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689A -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689A
KR20000044689A KR1019980061188A KR19980061188A KR20000044689A KR 20000044689 A KR20000044689 A KR 20000044689A KR 1019980061188 A KR1019980061188 A KR 1019980061188A KR 19980061188 A KR19980061188 A KR 19980061188A KR 20000044689 A KR20000044689 A KR 2000004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rear view
view mirror
ang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남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1998006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689A/ko
Publication of KR2000004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사경 위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했을때, 사각지대가 없는 운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은, 후사경의 이동각도에 따라서 특정 버튼을 세팅하는 단계와; 후사경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다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세팅하기 위한 단계와; 특정버튼에 의한 소정각도로 후사경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단계와; 이전 세팅위치로 후사경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했을때, 사각지대가 없는 운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자동차 후사경 조절방법은 단순히 수동동작을 대신하기 위한 대안으로 설계되어 있다. 즉, 자동차 운행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로 자동 조정버튼을 누르면, 후사경이 일정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운행자가 원하는 위치에 후사경이 위치하면, 다시 한번 자동 조정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후사경 조절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과정도이다.
종래의 자동차 후사경 조절방법은, 자동차 운행자가 자동차 출발전에 후사경의 상태를 판단하고 조절의 필요성이 있을 때, 운전석에 앉은 상태로 자동 조정버튼을 누른다(제 100 단계).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동 조정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자동 조정버튼을 인식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서 후사경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였다(제 102 단계).
이후, 상기 구동모터 및 후사경과 연결된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동력이 전달되면서 후사경의 회전이 시작되고(제 104 단계), 후사경이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다시 한번 자동조정버튼의 누름에 의해서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후사경은 최적환경으로 세팅되었다(제 106 단계).
즉, 종래의 후사경 조절방법은 단순히 수동동작을 대신하기 위한 대안으로만 설계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 운행자가 한번 후사경을 세팅한 후, 우발적인 접촉에 의하여 후사경의 각도가 뒤틀려지지 않는한 다시 후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필요성을 갖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후사경 조절방법은 후사경의 조절이 이루어지기까지 소정의 시간과 운행자의 후사경 회전을 감시하는 번거로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동차 운행 중에 후사경의 조절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자동차 운행자의 경우, 자동차 출발전에 후사경의 조절상태를 확인, 조절하는 것이 전부였었다.
그래서 자동차의 진입각도가 큰 간선도로에 진입했을 때, 자동차 운행자는 후사경의 조작을 수행하는 번거로움과 후사경 조작에 소요되는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서 후사경의 조작없이 주행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서 자동차 주행이 행해질 때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후사경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후사경의 위치제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했을 때, 후사경의 이동 제어에 의한 사각지대가 없는 최적의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후사경 조절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조절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 후사경의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전달 흐름도,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조절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터 3 : 워엄
5 : 워엄휘일 7,12 : 회전축
9 : 워엄휘일커플링 11 : 푸시로드
13 : 후사경 15 : 키입력부
17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은, 후사경의 이동각도에 따라서 특정 버튼을 세팅하는 단계와; 후사경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다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세팅하기 위한 단계와; 특정버튼에 의한 소정각도로 후사경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단계와; 이전 세팅위치로 후사경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은, 후사경이 연속적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는 자동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조정단계는, 자동차 운행자가 자동조정버튼을 눌렀을 때, 후사경 및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에 동력이 전달되면서 후사경이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운행자는 후사경의 회전이동을 감시하다가 원하는 위치에 이르렀을 때, 다시 한번 자동조정버튼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후사경을 원하는 위치에서 세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은, 후사경의 이동각도가 세팅되어 있는 특정 버튼 선택시에, 설정되어 있는 각도만큼 후사경이 이동된 후, 후사경의 위치가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 버튼에 의한 후사경의 각도조절단계는,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하는 과정과 같은 경우에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은, 자동차가 간선도로를 완전히 벗어났을 때, 다시 자동차 후사경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복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조절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후사경은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보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넓게 후방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의 회전을 위한 회전장치는, 모터(1)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워엄(3), 그리고 상기 워엄(3)과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휘일(5), 회전축(7)을 중심으로 상기 워엄휘일(5)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워엄휘일커플링(9), 상기 워엄휘일커플링(9)의 회전에 따라 푸시로드(11)에 의하여 회전하는 후사경(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에서의 회전은 위엄(3)을 통하여 워엄휘일(5)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워엄휘일(5)의 회전은 회전축(7)을 중심으로 워엄휘일커플링(9)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워엄휘일(5)과 워엄휘일커플링(9)은 푸시로드(11)를 동작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고, 동일한 하나의 부재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워엄휘일(5)을 하나의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성형되는 치형을 상기 워엄(3)과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워엄휘일커플링(9)에 일단이 힌지연결된 푸시로드(11)의 타단은, 회전축(1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후사경(13)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11)가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사경(13)은 회전축(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사경(13) 자체를 회전축(1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후사경(13)을 푸시로드(11)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예는 후사경(13)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에 불과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이 충분히 가능하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 후사경의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전달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 후사경은, 일정각도로 연속적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자동조정과정과, 소정의 각도를 특정 번호에 세팅한 후, 그 각도만큼을 즉시 위치 조정하는 과정과, 그리고 다시 이전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과정에 따라서 구분하여 설명된다.
