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74A -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74A
KR20160069074A KR1020140174266A KR20140174266A KR20160069074A KR 20160069074 A KR20160069074 A KR 20160069074A KR 1020140174266 A KR1020140174266 A KR 1020140174266A KR 20140174266 A KR20140174266 A KR 20140174266A KR 20160069074 A KR20160069074 A KR 2016006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veyor belt
punch
unit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974B1 (ko
Inventor
정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4017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9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 Y10S100/91M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도넛형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을 형성하는 식품형성부와, 식품형성부에서 형성된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펼치는 식품펼침부 및 식품펼침부에 의해 평평해진 식품을 가압하여 중앙부를 커팅하는 식품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넛형 식품제조장치{MANUGACTURE APPARATUS FOR DOUGHNUT TYPE FOOD}
본 발명은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을 자동으로 도넛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지게되는데 이처럼 만두소를 넣어 빚는 만두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이와 같은 만두 중에는 소가 채워진 복주머니 형태의 만두(소룡포), 반달형 만두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만두소가 채워진 만두피를 접합하는 작업의 난이도 때문에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두를 만들어야 했으므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4642호(2004.10.06, 발명의 명칭: 만두성형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을 자동으로 도넛형태로 제조할 수 있어 취식이 용이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도넛형 식품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을 형성하는 식품형성부와, 상기 식품형성부에서 형성된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펼치는 식품펼침부 및 상기 식품펼침부에 의해 평평해진 식품을 가압하여 중앙부를 커팅하는 식품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형성부는 식품피를 원통형으로 압출하고, 내부에 식품소를 공급하여 원통형 식품을 성형하는 식품성형기 및 상기 식품성형기에서 공급되는 원통형 식품을 오무려 커팅하는 식품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식품을 상기 식품펼침부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로부터 식품을 전달받고, 식품이 안착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는 제2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펼침부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가압하는 원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펀칭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상부펀칭부 및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하부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펀칭부와 상기 하부펀칭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식품을 가압하는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펀칭부의 상기 펀치에는 펀칭 시 식품의 외형을 유지시키는 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럭에는 상기 펀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치에는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마주하는 상기 펀치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펀치의 가압력에 의해 함몰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작동부는 마주하는 상기 펀치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을 평평하게 펼치고, 상하부에서 펀칭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도넛형태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어 취식이 용이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펀치부와 하부펀치부의 각 펀치가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펼침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펀칭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치형상에 의해 형성된 식품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형성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칭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칭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펼침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펀칭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치형상에 의해 형성된 식품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식품형성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칭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펀칭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100)는 식품형성부(110), 이송부(120), 식품펼침부(130) 및 식품펀칭부(140)를 포함한다.
식품형성부(110)는 식품외피와 식품소로 이루어진 식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식품피를 원통형으로 압출하고 내부에 식품소를 공급하는 원통형 식품을 성형하는 식품성형기(112) 및 식품성형기(112)에서 공급되는 원통형 식품을 오무려 커팅하는 식품커팅기(114)를 포함한다. 이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이 공급되어 식품외피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식품소가 구비되며, 압출에 의해 원통형의 식품을 형성하며, 원통형으로 인출되는 식품은 단부가 식품커팅기(114)에 의해 오무려져 커팅됨으로써, 식품소가 충진된 식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식품형성부(110)에서 형성된 식품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 이송부(120)는 식품을 후술되는 식품펼침부(130)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122) 및 제1컨베이어벨트(122)로부터 식품을 전달받아 식품이 안착되도록 개구홀(125)이 형성되는 제2컨베이어벨트(124)를 포함한다.
제2컨베이어벨트(124)는 셔틀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식품을 한 스텝씩 이동시킬 수 있다.
식품펼침부(13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펼친다. 즉, 제1컨베이어벨트(122)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은 구 형상에서 일정두께로 이루어진 평평한 형상으로 펼쳐진다. 이러한 식품펼침부(130)는 제1컨베이어벨트(1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컨베이어벨트(122)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가압하는 원형롤러로 이루어진다.
