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530A -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530A
KR20160066530A KR1020150170780A KR20150170780A KR20160066530A KR 20160066530 A KR20160066530 A KR 20160066530A KR 1020150170780 A KR1020150170780 A KR 1020150170780A KR 20150170780 A KR20150170780 A KR 20150170780A KR 20160066530 A KR20160066530 A KR 2016006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flame retardant
polymerization
chloride resin
resin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조
신연란
김재송
김여진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6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02Core-she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난연제를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과정 중 중합 완료 후 건조 전에 첨가함으로써, 기존 단순 배합 방법보다 점도 저하 및 열안정성 개선효과를 가지며, 난연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Polyvinyl chloride paste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난연성능은 물론 열안정성과 분산성이 개선된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Polyvinyl Chloride Paste Resin, 이하 "PSR")는 건축용 자재류, 벽지류, 인조가죽, 직포류, 시트, 필름 등 일상 생활용품 및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범용 수지이다.
또한, 비닐(vinyl) 벽지 제조 과정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가소제, 탄산칼슘, 발포제, 안정제, 감점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당량을 첨가하여 혼합(mixing)하여 플라스티졸(plastisol)을 제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SR은 기본적으로 난연 특성이 있으나 일부 업종에서는 추가로 난연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단순 배합 시 최종 얻어진 PSR에 난연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배합과정에서 난연제를 첨가할 경우, 난연제의 분산성 불량에 의한 코팅불량 문제가 발생하거나 난연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SR의 중합, 분쇄 및 건조 공정에 있어서, PSR의 건조 공정 전에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기존 보다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지며, 분산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공한다.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는 1:99 내지 99:1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평균중합도 500 내지 2500이고,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공정;
상기 중합 공정으로 얻어진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와 난연제의 블렌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블렌드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난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는 a)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 유화제, 유용성 중합 개시제, 및 난연제를 수성 용매 중에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미세 현탁 중합하는 단계; 또는 b)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을 수성 매체 중에서 유화제, 수용성 중합개시제 및 난연제를 첨가하고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PSR 제품보다 난연성이 우수해지고, PSR 배합물 제조 시 난연제를 단순 첨가하는 것보다 분산성 및 난연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SR 배합물의 정점도 및 유동점도 저하효과뿐 아니라, 점도의 경시 변화 비율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PSR을 사용한 가공 제품은 열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난연성도 우수하므로 제조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열안정성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PSR 제조과정에서 PSR의 건조 전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 성능을 개선하고 분산성 불량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난연제를 PSR의 제조과정에 첨가함으로써 점도저하 및 열안정성의 개선효과를 부여하고, 저가의 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원가 절감(약 10만원/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미세한 입자 형태의 파우더(powder)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염화비닐계 수지의 공중합 과정에서 제조되어, 난연제가 포함된 염화비닐 페이스트 라텍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에 포함되는 염화비닐계 수지의 중합도는 약 1,000 내지 약 1,700,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45,000 내지 약 2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중합도 및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경우 가소제와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플라스티졸의 가공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상술한 바대로,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점도 저하 및 열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물질의 블렌드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는 1:99 내지 99:1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그 비율은 20:80 내지 99:1의 중량비가 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그 비율은 85:15의 중량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연제는 후술되는 바에 따라,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제조시 중합 후, 건조 전에 상기 비율대로 첨가된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평균중합도 500 내지 2500이고,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공정; 상기 중합 공정으로 얻어진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와 난연제의 블렌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블렌드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PSR의 제조 공정에서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난연제는 PSR의 중합 이후, 건조 전에 첨가함으로써,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공정은 고분자의 건조 및 분쇄 전의 단계까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합 공정에 따라,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는 a)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 유화제, 유용성 중합 개시제, 및 난연제를 수성 용매 중에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미세 현탁 중합하는 단계; 또는 b)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을 수성 매체 중에서 유화제, 수용성 중합개시제 및 난연제를 첨가하고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의 올레핀(olefin)류; 초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테아린산 비닐 등의 카르본산의 비닐 에스테르(vinyl ester)류;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옥틸 비닐 에테르, 라우닐 비닐 에테르 등의 알킬기를 가지는 비닐 에테르(viny ether)류; 염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vinylidene)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말레인산 모노 메틸, 말레인산 디메틸, 말레인산 부틸벤질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ester)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디비닐 벤젠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또는 디알릴 프탈레이트 등의 가교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공단량체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음이온계 유화제 또는 비이온계 유화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 유화제로는 카르본산, 알킬 술폰산, 알킬 벤젠 술폰산, α-올레핀 술폰산 또는 알킬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유화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실리콘계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중합 반응 전에 수성 매체 중에 일괄 투입하거나, 중합 반응 중 수성 매체에 연속 투입할 수 있다. 