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91B1 -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91B1
KR101497391B1 KR1020130027652A KR20130027652A KR101497391B1 KR 101497391 B1 KR101497391 B1 KR 101497391B1 KR 1020130027652 A KR1020130027652 A KR 1020130027652A KR 20130027652 A KR20130027652 A KR 20130027652A KR 101497391 B1 KR101497391 B1 KR 10149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riage
wall
workpiece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940A (ko
Inventor
송건영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외, 작업 대상물에 연결되어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본 발명은 캐리지의 작업구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가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블록(block)들을 용접 등을 통해 조립되어 완성된다.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된 작업 대상물에는 용접선(weld line)이 생성된다. 이러한 용접선 등의 용접부위에는 별도의 보호 도막이 없으므로 쉽게 부식되어 오염된다. 따라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용접부위에 도장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도장 작업에 앞서 표면처리 작업이 선행된다. 표면처리 작업은, 용접 부의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 용접부위를 그랑인딩(grinding)하거나 용접부위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블라스팅(blasting) 작업을 말한다.
여기서 블라스팅 작업이란, 재료의 표면에 모래나 등의 연마재를 첨가한 물 등을 압축 공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표면의 스케일, 녹, 도막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표면처리 작업은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할 경우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많아 자율주행을 하는 캐리지를 통해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라 캐리지는 주행구간의 한계에 의해 작업범위가 제한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지(1)는, 캐리지(1)의 중앙부에서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캐리지(1)의 중앙부가 도달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캐리지(1)에 의한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부분을 보류부(F)라고 하는데, 이러한 보류부(F)에 대한 작업은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류부(F)의 존재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필요로 하여 결국 블라스팅 작업 전체의 생산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자율주행하는 캐리지(1)를 이용하면서도 보류부(F)가 없어지도록 캐리지의 작업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59615(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004.07.06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리지가 작업할 수 없는 보류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 및 상기 작업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상기 캐리지이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를 상기 작업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는 제1 벽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벽부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며, 상기 제1 벽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벽부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일 수 있다.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2 벽부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에 치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구간 연장유닛이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함으로써, 캐리지가 작업할 수 없는 보류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 가압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 가이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 가압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 가이드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작업 대상물(W)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110)와, 작업 대상물(W)에 연결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을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W)은 제1 벽부(W1)와, 제1 벽부(W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벽부(W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벽부(W1)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벽부(W2)는 제1 벽부(W1)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가 만나는 부위에는 용접선(W3)이 마련된다.
캐리지(110)는 작업 대상물(W)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지(110)는 용접선(W3)에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블라스팅 작업용 캐리지(110)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라인딩 등 작업 다양한 작업을 위해 작업 대상물(W)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10)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지(110)는 캐리지 본체(111)와, 캐리지 본체(111)와 연결되며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 각각에서 구름운동하는 주행 휠(112)을 포함한다.
캐리지 본체(111)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주행 휠(11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미도시)와,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 각각에 흡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한다.
흡착부는, 제1 벽부(W1)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 패드(113) 및 제2 벽부(W2)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 패드(미도시)와, 각각의 흡착 패드(113)에 연결되어 각각의 흡착 패드(113)에 부압을 형성하는 진공 이젝터(vacuum ejector,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캐리지 본체(111)는, 블라스팅 작업용 연마재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에 연결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캐리지(110)가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를 작업 대상물(W)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를 포함한다.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된다. 이와 같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작업 대상물(W) 사이의 틈에 의해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제1 벽부(W1)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벽부(W2)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즉 제1 플레이트(131)는 제1 벽부(W1)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고, 제2 플레이트(132)는 제2 벽부(W2)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된다.
또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13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플레이트 결합부(133)는, 제2 플레이트(132)에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걸림홈(134)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5)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32)를 제1 플레이트(1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밀어주어 걸림돌기(135)를 걸림홈(134)에 삽입하는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벽부(W2)의 말단부의 형상은 작업 대상물(W)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2가지의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을 하나의 제2 플레이트(132)가 담당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 즉 제2 플레이트(132)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벽부(W2)의 전단부의 형상은 곡선형이고 후단부의 형상이 직선형일 경우,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형상은 각각 제2 벽부(W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상맞춤되는 직선형 및 곡선형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제2 플레이트(132)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하나의 제2 플레이트(132)가 2가지의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을 담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 대비 절반의 개수에 해당되는 제2 플레이트(132)만을 생산하면 제2 벽부(W2)의 모든 말단부 형상에 대응할 수있어 생산비가 절감되며 제2 플레이트(132)의 보관이 용이하다.
한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31)의 말단부에 제1 형상맞춤용 탄성체(136)가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132)의 말단부에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7)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가 작업 대상물(W)에 결합 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작업 대상물(W) 사이의 미세한 틈도 메울 수 있어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발포성 고무 등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패드의 흡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고탄력의 밀폐부재가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장기간의 사용 시 교체를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131, 132) 각각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13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131,132)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흡착용 밀폐부재(138)가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의 표면(더욱 자세히는 흡착 패드(113)가 흡착되는 부위)에 코팅되어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흡착용 밀폐부재(138)는, 고무 또는 내마모성 섬유소재에 우레탄 등의 수지 성분을 코팅한 밀폐부재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흡착용 플레이트를 보호하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흡착용 밀폐부재(138)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를 작업 대상물(W)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는, 제2 플레이트(132)에 마련되며,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150)와,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제2 플레이트(13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50)는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클램핑한다. 이러한 클램핑부(150)는, 제2 플레이트(132)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151, 152)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램퍼(151,152)는, 회전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를 가압하는 클램핑용 가압부재(153)와, 클램핑용 가압부재(1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13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54)를 포함한다.
클램핑용 가압부재(153)는, 연결부재(154)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퍼(151,152)는, 제2 플레이트(132)의 상측에 마련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 중 캐리지(110)와의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퍼(151,152)는,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 및 후단부 방향에 각각 배치됨으로, 제2 벽부(W2)의 말단부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132)를 180도 회전시키더라도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제2 플레이트(132)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61)와,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되며, 지지부재(1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부재(161)가 제1 벽부(W1)에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61)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6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61)는,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한다.
가압부재(162)는,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되며, 지지부재(1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부재(161)가 제1 벽부(W1)에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61)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재(162)는, 조작의 편의를 위해 가압부재용 회전 노브(164)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31)의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된 가압부재(162)는,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부재(161)를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로 이동시킨다.
제1 벽부(W1)로 이동된 지지부재(161)는 제1 벽부(W1)의 하측벽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가압부재(162)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재(161)가 제1 플레이트(131)를 제1 플레이트(131)의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플레이트(131)의 하측에서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 중 캐리지(110)와의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지지부재(161)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16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재 가이드부(165)는, 지지부재(161)에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13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66)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167)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핀(167)은 지지부재(161)의 이동 시 가이드 홈(166)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압부재(162)에 의한 가압 시 지지부재(161)가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클램퍼(151,152)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가 제2 벽부(W2)에 고정되고,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캐리지(110)의 무게에 의해 제1 벽부(W1) 또는 제2 벽부(W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을 작업 대상물(W)에 결합한다. 즉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를 선정한다.
클램퍼(151,152)와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를 통해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를 작업 대상물(W)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후 캐리지(110)가 작업 대상물(W)의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에 의해 캐리지(110)가 진공흡착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의 말단부에 인접한 부위까지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에 의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이 연정되어 결국 캐리지(110)의 작업범위가 확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함으로써, 캐리지(110)의 작업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1 플레이트(131a)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11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제1 플레이트(131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31a)는, 제1 벽부(W1)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139)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폐부재(139)는 제1 플레이트(131a)의 상면부 표면에 마련된 흡착용 밀폐부재(138a)에서 연장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의 결합 시 차폐부재(139)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 사이의 틈을 덮어주어 캐리지(110)의 주행 시 흡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차폐부재(139)는 흡착용 밀폐부재(138a)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차폐부재(139)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 사이의 틈을 덮어주어 캐리지(110)의 흡착패드(113)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 사이의 틈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약해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캐리지 111: 캐리지 본체
112: 주행 휠 113: 흡착패드
120: 주행구간 연장유닛 130: 흡착용 플레이트부
131,131a: 제1 플레이트 132: 제2 플레이트
133: 플레이트 결합부 134: 걸림홈
135: 걸림돌기 136: 제1 형상맞춤용 탄성체
137: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 138, 138a: 흡착용 밀폐부재
139: 차폐부재 140: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
150: 클램핑부 151,152: 클램퍼
153: 클램핑용 가압부재 154: 연결부재
160: 제1 플레이트 가압부 161: 지지부재
162: 가압부재 163: 가압용 나사홈
164: 가압부재용 회전 노브 165: 지지부재 가이드부
166: 가이드 홈 167: 가이드 핀
W: 작업 대상물 W1: 제1 벽부
W2: 제2 벽부 W3: 용접선

