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638B1 -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9638B1 KR101359638B1 KR1020120023908A KR20120023908A KR101359638B1 KR 101359638 B1 KR101359638 B1 KR 101359638B1 KR 1020120023908 A KR1020120023908 A KR 1020120023908A KR 20120023908 A KR20120023908 A KR 20120023908A KR 101359638 B1 KR101359638 B1 KR 101359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sting
- cover
- sealing
- unit
- work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2—Apparatus using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작업물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의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유닛과,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의 분사재를 공급하여 상기 용접부의 표면을 처리하고, 표면 처리 후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유닛과,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의 공급 또는 회수 경로가 되도록 상기 밀폐 유닛과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 연결된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작업물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의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유닛과,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의 분사재를 공급하여 상기 용접부의 표면을 처리하고, 표면 처리 후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유닛과,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의 공급 또는 회수 경로가 되도록 상기 밀폐 유닛과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 연결된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장치로서, 용접에 의해 만들어진 선박, 건축물의 복잡 형상 구조를 갖는 작업물인 칼럼과 스툴간 용접부를 분사재로 표면 처리하는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에 의해 만들어진 선박, 건축물은 용접 이후 용접 부위의 표면을 처리하는 작업이 시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 건조에서 블록 간 탑재 후, 도크 혹은 안벽의 폭로된 구역에서는 도장 전처리 작업이 진행된다.
도장 전처리 작업은 일반적으로 그라인딩의 수동력공구에 의해 행해진다. 수동 그라인딩 작업은 작업강도가 높고 분진이 많이 발생하므로 작업자가 기피하는 작업이 되며 이에 따라 이직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인력수급을 위해서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작업현장에서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또한 수공구 작업으로는 전처리작업 품질에 한계가 있으며 분진 및 불꽃발생 등으로 인하여 주변 작업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수동 그라인딩 작업에 사용되는 그라인더의 연마용 블레이드의 소모가 매우 심하여 지속적인 소모품비용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탑재 후 전처리 공정에서 진공흡착식 로봇 블라스팅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거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철판 외면의 자동 블라스팅(BLASTING) 작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블라스팅 작업 방법은 여러 방식이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 고압의 압축공기에 연마재 또는 분사재에 해당하는 그리트(grit)를 실어 보내는 방식을 쓰고 있다.
압축공기와 분사재가 블라스팅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분사재의 속도가 빨라지며 충격량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분사재 개별 입자들이 표면에 충돌하면서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갉아 없애고 거칠기를 만들어 준다.
밀폐되지 않은 폭로된 공간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압축공기에 분사되는 분사재가 사방으로 튀게 되며 분사재의 마모와 표면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사방으로 날리게 된다.
따라서 폭로된 공간에서의 블라스팅 작업은 작업장이 따로 있지 않는 한 선상에서는 불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의 철판 외면의 자동 블라스팅(BLASTING) 작업장치를 선종 및 적용 대상에 따라 사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쉽의 상부 모듈(Top Side Module)이 선체(Hull) 위에 얹혀지게 되는데, 이때 선체 상판에는 스툴(1)(Stool)이 배치되고, 스툴(1)에는 드릴쉽의 상부 모듈의 칼럼(2)(Column)이 위치되어 서로 간 탑재한 후 스툴(1)과 칼럼(2)이 용접된다.
스툴(1)은 선체에 고정되는 스툴 하부 프레임(1a)과, 스툴 하부 프레임(1a)의 상부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테두리를 갖는 판 형상으로 스툴 하부 프레임(1a)을 덮고 있는 스툴 상부판(1b)을 갖는다. 그리고 칼럼(2)은 기둥 형태의 H빔(2a)과 보강판(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스툴(1)의 스툴 상부판(1b)에는 칼럼(2)이 세워져서 용접됨에 따라, H자 형상의 탑재 용접선에 해당하는 용접부(3)가 형성된다.
