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959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959A
KR20160064959A KR1020150141516A KR20150141516A KR20160064959A KR 20160064959 A KR20160064959 A KR 20160064959A KR 1020150141516 A KR1020150141516 A KR 1020150141516A KR 20150141516 A KR20150141516 A KR 20150141516A KR 20160064959 A KR20160064959 A KR 2016006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ield
shield plate
contact memb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695B1 (ko
Inventor
다카키 구라치
데츠야 다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생산성을 해치는 일 없이,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배선 기판 B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2)의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를,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근방에 대향 배치시킴과 아울러, 이동 조작에 의해 쉘 개구부(23d)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를 설치하고, 고정 및 가동의 쉴드 플레이트(23c, 14c)에 의해 콘택트 부재(22)의 적어도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외방측으로부터 덮고, 배선 기판 B와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를 양호하게 행함과 아울러,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가 이동 조작될 때까지는, 배선 기판 B와의 접속 부위를 쉘 개구부(23d)를 통해 양호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배선 기판상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콘택트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혹은 동축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의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인쇄 배선 기판에 접속하는데 즈음해서, 전기 커넥터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인쇄 배선 기판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등의 신호 전송 매체가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가 감합(嵌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양쪽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절연 하우징)에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도전성의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를 통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전송 신호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의 영향을 저감하고, 혹은 외부를 향해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부(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이나 콘택트 부재의 외방측을, 얇은 판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쉴드 쉘(shield shell) 부재나 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로 덮어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히 근년에 있어서는, 전송 신호의 가일층의 고주파화가 도모되는데 따라서,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의 주체(主體) 부분 뿐만 아니라,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해서도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없앰과 아울러, 그 콘택트 부재의 접속 부위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의 외부 방사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서는, 콘택트 부재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에 도전성의 테이프를 붙인 것이나, 도전성 쉘을 연장하여 당해 접속 부위를 덮도록 한 것도 있지만, 도전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전성 테이프를 붙인다고 하는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작업 공정이 부가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된다. 또,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을 연장함으로써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는 경우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가 목시(目視)나 화상 검사 등에서의 확인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콘택트 부재 등의 접속 작업이 지장 없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의 검사·확인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734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1-23841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배선 기판상에 실장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가 감합되는 커넥터 본체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당해 커넥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장착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상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다리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그라운드(ground) 접속용의 도전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쉴드 쉘 부재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땜납 접속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해 노출시키는 쉘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쉘 개구부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쉘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는 비(非) 쉴드 위치와, 상기 쉘 개구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쉴드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는, 당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에는, 당해 커넥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커넥터에 장착된 제2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상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다리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쉴드 쉘 부재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땜납 접속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해 노출시키는 쉘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의 커넥터에 상기 쉘 개구부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쉘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는 비 쉴드 위치와, 상기 쉘 개구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쉴드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는, 당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우선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배선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배선 기판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외방측으로부터 덮임과 아울러,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후에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쉘 개구부를 덮도록 회동 조작됨으로써,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배선 기판의 수직 상방측으로부터 가동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배치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고정 쉴드 플레이트가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차폐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의 그라운드 접속이 행해져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이 얻어진다. 또,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쉘 개구부를 덮는 위치까지 회동 조작될 때까지는,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가 쉘 개구부를 통해 외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확인된다.