먼저 자동차 운행자는 간선도로 진입시와 같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후사경의 조절각도, 또는 특정 곳에서 이용될 수 있는 후사경의 조절각도를 특정 번호에 의해서 설정시켜둔다. 즉, 제어부(17)의 제어하에 모터(1)가 구동되어 소정각도만큼 후사경(13)이 회전되어 일정 위치에 도착했을 때, 상기 키입력부(15)를 통해서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번호에 현재 후사경(13)의 이동위치만큼의 각도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7)는 후사경(13)의 조절각도와 그 조절각도에 해당하는 번호, 그리고 이때 회전되야 하는 모터(1)의 회전수 등을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임의의 번호에 후사경의 일정 이동각도를 세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후사경의 일정 이동각도를 세팅하는 과정은 자동차 운행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자동차가 출하되기 전단계에서 이미 세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운행자는 키입력부(15)에서 자신이 원하는 버튼을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후사경의 자동조정버튼을 선택했을 때, 제어부(17)는 모터(1)에 후사경(13)의 순차적인 위치변환을 지시한다. 따라서 모터(1)는 상기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모터(1)의 회전에 따른 동력이 워엄(3)과 워엄휘일(5)을 통해서 후사경(13)에 전달되어서, 상기 후사경(13)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사경(13)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자동차 운행자는 운전석의 자리에서 후사경(13)의 이동위치를 감시하다가 후사경(13)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다시한번 키입력부(15)를 통해서 자동조정버튼을 입력한다.
제어부(17)는 키입력부(15)를 통해서 자동조정버튼이 다시 입력되면, 정지명령으로 인식하여, 모터(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따라서 후사경은 운행자가 원하는 최적의 환경으로 세팅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이 도 3에서 A루트에 의한 진행과정이다.
다음,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했을 경우, 자동차 운행자가 이때 후사경의 조절위치에 따른 특정번호를 인식하고 있다면, 키입력부(15)를 통해서 특정번호를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특정번호는 제어부(17)에 입력되고, 제어부(17)는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후사경의 조절각도만큼 모터(1)를 구동한다. 이렇게 해서 모터(1)는 일정량만큼 구동되고, 상기 모터(1)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후사경(13)은 소정각도까지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후사경의 조절각도에 따른 모터(1)의 회전수 등을 제어부(17)에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후사경의 위치조절은 매우 빠르게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7)는 인식하고 있는 회전수만큼, 모터를 빠르게 회전한 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17)에서 원하는 만큼 모터(1)가 구동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모터(1)의 구동은 정지되고, 후사경(13)는 일정각도에서 세팅된다. 상기 특정번호에 세팅된 조절각도만큼의 후사경 이동 동작은 도 3의 B루트에 도시하고 있다.
그 다음에, 자동차가 완전히 간선도로에 진입한 후, 다시 후사경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면, 키입력부(15)의 복원키를 선택한다(도 3의 C루트). 그러면, 자동차 후사경(13)은 간선도로 진입할 때, 특정번호에 따른 후사경의 투사각도에서 다시 자동조정에 의한 투사각도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복원키의 선택에 따른 후사경의 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후사경의 현재 세팅상태에 대한 제어부(17)의 데이터 저장이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즉, 후사경의 현재 조절상태에 대한, 이동각도 및 모터의 회전수 등을 제어부(17)는 저장하게 되고, 이후 다음 단계에 의한 후사경의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에 복원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이전 저장되었던 데이터에 기초해서 후사경의 위치를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조절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7)는 키입력부(15)를 통해서 임의의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 200 단계).