이런 스툴(1)과 칼럼(2)간 용접부(3)는 작업포인트로 관리되어 표면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선박을 기준으로 전체 수백개의 작업포인트를 수동력공구인 그라인더로 표면 처리 작업을 하게 되면 한 사람이 하루에 2~3개의 물량 밖에 처리하지 못하므로 작업공기가 길어지며, 블라스팅 작업과 비교하여 작업품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특허문헌의 철판 외면의 자동 블라스팅 작업장치도 작업자가 수행하는 표면 처리 작업을 반 자동화하고 있을 뿐, 분사재, 분진 등으로 인하여 주변 작업장 환경과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품질이 우수하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장 환경을 개선하면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분해조립식으로 설치 또는 해체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잡 형상 구조를 갖는 작업물인 칼럼과 스툴간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여 쾌적하게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분해조립식으로 설치가 용이한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물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의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유닛과,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의 분사재를 공급하여 상기 용접부의 표면을 처리하고, 표면 처리 후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유닛과,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의 공급 또는 회수 경로가 되도록 상기 밀폐 유닛과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 연결된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에 분사재를 압송하고, 분진 및 분사재를 회수시, 자중에 의해 분사재를 분진과 분리시키는 블라스팅 탱크; 상기 블라스팅 탱크에 흡입 호스로 연결되어 분사재 및 분진의 흡입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집진장치; 상기 밀폐 유닛, 블라스팅 호스, 석션 호스를 수납 및 보관하는 보관함; 상기 블라스팅 탱크와 상기 집진장치 및 상기 보관함의 탑재 및 이동을 위한 이동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밀폐 유닛의 노즐 장착부와 연결되는 블라스팅 노즐; 상기 블라스팅 노즐과 상기 블라스팅 탱크의 공급측 사이에 연결되는 블라스팅 호스; 상기 밀폐 유닛에 배치된 배출부와 상기 블라스팅 탱크의 회수측 사이에 연결되는 석션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대차는, 대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바퀴; 상기 대차프레임의 조향을 위해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된 이동손잡이; 상기 이동손잡이의 레버 조작시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 바퀴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대차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션 호스에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제 2 관체와, 상기 제 1, 제 2 관체의 내부에 관경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호 일치된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제 1, 제 2 조절판을 갖는 진공압 조절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유닛은, 상기 작업물을 감싸는 복수개의 피스에 의해 분해 가능하도록 상호 조립된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의 상부를 상기 작업물의 일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모듈; 상기 밀폐커버의 하부를 상기 작업물의 타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모듈; 상기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의 블라스팅 노즐과 연결되는 노즐 장착부; 상기 피스에 설치되어 블라스팅 작업 후의 분사재 및 분진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피스를 조립하여 사각형 병목 형상을 이루는 커버상부; 상기 커버상부의 하단에서 경사지게 확장된 커버천장부; 상기 커버천장부의 하단에서 사각형 병몸체 형상을 이루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의 하단변 각각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커버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는, 상기 피스간 상호 결합하는 부위에 밀폐력과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간 상호 결합을 위한 취부수단이 상기 홈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피스의 바깥쪽으로 접힌 부위와 안쪽으로 접힌 부위에 부착된 형상고정용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밀폐커버의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해 상기 피스에 마련된 작업용 견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모듈은,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상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고리; 상기 고리에 끼워 조임에 따라 상기 에어백을 상기 작업물에 밀착시키는 상부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모듈은, 상기 작업물의 스툴 상부판의 테두리에 끼워지거나 밀착되는 분해조립식 사각링 형상의 장착대; 상기 장착대의 외측 그루브에 덧대어진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스커트부를 조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 로프; 상기 장착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착대의 내측 그루브에 끼워진 상기 스툴 상부판의 테두리 저면을 압착하는 조임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상부와 상기 작업물 사이의 공백을 채워 밀폐시키는 밀폐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치구는, 압축공기의 충진에 따라 팽창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형상 