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019B1 -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019B1
KR101400019B1 KR1020120099111A KR20120099111A KR101400019B1 KR 101400019 B1 KR101400019 B1 KR 101400019B1 KR 1020120099111 A KR1020120099111 A KR 1020120099111A KR 20120099111 A KR20120099111 A KR 20120099111A KR 101400019 B1 KR101400019 B1 KR 10140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frame
outer frame
ho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630A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0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에 대한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함께 상기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과 제2 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홀을 갖는 제2 외측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에서 도장 부위에는 반드시 표면 전처리가 필요하다. 표면 전처리는 도장의 표면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청정도와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는 도장수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작업이다.
옥외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동 동력공구를 사용한 연마 작업이 대부분이지만, 이는 작업 중 분진이 많이 발생하여 깨끗한 작업환경을 저해하며 작업자에게 진동을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발생 등의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선주 요청에 의한 고사양의 경우에는 블라스팅(blasting) 품질수준을 유지하여야 하지만 연마 작업으로 블라스팅의 품질수준을 만족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수동 동력공구를 이용한 연마 작업의 어려움 때문에 일부 단순 용접선을 지닌 부재의 경우에는 블라스팅 로봇을 통하여 작업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작업구역이 제한적이며 복잡한 형상의 부재나 협소한 구역에서의 작업은 어렵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을 지닌 구조물을 작업하기 위한 블라스팅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블라스팅 장치는 블라스팅 작업 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연마재 비산을 막아줄 수 있고, 먼지가 발생되지 않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0792778와 같은 블라스팅 장치는 튼튼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나 프레임을 볼팅이나 클램핑 등을 이용하거나 영구자석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경우, 블라스팅 장치의 무게를 무겁게 하며 영구자석 등은 연마재가 달라붙어 연마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한국등록특허 10-079277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연마에 따른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블라스팅 장치를 연마가 이루어지는 대상물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에 대한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함께 상기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과 제2 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홀을 갖는 제2 외측 프레임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마 공간과 연통되는 분진 흡입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이 상기 대상물의 외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측 프레임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블라스팅 튜브를 통하여 상기 연마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공기 흡입 홀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마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 블라스팅용 홀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에 형성된 내측 블라스팅용 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이 형성된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에 상기 연마 공간을 볼 수 있는 견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을 막는 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캡은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의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이격 공간의 공기를 분진을 유출시키는 흡입력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켜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밀착 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에 포함된 벨로우즈를 나타낸다.
도 5는 연마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를 포함하며, 제1 커버부(10)는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1 외측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제2 커버부(20)는 제2 내측 프레임(210)과 제2 외측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제1 내측 프레임(110)은 대상물(30)에 대한 연마 공간(40)을 제공한다. 제2 내측 프레임(210)은 제1 내측 프레임(110)과 함께 연마 공간(40)을 제공한다. 연마 공간(40)은 블라스팅 장치 외부에서 공급된 연마재에 의하여 대상물(30)에 대한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마재는 스틸 그리트(steel grit) 또는 규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측 프레임(130)은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1 갭(gap)(300)을 형성한다. 즉, 제1 외측 프레임(130)은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1 갭(300)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갭(300)만큼 이격된 제1 외측 프레임(130)과 제1 내측 프레임(110)은 제1 외측 프레임(130)의 끝단과 제1 내측 프레임(110)의 끝단의 일부(11, 13, 15, 17)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측 프레임(130)이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1 갭(300)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 외측 프레임(130)과 제1 내측 프레임(110) 사이에는 이격 공간(45)이 형성된다. 제1 외측 프레임(130)과 제1 내측 프레임(110)의 연결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분(11, 13, 15, 1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외측 프레임(230)은 제2 내측 프레임(210)과 제2 갭(400)을 형성하며, 제1 내측 프레임(110) 및 제2 내측 프레임(210)이 서로 밀착하도록 제1 갭(300)과 제2 갭(400)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45)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홀(231)을 갖는다.
