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170A -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170A
KR20160064170A KR1020167010944A KR20167010944A KR20160064170A KR 20160064170 A KR20160064170 A KR 20160064170A KR 1020167010944 A KR1020167010944 A KR 1020167010944A KR 20167010944 A KR20167010944 A KR 20167010944A KR 20160064170 A KR20160064170 A KR 2016006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screen
deposited
spreader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419B1 (ko
Inventor
야스오 소다
야스유키 미야타
요시노리 고야마
야스나리 시바타
하루토 시노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10J3/523Ash-removing devices for gasifiers with stationary fluidised b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66Entrained flow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485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10J3/526Ash-remov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09Mechanical details of gasifi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10J2300/1628Ash post-treatment
    • C10J2300/1634Ash v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 C10K1/101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with water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보다 통과시키기 쉬워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슬래그 크러셔(20)는,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10)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가스화 노(10)로부터 배출한다. 슬래그 크러셔(20)는,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30)를 갖고, 개구부(30)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를 통과시키는 스크린(22)과, 스크린(22)의 상면을 이동하여,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파쇄하는 스프레더(24)와, 스크린(22)에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고압수를 분출시키는 노즐(2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SLAG DISCHARGE DEVICE AND SLAG DISCHARGE METHOD}
본 발명은,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 등의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하부에는,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용융 슬래그)를 모으는 애시호퍼가 구비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애시호퍼에는, 스크린 및 스프레더를 구비하는 슬래그 크러셔가 마련된다. 연소기로부터 낙하된 슬래그는, 물로 급속히 냉각되어 고화되고, 슬래그 크러셔가 구비하는 스크린의 상면으로 낙하한다.
이 스크린은,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스크린은,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를 통과시켜, 애시호퍼의 하부로 낙하시킨다.
한편, 스크린의 상면에는,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슬래그나,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의 퇴적인 슬래그 덩어리가 퇴적된다. 슬래그 덩어리는, 슬래그의 입자층 내에서의 마찰력이나 분체압에 의한 가교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상면에 마련된 스프레더가,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고,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에 힘을 가함으로써 파쇄하여, 스크린을 통과시킨다.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애시호퍼의 하부로 낙하하여 퇴적된 슬래그는, 가스화 노로부터 로크호퍼를 통하여 계외(系外)로 배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47484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8510 호
그러나, 스프레더를 작동시켜도, 퇴적된 슬래그가 파쇄되지 않고, 슬래그 크러셔의 작동방향으로 모아질 뿐,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스크린의 상면에서의 슬래그의 퇴적량이 많아져, 가스화 노로부터 슬래그가 배출되지 않아, 애시호퍼 내에 슬래그가 충만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스화 노의 운전 계속이 어려워져, 가스화 노를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보다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슬래그 배출 장치는,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기 슬래그를 통과시키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스크린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구멍을 구비한다.
본 구성에 관한 슬래그 배출 장치는,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가스화 노로부터 배출한다.
그리고, 슬래그 배출 장치는,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을 구비한다. 스크린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가 개구부를 통과하여 낙하한다. 한편,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는,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는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된다.
여기에서,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되는 슬래그에는,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가 마찰력이나 분체압에 의한 가교에 의하여 결합된 슬래그 덩어리가 포함된다.
퇴적되는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출구멍으로부터,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가 분출된다. 가교에 의하여 결합된 슬래그의 입자에 가압된 액체가 분출됨으로써, 가교에 의한 결합이 절단된다. 이로써, 슬래그가 정치상태로부터 완만히 유동화된다. 또한, 슬래그에 분출되는 액체는, 예를 들면 물이다.