유지를 위해 상호 대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튜브의 측면부를 상호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튜브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치구손잡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접부에 대한 그라인딩 작업에 비해 표면 처리 작업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잡 형상 구조를 갖는 작업물인 칼럼과 스툴간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여 쾌적하게 블라스팅 작업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분사재, 분진이 공기중으로 날리지 않아 주변 작업장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건강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해조립식 밀폐커버를 갖는 밀폐 유닛을 제공하여, 복잡 형상 구조의 작업물의 탑재 용접선 주변에 용이하게 조립 설치 및 해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블라스팅을 수행할 작업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1 또는 제 3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2 또는 제 4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물에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진공압 조절부의 작동 관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1 또는 제 3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2 또는 제 4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물에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진공압 조절부의 작동 관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해 블라스팅 표면 처리될 작업물(W)은, 선체, 해양구조물, 건축물 등에서 스툴의 스툴 상부판(1b)과 칼럼의 보강판 및 H빔(2a)간 용접부(3)를 갖는 어떠한 구조물로서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 선박의 선체 또는 해양구조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물(W)에 해당하는 칼럼(2)은 H빔을 빌드업(Built-up)하여 만든 H빔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칼럼(2)과 같은 복잡한 형상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치구, 또는 블라스팅 작업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커버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선체 또는 구조물의 특정부위에 해당하는 작업물이 설치된 현장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면서, 블라스팅 작업에 따른 분사재의 비산을 막고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장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밀폐 유닛(100), 블라스팅 유닛(200), 연결 라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 유닛(100)은 작업물(W)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W)의 용접부(3)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밀폐 유닛(100)은 블라스팅 작업공간을 만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되, 밀폐 유닛(100)에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각 기능의 단위 부품 또는 단위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블라스팅 유닛(200)은 상기 밀폐 유닛(100)의 내부의 분사재를 공급하여 상기 용접부의 표면을 처리하고, 표면 처리 후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블라스팅 유닛(200)은 밀폐 유닛(100)의 내부에 분사재를 압송하고, 분진 및 분사재를 회수시, 자중에 의해 분사재를 분진과 분리시키는 블라스팅 탱크(210); 블라스팅 탱크(210)에 흡입 호스(212)로 연결되어 분사재 및 분진의 흡입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집진장치(220); 밀폐 유닛(100), 블라스팅 호스(320), 석션 호스(330)를 수납 및 보관하도록 개폐도어를 갖는 캐비닛 형상의 보관함(230); 블라스팅 탱크(210)와 집진장치(220) 및 보관함(230)의 탑재 및 이동을 위한 이동대차(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대차(240)는 대차프레임(24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피동형 바퀴(242); 대차프레임(241)의 조향을 위해 대차프레임(241)에 설치된 이동손잡이(243); 이동손잡이(243)의 레버 조작시 대차프레임(241)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 바퀴를 작동시켜 이동대차(24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장치(2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유닛(100) 등을 이동대차(240)에 실어 각 작업물(W) 쪽으로 옮겨가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밀폐 유닛(100)의 단위 부품 또는 모듈을 블라스팅 작업시 작업물(W)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밀폐 유닛(100)의 조립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연결 라인(300)은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의 공급 또는 회수 경로가 되도록 상기 밀폐 유닛과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연결 라인(300)은 밀폐 유닛(100)의 노즐 장착부(150) 중 어느 하나에 취부되는 블라스팅 노즐(310); 블라스팅 노즐(310)과 블라스팅 탱크(210)의 공급측 사이에 연결되는 블라스팅 호스(320); 밀폐 유닛(100)에 배치된 배출부(160)와 블라스팅 탱크(210)의 회수측 사이에 연결되는 석션 호스(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라스팅 호스(320) 및 석션 호스(330)의 끝단부는 연결 대상물과 교합에 의해 취부될 수 있고,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오링을 갖는 퀵 커플러 또는 