제2 외측 프레임(230)은 제2 내측 프레임(210)과 제2 갭(400)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외측 프레임(230)과 제2 내측 프레임(210) 역시 제2 외측 프레임(230)의 끝단과 제2 내측 프레임(210)의 끝단의 일부(21, 23, 25, 27)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외측 프레임(230)이 제2 내측 프레임(210)과 제2 갭(400)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2 외측 프레임(230)과 제2 내측 프레임(210) 사이에는 이격 공간(45)이 형성된다. 제2 외측 프레임(230)과 제2 내측 프레임(210)의 연결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연결 부분(21, 23, 25, 2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갭(300) 및 제2 갭(400)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45)의 공기는 공기 흡입 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공기 흡입 홀(231)과 연통된 돌출부(233)가 제2 외측 프레임(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부(233)는 흡입 튜브(235)에 삽입될 수 있다. 흡입 튜브(235)는 블래스팅 장치 외부에 설치된 진공 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진공 펌프의 동작에 따라 이격 공간(45)의 공기가 공기 흡입 홀(231) 및 흡입 튜브(235)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진공 펌프의 동작에 따라 이격 공간(45)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이격 공간(45)은 음압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2 내측 프레임(210)이 서로 밀착되고 제1 외측 프레임(130)과 제2 외측 프레임(230) 역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프레임(130), 제2 외측 프레임(230), 제1 내측 프레임(110) 및 제2 내측 프레임(210)이 대상물(30)이 설치된 바닥에 접촉하므로 이격 공간(45)이 음압 상태가 되면 제1 외측 프레임(130), 제2 외측 프레임(230), 제1 내측 프레임(110) 및 제2 내측 프레임(210)은 바닥에 밀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이격 공간(45)의 공기가 흡입되면,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밀착할 뿐만 아니라 제1 내측 프레임(110), 제2 내측 프레임(210), 제1 외측 프레임(130) 및 제2 외측 프레임(230)이 대상물(30)의 외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대상물(30)의 외측면에 밀착하기 위하여 대상물(30)에 밀착하는 제1 커버부(10)의 영역 및 제2 커버부(20)의 영역의 형상은 대상물(3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30)이 바닥에 용접된 H 빔(beam)인 경우, 서로 밀폐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에 의하여 형성된 관통 홀(500)의 형상은 H 빔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함으로써 제1 내측 프레임(110), 제2 내측 프레임(210), 제1 외측 프레임(130) 및 제2 외측 프레임(230)이 H 빔의 외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상물(30)이 바닥에 용접된 실린더 타입이 부재일 경우 관통 홀(500)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 홀(500)의 형상은 대상물(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마 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30)은 바닥 등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그 길이가 클 수 있으므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분리가능하지 않으면 대상물(30)을 용이하게 감싸기 어렵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커버부(10) 및 제2 커버부(20)는 서로 분리가능하므로 쉽게 대상물(30)을 감싼 후 이격 공간(45)의 공기 유출을 통하여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 프레임(110) 및 제2 내측 프레임(210) 중 적어도 하나에 연마 공간(40)과 연통되는 분진 흡입 홀(600)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프레임(110) 및 제2 내측 프레임(210) 중 적어도 하나에 분진 흡입 홀(600)이 연마 공간(40)과 연통되므로 분진 흡입 홀(600)은 이격 공간(45) 및 공기 흡입 홀(231)과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진공 펌프가 공기 흡입 홀(231)을 통하여 이격 공간(45)의 공기를 흡입하면 이격 공간(45)뿐만 아니라 연마 공간(40) 역시 음압 상태가 되므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밀착되고 연마 작업에 따른 분진이 분진 흡입 홀(600) 및 공기 흡입 홀(2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서로 밀착된다. 또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 각각은 대상물(30)의 외측면과 더불어 대상물(30)이 고정된 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의 밀착이 불완전하면 블라스팅 장치의 외부 공기가 이격 공간(45)이나 연마 공간(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측 프레임(110), 제2 내측 프레임(210), 제1 외측 프레임(130) 및 제2 외측 프레임(230)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착 부재(700)는 탄성을 지닌 스펀지(sponge), PE(Poly Ethylene) 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측 프레임(110)과 제2 내측 프레임(210)의 치수가 맞지 않거나 제1 외측 프레임(130) 및 제2 외측 프레임(230)의 치수가 맞지 않으면, 진공 펌프 작동 시 블라스팅 장치 외부의 공기가 이격 공간(45)으로 유입되어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 제1 커버부(10)와 대상물(30), 제2 커버부(20)와 대상물(30)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밀착 부재(700)는 이격 공간(45)으로 유입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 외부의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 제1 커버부(10)와 대상물(30), 제2 커버부(20)와 대상물(3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연마 공간(4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벨로우즈(bellows)(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750)에 블라스팅 튜브(75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연마제는 공기와 함께 블라스팅 튜브(751)를 통하여 대상물(30)에 분사될 수 있다.
