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32A -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32A
KR20160066332A KR1020140170565A KR20140170565A KR20160066332A KR 20160066332 A KR20160066332 A KR 20160066332A KR 1020140170565 A KR1020140170565 A KR 1020140170565A KR 20140170565 A KR20140170565 A KR 20140170565A KR 20160066332 A KR20160066332 A KR 20160066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hub
hollow shaft
bear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606B1 (ko
Inventor
최원준
유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6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2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 B60B35/08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of closed hollow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휠 측(2) 단부로부터 너트조립부(130), 허브조립부(120) 및 베어링조립부(110)가 단이 지게 형성되는 중공샤프트(1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베어링조립부(110)에 조립되어, 차체와 상기 중공샤프트(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베어링(2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에 조립되어, 기어측(1)으로부터 상기 중공샤프트(100)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휠 측(2)으로 전달하는 허브(300); 및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조립되어, 상기 베어링(200) 및 상기 허브(300)가 상기 중공샤프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킹너트(4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와 허브의 기능을 분리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중량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A STRUCTURE OF HOLLOW AXLE SHAF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슬 샤프트를 경량화하기 위해 중공샤프트를 적용한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엑슬 샤프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를 참조할 때, 리어 액슬을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전달된 구동력을 증배하는 종감속 기어, 선화시 좌우 회전수 차이를 흡수하는 차동 기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액슬하우징 및 동력을 전달하는 액슬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리어 액슬은 하중의 지지 방식에 따라 전부동식(Full Floating) 액슬과 반부동식(Semi Floating) 액슬로 구분된다. 전부동식 액슬은 액슬 샤프트가 비틀림 토크만 전달하고, 차량의 하중은 액슬 하우징에서 지지하는 구조이고(도 1(b) 참조), 반부동식 액슬은 액슬 샤프트가 비틀림 토크 및 차량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이다(도 1(c) 참조). 일반적으로 전부동식 액슬은 적재 하중이 큰 소형트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반부동식 액슬은 승합차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다.
반부동식 액슬 샤프트는 비틀림 토크를 휠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차량의 하중을 액슬 샤프트에 전달한다. 따라서 반부동식 액슬 샤프트는 비틀림과 굽힘 모멘트를 동시에 받고 있다. 굽힘 모멘트 선도(도 2(b))와 같이 사이드 기어에서 휠베어링 측으로 굽힘 모멘트가 증가됨으로써, 기어측 스플라인부는 순수 비틀림 모멘트를 기준으로 최소경으로 설정되고, 휠베어링부로 이동할수록 액슬 샤프트의 직경은 단계적으로 증가한다(도 2(c)참조). 이에 따라 스프링 하부 중량(Unsprung Mass) 증가로 이어져 뒷좌석의 승차감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부동식 액슬 샤프트는 도 3(a)와 같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휠베어링이 샤프트에 조립되고, 베어링에 예하중(pre-load)을 주기 위한 리테이너가 압입되고, 압입된 리테이너가 빠지지 않도록 스냅링으로 최종 고정한다. 따라서 리테이너 및 스냅링의 중량으로 인해 스프링 하부 중량(Unsprung Mass) 증가로 이어져 뒷좌석의 승차감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샤프트 경량화를 위해 중공샤프트가 활발히 적용되는 추세이나, 도 3(b)에서와 같이 액슬샤프트는 베어링 조립 및 휠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플랜지) 구조가 추가되어 형상이 복잡한 관계로, 기존의 중공샤프트 제조공법을 활용하여 제작하는데 기술적인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단조 공법을 적용하여 샤프트를 허브와 일체로 성형하므로, 과다한 런아웃(Run-Out)이 발생한 경우에는 별도의 런아웃 교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1188호(1998.1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 액슬 샤프트 적용을 위하여 기존의 액슬 샤프트 구조에서 샤프트와 허브의 기능을 분리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휠 측(2) 단부로부터 너트조립부(130), 허브조립부(120) 및 베어링조립부(110)가 단이 지게 형성되는 중공샤프트(1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베어링조립부(110)에 조립되어, 차체와 상기 중공샤프트(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베어링(2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에 조립되어, 기어측(1)으로부터 상기 중공샤프트(100)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휠 측(2)으로 전달하는 허브(300); 및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조립되어, 상기 베어링(200) 및 상기 허브(300)가 상기 중공샤프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킹너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기어측(1) 중공 및 상기 휠 측(2)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샤프트(100)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커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베어링(2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200)의 외주 면에 접하는 실린더 형상의 베어링커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베어링(200)과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오일 