원터치(미 도시)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작업에 필요한 밀폐 유닛(100)은 일종의 단위 부품 또는 모듈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반적으로 자동화 장비에서 툴만을 가지고 작업하는 장치 구성과 차별화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밀폐 유닛(100)은 작업물을 감싸는 복수개의 피스(111 ~ 114)에 의해 분해 가능하도록 상호 조립된 밀폐커버(110)를 포함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피스(111 ~ 114)는 작업물의 칼럼의 H빔(2a)과 스툴 상부판(1b)의 둘레를 감싸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밀폐커버(110)는 블라스팅 작업 공간이 작업물 주변에 만들어질 수 있도록 형상화되어 있어야 하고, 분사재 및 분진이 비정상적으로 블라스팅 작업 공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폐가 되어야 하며, 일측 작업물 주변에 블라스팅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후, 상호 분리되어 타측 작업물에서 신속하게 재사용되도록,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밀폐커버(110)는 피스(111 ~ 114)를 조립하여 사각형 병목 형상을 이루는 커버상부(115); 커버상부(115)의 하단에서 경사지게 확장된 커버천장부(116): 커버천장부(116)의 하단에서 사각형 병몸체 형상을 이루는 커버몸체부(117); 커버몸체부(117)의 하단변 각각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커버스커트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피스(111 ~ 114)는 마모가 적은 재질을 선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피스(111 ~ 114)의 재질은 내마모성 천연 고무 혹은 경도가 낮은 우레탄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형으로 기본형상을 만들고 재단 및 추가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피스(111 ~ 114)는 이중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 커버천장부(116), 커버몸체부(117), 커버스커트부(118)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 및 커버스커트부(118)에 해당하는 피스(111 ~ 114)의 재질은 밀착성이 중요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밀폐커버(110)의 커버천장부(116) 및 커버몸체부(117)에 해당하는 피스(111 ~ 114)의 재질은 내마모성이 중요한 재질이 제작될 수 있다.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의 내측면은 작업물의 용접부 이외의 위치[예: 칼럼의 H빔(2a)의 플랜지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밀폐커버(110)의 커버천장부(116) 및 커버몸체부(117)는 작업물의 용접부[예: 칼럼의 H빔(2a)과 스툴 상부판(1b)간 용접선] 외측에 블라스팅 작업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밀폐커버(110)의 커버스커트부(118)는 커버몸체부(117)의 하부와 연결된 부위를 접힘선으로 하여 접어질 수 있다.
특히,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가 작업물에 해당하는 H빔(2a)의 둘레를 감싸더라도, H빔(2a)의 단면 형상적 특징에 의해 밀폐되지 않는 공백(W1, W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H빔(2a) 형상에서는 H빔(2a)의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웨브(WEB)와, 웨브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플랜지(Flange)가 있는데, 웨브와 플랜지 안쪽 공백(W1, W2)으로 인해 밀폐 형상이 복잡하고 까다롭게 된다.
따라서, 밀폐 유닛(100)은 H빔(2a)의 형상을 직사각 형상으로 단순화시키기 위해서,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와 작업물[예: H빔(2a)] 사이의 공백(W1, W2)을 채워 밀폐시키는 에어백 구조의 복수개(예: 2개)의 밀폐치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치구(120)는 하기의 도 8 및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될 수 있되, 작업물의 크기가 일부 상이하더라도 에어백 구조의 팽출 특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공백(W1, W2)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밀폐 유닛(100)은 밀폐커버(110)의 상부, 예를 들어,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를 작업물의 일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모듈(130)과, 밀폐커버(110)의 하부, 예를 들어, 밀폐커버(110)의 커버스커트부(118)를 작업물의 타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고정모듈(130)은 밀폐커버(110)의 커버상부(11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에어백(131)과, 에어백(131)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고리(132)와, 상기 고리(132)에 끼워 조임에 따라 에어백(131)을 작업물에 밀착시키는 상부 로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고정모듈(140)은 작업물의 스툴 상부판(1b)의 테두리에 끼워지거나 밀착되는 분해조립식 사각링 형상의 장착대(141, 142)와, 장착대(141, 142)의 외측 그루브(143, 144)(groove)에 덧대어진 밀폐커버(110)의 커버스커트부(118)를 조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 로프(145)와, 장착대(141)에 나사 결합되어 장착대(141)의 내측 그루브(146)에 끼워진 스툴 상부판(1b)의 테두리 저면을 압착하는 조임레버(14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로프(145)를 조여 고정한다는 뜻은 하부 로프(145)로 커버스커트부(118)의 둘레를 감은 다음, 하부 로프(145)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 묶어서 고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노즐 장착부(150)는 밀폐커버(110)의 각 피스(111 ~ 114)에 설치된 것으로서, 블라스팅 노즐을 간편하게 끼웠다 뺄 수 있게도록, 퀵커플러 또는 원터치 클램프 형태의 구멍을 구비하여 블라스팅 노즐과 연결됨에 따라 블라스팅 작업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다.
