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97U -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 Google Patents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297U
KR20130000297U KR2020110006070U KR20110006070U KR20130000297U KR 20130000297 U KR20130000297 U KR 20130000297U KR 2020110006070 U KR2020110006070 U KR 2020110006070U KR 20110006070 U KR20110006070 U KR 20110006070U KR 20130000297 U KR20130000297 U KR 201300002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cattering
abrasive
brush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297U/ko
Publication of KR20130000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마재를 첨가한 물이 지나가는 블라스팅 노즐과, 상기 블라스팅 노즐을 통하여 구조물에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 헤드와, 상기 분사 헤드에 부착되어 분사된 연마재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브러시와, 상기 분사 헤드와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흡입하여 이를 지나가게 하는 유로인 리커버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장에 더스트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작업장을 구현하고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Head of blasting plants for preventing from scattering dust}
본 고안은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등과 같은 철구조물 표면에 발생되고 있는 각종 부식물을 제거하는 블라스팅(blasing) 작업 중에 분사되는 연마재의 더스트(dust)가 작업장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팅 작업은 선박 등과 같은 철구조물의 표면에 가넷(garnet) 등의 연마재를 첨가한 액 등을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고압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용접선, 녹, 도막(塗膜)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라스팅 작업에서 주변 작업장으로 더스트가 비산되고 이로 인하여 주변 작업장의 작업 공정이 지연되고 공기의 오염으로 인하여 작업 환경이 열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 지연으로 인하여 생산 시간이 연장되고 고소 작업차(tower wagon) 등을 이용하여 더스트 방지를 위한 방지벽 등의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블라스팅 작업 중에 발생되는 더스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스팅 작업 중에 발생되는 더스트의 비산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과 친환경 작업장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마재를 첨가한 액이 지나가는 유로인 블라스팅 노즐과, 상기 블라스팅 노즐을 통하여 구조물에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 헤드와, 상기 분사 헤드에 부착되어 분사되는 연마재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브러시와, 상기 분사 헤드와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흡입하여 이를 지나가게 하는 유로인 리커버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는 외측에 상기 비산방지 브러시의 외주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비산방지 브러시를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브러시 수용홈과, 상기 비산방지 브러시 내측으로 상기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구와, 분사된 상기 연마재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일정 직경을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더스트 방지를 위한 별도의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의 헤드를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작업장을 구현하고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블라스팅 노즐(10), 분사 헤드(20), 비산방지 브러시(30) 및 리커버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블라스팅 노즐(10)은 일단이 블라스팅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블라스팅 장치에서 고압으로 방출되는 가넷(garnet) 등의 연마재가 첨가된 액(液)이 지나가는 유로이다.
분사 헤드(20)는 블라스팅 노즐(10)을 통하여 선박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용접선, 녹, 도막(塗膜)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를 향하여 연마재를 분사하는 것으로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분사 헤드(20)에는 상기 비산방지 브러시(30)가 장착되는 브러시 수용홈(21)과, 연마재가 분사되는 분사구(23), 분사된 연마재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수용홈(21)은 분사 헤드(20)의 외측에 형성되어 비산방지 브러시(30)가 안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비산방지 브러시(30) 하부에 형성된 거치부(31)에 대응되는 일정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된 것이다.
분사구(23)는 분사 헤드(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연마재가 분사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 분사구(23) 일측에 블라스팅 노즐(10)이 연결되어 있고 이 블라스팅 노즐(10)에 고압의 분사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구(25)는 분사구(23)를 통하여 분사된 연마재를 다시 흡입하는 것으로, 이 흡입구(25) 일측에 리커버리(40)에 연결되어 있고 이 리커버리(40)에 진공 흡입 장치(vacuum)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구(25)는 분사구(2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분사구(23)의 외경이 흡입구(2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비산방지 브러시(30)는 일단이 분사 헤드(20)에 부착되고 타단에 브러시(brush)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사된 연마재가 이 브러시에 의하여 외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산방지 브러시(30)는 블라스팅 작업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밀착되어야 한다.
비산방지 브러시(30)는 브러시 수용홈(21)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거치부(31)와 일정 굵기를 가지는 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브러시(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산방지 브러시(30)의 거치부(31)는 분사 헤드(20)의 브러시 수용홈(21)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착탈가능하게 된다.
한편, 블라스팅 작업 후 비산방지 브러시(30)는 분사 헤드(20)로부터 분리하여, 비산방지 브러시(30)에 잔존하는 연마재 등을 제거하고 다시 분사 헤드(20)에 압입시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커버리(40)는 일단이 분사 헤드(20)의 흡입구(25)와 연결되고 타단이 더스트를 포집하는 분진백(미도시)에 연결된 것으로, 분산된 연마재를 분진백이 구비된 진공 흡입 장치에 의하여 흡입되어 분진백으로 지나가게 하는 유로이다.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한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라스팅 작업을 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비산방지 브러시(30)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블라스팅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연마재가 블라스팅 노즐(10)을 지나 분사 헤드(20)를 통하여 분사된다.
분사된 연마재는 더스트 비산방지 브러시(30)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고 진공 흡입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리커버리(40)를 지나 분진백으로 포집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블라스팅 노즐
20 : 분사 헤드
21 : 브러시 수용홈 23 : 분사구
25 : 흡입구
30 : 비산방지 브러시
31 : 거치부 33 : 브러시
40 : 리커버리