이 때에,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쉘 부재 또는 제2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에, 감합 보유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는,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과 동시에 콘택트 부재에 대한 전자 차폐를 행하고, 또한 감합 보유 부재의 파지(把持)력에 의해,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속이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행해져 전자 차폐 특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 쉴드 플레이트와 고정 쉴드 플레이트가, 판스프링 형상 부재를 개재하여 양호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상기 감합 작용 위치에 보유하는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잠금부에 의해 양호하게 보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선 기판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의 쉴드 쉘 부재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배선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배선 기판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에 더하여,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후의 이동 조작에 의해 쉘 개구부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이들 고정 쉴드 플레이트 및 가동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콘택트 부재의 적어도 기판 접속 다리부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것으로 하고,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를 양호하게 행함과 아울러,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배치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고정 쉴드 플레이트를 접속하고, 전자 차폐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의 그라운드 접속을 행하여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을 얻으면서,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쉘 개구부를 덮도록 이동 조작될 때까지는,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쉘 개구부를 통해 외방에 노출시켜,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생산성을 해치는 일 없이,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를 커넥터 후방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감합한 직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 있어서 「감합 개방 위치」에 있는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배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도 7에 나타낸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의 하단측 동축 케이블의 단면 위치에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도 7에 나타낸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의 상단측 동축 케이블의 단면 위치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C-C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D-D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의 초기 상태를 커넥터 후방측의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가동 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켜 폐색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감합한 직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 있어서 「감합 개방 위치」에 있는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인쇄 배선 기판측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실시한다.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의 개요]
우선, 도 1~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는, 신호 전송 매체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제1 커넥터(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와 인쇄 배선 기판 B상에 실장된 제2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를 구비한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감합의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대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인쇄 배선 기판 B의 뻗어 있는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2)측에 근접하도록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의 선단측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고, 도 2와 같이 양쪽 커넥터(1, 2)끼리가 감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끼워 넣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내는 방향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이 뻗어 있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이 뻗어 있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하고, 그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당해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끼워 넣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내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는,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1)를 뽑아내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커넥터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부로서의 절연 하우징(11, 21)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절연성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도 6의 지면 수직 방향)을 따라, 콘택트 부재로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가, 적당한 피치 간격으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상술한 양쪽 전기 커넥터(1, 2) 중,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단연(端緣)부(이하, 후단연부라고 한다)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극상으로 병렬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상하의 2단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상단 및 하단의 양쪽 동축 케이블 SC, SC끼리는,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피치 만큼 위치 어긋난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러한 각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는, 특히 도 8~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복재가 벗겨짐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상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선을 따르도록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신호 전송용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관한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상술한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동심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상하 2단의 다극 배열단마다, 도전성의 그라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그라운드 바 G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하 2단의 각 그라운드 바 GB는, 상술한 동축 케이블 SC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각 그라운드 바 GB가,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해서, 납땜이나 코킹(caulking)이나 압접 등에 의해 일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상하 2단의 각 그라운드 바 GB는, 후술하는 도전성 쉘 등을 개재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에 형성된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절연 하우징 및 도전 콘택트 부재]