Claims (13)

  1.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 및
    상기 작업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상기 캐리지가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를 상기 작업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는 제1 벽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벽부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며, 상기 제1 벽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벽부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2 벽부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에 치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20130027652A 2013-03-15 2013-03-15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149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ko) 2013-03-15 2013-03-15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ko) 2013-03-15 2013-03-15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940A KR20140112940A (ko) 2014-09-24
KR101497391B1 true KR101497391B1 (ko) 2015-03-02

Family

ID=5175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ko) 2013-03-15 2013-03-15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26B1 (ko) * 2017-02-15 2018-11-06 삼성중공업(주) 도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30B1 (ko) 2015-12-31 2017-03-30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처리를 위한 전해회수 일관공정 장치 및 방법
KR102441897B1 (ko) * 2020-07-13 2022-09-13 한국광기술원 선체의 표면 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9B1 (ko) * 2005-07-05 2006-08-07 Stx조선주식회사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KR20120094579A (ko) * 2011-02-17 2012-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캐리지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9B1 (ko) * 2005-07-05 2006-08-07 Stx조선주식회사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KR20120094579A (ko) * 2011-02-17 2012-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캐리지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26B1 (ko) * 2017-02-15 2018-11-06 삼성중공업(주) 도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940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857B2 (en) Wire saw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workpiece
US8512094B2 (en) Ultrasonic trimming method
KR100814157B1 (ko) 공압튜브식 연마장치
KR20190002311U (ko) 블라스팅 장치
KR101497391B1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US20120228092A1 (en) Flexible track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160050287A (ko) 용접 비드 그라인딩 장치
KR20140048680A (ko) 용접부 자동 소제 로봇
JP2013116438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治具
KR20150121960A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87454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벨트 그라인더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140005451U (ko) 먼지 비산 방지용 간이 커버
TWM523516U (zh) 移動式清潔裝置
KR101649118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RU2555290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ленточно-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KR101368882B1 (ko) 블라스팅 작업용 밀폐 장치
KR20140006098U (ko) 그라인더 보조 장치
JP3129786U (ja) ワイパーゴム払拭面再生用研磨具
TWI426015B (zh) 毛邊移除系統及毛邊移除裝置
KR101359638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140005698A (ko) 그라인더용 지그
KR20100059199A (ko) 노즐
KR102327189B1 (ko) 로봇을 이용한 스포일러 샌딩자동화 방법
JP3171575U (ja) 金属片吸塵経路付エアースポット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