벨로우즈(750)는 블라스팅 튜브(751)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연마 공간(4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므로 연마 공간(40) 안에서 6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블라스팅 튜브(751)는 벨로우즈(750)에 의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7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에 형성된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과, 제1 내측 프레임(110) 또는 제2 내측 프레임(210)에 형성된 내측 블라스팅용 홀(8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750)의 끝단에는 플랜지(flange)(7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벨로우즈(750)의 플랜지(753)는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 주변에 걸쳐질 수 있다. 고정부(850)는 벨로우즈(750)의 플랜지(753) 상에 배치되어 고정부(850), 벨로우즈(750)의 플랜지(753), 및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은 서로 볼팅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공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이격 공간(45)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가 밀착되면서 연마 공간(40) 내의 분진 역시 외부로 유출된다. 이를 위하여 이격 공간(45) 및 연마 공간(40)은 음압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대상물(30)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블라스팅 튜브(751)를 통하여 연마 공간(4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공기 흡입 홀(231)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이 형성된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에 연마 공간(40)을 볼 수 있는 견시창(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을 통하여 블라스팅 튜브(751)가 연마 공간(40)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연마 공간(40)으로 인입된 블라스팅 튜브(751)는 연마재를 대상물(30)을 향하여 분사하므로 블라스팅 튜브(751)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연마재가 대상물(30)에 제대로 분사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이 형성된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에 견시창(870)이 설치될 수 있다.
견시창(870)이 설치되려면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뿐만 아니라 제1 내측 프레임(110) 또는 제2 내측 프레임(210)에도 견시창용 홀(871)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견시창(870)이 제1 내측 프레임(110) 또는 제2 내측 프레임(210)에 설치되면 이격 공간(45)이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의 견시창용 홀(871)을 통하여 연통되므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의 밀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견시창(870)이 제1 외측 프레임(130) 또는 제2 외측 프레임(230)의 견시창용 홀(871)을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의 밀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시창(870)은 대상물(30)의 연마 장소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의 대상물(30)이 빔 받침대에 용접된 H 빔인 경우, 바닥과 빔 받침대가 용접된 경계와 빔 받침대와 H 빔이 용접된 경계에 대하여 연마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물(30)의 형태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용접 라인과 같이 연마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장소에 따라 견시창(870)의 개수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을 막는 홀 캡(hole cap)(9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홀 캡(900)은 이격 공간(45)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의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 캡(900)은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보다 큰 직경과 일정한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즉, 홀 캡(900)은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을 막기 위한 나사산이나 돌출 부위 등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이격 공간(45)의 공기 유출에 따라 홀 캡(900)의 주변이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의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용하지 않은 외측 블라스팅용 홀(810)을 홀 캡(90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이격 공간(45)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볼팅, 클램핑 또는 영구자석 등 없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보호, 연마재의 비산, 및 먼지 저감 등을 만족하면서도 블라스팅 장치의 무게를 낮추고 연마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제1 커버부 110 : 제1 내측 프레임
130 : 제1 외측 프레임 20 : 제2 커버부
210 : 제2 내측 프레임 230 : 제2 외측 프레임
231 : 공기 흡입 홀 233 : 돌출부
235 : 흡입 튜브 30 : 대상물
40 : 연마 공간 45 : 이격 공간
300 : 제1 갭 400 : 제2 갭
500 : 관통 홀 600 : 분진 흡입 홀