여기서,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전기 커넥터는, 전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을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절연 하우징(11, 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12, 22)는, 상하 2단의 동축 케이블 SC, SC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상단측의 동축 케이블 SC와 하단측의 동축 케이블 SC의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12, 22)가, 다극 배열 방향으로 교대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측에 설치된 절연 하우징(11)은,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지 등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플러그 커넥터(1)의 내부측에 배치된 커넥터 본체부로서의 본체 지지부(11a)와 그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내부에는, 상술한 상하 2단의 양쪽 그라운드 바 GB, GB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콘택트 GC가 매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부위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가, 절연 하우징(11)의 상하 양쪽 표면의 각각으로부터 노출하는 상태로, 인서트(insert) 성형 또는 압입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2종류의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일방이, 절연 하우징(11)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8 및 도 10 참조),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일방이, 절연 하우징(11)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하도록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도 9 및 도 11 참조), 이들 2종류의 양쪽 도전 콘택트 부재(12)가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설치된 각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후단 부분에는, 상하 2단의 각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각각 땜납 접속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 중심 도체 SCa와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땜납 접합은 일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일괄 땜납 접합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의 전단측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의 상하 양쪽 표면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가, 다극상의 노출 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뻗어 있는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에 맞닿음으로써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이들 도전 콘택트 부재(12, 22)는, 그라운드 접속용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는,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에 대응하여 2종류의 것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들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22) 중의 일방은, 상단측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상방측으로 뻗어 있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8 및 도 10 참조), 타방의 도전 콘택트 부재(22)는, 하단측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하방측으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고(도 9 및 도 11 참조),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측에 설치된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22)가,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상하의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도 8~도 12의 우단측 부분)은,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들 기판 접속 다리부(22a)는, 실제의 사용시(실장시)에 있어서,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상의 신호 도전로 또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올려 놓여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괄적인 땜납 접합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본체 부분은, 상술한 커넥터 후단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일어선 부위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전방측(도 8~도 11의 좌방측)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있어서의 커넥터 전방측의 선단 부분에는, 상하의 다극 배열단마다 하방측 및 상방측을 향해 산(山) 형상으로 튀어나오는 접점 볼록부(2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설치된 접점 볼록부(22b)의 하방측 및 상방측의 각 정부(頂部)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에 대해서, 각각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적인 접촉 관계에 의해, 상술한 양쪽 접점부(12a, 22b)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에 대해서]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각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의 외표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얇은 판상 금속 부재를 적당한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도전성의 제1 및 제2의 쉴드 쉘 부재(13, 23)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쉴드 쉘 부재(13, 23)는, 각 전기 커넥터(1, 2)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호 전송 회로 및 그라운드 회로를 덮음으로써 전자 차폐성(쉴드성)을 갖게 하는 부재로서 장착된 것이지만, 그라운드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다.
이 때에,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에 설치된 제1 쉴드 쉘 부재(13)는,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쉘편의 감합체로 구성되어 있고, 우선,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SC가 세팅되고, 그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 양쪽 그라운드 바(그라운드 부재) GB, GB가 땜납 접합된 후에, 상술한 제1 쉴드 쉘 부재(13)의 상반측 부분 및 하반측 부분의 양쪽 쉘편 부재가,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에 대해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쉴드 쉘 부재(13)의 양쪽 쉘편의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에는,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의 그라운드 접속 설편(舌片)(13a)이 절결(切缺)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그라운드 접속 설편(13a)은, 커넥터 내방측의 공간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편지의 판스프링 형상을 이루도록 잘라 일으켜져 있고, 전술한 그라운드 바 GB의 상면측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또는 땜납 접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