Claims (4)

  1. 연마재를 첨가한 액이 지나가는 유로인 블라스팅 노즐;
    상기 블라스팅 노즐을 통하여 구조물에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 헤드;
    상기 분사 헤드에 부착되어 분사되는 연마재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브러시; 및
    상기 분사 헤드와 연결되어 분사된 연마재를 흡입하여 이를 지나가게 하는 유로인 리커버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는,
    외측에 상기 비산방지 브러시의 외주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비산방지 브러시를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브러시 수용홈;
    상기 비산방지 브러시 내측으로 상기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구; 및
    분사된 상기 연마재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일정 직경을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KR2020110006070U 2011-07-04 2011-07-04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KR201300002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0U KR20130000297U (ko) 2011-07-04 2011-07-04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0U KR20130000297U (ko) 2011-07-04 2011-07-04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97U true KR20130000297U (ko) 2013-01-14

Family

ID=5242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70U KR20130000297U (ko) 2011-07-04 2011-07-04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2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9060A (zh) * 2020-04-21 2020-07-3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冲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9060A (zh) * 2020-04-21 2020-07-3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冲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71756U (zh) 一种汽车轮毂自动环保喷砂、脱漆一体机
KR20130000297U (ko) 더스트 비산 방지를 위한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
JP2015090895A (ja) 切削装置及び切削方法
TWM490938U (zh) 噴砂裝置及其噴頭
JP2011206858A (ja) ブラスト処理用カバー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JP4486468B2 (ja) 研磨材噴射装置
KR101616387B1 (ko) 블라스팅 장치
KR101410038B1 (ko) 유리기판 절단장치
JP5741368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6918414B2 (ja) 洗浄ガン
KR20160001955U (ko) 클리닝 및 샌딩 블라스트 장치
KR101951624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JP2017501867A (ja) 極低温の流体を分配する可動工具用の保護筐体
JP5600266B2 (ja) 研磨ベルトの表面クリーニング機構、ベルト研磨装置における研磨ベルトの表面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物品のベルト研磨方法における研磨ベルトの表面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302752B1 (ko) 칫솔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KR101011204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철벽면무인도장제거시스템 및 철벽면리자드제거장치
KR20140005717U (ko) 그리트 비산 방지용 지그
KR20060033405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간이 자동 진공 블라스팅 장치
JP2003080462A (ja) 湿式ブラストノズル及び湿式ブラスト方法
JP3193434U (ja) ブラスト装置
JP6115902B2 (ja) 清掃装置
JP2006123152A (ja) 携帯式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及びスポンジブラスト工法
JP2022134421A (ja) バリ取り装置
KR20140004884U (ko) 연마재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