배출부(160)는 밀폐커버(110)의 피스(111 ~ 114)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서, 블라스팅 작업 후의 분사재 및 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부(160)도 퀵 커플러 또는 원터치 클램프 형태의 구멍을 갖되, 석션 호스(330)의 끝단부와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석션 호스(330)에는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할 진공압 조절부(340)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밀폐커버(110)는 그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각 면 마다 하나씩 설치되게 4개의 피스(111 ~ 114)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스(111 ~ 114)간 상호 결합하는 부위는 밀폐력과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홈부와 끼움부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고, 상기 피스(111 ~ 114)간 상호 결합을 위한 취부수단(예: 돌기체결구멍 및 돌기)이 홈부에 마련되어서, 상호 결합된 부위의 임시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1 또는 제 3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밀폐커버의 제 2 또는 제 4 피스의 사시도이다.
4개의 피스(111 ~ 114)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피스(111 ~ 114)는 제 1 피스(111), 제 2 피스(112), 제 3 피스(113), 제 4 피스(114)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피스(111)와 제 3 피스(113)는 동종의 것이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3 피스(113)를 대표로 설명될 수 있고, 제 2 피스(112)와 제 4 피스(114)도 동종의 것이므로 제 4 피스(114)를 대표로 설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또는 제 3 피스(113)의 좌,우 끝단은 접힘 가능하고 플랫한 끼움부(170, 171, 172)로 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단추와 같은 형식의 복수개의 돌기(173)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또는 제 4 피스(114)의 좌,우 끝단은 도 4의 제 3 피스(113)의 끼움부(170, 171, 17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홈부(180, 181, 182)로 되어 있고, 돌기(173)에 대응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체결구멍(183)을 갖는다.
여기서, 돌기(173) 및 돌기체결구멍(183)은 일종의 취부수단으로서, 벨크로 파스너, 똑딱이 단추 등과 같은 동질의 취부수단으로 대체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홈부(180, 181, 182)에는 끼움부(170, 171, 172)가 삽입되고, 이후 각각의 돌기(173)가 돌기체결구멍(183)에 끼워져서, 밀폐력과 결합력이 결국 피스(113, 114)간 결합부위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각 피스(113, 114)의 상단에는 앞서 언급한 상부고정모듈에 해당하는 에어백(131)이 매치되어 있고, 에어백(131)의 고리(132)에 끼워진 상부 로프(133)에 의해, 피스(113, 114)의 상단의 밀폐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각 피스(113, 114)의 바깥쪽으로 접힌 부위와 안쪽으로 접힌 부위에는 형상고정용 보조 브래킷(174, 175, 184, 185)이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브래킷(174, 175, 184, 185)은 블라스팅 공기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에도 일정부분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113, 114)간 설치 작업을 할 때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각 피스(113, 114)에는 밀폐커버의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한 작업용 견시창(176, 186)이 마련되어 있고, 견시창(176, 186)의 유리는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안전한 작업과 동시에 항상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물에 도 2에 도시된 밀폐 유닛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밀폐 유닛(100)의 밀폐커버(110)는 밀폐치구(120), 상부고정모듈(130) 및 하부고정모듈(140)로 작업물(W)에 밀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밀폐커버(110)를 조립하여 작업물(W)의 주위에 배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밀폐치구(120)를 설치하고, 밀폐치구(120) 및 상부고정모듈(130)의 에어백(131)에 공기를 인가하고, 상부 로프(133)을 고리(132)에 끼워 상부 로프(133)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 묶어서 조인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물(W)의 스툴 상부판(1b)의 테두리에 하부고정모듈(140)의 장착대(141)의 내측 그루브(146)가 끼워지도록 장착대(141)를 설치하고, 조임레버(147)를 이용하여 장착대(141)를 스툴 상부판(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밀폐커버(110)의 커버스커트부(118)가 장착대(141)의 외측 그루브(143)에 들어가도록 하부 로프(145)를 조일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노즐 장착부(150)과 배출부(160)에 각각 연결 라인에 해당하는 블라스팅 노즐 또는 석션 호스를 연결한 후, 블라스팅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블라스팅 노즐을 통해 밀폐커버(110)의 내부로 인가된 공기압과, 석션 호스을 통해 밀폐커버(110)의 내부에 인가된 진공압이 불균형 상태를 이룰 경우, 밀폐커버(110)가 팽출되거나 찌그러지듯이 수축될 수 있다.
