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524A -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 Google Patents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524A
KR20160069524A KR1020167015295A KR20167015295A KR20160069524A KR 20160069524 A KR20160069524 A KR 20160069524A KR 1020167015295 A KR1020167015295 A KR 1020167015295A KR 20167015295 A KR20167015295 A KR 20167015295A KR 20160069524 A KR20160069524 A KR 20160069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carrier body
adhesive
temperature
embos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969B1 (ko
Inventor
올리페르 에스페
롤프 에스페
Original Assignee
휙 라이니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휙 라이니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휙 라이니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6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들, 특히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을 엠보싱(emboss)하기 위한 프레스 압판(1) 또는 순환 벨트에 관한 것이다. 재료의 제조 비용 및 사용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캐리어 몸체(10) 및 엠보싱 몸체(11)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몸체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며, 상기 몸체들은 자기 접착제 및/또는 금속 접착제를 통해서 견고하고 평탄한 방식으로 함께 연결된다. 금속 접착제, 예로서 마그네틱 필름 또는 마그네틱 재료, 경질 땜납 또는 연질 땜납 또는 땜납 페이스 형태로 선택한 결과로 인하여, 임의의 시간에 제거가능하게 상호결합된 방식으로 연결을 파괴할 수 있고 따라서 엠보싱 몸체(11)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PRESS PLATEN OR ENDLESS BELT HAVING A SANDWICH-TYPE STRUCTURE}
본 발명은 표면 구조화에 의해서 엠보싱 재료, 특히 목재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프레스 압판(press platen) 또는 순환 벨트 및 본 발명에 대해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은 목재판을 장식 용지(decor paper) 및/또는 덮개 용지(overlay paper)로 가압하는데 필요하다. 목재판들의 전체 표면은 여기서는 소위 열경화성 수지로 칭하는 아미노플라스트 수지(aminoplast resin)로 코팅되어 있다. 처리공정은 예로서 단일의 한낮 짧은 주기 프레스, 다중의 한낮 프레스 또는 이중 벨트 프레스에서 행해진다. 복잡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은 원하는 표면 구조를 갖도록 제조되어야 하는 목재 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스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는 등재된 엠보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는 할당된 장식 용지가 정렬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와 함께 사용되므로, 장식 용지의 구조는 표면 안으로 엠보싱될 때 신뢰성있게 기립될 수 있다. 이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구조는 자연스러운 본래구조, 예로서 목재 구멍 구조 또는 석재 표면의 모재품을 가질 수 있다. 소비자 요구에 따라서 임의의 원하는 구조들을 제조하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장식 용지 및 덮개 용지는 열경화성 수지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프레스 시스템에서 압력 및 온도로 인하여 액체 형태로 변이되고 상승하는 레벨의 가교 결합으로 목재 재료와 견고한 접합부를 형성하고 최종 상태에서 수지 점도가 동시에 증가한다. 특히 적당한 것으로 판정된 멜라민 수지들, 페놀 수지들 및 멜라민/요소 수지(urea resin)들은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들 중에 있다. 멜라민 수지는 프레스 공정 중에 압력 및 열에 의해서 액화되고 추가로 중축합이 발생된다. 프레스 시간 및 온도는 멜라민 수지의 가교 결합 정도 및 그 표면 품질을 결정한다. 프레스 주기가 종료한 후에, 멜라민 수지는 원하는 정도의 가교결합을 가지며 고체 위상으로 변이되고; 엠보싱 공구의 표면을 재제조하는 실제 표면 디자인은 멜라민 수지 표면의 동시 구조화 엠보싱을 통해서 얻어진다.
종래 기술에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형태의 엠보싱 공구들은 시트 강철로 제조되고; 이들 공구들은 적당한 처리 공정을 통해서 필요한 표면 구조를 얻는다. 이에 대해서는 프레스의 차후 에칭이 실행될 수 있도록 스크린-인쇄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예로서 에칭 레지스트의 생성과 같은 상이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플레이트들은 매우 큰 포맷을 가지고, 따라서 처리공정이 매우 정확하고, 특히 다른 작업 단계들이 요구되면 추가로 정렬된 처리공정이 중요하다. 항상 여러 작업 단계들이 있고 특히 깊은 구조들은 에칭되어야 하고 이에 대해서 여러 에칭 동작들은 미리 적용된 에칭 레지스트와 함께 요구된다. 차후에 표면 구조의 기립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첩되는 모든 영역들은 에칭 공정들에서 마스크에 의해서 커버되므로, 상기 표면은 에칭 유체에 의해서 직접 부식될 수 있는 영역들에서 단지 에칭만될 것이다. 에칭 아웃 영역들(etched-out areas)은 그때 원하는 구조의 프로파일 계곡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은 세정되고 특히 상기 마스크는 에칭 공정의 종료 후에 제거된다.