식품펀칭부(140)는 식품펼침부(130)에 의해 평평해진 식품을 가압하여 중앙부를 커팅한다. 즉,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여 도넛형태의 식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펀칭부(140)는 제2컨베이어벨트(124)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상부펀칭부(142) 및 제2컨베이어벨트(124)의 하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하부펀칭부(145)를 포함한다. 상부펀칭부(142)와 하부펀칭부(145)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맞닿아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한 후 절개한다.
상부펀칭부(142)와 하부펀칭부(145)는 각각 구동부(143,146) 및 구동부(143,146)에 의해 식품을 가압하는 펀치(144,147)를 포함한다. 구동부(143,146)는 캠구동에 의해 펀치(144,147)를 승강시킬 수 있고, 에어 또는 전기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펀치(144,147)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상부펀칭부(142)는 상부구동부(143)와 상부펀치(144)로 이루어지고, 하부펀칭부(145)는 하부구동부(146)와 하부펀치(147)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펀칭부(145)는 제2컨베이어벨트(124)를 지지하는 다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펀치(144,147)에는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날(144a.147a)이 형성된다. 즉, 상부펀칭부(142)와 하부펀칭부(145)는 제2컨베이어벨트(124)의 개구홀(125)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하부구동부(143,146)의 작동에 의해 상하부펀치(144,147)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상부펀치(144)와, 하부펀치(147)의 가압력에 의해 식품의 중앙부는 압착된다. 이때, 식품소는 식품외피의 내부에서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되며, 식품의 중앙부는 납작하게 압착된다. 그리고, 상부펀치(143)와 하부펀치(147)의 커팅날(144a,147a)에 의해 식품의 중앙부는 절개된다.
그리고, 상부펀치(144)의 외부에는 컵부(144b)가 구비된다. 컵부(144b)는 상부펀치(144)와 하부펀치(147)의 펀치시 식품의 둘레를 감싸 형상을 유지시켜 식품의 균일한 형상으로 제공한다.
도 4는 펀치(144,147)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식품을 도시한 것으로서, 식품의 중앙부를 절개할 수도 있고, 특히, 상부펀치(144) 컵부(144b)의 내면에 문양리브(144c)가 구비되어 식품의 외부에 다양한 주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펀치(144,147)의 형상에 의해 중앙부를 별모양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식품형성부(110)의 변형예로서, 식품성형기(112)의 입구부에 주름형성기어(115)가 구비된다. 이는 식품성형기(112)로부터 원통형으로 인출되는 식품의 외피에 주름을 형성하여 식품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식품펀칭부(140)의 제1변형예로서, 식품펀칭부(240)는 상부펀칭부(242)와 하부펀칭부(245)로 이루어지며, 상부펀칭부(242)는 상부구동부(243) 및 상부펀치(244), 하부펀칭부(245)는 하부구동부(246) 및 하부펀치(24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구동부(243)와 하부구동부(246)는 각각 모터(243a,246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243b,246b)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부펀치(244)와 하부펀치(247)는 회전블럭(243b,246b)의 둘레에 복수개 구비된다. 이때, 회전블럭(243b,246b)으로부터 각각의 펀치(244,247)는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블럭(243b,246b)의 사방에 구비되는 펀치(244,247)는 회전블럭(243b,246b)의 회전에 의해 상부펀치(244)와 하부펀치(247)는 상호 맞닿아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고 절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식품펀칭부(340)의 제2변형예로서, 상호 마주하는 펀치(347)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펀치(344)의 가압력에 의해 함몰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작동부(350)가 구비된다. 커팅작동부(350)는 마주하는 펀치(344)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부(352) 및 함몰홈부(352)에 구비되고, 탄성부재(35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블럭(354)을 포함한다.
즉, 상부펀치(344)보다 하부펀치(347)가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펀치(347)에는 함몰홈부(352) 및 지지블럭(354)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부펀치(344), 하부펀치(347)에 의해 식품의 중앙부는 가압되고, 상부펀치(344)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펀치(344)가 하부펀치(347)의 함몰홈부(352)로 삽입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절개할 수 있다.
