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742A -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742A
KR20160063742A KR1020140167419A KR20140167419A KR20160063742A KR 20160063742 A KR20160063742 A KR 20160063742A KR 1020140167419 A KR1020140167419 A KR 1020140167419A KR 20140167419 A KR20140167419 A KR 20140167419A KR 20160063742 A KR20160063742 A KR 2016006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ead
brush unit
socke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건영
김기선
허영범
유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742A/ko
Publication of KR2016006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연마재를 분사하고 다시 흡수하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호스 및 연마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결합하고, 대상물과 마주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커넥터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팅(도장 전처리) 작업은 일반적으로 공장 내부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오픈 블라스팅으로 작업하므로 연마재가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제어하지 못한다. 작업 대상물이 작은 경우는 연마재 및 먼지 비산을 막기 위해 캐비넷 같은 밀폐된 공간에 집어넣고 작업을 하게 된다.
옥외에서 부득이하게 작업해야 할 경우도 있지만 연마재 및 먼지 비산으로 인해 주변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그물망을 치는 등의 커버링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런 작업방법은 커버를 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연마재를 완벽하게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작업 후 연마재를 회수하는 클리닝 작업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완벽하게 회수하지 못한 연마재가 주변의 기기장치에 유입될 경우 장치의 오작동을 발생시키므로 큰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오픈 블라스팅이 아닌 진공 블라스팅 작업이 제안되었다. 진공 블라스팅은 분사된 연마재 또는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방식의 블라스팅 작업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경우, 연마재가 분사되고 흡입되는 헤드(200)와 대상물 사이에서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2007-50469(2007.03.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헤드와 대상물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호스 및 연마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고, 대상물과 마주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대적으로 긴 제1브러쉬 유니트와 상대적으로 짧은 제2브러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이웃하는 모서리들에는 각각 상기 제1브러쉬 유니트와 상기 제2브러쉬 유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브러쉬 유니트는 상기 몸체의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브러쉬 유니트는 상기 몸체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은 상기 커넥터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호스의 끝단은 상기 커넥터의 중심선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에는 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은 상기 대상물을 향하고 상기 커넥터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의 몸체를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하고, 몸체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된 브러쉬 유니트들의 길이가 동일하고 몸체에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된 브러쉬 유니트들의 길이를 상이하게 제공함으로써,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상물과 헤드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일부인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일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일부인 헤드(2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블라스팅 장치(10)는 커넥터(100)와 헤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라스팅 장치(10)는 연마재를 분사하고 이를 다시 흡수하여 블라스팅 작업 중 연마재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러한 블라스팅 장치(1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커넥터(100) 및 헤드(200) 외에도 다른 구성을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구성들은 연마재를 분사하고 이를 다시 흡수하는 공지된 통상적인 블라스팅 장치(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100)는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호스(31)의 끝단과 연마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호스(33)의 끝단과 각각 연결된다. 분사호스(31)는 연결부재(32)를 매개로 커넥터(10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커넥터(100)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넥터(10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00)는 헤드(200)와 결합된다. 헤드(200)는 대상물 측으로 연마재가 분사되고 분사된 연마재가 다시 흡입되는 과정에서 대상물과 접촉하여 연마재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200)는 몸체(210)와 브러쉬(230)와 소켓(2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마재가 대상물 측으로 분사되거나 대상물 측에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마재는 몸체(210)에 형성된 중공부(211)를 통과한다.
몸체(210)의 선단에 브러쉬(230)가 설치된다. 브러쉬(230)는 몸체(210)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다. 브러쉬(230)는 상대적으로 긴 제1브러쉬 유니트(231)와 상대적으로 짧은 제2브러쉬 유니트(232)를 포함한다.
몸체(210)의 이웃하는 모서리들에는 각각 제1브러쉬 유니트(231)와 제2브러쉬 유니트(232)가 설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몸체(210)의 네 개의 모서리들 중 마주보는 두 쌍의 모서리들에는 각각 제1브러쉬 유니트(231)와 제2브러쉬 유니트(232)들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호 마주보는 브러쉬 유니트들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호 이웃하는 브러쉬 유니트들의 길이는 상이하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몸체(21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브러쉬 유니트(231)는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에 설치되고, 제2브러쉬 유니트(232)는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브러쉬(230)의 특징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몸체(210)의 후단에는 소켓(250)이 형성된다. 소켓(250)에는 커넥터(100)가 삽입된다. 소켓(250)은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250)에 삽입된 커넥터(100)는 소켓(2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켓(250)과 커넥터(100)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260)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간단한 구조로 소켓(250)에 대한 커넥터(10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켓(250)에 삽입된 커넥터(100)가 소켓(25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헤드(200)가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과정에서 커넥터(100)에 연결된 분사호스(31) 또는 흡입호스(33)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분사호스(31)의 끝단은 커넥터(100)의 측부에 연결되고, 흡입호스(33)의 끝단은 커넥터(100)의 중심선(X)에 정렬된 상태로 커넥터(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분사호스(31) 흡입호스(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다시 말해, 분사호스(31)는 흡입호스(33)에 비해 얇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흡입호스(33)를 커넥터(100)의 측부가 아닌 커넥터(100)의 중심선(X)에 정렬된 상태로 연결하는 경우, 헤드(200)를 잡고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헤드(200)를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분사호스(31)의 끝단에는 노즐(35)이 연결된다. 분사호스(31)가 커넥터(100)의 측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노즐(35)은 커넥터(100)를 관통하여 분사호스(31)에서 커넥터(100) 내부로 연장된다. 커넥터(100) 내부로 연장된 노즐(35)의 끝단은 대상물을 향하고 커넥터(100)의 중심선(X)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35)의 구조로 인해, 분사호스(31)가 커넥터(100)의 측부에 연결되더라도 커넥터(100)의 중심선(X) 상에서 연마재를 대상물 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일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라스팅 장치(10)는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2)가 필렛 용접된 대상물(50)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헤드(200)는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이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2) 사이의 용접선(53)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용접선(53)을 따라 이동한다.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이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2) 사이의 용접선(5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짧은 모서리들이 용접선(5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몸체(210)가 대상물 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헤드(200)와 대상물(50)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이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2) 사이의 용접선(5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들과 대상물(50)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과 대상물(50)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2브러쉬 유니트(232)가 설치되고,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들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1브러쉬 유니트(231)가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이 필렛 용접된 대상물(50)의 용접선(5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헤드(200)와 대상물(50) 사이의 밀폐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라스팅 장치(10)는 원형 구조물의 서포트 패드(61)와 지지판(62)이 용접된 대상물(60)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들이 서포트 패드(61)와 지지판(62) 사이의 용접선(63)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몸체(210)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들이 용접선(63)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몸체(210)가 대상물 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헤드(200)와 대상물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서포트 패드(61)와 지지판(62) 사이의 용접선(63)은 원형 궤적을 가진다. 이때, 헤드(200)는 원형 궤적의 용접선(63)을 따라 이동하며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00)가 헤드(200)의 소켓(2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 헤드(200)가 원형 궤적의 용접선(63)을 따라 이동하며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분사호스(미도시) 또는 흡입호스(33)의 꼬임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블라스팅 장치
31 : 분사호스
33 : 흡입호스
35 : 노즐
100 : 커넥터
200 : 헤드
210 : 몸체
230 : 브러쉬
231 : 제1브러쉬 유니트
232 : 제2브러쉬 유니트
250 : 소켓
260 : 슬라이딩 패드