대안으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을 포토층의 차후 현상 후에 에칭 공정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차후에 광에 노출되는 포토층을 도포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상기 포토층의 일부는 에칭 레지스트로서 잔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마스크를 재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문제가 많은데, 이는 도포되는 에칭 레지스트 층들이 특히 깊은 구조들이 에칭될 때 항상 동일 위치에서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크린 인쇄 공정 대신에, 디지털 인쇄 공정의 도움으로 처리될 프레스 압판 및 순환 벨트들 상으로 직접 인쇄되는, 왁스 또는 대안으로 UV 락커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는 에칭 후에, 디지털화된 인쇄 공정의 사용으로 인하여 고도로 정렬되는, 특히 깊은 구조들이 여기에 생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다른 대안은 레이저 공정의 도움으로 표면 상에 필요한 구조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며; 제조되는 깊은 구조는 레이저의 도움으로 직접 생성된다. 레이저는 또한 이 방법으로 디지털 인쇄 기법의 도움으로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은 완료된 후에는 장식 용지와 100% 정합된다. 장식 용지와의 필요한 프레스 압판 구조들의 정합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레벨은 최근에 계발되는 표면 구조화를 위한 공정으로만 달성된다.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이 완료된 후에, 특수한 효과들을 얻기 위해, 예로서 광택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추가 처리 단계들을 거칠 수 있다. 제공된 광택도는 매트 또는 실크 매트가 빛나는 범위일 수 있고; 목재판들은 이로 인하여 자연적으로 성장한 목재에 매우 근접한 광택 효과를 갖는 바람직한 표면 구조를 갖는다. 목재 기공 구조들은 이들 방법들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매력적인 표면 디자인들도 마찬가지로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가죽, 타일 또는 천연 석재 표면들이 모방될 수 있다. 임의의 상상가능한 구조가 이 방법에 의해서 생산될 수 있다.
덮개 용지는 내연마성 입자들, 예로서 강옥(corundum)으로 도핑될 수 있어서, 최종 소비자는 예로서 벽 영역 및 바닥 영역에서 제조된 목재판의 계획된 사용에 따라서 고도의 내마모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내마모성은 사용되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한다. 모든 프레스 동작 및 프레스의 개방 후에, 가압된 표면을 갖는 가공된 목재 재료와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사이의 상대 운동이 있으므로, 표면 구조는 점진적으로 마모된다. 그러한 유형의 경우에는 프레스 압판을 완전히 재가공하거나 또는 신규 프레스 압판으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레스 압판들은 예로서 HDF 플레이트들(고밀도 섬유판)에 대해서 코팅을 위하여 비교적 짧은 사용 주기 후에 이미 재조정되어야 하고 바닥 덮개들은 적층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멜라민 수지 필름들에서 사용되는 강옥의 큰 비율 때문이고, 이는 크롬 전기도금된 표면들이 비교적 빨리 마모되는 이유이다. 프레스 압판의 제조는 매우 복잡하고 비용집약적이며; 서비스 수명의 종료시에는 이들을 수집할 계획이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블랭크(blank)에 먼저 무-지향성(direction-free)의, 중간 마무리가 제공되고 신규 구조화가 발생하기 전에 표면 구조화에 앞서 추가로 폴리싱되어야 하므로, 프레스 압판들 또는 순환 벨트들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더 이상 수차례의 재가공 후에 필요한 치수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예로서 기존의 에칭 방법에 따른 복잡한 구조 생성, 에칭 레지시트 적용, 염화 3가 철에 의한 에칭, 예로서 샌드블라스팅을 통한 광택도 생성, 예로서 및 차후 표면 밀봉, 예로서 크롬 전기도금 또는 대안으로 레이저 인쇄의 도움에 의한 구조의 생성 등이 있다. 유사하게, 프레스 압판 표면은 기계적 손상이 있을 때, 대체로 완전히 연마 및 재가공되어야 한다. 이는 비교적 고가의 기재 프레스 압판들만이 작동 상태로 잔류하고 재조절을 위한 4 내지 6 번 문질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는 그 두께의 결과로서 너무 불안정하고 프레스 시스템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들과 비교할 때 캐리어 플레이트들의 경제적인 제조 및 긴 사용 수명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의 한낮 프레스 또는 다중의 한낮 프레스 또는 이중 벨트 프레스에 대한 신규 유형의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를 제안하는 문제점에 기초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착제를 통하여 표면 구조화를 갖는 엠보싱 몸체에 결합되는 캐리어 몸체를 직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디자인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를 통하여 엠보싱 몸체에 결합되는 캐리어 몸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하며, 단지 상기 엠보싱 몸체만이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를 형성하고 표면 구조화가 주어지는 기재 재료를 가지며 이전 방법과 대치되는 표면 구조화를 가진다. 