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83Y1 -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83Y1
KR930005183Y1 KR2019900012100U KR900012100U KR930005183Y1 KR 930005183 Y1 KR930005183 Y1 KR 930005183Y1 KR 2019900012100 U KR2019900012100 U KR 2019900012100U KR 900012100 U KR900012100 U KR 900012100U KR 930005183 Y1 KR930005183 Y1 KR 930005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ange
motor
gea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261U (ko
Inventor
박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83Y1/ko
Publication of KR920004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2807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using electric control signals for shift actuators, e.g. electro-hydraulic control therefor
    • F16H61/2815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using electric control signals for shift actuators, e.g. electro-hydraulic control therefor with a control using only relays and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변속 스위치 시스템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 역회전 모우터 2, 2' : 스퍼어 기어
3, 3' : 릴레이 4, 4' : 마이크로스위치
5-10 : 마이컴 A1 : 섹터기어(Sector gear)
A2 : 레인지 스위치 센서고정판 A3 : 섹터아암
A4 : 메뉴얼레버(manual lever) A5 : 레인지 스위치(L, 2, D, N, R, P)센서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의 자동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를 제거한 다음 전기적 스위치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콘트롤 하도록 한 자동 변속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 장치를 갖춘 자동차를 운행할 경우에는 변속레버를 선택하고져 하는 레인지(range)에 위치하고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라 적정한 변속비로 자동 또는 연속적으로 변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로서 설명하면, 변속레버(B30)를 적정한 레인지(range)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변속레버(B30)와 연결된 변속케이블(B20)에 의하여 메뉴얼 로드(B10)를 작동시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는 선택된 레이지와 가속페달의 비례에 적당하게 가속되면서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변속장치에 있어서 변속레버(B30)가 한정된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고 있어, 실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축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져 안출한 것으로서 한정된 차량의 실내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공간을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자동차를 최초 가동시키는 스타트 스위치(IGSW)를 각 레인지 스위치(L, 2, D, N, R, P) 일측에 연결하며, 상기 레인지 스위치(L, 2, D, N, R, P) 타측은 현재의 속도와 레인지 값을 비교하는 수단과, 모우터의 회전 시간을 제어하도록 메모리된 수단을 갖춘 마이컴(5-10) 입력측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7-10) 출력측 일단을 공통 접속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7-10) 출력측 이단을 공통 접속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7-10) 출력측 이단을 공통 접속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5-6) 출력측 일단을 공통 접속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 4')에 의해 모우터(1)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단속하는 릴레이(3, 3')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공급전원(B+)이 연결된 릴레이(3, 3') 접점 사이에 스피어 기어(2)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연결된 정, 역 회전 모우터(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제3도는 상기 모우터(1)의 작동에 의해 메뉴얼 레버(A4)를 구동하게 되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모우터(1)에 장착된 스피어기어(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모우터(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우터(1)에 장착된 스피어기어(2')보다 잇수를 크게한 스피어기어(2)를 섹터기어(A1)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이 스피어기어(2)의 회전에 의해 매뉴얼 레버(A4)가 구동될 수 있도록 섹터기어(A1)가 있는 섹터아암(A3)을 구성한다.
이때 섹터아암(A3)의 회전각이 커져 원하는 변속 레인지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콘트롤을 하기위해 상기 제2도 설명에서 도시된 레인지 스위치 센서(A5)를 각 변속 레인지에 해당되게 레인지 스위치 센서고정판(A2)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 제3도의 병합하여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자동차를 최초 기동하는 스타트 스위치(IGSW)를 "온(ON)"된 상태에서 변속하고져 하는 레인지 스위치(L, 2, D, N, R, P)를 터치(ON)한다.
예를 들어 레인지 스위치(2→D) 선택할 경우, 상기 레이지 스위치(D)에 연결된 마이컴(9)에 신호가 인가된다.
즉 현재의 속도 상태와 선택된 레인지 값을 비교하는 수단과, 모우터의 회전 시간을 제어하도록 메모리된 수단을 갖춘 마이컴(9)으로 부터 각 마이크로 스위치(4, 4')로 제어 신호를 설정시간 만큼 출력한다.
따라서 마이컴(9)에서 선택 출력된 제어시간 만큼 각 마이크로 스위치(4)로 출력하면,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A)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레이(R1)의 릴레이 코일(R-1)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의 영향으로 릴레이 스위치(R-2)를 접점(1)에 유지시킨다.