Claims (7)

  1.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호스 및 연마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고, 대상물과 마주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대적으로 긴 제1브러쉬 유니트와 상대적으로 짧은 제2브러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이웃하는 모서리들에는 각각 상기 제1브러쉬 유니트와 상기 제2브러쉬 유니트가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브러쉬 유니트는 상기 몸체의 상대적으로 짧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브러쉬 유니트는 상기 몸체의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에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에 대해 회전 가능한, 블라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가 개재되는, 블라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은 상기 커넥터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호스의 끝단은 상기 커넥터의 중심선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블라스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에는 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은 상기 대상물을 향하고 상기 커넥터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블라스팅 장치.
KR1020140167419A 2014-11-27 2014-11-27 블라스팅 장치 KR20160063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19A KR20160063742A (ko) 2014-11-27 2014-11-27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19A KR20160063742A (ko) 2014-11-27 2014-11-27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42A true KR20160063742A (ko) 2016-06-07

Family

ID=5619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19A KR20160063742A (ko) 2014-11-27 2014-11-27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7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469A (ja) 2005-08-17 2007-03-0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ブラスト装置及びブラス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469A (ja) 2005-08-17 2007-03-0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ブラスト装置及びブラス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64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160063742A (ko) 블라스팅 장치
JP4659158B2 (ja) 建枠洗浄用高圧水噴射回転ノズルヘッドとそれを用いた建枠洗浄システム
KR20160131749A (ko) 진공청소 장치
JP2017177010A (ja) 洗浄水送供給ツール、散水洗浄装置及び塗料回収路の洗浄方法
JP2018103117A (ja) 塗装ブース
JP6987730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ガン装着用ノズルカバー
JP6441113B2 (ja) 研掃システムのノズルヘッドおよび研掃システム
JP2015222745A (ja) 洗浄装置及び加工装置
JP2008297884A (ja) 被覆除去装置
KR101410038B1 (ko) 유리기판 절단장치
KR101956512B1 (ko) 충격파 회전 분사노즐
KR102341061B1 (ko) 기판 세정 장치
KR101470284B1 (ko) 컨베이어 타입의 에어 분사 및 흡입 혼합형 세척장치
JP6370901B2 (ja) ノズル洗浄機
JP2011206858A (ja) ブラスト処理用カバー
JP6284106B1 (ja) 研磨ガン装置
JP6981327B2 (ja) 流体噴射装置
JP4140994B2 (ja) 高圧水切削装置
TWM499738U (zh) 噴射驅動式電路板旋轉載具
JP2019168294A (ja) カバー構造体及び流体噴射装置
KR102008907B1 (ko) 실린더 헤드용 흡입형 세척 장치 및 방법
KR100809596B1 (ko) 기판 세정 장치
JP7117059B2 (ja) 高圧水噴射装置および出隅ユニット
JP2002011666A (ja) ブラ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