엠보싱 몸체는 결과적으로 캐리어 몸체와는 독립적으로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것이 단일의 한낮 프레스 또는 다중의 한낮 프레스에 대해서 계획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접착제를 통해서 캐리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표면 구조화부가 마모된 후에는, 차후에 캐리어 몸체로부터 엠보싱 몸체를 제거하고 신규 엠보싱 몸체로 교체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연계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재료의 양은 상당히 감소되는데, 이는 캐리어 몸체가 다시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고 엠보싱 몸체의 형태에서 매우 얇은 층만이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스테인레스 강, 예로서 AISI No. 630, AISI 410 또는 AISI 304 또는 황동으로 구성된 캐리어 몸체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먼저 이를 위해 준비된다. 에칭 기술 또는 디지털 레이저 식각에 의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맞춤식 표면 구조화 대신에, 상기 엠보싱 몸체는 즉 상기 캐리어 몸체와는 독립적으로 표면 구조화부를 갖도록 제조된다. 그후에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상기 엠보싱 몸체는 전체 표면에 걸쳐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접착제의 도움으로 견고하면서 제거가능하게 상호결합된 방식으로 접착되므로, 샌드위치 구조가 형성된다. 이 샌드위치 구조는 재조정(reconditioning)을 차후에 행할 때 고가의 캐리어 몸체는 잔류하고 단지 엠보싱 몸체만이 교체되어야 하는 특수한 장점을 가진다. 생산 비용 및 미가공 비용은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상당한 정도로 절감된다. 또한, 캐리어 몸체보다 실질적으로 더욱 얇고 더욱 저렴한 엠보싱 몸체는 이미 사전제작되어서 각자의 소비자를 위하여 축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시간이 절약되고 전달 시간도 상당한 정도로 단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리어 몸체가 적어도 매끄럽거나 또는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샌드위치 형태의 프레스 압판은 예로서 매끄러운 표면을 엠보싱하면서 마찬가지로 구조화된 표면을 엠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접근 방안은 소비자 취향에 따라서 좌우되며; 양자 유형의 엠보싱은 샌드위치 구조의 도움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매끄러운 엠보싱 몸체들도 역시 서비스 수명 중에 불순물들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고 따라서 작동 불능이 되는 배경이 있다. 그러나, 동일한 캐리어 몸체는 엠보싱 몸체의 교체로 인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장점으로 유도한다.
대안으로, 상기 접착제는 땜납, 예로서 금 땜납, 주석 땜납, 은 땜납, 백금 땜납, 황동 땜납, 인 땜납 또는 안티몬, 납,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 함유 땜납,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상기 엠보싱 몸체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호하게는, 전체 표면 위에 배열되는 땜납 페이스트 또는 유사한 유형의 땜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몸체와 엠보싱 몸체 사이의 제거가능하게 상호결합된 접합은 땜납의 도움으로 가능해지며; 사용되는 땜납에 관한 특수한 장점은 우수한 열 전도체이고 열은 결과적으로 중축합(polycondensation)을 통해서 덮개 용지를 목재 재료에 결합하기 위하여 프레스 동작 중에 재료 플레이트들의 표면에 직접 전도될 수 있다. 추가로, 땜납 포일의 사용을 통해서 캐리어 몸체를 엠보싱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결합시킬 가능성이 있고; 캐리어 몸체와 엠보싱 몸체의 약간의 분리는 사용되는 땜납의 용융점 위로 양자의 몸체들을 가열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땜납이 포일 형태로 사용되면, 작은 층의 두께 만이 있고, 또한 프레스를 위하여 작용하는 힘이 단지 필요한 열과 같이 처리될 재료에 신뢰성있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보장한다.
