에는, 4 조의 외주날 (6) 의 외주 플랭크면 (5) 에 각각 연결되고, 선단 내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선단 플랭크면 (8)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선단 플랭크면 (8) 은,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에 위치하는 대략 일정 폭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2 번 면) (8a) 과, 이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보다 큰 플랭크각이 부여된 선단 제 2 플랭크면 (8b) 을 갖고 있다.
선단 제 2 플랭크면 (8b)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는, 각 선단 플랭크면 (8)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인접하는 개시 (7)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하는 상기 벽면이 교차하고 있다.
개시 (7)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과 각 개시 (7)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선단 플랭크면 (8)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의 교차 능선부에는,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이 그 축선 (O) 상에 중심 (C) 을 갖고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측으로 볼록해지는 1 개의 반구상을 이루는 바닥날 (9) 이, 외주날 (6) 의 선단에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바닥날 (9)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밀 본체 (1)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비틀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외주날 (6) 에 연결되는 이들 4 개의 바닥날 (9) 은, 모두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O) 의 근방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부 (3) 는, 축선 (O)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바닥날 (9) 중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에 위치하는 바닥날 (9) (도 3, 도 4a, 및 도 5a 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날) 이 제 1 바닥날 (9A) 로 되고, 제 1 바닥날 (9A)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바닥날 (9) (도 3, 도 4a, 및 도 5a 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날) 이 제 2 바닥날 (9B) 로 된다.
또, 제 1 바닥날 (9A) 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에 형성된 개시 (7) 는, 제 1 개시 (7A) 로 되어 있다. 제 1 개시 (7A)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제 2 바닥날 (9B) 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에 형성된 개시 (7) 는, 제 2 개시 (7B) 로 되어 있다.
제 1 개시 (7A) 에 제 1 바닥날 (9A) 을 통하여 교차하는 선단 플랭크면 (8) 은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으로 되어 있다. 제 2 개시 (7B) 에 제 2 바닥날 (9B) 을 통하여 교차하는 선단 플랭크면 (8) 은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으로 된다.
여기서,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개시 (7A) 는, 절삭날부 (3) 의 외주측으로부터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 상의 축선 (O) 을 넘어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절삭날부 (3) 에 축선 (O)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2 개의 제 1 개시 (7A) 끼리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개시 (7B) 도 동일하게, 그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에 위치하는 제 1 개시 (7A) 와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시 (7B) 는, 축선 (O) 을 넘지 않도록 축선 (O) 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됨과 함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개시 (7A) 에도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개시 (7B) 는, 그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에 인접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에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은, 상기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을 향하여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이 연장된 연장부 (8c) 와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사이에는, 연장부 (8c) 에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 (1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바닥날 (9B) 은, 그 내주단 (P) 에 있어서 오목 곡절면 (10) 에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은, 제 2 개시 (7B) 의 골 바닥 부분이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과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목 곡선을 넘는 위치까지, 그대로의 플랭크각으로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제 1 바닥날 (9A) 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후퇴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된 부분이 연장부 (8c) 로 되어 있다.
오목 곡절면 (10) 은, 연장부 (8c) 에 대하여 둔각의 개구각으로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 및 제 2 바닥날 (9B) 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융기하고 있다. 이로써, 오목 곡절면 (10) 은,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및 제 2 바닥날 (9B) 에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바닥날 (9B) 과 오목 곡절면 (10) 의 교점 (즉 제 2 바닥날 (9B) 의 상기 내주단 (P)) 과 바닥날 (9) 이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 이루는 반구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 (L) 과 그 축선 (O) 이 이루는 협각 (θ) 은, 1° ∼ 10°의 범위로 되어 있다.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연장부 (8c) 및 오목 곡절면 (10) 은,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O) 근방의 극히 작은 범위에 형성된다.