이에 대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있어서의 제2 쉴드 쉘 부재(23)는,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씌우도록 장착된 얇은 판상 금속 부재의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같은 방향의 양측 외방으로부터 절연 하우징(21)을 끼우도록 하여 홀드 다운(hold down)(23a)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홀드 다운(23a)은,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측벽판을 형성하도록, 커넥터 길이 방향의 일측 부분에 있어서 한 쌍씩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홀드 다운(23a)의 하단연부가, 인쇄 배선 기판 B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 땜납 접합되고, 이에 의해 그라운드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짐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전체가 강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측벽판을 이루도록 배치된 양쪽 홀드 다운(23a, 23a)끼리는, 절연 하우징(21)의 상측 표면을 따라 평면 형상의 천장판을 이루도록 뻗어 있는 상측 쉘판(23b)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의 부분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는 배면판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천판(天板)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측 쉘판(23b)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쉘 개구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쉘 개구부(23d)는, 상측 쉘판(23b)의 후방측 영역을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인 기판 접속 다리부(22a) 및 그 근방 부분(상방 일어선 부분)의 상방 위치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쉘 개구부(23d)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다극 배열의 전체 폭에 걸치는 개구 길이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 수직 상방측으로부터 당해 쉘 개구부(23d)를 통해 목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쉘 개구부(23d)는, 상측 쉘판(23b)의 후방측 영역을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쉘 개구부(23d)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의 단연부는, 배면판을 이루도록 배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그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후방측 영역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는 얇은 판상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단연부가, 상술한 쉘 개구부(23d)의 후단연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2 쉴드 쉘 부재(23)의 배면판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그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하단연 부분에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도전로 B1에 접촉하는 복수(5체)의 그라운드 접속부(23e, 23e,···)가,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그라운드 접속부(23e)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하단연 부분을 잘라 일으키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들 각 그라운드 접속부(23e)에 대응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에는, 복수(5체)의 그라운드용 도전로(B1, B1,···)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병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각 그라운드용 도전로 B1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에 근방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그라운드 접속부(23e)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설치된 각 그라운드 접속부(23e)는, 인쇄 배선 기판 B측에 설치된 각 그라운드용 도전로 B1상에 올려 놓여진 상태로, 예를 들면 일괄적으로 땜납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그라운드 접속부(23e)를 개재하여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그라운드용 도전로 B1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그라운드 회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또, 상술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는,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에 설치된 가동 쉴드 커버(14c)가 접촉하는 복수(5체)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23f, 23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판스프링 형상 부재(23f)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일부를 편지 형상으로 잘라 일으켜 형성된 탄성 부재로 되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측벽판을 구성하고 있는 홀드 다운(23a)에는,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되는 잠금부(23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부(23g)는, 전술한 홀드 다운(23a)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튀어나오도록형성되어 있고, 당해 잠금부(23g)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1)측의 감합 보유 부재(14)가 계합(係合)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보유 부재]
즉,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의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는, 플러그 커넥터(1)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14)의 보유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한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거(拔去)할 때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양쪽 커넥터(1, 2)끼리가 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감합 보유 부재(14)는,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제1 쉴드 쉘 부재(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회동축부(14a, 14a)가, 제1 쉴드 쉘 부재(13)의 후단 부분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축받이부(13d, 13d)에 헐거운 감합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축부(14a, 14a)는, 횡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각 회동축부(14a)의 외주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어느 평탄면에 대해서, 상기 축받이부(13d)에 설치된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付勢力)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에 의해, 후술하는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및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상기 회동축부(14a)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회동축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외단(外端) 부분으로부터는, 한 쌍의 연결 암부(14b, 14b)가, 회동 반경 방향을 거의 따르도록 뻗어 나와 있다. 이들 연결 암부(14b, 14b)의 뻗어 나온 단(端) 부분인 회동측의 선단 부분끼리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의 일부를, 조립 작업자가 파지한 채로 적당한 회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14)의 전체가, 도 2에 도시된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와, 도 3~도 7에 도시된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는,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중공 상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평판 형상 부재로 형성된 상면측 쉴드 커버(14c1)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상면측 쉴드 커버(14c1)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단연부에는, 한 쌍의 잠금판(14c2, 14c2)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도록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어 있다. 