이에 대해서 먼저, 캐리어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양호하게는, 알루미늄, 니켈, 아연,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 강, 예로서 AISI No. 630, AISI 410 또는 AISI 304로 제조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엠보싱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그네틱 재료로 제조되고, 두께는 구조적 깊이에 따라 양호하게는, 0.3 내지 3.0mm, 특히 양호하게는, 0.3 내지 1.5mm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금속 분말, 예로서 구리, 황동, 알루미늄 또는 철로 도핑되어서 본 발명에 대해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열전달 계수를 증가시키고; 재료 플레이트들의 가열은 단일 한낮 또는 다중 한낮 프레스들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는 250℃까지의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예로서 재료 플레이트들을 제조하는데 발생하는 약 220℃의 온도에서 엠보싱 몸체의 조기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그러나, 접착제는 250℃ 초과의 온도에서 어닐링되므로, 엠보싱 몸체는 캐리어 몸체로부터 추가 조치 없이도 분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접착제가 마그네틱 재료로 제조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접착제는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가 모두 스틸로 제조되어서 결과적으로 자기 특성을 가질 때 항상 적합할 수 있다. 내고온성을 갖는 마그네틱 포일은 예로서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로서 두 몸체들 사이의 연장된 견고한 접합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마그네틱 포일이 사용되면, 가교결합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예로서 내고온성을 갖는 마그네틱 재료들의 첨가제들, 예로서 사마륨(samarium)/코발트, 알루미늄/니켈/코발트, 니오디뮴(neodymium)/철/붕소, 바륨 또는 스트론튬 페라이트(strontium ferrite)들 또는 망간/아연 화합물의 형태인 소프트 페라이트(soft ferrite)들과 함께 사용된다. 상술한 영구 자석 재료들 모두는 약 220℃의 기존의 작동 온도에서 약 15% 내지 20%의 매우 작은 양의 유지력만을 손실한다. 마그네틱 재료들의 몫은 각각의 경우에 재료들의 원하는 유지력에서 엠보싱 몸체의 각자의 작동 온도 및 전체 하중에서 유지력의 손실량을 차감한 것에 따라서 좌우된다. 이러한 제한사항들을 임의의 문제 없이 고려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 사이의 영구적이고 제거가능하게 상호결합된 접합이 마그네틱 포일의 도움으로 이미 생성될 수 있다. 동시에, 마그네틱 포일은 잔여량 없이도 서로로부터 두 몸체들을 분리시킬 가능성을 제공하고, 따라서 엠보싱 몸체는 마모될 때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 예로서 에칭 기술 또는 레이저 식각 기술은 엠보싱 몸체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몸체들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과적으로 덜 복잡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은 표면 구조화를 위하여 스틸 실린더 상의 얇은 시트 금속의 부재 또는 금속 포일 형태로 엠보싱 몸체를 설치하는 것이며, 스틸 실린더는 프레스 압판의 최대 폭에 적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엠보싱 몸체는 상기 엠보싱 몸체를 완성하고 스틸 실린더를 제거한 후에 캐리어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만약 금속 포일 또는 얇은 시트 금속 또는 다른 재료들의 부재들, 예로서 스틸 또는 황동이 사용되면, 이들은 스틸 실린더 상에 설치될 수 있고 그때 대응하게 식각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단계들은 표면 구조화가 마무리될 때까지 행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되는 얇은 시트 금속의 부재들 또는 금속 포일들은 그후 캐리어 몸체의 크기로 컷팅되어 그에 결합되므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는 추가 용도를 위하여 사용가능하다.