단, 도 4b 에서는 설명을 위해 바닥날 (9) 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반경이 도 4a 에 대하여 작게 도시되어 있으며, 협각 (θ) 은 반대로 크게 도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이 연장되어 연장부 (8c) 가 형성되는 것에 수반하여,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O) 상에 있어서, 2 개의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끼리도, 축선 (O) 을 넘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 2 개의 제 1 개시 (7A) 끼리의 사이에는, 이들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끼리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치즐 (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치즐 (11) 은, 정면에서 봤을 때에 2 개의 제 1 바닥날 (9A) 에 둔각으로 교차함과 함께, 축선 (O) 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볼 엔드 밀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이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연장부 (8c) 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 (8c) 와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사이에는, 연장부 (8c) 에 대하여 오목하게 곡절되어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 (10)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선 (O) 으로부터 떨어진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과 제 2 개시 (7B)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의 교차 능선부에 제 2 바닥날 (9B) 을 형성한 경우와 같이, 그 내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을 연장시키지 않고,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이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O) 상에 도달한 시점까지 형성한 채이면, 제 2 개시 (7B) 의 골 바닥 부분이 개시 지석의 둥근 부분이나 처짐에 의해 단면 오목 곡선이 된다. 따라서, 제 2 개시 (7B)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과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Q) 은,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바닥날 (9B) 의 회전 궤적이 반구상을 이루는 부분보다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그런데, 제 2 바닥날 (9B) 이 제 2 개시의 상기 벽면과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은,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 궤적으로부터 후퇴하도록 플랭크각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반대로 상기와 같이 내주단 (Q) 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도,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단 (Q) 이 바닥날 (9) 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성의 볼 엔드 밀에 있어서는,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이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연장부 (8c)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이 제 2 바닥날 (9B) 의 반구상의 회전 궤적을 이루는 부분보다 엔드 밀 회전 방향 (T)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도,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에 있어서 바닥날 (9) 이 이루는 반구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볼 엔드 밀에 의하면, 이와 같은 돌기부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에 줄무늬가 발생하여 흠집이 나서, 가공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삭 가공시에 돌기부가 파손되어 바닥날 (9) 에 말려들어가고, 이로써 바닥날 (9) 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공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볼 엔드 밀의 수명 연장을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개시 (7A) 는 엔드 밀 본체 (1) 의 내주측을 향하여 축선 (O) 을 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에 연통되는 제 1 개시 (7A) 에 의한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 포켓을 축선 (O) 의 근방에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바닥날 (9B) 보다 축선 (O) 의 근방으로 연장되게 되는 제 1 바닥날 (9A)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축선 (O) 근방에서의 절삭 부스러기 막힘에 의해, 제 1 바닥날 (9A) 에 결손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제 2 개시 (7A, 7B) 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바닥날 (9A, 9B) 의 결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에 2 개씩의 제 1, 제 2 개시 (7A, 7B) 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개시 (7A) 끼리도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4 개의 개시 (7) 전부가 연통되지 않아, 엔드 밀 본체 (1) 의 더 나은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단, 제 2 개시 (7B) 는, 축선 (O) 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제 1 개시 (7A) 와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제 2 바닥날 (9B) 은, 그 내주단 (P) 에 있어서 상기 오목 곡절면 (10) 에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에 있어서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내주단 (P) 으로부터 제 2 바닥날 (9B) 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볼 엔드 밀에 의하면, 보다 더 나은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목 곡절면 (10) 은 평면상이어도 되고, 또 요철 곡면상 등이어도 된다. 