씰(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베어링커버(600)와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이물질로부터 오일 씰(7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허브(300)와 상기 더스트커버(800)를 고정하고, 상기 휠 측(2)에 연결되는 휠을 지지하는 허브볼트(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샤프트(100)는 스웨이징, 레이디얼 포징, 압출 또는 마찰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와 상기 허브(300)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와 상기 코킹너트(400)가 볼트-너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제조방법은 중공샤프트(100)에 오일커버(200)를 압입하여 제 1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100); 베어링 커버(600)에 오일씰(700)을 압입하여 제 2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200); 허브(300)와 더스트커버(800)를 밀착하여 배치한 후, 허브볼트(900)를 상기 허브(300) 및 상기 더스트커버(800)의 관통공에 압입하여 제 3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300); 상기 제 1 조립체에 베어링(200)을 압입하여 제 4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400); 상기 제 4 조립체에 상기 제 2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5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500); 상기 제 5 조립체에 상기 제 3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6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제 6 조립체에 코킹너트(400)를 체결하고 코킹하는 체결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와 허브의 기능을 분리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중량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종별 휠 트레드 변경시 샤프트의 길이만 변경함으로써 구조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허브측은 휠 트레드 변경과 관계없이 공용화가 가능하여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중공샤프트의 적용으로 고유 진동수가 증대되어, 샤프트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중공샤프트의 제조시 단조공법이 아닌 샤프트 정밀 성형을 통해, 런아웃(Run-Out)량을 축소시켜 샤프트의 강도 및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엑슬 샤프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부동식 엑슬 샤프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에서 중공 샤프트를 제조하는 공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는 중공샤프트(100), 베어링(200), 허브(300), 코킹너트(400), 오일커버(500), 베어링커버(600), 오일씰(700), 더스트커버(800), 허브볼트(900)을 포함한다.
중공샤프트(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휠 측(2) 단부로부터 너트조립부(130), 허브조립부(120) 및 베어링조립부(110)가 단이 지게 형성된다. 즉, 종래기술과 달리 허브측이 분리된 액슬샤프트를 중공샤프트로 성형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베어링(200)은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베어링조립부(110)에 조립되어, 차체와 상기 중공샤프트(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베어링(200)을 통해 차체의 하중이 중공샤프트에 전달되게 된다.
허브(300)는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에 조립되어, 기어측(1)으로부터 상기 중공샤프트(100)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휠 측(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액슬샤프트와 허브가 일체로 성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공샤프트(100)와 허브(300)를 분리하고, 조립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차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와 상기 허브(300)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플라인(Spline)은 축이나 보어(bore)에 절삭된 그루브(groove)나 홈을 말한다. 축의 스플라인은 보어 내의 스플라인에 맞도록 되어 있어 두 부품이 길이 방향으로 섭동은 가능하면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공샤프트(100)의 허브조립부(120)와 허브(300)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중공샤프트(100)와 허브(3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측(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은 중공샤프트(100)는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30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허브(300)는 다시 휠 측(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코킹너트(400)는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조립되어, 상기 베어링(200) 및 상기 허브(300)가 상기 중공샤프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와 상기 코킹너트(400)가 볼트-너트 결합되는 것이다. 코킹(Caulking)이란 리벳 체결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끝이 뭉뚝한 정을 사용하여 리벳 머리, 판의 이음부, 가장자리 등을 쪼아서 틈새를 없애는 작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킹너트(400)가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볼트-너트 결합된 후 상기 코킹너트(400)를 가공하여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밀착되도록 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일커버(500)는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기어측(1) 중공 및 휠 측(2)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샤프트(100)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커버(600)는 상기 베어링(2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200)의 외주 면에 접하는 실린더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오일씰(700)은 상기 베어링커버(600)과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오일씰(700)은 베어링커버(600)에 압입된 후, 상기 오일씰(700)의 내측으로 