대안으로, 대략 100㎛의 밸러드 쉘(Ballard shell)을 구리 기재층 상에 전기도금할 가능성이 있으며; 기재층 및 밸러드 쉘 사이에는 분리층이 배열될 수 있으므로, 차후에 밸러드 쉘을 제거할 수 있다. 그라비어 실린더(gravure cylinder) 상의 제거형 구리층은 그라비어 인쇄에서 밸러드 쉘로 칭한다. 스틸로 제조된 그라비어 실린더는 제 2 구리층, 소위 밸러드 쉘이 전기도금되는 약 2mm 두께를 갖는 기재 구리층을 덮는다. 분리층은 100㎛의 밸러드 쉘과 기재 몸체 사이에 있으므로, 밸러드 쉘은 식각 후에 단순하게 제거될 수 있고 신규로 교체될 수 있다. 구리층이 전기도금된 후에 폴리싱되고 표면 구조화는 예로서 레이저에 의해서 행해진다. 완료된 식각 표면은 차후에 크롬층으로 전기도금되어서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고; 예로서 광택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개별 경우에 추가 처리 단계들이 행해질 수 있다. 밸러드 쉘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체로 스틸 실린더의 일 단부가 개방되고 그때 집게로 당겨져서 제거된다. 스틸 실린더 자체는 다른 생산 운영을 위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몸체에 대해서는 금속, 예로서 AISI No. 630, AISI 410 또는 AISI 304와 같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황동 시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엠보싱 몸체는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두께는 필요한 구조적 깊이에 따라 양호하게는, 0.3 내지 3.0mm, 특히 양호하게는, 0.3 내지 1.5mm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신규로 디자인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중요한 장점들은 여기서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의 차후 분리와 연계되고; 상기 엠보싱 몸체는 캐리어 몸체 보다 상당히 크게 마모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몸체는 여러 번 사용될 수 있고 계속해서 다시 새롭게 엠보싱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경질 땜납 또는 연질 땜납 또는 땜납 페이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원하는 장점들을 얻기 위하여, 마그네틱 재료의 도움으로, 특히 마그네틱 접착제 포일의 도움으로 접합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의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문제점에 기초한다. 재료들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재료들, 특히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를 제조하는 것은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의 도움으로 행해지며,
- 상기 엠보싱 몸체에는 에칭 공정, 롤링 공정, 프레스 공정 또는 레이저 식각 공정을 통해서 표면 구조화가 제공되고,
- 상기 캐리어 몸체 및/또는 상기 엠보싱 몸체에는 접착제가 공급되고
-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들의 양자 모두는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본 방법은 예외적으로 경제적 효율성으로 자체적으로 구별되고, 또한 캐리어 몸체의 여러번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캐리어 몸체는 거의 마모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얇은 금속 포일 또는 얇은 시트 금속 형태의 엠보싱 몸체들은 캐리어 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 몸체들의 단지 소량의 재조절만이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상당한 처리 시간을 감축할 수 있고 또한 표면 구조화에 의해서, 특히 처리될 재료들, 예로서 덮개 용지 및 장식 용지를 갖는 목재 재료가 엠보싱 몸체들의 마모를 유발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얇은 시트 금속 또는 금속 포일의 사용을 통해서 상당한 양의 잠재적인 절감이 이루어진다. 캐리어 몸체 및 엠보싱 몸체의 제거가능하게 상호 결합을 통하여 특수한 장점들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다른 장점은 캐리어 몸체에 대해서 고품질 금속들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과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을 상당한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필요한 표면 구조화를 실행할 수 있는 고품질의 스테인레스 강은 이전에는 필요했다. 그러나, 표면 구조화는 단지 엠보싱 몸체의 표면 상에서만 발생하므로, 그러한 고려는 더 이상 주어지지 않는다.
매끄러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표면을 가짐으로써 자체적으로 구별되는 재료 플레이트들은 상기 공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공정 특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2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다시 기술된다.