또, 오목 곡절면 (10) 은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연장부 (8c) 에 각도를 갖고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오목 곡면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과 바닥날 (9) 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 (L) 과 축선 (O) 의 협각 (θ) 이 1° ∼ 1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연장부 (8c) 및 오목 곡절면 (10) 의 크기를 어느 정도 확보하여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제 1 바닥날 (9A) 에 대한 절삭 부하가 지나치게 커져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협각 (θ) 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의 연장부 (8c) 나 오목 곡절면 (10) 도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그 한편으로, 협각 (θ) 이 상기 범위보다 크면,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P) 이 축선 (O) 으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져, 이 내주단 (P) 보다 내주측에서 제 1 바닥날 (9A) 만에 의해 절삭이 실시되는 부분이 지나치게 커진다. 따라서, 제 1 바닥날 (9A) 에 대한 절삭시의 부담도 커져 결손을 발생시키거나, 마모 등이 촉진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바닥날 (9B) 이 내주단 (P) 에 있어서 오목 곡절면 (10) 에 직접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서로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즉, 제 2 바닥날 (9B) 과 오목 곡절면 (10) 사이에 모따기부나 둥그스름한 볼록 곡부 등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2 바닥날 (9B) 의 연장선과 오목 곡절면 (10) 의 연장면의 교점과 바닥날 (9) 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 (L) 과 축선 (O) 이 이루는 협각 (θ) 이 1° ∼ 10°의 범위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 2 바닥날 (9B) 이 오목 곡절면 (10) 에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되려면, 제 2 바닥날 (9B) 또는 그 상기 연장선이, 오목 곡절면 (10) 또는 그 상기 연장면과 제 2 바닥날 (9B) 의 레이크면의 교차 능선부, 혹은 상기 오목 곡절면 (10) 또는 그 상기 연장면과 제 2 바닥날 (9B) 의 제 2 선단 플랭크면 (8B) (선단 제 1 플랭크면 (8a)) 의 교차 능선부에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추가로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가 축선 (O)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되고, 2 개씩의 제 1, 제 2 개시 (7A, 7B) 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2 개의 제 1 개시 사이에는, 제 1 선단 플랭크면 (8A) 이 교차하여 치즐 (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치즐 (11) 이 교차하는 축선 (O) 의 근방에서는, 절삭시에 그 치즐 (11) 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을 깎아내도록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면 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부에 2 개씩의 제 1, 제 2 개시 (7A, 7B) 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개시 (7)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과 제 1, 제 2 선단 플랭크면 (8A, 8B)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된 바닥날 (9) 이 전부 축선 (O) 의 근방에까지 연장된 제 1, 제 2 바닥날 (9A, 9B) 로 되어 있다.
그러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들 제 1, 제 2 바닥날 (9A, 9B) 사이에, 내주단과 상기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 (L) 이 축선 (O) 에 대하여 이루는 협각 (θ) 이 상기 범위보다 커서, 엔드 밀 본체 (1) 의 선단의 축선 (O) 근방까지 연장되지 않은, 이른바 짧은 바닥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 짧은 바닥날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에 형성되는 개시는, 그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의 후방측에 인접하는 개시 (7) 에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계 4 개의 바닥날 (9) 이 축선 (O) 의 근방에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2 개 또는 3 개의 바닥날 (9) 이 축선 (O) 의 근방에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중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바닥날 (9) 이 제 1, 제 2 바닥날 (9A, 9B) 로 되어 있거나, 혹은 5 개 이상의 바닥날 (9) 이 축선 (O) 의 근방에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중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바닥날 (9) 이 제 1, 제 2 바닥날 (9A, 9B) 로 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축선 근방에 있어서 절삭 부스러기 배출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이 축선 근방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에 의해 워크의 가공면에 줄무늬가 발생하거나, 절삭 가공시에 돌기부가 파손되어 바닥날에 말려들어감으로써 결손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수명이고 가공 정밀도가 높은 볼 엔드 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 : 엔드 밀 본체
3 : 절삭날부
4 :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6 : 외주날
7 : 개시
7A : 제 1 개시
7B : 제 2 개시
8 : 선단 플랭크면
8A : 제 1 선단 플랭크면
8B : 제 2 선단 플랭크면
8a : 선단 제 1 플랭크면
8b : 선단 제 2 플랭크면
8c : 연장부
9 : 바닥날
9A : 제 1 바닥날
9B : 제 2 바닥날
10 : 오목 곡절면
11 : 치즐
O : 엔드 밀 본체 (1) 의 축선
T : 엔드 밀 회전 방향
P : 제 2 바닥날 (9B) 의 내주단
C : 바닥날 (9) 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중심
L : 내주단 (P) 과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
θ : 직선 (L) 과 축선 (O) 이 이루는 협각

Claims (5)

  1. 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엔드 밀 본체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조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과,