또는,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라텍스에 첨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시 필요에 따라 보조 분산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분산제는 유화제와 함께 중합 및 라텍스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틱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콜류 또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스테아린산 등의 고급 지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 현탁 중합시 사용하는 유용성 중합 개시제로는, 디이소프로필 퍼록시 디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 카보네이트(peroxy dicarbonate)류;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트 등의 퍼옥시 에스테르(peroxy ester)류 등의 유기 과산화물계 개시제, 또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azo)계 개시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중합에 사용하는 수용성 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또는 과산화 수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아황산 나트륨, 나트륨,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등의 환원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혼합하여 중합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를 제조할 수 있다. 중합이 완료된 후, 중합되지 않은 미반응 단량체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중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에는 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함량이 약 30 내지 약 60중량%일 수 있다.
다음에, 중합 공정 후 얻어진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에 난연제를 일정량 첨가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와 난연제의 블렌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난연제는 상술한 바대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용량은 블렌드 조성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9 중량% 혹은 20 내지 80 중량%, 혹은 20 내지 40 중량%가 될 수 있다. 이때,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난연 효과가 미비하거나 PVC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가 첨가된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를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타입 분무 건조기(wheel type spray dryer)를 이용하여 입구 온도를 약 140 내지 약 160℃으로 분무 건조시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의 블렌드를 건조함으로써 미세한 파우더 형태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PVC paste resin, PSR)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되어 수득한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필요에 따라 발포제, 가소제, 탄산칼슘 및 그외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플라스티졸(plastisol)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종류 및 함량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물질을 적절히 선택하여 용도에 맞게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이소부틸, 프탈산디헵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프탈산-n-옥틸, 디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드, 디운데실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디페닐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 유도체, 이소프탈산 유도체, 아디프산 유도체, 세바스산 유도체, 말레산 유도체, 트리멜리트산 유도체, 피로멜리트산 유도체; 인산 유도체, 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린 유도체,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세바스산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물질을 적절히 선택하여 용도에 맞게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니움, 탄산암모늄,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azodiisobutyro-nitrile), 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benzenesulfonhydrazide), 4,4-옥시벤젠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4,4-oxybenzene sulfonyl-semicarbazide), p-톨루엔 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p-toluene sulfonyl semi-carbazide), 바륨아조디카복실레이트(barium azodicarboxylate),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N,N'-dimethyl-N,N'-dinitrosoterephthalamide), 트리하이드라지노 트리아진(trihydrazino triazin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발포제는 1종을 단독으로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 발포제 및 탄산칼슘 외에,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열 안정제, 충전제,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접착성 부여제, 착색제, 희석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보강제, 그 외의 수지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플라스티졸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의 평균중합도 1000이고, 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함량이 45%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PSR Latex)를 중합을 통해 제조하였다.
그리고, 중합이 완료된 후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PSR Latex)의 건조를 진행하기 전에,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평균중합도 1,000, 평균입경 4㎛):난연제의 중량비가 85:15가 되도록,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에 난연제(수산화알루미늄)를 첨가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휠 타입 분무 건조기(Wheel type spray dryer)에서 혼합물(blend)을 건조 및 분쇄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PVC paste resin)를 최종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를 이용하되, 난연제는 첨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교예 1은 PSR 단독을 의미한다.
<비교예 2>
Dry blend 제조
통상의 방법으로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를 제조한 후 건조 및 분쇄까지 완료된 수지를 이용하여, 난연제와의 가공 배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첨가된 난연제(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최종 제조된 수지에 대하여, 정점도 및 유동점도, 점도 경시 변화, 분산성 및 열안정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각 표 1 내지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1) 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플라스티졸을 25℃ 항온 오븐에서 1시간 숙성(aging)시킨 후, Brookfield 점도계 (spindle#6, 5 rpm)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및 2와 같다.
