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149A -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149A
KR20160068149A KR1020140173483A KR20140173483A KR20160068149A KR 20160068149 A KR20160068149 A KR 20160068149A KR 1020140173483 A KR1020140173483 A KR 1020140173483A KR 20140173483 A KR20140173483 A KR 20140173483A KR 20160068149 A KR20160068149 A KR 2016006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urtain
motor
chain cab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584B1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5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60J5/125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윈도우 모터로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을 모두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윈도우 모터 한 개에 리어 윈도우 동작 시에는 윈도우 기어바에 맞물려 동작하게 하고, 리어 커튼 동작이 필요할 때에는 커튼 기어바에 맞물려 동작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제공함으로써, 리어 윈도우 모터와 리어 커튼 모터의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종래와 달리 리어 윈도우 모터의 구동모터 하나로만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다 구동모터 하나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 한 개로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순차적로 개폐할 수 있는 구동 메카니즘으로 설계됨으로써, 원가 절감, 중량 감소 및 공간 활용성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rear curtain and rear window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윈도우 모터로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을 모두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탑승자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한 전기적 힘으로써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시키는 파워 윈도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파워 윈도우의 구동을 위한 장치는 각각의 윈도우 글라스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도어에 설치되는 윈도우 스위치, 운전석의 도어나 콘솔박스에 설치되어 윈도우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잠금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파워 윈도우 구동장치는 한국공개특허 10-2004-008827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글라스에는 자동차의 후방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는 리어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리어 커튼의 구동을 위한 장치는 리어 커튼 하측에 위치하여 리어 커튼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양측의 커튼 바를 회전시켜 리어 커튼의 상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커튼 구동부의 중앙에 위치한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기어 수단을 통해 링크 수단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리어 커튼 구동장치는 한국공개특허 10-2002-005568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어 도어의 내측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어 패널(10)의 내측에 리어 윈도우 모터(11)과 리어 커튼 모터(12)가 각각 설치된다.
즉, 자동차의 리어 도어에는 리어 윈도우 제어를 위한 구동모터와 리어 커튼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2개의 구동모터를 각각 갖추어야 함에 따라 비용적인 측면과 중량적인 측면, 그리고 공간점유율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윈도우 모터 한 개에 리어 윈도우 동작 시에는 윈도우 기어바에 맞물려 동작하게 하고, 리어 커튼 동작이 필요할 때에는 커튼 기어바에 맞물려 동작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도어 내측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 내부에 구비되는 상,하부 스프라켓과 윈도우 모터에 단일폐곡선으로 체인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을 통해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윈도우가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되어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윈도우 기어바를 갖는 윈도우 작동부와; 상기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커튼이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커튼 기어바를 갖는 커튼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윈도우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ECU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과 함께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 작동을 통해 상기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이 순차적으로 개폐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부는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에 내장되며, 구동 작동하는 윈도우 모터와; 도어 패널의 상,하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스프라켓 및 하부 스프라켓과; 상기 윈도우 모터 및 상,하부 스프라켓에 단일폐곡선으로 연결되며, 윈도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부 스프라켓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체인케이블과; 상기 윈도우 모터가 구동 작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윈도우 스위치와; 상기 윈도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기어바 또는 커튼 기어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윈도우 모터는 상기 윈도우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력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모터축의 회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며, 상기 체인케이블이 체인 연결되는 리덕션체인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어바는 상기 리어 윈도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에 대응 구비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윈도우 스위치에 연결된 ECU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윈도우를 여닫을 수 있게 상기 제1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윈도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케이블에 치합되는 치차가 형성된 제1자화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체인케이블을 따라 윈도우 기어바의 이송을 통해 리어 윈도우의 닫힘 상태가 되는 경우 리어 윈도우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제1자화부의 자화를 해제하도록 상기 ECU에 신호를 보내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 기어바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튼 카세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에 대응 구비되는 제2자석부와; 상기 제2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튼 카세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스위치에 연결된 ECU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자석부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 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커튼이 인출 작동 할 수 있게 치차가 형성된 제2자화부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윈도우 스위치를 조작 신호가 입력된 ECU는 상기 제1자화부와 제2자화부가 순차적으로 자화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자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커튼은 