물론, 제1,2변형예 또한, 상부펀치(244, 344)에 컵부(244b,344b)가 구비되어 식품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형성부(110)에 식품외피를 형성하는 반죽을 공급하고, 식품소를 공급하면, 식품성형기(112)의 입구를 통해 원통형의 식품이 인출된다. 이러한 원통형의 식품은 식품커팅기(114)를 거쳐 상하단이 오무려진 식품이 형성되고, 구 형상의 식품은 제1컨베이어벨트(122)를 따라 이동된다.
제1컨베이어벨트(122)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은 원형롤러로 이루어지는 식품펼침부(130)를 통과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평한 식품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평평해진 식품은 제2컨베이어벨트(124)로 전달된다. 이때, 식품은 제2컨베이어벨트(124)의 개구홀(125)에 각각 안착되어 이송된다. 제2컨베이어벨트(124)는 셔틀컨베이어로 이루어져 한 스탭씩 이동된다.
이후, 한 스탭씩 이동되는 식품은 식품펀칭부(140)에 의해 중앙부가 압착되고, 절개되어 도넛형태의 식품으로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동부(143)와 하부구동부(146)의 작동으로 상부펀치(144)와 하부펀치(147)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한다. 이때, 식품 내부에 충진된 식품소는 식품내의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상부펀치(144)와 하부펀치(147)가 개구홀(125)을 통해 맞닿게 되면 각각의 커팅날(144a,147a)에 의해 압착된 식품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도넛형태의 식품을 형성한다.
이때, 상부펀치(144)에는 컵부(144b)가 형성되어 펀칭 시 식품의 외형을 유지시킬 수 있어 균일한 형상의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펀치(144)와 하부펀치(147)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의 중앙부를 절개할 수도 있고, 컵부(144b)에 형성되는 문양리브(144c)에 의해 식품의 외피에 주름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펀치(144)의 형상에 의해 별형상의 중앙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성형기(112)의 입구부에 주름형성기어(115)가 구비되어 식품의 외피에 다양한 주름을 형성할 수 있어 신선한 디자인의 식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펀칭부(240)의 제1변형예로서, 회전블럭(243b,246b)의 사방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펀치(244,247)에 의해 회전블럭(243b,246b)의 회전에 의해 상부펀치(244), 하부펀치(247)가 맞닿게 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 절개할 수 있으며, 상부펀치(244)의 둘레에 형성되는 컵부(244b)에 의해 식품의 외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펀치(347)에 상부펀치(344)가 수용되는 커팅작동부(350)가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더욱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으며, 절개시에 상부펀치(344)의 둘레에 형성되는 컵부(344b)에 의해 식품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식품제조장치에 의하면, 식품을 평평하게 펼치고, 상하부에서 펀칭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도넛형태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취식이 용이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110 : 식품형성부
112 : 식품성형기 114 : 식품커팅기
115 : 주름형성기어 120 : 이송부
122 : 제1컨베이어벨트 124 : 제2컨베이어벨트
125 : 개구홀 130 : 식품펼침부
140 : 식품펀칭부 142 : 상부펀칭부
143 : 상부구동부 144 : 상부펀치
144a : 커팅날 144b : 컵부
144c : 문양리브 145 : 하부펀칭부
146 : 하부구동부 147 : 하부펀치
147a : 커팅날 240 : 식품펀칭부
242 : 상부펀칭부 243 : 상부구동부
243a : 모터 243b : 회전블럭
244 : 상부펀치 244b : 컵부
245 : 하부펀칭부 246 : 하부구동부
246a : 모터 246b : 회전블럭
247 : 하부펀치 340 : 식품펀칭부
344 : 상부펀치 344b : 컵부
347 : 하부펀치 350 : 커팅작동부
352 : 함몰홈부 354 : 지지블럭
355 : 탄성부재

Claims (11)

  1. 식품을 형성하는 식품형성부;
    상기 식품형성부에서 형성된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펼치는 식품펼침부; 및
    상기 식품펼침부에 의해 평평해진 식품을 가압하여 중앙부를 커팅하는 식품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형성부는 식품피를 원통형으로 압출하고, 내부에 식품소를 공급하여 원통형 식품을 성형하는 식품성형기; 및
