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590A -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590A
KR20140074590A KR1020120142709A KR20120142709A KR20140074590A KR 20140074590 A KR20140074590 A KR 20140074590A KR 1020120142709 A KR1020120142709 A KR 1020120142709A KR 20120142709 A KR20120142709 A KR 20120142709A KR 20140074590 A KR20140074590 A KR 2014007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driving drum
curtain
stopp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263B1 (ko
Inventor
박후상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263B1/ko
Priority to DE102013209801.4A priority patent/DE102013209801B4/de
Priority to US13/909,949 priority patent/US8844196B2/en
Priority to CN201310241395.XA priority patent/CN103867067B/zh
Publication of KR2014007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축수용홀을 구비하는 드라이브기어, 상기 드라이브기어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에 나선결합하는 나선홈 축지지부가 형성된 드럼리테이너, 상기 드럼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외삽되는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키와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Regulator Structure for a Curtain Integrated Door}
본 발명은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커튼과 도어 글라스를 하나의 구동수단에 연결하여 모두 자동 동작 가능하게 한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 글라스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는 널리 적용되어 왔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도어 글라스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사용자가 올림이나 내림 버튼을 누르면 모터(2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드럼이 회전하며, 드럼에 감겨 있는 글라스 케이블(81)이 이동하면 글라스(8)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였다.
한편 고급 사양의 차량에는 도어에 파워윈도우를 적용한 것 외에도 도어 커튼이 더 설치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 커튼은 상술한 종래의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와는 별도로 이루어져 있어, 수동으로 또는 상기 모터(20)와는 다른 별도의 모터로 구동되어 작동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단순히 커튼만을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은 중량 증대와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고, 커튼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조는 자동 동작 구조에 비해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글라스와 커튼을 자동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어 구동축(25)을 회전시키는 모터(20),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축수용홀(35)을 구비하는 드라이브기어(30), 상기 드라이브기어(30)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32)에 나선결합하는 나선홈 축지지부(12)가 형성된 드럼리테이너(10), 상기 드럼리테이너(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30)에 외삽되는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 상기 드라이브 기어(30)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33),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키와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43,53)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25)과 축수용홀(35)은,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전달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드럼리테이너의 나선홈 축지지부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 또는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 또는 상기 구동드럼(5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와 맞물리지 않는 구동드럼(40,5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60,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브기어(30)의 외주에는 단턱(36,3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60,70)는 단턱수용부(63,73)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의 단턱수용부(63,73)에 상기 단턱(36,37)이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스토퍼(60,70)는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부(65,75)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리테이너(10)에는 상기 스토퍼부를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6,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단턱수용부에 의해 스토퍼도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스토퍼가 드라이브기어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부와 가이드홈에 의해 스토퍼의 회전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과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은 적어도 상기 드라이브 기어(30)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33)의 축방향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에 맞물려 커튼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에 맞물려 글라스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60,70)는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커튼의 모터와 구동 기구 삭제로 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도어 트림이나 도어 프레임의 레이아웃에 제약이 없어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실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글라스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일체형 도어 글라스의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도어 레귤레이터의 모터와 드라이브기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도어 레귤레이터의 드라이브기어와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어 레귤레이터의 모터와 드라이브기어와 스토퍼와 드럼리테이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의 작동원리와 작동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일체형 도어 글라스의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도어 레귤레이터의 모터와 드라이브기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도어 레귤레이터의 드라이브기어와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어 레귤레이터의 모터와 드라이브기어와 스토퍼와 드럼리테이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의 작동원리와 작동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20)로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하고, 각각의 드럼에 글라스 케이블(81)과 커튼 케이블(91)을 각각 연결하여 글라스(8)와 커튼(9)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어 커튼(9)은 프라이버시 코팅 PC 글라스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글라스(8)의 안쪽에서 작동하여 작동을 위한 이중 립을 가진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패널에는 모터(20)가 내장되어 있고, 그 모터의 구동축에는 드럼리테이너(10)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가 드럼리테이너에 수용 지지되는 글라스 구동드럼이나 커튼 구동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어 구동축(25)을 회전시키는 모터(2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축(25)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여기에 끼워지는 드라이브기어(30) 역시 상기 구동축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축수용홀(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수용홀(35)에 구동축(25)을 끼우면 구동축(25)의 회전력은 드라이브기어(30)에 전달되지만, 구동축(25)에 대해 축수용홀(35)이 축방향으로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구동축(25)의 축방향을 따라 드라이브기어(30)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드라이브기어(30)의 외주에는 나선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도면 상에서 상기 모터의 상측에 배치되며 도어모듈패널(1)에 고정된 드럼리테이너(10)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30)의 나선돌기(32)와 나선결합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를 수용하는 나선홈 축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 드라이브기어(30) 역시 회전하며, 동시에 드라이브기어는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상기 드럼리테이너(10)의 나선홈 축지지부(12)와 나선결합하므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드럼리테이너의 나선홈 축지지부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서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라이브기어(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라이브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리테이너(10)에는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드럼리테이너(10) 상에서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은 도면상 상하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오로지 제자리에서 드라이브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만이 허용된다.