이런 불균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도 3 또는 도 7의 진공압 조절부(34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진공압 조절부(34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제 2 관체(341, 342)와, 제 1, 제 2 관체(341, 342)의 내부에 관경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호 일치된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제 1, 제 2 조절판(343, 344)을 가질 수 있다.
제 1 관체(341)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회전용 홈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제 2 관체(342)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고, 제 1 관체(341)의 회전용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작업자가 제 1 관체(341)를 기준으로 제 2 관체(3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경우, 도 7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제 2 조절판(344)의 구멍이 제 1 조절판(343)에 의해 회전 비율에 대응하게 일부분 막히게 됨에 따라, 구멍 통과 단면적이 축소되어, 진공압이 약화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b) 상태가 (a) 상태로 복귀될 경우, 구멍이 상호 일치하게 관통하여 진공압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는 진공압 조절부(340)를 세밀하게 조작하여, 밀폐커버(110)가 팽출되거나 찌그러지지 않는 공기압 및 진공압의 균형 포인트를 찾을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밀폐치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치구(120)는 압축공기의 충진에 따라 팽창되는 튜브(121)와, 튜브(121)의 형상 유지를 위해 상호 대향적으로 배치되어 튜브(121)의 내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브래킷(122, 123)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122, 123)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튜브(121)의 측면부를 상호 가깝게 또는 멀어지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 브래킷(122, 123)에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124)와, 튜브(121)의 외부로 연장된 가이드 샤프트(124)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치구손잡이(125)와, 튜브(121)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샤프트(124)의 타측 끝단은 타측 가이드 브래킷(122)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샤프트(124)의 일측 끝단쪽의 부위는 튜브(121) 및 일측 가이드 브래킷(123)의 샤프트 관통 구멍에 체결되어 기밀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튜브(121) 및 일측 가이드 브래킷(123)의 샤프트 관통 구멍에는 압축공기의 밀폐와 가이드 샤프트(124)의 슬라이딩 작동을 가능케 하도록 통상의 실링 부재(미 도시)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치구손잡이(125)를 이용하여, 각 밀폐치구(120)를 작업물(W)의 좌,우측 공백(W1, W2)에 임시 배치시킬 수 있다.