그리고, 유동하기 쉬워진 슬래그는,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액체에 의하여 떠내려간다. 이로써, 슬래그는, 파쇄수단을 이동시키지 않고,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액체와 함께 낙하하게 된다. 또, 슬래그는, 파쇄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간단하게 개구부로부터 낙하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은,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보다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분출구멍이, 상기 파쇄수단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세워 설치된 상기 스크린의 측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간단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분출구멍이, 상기 파쇄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되는 슬래그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가압된 액체가 분출되므로, 퇴적된 슬래그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파쇄수단이, 상기 슬래그의 파쇄방향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하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퇴적된 슬래그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분출구멍이, 상기 경사면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의 방향으로 액체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되는 슬래그에 대하여, 분출되는 액체에 의해서도 하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퇴적된 슬래그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분출구멍이,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 상면에서의 슬래그의 퇴적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간단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서는, 상기 분출구멍이, 액체 대신에 기체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의 상면에 물이 퍼진 상태에서, 스크린의 상면으로부터 기체가 분출됨으로써, 기포의 상승에 의하여 슬래그의 가교에 의한 결합이 절단된다. 이로써, 슬래그가 유동화되므로,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는, 스크린의 개구부를 보다 통과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슬래그 배출 방법은,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를 이용한 슬래그 배출 방법으로서, 상기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분출구멍으로부터 가압된 액체를 분출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수단이, 상기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를 스크린의 개구부로부터 보다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의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크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크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의 상면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 및 측벽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의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종단면도이다.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에 적용되는 탄소 함유 연료는, 석탄, 석유 코크스, 석탄 코크스, 아스팔트, 피치, 오일셰일 등의 중질계 연료 외에, 폐타이어,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가스화시킬 탄소 함유 연료를 석탄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화 노(10)에서는, 회융점 이상의 1500~1800℃ 정도의 고온 분위기가 되는 연소기(12)에 있어서, 석탄 공급 설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미분탄과, 탈진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회수되어 공급되는 차콜이, 산화제와 반응한다. 이로써, 연소기(12)에서는, 미분탄이 고온 연소됨으로써, 가연성 가스인 석탄 가스가 생성됨과 함께, 미분탄 중의 회분이 용융된 슬래그(14)가 생성된다.
그리고, 연소기(12)의 고온 연소에 의하여 얻어진 고온의 석탄 가스가, 연소기(12)의 상단에 마련된 리덕터(16)에 유입된다. 이 리덕터(16)에 있어서도, 미분탄과 차콜이 공급되며, 공급된 미분탄 및 차콜이 더 가스화하여, 석탄 가스에 의한 가연성 가스가 생성된다. 또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연소기(12)는, 분류상식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유동상식이나 고정상식이어도 된다.
가스화 노(10)의 하부에는, 연소기(12)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14)를 모으는 애시호퍼(18)가 구비되어 있다.
애시호퍼(18)에는, 슬래그(14)를 파쇄하여 가스화 노(10)로부터 배출하는 슬래그 크러셔(20)가 마련된다.
도 2는,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슬래그 크러셔(20)는, 스크린(22), 스프레더(24), 및 노즐(26)을 구비한다.
연소기(12)로부터 낙하하는 슬래그(14)는, 애시호퍼 급수관(28)으로부터 분출되는 물(이하 "애시호퍼수"라고 함)로 급속히 냉각되어 고화되고, 슬래그 크러셔(20)가 구비하는 스크린(22)의 상면으로 낙하한다.
스크린(22)은, 슬래그(14)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30)를 갖고, 개구부(30)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14)를 통과시킨다. 스크린(22)은, 개구부(30)를 갖는, 예를 들면 판형상의 부재이다.
개구부(30)를 통과한 슬래그(14)는, 애시호퍼수와 함께 애시호퍼(18)의 하부로 낙하한다. 애시호퍼(18)의 하부에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호퍼(34)가 접속되어 있어, 애시호퍼(18)의 하부로 낙하된 슬래그(14)는, 로크호퍼(34)를 통하여 계외로 배출된다.
또한, 도 1의 가스화 노(10)는, 일례로서, 슬래그(14)를 로크호퍼(34)까지 낙하시킴으로써 계외로 배출하는 중력 낙하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슬래그(14)를 로크호퍼(34)로 낙하시키지 않고, 취출하여 재이용하는 횡 흡출 방식이 채용되어도 된다.