상기 도어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커튼 패브릭이 내장된 커튼 카세트와; 상기 체인케이블을 따라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커튼 기어바에 연결되어 상기 커튼 카세트의 커튼 패브릭을 인출하는 커튼 안테나와;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안테나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안테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리어 윈도우 모터와 리어 커튼 모터의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종래와 달리 리어 윈도우 모터의 구동모터 하나로만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다 구동모터 하나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 한 개로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순차적로 개폐할 수 있는 구동 메카니즘으로 설계됨으로써, 원가 절감, 중량 감소 및 공간 활용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리어 도어의 내측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의 구성 및 리어 윈도우의 열림 전 상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의 구성 및 리어 윈도우의 열림 상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의 구성 및 리어 윈도우의 닫힘 상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의 구성 및 리어 커튼의 상승 전 상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의 구성 및 리어 커튼의 상승 후 상태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10) 내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상,하부 스프라켓(120, 130)이 도어 패널(10)의 상,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윈도우 모터(110)에 단일폐곡선으로 체인케이블(140)이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 모터(110)의 구동을 통해 체인케이블(140)이 상,하 이송 작동되게 상기 상,하부 스프라켓(120, 130)에 체인 연결되어 구동부(10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구동부(100)는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1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 작동하는 윈도우 모터(110)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도어 패널(10)의 상,하 측에 각각 상부 스프라켓(120) 과 하부 스프라켓(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케이블(140)이 상기 윈도우 모터(110) 및 상,하부 스프라켓(120, 130)에 단일폐곡선으로 연결되며, 윈도우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부 스프라켓(120, 130)을 따라 이송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모터(110)가 구동 작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윈도우 스위치(1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기어바(220) 또는 커튼 기어바(3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ECU(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체인케이블(140)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윈도우(210)가 도어 패널(10)로부터 인출되어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윈도우 기어바(220)를 갖는 윈도우 작동부(2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윈도우 모터(110)는 상기 윈도우 스위치(150)의 조작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력을 갖는 구동모터(111)와, 이 구동모터(111)의 모터축에 윔기어(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케이블(140)이 체인 연결되는 리덕션체인기어(113)이 상기 웜기어(112)에 치합되어 모터축의 회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 기어바(220)는 상기 윈도우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윈도우(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 스위치(150)에 연결된 ECU(160)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221)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140)의 상,하 이송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윈도우(210)를 여닫을 수 있게 상기 제1자석부(221)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윈도우(2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치합되는 치차가 형성된 제1자화부(22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체인케이블(140)을 따라 윈도우 기어바(220)의 이송을 통해 리어 윈도우(210)의 닫힘 상태가 되는 경우 리어 윈도우(21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제1자화부(223)의 자화를 해제하도록 상기 ECU(160)에 신호를 보내는 리미트 스위치(230)가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인케이블(140)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커튼(310)이 도어 패널(10)로부터 인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커튼 기어바(320)를 갖는 커튼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150)를 조작함에 따라 ECU(16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과 함께 상기 체인케이블(140)의 상,하 이송 작동을 통해 상기 리어 윈도우(210)와 리어 커튼(310)이 순차적으로 개폐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튼 기어바(320)는 상기 도어 패널(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튼 카세트(3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315)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대응하여 제2자석부(321)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2자석부(321)에 대응하여 상기 커튼 카세트(3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315)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스위치(150)에 연결된 ECU(160)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자석부(321)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140)의 상,하 이송 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커튼(310)이 인출 작동 할 수 있게 치차가 형성된 제2자화부(3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1)에서 윈도우 스위치(150)를 조작하여 그 신호가 입력된 ECU(16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제1자화부(223)와 제2자화부(323)가 순차적으로 자화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자화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어 커튼(310)은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커튼 패브릭(313)이 내장된 커튼 카세트(311)가 상기 도어 패널(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케이블(140)을 따라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커튼 기어바(320)에 연결되어 상기 커튼 카세트(311)의 커튼 패브릭(313)을 인출하는 커튼 안테나(315)구비하며,
상기 커튼 안테나(315)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안테나 가이드(317)를 상기 도어 패널(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의하면, 최초로 상기 리어 윈도우(210)가 닫힌 상태에서 리어 윈도우(210)를 열기 전 상태로 사용자가 윈도우 스위치(150)를 열림으로 조작하면, 이 조작 신호를 ECU(160)가 받아 제1자화부(223)에 전달하여 자화됨에 따라 제1자석부(221)로 제1자화부(223)가 밀착하면서 상기 체인케이블(140)를 치합하여 서로 물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의하면, 사용자가 윈도우 스위치(150)를 열림 상태로 계속 조작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부(100)가 구동 작동함에 따라 상기 체인케이블(140)이 하강으로 이송 작동하게 되며, 상기 체인케이블(140)에 물림 연결된 윈도우 기어바(220) 역시 하측으로 이송 작동하게 되며, 이에 일체로 구성된 리어 윈도우(210)가 하강하여 열림 상태가 되는 된다.