또, 상면측 쉴드 커버(14c1)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의 단연부에는, 배면측 쉴드 커버(14c3)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도록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그 중의 상면측 쉴드 커버(14c1)는, 전술한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당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의 상면측 쉴드 커버(14c1)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상측 쉘판(23b), 쉘 개구부(23d), 및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후단 부분에 대해서,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의 상면측 쉴드 커버(14c1)가 상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수직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양쪽 잠금판(14c2, 14c2)끼리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각 잠금판(14c2)에는 잠금 계지 구멍(14c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어 왔을 때에, 이들 각 잠금판(14c2)에 관통 형성된 잠금 계지 구멍(14c4)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에 설치된 잠금부(23g)에 계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각 홀드 다운(23a)에는, 상술한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된 감합 보유 부재(14)의 잠금 계지 구멍(14c4)이 감합되는 잠금부(23g)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부(23g)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튀어나오는 판스프링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의 근방까지 회동되어 오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잠금판(14c2)이,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2)측의 잠금부(23g)의 외방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타고 넘도록 하여 이동해 나간다. 그리고, 감합 보유 부재(14)의 잠금 계지 구멍(14c4)의 내방측으로 잠금부(23g)가 들어가도록 하여 탄성 변위가 행해짐으로써 양자가 계합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전체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탄성적으로 보유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된 상태로, 감합보유 부재(14)를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일정 범위 내의 외력에 의해서는 분리하는 일 없이 감합 상태로 보유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전술한 것처럼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에 설치된 배면측 쉴드 커버(14c3)는,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면측 쉴드 커버(14c1)의 후단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뻗어 나오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제2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게 되어 있다. 이 배면측 쉴드 커버(14c3)는, 당해 배면측 쉴드 커버(14c3)에 설치된 판스프링 형상 부재(23f)를 개재하여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측을 제외한 부분이,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상측 쉘판(23b), 홀드 다운(23a, 23a) 및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원래 덮인 상태로 되어 있는 한편,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측 부분을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접점 볼록부(22b)가 접속 상태로 되지만, 당해 접속 부위에 관해서는,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 및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가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가 인쇄 배선 기판 B상에 실장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당해 기판 접속 다리부(22a)와의 대향 방향인 커넥터 후방측의 외방으로부터 덮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그러한 실장 상태로부터,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감합되고, 그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쉘 개구부(23d)를 덮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가, 인쇄 배선 기판 B의 수직 상방측으로부터도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에 의해 덮이는 것으로 되어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근방에 배치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접속됨으로써,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의 그라운드 접속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가, 쉘 개구부(23d)를 덮는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가 쉘 개구부(23d)를 통해 외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상방으로부터 예를 들면 목시에 의해 양호하게 확인된다.
또,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당해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되지만, 그와 동시에, 감합 보유 부재(14)의 파지력에 의해,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속이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14c)와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판스프링 형상 부재(23f)를 개재하여 양호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 보유 부재(14)를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유지하는 잠금부(23g)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잠금부(23g)에 의해 양호하게 보유된다.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3~도 15에 관련되는 제2의 실시 형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가 설치된 것이다.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는,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양측 벽판을 형성하고 있는 홀드 다운(23a, 23a)에 대해서, 회동암(24c1, 24c1)을 개재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이들 회동암(24c1, 24c1)의 회동 반경의 외방측 부분을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걸쳐 놓도록 하여 상면측 쉴드 커버(24c2)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상면측 쉴드 커버(24c2)에 있어서의 회동 반경의 외방측의 단연부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뻗어 있는 배면측 쉴드 커버(24c3)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는, 전술한 것처럼 제2 쉴드 쉘 부재(23)의 후방측 영역에 형성된 쉘 개구부(23d)(도 1 참조)를 개방하는 「비 쉴드 위치」와, 도 13에 도시된 「쉴드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쉴드 위치」까지 회동된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의 상면측 쉴드 커버(24c2)에 의해, 쉘 개구부(23d)가 폐색되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후단 부분이,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24c2)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후단 부분에 대해서,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의 상면측 쉴드 커버(24c2)가 상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수직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진다.