스프레더(24)는, 유압 실린더(36)에 의하여 스크린(22)의 상면을 이동하여,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14)를 파쇄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스프레더(24)의 위치는, 스크린(22)의 상면을 이동하기 전의 대기위치이다.
스프레더(24)의 대기위치의 반대측에는, 수판(受板)(38)이 구비된다. 즉, 스프레더(24)는, 대기위치로부터 수판(38)까지 이동함으로써,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14)를 모은다. 그리고, 스프레더(24)는, 수판(38)과의 사이에 슬래그(14)를 끼워 넣음으로써, 퇴적된 슬래그(14)를 파쇄한다. 또한, 스프레더(24)의 정면에는, 슬래그(14)를 파쇄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돌기물(40)이 마련된다.
또,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24)는, 슬래그(14)의 파쇄방향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경사면(24A)을 구비한다. 경사면(24A)은, 스프레더(24)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스프레더(24)는, 퇴적된 슬래그(14)를 주로 경사면(24A)에 의하여 모으게 된다. 경사면(24A)의 상방은, 스크린(22)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수직면(24B)으로 되어 있다.
또, 노즐(26)은, 스크린(22)에 퇴적된 슬래그(14)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구멍이다.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노즐(26)은, 스프레더(24)의 경사면(24A)에 구비된다. 노즐(26)은, 도 3의 스프레더(24)의 정면도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경사면(24A)에 수평으로 복수 마련된다.
노즐(26)로부터 분출되는 가압된 액체는, 일례로서 물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그(14)의 가교를 절단할 수 있는 액체이면 된다. 또, 가압된 물을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압수라고 칭한다. 고압수의 압력은, 일례로서 3~5MPa이다.
애시호퍼 급수관(28)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2)은, 분기하여 노즐(26)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기한 급수관(42)은, 고압호스(44)에 접속된다. 고압호스(44)는, 스프레더(24)의 이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성을 갖고 있으며, 고압호스 받침(46)에 의하여 지지된다.
고압호스(44)는, 고압수 헤더(48)에 접속된다. 고압수 헤더(48)는, 복수의 노즐(26)에 고압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소기(12)에서 생성된 슬래그(14)는, 스크린(22)의 상면으로 낙하한다.
스크린(22)의 상면으로 낙하된 슬래그(14) 중, 스크린(22)의 개구부(30)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14)는, 개구부(30)를 통과하여, 애시호퍼(18)의 하부, 즉 가스화 노(10)의 하부로 낙하한다.
한편, 개구부(30)의 직경보다 큰 슬래그(14)나, 개구부(30)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14)의 퇴적인 슬래그 덩어리는, 개구부(30)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다.
따라서, 스프레더(24)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스크린(22)의 상면을 대기위치로부터 수판(38)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스프레더(24)가, 퇴적된 슬래그(14)를 파쇄하여, 슬래그(14)를 개구부(30)로부터 통과하기 쉽게 한다.
또,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24)는, 경사면(24A)에 의하여, 퇴적된 슬래그(14)에 대하여 하향의 힘을 가하므로, 퇴적된 슬래그(14)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슬래그(14)가 가교에 의하여 결합된 슬래그 덩어리는, 스프레더(24)에 의해서도 파쇄되지 않아, 개구부(30)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프레더(24)의 이동 방향으로 모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프레더(24)의 경사면(24A)에 구비되는 노즐(26)로부터 슬래그(14)를 향하여 고압수가 분출된다. 가교에 의하여 결합된 슬래그(14)의 입자에 고압수가 분출됨으로써, 가교에 의한 결합이 절단된다. 이로써, 슬래그(14)가 정치상태로부터 완만하게 유동화된다.