반대로, 상기 윈도우 스위치(150)를 닫힘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한 리어 윈도우(210)의 열림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리어 윈도우(210)를 닫는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기어바(220)의 제1자화부(223)가 리미트 스위치(230)에 접촉됨에 따라 ECU(160)에게 신호를 보내면, ECU(160)에 미리 설정된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자화부(223)의 자력을 해제하여 상기 리어 윈도우(21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의하면, 사용자가 윈도우 스위치(150)를 닫힘 상태로 계속 조작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ECU(1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커튼 기어바(320)의 제2자화부(323)를 자화시켜 이 자기력에 의해 제2자석부(321)와 제2자화부(323)가 접합하되, 상기 체인케이블(140)를 치합하여 물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케이블(140)의 상승 작동에 따라 상기 커튼 기어바(320)에 연결된 커튼 안테나(315)가 안테나 가이드(317)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커튼 카세트(311)에 내장된 커튼 패브릭(313)을 인출하여 펼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리어 윈도우 모터와 리어 커튼 모터의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종래와 달리 리어 윈도우 모터의 구동모터 하나로만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다 구동모터 하나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 한 개로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을 순차적로 개폐할 수 있는 구동 메카니즘으로 설계됨으로써, 원가 절감, 중량 감소 및 공간 활용성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11: 윈도우 모터
12: 리어 커튼 모터
10: 도어 패널
100: 구동부
110: 윈도우 모터
111: 구동모터
112: 웜기어
113: 리덕션체인기어
120: 상부 스프라켓
130: 하부 스프라켓
140: 체인케이블
150: 윈도우 스위치
160: ECU
200: 윈도우 작동부
210: 리어 윈도우
220: 윈도우 기어바
221: 제1자석부
223: 제1자화부
230: 리미트 스위치
300: 커튼 작동부
310: 리어 커튼
311: 커튼 카세트
313: 커튼 패브릭
315: 커튼 안테나
317: 안테나 가이드
320: 커튼 기어바
321: 제2자석부
323: 제2자화부

Claims (8)

  1. 자동차의 리어 도어에 구비되어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을 열고 닫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에 있어서,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 내부에 구비되는 상,하부 스프라켓과 윈도우 모터에 단일폐곡선으로 체인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을 통해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윈도우가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되어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윈도우 기어바를 갖는 윈도우 작동부와;
    상기 체인케이블이 상,하 이송 작동 함에 따라 리어 커튼이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체인케이블에 기어물림으로 연결되는 커튼 기어바를 갖는 커튼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윈도우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ECU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과 함께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 작동을 통해 상기 리어 윈도우와 리어 커튼이 순차적으로 개폐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어 도어의 도어 패널에 내장되며, 구동 작동하는 윈도우 모터와;
    도어 패널의 상,하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스프라켓 및 하부 스프라켓과;
    상기 윈도우 모터 및 상,하부 스프라켓에 단일폐곡선으로 연결되며, 윈도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부 스프라켓을 따라 이송 작동하는 체인케이블과;
    상기 윈도우 모터가 구동 작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윈도우 스위치와;
    상기 윈도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기어바 또는 커튼 기어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모터는 상기 윈도우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력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모터축의 회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며, 상기 체인케이블이 체인 연결되는 리덕션체인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어바는 상기 리어 윈도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에 대응 구비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윈도우 스위치에 연결된 ECU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윈도우를 여닫을 수 있게 상기 제1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윈도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케이블에 치합되는 치차가 형성된 제1자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체인케이블을 따라 윈도우 기어바의 이송을 통해 리어 윈도우의 닫힘 상태가 되는 경우 리어 윈도우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제1자화부의 자화를 해제하도록 상기 ECU에 신호를 보내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 기어바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튼 카세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체인케이블에 대응 구비되는 제2자석부와;