700 : 밀착 부재 750 : 벨로우즈
751 : 블라스팅 튜브 753 : 플랜지
810 : 외측 블라스팅용 홀 830 : 내측 블라스팅용 홀
850 : 고정부 870 : 견시창
871 : 견시창용 홀 900 : 홀 캡

Claims (8)

  1. 대상물에 대한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제1 갭을 형성하는 제1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함께 상기 연마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2 내측 프레임과 제2 갭을 형성하는 제2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이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홀을 가지고,
    상기 대상물에 밀착하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영역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영역의 형상은 상기 대상물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마 공간과 연통되는 분진 흡입 홀을 가지고,
    상기 분진 흡입 홀은 상기 이격 공간 및 상기 공기 흡입 홀과 연통되는 블라스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이 상기 대상물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블라스팅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상기 제2 내측 프레임,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측 프레임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블라스팅 튜브를 통하여 상기 연마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공기 흡입 홀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작은 블라스팅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 블라스팅용 홀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에 형성된 내측 블라스팅용 홀에 위치하는 블라스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이 형성된 상기 제1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에 상기 연마 공간을 볼 수 있는 견시창을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을 막는 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캡은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외측 블라스팅용 홀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블라스팅 장치.
KR1020120099111A 2012-09-07 2012-09-07 블라스팅 장치 KR10140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11A KR101400019B1 (ko) 2012-09-07 2012-09-07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11A KR101400019B1 (ko) 2012-09-07 2012-09-07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30A KR20140032630A (ko) 2014-03-17
KR101400019B1 true KR101400019B1 (ko) 2014-05-28

Family

ID=5064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11A KR101400019B1 (ko) 2012-09-07 2012-09-07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30A (ko)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553B2 (ja) * 2017-07-31 2021-08-04 株式会社かんでんエンジニアリング エアーブラスト用鉄塔養生装置及び工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80Y1 (ko) * 1985-07-22 1989-07-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판 외면의 자동 블라스팅(blasting)작업장치
JP2003205873A (ja) * 2002-01-10 2003-07-22 Fukashi Uragami 吸着移動装置(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80Y1 (ko) * 1985-07-22 1989-07-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판 외면의 자동 블라스팅(blasting)작업장치
JP2003205873A (ja) * 2002-01-10 2003-07-22 Fukashi Uragami 吸着移動装置(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30A (ko)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30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9529B2 (ja) ブラスト加工装置
KR20190002311U (ko) 블라스팅 장치
JP5717571B2 (ja) 切削装置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130126488A (ko) 유지 테이블
KR20160050287A (ko) 용접 비드 그라인딩 장치
USRE48554E1 (en) Air gun system and method
KR101497391B1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CN102189498A (zh) 喷砂装置
JP2012135852A (ja) ブラスト用防塵装置
US20040154168A1 (en) Dust and debris shield for powered hand tool
KR101167922B1 (ko) 공압형 오비탈 샌더
CN112638609B (zh) 用于岩芯钻机的提取装置
KR101410038B1 (ko) 유리기판 절단장치
KR102092086B1 (ko) 에어 블라스트 머신
KR20140005504U (ko) 슬래그 제거 장치
KR102184626B1 (ko) 블라스트머신 주행장치
KR101368882B1 (ko) 블라스팅 작업용 밀폐 장치
JP2011206858A (ja) ブラスト処理用カバー
KR100633358B1 (ko) 차량용 알루미늄부품의 표면세척장치
JP6719819B2 (ja) チャックテーブル機構
JP4915956B2 (ja) 移動式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KR200237984Y1 (ko) 블라스트 머신
KR101359638B1 (ko) 블라스팅 장치
JPH0825221A (ja) ブラスト処理用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