또, 노즐(26)이 경사면(24A)에 구비됨으로써, 스프레더(24)에 의하여 파쇄되는 슬래그(14)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고압수가 분출되므로, 퇴적된 슬래그(14)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노즐(26)로부터의 고압수의 분출은,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동기되어도 되고,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관계없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그리고, 유동하기 쉬워진 슬래그(14)는, 노즐(26)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흘러간다. 이로써, 슬래그(14)는, 스프레더(24)를 이동시키지 않고, 스크린(22)의 개구부(30)로부터 고압수와 함께 낙하하게 된다. 또, 슬래그(14)는, 스프레더(2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개구부(30)로부터 낙하하기 쉬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슬래그(14)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30)를 갖고, 개구부(30)의 직경보다 작은 슬래그(14)를 통과시키는 스크린(22)과, 스크린(22)의 상면을 이동하여,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14)를 파쇄하는 스프레더(24)와, 스크린(22)에 퇴적된 슬래그(14)에 대하여 고압수를 분출시키는 노즐(26)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래그 크러셔(20)는,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14)를 스크린(22)의 개구부(30)로부터 보다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슬래그(14)가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되어도 슬래그 크러셔(20)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슬래그(14)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슬래그(14)의 퇴적에 의하여 가스화 노(10)의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가스화 노(10)의 계속적인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스프레더(24)의 경사면(24A)에 노즐(26)을 구비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스프레더(24)의 수직면(24B)에 노즐(26)을 구비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24)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프레더(24)의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5에 있어서의 도 2, 3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2,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노즐(26)은, 경사면(24A)에 마련되며, 스크린(22)의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출한다.
일례로서, 스프레더(24)의 내부에는 헤더(50)가 마련된다. 헤더(50)에는, 하방향을 향한 복수의 노즐(26)이 접속되며, 이 노즐(26)로부터 고압수가 스크린(22)의 상면으로 분출된다. 또한, 노즐(26)로부터의 고압수의 분출은,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동기되어도 되고,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관계없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슬래그 크러셔(20)에 고압수 헤더(48)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헤더(50)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스프레더(24)에 의하여 파쇄되는 슬래그(14)에 대하여, 고압수에 의해서도 하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퇴적된 슬래그(14)를 보다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고압수를 분출하는 노즐(60)이 스크린(22)에 구비된다.
도 6은,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22)의 종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스크린(22)의 개구부(30)의 측면에, 헤더(62)를 통하여 고압수가 공급되는 노즐(60)이 구비된다. 헤더(62)는, 애시호퍼 급수관(28)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2)이 분기되어 접속된다.
도 7은, 본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크린(22)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스크린(22)의 상면에, 헤더(62)를 통하여 고압수가 공급되는 노즐(60)이 구비된다.
또한, 노즐(60)로부터의 고압수의 분출은,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동기되어도 되고,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관계없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가교에 의하여 결합된 슬래그(14)의 입자에 고압수가 분출됨으로써, 가교에 의한 결합이 절단된다. 이로써, 퇴적된 슬래그(14)가 유동화되기 쉬워진다.
또, 스크린(22)의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고압수가 분출되므로, 스크린(22)의 상면에서의 슬래그(14)의 퇴적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퇴적된 슬래그(14)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간단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9는, 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22)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8, 9에 있어서의 도 6, 7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6, 7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22)은, 노즐(60)로부터 고압수 대신에 고압의 기체(이하 "고압 기체"라고 함)를 분출시킨다. 이로 인하여, 헤더(62)는,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고압 기체 급수관(42)에 접속된다.
또한, 노즐(60)로부터의 고압 기체의 분출은,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동기되어도 되고, 스프레더(24)가 이동하는 시간 간격과 관계없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스크린(22)의 상면은, 스프레더(24)에 구비된 노즐(60)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수나, 애시호퍼 급수관(28)으로부터의 물에 의하여, 물이 퍼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스크린(22)의 상면에 물이 퍼진 상태에서, 스크린(22)의 상면으로부터 기체가 분출됨으로써, 고압 기체의 기포가 스크린(22)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한다. 이 기포의 상승에 의하여 슬래그(14)의 가교에 의한 결합이 절단된다. 이로 인하여, 슬래그(14)가 유동화되므로, 스크린(22)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14)가, 스크린(22)의 개구부(30)를 보다 통과하기 쉬워진다.