(2) 분산성 측정
상기 제조된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Grind guage(Grit Tester)를 사용하여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3) 열안정성 측정
상시 제조된 한 플라스티졸을 일정두께로 코팅한 후 Oven에서 230℃, 40~90초로 Gelling하여 열변색 시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4) 난연성 측정
상기 제조된 플라스틱 졸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된 Oxygen Index 및 Smoke density를 통한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점도(단위: cps) 유동 점도(단위: Pas)
V20 V5 10s-1 115s-1 582s-1 1000s-1
비교예1
(PSR 단독)
1,840 1,880 1.94 3.22 7.04 5.9
비교예2
(Dry Blend)
2,910 3,440 1.59 2.45 3.68 3.31
실시예1
(Latex Blend)
2,550 2,960 1.46 2.04 3.25 3.08
1일 후 점도(단위: cps) 점도 경시 변화(단위: 배)
V20 V5 V20 V5
비교예1
(PSR 단독)
2,550 2,640 1.39 1.40
비교예2
(Dry Blend)
3,580 4,320 1.23 1.26
실시예1
(Latex Blend)
2,790 3,000 1.09 1.01
  Max Size (단위: ㎛) 평균 입경 (단위: ㎛)
비교예1
(PSR 단독)
70 8
비교예2
(Dry Blend)
90 20
실시예1
(Latex Blend)
40 5
  Oxygen Index (단위: %) Smoke density
비교예1
(PSR 단독)
22 160
비교예2
(Dry Blend)
23 152
실시예1
(Latex Blend)
25 137
상기 결과들을 통해, 실시예 1은 비교예 1 및 2보다 정점도 및 유동전도가 저하되었으며, 점도의 경시 변화 비율이 낮았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 및 2보다 분산성, 열안정성 및 난연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3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기존 대비, 입도 분포 및 조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 및 난연제는 1:99 내지 99: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평균중합도 500 내지 2500이고,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5.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공정;
    상기 중합 공정으로 얻어진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와 난연제의 블렌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블렌드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1항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삼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 라텍스는
    a)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 유화제, 유용성 중합 개시제, 및 난연제를 수성 용매 중에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미세 현탁 중합하는 단계; 또는
    b)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와의 혼합물을 수성 매체 중에서 유화제, 수용성 중합개시제 및 난연제를 첨가하고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150170780A 2014-12-02 2015-12-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6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0405 2014-12-02
KR1020140170405 2014-12-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84A Division KR101944903B1 (ko) 2014-12-02 2017-11-10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30A true KR20160066530A (ko) 2016-06-10

Family

ID=561907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780A KR20160066530A (ko) 2014-12-02 2015-12-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0149684A KR101944903B1 (ko) 2014-12-02 2017-11-10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84A KR101944903B1 (ko) 2014-12-02 2017-11-10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66530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813A (ja) 2001-03-28 2002-10-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ゾ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903B1 (ko) 2019-02-01
KR20170126841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335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23077A1 (en) Vinyl chloride resin with low viscosity for foaming applica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445240B1 (ko)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828B1 (ko) 경시 점도 변화가 적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293377B1 (ko)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101596996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블렌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51279A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44903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KR101892703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10524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68458B1 (ko) 가소제 흡수율이 작은 플라스티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의제조방법
KR101433998B1 (ko) 비발포성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881A (ko) 투명하고 고전단 점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로 제조되는 성형품
KR101620140B1 (ko) 염화비닐계 수지용 포스트 중합 첨가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2345310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4879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용 점도저하제 및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점도조절 방법
KR101424891B1 (ko)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1848B1 (ko) 입자뭉침과 반응기 벽면부착 함량이 적은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1338652B1 (ko)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JP2007284512A (ja)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粉末の製造方法
JPH06220280A (ja)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14334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KR100767961B1 (ko) 저점도 플라스티졸 가공용 염화비닐수지의 제조방법
KR101869457B1 (ko) 고형분이 높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10001092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