    상기 제2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튼 카세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커튼 안테나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스위치에 연결된 ECU의 신호에 따라 자화됨과 아울러, 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자석부에 접합되어 상기 체인케이블의 상,하 이송 작동에 의해 상기 리어 커튼이 인출 작동 할 수 있게 치차가 형성된 제2자화부로 구성된 것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를 조작 신호가 입력된 ECU는 상기 제1자화부와 제2자화부가 순차적으로 자화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자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튼은 상기 도어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커튼 패브릭이 내장된 커튼 카세트와;
    상기 체인케이블을 따라 상,하 이송 작동하는 상기 커튼 기어바에 연결되어 상기 커튼 카세트의 커튼 패브릭을 인출하는 커튼 안테나와;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안테나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안테나 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KR1020140173483A 2014-12-05 2014-12-05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KR10218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483A KR102187584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483A KR102187584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149A true KR20160068149A (ko) 2016-06-15
KR102187584B1 KR102187584B1 (ko) 2020-12-07

Family

ID=5613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483A KR102187584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5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963U (ko) * 1998-11-13 2000-06-05 홍종만 자동차용 윈도우 개폐장치
KR20050049044A (ko) * 2003-11-21 2005-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겸 도어 커튼 레귤레이터
KR20060100027A (ko) * 2005-03-16 2006-09-20 주식회사 캐프 승용차 후방 유리용 차광 블라인드장치
KR20080071196A (ko) * 2005-11-25 2008-08-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드라이브
KR20140074590A (ko)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963U (ko) * 1998-11-13 2000-06-05 홍종만 자동차용 윈도우 개폐장치
KR20050049044A (ko) * 2003-11-21 2005-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겸 도어 커튼 레귤레이터
KR20060100027A (ko) * 2005-03-16 2006-09-20 주식회사 캐프 승용차 후방 유리용 차광 블라인드장치
KR20080071196A (ko) * 2005-11-25 2008-08-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드라이브
KR20140074590A (ko)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584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16B1 (ko) 로크식 개폐 장치
US8944487B2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KR101240988B1 (ko) 차량용 파노라마루프 장치
US20150038291A1 (en) Drive device
JP200713850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9127301A (ja) 車両用の開閉体の開放防止方法及び開閉体の開放防止装置
KR102098406B1 (ko)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CN104631957B (zh) 一种轨道交通屏蔽门锁紧和解锁装置
CN207620585U (zh) 一种带减速开窗器的窗户
CN105735820A (zh) 电动窗装置
KR20160068149A (ko)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KR101886517B1 (ko)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용 일체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 구동 시스템
JP2005139899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20170067104A (ko) 차량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CN107738562A (zh) 一种滑动窗总成
JP6051428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7056580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CN203347415U (zh) 电动车门装置及汽车
CN107558858A (zh) 一种带减速开窗器的窗户
JP2018115468A (ja) 車両用自動開閉制御装置
JP5800583B2 (ja) ホーム柵システム
JP4176774B2 (ja) 可動体の駆動装置
KR100500288B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CN104120952B (zh) 悬浮平移门的带风力控制的屏风联动结构
KR20170019191A (ko)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