[제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화 노(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스크린(22) 및 측벽(70)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 11에 있어서의 도 2, 3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2,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고압수를 분출하는 노즐(72)을, 스프레더(24)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세워 설치된 스크린(22)의 측벽(70)에 구비한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즐(72)은, 일례로서 측벽(70)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슬래그 크러셔(20)는, 퇴적된 슬래그(14)에 대하여, 고압수를 간단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또, 노즐(72)은, 측벽(70)에 구비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슬래그 크러셔(20)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노즐(72)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수는, 애시호퍼수와 겸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할 수 있고, 그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 복수의 상기 실시형태를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더(24)가 수판(38)을 향하여 이동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판(38) 대신에 스프레더(24)가 마련되고, 한 쌍의 스프레더(24)가 스크린(22)의 상면을 이동함으로써 슬래그(14)를 파쇄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10 가스화 노
12 연소기
14 슬래그
20 슬래그 크러셔
22 스크린
24 스프레더
24A 경사면
26 노즐
30 개구부
60 노즐
70 측벽
72 노즐

Claims (8)

  1.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기 슬래그를 통과시키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스크린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에 대하여 가압된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구멍
    을 구비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멍은, 상기 파쇄수단의 작동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세워 설치된 상기 스크린의 측벽에 구비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멍은, 상기 파쇄수단에 구비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상기 슬래그의 파쇄방향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경사면을 구비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멍은, 상기 경사면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의 방향으로 액체를 분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멍은,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는 슬래그 배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멍은, 액체 대신에 기체를 분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
  8. 탄소 함유 연료를 가스화시키는 가스화 노의 연소기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기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 장치를 이용한 슬래그 배출 방법으로서,
    상기 슬래그의 낙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슬래그에 대하여, 분출구멍으로부터 가압된 액체를 분출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퇴적된 상기 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수단이, 상기 스크린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2 공정
    을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 방법.
KR1020167010944A 2013-11-15 2014-09-10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KR10181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6893 2013-11-15
JPJP-P-2013-236893 2013-11-15
PCT/JP2014/073999 WO2015072219A1 (ja) 2013-11-15 2014-09-10 スラグ排出装置及びスラグ排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170A true KR20160064170A (ko) 2016-06-07
KR101813419B1 KR101813419B1 (ko) 2017-12-28

Family

ID=530571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944A KR101813419B1 (ko) 2013-11-15 2014-09-10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KR1020177012405A KR20170077149A (ko) 2013-11-15 2015-11-12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405A KR20170077149A (ko) 2013-11-15 2015-11-12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60257895A1 (ko)
JP (1) JP2015117373A (ko)
KR (2) KR101813419B1 (ko)
CN (2) CN105658772B (ko)
WO (2) WO2015072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8772B (zh) * 2013-11-15 2018-04-03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炉渣排出装置及炉渣排出方法
JP6173508B1 (ja) * 2016-03-04 2017-08-0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ラグクラッシャ