상기 허브(300)가 압입되므로써 밀폐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더스트커버(800)는 베어링커버(600)와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이물질로부터 오일씰(7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더스트커버(800)는 베어링 커버(600)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므로 상기 오일씰(7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허브볼트(900)는 상기 허브(300)와 상기 더스트커버(800)를 고정하고, 휠 측(2)에 연결되는 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어측(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은 중공샤프트(100)는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30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허브(300)는 허브볼트(900)를 통해 다시 휠 측(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에서 중공 샤프트를 제조하는 공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100)는 스웨이징(Swaging), 레이디얼 포징(Radial Forging), 압출(Extrusion) 또는 마찰용접(Friction Welding) 중 어느 하나의 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중공샤프트(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양한 공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샤프트(100)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중 스웨이징 공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샤프트(100)에 비해 마찰용접 공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샤프트(100)가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제조방법은 제 1 조립체 생산단계(S100), 제 2 조립체 생산단계(S200), 제 3 조립체 생산단계(S300), 제 4 조립체 생산단계(S400), 제 5 조립체 생산단계(S500), 제 6 조립체 생산단계(S600), 체결단계(S700)를 포함한다.
제 1 조립체 생산단계(S100)는 중공샤프트(100)에 오일커버(200)를 압입하여 제 1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고, 제 2 조립체 생산단계(S200)는 베어링 커버(600)에 오일씰(700)을 압입하여 제 2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제 3 조립체 생산단계(S300)는 허브(300)와 더스트커버(800)를 밀착하여 배치한 후, 허브볼트(900)를 상기 허브(300) 및 상기 더스트커버(800)의 관통공에 압입하여 제 3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제 4 조립체 생산단계(S400)는 상기 제 1 조립체에 베어링(200)을 압입하여 제 4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즉, 제 1 조립체의 중공샤프트(100)의 베어링조립부(110)에 상기 베어링(200)을 압입하여, 중공샤프트(100)와 베어링조립부(1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제 5 조립체 생산단계(S500)는 상기 제 4 조립체에 상기 제 2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5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즉, 오일씰(700)이 압입된 베어링커버(600)에 베어링(200)을 압입하여 베어링커버(600)와 베어링(200)을 연결하는 것이다.
제 6 조립체 생산단계(S600)는 상기 제 5 조립체에 상기 제 3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6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즉, 중공샤프트(100)의 허브조립부(120)에 상기 허브(300)를 압입하여 중공샤프트(100)와 허브(30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중공샤프트(100)와 허브(300)는 스플라인 결합하므로, 기어측(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은 중공샤프트(100)는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30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허브(300)는 다시 휠 측(2)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체결단계(S700)는 상기 제 6 조립체에 코킹너트(400)를 체결하고 코킹하는 단계이다. 즉, 중공샤프트(100)의 너트조립부(130)에 상기 코킹너트(400)가 볼트-너트 결합된 후 상기 코킹너트(400)를 가공하여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밀착되도록 체결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베어링의 수명 확보를 위해 리테이너를 압입하여 예하중(pre-load)을 가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샤프트(100)의 가공으로 베어링 내륜부를 고정하고, 허브측에서 너트로 체결하여 적정한 예압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리테이너와 스냅링을 삭제하여 조립공수를 절감하고 프레스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리테이너의 고정 방식은 압입하중의 조정이 쉽지 않으므로 예하중의 조절이 어렵지만, 본 발명은 너트의 체결 토크 관리를 통해 베어링 예하중(pre-load)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베어링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기어측
2 휠 측
100 중공샤프트
110 베어링조립부
120 허브조립부
130 너트조립부
200 베어링
300 허브
400 너트
500 오일커버
600 베어링커버
700 오일씰
800 더스트커버
900 허브볼트

Claims (10)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휠 측(2) 단부로부터 너트조립부(130), 허브조립부(120) 및 베어링조립부(110)가 단이 지게 형성되는 중공샤프트(1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베어링조립부(110)에 조립되어, 차체와 상기 중공샤프트(1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베어링(200);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에 조립되어, 기어측(1)으로부터 상기 중공샤프트(100)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휠 측(2)으로 전달하는 허브(300); 및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에 조립되어, 상기 베어링(200) 및 상기 허브(300)가 상기 중공샤프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킹너트(400);