좌측의 밀폐치구(120)는 주입구(126)을 통해 압축공기를 튜브(121)에 주입할 경우, 앞서 설명한 가이드 브래킷 및 가이드 샤프트(124)에 의해 튜브(121)가 직육면체 형태로 팽출되어서, 작업물(W)의 좌측 공백(W1)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우측의 밀폐치구(120)는 튜브(121)에서 압축공기를 방출시킬 경우, 튜브(121)의 체적이 줄어들어서 작업물(W)의 우측 공백(W2)에서 용이하게 밀폐치구(120)를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밀폐 유닛 110 : 밀폐커버
120 : 밀폐치구 130 : 상부고정모듈
140 : 하부고정모듈 150 : 노즐 장착부
160 : 배출부 200 : 블라스팅 유닛
210 : 블라스팅 탱크 220 : 집진장치
230 : 보관함 240 : 이동대차
300 : 연결 라인 310 : 블라스팅 노즐
320 : 블라스팅 호스 330 : 석션 호스
120 : 밀폐치구 130 : 상부고정모듈
140 : 하부고정모듈 150 : 노즐 장착부
160 : 배출부 200 : 블라스팅 유닛
210 : 블라스팅 탱크 220 : 집진장치
230 : 보관함 240 : 이동대차
300 : 연결 라인 310 : 블라스팅 노즐
320 : 블라스팅 호스 330 : 석션 호스
Claims (14)
- 작업물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의 용접부의 외측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유닛과,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의 분사재를 공급하여 상기 용접부의 표면을 처리하고, 표면 처리 후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유닛과,
상기 분사재 및 분진의 공급 또는 회수 경로가 되도록 상기 밀폐 유닛과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 연결된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상기 밀폐 유닛의 내부에 분사재를 압송하고, 분진 및 분사재를 회수시, 자중에 의해 분사재를 분진과 분리시키는 블라스팅 탱크;
상기 블라스팅 탱크에 흡입 호스로 연결되어 분사재 및 분진의 흡입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집진장치;
상기 밀폐 유닛, 블라스팅 호스, 석션 호스를 수납 및 보관하는 보관함;
상기 블라스팅 탱크와 상기 집진장치 및 상기 보관함의 탑재 및 이동을 위한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밀폐 유닛의 노즐 장착부와 연결되는 블라스팅 노즐;
상기 블라스팅 노즐과 상기 블라스팅 탱크의 공급측 사이에 연결되는 블라스팅 호스;
상기 밀폐 유닛에 배치된 배출부와 상기 블라스팅 탱크의 회수측 사이에 연결되는 석션 호스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대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바퀴;
상기 대차프레임의 조향을 위해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된 이동손잡이;
상기 이동손잡이의 레버 조작시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 바퀴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대차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호스에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제 2 관체와, 상기 제 1, 제 2 관체의 내부에 관경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호 일치된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제 1, 제 2 조절판을 갖는 진공압 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블라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유닛은,
상기 작업물을 감싸는 복수개의 피스에 의해 분해 가능하도록 상호 조립된 밀폐커버;
상기 밀폐커버의 상부를 상기 작업물의 일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모듈;
상기 밀폐커버의 하부를 상기 작업물의 타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모듈;
상기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의 블라스팅 노즐과 연결되는 노즐 장착부;
상기 피스에 설치되어 블라스팅 작업 후의 분사재 및 분진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피스를 조립하여 사각형 병목 형상을 이루는 커버상부;
상기 커버상부의 하단에서 경사지게 확장된 커버천장부;
상기 커버천장부의 하단에서 사각형 병몸체 형상을 이루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의 하단변 각각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커버스커트부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는,
상기 피스간 상호 결합하는 부위에 밀폐력과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간 상호 결합을 위한 취부수단이 상기 홈부에 마련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바깥쪽으로 접힌 부위와 안쪽으로 접힌 부위에 부착된 형상고정용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의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해 상기 피스에 마련된 작업용 견시창을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모듈은,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상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고리;
상기 고리에 끼워 조임에 따라 상기 에어백을 상기 작업물에 밀착시키는 상부 로프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모듈은,
상기 작업물의 스툴 상부판의 테두리에 끼워지거나 밀착되는 분해조립식 사각링 형상의 장착대;
상기 장착대의 외측 그루브에 덧대어진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스커트부를 조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 로프;