또,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배면판을 형성하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도시 생략)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한 영역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서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인쇄 배선 기판 B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감합 보유 부재]
한편, 도 14와 같이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감합 상태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1)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15)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한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거하는데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5)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상술한 감합 보유 부재(15)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제1 쉴드 쉘 부재(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당해 감합 보유 부재(15)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회동축부(15a, 15a)가, 제1 쉴드 쉘 부재(13)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축받이부(13d, 13d)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15)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축부(15a, 15a)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축받이부(13d)에 설치된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이 부여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감합 개방 위치」및 「감합 작용 위치」에 회동축부(15a)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회동축부(15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단부분으로부터는, 연결 암부(15b)가, 회동 반경 방향을 거의 따르도록 하여 뻗어 나와 있고, 그 연결 암부(15b)의 뻗어 나온 단부분인 회동측의 선단 부분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는 회동 조작부(15c)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회동 조작부(15c)의 일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적당한 회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감합 회동암(15)의 전체가, 도시를 생략한 「감합 개방 위치」와, 도시된 「감합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감합 보유 부재(15)를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당해 감합 보유 부재(15)의 회동 조작부(15c)가, 「쉴드 위치」에 있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의 배면측 쉴드 커버(24c3)에 대해 후방측으로부터 맞닿고, 이에 의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가 「쉴드 위치」에 보유됨과 아울러,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분리되는 일 없이 감합 상태로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감합 보유 부재(15)의 회동 조작부(15c)는, 전술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그라운드 접속부(23e)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가동 쉴드 플레이트(24c)가 쉘 개구부(23d)를 덮는 「쉴드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을 행할 때까지는,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가 쉘 개구부(23d)를 통해 외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상방으로부터 예를 들면 목시에 의해 양호하게 확인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을 복수 혼합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11a : 본체 지지부  11b : 감합 돌기부
12 :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
12a : 단자 전극부 13 ; 제1 쉴드 쉘 부재
13a : 그라운드 접속 설편 13d : 축받이부
13e : 스프링 규제 부재
14 : 감합 보유 부재
14a : 회동축부 14b : 연결 암부
14c : 가동 쉴드 플레이트
14c1 : 상면측 쉴드 커버 14c2 : 잠금판
14c3 : 배면측 쉴드 커버
14c4 : 잠금 계지 구멍
GB : 그라운드(ground) 바
GC ; 그라운드 콘택트
SC : 동축 케이블(신호 전송 매체)
SCa :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2 :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22 :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
22a : 기판 접속 다리부 22b ; 접점 볼록부
23 : 제2 쉴드 쉘 부재
23a : 홀드 다운(hold down)
23b : 상측 쉘판
23c : 고정 쉴드 플레이트
23d : 쉘 개구부 23e : 그라운드 접속부
23f ; 판스프링 형상 부재 23g : 잠금부
B : 인쇄 배선 기판
B1 ;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24c : 가동 쉴드 플레이트 24c1 ; 회동암
24c2 ; 상면측 쉴드 커버
24c3 : 배면측 쉴드 커버
15 : 감합 보유 부재 15a : 회동축부
15b : 연결 암부 15c : 회동 조작부

Claims (7)

  1. 배선 기판상에 실장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가 감합되는 커넥터 본체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당해 커넥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장착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상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다리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쉴드 쉘 부재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땜납 접속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해 노출시키는 쉘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쉘 개구부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쉘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는 비 쉴드 위치와, 상기 쉘 개구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쉴드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는, 당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에는, 당해 커넥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커넥터에 장착된 제2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상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 다리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쉴드 쉘 부재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땜납 접속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의 근방에 대향 배치되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해 노출시키는 쉘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의 커넥터에, 상기 쉘 개구부를 덮는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그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쉘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는 비 쉴드 위치와, 상기 쉘 개구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쉴드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는, 당해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위치에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쉴드 쉘 부재 또는 제2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에, 감합 보유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는,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 쉴드 플레이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상기 감합 작용 위치에 보유하는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0150141516A 2014-11-28 2015-10-08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81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1551 2014-11-28