    상기 식품성형기에서 공급되는 원통형 식품을 오무려 커팅하는 식품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식품을 상기 식품펼침부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로부터 식품을 전달받고, 식품이 안착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는 제2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펼침부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평평하게 가압하는 원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펀칭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상부펀칭부; 및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하부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펀칭부와 상기 하부펀칭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식품을 가압하는 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펀칭부의 상기 펀치에는 펀칭 시 식품의 외형을 유지시키는 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럭에는 상기 펀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에는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하는 상기 펀치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펀치의 가압력에 의해 함몰되어 식품의 중앙부를 커팅하는 커팅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작동부는 마주하는 상기 펀치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KR1020140174266A 2014-12-05 2014-12-05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KR10171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66A KR101718974B1 (ko) 2014-12-05 2014-12-05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66A KR101718974B1 (ko) 2014-12-05 2014-12-05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74A true KR20160069074A (ko) 2016-06-16
KR101718974B1 KR101718974B1 (ko) 2017-03-24

Family

ID=5635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66A KR101718974B1 (ko) 2014-12-05 2014-12-05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9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483A (en) * 1978-05-18 1979-11-27 Mcgraw-Edison Company Donut maker appliance with improved means for coating batter with cooking oil
KR200391156Y1 (ko) * 2005-05-07 2005-07-29 한장희 호떡 성형장치
KR20120067065A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크라운제과 크림을 도포한 도넛형 케익 및 그 제조방법
JP2014509329A (ja) * 2010-12-28 2014-04-17 ボスティク エス.アー. 架橋方法およびその関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483A (en) * 1978-05-18 1979-11-27 Mcgraw-Edison Company Donut maker appliance with improved means for coating batter with cooking oil
KR200391156Y1 (ko) * 2005-05-07 2005-07-29 한장희 호떡 성형장치
KR20120067065A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크라운제과 크림을 도포한 도넛형 케익 및 그 제조방법
JP2014509329A (ja) * 2010-12-28 2014-04-17 ボスティク エス.アー. 架橋方法およびその関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974B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7566B2 (ja) 餃子の製造装置
US9220279B2 (en) Dough cutting and stamping apparatus and method
JP3181121U (ja) ローリング切断装置
JPH0722480B2 (ja) ねり粉ベース材料を自動成形する装置と方法
US20150125564A1 (en) Dumpling maker
EP3247214A1 (de) Teigverarbeitungsmasch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gwaren mit einer solchen teigverarbeitungsmaschine sowie deren verwendung und teigrohlingsverbund
EP2092828A2 (en) Machine and process for making stuffed pasta
EP1099379B1 (en) A device for shaping portions of bread dough or the like
KR101718974B1 (ko) 도넛형 식품제조장치
CN110430758B (zh) 用于制作填充面食的机器
EP3235741A1 (en) Device for packaging trays
KR101799279B1 (ko) 식용피 제조 장치
JP2006000154A (ja) 成型加工食品製造装置および成型加工食品製造方法
US20200383339A1 (en) Machine for making filled pasta
JP3165889U (ja) 筋状食品加工機
JP2016086797A (ja) 食品生地片の切断移送装置および方法
JP2010094046A (ja) 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タンパ
KR101868335B1 (ko) 만두용 성형장치
JP3149390U (ja) 食品成形装置
JP2016154490A (ja) 食材供給装置および食材供給方法
CN108497014B (zh) 一种多成型口的面包成型机
CN205196844U (zh) 一种饼干成型装置
US2162079A (en) Molding machine
KR102054201B1 (ko) 쿠키 성형 장치
JP3051978B2 (ja) ピザ生地など食品生地の成型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