도 1은 목재 기공 구조를 갖는 제조된 프레스 압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프레스 압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은 도시된 예에서 평탄하게 되도록 디자인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압판(1)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그러나, 이 엠보싱 공구는 또한 순환 벨트의 경우에 곡선이 되도록 디자인된다. 프레스 압판(1)은 예로서 목재 기공 구조의 형태에서 복제되는 입자(2)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서 다른 종류의 입자 또는 상기 유형의 다른 표면도 생성될 수 있고 그에 대해서 에칭 또는 레이저 공정이 필요하다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도 2는 프레스 압판(1)의 전방 에지 영역의 일부 및 그 위의 표면 구조화부를 확대 측면도로 도시한다. 특히 도 2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압판(1)은 캐리어 몸체(10), 엠보싱 몸체(11) 및 접착제(12)로 구성된다. 접착제(12)는 캐리어 몸체(10)로부터 엠보싱 몸체(11)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캐리어 몸체(10)는 결과적으로 다시 재사용될 수 있고, 마모된 엠보싱 몸체(11)는 대조적으로 교체된다. 엠보싱 몸체(11) 상의 표면 구조화부(13)는 예로서 공지된 에칭 기술들 또는 레이저 식각의 도움으로 생성되고; 0.3 내지 3mm, 양호하게는 0.3 내지 1.5mm의 엠보싱 몸체의 층 두께가 사용된다. 엠보싱 몸체(11)를 제조하기 위하여, 에칭 기술 또는 레이저 식각 공정을 통해서 표면 구조화부(13)를 생산하기 위하여 스틸 실린더 상에 엠보싱 몸체를 장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엠보싱 몸체(11)의 제조 및 크롬 전기도금과 같은 부가 처리, 광택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단계들 후에, 엠보싱 몸체는 접착층(12)의 도움으로 캐리어 몸체(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의 특수 장점은 고품질의 금속들이 캐리어 몸체(10)에 대해서 거의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상당한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필요한 표면 구조화부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고품질의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은 예전에 필요하였다. 그러나 엠보싱 몸체의 표면 상에 단지 표면 구조화만이 발생하기 때문에 더이상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1. 프레스 압판
2. 입자
10. 캐리어 몸체
11. 엠보싱 몸체
12. 접착제
13. 표면 구조화부

Claims (11)

  1. 접착제(12)를 통해서 엠보싱 몸체(11)에 결합되는 캐리어 몸체(10)로 이루어지며,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을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표면 구조화부에 의해서 엠보싱(emboss)하기 위한 엠보싱 공구로서,
    상기 캐리어 몸체(10)는 상기 엠보싱 몸체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며 함께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고,
    스틸로 제조된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경우에, 상기 접착제(12)는 내고온성을 가지는 마그네틱 포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틱 포일은 220℃ 까지의 작동 온도 및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 연장된 접합을 보장하며,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상기 엠보싱 몸체를 잔여량 없이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는 250℃의 온도까지 이용될 수 있는 금속분말로 도핑되는 내고온 성이 있고, 250℃의 온도까지 어닐링되고, 분리를 위해 250℃ 초과의 온도로 어닐링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12)는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서 전체 표면 위에 배열되는 포일 형태의 땜납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포일은 내고온성을 갖는 마그네틱 재료들이 첨가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고온성을 갖는 마그네틱 재료들의 첨가제들은 사마륨(samarium)/코발트, 알루미늄/니켈/코발트, 니오디뮴(neodymium)/철/붕소, 바륨 또는 스트론튬 페라이트(barium strontium ferrite) 또는 망간/아연 화합물의 형태인 소프트 페라이트(soft ferr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몸체(11)는 제거가능한 구리층의 형태로의 밸러드 쉘(Ballard shel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드 쉘은 표면 구조화부를 위한 스틸 실린더 상에 장착된 금속 포일 또는 얇은 시트 금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틸 실린더의 직경은 프레스 압판(1)의 최대 폭에 적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6. 제 4 항에 있어서, 100㎛의 상기 밸러드 쉘은 구리 기재층 상에 전기도금되며, 분리층은 상기 2개의 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몸체(10)는 스테인레스 강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몸체(11)는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 몸체의 두께는 구조적 깊이에 따라 0.3 내지 3.0㎜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표면 구조화부는 상기 캐리어 몸체(10)에 결합되기 전에 수행되며,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표면 구조화부는 에칭 공정 또는 레이저 식각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
  9. 캐리어 몸체(10) 및 엠보싱 몸체(11)를 포함하는,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을 엠보싱하기 위한 엠보싱 공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엠보싱 몸체(11)는 제거가능하며 에칭 공정, 롤링 공정, 프레스 공정 또는 레이저 식각 공정에 의해서 표면 구조화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를 접착제(12)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스틸로 제조된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경우에, 상기 접착제(12)는 220℃의 작동 온도까지 내고온성을 가지는 마그네틱 포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틱 포일은 220℃까지의 작동 온도,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 연장된 접합을 보장하며,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상기 엠보싱 몸체를 잔여량없이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는 250℃의 온도까지 이용될 수 있는 금속분말로 도핑되는 내고온 성이 있고, 250℃의 온도까지 어닐링되고, 분리를 위해 250℃ 초과의 온도로 어닐링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12)는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서 전체 표면 위에 배열되는 포일 형태의 땜납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몸체(11)는 표면 구조화부를 위하여 금속 실린더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전기도금되고 상기 금속 실린더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기 캐리어 몸체(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공구의 제조 방법.