이들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은 또한 상기 드라이브기어(30)에 외삽되어 있고, 이러한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의 외삽부는 드라이브기어의 나선돌기와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글라스 구동드럼(40)과 커튼 구동드럼(50)의 외삽부에는 키홈(43,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기어(30)의 일부 구간에는 외주에 축방향으로 기어키(33)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키(33)와 키홈(43,53)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들이 맞물리면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 또는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 또는 상기 구동드럼(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가령 도 3의 상태에서 드라이브기어(30)가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브기어가 상승하면 기어키(33)와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이 맞물려 글라스 구동드럼이 회전하고, 도 3의 상태에서 드라이브기어(30)가 시계반향으로 회전하여 드라이브기어가 하강하면 기어키(33)와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이 맞물려 커튼 구동드럼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처럼 드라이브기어의 회전방향과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어떠한 드럼이 선택적으로 회전될 것인지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과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을 적어도 상기 드라이브 기어(30)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33)의 축방향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하면 두 구동드럼(40,50)에 기어키(33)가 동시에 맞물려 두 구동드럼이 동시에 회전하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와 맞물리지 않는 구동드럼(40,5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60,7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설명하면, 상기 드라이브기어(30)의 외주에는 단턱(36,3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60,70)는 단턱수용부(63,73)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의 단턱수용부(63,73)에 상기 단턱(36,37)이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스토퍼(60,70)는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부(65,75)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리테이너(10)에는 상기 스토퍼부를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6,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단턱수용부에 의해 스토퍼도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스토퍼가 드라이브기어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부와 가이드홈에 의해 스토퍼의 회전은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0,70)를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의 외측에 배치하고,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의 키홈(43)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에 맞물려 커튼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33)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50)의 키홈(53)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40)에 맞물려 글라스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레귤레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와 커튼이 모두 오픈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브기어(30)는 가장 높이 상승하여 그 키홈이 글라스 구동드럼(40)과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며, 제2스토퍼(70)의 스토퍼부(75)가 커튼 구동드럼(50)에 스토퍼공에 끼워져 있어 커튼 구동드럼(50)은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 버튼을 누르면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드라이브기어가 시계방향(도 3에서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바라보았을 때)으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리테이너(10)의 나선홈 축지지부(12)와 드라이브기어(30)의 나선돌기(32)의 결합 구조에 의해 드라이브기어(30)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8의 중간에 도시된 드라이브기어(30)의 위치까지 드라이브기어가 하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키홈(43)에 기어키(33)가 맞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글라스 구동드럼(40)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커튼 구동드럼(50)은 도 8의 중간에 도시된 드라이브기어(30)의 위치까지 드라이브기어가 하강할 때까지 제2스토퍼(70)에 맞물려 있어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글라스는 상승하고 커튼은 아직 오픈되어 있는 채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 버튼을 계속 누르면 드라이브기어가 하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커튼 구동드럼(50)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때 제1스토퍼(60)는 글라스 구동드럼(40)에 맞물리기 시작하여 글라스 구동드럼의 회전을 방지하고 제2스토퍼(70)는 커튼 구동드럼으로부터 빠져나와 커튼 구동드럼을 더 이상 고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글라스 구동드럼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글라스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커튼 구동드럼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커튼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드라이브기어(30)의 위치까지 드라이브기어(30)가 하강하게 되면 커튼까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이제 사용자가 커튼을 열기 위해 다운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브기어가 상승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커튼 구동드럼도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도 글라스 구동드럼은 여전히 제1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8의 중간에 도시된 드라이브기어(30)의 위치까지 드라이브기어가 상승하면서 커튼 구동드럼만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커튼을 하강시키고, 도 8의 중간에 도시된 드라이브기어(30)의 위치에 드라이브기어가 다다르면 글라스는 닫혀 고정된 상태에서 커튼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글라스를 열기 위해 다운 버튼을 계속 누르면 드라이브기어가 상승하면서 그 기어키가 커튼 구동드럼과는 맞물림 해제되고, 글라스 구동드럼(40)과 맞물리며, 이때 제1스토퍼는 글라스 구동드럼으로부터 빠져나와 글라스 구동드럼의 회전 방지 상태가 해제되고, 제2스토퍼는 커튼 구동드럼과 맞물리기 