JP2014241551A JP6052268B2 (ja) 2014-11-28 2014-11-28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959A true KR20160064959A (ko) 2016-06-08
KR101781695B1 KR101781695B1 (ko) 2017-09-25

Family

ID=5596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516A KR101781695B1 (ko) 2014-11-28 2015-10-08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68534B2 (ko)
JP (1) JP6052268B2 (ko)
KR (1) KR101781695B1 (ko)
CN (1) CN105655784B (ko)
DE (1) DE102015120474A1 (ko)
FR (1) FR3029362B1 (ko)
TW (1) TWI5434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8463B2 (ja) * 2015-04-03 2019-05-0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394524B2 (ja) * 2015-07-10 2018-09-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部材付配線装置
JP6299733B2 (ja) 2015-11-18 2018-03-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7623203B (zh) * 2016-07-13 2019-07-26 洪瑞聪 电连接器的结构及其组装方法
EP3497755A4 (en) * 2016-08-15 2020-03-25 Samtec, Inc. FAILURE PROTECTION LOCK FOR CONNECTING SYSTEM
CN109891676B (zh) * 2016-08-30 2022-01-14 申泰公司 压装的电连接器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6410453B (zh) * 2016-11-01 2020-03-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路板连接器及电子装置
US11196195B2 (en) 2017-04-10 2021-12-07 Samtec, Inc. Interconnect system having retention features
USD886066S1 (en) 2017-12-06 2020-06-02 Samtec, Inc. Securement member of electrical connector
US10680364B2 (en) * 2018-03-16 2020-06-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irect mate pluggable module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6729640B2 (ja) * 2018-06-28 2020-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59998B2 (ja) 2018-12-28 2021-04-1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09659773B (zh) * 2019-01-18 2023-11-24 江苏联炜诚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TWM601912U (zh) * 2019-03-26 2020-09-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CN110176697B (zh) * 2019-03-27 2021-04-23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7324038B2 (ja) * 2019-04-23 2023-08-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2018546B (zh) * 2019-05-29 2021-12-1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连接器组合
JP7292815B2 (ja) * 2019-06-06 2023-06-19 ジヤト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7401224B2 (ja) * 2019-08-29 2023-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実装型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基板
JP7342533B2 (ja) * 2019-08-30 2023-09-12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87407B2 (ja) * 2019-11-27 2023-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21096960A (ja) * 2019-12-17 2021-06-2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CN112467428B (zh) * 2020-11-02 2022-02-18 江苏占上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接口固定的电脑软排线
JP7148009B2 (ja) * 2021-01-07 2022-10-05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176659B2 (ja) * 2021-01-07 2022-11-2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70720B2 (ja) * 2021-01-07 2022-05-18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WO2023223873A1 (ja) * 2022-05-17 2023-11-23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TW202408094A (zh) * 2022-06-29 2024-02-16 美商山姆科技公司 互連模組組件
JP7480821B2 (ja) 2022-09-20 2024-05-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426A (ja) 2005-09-08 2007-03-22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238410A (ja)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83U (ko) * 1990-04-27 1992-01-21
JP2001332360A (ja) * 2000-05-23 2001-11-30 Taiko Denki Co Ltd ノイズ防止コネクタ
US6500013B1 (en) * 2002-02-06 2002-12-31 Speed Tech Corp.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CN2718838Y (zh) * 2004-04-09 2005-08-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7351105B2 (en) * 2005-11-09 2008-04-01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22440B2 (ja) * 2007-07-26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4558824B2 (ja) * 2008-09-19 2010-10-0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CN201466267U (zh) * 2008-11-24 2010-05-1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装置
JP5019079B2 (ja) * 2010-03-10 2012-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94053B2 (ja) * 2010-10-22 2014-09-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TWI474564B (zh) * 2011-07-28 2015-02-21 Dai Ichi Seiko Co Ltd Connector device
JP6056830B2 (ja) * 2014-10-10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426A (ja) 2005-09-08 2007-03-22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238410A (ja)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5784A (zh) 2016-06-08
FR3029362B1 (fr) 2019-03-29
DE102015120474A1 (de) 2016-06-02
JP6052268B2 (ja) 2016-12-27
TW201626658A (zh) 2016-07-16
CN105655784B (zh) 2018-06-01
FR3029362A1 (fr) 2016-06-03
TWI543472B (zh) 2016-07-21
KR101781695B1 (ko) 2017-09-25
US9768534B2 (en) 2017-09-19
JP2016103424A (ja) 2016-06-02
US20160156116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9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809824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JP551604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9973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EP2328240B1 (en) Connector device
JP202109696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442964B2 (ja) 電気コネクタ
TWI451640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296699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6025019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3110031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