    를 포함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기어측(1) 중공 및 상기 휠 측(2)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샤프트(100)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일커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2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200)의 외주 면에 접하는 실린더 형상의 베어링커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200)과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오일 씰(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커버(600)와 상기 허브(300)의 사이에 게재되어, 이물질로부터 오일 씰(7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300)와 상기 더스트커버(800)를 고정하고, 상기 휠 측(2)에 연결되는 휠을 지지하는 허브볼트(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100)는 스웨이징, 레이디얼 포징, 압출 또는 마찰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허브조립부(120)와 상기 허브(300)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100)의 상기 너트조립부(130)와 상기 코킹너트(400)가 볼트-너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10. 중공샤프트(100)에 오일커버(200)를 압입하여 제 1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100);
    베어링 커버(600)에 오일씰(700)을 압입하여 제 2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200);
    허브(300)와 더스트커버(800)를 밀착하여 배치한 후, 허브볼트(900)를 상기 허브(300) 및 상기 더스트커버(800)의 관통공에 압입하여 제 3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300);
    상기 제 1 조립체에 베어링(200)을 압입하여 제 4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400);
    상기 제 4 조립체에 상기 제 2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5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500);
    상기 제 5 조립체에 상기 제 3 조립체를 압입하여 제 6 조립체를 생산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제 6 조립체에 코킹너트(400)를 체결하고 코킹하는 체결단계(S700);
    를 포함하는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40170565A 2014-12-02 2014-12-02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65A KR101664606B1 (ko) 2014-12-02 2014-12-02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65A KR101664606B1 (ko) 2014-12-02 2014-12-02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32A true KR20160066332A (ko) 2016-06-10
KR101664606B1 KR101664606B1 (ko) 2016-10-10

Family

ID=5619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65A KR101664606B1 (ko) 2014-12-02 2014-12-02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6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689A (ko) 1998-12-30 2000-07-15 김종수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JP2008114801A (ja) * 2006-11-07 2008-05-22 Toyota Industries Corp ハブ固定構造
KR20110121399A (ko) * 2010-04-30 2011-11-07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일체 차축식 현가장치의 허브 베어링 및 샤프트 장치
KR20140022226A (ko) * 2012-08-13 2014-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분 스웨이징을 이용한 중공 액슬 샤프트의 제조방법
KR20140077712A (ko) * 2012-12-14 2014-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베어링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689A (ko) 1998-12-30 2000-07-15 김종수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JP2008114801A (ja) * 2006-11-07 2008-05-22 Toyota Industries Corp ハブ固定構造
KR20110121399A (ko) * 2010-04-30 2011-11-07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일체 차축식 현가장치의 허브 베어링 및 샤프트 장치
KR20140022226A (ko) * 2012-08-13 2014-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분 스웨이징을 이용한 중공 액슬 샤프트의 제조방법
KR20140077712A (ko) * 2012-12-14 2014-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베어링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606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5819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WO2013161880A1 (ja) 車輪用軸受装置
US10000119B2 (en) Constant velocity drive assembly
KR20140141598A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WO2014069137A1 (ja) 車輪用軸受および軸受装置
JP2007046703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WO2006095603A1 (ja) 車輪用軸受装置
US7665900B2 (en) Vehicle wheel bearing apparatus
JP2001080308A (ja) 車輪軸受装置
JP4499075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5331385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KR101664606B1 (ko)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7069704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4034511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2007331509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2006112532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15031303A (ja) 車輪用軸受装置
JP4319208B2 (ja) 駆動車輪用軸受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7047716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6312459A5 (ko)
JP5143442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6109786B2 (ja) 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車輪用軸受装置の製造方法
CN210196447U (zh) 一种车桥轮边密封结构
JP2000135903A (ja) 駆動車輪用軸受ユニット
JP2004211820A (ja) 車輪用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