    상기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내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개시를 구비하고,
    상기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과 이 벽면에 교차하는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의 선단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바닥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닥날은, 상기 축선 둘레의 회전 궤적이 그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선단측으로 볼록해지는 반구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바닥날 중 적어도 2 개의 바닥날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근방으로 연장되고,
    이들 적어도 2 개의 바닥날 중 더욱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바닥날이 형성된 2 개의 상기 개시는, 엔드 밀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개시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 상의 상기 축선을 넘어 연장됨과 함께, 엔드 밀 회전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개시가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 상의 상기 축선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대하여, 상기 2 개의 바닥날 중 제 1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1 선단 플랭크면은, 상기 제 2 개시의 엔드 밀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대하여 상기 2 개의 바닥날 중 제 2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는 제 2 선단 플랭크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와 상기 제 2 선단 플랭크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선단 플랭크면의 연장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곡절되어 연결되고,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 곡절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날이, 이 오목 곡절면에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 곡절면에 연결되어 있는 볼 엔드 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날 또는 그 연장선과 상기 오목 곡절면 또는 그 연장면의 교점과 상기 바닥날의 회전 궤적이 이루는 반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축선이 이루는 협각이 1° ∼ 10°의 범위로 되어 있는 볼 엔드 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는, 상기 축선 둘레에 180°회전 대칭 형상으로 되고,
    상기 엔드 밀 본체의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근방에는, 4 개의 상기 바닥날이 연장되고,
    이들 바닥날이 형성된 4 개의 상기 개시는,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상기 제 1, 제 2 개시로 되고,
    2 개의 상기 제 1 개시끼리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볼 엔드 밀.
  4. 제 3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제 1 개시끼리의 사이에는, 이들 제 1 개시에 상기 제 1 바닥날을 통하여 교차하고 있는 상기 제 1 선단 플랭크면끼리가 교차하는 치즐이 형성되어 있는 볼 엔드 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은, 축선 방향에서 본 정면에서 봤을 때, 2 개의 상기 제 1 바닥날에 둔각으로 교차함과 함께,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볼 엔드 밀.
KR1020167003501A 2013-10-23 2014-10-23 볼 엔드 밀 KR20160074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0639A JP5984777B2 (ja) 2013-10-23 2013-10-23 ボールエンドミル
JPJP-P-2013-220639 2013-10-23
PCT/JP2014/078235 WO2015060392A1 (ja) 2013-10-23 2014-10-23 ボールエンドミ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451A true KR20160074451A (ko) 2016-06-28

Family

ID=5299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501A KR20160074451A (ko) 2013-10-23 2014-10-23 볼 엔드 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49611B2 (ko)
EP (1) EP3061551B1 (ko)
JP (1) JP5984777B2 (ko)
KR (1) KR20160074451A (ko)
CN (1) CN105473264B (ko)
ES (1) ES2763840T3 (ko)
WO (1) WO2015060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128B2 (en) * 2012-11-14 2014-10-14 Iscar, Ltd. Corner radius end mill
JP6343906B2 (ja) * 2013-10-24 2018-06-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US10160046B2 (en) * 2014-10-28 2018-12-25 Mitsubishi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Multi-flute ball end mill
US10220451B2 (en) * 2014-11-27 2019-03-05 Kyocera Corporation End mi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IL249676B (en) 2016-12-20 2021-08-31 Hanita Metal Works Ltd An end mill with differently rotated slot profiles
WO2018123428A1 (ja) 2016-12-26 2018-07-05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エンドミル
KR102164730B1 (ko) * 2017-03-13 2020-10-13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볼 엔드 밀
JP6894506B2 (ja) * 2017-05-30 2021-06-30 京セラ株式会社 エンドミル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WO2019003965A1 (ja) * 2017-06-30 2019-01-03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US11137008B2 (en) 2018-01-12 2021-10-05 Illinois Tool Works Inc. Self-drilling anchor assembly
USD886169S1 (en) * 2019-01-09 2020-06-02 Illinois Tool Works Inc. Anchor assembly drill bit