상기 장착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착대의 내측 그루브에 끼워진 상기 스툴 상부판의 테두리 저면을 압착하는 조임레버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의 커버상부와 상기 작업물 사이의 공백을 채워 밀폐시키는 밀폐치구를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치구는,
압축공기의 충진에 따라 팽창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형상 유지를 위해 상호 대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튜브의 측면부를 상호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튜브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치구손잡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908A KR101359638B1 (ko) | 2012-03-08 | 2012-03-08 | 블라스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908A KR101359638B1 (ko) | 2012-03-08 | 2012-03-08 | 블라스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2794A KR20130102794A (ko) | 2013-09-23 |
KR101359638B1 true KR101359638B1 (ko) | 2014-02-06 |
Family
ID=4945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908A KR101359638B1 (ko) | 2012-03-08 | 2012-03-08 | 블라스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96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873A (ko) * | 2018-04-27 | 2019-11-06 | 이석재 | 에어 블라스트 머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904A (ko) * | 1985-08-06 | 1987-03-28 | 와시오 히데오 | 샌드 블라스팅에 의한 피 가공물의 가공방법 및 장치 |
JP2010000572A (ja) | 2008-06-20 | 2010-01-07 | Jfe Engineering Corp | バキュームブラスト装置およびバキュームブラスト方法 |
KR20100059295A (ko) * | 2008-11-26 | 2010-06-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라스팅 장치 |
KR20110036225A (ko) * | 2009-10-01 | 2011-04-07 | 한국생산성본부 | 세라믹 재질 가공용 블라스트 장치 |
-
2012
- 2012-03-08 KR KR1020120023908A patent/KR1013596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904A (ko) * | 1985-08-06 | 1987-03-28 | 와시오 히데오 | 샌드 블라스팅에 의한 피 가공물의 가공방법 및 장치 |
JP2010000572A (ja) | 2008-06-20 | 2010-01-07 | Jfe Engineering Corp | バキュームブラスト装置およびバキュームブラスト方法 |
KR20100059295A (ko) * | 2008-11-26 | 2010-06-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라스팅 장치 |
KR20110036225A (ko) * | 2009-10-01 | 2011-04-07 | 한국생산성본부 | 세라믹 재질 가공용 블라스트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873A (ko) * | 2018-04-27 | 2019-11-06 | 이석재 | 에어 블라스트 머신 |
KR102092086B1 (ko) | 2018-04-27 | 2020-03-23 | 이석재 | 에어 블라스트 머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2794A (ko) | 2013-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06361B2 (en) | Fixture to facilitate sandblasting of a cylindrical object | |
CN205817190U (zh) | 一种清根机 | |
CN204449890U (zh) | 管道内燃发电焊接多功能工程车 | |
WO2014181301A1 (en) | Multifunction robot for maintenance in confined spaces of metal constructions | |
KR101359638B1 (ko) | 블라스팅 장치 | |
EP2002911A1 (en) | Machining head, especially for milling of electrodes, device for removal of chips as well as the unit consisting of the head and the device for the removal of chips. | |
US4105887A (en) |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060011B1 (ko) | 블라스팅 장치 | |
CN106695238B (zh) | 激光焊缝打磨的力控打磨工具 | |
KR101403565B1 (ko) | 블라스팅 장치 | |
KR20140112940A (ko) |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 |
KR101368882B1 (ko) | 블라스팅 작업용 밀폐 장치 | |
CN2836970Y (zh) | 等离子清根机 | |
US11519545B2 (en) | Installment method of fluid control body, and fluid control device including fluid control body | |
CN208976419U (zh) | 一种复杂零部件内部铁屑除渣机 | |
KR101400019B1 (ko) | 블라스팅 장치 | |
JP6621507B2 (ja) | サンドブラスト装置セットおよび鉄塔の素地調整方法 | |
KR102092086B1 (ko) | 에어 블라스트 머신 | |
CN107639547B (zh) | 用于自动喷砂除锈的密封罩 | |
JP7357550B2 (ja) | はつ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はつり工法 | |
CN202984928U (zh) | 一种不锈钢+碳钢复合板焊接坡口 | |
KR102697840B1 (ko) | 블라스팅 장치 | |
CN217450634U (zh) | 一种带有防尘机构的机械零部件连续喷漆装置 | |
CN216633104U (zh) | 一种内孔堆焊自动化辅助装置 | |
CN112621319B (zh) | 汽车部件加工用多功能定位工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