  11. 접착제를 통해서 제거가능한 엠보싱 몸체(11)에 상호결합된 캐리어 몸체(10) 로 이루어지는 엠보싱 공구에 의해 엠보싱된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스틸로 제조된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의 경우에, 상기 접착제(12)는 내고온성을 가지는 마그네틱 포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틱 포일은 220℃ 까지의 작동 온도 및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 연장된 접합을 보장하며, 상기 캐리어 몸체 및 상기 엠보싱 몸체를 잔여량없이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는 250℃의 온도까지 이용될 수 있는 금속분말로 도핑되는 내고온 성이 있고, 250℃의 온도까지 어닐링되고, 분리를 위해 250℃ 초과의 온도로 어닐링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12)는 상기 캐리어 몸체(10) 및 상기 엠보싱 몸체(11) 사이에서 전체 표면 위에 배열되는 포일 형태의 땜납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된 목재 재료들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의 제조 방법.
KR1020167015295A 2011-06-29 2012-06-26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KR101742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5298.2 2011-06-29
EP11005298.2A EP2540487B1 (de) 2011-06-29 2011-06-29 Pressblech oder Endlosband mit einer Struktur in Sandwichbauwei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Pressbleches oder Endlosband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geprägter Werkstoffe mittels eines solchen Pressbleches oder Endlosbandes
PCT/EP2012/002684 WO2013000563A1 (de) 2011-06-29 2012-06-26 Pressblech oder endlosband mit einer struktur in sandwichbauwei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695A Division KR20140012762A (ko) 2011-06-29 2012-06-26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524A true KR20160069524A (ko) 2016-06-16
KR101742969B1 KR101742969B1 (ko) 2017-06-02

Family

ID=46651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695A KR20140012762A (ko) 2011-06-29 2012-06-26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KR1020167015295A KR101742969B1 (ko) 2011-06-29 2012-06-26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695A KR20140012762A (ko) 2011-06-29 2012-06-26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610748B2 (ko)
EP (1) EP2540487B1 (ko)
JP (1) JP6102920B2 (ko)
KR (2) KR20140012762A (ko)
CN (1) CN103619576B (ko)
AU (1) AU2012278277B2 (ko)
BR (1) BR112013030196A2 (ko)
CA (1) CA2840544C (ko)
CL (1) CL2013003726A1 (ko)
ES (1) ES2550955T3 (ko)
PL (1) PL2540487T3 (ko)
RU (1) RU2626707C2 (ko)
WO (1) WO2013000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6514A1 (de) * 2018-12-12 2020-06-17 Flooring Technologies Ltd. Pressblech zum erzeugen tiefer strukturen
CN110682579A (zh) * 2019-11-10 2020-01-14 衡阳和富铜业有限公司 一种黄铜加工用废料存储设备
DE102022125370B3 (de) 2022-09-30 2024-01-11 Hueck Rheinisch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werkzeuges, Presswerk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erkstoffplatte mit einem Presswerkzeu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587A (en) * 1966-08-04 1970-10-06 Esso Research & Chem Co Press plate
SU718303A1 (ru) * 1978-04-10 1980-02-29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086 Установка дл нанесени рельефного орнамента
JPS56169036A (en) * 1980-05-31 1981-12-25 Dainippo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embossing roll
DE3834993A1 (de) * 1988-10-14 1990-04-19 Held K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laminaten
JPH03219441A (ja) * 1990-01-24 1991-09-26 Canon Inc 長尺スタンパー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0309773A (ja) * 1998-11-30 2000-11-07 Nippon Handa Kk 導電性接着剤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接着方法
AT504185B1 (de) * 2003-07-03 2009-06-15 Oeb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ruckplatte