USD886171S1 (en) * 2019-01-09 2020-06-02 Illinois Tool Works Inc. Anchor assembly drill bit
USD886168S1 (en) * 2019-01-09 2020-06-02 Illinois Tool Works Inc. Anchor assembly drill bit
USD886170S1 (en) * 2019-01-09 2020-06-02 Illinois Tool Works Inc. Anchor assembly drill bit
USD886172S1 (en) * 2019-01-09 2020-06-02 Illinois Tool Works Inc. Anchor assembly drill bit
CN110587005B (zh) * 2019-09-24 2020-12-1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带二级导屑槽的变曲率渐开刃型可转位立铣刀
US11865629B2 (en) 2021-11-04 2024-01-09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with high ramp angle capability
JP2023137858A (ja) * 2022-03-18 2023-09-29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611A (ja) 1996-10-30 1998-05-19 U F Tool:Kk ボールエンドミル
JP3840661B2 (ja) 2003-06-27 2006-11-01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212A (ja) * 1997-12-05 1999-06-22 Hitachi Tool Eng Ltd ソリッドボ−ルエンドミル
JP4409665B2 (ja) * 1999-07-16 2010-02-03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流体供給穴付きエンドミル
JP3581115B2 (ja) 2001-07-30 2004-10-27 三菱マテリアル神戸ツールズ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及び該ボールエンドミルを用いた加工方法
JP4313579B2 (ja) * 2003-01-22 2009-08-12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スクエアエンドミル
JP4561054B2 (ja) * 2003-08-21 2010-10-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DE102005043841B4 (de) * 2005-09-13 2009-01-22 Franken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Radiusfräser, insbesondere Kugel- oder Torusfräser, mit Querschneide und/oder Abflachung
DE102006026853A1 (de) * 2006-06-09 2007-12-13 Franken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Spanabhebendes Werkzeug
JP4809306B2 (ja) * 2007-08-31 2011-11-09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JP5239963B2 (ja) * 2009-03-16 2013-07-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JP5499589B2 (ja) * 2009-09-14 2014-05-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US20110085862A1 (en) * 2009-10-10 2011-04-14 William Allen Shaffer End mill grooved chip breaker flute
SE535282C2 (sv) * 2010-08-27 2012-06-1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 med radieparti, verktyg och anordning för fräsning
US9682434B2 (en) * 2011-09-26 2017-06-20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for cutting a ninety-degree shoulder in a workpiece
JP5846098B2 (ja) * 2012-02-07 2016-01-20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多刃ボールエンドミル
JP5799875B2 (ja) * 2012-03-29 2015-10-2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JP5842708B2 (ja) * 2012-03-29 2016-01-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US9993883B2 (en) * 2013-08-06 2018-06-12 Mitsubishi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Multi-flute ball end mi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611A (ja) 1996-10-30 1998-05-19 U F Tool:Kk ボールエンドミル
JP3840661B2 (ja) 2003-06-27 2006-11-01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80840A (ja) 2015-04-27
EP3061551B1 (en) 2019-12-04
US20160303664A1 (en) 2016-10-20
JP5984777B2 (ja) 2016-09-06
WO2015060392A1 (ja) 2015-04-30
CN105473264B (zh) 2017-06-09
CN105473264A (zh) 2016-04-06
EP3061551A4 (en) 2017-06-07
ES2763840T3 (es) 2020-06-01
EP3061551A1 (en) 2016-08-31
US10449611B2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4451A (ko) 볼 엔드 밀
JP5266813B2 (ja) エンドミル
JP5447021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5799875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WO2013137021A1 (ja) クーラント穴付きボールエンドミル
JP5239963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1189463A (ja) エンドミル
US10940553B2 (en) Screw thread cutter
JP4677722B2 (ja) 3枚刃ボールエンドミル
JP6343906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5470796B2 (ja) 総形カッタ
JP5958614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7075993A (ja) ラジアスカッタ、特にボールカッタまたは環状カッタ
JP5849817B2 (ja) スクエアエンドミル
JP2006015418A (ja) 縦送り加工用エンドミル
JP6825400B2 (ja) テーパボールエンドミル
JP5402575B2 (ja) エンドミル
JP4848928B2 (ja) エンドミル
JP2022016103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6930404B2 (ja) エンドミル
JP7409244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6028841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6015419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WO2023132056A1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5515327B2 (ja) 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