JP6782919B2 (ja) * 2016-10-18 2020-11-11 清水建設株式会社 メタンハイドレート採掘装置
CN107398323A (zh) * 2017-08-31 2017-11-2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气动破碎式筛分器
JP7039785B2 (ja) * 2018-02-23 2022-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ラグ排出装置及びガス化炉並びにスラグ排出方法
CN108571744A (zh) * 2018-06-15 2018-09-25 江苏国信泗阳生物质发电有限公司 能防止扬尘的锅炉用间歇式出渣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7171417B2 (ja) * 2018-12-21 2022-1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ラグクラッシャ、ガス化炉、ガス化複合発電設備、及びスラグクラッシャの組立方法
CN112111382A (zh) * 2020-09-23 2020-12-22 徐展展 一种高效沼气发酵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484A (ja) 1994-01-20 1995-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ガス化炉の挟み込みスラグ破砕機
JPH0938510A (ja) 1995-07-26 1997-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ラッシャの作動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433A (en) * 1978-11-21 1981-10-13 Vanjukov Andrei V Pyrometallurgical method and furnace for processing heavy nonferrous metal raw materials
JPH10121063A (ja) * 1996-10-18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ガス化装置
JP4370464B2 (ja) * 2003-10-24 2009-11-25 電源開発株式会社 ガス化処理装置及び方法
CN2670362Y (zh) * 2003-11-20 2005-01-12 西北化工研究院 气流床反应器排灰装置
DE102008033095A1 (de) * 2008-07-15 2010-01-28 Uhde Gmbh Vorrichtung zur Schlackeabführung aus einem Kohlevergasungsreaktor
CN101648091A (zh) * 2009-06-30 2010-02-17 宜昌英汉超声电气有限公司 反冲过滤螺旋排渣机
CN202131288U (zh) * 2011-06-07 2012-02-01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气化炉排渣装置
CN102580832B (zh) * 2012-02-03 2013-10-16 山东电力研究院 适用于干式排渣机的隔离碎渣装置及其方法
JP2014136768A (ja) * 2013-01-17 2014-07-28 Babcock-Hitachi Co Ltd 石炭ガス化装置及びスラグの排出方法
JP2014195768A (ja) * 2013-03-29 2014-10-1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スラグ破砕機
CN103277806A (zh) * 2013-06-09 2013-09-04 郭古金 一种连通管布风炉排
CN103351889B (zh) * 2013-07-18 2015-01-28 孙吉章 一种生物质气化炉排渣方法及装置
CN105658772B (zh) * 2013-11-15 2018-04-03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炉渣排出装置及炉渣排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484A (ja) 1994-01-20 1995-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ガス化炉の挟み込みスラグ破砕機
JPH0938510A (ja) 1995-07-26 1997-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ラッシャの作動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2337A1 (en) 2017-11-30
CN107109262A (zh) 2017-08-29
WO2016076379A1 (ja) 2016-05-19
CN105658772A (zh) 2016-06-08
JP2015117373A (ja) 2015-06-25
US20160257895A1 (en) 2016-09-08
CN105658772B (zh) 2018-04-03
WO2015072219A1 (ja) 2015-05-21
KR101813419B1 (ko) 2017-12-28
KR20170077149A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419B1 (ko) 슬래그 배출 장치 및 슬래그 배출 방법
CN108883418B (zh) 碎渣机
JP6011327B2 (ja) 振動篩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RU248775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ного извлечения от мелко- до крупнозернистого твердого вещества или смеси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из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бункера
WO2014050635A1 (ja)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US8430950B2 (en) Device for removing fine-grained or dust-like solids from a container
AU607010B2 (en) Water bath wetting device
JP2007198725A (ja) 燃焼設備からの燃料の固形の燃殻を取り扱い、処理するための設備
US8939093B2 (en) Boiler grate and a boiler
JP2006322004A (ja) 廃棄物の二段ガス化システム
CN205652669U (zh) 料仓清堵装置和料仓
CN206927270U (zh) 一种用于斜溜槽清堵的喷射系统
US11286437B2 (en) Slag discharge device, gasifier furnace and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and slag discharge method
JP2003185104A (ja) 流動層ボイラ設備
JP2014136768A (ja) 石炭ガス化装置及びスラグの排出方法
JPH10121063A (ja) 石炭ガス化装置
JPH03233206A (ja) 原料噴出バーナ
KR101569378B1 (ko) 부분 용융형 미분탄 가스화 장치 및 미분탄 가스화 방법
JPH11106761A (ja) ガス化設備
CN116694366A (zh) 一种气化炉环腔积粉的收集装置
JP2012246381A (ja) 原料投入装置
JP2014149197A (ja) 湿潤原料の粒子閉塞検知装置及び方法
JP2012241989A (ja) 流動層乾燥装置
JPH0794668B2 (ja) 石炭ガス化装置及びスラグ移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