US8932632B2 (en) * 2003-10-21 2015-01-13 Ppg Industries Ohio, Inc. Adhesives and sealants nanotechnology
JP4635569B2 (ja) * 2004-11-05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ロール金型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金型
BE1016613A3 (nl) * 2005-06-06 2007-02-06 Flooring Ind Ltd Werkwijze, inrichting en accessoires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JPWO2007049530A1 (ja) * 2005-10-24 2009-04-30 Scivax株式会社 型保持具、加工対象物保持具、微細加工装置および型取付方法
TWI322927B (en) * 2006-05-24 2010-04-01 Ind Tech Res Inst Roller module for microstructure thin film imprint
JP2008110496A (ja) * 2006-10-27 2008-05-15 Daiso Co Ltd 装飾層構造の成形方法および装飾板の製造方法
DE102007062123A1 (de) * 2007-12-21 2009-06-25 Giesecke & Devrient Gmbh Werkzeugform zum Erzeugen einer Mikrostruktur
JP5511313B2 (ja) * 2008-11-07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成形用金型、光学素子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DE102009051311A1 (de) * 2009-10-29 2011-05-12 Okt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blech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essblechanordnung sowie Pressblechanordnung
DE202009014669U1 (de) * 2009-10-30 2010-01-21 Hueck Rheinische Gmbh Werkstoffplatte mit Dekorschicht und Prä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969B1 (ko) 2017-06-02
BR112013030196A2 (pt) 2016-12-06
JP2014522745A (ja) 2014-09-08
CA2840544C (en) 2019-02-12
CL2013003726A1 (es) 2014-12-19
PL2540487T3 (pl) 2015-12-31
CA2840544A1 (en) 2013-01-03
WO2013000563A1 (de) 2013-01-03
US9610748B2 (en) 2017-04-04
RU2013155916A (ru) 2015-08-10
NZ617619A (en) 2016-01-29
EP2540487B1 (de) 2015-08-26
JP6102920B2 (ja) 2017-03-29
KR20140012762A (ko) 2014-02-03
AU2012278277B2 (en) 2016-03-03
CN103619576A (zh) 2014-03-05
CN103619576B (zh) 2016-08-17
ES2550955T3 (es) 2015-11-13
RU2626707C2 (ru) 2017-07-31
US20140099395A1 (en) 2014-04-10
EP2540487A1 (de)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829B2 (en) Transaction and ID cards having selected texture and coloring
KR101346812B1 (ko) 금속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2969B1 (ko)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프레스 압판 또는 순환 벨트
JP6510208B2 (ja) 加飾パネル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US20220024169A1 (en) Press platen for creating deep structures
JP6801966B2 (ja) 装飾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9412B1 (ko) 금속카드 및 금속카드 제조방법
TW478995B (en) Method of polishing stainless steel laminate press plates to a nondirectional finish
EP22332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floor panel obrained therewith and press platen applied therewith.
JP3144782U (ja) 型押用版
JP5885469B2 (ja) 転写シートおよび真空圧着法による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NZ617619B2 (en) Press platen or endless belt having a sandwich-type structure
CN102634829A (zh) 具有图案的网板模具及于工件上形成图案的方法
EP4190541A1 (en) Press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 elements
RU217149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 и карты, изготовл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KR102064639B1 (ko) 데코레이션 메탈 필름 제조방법 및 데코레이션 메탈 필름
JP2005119043A (ja) フィルムを用いた立体幾何学意匠賦形方法
CN105722343B (zh) 电子装置的机壳的制造方法及应用其形成的机壳
WO2005026646A3 (en) Process for imprinting a composite ventilated rib
JP2007296820A (ja) 象嵌調加飾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512816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etering roll especially usable for flexographic printing and metering roll obtained by this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