시작하여 커튼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드라이브기어가 상승하면서 글라스 구동드럼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글라스는 하강하고, 커튼은 닫힌 상태에서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하여 드라이브기어가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글라스가 완전히 오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에 의하면, 글라스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커튼이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 유지되고, 글라스가 완전히 닫힌 후에야 커튼의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글라스가 오픈된 상태에서 커튼이 상승하여 차량 주행시 외부로부터 강하게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커튼이 파손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커튼이 조금이라도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닫혀 있던 글라스를 하강시키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글라스와 커튼에 대한 업 다운 버튼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업 다운 버튼으로 이들을 상승, 하강시킬 수 있는데, 커튼과 글라스가 모두 오픈되어 있는 상태에서 업 버튼을 누르면 글라스가 먼저 완전히 상승한 후 커튼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커튼과 글라스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다운 버튼을 누르면 커튼이 완전히 하강한 후 글라스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글라스가 닫혀 있고 커튼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업 버튼을 누르면 커튼이 상승하고, 글라스가 닫혀 있고 커튼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다운 버튼을 누르면 글라스가 하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 도어모듈패널
10: 드럼리테이너
12: 나선홈 축지지부
13: 중앙갭
14: 제1드럼수용부
15: 제2드럼수용부
16: 제1가이드홈
17: 제2가이드홈
20: 모터
25: 구동축
30: 드라이브기어
32: 나선돌기
33: 기어키
35: 축수용홀
36: 제1단턱
37: 제2단턱
40: 글라스 구동드럼
43: 키홈
45: 스토퍼공
50: 커튼 구동드럼
53: 키홈
55: 스토퍼공
60: 제1스토퍼
61: 본체부
63: 단턱수용부
65: 스토퍼부
70: 제2스토퍼
71: 본체부
73: 단턱수용부
75: 스토퍼부
8: 글라스
81: 글라스 케이블
9: 커튼
91: 커튼 케이블

Claims (10)

  1.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축수용홀을 구비하는 드라이브기어,
    상기 드라이브기어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에 나선결합하는 나선홈 축지지부가 형성된 드럼리테이너,
    상기 드럼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외삽되는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키와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축수용홀은,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드럼리테이너의 나선홈 축지지부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드라이브기어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의 키홈 또는 상기 커튼 구동드럼의 키홈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 또는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와 맞물리지 않는 구동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외주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단턱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의 단턱수용부에 상기 단턱이 수용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리테이너에는 상기 스토퍼부를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단턱수용부에 의해 스토퍼도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스토퍼가 드라이브기어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부와 가이드홈에 의해 스토퍼의 회전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의 키홈과 상기 커튼 구동드럼의 키홈은 적어도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키의 축방향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의 키홈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에 맞물려 커튼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기어키가 상기 커튼 구동드럼의 키홈과 맞물리는 동안에는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부가 상기 글라스 구동드럼에 맞물려 글라스 구동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10.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드라이브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글라스 구동드럼과 커튼 구동드럼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KR1020120142709A 2012-12-10 2012-12-10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KR10142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709A KR101428263B1 (ko) 2012-12-10 2012-12-10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DE102013209801.4A DE102013209801B4 (de) 2012-12-10 2013-05-27 Tür-reglerstruktur mit integriertem vorhang
US13/909,949 US8844196B2 (en) 2012-12-10 2013-06-04 Curtain integrated door regulator structure
CN201310241395.XA CN103867067B (zh) 2012-12-10 2013-06-18 集成帘幕的车门调节器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709A KR101428263B1 (ko) 2012-12-10 2012-12-10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90A true KR20140074590A (ko) 2014-06-18
KR101428263B1 KR101428263B1 (ko) 2014-08-07

Family

ID=5077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709A KR101428263B1 (ko) 2012-12-10 2012-12-10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44196B2 (ko)
KR (1) KR101428263B1 (ko)
CN (1) CN103867067B (ko)
DE (1) DE102013209801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49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KR20180046157A (ko) * 2016-10-27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용 일체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 구동 시스템
KR102656087B1 (ko) 2024-01-12 2024-04-09 주식회사 씨엠지 Led 소자의 에폭시 수지 코팅층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596B1 (ko) * 2013-02-15 201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글라스와 커튼 일체형 레귤레이터 장치