상기와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C)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에이 코일(R-3)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의 영향으로 릴레이 스위치(R-4)를 접점(3)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공급전원(B+)은 노드점(A)을 경유 릴레이 스위치(R-2)의 접점(1)과 릴레이 스위치(R-4)의 접점(3)을 통해 모우터(1)에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모우터(1)는 정회전하여, 레인지 스위치 센서고정판(A2)에 설치된 레인지 스위치 센서(D)에 위치함과 동시에 모우터(1) 작동을 오프시킨다.
이어서 운전자가 레인지 스위치(D→2)를 선택할 경우, 상기 레인지 스위치(2)에 연결된 마이컴(8)에 신호가 인가된다.
즉 마이컴(8)으로 부터 각 마이크로 스위치(4, 4')로 출력된 제어 신호 출력만큼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B)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레이 코일(R-1)의 기자력의 영향이 차단되고, 동시에 릴레이 스위치(R-2)를 접점(2)에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의 마이콤(8)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는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D)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레이 코일(R-3)의 기자력의 영향이 차단되고, 동시에 릴레이 스위치(R-4)를 접점(4)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공급전원(B+)은 노드점(A)을 경유 릴레이 스위치(R-4)의 접점(4)과 릴레이 스위치(R-2)의 접점(2) 통해 모우터(1)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우터(1)는 역회전하여, 레인지 스위치 센서고정판(A2)에 설치된 레인지 스위치 센서(2)에 위치함과 동시에 모우터(1) 작동을 오프시킨다.
따라서 모우터(1)의 구동에 의하여 스퍼어 기어(2')가 회전하면서 맞물린 스퍼터 기어(2)와 섹터기어(A1)가 기동하여 섹터아암(A3)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메뉴얼 레버(A4)는 선택된 레이지에 적정하도록 미도시된 자동차 변속기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4, 4')는 섹터기어(A1)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정, 역회전 모우터(1)를 2차 단속하여 정확한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종래의 선택레버가 차량의 한정된 공간내에 위치하던 것을 제거하여, 레인지 스위치 버턴으로서 원하는 레인지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내의 공간을 확보, 활용함과 동시에 간단한 스위치로서, 적정 레인지를 콘트롤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스타트 스위치와, 레인지 스위치(L, 2, D, N, R, P)와, 현재의 속도 상태와 선택된 레인지 값을 비교하는 수단과, 모우터의 회전 시간을 제어하도록 메모리된 수단을 구비한 마이컴(5-10)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5-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3, 3')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 4'), 모우터(1)의 정회전과 역회전 단속하는 릴레이(3, 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회로.
  2. 정, 역회전 모우터(1)에 회전하도록 된 스피어 기어(2')를 장착하고, 이 스피어기어(2')와 맞물려 돌아가되 회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잇수가 커진 또 다른 스피어기어(2)를 설치하여 레인지를 선택하는 섹터아암(A3)에 형성된 섹터기어(A1)와 맞물려 돌아가게 하며, 섹터아암(A3)의 위치를 단속하여 정확한 레인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레인지 스위치 센서고정판(A2)에 레인지 스위치센서(A5)를 개재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KR2019900012100U 1990-08-10 1990-08-10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KR930005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100U KR930005183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100U KR930005183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61U KR920004261U (ko) 1992-03-25
KR930005183Y1 true KR930005183Y1 (ko) 1993-08-09

Family

ID=1930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100U KR930005183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61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982B2 (ja) 操作装置
JP3716837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自動変速機のレンジ選択装置
US9166520B2 (en) Range switching device
US20140139171A1 (en) Range switching device
JP2002323127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ンジ切換装置
US4335919A (en) Seat reclining device
KR930005183Y1 (ko) 자동변속 스위치 시스템
US20140251051A1 (en) Range switching device
JP486865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ンジ切換装置
JP3602993B2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制御装置
JPS6337729B2 (ko)
JP2007107673A (ja) レンジ切換装置の制御装置
US4669562A (en) Power take-off apparatus in automotive vehicle
JP3477798B2 (ja) 自動変速機の電動式レンジ切換装置
JPH0510435A (ja) 電動式シフト制御装置
JP5234309B2 (ja) 変速制御装置
JPH0526988B2 (ko)
JP2007139102A (ja) 車両のレンジ切換え装置
JP3021857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11746895B2 (en) Shift range device
JPH05322038A (ja) 電動式シフト制御装置
KR20000031472A (ko) 스위치 제어형 자동 변속시스템
JP2909232B2 (ja) 機関制御装置
JP3587396B2 (ja) 後写鏡の姿勢制御装置
KR200142222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