그리고 입력된 버튼이 어떤 명령을 갖고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 몇 번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 202 단계).
상기 제 202 단계에서 1번, 2번, 3번 버튼이 입력되었을때는, 입력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각도(θ1,θ2,θ3)만큼, 후사경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모터(1)의 회전을 제어한다(제 204 단계 내지 제 210 단계).
또한, 상기 제 202 단계에서 5번 버튼이 입력되었을때는, 제 212 단계로 진행하여, 후사경(13)의 위치를 초기화시키게 된다. 이때 후사경(13)의 위치 초기화는, 자동차 출하단계에서의 후사경의 위치상태 등으로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후사경(13)의 조절이 가장 간편해질 수 있는 위치상태 등으로 초기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02 단계에서 제어부(17)로 입력된 버튼이 자동조정에 따른 버튼 4가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17)는 후사경의 각도(θr)가 최대 후사경의 각도(θ4)에 도달하기까지 모터(1)의 구동을 제어한다(제 214 단계 및 제 216 단계).
그리고 상기 제 216 단계에 의한 모터(1)의 구동이 행해지는 과정에서 후사경이 자동차 운행자가 보기에 가장 적당한 위치에 왔을 때, 키입력부(15)에서 다시 한번 자동조정에 의한 버튼 4를 선택한다(제 218 단계).
제어부(17)는 상기 제 218 단계에 의한 버튼 4 입력을 정지명령으로 인식하여, 모터(1)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후사경(13)는 자동차 운행자가 원하는 최적의 환경으로 세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조정버튼에 의한 모터(1)의 연속적인 작동으로, 후사경(13)을 움직이게 하고, 후사경이 원하는 위치에 오면, 다시한번 자동조정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후사경의 위치를 세팅하는 자동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동차 운행자는 자동차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후사경의 위치를 최적인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사경의 이동각도가 미리 세팅되어 있는 임의의 버튼이 입력되면, 그 각도만큼 후사경의 위치를 제어하여서 후사경의 위치를 세팅하는 특정 번호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후사경의 위치 제어는 기설정된 모터의 회전수 및 후사경의 조절각도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하나의 키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자동차가 간선도로에 진입할 때, 쉽게 후사경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가 완전히 간선도로에 진입하였을때는, 복원버튼을 눌러서, 예전 상태로 후사경의 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복귀조정이 가능하므로, 자동차 운행자는 자동차 주행 중에도 후사경의 위치를 편리하면서도 빨리 조정할 수 있어서 자동차 주행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선도로 진입시에, 간편하게 후사경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사각지대가 없는 후사경을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사경의 이동각도에 따라서 특정 버튼을 세팅하는 단계와;
    후사경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다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세팅하기 위한 단계와;
    특정버튼에 의한 소정각도로 후사경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단계와;
    이전 세팅위치로 후사경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후사경위치조절방법.
KR1019980061188A 1998-12-30 1998-12-30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KR20000044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188A KR20000044689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188A KR20000044689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689A true KR20000044689A (ko) 2000-07-15

Family

ID=1956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188A KR20000044689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32A (ko)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8868A (ko) * 2017-08-16 2019-02-26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룸 미러 자동 설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32A (ko)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공 액슬 샤프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8868A (ko) * 2017-08-16 2019-02-26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룸 미러 자동 설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9057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00044689A (ko) 자동차의 후사경위치조절방법
JPS6343255B2 (ko)
JP307024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993325B2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装置
KR100341302B1 (ko) 차량용 선바이저 각도 조절장치
KR100189318B1 (ko) 후진시 속도감응 백미러 반사각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1349427A (ja) Hstトラニオン軸駆動装置
KR100454982B1 (ko) 자동차의 페달레버 조절장치
KR970001051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향 제어회로
JPH01195173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950015022B1 (ko) 자동차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JPH057540U (ja) 自動車用電動ミラー装置
KR19980044951A (ko) 차량속도에 따른 사이드 미러 반사각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H0932365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3788067B2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制御装置
KR930005183Y1 (ko)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KR19980030294U (ko) 자동차의 룸미러 제어장치
KR19990075454A (ko) 차량의 전동미러 자동조절장치
JPH0117467Y2 (ko)
KR20220021622A (ko) 사이드 미러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6916A (ko) 조향핸들의 조향각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조절방법
KR100351412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위치제어장치
JP2000127853A (ja) ミラー駆動方法及び車両用電動式ミラー装置
KR10022127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틸트위치 자동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