KR20190048125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콜라겐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9098889A (ja) * 2017-11-30 2019-06-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ドア
KR102113422B1 (ko) 2019-07-11 2020-05-20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콜라겐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영양제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72706B1 (ko) 2019-11-05 2020-11-02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콜라겐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US11738635B2 (en) * 2020-03-23 2023-08-29 Inteva Products, Llc Dual output actuator
KR102318883B1 (ko) 2020-12-14 2021-10-29 주식회사 천연스토리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개선용 반려동물 사료 제조방법
KR20230127641A (ko) 2022-02-25 2023-09-01 드리블 주식회사 작약 및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반려동물 분리불안 및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392430A1 (en) * 2022-06-06 2023-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window system with privac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359A (en) * 1979-12-12 1982-05-25 Skipura Enterprises, Inc. Window shield for vehicle body
SE8602333L (sv) * 1986-05-22 1987-11-23 Autopart Sweden Ab Solskydd for fordonssidorutor
US4930255A (en) * 1989-05-23 1990-06-05 Sea Ho T Door window assembly
US5165188A (en) * 1992-01-08 1992-11-24 Tsiros George N Adjustable window tinting apparatus
JP3750235B2 (ja) * 1996-11-29 2006-03-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JP3803037B2 (ja) 2001-04-25 2006-08-0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US6523880B1 (en) * 2001-06-27 2003-02-25 Maher C. Yako Car window and sunscreen assembly
JP2003214028A (ja) 2002-01-17 2003-07-30 Shiroki Corp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JP2003306037A (ja) 2002-04-11 2003-10-28 Shiroki Corp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529182B1 (ko) * 2003-11-21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겸 도어 커튼 레귤레이터
JP2005271670A (ja) 2004-03-23 2005-10-06 Toyota Boshoku Corp 車輌用窓装置
DE102005012208B4 (de) 2004-10-24 2009-06-18 Heidan, Michael, Dipl.-Ing. (FH) Fahrzeugfensteröffnungssystem
KR100726268B1 (ko) 2005-12-23 2007-06-08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양장치
JP4696030B2 (ja) 2006-07-03 2011-06-08 株式会社フルネス 窓用調光部材昇降装置
DE102006037609A1 (de) * 2006-08-10 2008-02-14 Bos Gmbh & Co. Kg Manuelles Fensterrollo mit automatischem Rückzug
JP4247752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06037594A1 (de) * 2006-08-10 2008-02-14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Antrieb über den Fensterheber
DE102006047359A1 (de) * 2006-09-29 2008-06-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rollo
US7806461B2 (en) * 2007-05-01 2010-10-05 Christopher Patters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inted windows
DE202008009763U1 (de) * 2008-07-17 2009-1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rollo
CN201584876U (zh) * 2009-11-11 2010-09-15 浙江松田汽车电机系统有限公司 减震低噪汽车窗帘电机
JP5470619B2 (ja) 2009-12-25 2014-04-16 株式会社Lixil シャッターの巻取装置
KR20130032757A (ko) * 2011-09-23 2013-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 글라스 및 롤블라인드의 동시 구동을 위한 단일 모터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49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커튼 구동장치
KR20180046157A (ko) * 2016-10-27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용 일체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및 도어 커튼 구동 시스템
US10408303B2 (en) 2016-10-27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opera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window glass and door curtain
KR102656087B1 (ko) 2024-01-12 2024-04-09 주식회사 씨엠지 Led 소자의 에폭시 수지 코팅층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8309A1 (en) 2014-06-12
US8844196B2 (en) 2014-09-30
CN103867067A (zh) 2014-06-18
CN103867067B (zh) 2017-04-12
DE102013209801B4 (de) 2023-11-23
KR101428263B1 (ko) 2014-08-07
DE102013209801A1 (de)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63B1 (ko) 커튼 일체형 도어 레귤레이터 구조
US10202802B2 (en)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6983902B2 (ja) 垂直スライド窓
JP2008238978A (ja) 車両用ステップ装置
CN105525857A (zh) 窗帘控制器
KR20090121491A (ko) 돔형 지붕의 개폐장치
KR101798987B1 (ko) 자동문 도어 구동장치
KR101813882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1345155B1 (ko) 변속기레버의 구조
JP2006266013A (ja) 上げ下げ窓
JP7064965B2 (ja) ブラインド
JP6050911B1 (ja) オーバードア開閉装置
CN106320881B (zh) 门窗驱动机构
JP5154965B2 (ja) ケーブル巻き取り機構の組付け方法及びケーブル巻き取り機構
JP6640511B2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力伝達装置
JPH0949369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477555Y1 (ko) 자동차의 이중창문 장치
CN105909113A (zh) 玻璃升降器以及具有其的车辆
US20160153229A1 (en) Sequential control roller system for variable a pitch shutter
KR200386851Y1 (ko) 롤 타입 스크린용 감속장치
KR20060025397A (ko)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KR20160003621U (ko) 차양 시스템용 자동 조절 장치
WO2012060333A1 (ja) 車両用ドア駆動装置
KR200279140Y1 (ko) 수동 조작이 가능한 롤 스크린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